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831B1 -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831B1
KR102486831B1 KR1020220094896A KR20220094896A KR102486831B1 KR 102486831 B1 KR102486831 B1 KR 102486831B1 KR 1020220094896 A KR1020220094896 A KR 1020220094896A KR 20220094896 A KR20220094896 A KR 20220094896A KR 102486831 B1 KR102486831 B1 KR 102486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manufacturing
lining material
ultrasonic welding
work c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자
Original Assignee
(주)디앤비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앤비플러스 filed Critical (주)디앤비플러스
Priority to KR1020220094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착용자의 활동성이 개선된 의복을 제작할 수 있는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을 개시한다.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은 작업용 외투를 제작하는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으로서, 안감재 제1 겉감재 제2 겉감재 및 제3 겉감재를 준비시키는 과정, 안감재와 제1 겉감재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작업용 외투의 등부분과 작업용 외투의 어깨부분을 제작하는 과정, 안감재와 제2 겉감재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작업용 외투의 팔부분을 제작하고 팔부분을 등부분 및 어깨부분에 봉제하는 과정, 그 내부에 습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간층을 형성하도록 안감재와 제3 겉감재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작업용 외투의 가슴부분 및 작업용 외투의 허리부분을 제작하고 가슴부분 및 허리부분을 등부분과 어깨부분 및 팔부분에 봉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Method for producing the working coat}
본 발명은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활동성이 개선된 작업용 외투를 제작할 수 있는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산업의 발전과 사회의 고도화에 따라 사람에 대한 안전과 신체에 보호에 대한 사회적 대비, 규제가 증대되고 있으며, 작업장에서의 외부활동의 극한 노출환경에서 신체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제품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부분의 산업안전제품은 착용에 따라 몸에서 나는 땀과 열에 의한 열피로도 누적의 수준이 높음에 인간공학적 편의성이 현저히 낮아 각 분야별 산업 안전 제품에 대한 개발 및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장수요 또한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야외 및 기타 일선에서 작업하는 현장 작업자나 노동자들에 대한 위험 요소가 근로 특성, 노동 현장, 현장 상황 등에 따른 다양한 위험 요소들에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열과 더운 환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열피로도 누적의 수준이 안전사고로 이어질 만큼 높은 위험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산업안전분야와 레저분야에서 사람들이 더위와 열에 대한 냉감소재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냉감소재 개발에 대한 새로운 방식에 대해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외부환경에 대한 대응 제품으로 발열 제품에 대한 개발 및 제품 카테고리는 다양하게 개발, 상용화되고 이에 대한 안전성 기준도 마련되고 있으나, 냉감성능을 발현하는 기능성 제품은 많은 시도와 제품이 있지만 효과와 성능 측면에서 미흡하며 주로 원사와 원단 등 기초단계의 제품만 상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002-0018812 A1
본 발명은 착용자의 활동성이 개선된 의복을 제작할 수 있는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온을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은 작업용 외투를 제작하는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으로서, 안감재, 제1 겉감재, 제2 겉감재, 및 제3 겉감재를 준비시키는 과정; 상기 안감재와 제1 겉감재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상기 작업용 외투의 등부분과 상기 작업용 외투의 어깨부분을 제작하는 과정; 상기 안감재와 상기 제2 겉감재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상기 작업용 외투의 팔부분을 제작하고, 상기 팔부분을 상기 등부분 및 상기 어깨부분에 봉제하는 과정; 그 내부에 습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간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안감재와 상기 제3 겉감재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상기 작업용 외투의 가슴부분 및 상기 작업용 외투의 허리부분을 제작하고, 상기 가슴부분 및 상기 허리부분을 상기 등부분과, 상기 어깨부분 및 상기 팔부분에 봉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안감재와 상기 제3 겉감재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키는 과정은, 상기 안감재의 내주면에 제1 필름을 열 융착시키는 과정; 상기 제3 겉감재의 내주면에 방수 및 투습 가능한 제2 필름을 열 융착시키는 과정;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라미테이팅 필름 사이에 복수개의 상기 공간층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층에 습기가 수용되도록 상기 안감재와 상기 제3 겉감재의 일부를 봉제하는 과정; 상기 공간층에 수용된 습기를 기화시키기 위한 진동자를 복수개의 상기 공간층에 각각 삽입하고, 상기 안감재와 상기 제3 겉감재의 일부를 봉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를 복수개의 상기 공간층에 각각 삽입하는 과정은, 상기 진동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전선과, 상기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기를 함께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가슴부분 및 상기 허리부분을 상기 등부분과, 상기 어깨부분 및 상기 팔부분에 봉제하는 과정은, 각각 항장식 번수가 140 수 내지 160 수 실을 사용하여 10 내지 14 호의 바늘로 한 땀의 길이가 1.5 mm 내지 1.8 mm 가 되도록 봉제한다.
