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203B1 -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203B1
KR102487203B1 KR1020180095557A KR20180095557A KR102487203B1 KR 102487203 B1 KR102487203 B1 KR 102487203B1 KR 1020180095557 A KR1020180095557 A KR 1020180095557A KR 20180095557 A KR20180095557 A KR 20180095557A KR 102487203 B1 KR102487203 B1 KR 102487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unit
pocket
clamping modul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174A (ko
Inventor
신재욱
신재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2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9/00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1/00Hand tools for applying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은 니플에 호스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모듈로서, 교차로 배치되어 축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회전부,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를 클램핑하는 제1 및 제2 클램퍼, 상기 제1 회전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 상기 제2 회전부의 후단측 일정구간이 삽입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포켓과, 상기 포켓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작동에 따라 클램핑 횟수가 카운터되는 카운터 스위치로 구성되는 카운팅부, 및 상기 카운팅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CLAMPING MODULE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니플에 호스의 연결을 위한 클램프의 체결 시, 체결 작업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에는 흡기를 이송하거나 블로바이 가스를 이송하는 등으로 인한 각종 호스류가 연결된다.
상기 호스류를 니플 등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밴드 또는 클램프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장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클램프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클램프는 탄성력이 좋은 강판을 프레스 가공한 것으로, 니플에 접속하고자 하는 호스의 외주를 압착하는 탄성링과, 서로 크로스로 교차시킨 고정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클램프는 상기 고정단을 클램핑 모듈을 사용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탄성링의 직경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의 탄성링을 상기 니플과 중첩되는 호스의 외주에 끼운 후, 고정단을 놓게되면, 강한 탄성력에 의해 탄성링이 원래대로 복귀, 즉, 상기 탄성링의 직경이 오그라들게 되면서 호스의 외주를 강하게 눌러 니플에 견고하게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 모듈은 상기 고정단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일반적인 플라이어 등으로 이루어진 공구를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클램핑 모듈은 체결 작업 시, 별도의 장치가 없기 때문에, 작업 누락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니플과 호스의 연결에 적용하는 클램프의 체결 시, 상기 클램프의 체결 누락을 방지하는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엔진의 니플과 호스의 연결에 적용하는 클램프의 체결 시, 상기 엔진의 사양, 즉, 니플의 개수를 기설정하고, 작업 후, 카운팅된 클램프 횟수와 비교함으로써, 개수가 다른 니플을 가지는 엔진의 사양과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어 상기 클램프의 체결 누락을 방지하면서도 공용화가 가능한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니플에 호스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모듈로서, 교차로 배치되어 축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회전부,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를 클램핑하는 제1 및 제2 클램퍼, 상기 제1 회전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 상기 제2 회전부의 후단측 일정구간이 삽입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포켓과, 상기 포켓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작동에 따라 클램핑 횟수가 카운터되는 카운터 스위치로 구성되는 카운팅부, 및 상기 카운팅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클램핑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퍼는 각 마주보는 내측면에 상기 클램프를 감지하기 위한 접촉센서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퍼는 선단이 일방향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는 일정구간이 상기 포켓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일측에서 힌지핀을 통해 상기 포켓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일정구간 중, 후단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일측에 단차면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면과 인접한 단면상에 동작핀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팅부는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통해 상기 제2 회전부가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상기 동작핀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동작핀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되는 포켓, 및 상기 동작핀에 대응하는 상기 포켓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 작동에 따라 상기 동작핀이 접촉되면서 클램핑 횟수가 카운팅되는 카운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팅부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2 회전부의 폭이 좁아지는 후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회전부의 원복 작동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리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켓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측면이 개방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폐쇄하면서 상기 몸체부에 볼트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니플에 호스를 고정하는 플램프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시스템으로서, 