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610B1 - 내마모성 및 차열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마모성 및 차열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610B1
KR102485610B1 KR1020220062279A KR20220062279A KR102485610B1 KR 102485610 B1 KR102485610 B1 KR 102485610B1 KR 1020220062279 A KR1020220062279 A KR 1020220062279A KR 20220062279 A KR20220062279 A KR 20220062279A KR 102485610 B1 KR102485610 B1 KR 102485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dified
packaging material
meth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호
윤승경
Original Assignee
(주)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펜테크 filed Critical (주)펜테크
Priority to KR1020220062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51Organo-metallic compounds; Organo-silicon compounds, e.g. ben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0Oxides other than 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0Oxides other than silica
    • C04B14/303Alumin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06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및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차열소재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내마모성 및 접착 성능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마모성 및 차열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Pavement material of slip preventing with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and thermal barr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내마모성 및 차열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끄럼방지 포장은 포장의 미끄럼 저항을 높여 자동차 등의 안전한 주행을 도모하기 위한 시설로서, 노면의 미끄럼 저항이 낮아진 곳, 도로의 평면 및 종단 선형이 불량한 곳 등에 포장 면의 미끄럼 저항을 높여주어 자동차의 제동거리를 짧게 하거나 또는 학교 통학로, 횡단보도 등과 같이 사람들이 보행하는 도로의 식별력을 높여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시설을 말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 포장은 도로의 기하구조 및 교통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수준의 미끄럼 저항이 확보되지 못하는 구간에 설치하여 마찰력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즉, 도로의 사용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포장의 미끄럼 저항이 전 구간에 걸쳐서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포장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근본적으로 미끄럼 저항을 높이기 위해 미끄럼방지용 도료조성물을 이용하여 도로를 보수하며, 최근 이러한 미끄럼방지용 도료 조성물은 도로 이외에도 보행 시 미끄러지기 쉬운 장소인 건축물의 옥상, 야외주차장, 공원 등에도 도포함에 따라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미끄럼방지 포장의 경우 수지와 골재의 혼화성 문제로 인해 대형 트럭의 하중 및 충격 등에 의해 포장 면들이 쉽게 균열하거나 접착력이 약화되고, 골재의 마모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미끄럼방지 효과가 크게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에 대한 유사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4544호가 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4544호 (2006.12.0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마모성 및 차열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상기 목적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및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차열소재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53786805-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이되, 반드시 하나 이상의 알콕시기를 가지며,
L1, L2 및 A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n은 5 내지 100의 실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이며, L1, L2 및 A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렌기이고, n은 10 내지 50의 실수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는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잇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및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내지 60,000 g/mol일 수 있으며, 유리전이온도(Tg)가 50 내지 70℃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미노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콕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에폭시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및 글리콜계 아크릴계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는 우레탄계 올리고머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우레탄계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20,000 g/mol이고, 점도가 30,000 내지 40,000 cPs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알루미나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50 ㎛일 수 있으며, 모스(Mohs) 경도가 9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차열소재는 산화아연(ZnO), 이산화티탄(TiO2), 산화세륨(CeO), 산화텅스텐(WO3), 안티몬주석산화물(ATO), 인듐주석산화물(ITO), 세슘텅스텐산화물(CWO) 및 삼산화안티몬-산화아연(Sb2O3-ZnO)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a)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및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차열소재를 포함하는 포장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포장재 조성물을 바탕면 상에 도포한 후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53786805-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이되, 반드시 하나 이상의 알콕시기를 가지며,
L1, L2 및 A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n은 5 내지 100의 실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알루미나를 포장재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내마모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기간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하여 젖은 노면에서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알루미나의 표면을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하여 사용함으로써 알루미나가 보다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포장재가 고른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차열소재를 포장재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성 및 차열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및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차열소재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53786805-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이되, 반드시 하나 이상의 알콕시기를 가지며,
L1, L2 및 A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n은 5 내지 100의 실수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알루미나를 포장재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내마모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기간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하여 젖은 노면에서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알루미나의 표면을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하여 사용함으로써 알루미나가 보다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포장재가 고른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차열소재를 포장재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알루미나는 포장재 조성물에 흔히 사용되는 탄산칼슘보다 모스(Mohs) 경도가 40배 이상 강하여 도막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며, 이를 통해 우수한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알루미나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50 ㎛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5 내지 1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나는 모스 경도가 9 이상, 구체적으로는 9 내지 9.5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충분한 강도 증진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나는 베이스 수지에 대한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측면에서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53786805-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이되, 반드시 하나 이상의 알콕시기를 가지며, L1, L2 및 A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n은 5 내지 100의 실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이며, L1, L2 및 A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렌기이고, n은 10 내지 50의 실수일 수 있다.