상기 제3 겉감재를 준비시키는 과정은, 제1 원단과, 절연물질로 구성되는 제2 원단과, 접착층과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는 제3 원단을 준비하는 과정; 상기 제1 원단의 하부에 상기 제2 원단을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키고, 상기 제2 원단의 하부에 상기 제3 원단을 초음파 웰딩시키는 과정; 상기 제1 원단의 표면을 발수 코팅시켜 상기 제3 겉감재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원단은,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폴리케톤(polyketon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플루오르폴리머(fluor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원단은, 발수 코팅된 양털 및 절연 패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그 내부에 탈취제가 첨가되며, 상기 제3 원단은, 마이크로포러스(microporou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나노포러스(nanoporou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발포(expanded) PTF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가교된(cross-linked)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겉감재를 준비시키는 과정은, 제1 원단과, 절연물질로 구성되는 제2 원단과, 접착층과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는 제3 원단을 준비하는 과정; 상기 제1 원단의 하부에 상기 제2 원단을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키고, 상기 제2 원단의 하부에 상기 제3 원단을 초음파 웰딩시키는 과정; 상기 제1 원단의 하부에 상기 제2 원단을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키고, 상기 제2 원단의 하부에 상기 제3 원단을 초음파 웰딩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3 원단의 상부에 상기 제2 원단의 다운 백(down bag)을 배치시키는 과정; 상기 제2 원단의 다운 백의 상부에 상기 제1 원단을 배치시키는 과정; 상기 다운 백과 상기 제1 원단의 적어도 일부를 봉제하는 과정; 상기 다운 백과 상기 제1 원단 사이에 공기를 주입시켜 공간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공간에 상기 제2 원단의 양털을 주입시키고, 상기 다운 백과 상기 제1 원단의 나머지 일부를 봉제하는 과정; 상기 제1 원단과 상기 다운 백 사이의 봉제된 부분을 융착 및 냉각 압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원단과 상기 접착층은, 활성탄소 입자(activated carbon particles), 그래핀(graphem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CN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안감재와 상기 제2 겉감재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상기 작업용 외투의 팔부분 제작하는 과정은, 상기 제2 겉감재의 상면에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는 신축원단을 가결합시키는 과정; 상기 신축원단이 맞닿도록 상기 제2 겉감재를 접은 후, 그 사이에 상기 안감재의 끝단을 삽입하여 봉재하는 과정; 상기 신축원단을 가결합한 후, 상기 신축원단 상면에 신축원단보다 마찰력이 큰 마찰원단을 가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원단은, 적어도 세겹 이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신축원단은, 상기 제2 겉감재와의 사이에 망사형상의 내피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화열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용이하게 보존시킬 수 있다. 이에, 야외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착용자가 추위를 덜 느낄 수 있다.