청구항 1의 클램핑 모듈, 상기 클램핑 모듈의 카운팅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운팅부로부터 카운팅된 클램핑 횟수를 외부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클램핑 횟수를 수신받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와 이더넷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수신받은 상기 클램핑 횟수를 가공하여 연결된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모듈의 카운팅부는 상기 송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카운팅되는 클램핑 횟수를 상기 송신부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는 양측면에 연장 형성된 장착부를 통해 상기 클램핑 모듈의 카운팅부의 포켓의 양측면을 일정구간 감싼 상태로 상기 포켓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니플의 정보, 작업 횟수, 작업 완료유무, 작업 완료횟수, 및 이상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상정보는 상기 작업 횟수와 작업 완료횟수를 비교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니플과 호스의 연결에 적용하는 클램프의 체결 시, 상기 니플의 정보를 기설정하고, 작업 후, 카운팅된 클램프 횟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클램프의 체결 누락을 방지하면서도 공용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니플의 개수가 다른 자동차의 엔진의 사양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의 일측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시스템에 적용되는 표시부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의 일측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니플에 호스를 끼울 경우, 상기 니플과 호스 사이에 클램프를 체결하기 위한 일종의 체결 공구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은 자동차의 엔진에 적용되는 니플에 엔진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를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은 차량 엔진의 니플에 끼워지는 호스의 연결을 위해 적용하는 클램프 뿐만 아니라, 상기 클램프와 동일한 기술을 요구하는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텡은 생산공장의 조립공정 중, 각종 니플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호스를 연결할 경우, 적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클램핑 모듈(1)은 제1 회전부(10), 제2 회전부(11), 제1 클램퍼(20), 제2 클램퍼(21), 제1 손잡이부(30), 제2 손잡이부(31), 및 카운팅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부(10)와 제2 회전부(11)는 교차로 배치되어 축핀(1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2 회전부(11)는 후단부 일측에서 단차면(15)을 형성하여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11)에는 상기 단차면(15)과 동일선상의 단면상에 동작핀(17)이 장착된다.
상기 동작핀(17)은 상기 제2 회전부(11)를 관통하여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1 클램퍼(20)는 제1 회전부(10)와 연결되고, 제2 클램퍼(21)는 제2 회전부(11)와 연결된다.
상기 제1 클램퍼(20) 및 제2 클램퍼(21)는 각각 상기 제1 회전부(10)와 제2 회전부(11)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클램퍼(20) 및 제2 클램퍼(21)는 각각 상기 제1 회전부(10)와 제2 회전부(1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클램퍼(20)와 제2 클램퍼(21)는 각 선단이 일방향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다.
이는 상기 클램프의 클램핑 시,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1 클램퍼(20)와 제2 클램퍼(21)에는 각 마주보는 내측면, 즉, 상기 클램프와 접촉되는 각 내측면에 상기 클램프를 감지하는 접촉센서(23)가 구성된다.
상기 접촉센서(23)는 상기 클램프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었을 때, 상기 클램프를 감지한다.
상기 접촉센서(23)는 패드 형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부(10)의 후단부에는 제1 손잡이부(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손잡이부(30)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손잡이부(30)는 일자로 형성될 수도 있고, 굴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손잡이부(30)는 상기 제1 회전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손잡이부(30)와 제1 회전부(10)는 힌지 등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11)의 후단측에는 카운팅부(40)가 구성된다.
상기 카운팅부(40)는 상기 제2 회전부(11)의 후단측 일정구간이 삽입될 수 있는 포켓(4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포켓(43)은 내부에 수용공간(45)을 형성하면서 일측면이 개방된 몸체부(43a)와, 상기 몸체부(43a)의 개방된 일측면을 폐쇄하는 커버(43b)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43b)는 상기 몸체부(43a)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켓(43)은 상기 몸체부(43a)와 커버(43b)가 각각 형성되어 볼트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부(43a)와 커버(43b)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45)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카운팅부(40)는 상기 포켓(43)을 통해 상기 제2 회전부(11)와 힌지핀(41)을 통해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카운팅부(40)는 상기 제2 회전부(11)의 폭이 좁아지는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수용공간(45)에 복수개의 리턴부(47)를 포함한다.
상기 리턴부(47)는 상기 제2 회전부(11)의 원복 작동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리턴부(47)는 볼 플런저일 수 있으며, 내부에 스프링(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포켓(43)에는 상기 제2 회전부(11)가 삽입되어 상기 동작핀(17)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동작핀(17)에 대응하는 부분에 홀(H)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카운팅부(40)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포켓(43)의 일측에 장착되는 카운터 스위치(49)를 포함한다.
상기 카운터 스위치(49)는 상기 포켓(43)의 외측에서 상기 동작핀(17)에 대응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카운터 스위치(49)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부(11)에 장착된 동작핀(17)이 접촉부(49a)에 접촉되면, 내장된 내장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켜 카운팅된다.
