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609B1 - 모듈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듈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609B1
KR102486609B1 KR1020197003083A KR20197003083A KR102486609B1 KR 102486609 B1 KR102486609 B1 KR 102486609B1 KR 1020197003083 A KR1020197003083 A KR 1020197003083A KR 20197003083 A KR20197003083 A KR 20197003083A KR 102486609 B1 KR102486609 B1 KR 102486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olts
fixing
bol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9938A (ko
Inventor
만프레트 샨츠
Original Assignee
자이트프라흐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트프라흐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자이트프라흐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190039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63Connecting non-slidable parts of machine tools to each other
    • B23Q1/0072Connecting non-slidable parts of machine tools to each other using a clamping opening for receiving an insertion bolt or nipp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7Retention by laterally-acting detents, e.g. pins, screws, wedges; Retention by loose elements, e.g. balls
    • B23B31/1078Retention by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20/00Machine tool components
    • B23Q2220/002Tool turr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고정부(15)에 의해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록킹 위치에서 제3 구성 요소(3)에 각각의 모듈(1)들을 재고정할 수 있는 제어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51, 53), 및 해제 위치에서 고정 디바이스(51, 53)를 해제하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을 돕는 해제 디바이스(76, 77)를 포함하여서, 해제 디바이스(76, 77)는 적어도 해제의 시작에서, 개별 고정부(15)들을 해제하기 위하여 고정 디바이스(51, 53) 상에 압축력을 발휘하는, 기계 공구를 위한 회전 가능한 공구 디스크와 같은 제3 구성 요소(3)에 공구 홀더들과 같은 모듈(1)들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본 발명은 개별 고정부를 사용하여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록킹 위치에서 제3 구성 요소에 관련 모듈을 고정할 수 있는 제어된 고정 디바이스, 및 록킹 해제 위치로의 고정 디바이스의 재분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원하는 록킹 해제 디바이스를 가지는, 기계 공구를 위한 회전 가능한 공구 디스크와 같은 제3 구성 요소에 공구 홀더들과 같은 모듈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모듈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종래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DE 101 55 077 B4는 가공 목적을 위하여 특히 워크피스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를 개시하며, 클램핑 디바이스는 기준 평면을 한정하는 평면 클램핑 표면 및 적어도 하나의 기준 표면이 그 각각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클램핑 개구를 가지는 기준 평면 플레이트, 클램핑 표면에 적용되는 평면 및 클램핑 개구들과 결합되고, 각각 위치 결정 표면을 가지며 기준 표면들과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클램핑 볼트를 가지는 클램핑 플레이트, 및 기준 평면 플레이트의 클램핑 표면에 대해 클램핑 플래이트의 베이스를 가압하고 반경 방향 힘에 의해 기준 표면들에 대해 그 위치 결정과 함께 클램핑 볼트를 가압하기 위해 축 방향 힘을 사용하도록 클램핑 볼트에 축 방향 힘 및 중첩된 반경 방향 힘을 인가하는데 적합한 조임 디바이스를 가진다.
상기 후퇴 핸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액튜에이터에 의해 중앙으로 구동되는 래치 기어가 공지된 해결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또한, 특히 러버 버퍼 디바이스의 형태를 하는 일종의 압력 발휘 디바이스가 바람직하게 모든 클램핑 볼트에 배정되며, 이러한 것은 클램핑 개구로부터 밖으로 유도되는 축 방향 힘으로 클램핑 볼트를 예비 인장시킨다. 이러한 것은 조임 디바이스를 분리한 후에 기준 평면 플레이트로부터 클램핑 플레이트를 들어올리는 것을 도와서, 특히 간단한 핸들링이 달성된다.
상기 래치 기어는 또한, 수용 하우징의 축 방향 천공 구멍들에 수용되고 고정 방식으로 클램핑 개구 내로 더 이상 돌출하지 않는 위치로 후퇴 핸들들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는 적어도 2개의 인장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후퇴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순화된 핸들링의 맥락에서, 후퇴 핸들을 위한 분리 작업은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기준 평면 플레이트로부터 제3 구성 요소로서의 모듈로서 클램핑 플레이트를 제거하도록 다시 지지될 수 있다.
출원인에 의해 공개된 DE 10 2015 012 938로부터, 연결 위치에서 공구 디스크에 각각의 공구 홀더를 연결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개별 고정 볼트를 가지는, 기계 공구의 제3 구성 요소로서 회전 가능한 공구 디스크 상에 모듈식으로 설계된 공구 홀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디바이스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해결책에서, 개별 공구 홀더를 고정 볼트에 분리 가능하게 록킹할 수 있는 록킹 디바이스가 제공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록킹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록킹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구 디스크 상에서 공구 홀더 모듈의 정밀한 록킹은 이러한 방식으로 달성되며, 기계 공구를 사용하여 보다 정밀한 가공을 유발한다. 이러한 록킹 디바이스는 차례로 래치 기어의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록킹 볼트들을 가지며, 록킹 볼트들은 중앙 액튜에이터에 의해 제어되고, 배정 가능한 공구 홀더가 고정 볼트에 래칭되거나 또는 연결되는 록킹 위치에 도달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해결책에서, 인장 스프링은 다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록킹 볼트의 단부들 사이에 배열되고, 이러한 스프링은 고정 볼트를 분리하는 위치에서 고정 볼트의 복귀 이동을 지지한다.