또한, 작업용 외투의 적어도 일부를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착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외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작업용 외투의 가슴부분 및 허리부분의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3 겉감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작업용 외부의 팔부분의 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외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외투의 가슴부분 및 허리부분의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3 겉감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5는 외부의 팔부분의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은 작업용 외투(100)를 제작하는 제작방법으로서, 안감재(10)와 제1 겉감재(20)와 제2 겉감재(30) 및 제3 겉감재(40)를 준비시키는 과정(S110), 안감재(10)와 제1 겉감재(20)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작업용 외투(100)의 등부분(110)과 작업용 외투(100)의 어깨부분(110)을 제작하는 과정(S120), 안감재(10)와 제2 겉감재(30)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작업용 외투(100)의 팔부분(120)을 제작하고, 팔부분(120)을 등부분(110) 및 어깨부분(110)에 봉제하는 과정(S130), 그 내부에 습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간층(S)을 형성하도록 안감재(10)와 제3 겉감재(40)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작업용 외투(100)의 가슴부분(130) 및 작업용 외투(100)의 허리부분(130)을 제작하고, 가슴부분(130) 및 허리부분(130)을 등부분(110)과, 어깨부분(110) 및 팔부분(120)에 봉제하는 과정(S14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안감재(10)와 제1 겉감재(20)와 제2 겉감재(30) 및 제3 겉감재(40)를 준비시킬 수 있다(S110). 안감재(10)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겉감재(20)는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겉감재(20)는 스판덱스, 라이크라, 스트레치성 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겉감재(20)는 극세 섬유층과 친수성 단섬유층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섬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겉감재(20)는 극세 섬유층과 친수성 단섬유층이 일렉트릿 가공되며, 일방향의 10% 신장 강도와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수직방향의 10% 신장 강도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극세 섬유층은, 그 일면 또는 양면에 친수성 단섬유층이 적층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 20 질량% ∼ 80 질량%와 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 또는 연화되는 엘라스토머 수지 섬유 80 질량% ∼ 20 질량%가 혼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극세 섬유층은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한편, 친수성 단섬유층은, 코튼, 레이온, 큐프라 혹은 펄프,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단섬유를 적어도 30 질량% 포함하는 층으로 마련되고, 스펀 레이스 또는 습식 초지 웹으로 마련되거나, 장섬유를 랜덤하게 집적하여 이루어지는 멜트 블로온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겉감재(20)는 극세 섬유층과 친수성 단섬유층이 부분적 열 압착에 의해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겉감재(20)는 일방향의 10% 신장 강도가 3N/25mm 이하이고, 수직방향의 10% 신장 강도가 15N/25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어깨부분 및 등부분에서 걸리는 느낌 없이 신축성에 의해 활동성이 증가될 수 있다.
제2 겉감재(30)는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겉감재(30)는 스판덱스, 라이크라, 스트레치성 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겉감재(30)는 극세 섬유층과 친수성 단섬유층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섬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겉감재(30)는 극세 섬유층과 친수성 단섬유층이 일렉트릿 가공되며, 일방향의 10% 신장 강도와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수직방향의 10% 신장 강도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극세 섬유층은, 그 일면 또는 양면에 친수성 단섬유층이 적층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 20 질량% ∼ 80 질량%와 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 또는 연화되는 엘라스토머 수지 섬유 80 질량% ∼ 20 질량%가 혼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극세 섬유층은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한편, 친수성 단섬유층은, 코튼, 레이온, 큐프라 혹은 펄프,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단섬유를 적어도 30 질량% 포함하는 층으로 마련되고, 스펀 레이스 또는 습식 초지 웹으로 마련되거나, 장섬유를 랜덤하게 집적하여 이루어지는 멜트 블로온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 겉감재(30)는 극세 섬유층과 친수성 단섬유층이 부분적 열 압착에 의해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겉감재(30)는 일방향의 10% 신장 강도가 3N/25mm 이하이고, 수직방향의 10% 신장 강도가 15N/25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팔부분에서 걸리는 느낌 없이 신축성에 의해 활동성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제2 겉감재(30)는 팔부분의 옷소매 부분에 추가적으로 덧대어지는 신축원단(70)과 마찰원단(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겉감재(40)는 제1 원단(41)과, 절연물질로 구성되는 제2 원단(42)과, 접착층(43a)과 멤브레인(43b)으로 구성되는 제3 원단(43)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겉감재(40)는 제1 원단(41)의 하부에 제2 원단(42)을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키고, 제2 원단(42)의 하부에 제3 원단(43)을 초음파 웰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원단(41)의 표면을 발수 코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원단은,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폴리케톤(polyketon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플루오르폴리머(fluor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원단(42)은 발수 코팅된 양털 및 절연 패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그 내부에 탈취제가 첨가된 원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3 원단은, 마이크로포러스(microporou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나노포러스(nanoporou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발포(expanded) PTF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가교된(cross-linked)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원단(43)은 활성탄소 입자(activated carbon particles), 그래핀(graphem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CN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원단(4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 백(down bag)(42a)과 양털(42b)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4를 참조하면, 제3 겉감재(40)는 제1 원단(41)의 하부에 제2 원단(42)을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키고, 제2 원단(42)의 하부에 제3 원단(43)을 초음파 웰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원단(41)의 하부에 제2 원단(42)을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키고, 제2 원단(42)의 하부에 제3 원단(43)을 초음파 웰딩시키는 과정은, 제3 원단(43)의 상부에 제2 원단(42)의 다운 백(down bag)(42a)을 배치시키고, 제2 원단(42)의 다운 백(42a)의 상부에 제1 원단(41)을 배치시키고, 다운 백(42a)과 제1 원단(41)의 적어도 일부를 봉제할 수 있다.