다시 말해, 상기 클램프의 클램핑 시, 상기 제2 회전부(11)가 회전함에 따라 동작핀(17)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동작핀(17)이 직접적으로 접촉부(49a)에 접촉되면서 카운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손잡이부(31)는 상기 카운팅부(40)의 후단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 손잡이부(31)와 포켓(43)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손잡이부(31)와 포켓(43)이 함께 회전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의 작동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클램핑 모듈(1)은 클램핑 시, 상기 제1 손잡이부(30)와 제2 손잡이부(3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오므라들면, 상기 제1 클램퍼(20)와 제2 클램퍼(21)의 간격도 좁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클램프를 클램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클램퍼(20)와 제2 클램퍼(21)에 부착된 접촉센서(23)에 의해 상기 클램프를 감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 손잡이부가(31) 회전함에 따라 상기 포켓(43)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 회전부(11)는 상기 수용공간(45) 내에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 한계지점까지 도달했을 때,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 회전부(1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동작핀(17)이 카운터 스위치(49) 쪽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접촉부(49a)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카운터 스위치(49)에 의해 클램핑 횟수가 카운팅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시스템에 적용되는 표시부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의 클램핑 모듈(1)을 포함하면서 송신부(50), 수신부(60), 및 제어부(70)를 더 포함한다.
이에, 상기 도1 내지 도 4에 기재된 클램핑 모듈(1)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부(50)는 상기 클램핑 모듈(1)의 카운팅부(40)와 연결되어 장착된다.
상기 송신부(50)는 상기 카운팅부(40)에서 감지된 클램핑 횟수를 외부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송신부(50)는 양측면에 연장 형성된 고정단(51)를 통하여 상기 카운팅부(40)의 포켓(43)의 양측면을 일정구간 감싼 상태로 상기 포켓(43)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60)는 상기 송신부(5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수신부(60)는 상기 송신부(50)로부터 클램핑 횟수를 수신받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수신부(60)와 이더넷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수신받은 상기 클램핑 횟수를 가공하여 연결된 표시부(80)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0)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일 수 있으며, 널리 공지된 기술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어부(70)는,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80)에 니플의 정보, 작업 횟수, 작업 완료유무, 작업 완료횟수, 및 이상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니플의 정보는 체결 시, 적용되는 니플의 개수가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른 니플의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엔진에 있어서, 각종 엔진에 적용되는 니플의 개수가 다르기 때문에, 엔진별로 니플의 정보를 다르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횟수는 입력된 니플의 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다.
상기 작업 완료유무는 설정된 니플의 정보에 따라 클램핑 작업이 완료되는 유무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완료횟수는 실제로 작업된 클램핑 횟수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이상정보는 기설정된 상기 작업 횟수와 작업 완료횟수를 비교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표시하는 것이다.
즉, 상기 클램핑 모듈(1)을 통해 완료된 클램핑 횟수를 송신부(50)로부터 수신부(60)가 수신을 받으면, 상기 수신부(60)는 제어부(70)로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70)는 표시부(80)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각종 니플에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의 체결 시, 수작업으로 인한 클램핑 작업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은 니플별 작업 횟수를 기설정값으로 설정한 후, 실제 작업 횟수와 비교함으로써, 클램프 체결 작업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은 클램핑 모듈(1)에 카운팅부(40)를 적용하여 클램핑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클램핑 횟수를 송신부(5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제어부(70)에서 표시부(80)를 통해 데이터 값을 송출하는 방식으로 클램프 체결 작업의 누락을 방지하고, 오류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클램핑 모듈 10: 제1 회전부
11: 제2 회전부 13: 축핀
15: 단차면 17: 동작핀
20: 제1 클램퍼 21: 제2 클램퍼
23: 접촉센서 30: 제1 손잡이부
31: 제2 손잡이부 40: 카운팅부
41: 힌지핀 43: 포켓
43a: 몸체부 43b: 커버
45: 수용공간 47: 리턴부
49: 카운터 스위치 49a: 접촉부
50: 송신부 51: 고정단
60: 수신부 70: 제어부
80: 표시부 100: 클램핑 시스템

Claims (11)

  1. 니플에 호스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모듈로서,
    교차로 배치되어 축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회전부;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를 클램핑하는 제1 및 제2 클램퍼;
    상기 제1 회전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
    상기 제2 회전부의 후단측 일정구간이 삽입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포켓과, 상기 포켓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작동에 따라 클램핑 횟수가 카운터되는 카운터 스위치로 구성되는 카운팅부; 및
    상기 카운팅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일정구간이 상기 포켓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일측에서 힌지핀을 통해 상기 포켓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일정구간 중 후단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일측에 단차면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면과 인접한 단면상에 동작핀이 장착되고,
    상기 카운팅부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2 회전부의 폭이 좁아지는 후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회전부의 원복 작동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리턴부를 포함하는 클램핑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퍼는
    각 마주보는 내측면에 상기 클램프를 감지하기 위한 접촉센서가 구성되는 클램핑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퍼는
    선단이 일방향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클램핑 모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부는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통해 상기 제2 회전부가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상기 동작핀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동작핀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되는 포켓; 및
    상기 동작핀에 대응하는 상기 포켓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 작동에 따라 상기 동작핀이 접촉되면서 클램핑 횟수가 카운팅되는 카운터 스위치;
    를 포함하는 클램핑 모듈.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측면이 개방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폐쇄하면서 상기 몸체부에 볼트 결합되는 커버;
    를 포함하는 클램핑 모듈.