공지된 래치 기어 해결책은 각각의 클램핑 또는 고정 볼트와의 결합을 위해 그 슬라이드형 록킹 볼트 상에 쐐기 형상 경사 표면들을 가지며, 이러한 것은 이러한 시스템에서 경사 각도에 의존하여 자기 록킹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개별 록킹 해제 공정을 복잡하게 하고, 작업시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고, 특히 관련 클램핑 또는 고정 디바이스를 분리할 때 신뢰성을 악화시킨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처리하는 동시에, 종래의 해결책의 이점을 유지하며, 즉 사용이 용이한 제3 구성 요소 상에서의 모듈의 양호한 끼워맞춤, 분리 가능한 장착을 보장하고 또한 신뢰성이 증가되는 효과로 종래 기술을 더욱 개선한다.
그 전체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가지는 디바이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적어도 재분리 공정의 시작에서, 본 발명은, 특히 가능하게 자기 록킹으로 인한 어떠한 끼임도 래치 기어에서 확실하게 배제될 수 있는 개별 고정부들을 분리하도록 고정 디바이스 상에 바람직하게 영구적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록킹 해제 디바이스가 가하는 것을 제공하며, 이러한 것은 신뢰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공지된 인장력 스프링 해결책에 대해, 가장 높은 인장 또는 분리력이 재분리의 시작시에 인가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인 압력 힘(mechanical pressure force) 해결책은 전체 분리 공정에 걸쳐서 고정 디바이스의 록킹 볼트들 상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압력 해제력을 인가하고 유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분리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어떠한 경우에도, 단부에서의 쐐기 형상 록킹 볼트들이 증가된 작동력의 필요성없이 어떠한 자기 록킹 효과에도 불구하고 제3 구성 요소의 고정부들로부터 명확히 분리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모듈들에서 클램핑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이러한 것은 또한 바람직한 해결책이지만, 모듈들은 또한 제3 구성 요소 상에 직접 배열될 수 있다.
특정 이점과 함께, 고정 및 록킹 해제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고정 디바이스를 작동 방향으로, 적어도 록킹 해제 디바이스를 작동의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공통의 액튜에이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구 디스크와 같은 제3 구성 요소 상에 공구 홀더들과 같은 관련 모듈의 고정 및 제거가 특히 간단하며 신속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유익한 실시예에서, 고정 디바이스는 제3 구성 요소의 고정부들과 상호 작용하는 개별 록킹 볼트를 가지는 차단 기어(blocking gear)를 가진다. 록킹 해제 디바이스는 래치들을 구비하는 래치 기어를 가지며, 래치들은 적어도 압력 힘을 발휘하기 위하여 록킹 볼트들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록킹 볼트들과의 강제 끼워맞춤 결합한다.
이러한 전달(transmission) 설계를 위하여, 록킹 볼트와 래치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도록 배열이 특히 유익하게 만들어지고, 래치들은 관련 모듈 또는 제3 구성 요소를 가로지르는 펼쳐진 공통의 평면(spanned common plane)에 위치되고, 액튜에이터는 또한 이러한 평면에 위치된 루트를 따라서 이동한다. 모든 가동성 구성 요소들이 공통의 평면에 위치되기 때문에, 양 전달은 단지 제한된 설치 공간이 이용 가능한 경우에, 공구 홀더들과 같은 콤팩트한 구성 요소에서도 어려움없이 수용될 수 있도록 특히 좁게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유익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록킹 볼트의 록킹 해제시에 록킹 해제 디바이스를 지지하는 스프링-작동 복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압력 힘의 작용시에 록킹 볼트의 록킹 결합을 제동하는 것에 추가하여, 추가의 복귀 이동이 분리 방향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록킹 해제는 특히 안전한 방식으로 행해진다.
특정 이점과 함께, 액튜에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록킹 볼트는 모듈 또는 제3 구성 요소에 있는 채널형 오목부들에서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가이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단 기어의 록킹 볼트와 래치 기어의 래치들을 위한 비교적 큰 횡방향 이동은 공간 절감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록킹 볼트와 관련 고정부 사이의 래칭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록킹 볼트가 인접한 고정부를 향하는 단부에서 고정 볼트의 형태를 하는 쐐기 표면을 가지도록 배열이 유익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쐐기 표면은 록킹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에서 배정된 환형 그루브에 정밀하게 결합된다. 그 결과, 래치는 확실한 결합(positive engagement)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액튜에이터의 설계에 관하여, 액튜에이터가 그 자유 전방 단부에서, 증가하는 침투 운동으로 록킹 볼트들의 쌍을 가압하여 고정부의 인접한 환형 그루브와 결합하도록 록킹 볼트들을 가압하는 쐐기 형상의 제1 작동부, 및 제1 작동부의 반대편 측면에서, 복귀 이동시에 침투 운동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록킹 해제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제2 작동부를 가지도록 배열이 유익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차단 기어 및 래치 기어 모두는 단일 제어 요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유익한 실시예에서, 제2 작동부를 형성하는 액튜에이터는 경사 표면을 가지며, 경사 표면은 제2 액튜에이터로부터 반대편의 액튜에이터의 쐐기 형상 측면에 형성되고, 액튜에이터의 복귀 이동시에 록킹 해제 디바이스의 래치 기어를 위한 제어 표면으로서 작용하고 래치 기어를 록킹 해제 분리 위치로 이동시킨다.