이후, 다운 백(42a)과 제1 원단(41) 사이에 공기를 주입시켜 공간을 형성하고, 상술한 공간에 제2 원단(42)의 양털(42b)을 주입시키고, 다운 백(42a)과 제1 원단(41)의 나머지 일부를 봉제할 수 있다. 이후. 제1 원단(41)과 다운 백(42a) 사이의 봉제된 부분을 융착 및 냉각 압착시킬 수 있다. 이에, 제3 겉감재(40)는 그 외부를 향하는 부분에 부분적으로 양털(42b)들이 배치될 수 있고, 후술되는 진동자(80)에 의해 발생되는 기화열이 보온될 수 있다.
한편, 작업용 외투(100)는 안감재(10)의 내면(즉, 제3 겉감재(40)와 마주보는 면)에 코팅되는 제1 필름(50) 및 제3 겉감재(40)의 내면(즉, 안감재(10)와 마주보는 면)에 코팅되는 제2 필름(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필름(50)과 제2 필름(60)은 라미테이팅 필름(Laminating Films)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름(50) 및 제2 필름(60)은 그 배합비가 폴리우레탄 수지 (Polyurethane resin) 100 중량부, 메틸에틸케톤(MEK, Methyl-ethyl-ketone) 5~15 중량부, 디메틸포름아미드(DMF, Dimethylformamide) 5~15 중량부, 톨루엔(Toluene) 15~45 중량부 및 실리카(Silica) 0.5~3.5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필름(50)과 제2 필름(60)은 4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70~120℃에서 다단 열건조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후, 안감재(10)와 제1 겉감재(20)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작업용 외투(100)의 등부분(110)과 작업용 외투(100)의 어깨부분을 제작할 수 있다(S120). 즉, 안감재(10)와 제1 겉감재(20)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맞닿게 하여 초음파 웰딩시킬 수 있다. 한편, 초음파 웰딩된 부분은 마감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감처리되는 부분(테두리 또는 가장자리)에 스티칭될 수도 있다.
이후, 안감재(10)와 제2 겉감재(30)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작업용 외투(100)의 팔부분(120)과 작업용 외투(100)의 어깨부분을 제작할 수 있다(S130). 즉, 안감재(10)와 제2 겉감재(30)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맞닿게 하여 초음파 웰딩시킬 수 있다. 한편, 초음파 웰딩된 부분은 마감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감처리되는 부분(테두리 또는 가장자리)에 스티칭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감재(10)와 제2 겉감재(30)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작업용 외투(100)의 팔부분 제작하는 과정에서, 팔부분(120)의 단부(즉, 옷소매 부분)에 신축원단(70)과 마찰원단(80)이 덧대어 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겉감재(30)의 상면에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는 신축원단을 가결합시킬 수 있다. 이후, 신축원단(70)이 맞닿도록 제2 겉감재(30)를 접은 후, 그 사이에 안감재(10)의 끝단을 삽입하여 봉재할 수 있다. 이후, 신축원단(70)을 가결합한 후, 신축원단(70) 상면에 신축원단(70)보다 마찰력이 큰 마찰원단(80)을 가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신축원단은 적어도 세겹 이상으로 마련되고, 제2 겉감재(30)와의 사이에 망사형상의 내피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겉감재(30) 사이에 신축원단(70)이 결합된 상태에서 재봉을 하면, 신축원단(70)은 제1 실부재(S1)과 제2 실부재(S2)에 의해 재봉되는 부위만이 압착되고 재봉되지 아니한 부위는 원래 두께가 유지된다. 따라서, 단면으로 보았을 때 제1 실부재(S1)과 제2 실부재(S2)은 제2 겉감재(30)의 최외곽 부위보다 내측에 위치되므로, 착용자의 피부는 제2 겉감재(30)에만 접촉된다.
