KR102488087B1 -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 Google Patents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087B1
KR102488087B1 KR1020220057554A KR20220057554A KR102488087B1 KR 102488087 B1 KR102488087 B1 KR 102488087B1 KR 1020220057554 A KR1020220057554 A KR 1020220057554A KR 20220057554 A KR20220057554 A KR 20220057554A KR 102488087 B1 KR102488087 B1 KR 102488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nd surface
stone pillar
right end
bin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구
전우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화건업
전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화건업, 전상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화건업
Priority to KR1020220057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5/00Apparatus for obtaining or removing undisturbed cores, e.g. core barrels, core extractors
    • E21B25/10Formed core retaining or sev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23B51/0413Drills for trepanning with core-cutting-off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27/00Machines which completely free the mineral from the seam
    • E21C27/10Machines which completely free the mineral from the seam by both slitting and breaking-down
    • E21C27/14Machines which completely free the mineral from the seam by both slitting and breaking-down breaking-down effected by force or pressure applied to side of slit, e.g. by wedg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공사 현장에서 할암기로 암반을 파쇄하기 전 암반에 구멍을 뚫을 때 코아드릴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둥을 지렛대를 이용하여 아래 부분에서 부러지도록 절단 작업을 수행한 후에 절단된 돌기둥을 인발까지 해서 꺼집어내도록 구성된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A stone pillar cutting and pulling-out device}
본 발명은 건설공사 현장에서 할암기로 암반을 파쇄하기 전 암반에 구멍을 뚫을 때 코아드릴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둥을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를 이용하여 설정 지점보다 아래의 부분에서 부러지도록 절단 작업을 수행하고 나서 절단된 돌기둥을 인발하여 꺼집어내도록 구성된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코아 드릴에 의해 형성된 돌기둥을 부러뜨리기 위해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렛대를 이용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건설공사 현장에서 대지의 대부분이 암반으로 형성된 토지에서 터파기하는 암 터파기 또는 상기 토지에서 암반을 깎아 내는 암 절취 작업을 하여야 할 때, 문화재와 같은 보안 물건이나 주택 혹은 축사 등이 인접해 있는 경우 진동, 소음, 분진 등으로 인하여 화약을 사용할 수 없으며, 브레이커도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무진동 암파쇄 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화약을 사용하는 방법 외에 암반을 파쇄하는 방법으로 암반에 구멍을 뚫은 후 할암기로 암반이 절개되도록 하여 암반을 파쇄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에서는 암반 천공을 위하여 크로라 드릴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크로라 드릴의 사용시 소음이 심하게 나기 때문에 문화재와 같은 보안 물건이나 주택 혹은 축사 등이 인접해 있는 곳에서는 크로라 드릴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라 드릴 대신에 소음을 적게 유발하는 코아 드릴을 사용하여 암반에 10mm 정도의 원통형 요입 틈새를 형성하면서 돌기둥을 만들어서 지렛대를 이용하여 돌기둥을 부러지게 하여 끄집어 내어 암반에 구멍을 형성한 후에 상기 구멍에 유압식 할암기를 넣어 암반을 절개하는 할암을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코아 드릴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길이 800mm이고 직경이 200mm 정도인데, 상기 종래의 코아 드릴의 사용에 의해 암반에 생성되는 돌기둥을 지렛대를 이용하여 부러뜨릴 때 돌기둥은 800mm 길이의 맨 아래 부분에서 부러지지 않고 상기 돌기둥도 균일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부분이 있을 때 그 강도가 약한 부분으로 인하여 돌기둥 중간 부분에서 부러지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여 천공의 깊이를 깊게 할 수 없고, 또한, 상기 종래의 코아 드릴의 사용에 의해 암반에 생성되어 지렛대에 의해 부러진 돌기둥을 다시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인발해 내거나 인력으로 인발해 내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1-0048416호(2011.05.11.)