래치 기어의 설계에 관하여, 2개의 래치를 가지는 한 쌍의 래치가 제1 작동부에 의해 고정 위치로 구동될 수 있는 모든 록킹 볼트를 위해 제공되도록 배열이 유익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래치들은 록킹 볼트를 가이드하는 채널형 오목부들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는 채널들에서 이동될 수 있다.
래치들의 이러한 쌍들의 각각에서, 제1 래치는 그 복귀 이동시에 제2 작동부의 경사 표면에 의해 록킹 볼트들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추가의 상호 작용 경사 표면들을 사용하여 록킹 볼트들의 이동에 직각인 방향으로 래치들의 쌍의 관련 제2 래치를 이동시키며, 제2 래치들의 제어 표면은 록킹 볼트의 오목부들에 위치된 경사 접촉 표면들과 결합되며, 거기에서, 록킹 해제 방향으로 관련 록킹 볼트를 이동시키는 압력 힘을 발생시킨다.
특히 유익한 방식에서, 액튜에이터는 제1 및 제2 작동부를 가지는 제어 바디(control body)를 가질 수 있으며, 제어 바디는 침투 및 복귀 이동을 위한 조정 스크루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조정 스크루는 모듈 또는 제3 구성 요소의 단부면으로부터 회전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4개의 고정 볼트가 접촉 표면에 위치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촉 표면들 상의 모듈 및 제3 구성 요소가 고정 디바이스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으며, 볼트들은 중앙 영역 주위에서 쌍으로 그룹화되고, 쐐기 형상 제1 작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한 쌍의 록킹 볼트의 모든 록킹 볼트는 그 배정된 고정 볼트에 래칭되는 위치에서 하나의 추가 록킹 볼트를 각각 제어하며,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 볼트들의 추가 쌍의 고정 볼트의 고정 볼트에 각각 래칭될 수 있다. 그 결과, 단지 하나의 고정 디바이스 및 록킹 해제 디바이스는 각각 고정 볼트들의 양 쌍을 래칭 및 래칭 해제하기 위해 요구된다.
한 쌍의 록킹 볼트의 선형 방향의 이동은 래치의 제1 쌍의 선형 방향의 이동과 일치할 수 있으며, 추가의 한 쌍의 록킹 볼트의 선형 방향의 이동은 래치의 제2 쌍의 선형 방향의 이동과 일치할 수 있다. 록킹 볼트의 쌍, 추가 록킹 볼트의 쌍, 및 래치들의 제1 쌍과 래치들의 제2 쌍은 장착 평면에 직각인 대칭 평면의 어느 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대칭의 평면의 각각의 측면 상의 록킹 볼트, 추가 록킹 볼트, 제1 래치, 및 제2 래치는 서로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록킹 볼트들의 쌍 및 추가 록킹 볼트들의 쌍은 특히 고정 디바이스의 시작 위치에서 U-자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추가 록킹 볼트들은 U-자 형상 다리들을 각각 형성하고,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된 추가 록킹 볼트들의 쌍은 이러한 U-자 형상 다리들의 연결부를 구성한다. 추가 록킹 볼트들 사이의 중앙 영역은 바람직하게 중앙에, 즉 U-자 형상 볼트 구성의 개방된 중앙에 배열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실시예가 부착될 수 있는 공구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공구 홀더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공구 디스크의 하나의 주변 영역만을 점선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그 베이스 바디가 하나의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다른 모서리 영역까지 단면 평면을 따라서 절단된, 도 1의 공구 홀더의 측면도;
도 4는 디바이스의 록킹 위치에서 도시된, 도 3의 단면 선 Ⅳ-Ⅳ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비한 공구 홀더의 단면도;
도 5는 디바이스가 중간 위치에서 도시된, 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6은 디바이스가 록킹 해제 위치에서 도시된, 도 4 및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고정 디바이스 및 록킹 해제 디바이스의 기능부들만의 사시도.