이에, 작업용 외투(100)의 옷소매 부분이 작업용 외투(100)의 다른 부분보다 더 큰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이후, 그 내부에 습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간층(R)을 형성하도록 안감재(10)와 제3 겉감재(40)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작업용 외투(100)의 가슴부분(130) 및 작업용 외투(100)의 허리부분(130)을 제작하고, 가슴부분(130) 및 허리부분(130)을 등부분(110)과, 어깨부분(110) 및 팔부분(120)에 봉제할 수 있다(S140).
보다 구체적으로, 안감재(10)와 제3 겉감재(40)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키는 과정은, 안감재(10)의 내주면에 제1 필름(50)을 열 융착시킬 수 있다. 이후. 제3 겉감재(40)의 내주면에 방수 및 투습 가능한 제2 필름(60)을 열 융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필름(50)과 제2 필름(60)은 액상 접착제를 통해 안감재(10)와 제3 겉감재(40)에 열 융착될 수 있으며, 100~130℃에서 다단 열건조를 통해 열 융착될 수 있다.
한편, 제1 필름(50)과 제2 필름(60) 사이에 복수개의 공간층(R)이 형성되고, 공간층(R)에 습기가 수용되도록 안감재(10)와 제3 겉감재(40)의 일부를 봉제할 수 있다.
이후. 복수개의 공간층(R)에 수용된 습기를 기화시키기 위한 진동자(80)를 복수개의 공간층(R)에 각각 삽입하고, 안감재(10)와 제3 겉감재(40)의 일부를 봉제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자(80)는 초음파 진동자롤 마련되며, 공간층(R)에 수용된 습기(혹은 수분)을 강제적으로 수증기로 기화시켜 기화열 발생량을 제어할 수 있다. 진동자(80)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하로 이격될 수 있다. 진동자(80)에는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81)와, 배터리(81)와 진동자(8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선(82)과, 제어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날씨일 경우, 사용자가 제어기를 이용하여 진동자(80)를 작동시키고, 진동자(80)가 구동하며 공간층(R)의 습기를 기화시켜 기화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게 적절한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가슴부분(130) 및 허리부분(130)을 등부분(110)과, 어깨부분(110) 및 팔부분(120)에 봉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슴부분(130) 및 허리부분(130)과 어깨부분(110) 및 팔부분(120)에 연결되는 부분에 각각 항장식 번수가 140 수 내지 160 수 실을 사용하여 10 내지 14 호의 바늘로 한 땀의 길이가 1.5 mm 내지 1.8 mm 가 되도록 봉제할 수 있다. 이에, 가슴부분(130) 및 허리부분(130)과 어깨부분(110) 및 팔부분(120)에 연결되는 부분이 더 견고하게 봉제될 수 있다.
이처럼, 기화열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용이하게 보존시킬 수 있다. 이에, 야외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착용자가 추위를 덜 느낄 수 있다. 또한, 작업용 외투의 적어도 일부를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착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작업용 외투 110: 어깨부분, 등부분
120: 팔부분 130: 가슴부분, 허리부분
10: 안감재 20: 제1 겉감재
30: 제2 겉감재 40: 제3 겉감재
50: 제1 필름 60: 제2 필름
70: 신축원단 80: 마찰원단
90: 진동자

Claims (3)

  1. 작업용 외투를 제작하는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으로서,
    안감재, 제1 겉감재, 제2 겉감재, 및 제3 겉감재를 준비시키는 과정;
    상기 안감재와 제1 겉감재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상기 작업용 외투의 등부분과 상기 작업용 외투의 어깨부분을 제작하는 과정;
    상기 안감재와 상기 제2 겉감재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상기 작업용 외투의 팔부분을 제작하고, 상기 팔부분을 상기 등부분 및 상기 어깨부분에 봉제하는 과정;
    그 내부에 습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간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안감재와 상기 제3 겉감재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켜 상기 작업용 외투의 가슴부분 및 상기 작업용 외투의 허리부분을 제작하고, 상기 가슴부분 및 상기 허리부분을 상기 등부분과, 상기 어깨부분 및 상기 팔부분에 봉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겉감재를 준비시키는 과정은,
    제1 원단과, 절연물질로 구성되는 제2 원단과, 접착층과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는 제3 원단을 준비하는 과정;
    상기 제1 원단의 하부에 상기 제2 원단을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키고, 상기 제2 원단의 하부에 상기 제3 원단을 초음파 웰딩시키는 과정;
    상기 제1 원단의 표면을 발수 코팅시켜 상기 제3 겉감재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원단은,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폴리케톤(polyketon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플루오르폴리머(fluor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원단은, 발수 코팅된 양털 및 절연 패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그 내부에 탈취제가 첨가되며,