본 발명에 의한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아 드릴의 사용에 의해 암반에 생성되는 돌기둥을 부러뜨릴 때 돌기둥의 맨 아래 부분 또는 선택된 설정 영역 내에서 부러지도록 함과 동시에, 부러진 돌기둥을 인발해 낼 수도 있는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아 드릴의 사용에 의해 암반에 생성되는 돌기둥을 부러뜨린 후 부러진 돌기둥을 미끄러짐없이 단단히 압착하여 인발해 내는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중공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단의 개방부를 가로질러 상단에 설치되어 있고 나사산이 상하로 형성된 홀을 구비한 직육면체 형태의 나사결합부(12a)와 외주면의 상측에 부착된 손잡이(11)를 구비하고 있는 헤드부(12)와, 서로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편용 구멍(14)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헤드부(12)에 일체로 연결된 반원통형의 몸체(13)를 포함하는 지렛대(10);와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있는 와이어 안내부;와 상기 나사결합부(12a)의 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설정 간격만큼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와이어 삽통공(23h)을 형성한 와이어 삽통부(23)를 구비하고 있는 승강부(21)와, 상기 승강부(21)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핸들(22)을 포함하는 승강조절부(20);와 상기 나사결합으로 인해 상기 핸들(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21)의 승강에 맞추어 함께 승강하는 와이어(30);와 상기 몸체(13)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내주면을 가지는 휘어진 판형의 제1 판체(71a)와 상기 제1 판체(71a)의 내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 지지편용 구멍(14)에 삽입될 수 있는 제1 돌기부(71b)를 가지는 외측 지지편(71)과, 상기 몸체(13)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외주면을 가지는 휘어진 판형의 제2 판체(72a)와 상기 제2 판체(72a)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편용 구멍(14)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돌기부(72b)를 가지는 내측 지지편(72)으로 구성되는 지지편(7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13)의 두께와 지지편(70)의 두께의 합한 두께는 코아드릴에 의해 암반에 원통형 요입 틈새의 형성으로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의 내부에서 돌기둥을 형성하면서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의 폭보다 더 짧되 손잡이(11)에 외력을 받아 돌기둥 쪽으로 기울어진 지렛대(10)가 돌기둥에 외력을 인가하게 되었을 때 돌기둥에 내측 지지편(72)이 힘을 인가하고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에 접하는 암반에 외측 지지편(71)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30)는,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삽통부(23)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 부분이 상기 와이어 안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와이어 안내부에서 나와 상기 와이어 안내부가 구비된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설정 크기의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내측 공간을 지나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의 모두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30)는,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삽통부(23)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 부분이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구비된 와이어 안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안내부로부터 나와,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안내부와 수직 하방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와이어 안내부와 수직 하방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와이어 안내부를 지나 상기 승강부(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삽통부(23)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의 모두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삽통부(23)와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의 모두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와이어 안내부들 중 하나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30)의 양단부를 결박 또는 결박해제하도록 구성된 와이어 결박구(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결박구(80)는, 경첩(83))에 의해 일측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회전할 수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1, 2 결박판(81, 82);과 상기 결박판(81, 82) 중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제2 결박판(82)과 마주보는 제1 결박판(81)의 면 상에서 직립하여 와이어(30)가 권취되는 몸체(81a2)와 상기 몸체(81a2)의 자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81a1)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핀(81a);와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제1 결박판(81)의 상기 면과 마주보는 제2 결박판(82)의 면 상에서 하나 이상의 상기 핀(81a)을 수용할 수 있도록 요입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핀 수용홈(82a);과 상기 제1 결박판(81)의 상기 면에 인접하는 측면들 중 상기 경첩(83))이 설치되는 측면과 반대쪽에 있는 측면에 설치되고 갈고리 모양의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81b);와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1 결합부(81b)와 결합되도록 제1 결박판(81)의 상기 면과 마주보는 제2 결박판(82)의 상기 면에 인접하는 측면들 중 상기 경첩(83))이 설치되는 측면과 반대쪽에 있는 측면에 설치되고 갈고리 모양의 부분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8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갈고리 모양의 상기 제1 결합부(81b)와 제2 결합부(82b)는 서로 결합되는 갈고리 모양의 부분에서 상호 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휘거나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결박판(81)과 제2 결박판(82)은, 각각,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제1 결박판(81)과 제2 결박판(82)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에 형성되고 서로 간격을 둔 복수의 신축성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3)와 외측 지지편(71)과 내측 지지편(72)은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는, 상기 와이어(30)가 승강조절부(20)에 의해 상승하면서 텐션을 받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와 상기 와이어(30)의 타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어(30)의 부분에 끼워져 코아드릴로 암석에 원통형 요입 틈새를 형성하면서 형성된 돌기둥을 승강조절부(20)에 의해 와이어(30)가 상승하면서 텐션을 받아 압착할 수 있는 돌기둥 압착편(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은, 상기 와이어(30)가 삽통되도록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의 폭방향을 따라 양측이 절개되어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의 내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와이어 삽통부(51);와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의 외면 중 상기 와이어 삽통부(51)가 위치하는 곳들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의 상단부와 상기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의 사이에서 설정 크기의 내측 공간을 형성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복수의 제2 원호형 브릿지(13h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고정되게 부착된 호스(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코아 드릴의 사용에 의해 암반에 생성되는 돌기둥을 부러뜨릴 때 돌기둥의 맨 아래 부분 또는 선택된 설정 영역 내에서 부러지도록 함과 동시에, 부러진 돌기둥을 인발해 낼 수도 있는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아 드릴의 사용에 의해 암반에 생성되는 돌기둥을 부러뜨린 후 부러진 돌기둥을 미끄러짐없이 단단히 압착하여 인발해 내는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코아 드릴에 의해 형성된 돌기둥을 부러뜨리기 위해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렛대를 이용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승강조절부와 와이어를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도 2의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와이어 안내부와 와이어 및 압착편을 도시하는 도면.