첨부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은 도면 부호 1로서 그 전체가 참조되는 공구 홀더가 공구 터릿의 공구 디스크의 원주 상의 공구 스테이션의 접촉 표면에 고정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한다. 공구 홀더 대신에, 상이한 형태의 모듈이 공구 디스크와 다른 제3 구성 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도 2는 공구 디스크(3)의 주변 부분을 도시하며, 도 2에서 보이는 공구 디스크(3)의 접촉 표면(5, 7, 및 9)들 중 접촉 표면(5)만이 공구 홀더(1)의 클램핑을 위해 준비된다. 공구 홀더(1)는 직사각형 윤곽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태를 하는 베이스 바디(11)를 가지며, 베이스 바디는 그 밑면(13)에 공구 디스크(3)의 접촉 표면들 중 하나, 도시된 예에서 접촉 표면(5)들에 클램핑될 수 있는 평면의 고정 표면을 가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접촉 표면(5)들에 대해서만 도시된 도 2에서 접촉 표면들은 도 2에서 단지 접촉 표면(5)들에 대해서만 도시된, 관련 접촉 표면의 모서리 영역들에 쌍으로 장착되는 4개의 고정 볼트(15)의 형태를 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고정 볼트(15)들은 공구 디스크(3)에 배정된 단부에 수형 나사부(17)를 가지며, 그 나사부는 관련 접촉 표면의 나사 보어(19) 내로 나사 결합하도록 사용된다. 여기에서, 고정 볼트(15)의 지름이 수나사부(17)에 대해 증가하는 칼라(23) 상의 고정 볼트(15)에 기대는 환형 디스크(21)는 관련 접촉 표면(5)과 접촉한다(도 3 참조). 록킹 슬리브(29)는 관련 고정 볼트(15)에 축 방향으로 부착되며, 이러한 것은, 이러한 칼라와 스크루 헤드(25)로의 천이부에 형성된 추가 칼라(27) 사이에 사전 결정된 반경 방향 여유를 가진다. 환형 그루브(31)는 형성되는 래칭 디바이스를 위한 록킹 요소로서 록킹 슬리브(29)의 외부 원주에서 통합된다. 스크루 헤드(25)는 나사공(19)들 내로 나사 결합하기 위한 육각형 소켓(33)을 가진다.
베이스 바디는 이러한 공구 홀더(1)들의 통상의 방식으로 공구 스핀들(37)을 위한 롤러 베어링들을 가지는 스핀들 베어링을 가지며, 롤러 베어링들 중 하나는 베이스 바디(11)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하며, 공구 홀더(1)가 접촉 표면(45, 도 2)에 부착되면 접촉 표면에 위치된 천공된 수용 구멍 내로 연장된다. 회전 가능하게 구동 가능한 공구(도시되지 않음)를 위한 통상적인 방식으로 형성된 공구 홀더(47)는 베이스 바디(11) 위로 돌출하는 공구 스핀들(37)의 상부 단부에 위치된다. 공구 홀더(1)가 연결 위치에 있으면,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도 3에 도시된 스핀들(37)의 하부 단부에 형성된 평탄 커플링 웨브(48)는 공구 홀더가 작업 위치에 있을 때 공구 디스크(3)에 위치된 모터의 종동 단부의 결합부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스핀들의 단부는 예를 들어 2-평탄 쐐기 또는 스플라인 쐐기(DIN 5480, 5482)로서 설계된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바디(11)의 상부에서 시작하는 작업 영역으로 냉각 윤활유의 공급을 위해 제공되는 라인은 도면 부호 49로 지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소위 고정 해결책(static solution)에 적합하고, 즉, 가공 공구는 구동되지 않고 간단하게 공구 홀더(1)(도시되지 않음)에 견고하게 클램핑된다.
도 4 내지 도 7은 공구 홀더(1)의 베이스 바디(11)에 위치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공구 홀더는 공구 디스크(3)와 같은 관련 제3 구성 요소에 또한 설치될 수 있다. 고정 디바이스(51, 53)는 고정 볼트(15)들을 사용하여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차단 위치에서 제3 구성 요소(3) 상에 모듈을 부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록킹 볼트(51, 53)는 각각 4개의 고정 볼트(15)의 각각에 래칭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한 쌍의 제1 록킹 볼트(51)는 도 4 내지 도 6에서 고정 볼트(15)의 하부 쌍에 래칭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제2 쌍의 록킹 볼트(53)는 이러한 도면에서 고정 볼트(15)의 상부 쌍을 위해 제공된다. 록킹 볼트(51, 53)들의 각각의 쌍은 베이스 바디(11)에서의 수평 평면에서 연장되는 채널들에서 이동될 수 있는 로드들의 방식으로 동일한 부분들로서 형성되며, 도면 부호 55로 지시되는 채널은 제1 쌍의 록킹 볼트(51)를 위해 제공되며, 도면 후보 57 및 59로 지시되는 채널들은 제2 쌍의 록킹 볼트(53)를 위해 제공된다. 채널(55, 57, 59)들은 베이스 바디(11)에서, 각각 원통형 천공된 구멍(60)(도 3)의 형태를 가지는 오목부 내로 개방되며, 배정된 고정 볼트(15)는 연결 위치에서 오목부에 결합된다.