이를 만족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알루미나를 사용할 시 베이스 수지에 대한 상용성이 우수하여 알루미나가 조성물 내 균일하게 분산 혼합되며, 이를 통해 포장재가 고른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면개질된 알루미나는 포장재 조성물 총 중량 중 5 내지 15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8 내지 13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강도 증진 효과가 우수하다. 반면, 표면개질된 알루미나가 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시 충분한 강도의 확보가 어려우며, 15 중량% 초과로 첨가될 시 추가적인 강도 향상 효과는 미미한 반면 원가만 올라갈 수 있어 좋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차열소재는 포장재에 차열성능을 부여하여 여름철 태양광 적외선 누적으로 인한 블록면의 높은 표면온도로 인한 도시공간의 열섬현상을 억제하고, 보행자들의 더위를 낮추기 위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산화아연(ZnO), 이산화티탄(TiO2), 산화세륨(CeO), 산화텅스텐(WO3), 안티몬주석산화물(ATO), 인듐주석산화물(ITO), 세슘텅스텐산화물(CWO) 및 삼산화안티몬-산화아연(Sb2O3-ZnO)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열소재의 형상은 구형, 막대형, 침형 등의 입자 형상 또는 중공(hollow)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차열소재의 평균입경은 0.01 내지 5 ㎛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0.1 내지 3 ㎛, 더욱 좋게는 0.5 내지 1.5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차열 효과가 특히 우수하다.
상기 차열소재는 베이스 수지에 대한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측면에서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은 전술한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물질은 알루미나의 표면개질 성분과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표면개질된 차열소재는 포장재 조성물 총 중량 중 1 내지 10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3 내지 6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차열 성능 증진 효과가 우수하다. 반면 차열소재가 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시 차열 성능의 부여가 어렵고, 10 중량% 초과로 첨가될 시 추가 차열 성능 향상 효과는 미미한 반면 원가만 올라갈 수 있어 좋지 않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는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는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결속시키고,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바탕면과 잘 접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및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PMMA 수지는 MMA를 중합 반응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PMMA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내지 60,000 g/mol일 수 있고, 보다 좋게는 40,000 내지 50,000 g/mo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MMA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내지 70℃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에 적합한 경도를 가지며, 바탕면에 대한 침투력이 우수하여 부착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상기 PMMA 수지는 포장재 조성물 총 중량 중 5 내지 15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7 내지 12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PMMA 수지가 MMA 및 단량체 혼합물에 잘 용해될 수 있으며, 10 내지 30분의 가사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MMA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형성 시 도막을 안정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며, PMMA 수지가 포장재 조성물에 용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포장재 조성물 총 중량 중 3 내지 12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5 내지 1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MMA 가 3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시 용해력이 낮아 작업성이 불량하며, 12 중량%를 초과할 시 인장강도 및 신장률에 영향을 주어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의 내크랙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형성 시 도막을 안정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바탕면에 대한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미노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콕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에폭시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및 글리콜계 아크릴계 단량체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르복시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 등의 에폭시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및 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프로필렌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글리콜계 아크릴계 단량체;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시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킴에 있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포장재 조성물 총 중량 중 5 내지 15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8 내지 12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아크릴계 단량체로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아크릴계 단량체 총 중량 중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0 내지 60 중량%,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0 내지 50 중량% 및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0 내지 50 중량%,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30 내지 40 중량% 및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는 우레탄계 올리고머 및 가소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우레탄계 올리고머는 도막의 신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우레탄계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20,000 g/mol이고, 점도가 30,000 내지 40,000 cPs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신율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반면, 점도가 30,000 cPs 미만일 시 도막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40,000 cPs 초과일 시 작업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올리고머는 포장재 조성물 총 중량 중 1 내지 10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2 내지 6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신율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가소제는 베이스 수지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예시로 (C1-C10)알칸디올, (C1-C10)알칸트리올 또는 (C1-C10)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화합물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포장재 조성물 총 중량 중 0.1 내지 5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0.5 내지 3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유연성 증진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는 표면개질된 실리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은 전술한 바와 동일함에 따라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알루미나의 표면개질에 사용된 표면개질제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실리카는 도막의 마찰력을 높여 미끄럼 방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4호사(16~20 mesh), 5호사(20~30 mesh) 및 6호사(30~60 mesh)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개질된 실리카는 포장재 조성물 총 중량 중 20 내지 40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25 내지 35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미끄럼 방지 성능이 뛰어나다. 