도 3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안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종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와이어 결착구의 사시도.
도 4c는 도 4b의 단면도.
도 4d는 도 4c의 A부 확대도.
도 4e는 도 4c의 B부 확대도.
도 5는 도 2의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돌기둥 압착편과 와이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2의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지렛대와 지지편의 결합관게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2의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지렛대의 하측 부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지지편용 구멍 중 인접한 한쌍의 구멍에 외측 지지편과 내측지지편이 결합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코아드릴의 사용에 의해 암반에 형성된 돌기둥과 암반 사이의 틈새에 도 2의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코아 드릴에 의해 형성된 돌기둥을 부러뜨리기 위해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렛대를 이용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의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승강조절부와 와이어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도 2의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와이어 안내부와 와이어 및 압착편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안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와이어 결착구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도 4b의 단면도이며, 도 4d는 도 4c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e는 도 4c의 B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돌기둥 압착편과 와이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지렛대와 지지편의 결합관게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2의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지렛대의 하측 부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지지편용 구멍 중 인접한 한쌍의 구멍에 외측 지지편과 내측지지편이 결합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코아드릴의 사용에 의해 암반에 형성된 돌기둥과 암반 사이의 틈새에 도 2의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는, 지렛대(10)와, 와이어 안내부와, 승강조절부(20)와, 와이어(30)와, 지지편(70)을 포함한다.
상기 지렛대(10)는, 중공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단의 개방부를 가로질러 상단에 설치되어 있고 나사산이 상하로 형성된 홀을 구비한 직육면체 형태의 나사결합부(12a)와 외주면의 상측에 부착된 손잡이(11)를 구비하고 있는 헤드부(12)와, 서로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편용 구멍(14)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헤드부(12)에 일체로 연결된 반원통형의 몸체(1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나사결합부(12a)의 홀에 후술하는 승강부(21)가 나사체결되어 승강할 수 있으며, 코아 드릴에 의해 암반에 생성된 원통형 요입 틈새와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 내부의 돌기둥의 사이에 지렛대(10)를 아래로 끝까지 삽입한 후 손잡이(11)를 인력이나 다른 기구로 밀거나 당겨 외력을 인가할 수 있고, 복수의 지지편용 구멍(14)에는 후술하는 지지편(70)을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둥은 원통형 요입 틈새 내에 형성되게 되며 돌기둥의 하측부는 암반과 분리되어 있지 않고 암반과 일체로 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있다.
도 3a, 3b,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 즉, 예컨데 몸체(13)의 우측 단부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와이어(30)의 승강을 안내하며, 상기 와이어(30)는,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삽통부(23)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 부분이 상기 와이어 안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와이어 안내부에서 나와 상기 와이어 안내부가 구비된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설정 크기의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내측 공간을 지나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원호형 브릿지(13hb)는 상기 와이어 안내부가 구비된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안내부를 통해 상하로 안내 또는 배치되는 와이어(30)의 안내 또는 배치 방향을 측방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승강조절부(20)의 승강부(21)의 승강에 따라 와이어(30)가 승강될 수 있으며, 와이어(30)의 승강시 상기 고정된 부분과 제1 원호형 브릿지(13hb) 사이의 와이어(30)와 몸체(13)의 사이에 위치하는 돌기둥을 와이어(30)가 압착 또는 압착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의 모두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30)는,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삽통부(23)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 부분이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구비된 와이어 안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안내부로부터 나와,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안내부와 수직 하방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와이어 안내부와 수직 하방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와이어 안내부를 지나 상기 승강부(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삽통부(23)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승강조절부(20)의 승강부(21)의 승강에 따라 와이어(30)가 승강될 수 있으며, 와이어(30)의 승강시 제1 원호형 브릿지(13hb)들 사이의 와이어(30)와 몸체(13)의 사이에 위치하는 돌기둥을 와이어(30)가 압착 또는 압착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a 내지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의 모두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삽통부(23)와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의 