공구 스핀들(37), 튜브(43), 공구 홀더(47), 및 결합 웨브(48)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허구의 직육면체(fictitious cuboid) 내에 배열되며, 직육면체의 모든 측면 가장자리는 원통형 천공된 구멍(60)의 형태를 하는 4개의 오목부 중 하나를 통해 수평 평면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관련 고정 볼트(15)와 상호 작용하는 록킹 볼트(53)들의 기하학적 구조 및 록킹 볼트(51)의 기하학적 구조가 관련될 때까지, 록킹 볼트(51, 53)들을 가지는 차단 기어의 설계는 출원인에 의한 유예된 공보 DE 10 2015 012 938에 기술된 바와 같은 해결책에 대응한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들에 의해 형성된 록킹 볼트(51)들은 관련 고정 볼트(15)에 배정된 단부에서 특별한 형상을 가지며, 복귀 이동을 위하여 인장 스프링(61)에 의해 고정 볼트(15)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내측 단부에서 예비 응력을 받으며, 여기에서, 록킹 볼트(51)들은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 고정 볼트(15)를 향하는 단부에서, 록킹 볼트(51)들은, 외측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볼트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약 45°의 각도로 대략 연장되는 약간 곡선화된 경사 표면(67)들이 리브(68)에 합쳐지는 형상을 가지며, 리브는 관련 고정 볼트(15)의 환형 그루브(31)와의 결합에 의해 래칭 또는 클램핑을 위한 실제 결합부를 형성한다. 경사 평면(67) 반대편의 단부 영역에서, 모든 록킹 볼트(51)는 추가 경사 표면(69)을 형성하고, 추가 경사 표면은 볼트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대략 20°의 각도로 연장되며, 제2 쌍의 배정된 록킹 볼트(53)의 적합한 경사를 가지는 단부 표면(70)과 상호 작용하고, 록킹 볼트(51)들이 인장 스프링(61)의 복원력에 대해 떨어져 이동할 때 제2 쌍의 고정 볼트(15)의 방향으로 이러한 록킹 볼트(53)들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액튜에이터는 제어 바디(66)를 가지며, 제어 바디는 록킹 볼트(51)의 축에 직각인 위치 결정 축(38)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으며, 록킹 볼트(51)를 향한 전방 단부에서 쐐기 표면(64)의 형태를 하는 제1 작동부를 형성한다. 축(38)을 따르는 침투 이동시에, 쐐기 표면(64)은 관련된 고정 볼트(15)를 사용하여 록킹 결합을 위해 떨어져 록킹 볼트(51)를 구동하며, 관련 단부 표면(70)과 상호 작용하는 경사 표면(69)들은 제1 록킹 볼트(53)들의 결합 단부(72)를 배정된 고정 볼트(15)들과 록킹 결합한다. 사용자측에서 상이하게 설계된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대략 20°의 특정 각도와 다른 각도가 마찬가지로 초래될 것이다.
결합 단부(72)는 제1 록킹 볼트(51)의 리브(68)들이 배정된 고정 볼트(15)와 결합할 때의 경우에서와 같이, 고정 볼트(15)들 상의 래칭 결합이 자기 록킹이 아니도록 형상화된다. 제1 록킹 볼트(51)를 래칭 결합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그러므로 디바이스의 고정 디바이스를 록킹 해제 위치로 가져오기 위하여, 록킹 해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록킹 해제 디바이스는 압축 스프링들을 가지며, 압축 스프링들은 액튜에이터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록킹 볼트(51)들의 후방 단부와 결합되고, 록킹 볼트(51)들 상에서 액튜에이터의 방향으로 압축력을 영구적으로 발휘한다. 압축 스프링들은 바람직하게 록킹 볼트(51)들의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지고, 이러한 것은 압축 스프링들이 록킹 볼트(53)들의 단부 표면(70)들과 단부 표면(70)들에 가장 근접한 고정 볼트(15) 사이에 형성된 작은 틈을 통해 연장되고 채널(55)들에서의 록킹 볼트(51)의 임의의 위치에서 록킹 볼트(51) 상에 압축력을 발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관련 압축 스프링에 의해 인가되는 압축력은 액튜에이터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이러한 록킹 볼트(51)의 후방 단부에 가장 가까이 있는 고정 볼트(15)와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관련 록킹 볼트(51)를 가압하고, 아울러, 액튜에이터의 방향으로 그 초기 위치에 있는 이러한 록킹 볼트(51)를 가압하여서, 인장 스프링(61)은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록킹 해제 디바이스에 제공되지 않아야만 한다.
제1 록킹 볼트(51)에 압축력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래치 기어가 제공되며, 압축력은 고정 볼트(15)와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록킹 볼트(51)를 가압한다. 래치 기어는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여 전술한 록킹 해제 디바이스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록킹 볼트(51)를 가압하는 단지 하나의 압축 스프링이 충분할 수 있다. 래치 기어의 형태를 하는 록킹 해제 디바이스는 압력 힘의 우수한 영구적인 전달로 인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대안적으로, 상기 압축 스프링을 가지는 록킹 해제 디바이스의 해결책이 또한 가능하다. 압축 스프링들이 사용되면, 그 힘의 방향은 2개의 록킹 볼트(51)들 상으로의 인장 스프링(61)의 힘의 전달과 평행하다. 이에 관하여, 인장 스프링(61)은 당김 록킹 해제 디바이스로서 관련 록킹 해제 공정을 지원하며, 이러한 것은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 및/또는 기술된 래치 기어에 의해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쐐기 표면(64)에 더하여, 제어 바디(66)는 래치 기어의 제어를 위한 제2 작동부를 가지며, 제2 작동부는 쐐기 표면(64)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제어 바디(66)의 측면에 위치된 경사 표면(74)에 의해 형성되며, 쐐기 표면은 제1 작동부를 형성하고, 래치의 제1 쌍의 2개의 제1 래치(76)와 상호 작용한다. 제어 바디(66)의 침투 이동 및 그 반대의 복귀 이동을 위하여, 위치 결정 축(38)을 한정하는 베이스 바디(11)에 있는 천공된 구멍의 암형 나사부(37) 내로 나사 결합되고 베이스 바디(11)의 전방측(63)으로부터 회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조정 스크루(62)가 제공된다.