반면, 표면개질된 실리카가 20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시 충분한 마찰력의 확보가 어려우며, 40 중량% 초과로 첨가될 시 바탕면에 대한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작업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는 충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충진재는 미끄럼방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도료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탄산칼슘, 아라고나이트 및 탈크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포장재 조성물 총 중량 중 10 내지 35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15 내지 25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미끄럼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반면 충진재가 10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시 다른 고가 원료의 함량이 높아져 원가가 높아질 수 있으며, 35 중량% 초과로 첨가될 시 베이스 수지나, 알루미나, 차열소재 등의 다른 성분 함량이 낮아져 충분한 접착강도, 내마모성 등을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는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제는 라디칼 중합의 연쇄 반응을 개시하고,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의 반응성 성분을 가교시키기 위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벤조일 퍼옥사이드(BPO), 디쿠밀 퍼옥사이드 등의 퍼옥사이드계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포장재 조성물 총 중량 중 0.1 내지 5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0.5 내지 3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는 목적에 따라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증점제, 분산제, 착색안료, 중합촉진제, 소포제, 레벨링제, 자외선 안정제 및 접착증진제 등을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포장재 조성물 총 중량 중 0.1 내지 5 중량%로 각각 첨가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시로, 상기 증점제는 포장재 조성물의 점도 조절을 위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예시로 벤토나이트, 카라기네이트, 에틸셀룰로스, 젤라틴, 말티톨 및 수크로스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들이 고르게 분산하여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예시로 폴리카본산계, 나프탈렌계, 멜라민계 및 리그닌계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안료는 색상을 부가하여 도로의 식별력 및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예시로 산화철, 수산화철, 산화크롬, 유산바륨, 탄산바륨, 산화티탄, 이산화티탄, 이산화망간, 이산화티타늄, 규산지르코늄, 카본블랙 및 나트륨알루미노실리케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에 따른 색상의 선택은 산화철 등의 적갈색 안료, 수산화철 등의 황색 안료, 산화크롬 등의 녹색 안료, 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 나트륨알루미노실리케이트 등의 군청색 안료 등으로서 통상적으로 이 분야에 시판되는 안료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전술한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a)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및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차열소재를 포함하는 포장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포장재 조성물을 바탕면 상에 도포한 후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장재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은 전술한 바와 동일함에 따라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조성물 및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제조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성 및 접착 성능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제조예 1]
에틸셀루솔브 1000 중량부에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폴리이소프로필렌 옥사이드(폴리옥시알킬렌기 반복단위 n=25-30) 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알루미나 입자(평균 입경 12 ㎛, 모스 경도 9) 20 중량부 및 중합금지제 200 ppm을 첨가하여 1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 및 건조하여 표면개질된 알루미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에틸셀루솔브 1000 중량부에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폴리이소프로필렌 옥사이드(폴리옥시알킬렌기 반복단위 n=25-30) 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이산화티탄(TiO2) 입자(평균직경 1 ㎛, JR-1000) 20 중량부 및 중합금지제 200 ppm을 첨가하여 1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 및 건조하여 표면개질된 차열소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에틸셀루솔브 1000 중량부에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폴리이소프로필렌 옥사이드(폴리옥시알킬렌기 반복단위 n=25-30) 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실리카 5호사 20 중량부 및 중합금지제 200 ppm을 첨가하여 1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 및 건조하여 표면개질된 실리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에틸셀루솔브 1000 중량부에 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알루미나 입자(평균 입경 12 ㎛, 모스 경도 9) 20 중량부 및 중합금지제 200 ppm을 첨가하여 1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 및 건조하여 표면개질된 알루미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에틸셀루솔브 1000 중량부에 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이산화티탄(TiO2) 입자(평균직경 1 ㎛, JR-1000) 20 중량부 및 중합금지제 200 ppm을 첨가하여 1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 및 건조하여 표면개질된 차열소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에틸셀루솔브 1000 중량부에 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실리카 5호사 20 중량부 및 중합금지제 200 ppm을 첨가하여 1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 및 건조하여 표면개질된 실리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7]
MMA 25 중량%, 아크릴계 단량체 혼합물 35 중량%(n-부틸 메타크릴레이트(BMA) 10 중량%,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13 중량%, n-부틸 아크릴레이트(n-BA) 7 중량%,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5 중량%), 가소제(에틸렌 글리콜) 2 중량%, 우레탄계 올리고머(중량평균분자량 13,000~14,000 g/mol, 점도 35,000 cPs) 5 중량%를 케틀에 투입하여 65℃까지 승온하였다. 이후 PMMA 수지(중량평균분자량 43,000~43,500 g/mol) 33 중량%를 투입하고 용해 희석하여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100 중량%)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7의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 중 도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 15 중량%를 고속분산기로 이동시키고,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9 중량%,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5 중량%,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30 중량%, 탄산칼슘 36 중량%, 착색안료(산화철) 2 중량%, 아닐린 1 중량%, 증점제(에틸셀룰로스) 0.5 중량% 및 분산제(인산에스테르) 0.5 중량%를 혼합한 후 균일하게 분산시켜 주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주제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벤조일 퍼옥사이드 1 중량%를 혼합하여 포장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7의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 중 도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 20 중량%를 고속분산기로 이동시키고,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9 중량%,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5 중량%,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30 중량% 및 탄산칼슘 31 중량%로 첨가량을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나머지 성분 실시예 1과 동일한 함량으로 첨가).