모두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와이어 안내부들 중 하나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30)의 양단부를 결박 또는 결박해제하도록 구성된 와이어 결박구(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결박구(80)는, 경첩(83))에 의해 일측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회전할 수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1, 2 결박판(81, 82);과 상기 결박판(81, 82) 중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제2 결박판(82)과 마주보는 제1 결박판(81)의 면 상에서 직립하여 와이어(30)가 권취되는 몸체(81a2)와 상기 몸체(81a2)의 자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81a1)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핀(81a);와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제1 결박판(81)의 상기 면과 마주보는 제2 결박판(82)의 면 상에서 하나 이상의 상기 핀(81a)을 수용할 수 있도록 요입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핀 수용홈(82a);과 상기 제1 결박판(81)의 상기 면에 인접하는 측면들 중 상기 경첩(83))이 설치되는 측면과 반대쪽에 있는 측면에 설치되고 갈고리 모양의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81b);와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1 결합부(81b)와 결합되도록 제1 결박판(81)의 상기 면과 마주보는 제2 결박판(82)의 상기 면에 인접하는 측면들 중 상기 경첩(83))이 설치되는 측면과 반대쪽에 있는 측면에 설치되고 갈고리 모양의 부분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82b)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결박구(80)가 상기 와이어 삽통부(23)와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의 모두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와이어 안내부들 중 하나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30)의 양단부를 결박 또는 결박해제할 수 있는데, 와이어(30)가 핀(81a)의 몸체(81a2)에 권취된 상태에서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되어 제2 결합부(82b)를 제1 결합부(81b)에 결합시키면 와이어(30)는 제1 결박판(81)과 제2 결박판(82)의 사이에서 제1 결박판(81)과 제2 결박판(82)에 의해 눌러져서 결박구(80)에 단단히 결박되어 와이어(30)에 인장력이 가해져도 결박구(80)로부터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갈고리 모양의 상기 제1 결합부(81b)와 제2 결합부(82b)는 서로 결합되는 갈고리 모양의 부분에서 상호 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휘거나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될 때 제2 결박판(82)의 갈고리 모양의 부분이 제1 결합부(81b)의 갈고리 모양의 부분에 간섭되면서 휘어져 제2 결박판(82)이 더 회전되고 그에 따라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과 평행한 상태가 되었을 때 휘어진 제2 결박판(82)의 갈고리 모양의 부분이 원래의 상태나 위치로 복귀하면서 제2 결박판(82)의 갈고리 모양의 부분이 제1 결합부(81b)의 갈고리 모양의 부분과 결합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결박판(81)과 제2 결박판(82)은, 각각,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제1 결박판(81)과 제2 결박판(82)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에 형성되고 서로 간격을 둔 복수의 신축성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와이어(30)가 핀(81a)의 몸체(81a2)에 권취된 상태에서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되어 제2 결합부(82b)를 제1 결합부(81b)에 결합시켰을 때 와이어(30)는 제1 결박판(81)과 제2 결박판(82)의 사이에서 제1 결박판(81)과 제2 결박판(82)의 신축성 돌기부들에 의해 눌러져서 결박구(80)에 더욱 단단히 결박되어 와이어(30)에 인장력이 가해져도 결박구(80)로부터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신축성 돌기부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조절부(20)는, 상기 나사결합부(12a)의 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설정 간격만큼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와이어 삽통공(23h)을 형성한 와이어 삽통부(23)를 구비하고 있는 승강부(21)와, 상기 승강부(21)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핸들(22)을 포함한다. 핸들(22)을 회전시키면 회전 방향에 따라 외주면에 설정 간격만큼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이 상기 나사결합부(12a)의 홀과 나합하면서 승강부(21) 및 핸들(22)이 설정 간격만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0)는, 상기 나사결합으로 인해 상기 핸들(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21)의 승강에 맞추어 함께 승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a, 3b,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30)는,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삽통부(23)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 부분이 상기 와이어 안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와이어 안내부에서 나와 상기 와이어 안내부가 구비된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설정 크기의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내측 공간을 지나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30)의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삽통부(2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30)는 승강부(21)의 승강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30)의 중간 부분은 상기 와이어 승강 안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하 방향으로 안정되게 배치 또는 안내될 수 있고, 상기 와이어(30)의 타단부가 상기 와이어 안내부에서 나와 상기 와이어 안내부가 구비된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설정 크기의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내측 공간을 지나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몸체(13)의 좌측 단부면의 하측에 고정 부분과 제1 원호형 브릿지(13hb) 사이의 와이어(30)의 부분이 아래로 축 늘어져서 상기 돌기둥을 에워싸도록 하는 상태로 상기 지렛대(10)를 상기 틈새에 아래로 끝까지 삽입하여 지렛대(10)로 상기 돌기둥을 아래 부분에서 부러지게 한 후 승강부(21)을 상승시켜 와이어(30)를 상승되게 하면 