도 4는 제1 록킹 볼트(51)들이 제어 바디(66)의 쐐기 표면(64)의 침투 이동에 의해 떨어져 구동되고 각각의 록킹 볼트(15)와의 래칭 결합되는 차단 위치의 상태를 도시한다. 디바이스를 록킹 해제 위치로 전환하도록, 제어 바디(66)는 조정 스크루(62)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 과정에서, 도 5에 도시된 중간 위치에 도달하면, 고정 볼트(15)와의 록킹 볼트(51)의 래칭 결합은 초기에 인장 스프링(61)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자기 록킹 효과로 인하여 지속된다. 제어 바디(66)의 추가의 외향 위치 결정 이동시에, 제2 작동부를 형성하는 제어 바디(66)의 경사 표면(74)은 제1 래치(76)들의 대면하는 경사 표면과 접촉되고, 추가의 조정 이동시에(도 5에서 화살표 참조) 제1 래치(76)들을 분리하여 구동하고, 이러한 것들은 록킹 볼트(51)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채널(78)에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1 래치(76)들은 제2 쌍의 래치들의 제2 래치(77)와 결합된다. 제2 래치(77)들은 록킹 볼트(51)의 이동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채널(79)들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1 래치(76)들과 떨어져 이동하는 동안, 이러한 것들은 상호 작용하는 경사 표면(80)들을 사용하여 록킹 볼트(51)의 방향으로 제2 래치(77)들을 구동한다. 이러한 것들은 모든 제2 래치(77)를 위한 오목부(82)를 가지며, 각각의 제2 래치에 경사 접촉 표면(83)이 위치되고, 제2 래치(77)들은 도 5에서 위를 향한 이동시에 경사 접촉 표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고, 이에 의해 록킹 볼트(51) 상에 압축력을 발생시키며, 압축력은 이러한 것들을 서로에 대해 구동한다. 이러한 것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61)이 자기 록킹 효과를 극복한 후에, 그 가장 상승된 위치에 있는 제2 래치(77)들을 이용하여, 록킹 볼트(51)들이 최종 록킹 해제 위치로 당겨지도록, 고정 볼트(15)에서 리브(68)들의 자기 록킹의 불가피한 이탈을 유발하며, 최종 록킹 해제 위치에서, 오목부(82)의 접촉 표면(83)들은 제2 래치(77)들의 관련 제어 표면(81)으로부터 들어올려진다.
제1 쌍의 래치 볼트(51) 및 제1 쌍의 래치(76)의 선형 방향의 이동은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제2 쌍의 래치 볼트(53) 및 제2 쌍의 래치(77)의 선형 방향의 이동은 동일하다. 제1 및 제2 쌍의 래치 볼트(51, 53)들과 제1 및 제2 쌍의 래치(76, 77)들은 모두 펼쳐진 평면으로서 수평 평면에 직각인 대칭 평면의 양쪽 측면에 배열되며, 각각의 경우에, 제1 및 제2 래치 볼트(51, 53)들과 제1 및 제2 래치(76, 77)들은 대칭 평면의 각각의 측면에서 서로 대칭으로 배열된다. 제1 및 제2 쌍의 록킹 볼트(51, 53)는 U-자 형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2 쌍의 록킹 볼트(53)는 U-자 형상의 다리들을 형성하며, 제1 쌍의 록킹 볼트는 U-자 형상의 이러한 다리들의 연결부를 구성한다.
도 7은 별개의 표현으로 2쌍의 고정 볼트(15)에 배정되는, 차단기어 및 래칭 기어에 공통인 제어 바디(66) 및 스크루(62)를 가지는 액튜에이터와 함께 차단기어 및 래칭 기어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장 스프링(61)에 의해 형성되고 추가적으로 록킹 해제 공정을 지원하는 복원 디바이스는 도 7에 도시되지 않았다. 록킹 볼트(51)들의 내측 단부에서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61) 대신에, 압력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록킹 볼트(51)들의 외측 단부에 복원력을 인가한다.