  8. 니플에 호스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시스템으로서,
    청구항 1의 클램핑 모듈;
    상기 클램핑 모듈의 카운팅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운팅부로부터 카운팅된 클램핑 횟수를 외부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클램핑 횟수를 수신받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와 이더넷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수신받은 상기 클램핑 횟수를 가공하여 연결된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모듈의 카운팅부는 상기 송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카운팅되는 클램핑 횟수를 상기 송신부에 전송하는 클램핑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양측면에 연장 형성된 장착부를 통해 상기 클램핑 모듈의 카운팅부의 포켓의 양측면을 일정구간 감싼 상태로 상기 포켓에 장착되는 클램핑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니플의 정보, 작업 횟수, 작업 완료유무, 작업 완료횟수, 및 이상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상정보는 상기 작업 횟수와 작업 완료횟수를 비교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표시하는 클램핑 시스템.
KR1020180095557A 2018-08-16 2018-08-16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 KR102487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57A KR102487203B1 (ko) 2018-08-16 2018-08-16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57A KR102487203B1 (ko) 2018-08-16 2018-08-16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174A KR20200020174A (ko) 2020-02-26
KR102487203B1 true KR102487203B1 (ko) 2023-01-10

Family

ID=6963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557A KR102487203B1 (ko) 2018-08-16 2018-08-16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2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873A (ja) * 1999-03-23 2000-10-03 Toyota Auto Body Co Ltd プライヤ
KR100707067B1 (ko) * 2005-12-15 2007-04-13 위아 주식회사 금속부품표면부의 압흔가공을 위한 클램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873A (ja) * 1999-03-23 2000-10-03 Toyota Auto Body Co Ltd プライヤ
KR100707067B1 (ko) * 2005-12-15 2007-04-13 위아 주식회사 금속부품표면부의 압흔가공을 위한 클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174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1600B2 (en) Holding tool
US20060173648A1 (en) Wireless tire-pressure monitor
AU2006347492B2 (en) Manually actuated tongs having force monitoring
US10661614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a two-wheeler tire, in particular, a bicycle tire
EP2317480B1 (en) Compact adapter for a vehicle diagnostic tool
KR102487203B1 (ko) 클램핑 모듈 및 시스템
WO2014141190A1 (en) Multi-tool transmission and attachments for rotary tool
CN203083731U (zh) 管路测温装置
US20030143887A1 (en) Plug-in device
EP1710098A1 (en) Tool and method for fixing installation object on wheel
ATE308035T1 (de) Druckmessvorrichtung
KR101822873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유압실린더의 변위 측정장치
JP2013217684A (ja) シャフトのトルク検出装置
JP3300911B2 (ja) 油圧工具用度数計
WO2009054625A2 (en) Sensor for tire pressure and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having the same
CN210379641U (zh) 一种行车电控柜的航空插头安装结构
CN204020432U (zh) 一种可调电子盒角度的轮胎压力监控系统气门嘴
KR20220020977A (ko) 클램프와 클램프를 조이기 위한 방법
CA2987501C (en) Holding tool
KR100728838B1 (ko) 3륜 지게차의 조향각도 감지장치
KR101848281B1 (ko) 볼트 체결용 소켓
CN220912217U (zh) 油管孔选向机构
CN212861603U (zh) 电动助力转向管柱螺栓装配工装
JPH0480332B2 (ko)
EP4111087B1 (en) Lubricant dispenser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