몸체(13)의 좌측 단부면의 하측에서의 고정 부분과 제1 원호형 브릿지(13hb) 사이의 와이어(30)의 부분이 상기 돌기둥을 압착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돌기둥을 외부로 끄집어 내는 작업, 즉 인발해 내는 작업이 용이해지며 인발 작업시 돌기둥이 미끄러져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30)는,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삽통부(23)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 부분이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구비된 와이어 안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안내부로부터 나와,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안내부와 수직 하방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와이어 안내부와 수직 하방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와이어 안내부를 지나 상기 승강부(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삽통부(23)에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상기 와이어(3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모두 상기 승강부(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삽통부(2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30)는 승강부(21)의 승강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30) 중간 부분에서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구비된 와이어 안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와이어 안내부를 지나고 있으므로 상하 방향으로 안정되게 배치 또는 안내될 수 있고, 양측의 제1 원호형 브릿지(13hb)들 사이의 와이어(30)의 부분이 아래로 축 늘어져서 상기 돌기둥을 에워싸도록 하는 상태로 상기 지렛대(10)를 상기 틈새에 아래로 끝까지 삽입하여 지렛대(10)로 상기 돌기둥을 아래 부분에서 부러지게 한 후 승강부(21)을 상승시켜 와이어(30)를 상승되게 하면 제1 원호형 브릿지(13hb) 사이의 와이어(30)의 부분이 상기 돌기둥을 압착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돌기둥을 외부로 끄집어 내는 작업, 즉 인발해 내는 작업이 용이해지며 인발 작업시 돌기둥이 미끄러져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지지편(70)은, 상기 몸체(13)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내주면을 가지는 휘어진 판형의 제1 판체(71a)와 상기 제1 판체(71a)의 내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 지지편용 구멍(14)에 삽입될 수 있는 제1 돌기부(71b)를 가지는 외측 지지편(71)과, 상기 몸체(13)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외주면을 가지는 휘어진 판형의 제2 판체(72a)와 상기 제2 판체(72a)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편용 구멍(14)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돌기부(72b)를 가지는 내측 지지편(7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편(70)은 지렛대(10)가 지렛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가 원통형 요입 틈새의 바닥면까지 삽입된 후, 상기 외측 지지편(71)을 복수의 지지편용 구멍(14)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지지편용 구멍(14)에 제1 돌기부(71b)를 삽입하는 것을 통하여 설치하고, 내측 지지편(72)을 복수의 지지편용 구멍(14)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지지편용 구멍(14)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지지편용 구멍(14)에 제2 돌기부(72b)를 삽입하는 것을 통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손잡이(11)를 통해 돌기둥 쪽으로 지렛대(10)에 외력을 인가하면 돌기둥은 내측 지지편(72)에 맞닿은 지점에서 상기 외력을 인가받게 되어 가장 아래쪽 부분 또는 또는 내측 지지편(72)에 맞닿은 지점보다 아래의 부분에서 부러지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지지편(71)을 복수의 지지편용 구멍(14) 중 중앙에 위치하는 지지편용 구멍(14)에 제1 돌기부(71b)를 삽입하는 것을 통하여 설치하고, 내측 지지편(72)을 복수의 지지편용 구멍(14) 중 중앙에 위치하는 지지편용 구멍(14)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지지편용 구멍(14)에 제2 돌기부(72b)를 삽입하여 설치하는데, 즉 내측 지지편(72)은 외측 지지편(71)보다 상기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몸체(13)에서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가 상기 돌기둥 쪽으로 힘을 받아 지렛대의 역할을 할 때 상기 돌기둥에 맞닿아 상기 돌기둥에 대한 힘 인가의 작용점으로서 작용하게 되고 외측 지지편(71)은 내측 지지편(72)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에 접하는 암반의 내벽면에 맞닿아 상기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의 몸체(13)를 지지하는 지지점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11)를 통해 돌기둥 쪽으로 지렛대(10)에 외력을 인가하면 돌기둥은 내측 지지편(72)에 맞닿은 지점에서 상기 외력을 인가받게 되어 가장 아래쪽 부분 또는 내측 지지편(72)에 맞닿은 지점보다 아래의 부분에서 부러지게 된다. 이때 상기 돌기둥은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의 저면과 동일 깊이 또는 높이의 지점에서 부러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기 돌기둥이 연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부분적으로 강도가 약한 부분을 가지는 경우에는 중간 지점에서 부러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하지만, 어느 경우이든 상기 돌기둥은 내측 지지편(72)과 접촉하는 부분보다 아래에서 절단, 즉 부러지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내측 지지편(72)과 외측 지지편(71)을 복수의 지지편용 구멍(14) 중 원하는 곳에 선택하여 삽입, 설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최소한의 돌기둥 절단 길이 및 그에 따른 최소한의 천공 깊이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3)의 두께와 지지편(70)의 두께의 합한 두께는 코아드릴에 의해 암반에 원통형 요입 틈새의 형성으로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의 내부에서 돌기둥을 형성하면서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의 폭보다 더 짧되 손잡이(11)에 외력을 받아 돌기둥 쪽으로 기울어진 지렛대(10)가 돌기둥에 외력을 인가하게 되었을 때 돌기둥에 내측 지지편(72)이 힘을 인가하고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에 접하는 암반에 외측 지지편(71)이 지지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몸체(13)의 두께와 지지편(70)의 두께의 합한 두께는 코아드릴에 의해 암반에 원통형 