Claims (14)

  1. 개별 고정부들(15)을 사용하여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록킹 위치에서 제3 구성 요소(3)에 관련 모듈(1)이 고정되게 할 수 있는 제어되는 고정 디바이스, 및 록킹 해제 위치로의 상기 고정 디바이스의 재분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원하는 록킹 해제 디바이스를 가지는, 기계 공구를 위한 회전 가능한 공구 디스크와 같은 상기 제3 구성 요소(3)에 공구 홀더들과 같은 상기 모듈들(1)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 디바이스는 적어도 재분리 공정의 시작에서, 상기 개별 고정부들(15)을 분리하도록 상기 고정 디바이스(51, 53) 상에 압축력을 발휘하고,
    상기 고정 디바이스는 상기 제3 구성 요소(3)의 고정부들(15)과 상호 작용하는 제1 록킹 볼트(51) 및 제2 록킹 볼트(53)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해제 디바이스는 적어도 상기 압축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제1 래치(76), 및 상기 제1 록킹 볼트(51)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제2 래치(7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디바이스 및 상기 록킹 해제 디바이스는 공통의 액튜에이터(62, 66)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액튜에이터는 적어도 상기 고정 디바이스를 작동 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록킹 해제 디바이스를 상기 작동 방향의 반대 편을 향하는 록킹 해제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4개의 고정 볼트들(15)이 접촉 표면들(5)에 위치되며, 상기 접촉 표면들 상에서, 개별 공구 홀더(1) 및 공구 디스크(3)는 상기 고정 디바이스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볼트들은 중앙 영역(45) 주위에서 제1 및 제2 쌍으로 그룹화되고, 쐐기 형상 제1 작동부(64)에 의해 작동되는 한 쌍의 상기 제1 록킹 볼트들의 모든 제1 록킹 볼트들(51)은, 상기 한 쌍의 제1 록킹 볼트들(51)이 이들 제1 록킹 볼트들에 배정된 상기 제1 쌍의 고정 볼트들(15)에 래칭되는 위치에서 각각 한 쌍의 상기 제2 록킹 볼트들(53)을 제어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록킹 볼트들(53)은 상기 제2 쌍의 고정 볼트들(15)에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래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록킹 볼트(51) 및 상기 제1 래치(76)는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록킹 볼트(53) 및 상기 제2 래치(76)는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록킹 볼트들과 상기 제1 및 제2 래치들은 각각의 모듈(1) 또는 상기 제3 구성 요소(3)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펼쳐진 공통의 평면에 위치되고, 상기 액튜에이터(62, 66)는 또한 이러한 평면에 놓인 경로를 따르는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 디바이스에 추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록킹 볼트들(51, 53)의 록킹 해제를 지지하는 바람직하게 스프링-작동 복원 디바이스(61)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록킹 볼트들(51, 53)의 각각은 상기 모듈(1) 또는 제3 구성 요소에서의 채널형 오목부들(55, 57, 59)에서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록킹 볼트(51) 및 상기 제2 록킹 볼트(53)의 각각은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볼트(15)에 배정된 환형 그루브(31)와 결합하는 록킹 볼트의 형태를 하는 리브(68) 및 결합 단부(72)를 인접하는 고정부를 향하는 한쪽 단부에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62, 66)는, 그 자유 전방 단부에서 쐐기 형상의 제1 작동부(64)로서, 증가하는 침투 운동으로 상기 제1 록킹 볼트들(51)의 쌍을 떨어지게 가압하여 상기 고정 볼트(15)의 인접한 환형 그루브(31)와 결합하도록 상기 록킹 볼트들을 가압하는, 상기 제1 작동부, 및 상기 제1 작동부(64)의 반대편 측면에 있는 제2 작동부(74)를 가지며, 상기 제2 작동부는 복귀 이동시에 침투 운동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상기 록킹 해제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부(74)는 경사 표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 표면은 상기 제1 작동부(64)의 반대편을 향하는 상기 액튜에이터(62, 66)의 쐐기 형상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액튜에이터의 복귀 이동시에 상기 록킹 해제 디바이스의 래치 기어를 위한 제어 표면으로서 작용하고 상기 래치 기어를 상기 록킹 해제 분리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래치들(76, 77)을 가지는 한 쌍의 래치는 상기 제1 작동부(64)에 의해 상기 고정 위치로 구동될 수 있는 모든 제1 록킹 볼트(51)를 위해 제공되며, 상기 래치들은 상기 제1 및 제2 록킹 볼트들(51, 53)을 가이드하는 채널형 오목부들(55, 57, 59)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는 채널들(78, 79)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래치들의 이러한 쌍들의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래치(76)는 그 복귀 이동시에 상기 제2 작동부(74)의 경사 표면에 의해 상기 록킹 볼트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추가의 상호 작용 경사 표면들(80)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록킹 볼트(51)의 이동에 직각인 방향으로 관련 제2 래치(77)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2 래치들(77)의 제어 표면들(81)은 상기 제1 록킹 볼트(51)의 오목부들(82)에 위치된 경사 접촉 표면들(83)과 결합되며, 거기에서, 록킹 해제 방향으로 관련 제1 록킹 볼트(51)를 이동시키는 압력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작동부(64, 74)가 부착된 상기 액튜에이터(62, 66)의 제어 바디(66)는 침투 및 복귀 이동을 위한 조정 스크루(62)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정 스크루는 상기 모듈(1) 또는 제3 구성 요소의 단부면(63)으로부터 회전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3. 삭제
  14. 삭제