    상기 제3 원단은, 마이크로포러스(microporou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나노포러스(nanoporou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발포(expanded) PTF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가교된(cross-linked)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감재와 상기 제3 겉감재를 초음파 웰딩으로 접합시키는 과정은,
    상기 안감재의 내주면에 제1 필름을 열 융착시키는 과정;
    상기 제3 겉감재의 내주면에 방수 및 투습 가능한 제2 필름을 열 융착시키는 과정;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복수개의 상기 공간층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층에 습기가 수용되도록 상기 안감재와 상기 제3 겉감재의 일부를 봉제하는 과정;
    상기 공간층에 수용된 습기를 기화시키기 위한 진동자를 복수개의 상기 공간층에 각각 삽입하고, 상기 안감재와 상기 제3 겉감재의 일부를 봉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를 복수개의 상기 공간층에 각각 삽입하는 과정은,
    상기 진동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전선과, 상기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기를 함께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가슴부분 및 상기 허리부분을 상기 등부분과, 상기 어깨부분 및 상기 팔부분에 봉제하는 과정은, 각각 항장식 번수가 140 수 내지 160 수 실을 사용하여 10 내지 14 호의 바늘로 한 땀의 길이가 1.5 mm 내지 1.8 mm 가 되도록 봉제하는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

  3. 삭제
KR1020220094896A 2022-07-29 2022-07-29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 KR102486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896A KR102486831B1 (ko) 2022-07-29 2022-07-29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896A KR102486831B1 (ko) 2022-07-29 2022-07-29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831B1 true KR102486831B1 (ko) 2023-01-10

Family

ID=8489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896A KR102486831B1 (ko) 2022-07-29 2022-07-29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8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812A (ko) 2000-09-04 2002-03-09 백우진 수축주름과 직선주름이 교차 형성되게 한 주름의류 및원단의 제조방법
KR102347677B1 (ko) * 2021-08-23 2022-01-06 (주) 블랙야크 아이앤씨 기화열을 활용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킨 냉감 의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812A (ko) 2000-09-04 2002-03-09 백우진 수축주름과 직선주름이 교차 형성되게 한 주름의류 및원단의 제조방법
KR102347677B1 (ko) * 2021-08-23 2022-01-06 (주) 블랙야크 아이앤씨 기화열을 활용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킨 냉감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31816A1 (en) Waterproof/breathable technical apparel
CN1321601C (zh) 具有多孔层的三维织物
CN102639020B (zh) 隔热复合织物
US9833968B2 (en) Stitched multi-layer fabric
US20050214501A1 (en) Waterproof/breathable technical apparel
CN101977524A (zh) 复合织物
CA2845138C (en) Surgeon gown with sealed slee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442074B2 (ja) 複合ファブリック
EP2850242B1 (en) Multilayer fabric structures
CN108263052A (zh) 一种透湿保温弹性复合面料
JP5879139B2 (ja) 防寒衣服
US20190159537A1 (en) Storage compartment or pocket for electronic devices
KR102486831B1 (ko)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
CN207984181U (zh) 一种透湿保温弹性复合面料
KR102460655B1 (ko) 작업용 의복 제작방법
CN110774672A (zh) 一种含有石墨烯的面料及其应用和加工工艺
KR20160082157A (ko) 신축성이 우수한 열방호성 내열 의류
KR101670631B1 (ko) 방수 기능이 강화된 아웃도어 의류 제조 방법
JP7085052B1 (ja) エアロゲル含有生地及びエアロゲル含有生地の製造方法
JP3246911U (ja) 複合ポーラーフリース生地および同生地を含む衣類
CN218453265U (zh) 一种防水透气复合面料及服饰
CN212288984U (zh) 一种防水透湿复合面料
JP6587767B1 (ja) 防寒用衣服及び防寒用衣服の製造方法
CN213919976U (zh) 一种新型保温效果好的复合型针织布
WO2016006418A1 (ja) 目止め用バイアス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目止め用バイアステープを用いた繊維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