요입 틈새의 형성으로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의 내부에서 돌기둥을 형성하면서 형성되는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의 폭보다 더 짧기 때문에 지렛대(10)의 몸체(13)가 상기 틈새의 아래의 끝까지 삽입될 수 있으며, 손잡이(11)에 외력을 받아 돌기둥 쪽으로 기울어진 지렛대(10)가 돌기둥에 외력을 인가하게 되었을 때 돌기둥에 내측 지지편(72)이 힘을 인가하고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에 접하는 암반에 외측 지지편(71)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둥은 내측 지지편(72)에 맞닿은 지점에서 상기 외력을 인가받게 되어 가장 아래쪽 부분 또는 내측 지지편(72)에 맞닿은 지점보다 아래의 부분에서 부러지게 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13)와 외측 지지편(71)과 내측 지지편(72)은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3)와 외측 지지편(71)과 내측 지지편(72)이 모두 금속, 즉 강체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지렛대(10)가 지렛대로서의 역할을 할 때 파손되지 않으며 외측 지지편(71)과 내측 지지편(72)도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13)와 외측 지지편(71)의 제1 판체(71a)와 내측 지지편(72)의 제2 판체(72a)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돌기부(71b)와 제2 돌기부(72b)는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돌기부(71b)와 제2 돌기부(72b)가 자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복수의 지지편용 구멍(14) 중 어느 하나에 제1 돌기부(71b)와 제2 돌기부(72b)를 삽입하였을 때 분리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하고 삽입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 및 고정하는 것에 비하여 삽입 및 고정과 사용 후의 분리가 용이한 이점이 잇다.
상기 와이어(30)가 승강조절부(20)에 의해 상승하면서 텐션을 받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와 상기 와이어(30)의 타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어(30)의 부분에 끼워져서, 코아드릴로 암석에 원통형 요입 틈새를 형성하면서 형성된 돌기둥을 승강조절부(20)에 의해 와이어(30)가 상승하면서 텐션을 받아 압착할 수 있는 돌기둥 압착편(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은, 상기 와이어(30)가 삽통되도록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의 폭방향을 따라 양측이 절개되어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의 내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와이어 삽통부(51);와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의 외면 중 상기 와이어 삽통부(51)가 위치하는 곳들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52)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의 돌기둥 압착편(50)은 상기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와 상기 와이어(30)의 타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어(30)의 부분에 끼워져 코아드릴로 암석에 원통형 요입 틈새를 형성하면서 형성된 돌기둥을 승강조절부(20)에 의해 와이어(30)가 상승하면서 텐션을 받아 압착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와이어(30)가 삽통되도록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의 폭방향을 따라 양측이 절개되어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의 내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와이어 삽통부(51에 의해 돌기둥 압착편(50)에 와이어(30)가 바느질로 재봉하듯이 끼워져 돌기둥 압착편(50)이 와이어(30)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의 외면 중 상기 와이어 삽통부(51)가 위치하는 곳들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52)에 의해서는 돌기둥을 승강조절부(20)에 의해 와이어(30)가 상승하면서 텐션을 받아 압착한 후 인발하려 할 때 돌기둥이 미끄러져 아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30)가 승강조절부(20)에 의해 텐션을 받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와 상기 와이어(30)의 타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어(30)의 부분은 외면에 거친 미세 돌기를 형성하고 있다. 이처럼 상기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와 상기 와이어(30)의 타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어(30)의 부분이 그 자체가 외면에 거친 미세 돌기를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돌기둥을 승강조절부(20)에 의해 와이어(30)가 상승하면서 텐션을 받아 압착한 후 인발하려 할 때 돌기둥이 미끄러져 아래로 낙하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의 상단부와 상기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의 사이에서 설정 크기의 내측 공간을 형성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복수의 제2 원호형 브릿지(13ha)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2 원호형 브릿지(13ha)가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의 상단부와 상기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의 사이에서 설정 크기의 내측 공간을 형성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있음으로써 와이어(30)가 상기 설정 크기의 내측 공간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와이어(30)의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배치 또는 안내가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고정되게 부착된 호스(40)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와이어(30)가 호스(40)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와이어(30)의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배치 또는 안내가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형성되되 전면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원의 원주의 절반보다 더 큰 원주를 가지는 홈과; 상기 홈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호스(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와이어(30)가 상기 홈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호스(40)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와이어(30)의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배치 또는 안내가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지렛대 11 : 손잡이