KR1020197003083A 2016-08-13 2017-08-03 모듈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486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009895.3 2016-08-13
DE102016009895.3A DE102016009895A1 (de) 2016-08-13 2016-08-13 Vorrichtung zum wieder lösbaren Festlegen von Modulen
PCT/EP2017/000940 WO2018033235A2 (de) 2016-08-13 2017-08-03 Vorrichtung zum wieder lösbaren festlegen von modu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938A KR20190039938A (ko) 2019-04-16
KR102486609B1 true KR102486609B1 (ko) 2023-01-11

Family

ID=5956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083A KR102486609B1 (ko) 2016-08-13 2017-08-03 모듈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35430B2 (ko)
EP (1) EP3496894A2 (ko)
KR (1) KR102486609B1 (ko)
CN (1) CN109562497B (ko)
DE (1) DE102016009895A1 (ko)
WO (1) WO20180332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000383A1 (de) * 2019-01-19 2020-07-23 Sauter Feinmechanik Gmbh Positioniervorrichtung
DE102019000379A1 (de) * 2019-01-19 2020-07-23 Sauter Feinmechanik Gmbh Sicherungsvorrichtung
DE102019116262B4 (de) * 2019-06-14 2021-11-18 Lang Technik Gmbh Spannvorrichtung und Werkstückhaltevorrichtung mit einer Spannvorrichtung
PL3778082T3 (pl) * 2019-08-14 2022-08-22 Smw-Autoblok Spannsysteme Gmbh Urządzenie mocujące z punktem zerowym
DE102020105722A1 (de) * 2020-03-03 2021-09-09 Hvm Technology Gmbh Nullpunktspannplatte, und Werkzeugmaschine mit selbiger
CN113080943B (zh) * 2021-03-30 2022-09-13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肩关节活动度测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6780A1 (en) 2001-11-09 2004-12-23 Gunter Lang Jig, which can be precisely repositioned
DE102015012938A1 (de) 2015-10-01 2017-04-06 Sauter Feinmechanik Gmbh Festlege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3481A (en) * 1988-09-13 1990-04-03 Applied Power Inc. Clean room gripper
DE19636375A1 (de) * 1996-09-09 1998-03-12 Emil Stark Schnellverschluß für eine Palette unter Späneflug
US6412820B1 (en) * 1999-10-22 2002-07-02 General Electric Company Secured coupling assembly and method of preventing loosening
DE102005033890A1 (de) * 2005-07-20 2007-01-25 Sauter Feinmechanik Gmbh Werkzeugrevolver
DE202010002929U1 (de) * 2010-02-27 2010-06-02 Heimatec Gmbh Werkzeugmaschine mit Werkzeug
CN203627435U (zh) * 2013-12-17 2014-06-04 深圳市九洲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防松脱装置
DE102014112843B4 (de) * 2014-09-05 2019-05-09 Jochen Eggert Nullpunkt-Spannsystem
CN204248497U (zh) * 2014-10-27 2015-04-08 宁波海天精工股份有限公司 一种数控加工中心回转工作台的夹紧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6780A1 (en) 2001-11-09 2004-12-23 Gunter Lang Jig, which can be precisely repositioned
DE102015012938A1 (de) 2015-10-01 2017-04-06 Sauter Feinmechanik Gmbh Festlege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009895A1 (de) 2018-02-15
US11235430B2 (en) 2022-02-01
EP3496894A2 (de) 2019-06-19
WO2018033235A2 (de) 2018-02-22
US20190160612A1 (en) 2019-05-30
CN109562497B (zh) 2021-05-11
CN109562497A (zh) 2019-04-02
KR20190039938A (ko) 2019-04-16
WO2018033235A3 (de)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6609B1 (ko) 모듈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168530B1 (ko) 조작기용 커플링 장치
US5265343A (en) Blade collet
JP6612612B2 (ja) 工具クランプ装置
US8066456B2 (en) Clamping device
JP6399777B2 (ja) 締付け装置
JPS61241087A (ja) 交換可能な把持あごを有する把持装置
EP2653263B1 (en) Tool carrier unit of a tool magazine
JP6353796B2 (ja) 出力装置および出力システム
JP2019508269A (ja) チャック
US8424879B2 (en) Connection between two tool parts
US11945035B2 (en) Tool holder
KR101312132B1 (ko) 테이퍼형 칼라를 구비한 공구 혹은 공작물용 홀더
KR20200020675A (ko) 파지 장치
CN107848042B (zh) 卡盘装置
KR102438178B1 (ko) 피니싱 장치
US7516964B2 (en) Clamping chuck and key rod therefor
KR19980081346A (ko) 조오 브레이크를 구비한 클램핑 장치
US3312461A (en) Vise
US11541524B2 (en) Tool-holding device, work machine with the tool-holding device, as well as a method for positioning a tool on a tool-holding device
JPH0839314A (ja) 工作機械システム
KR20220018032A (ko) 공구 홀더용 클램핑 장치
KR20220113393A (ko) 공구 홀더용 클램핑 디바이스
US5489167A (en) Chuck actuator with wedge-type locking
US10155272B2 (en) Tool for machining workpie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