12 : 헤드부 12a : 나사결합부
13 :몸체 13hb : 제1 원호형 브릿지
13ha : 제2 원호형 브릿지 14 : 지지편용 구멍
20 : 승강조절부 21 : 승강부
22 : 핸들 30 : 와이어
4p : 호스 50 : 돌기둥 압착편
51 : 와이어 삽통부 52 : 돌기
70 : 지지편 71 : 외측 지지편
71a : 제1 판체 71b : 제1 돌기부
72 : 내측 지지편 72a : 제2 판체
72b : 제2 돌기부

Claims (10)

  1. 중공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단의 개방부를 가로질러 상단에 설치되어 있고 나사산이 상하로 형성된 홀을 구비한 직육면체 형태의 나사결합부(12a)와 외주면의 상측에 부착된 손잡이(11)를 구비하고 있는 헤드부(12)와, 서로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편용 구멍(14)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헤드부(12)에 일체로 연결된 반원통형의 몸체(13)를 포함하는 지렛대(10);와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있는 와이어 안내부;와
    상기 나사결합부(12a)의 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설정 간격만큼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와이어 삽통공(23h)을 형성한 와이어 삽통부(23)를 구비하고 있는 승강부(21)와, 상기 승강부(21)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핸들(22)을 포함하는 승강조절부(20);와
    상기 나사결합으로 인해 상기 핸들(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21)의 승강에 맞추어 함께 승강하는 와이어(30);와
    상기 몸체(13)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내주면을 가지는 휘어진 판형의 제1 판체(71a)와 상기 제1 판체(71a)의 내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 지지편용 구멍(14)에 삽입될 수 있는 제1 돌기부(71b)를 가지는 외측 지지편(71)과, 상기 몸체(13)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외주면을 가지는 휘어진 판형의 제2 판체(72a)와 상기 제2 판체(72a)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편용 구멍(14)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돌기부(72b)를 가지는 내측 지지편(72)으로 구성되는 지지편(7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13)의 두께와 지지편(70)의 두께의 합한 두께는 코아드릴에 의해 암반에 원통형 요입 틈새의 형성으로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의 내부에서 돌기둥을 형성하면서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의 폭보다 더 짧되 손잡이(11)에 외력을 받아 돌기둥 쪽으로 기울어진 지렛대(10)가 돌기둥에 외력을 인가하게 되었을 때 돌기둥에 내측 지지편(72)이 힘을 인가하고 상기 원통형 요입 틈새에 접하는 암반에 외측 지지편(71)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30)는,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삽통부(23)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 부분이 상기 와이어 안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와이어 안내부에서 나와 상기 와이어 안내부가 구비된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설정 크기의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내측 공간을 지나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의 모두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30)는,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삽통부(23)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 부분이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구비된 와이어 안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안내부로부터 나와,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안내부와 수직 하방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와이어 안내부와 수직 하방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와이어 안내부를 지나 상기 승강부(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삽통부(23)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의 모두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삽통부(23)와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의 모두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와이어 안내부들 중 하나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30)의 양단부를 결박 또는 결박해제하도록 구성된 와이어 결박구(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결박구(80)는, 경첩(83))에 의해 일측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회전할 수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1, 2 결박판(81, 82);과
    상기 결박판(81, 82) 중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제2 결박판(82)과 마주보는 제1 결박판(81)의 면 상에서 직립하여 와이어(30)가 권취되는 몸체(81a2)와 상기 몸체(81a2)의 자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81a1)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핀(81a);와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제1 결박판(81)의 상기 면과 마주보는 제2 결박판(82)의 면 상에서 하나 이상의 상기 핀(81a)을 수용할 수 있도록 요입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핀 수용홈(82a);과
    상기 제1 결박판(81)의 상기 면에 인접하는 측면들 중 상기 경첩(83))이 설치되는 측면과 반대쪽에 있는 측면에 설치되고 갈고리 모양의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81b);와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1 결합부(81b)와 결합되도록 제1 결박판(81)의 상기 면과 마주보는 제2 결박판(82)의 상기 면에 인접하는 측면들 중 상기 경첩(83))이 설치되는 측면과 반대쪽에 있는 측면에 설치되고 갈고리 모양의 부분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8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5. 제4항에 있어서,
    갈고리 모양의 상기 제1 결합부(81b)와 제2 결합부(82b)는 서로 결합되는 갈고리 모양의 부분에서 상호 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휘거나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1 결박판(81)과 제2 결박판(82)은, 각각, 제2 결박판(82)이 제1 결박판(81)에 접근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제1 결박판(81)과 제2 결박판(82)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에 형성되고 서로 간격을 둔 복수의 신축성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3)와 외측 지지편(71)과 내측 지지편(72)은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30)가 승강조절부(20)에 의해 상승하면서 텐션을 받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와 상기 와이어(30)의 타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어(30)의 부분에 끼워져 코아드릴로 암석에 원통형 요입 틈새를 형성하면서 형성된 돌기둥을 승강조절부(20)에 의해 와이어(30)가 상승하면서 텐션을 받아 압착할 수 있는 돌기둥 압착편(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은,
    상기 와이어(30)가 삽통되도록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의 폭방향을 따라 양측이 절개되어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의 내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와이어 삽통부(51);와
    상기 돌기둥 압착편(50)의 외면 중 상기 와이어 삽통부(51)가 위치하는 곳들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의 상단부와 상기 제1 원호형 브릿지(13hb)의 사이에서 설정 크기의 내측 공간을 형성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복수의 제2 원호형 브릿지(13h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몸체(13)의 좌측 단부면 및 우측 단부면 중 하나에 고정되게 부착된 호스(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KR1020220057554A 2022-05-11 2022-05-11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KR102488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554A KR102488087B1 (ko) 2022-05-11 2022-05-11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554A KR102488087B1 (ko) 2022-05-11 2022-05-11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087B1 true KR102488087B1 (ko) 2023-01-13

Family

ID=8490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554A KR102488087B1 (ko) 2022-05-11 2022-05-11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08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8710A (ja) * 1985-12-23 1987-07-02 Fujita Corp 岩盤の原位置一軸圧縮試験方法
JPH08501363A (ja) * 1993-06-16 1996-02-13 ダウン ホール テクノロジー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地中ドリル用の掘削手段を作業位置で交換する装置
KR200355515Y1 (ko) * 2004-03-26 2004-07-07 박주찬 시추기의 다중관형 시료채취장치
KR20110048416A (ko) 2009-11-02 2011-05-11 서풍근 암반천공용 코어드릴
JP2013194427A (ja) * 2012-03-19 2013-09-30 Central Research Institute Of Electric Power Industry コア回転防止機構を備えるボーリングコア採取装置
WO2017146170A1 (ja) * 2016-02-26 2017-08-31 国立研究開発法人海洋研究開発機構 地質サンプル採取方法および採取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8710A (ja) * 1985-12-23 1987-07-02 Fujita Corp 岩盤の原位置一軸圧縮試験方法
JPH08501363A (ja) * 1993-06-16 1996-02-13 ダウン ホール テクノロジー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地中ドリル用の掘削手段を作業位置で交換する装置
JPH08270358A (ja) * 1993-06-16 1996-10-15 Down Hole Technologies Pty Ltd 地中ドリル用掘削手段のセグメント
JPH08270356A (ja) * 1993-06-16 1996-10-15 Down Hole Technologies Pty Ltd 地中ドリルに掘削手段を着脱自在に保持するインサート
KR200355515Y1 (ko) * 2004-03-26 2004-07-07 박주찬 시추기의 다중관형 시료채취장치
KR20110048416A (ko) 2009-11-02 2011-05-11 서풍근 암반천공용 코어드릴
JP2013194427A (ja) * 2012-03-19 2013-09-30 Central Research Institute Of Electric Power Industry コア回転防止機構を備えるボーリングコア採取装置
WO2017146170A1 (ja) * 2016-02-26 2017-08-31 国立研究開発法人海洋研究開発機構 地質サンプル採取方法および採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1056B1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除荷用カプラー
KR102488087B1 (ko)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
KR101048899B1 (ko) 트위스트 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축물 외장 조적벽돌 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44489B1 (ko) 회전을 이용한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100612160B1 (ko) 사면보강용 정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양단 정착형 네일링 공법
KR20150084258A (ko) ?지장치를 이용한 파일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두부정착방법
KR102441446B1 (ko) 돌기둥 절단 및 인발기를 이용한 돌기둥 절단 및 인발 공법
KR20140142539A (ko) 에이치빔 변형방지용 스티프너
KR101300499B1 (ko) 콘크리트 말뚝 연장 체결장치
EP1971723A1 (en) Point structure of a file of reinforced concrete
KR101445719B1 (ko) 강연선의 재사용이 가능한 설치심도 확인기능을 갖는 제거식 앵커체 및 이의 시공방법
EP1706653A1 (de) Verankerungsanordnungen und verwendung einer ankerstange
KR102363873B1 (ko) 압입 방식 겸용 항타기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삽입 방법
KR20100018714A (ko) 인장재 제거형 앵커
KR102230607B1 (ko) 내진형 석재 고정장치
US5318387A (en) Yieldable load support
KR102018804B1 (ko) 기초 보강 공법 및 구조
KR200492468Y1 (ko) 고정력이 향상된 고정 장치
JP2851367B2 (ja) 除去アンカー
KR101859950B1 (ko) 내진성을 가지는 건물용 보강구조물
KR102214174B1 (ko) 강연선 재-인장용 앵커헤드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강연선의 재-인장방법
KR102415031B1 (ko) 오거 가이드장치
JP4053555B2 (ja) リーダ
JPH07102560A (ja) 差し筋アンカー
KR20150120074A (ko) 말뚝압입장치 및 압입말뚝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