[실시예 3]
상기 제조예 7의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 중 도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 30 중량%를 고속분산기로 이동시키고,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9 중량%,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5 중량%,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30 중량% 및 탄산칼슘 21 중량%로 첨가량을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나머지 성분 실시예 1과 동일한 함량으로 첨가).
[실시예 4]
상기 제조예 7의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 중 도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 40 중량%를 고속분산기로 이동시키고,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9 중량%,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5 중량%,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30 중량% 및 탄산칼슘 11 중량%로 첨가량을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나머지 성분 실시예 1과 동일한 함량으로 첨가).
[실시예 5]
상기 제조예 7의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 중 도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 50 중량%를 고속분산기로 이동시키고,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9 중량%,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5 중량%,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30 중량% 및 탄산칼슘 1 중량%로 첨가량을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나머지 성분 실시예 1과 동일한 함량으로 첨가).
[실시예 6]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1 중량%,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5 중량%,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30 중량% 및 탄산칼슘 29 중량%로 첨가량을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나머지 성분 실시예 3과 동일한 함량으로 첨가).
[실시예 7]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5 중량%,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5 중량%,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30 중량% 및 탄산칼슘 25 중량%로 첨가량을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나머지 성분 실시예 3과 동일한 함량으로 첨가).
[실시예 8]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15 중량%,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5 중량%,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30 중량% 및 탄산칼슘 15 중량%로 첨가량을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나머지 성분 실시예 3과 동일한 함량으로 첨가).
[실시예 9]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20 중량%,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5 중량%,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30 중량% 및 탄산칼슘 10 중량%로 첨가량을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나머지 성분 실시예 3과 동일한 함량으로 첨가).
[실시예 10]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9 중량%,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0.1 중량%,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25 중량% 및 탄산칼슘 25.9 중량%로 첨가량을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나머지 성분 실시예 3과 동일한 함량으로 첨가).
[실시예 11]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9 중량%,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1 중량%,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25 중량% 및 탄산칼슘 25 중량%로 첨가량을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나머지 성분 실시예 3과 동일한 함량으로 첨가).
[실시예 12]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9 중량%,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10 중량%,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25 중량% 및 탄산칼슘 16 중량%로 첨가량을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나머지 성분 실시예 3과 동일한 함량으로 첨가).
[실시예 13]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9 중량%,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15 중량%,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25 중량% 및 탄산칼슘 11 중량%로 첨가량을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나머지 성분 실시예 3과 동일한 함량으로 첨가).
[비교예 1]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와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대신 표면 미개질된 알루미나와 표면 미개질된 차열소재 및 표면 미개질된 실리카를 사용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와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대신 제조예 4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와 제조예 5의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제조예 6의 표면개질된 실리카를 사용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비교예 3]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대신 탄산칼슘(총 30 중량%)를 사용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포장재 조성물을 KS M ISO 1513에 따라 도포 및 양생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였으며, 하기 기재된 방법에 따라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내마모성: KS M 6080 방법에 따라 내마모시험 50만회 기준 마모량(㎎)을 측정하였다.
2) 미끄럼 방지 성능: KS F2375 방법에 따라 미끄럼 방지 성능(BPN)을 측정하였으며, 초기와 내마모시험 50만회 후를 각각 측정하였다.
3) 차열 성능: 시험편을 250 W 적외선 전구를 시편 표면으로부터 24.5 ㎝ 떨어지도록 수직 배치한 후 전구 조사면을 제외한 5개면을 두께 3 ㎝의 스티로폼을 둘러싸 단열하였다. 그 후 0분과 240분 동안 적외선을 조사하고, 레이저 온도계로 시험편 각각의 온도 변화(ΔT)를 측정하였다.
4) 접착강도: KS F 2386 방법에 따라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마모율
(%)
미끄럼 방지 성능 (BPN) 차열 성능
(ΔT, ℃)
접착강도 (㎫)
초기 시험 후 콘크리트 아스팔트
실시예 1 0.24 101 95 16.9 1.9 1.3
실시예 2 0.25 101 94 16.2 2.4 1.5
실시예 3 0.27 100 92 17.5 2.7 1.7
실시예 4 0.32 87 79 17.1 2.9 1.7
실시예 5 0.44 78 52 16.8 3.0 1.8
실시예 6 0.51 87 58 18.4 2.6 1.6
실시예 7 0.32 90 71 17.2 2.6 1.6
실시예 8 0.25 85 72 16.7 2.5 1.5
실시예 9 0.24 86 73 16.5 2.5 1.5
실시예 10 0.26 89 71 34.3 2.7 1.6
실시예 11 0.27 90 72 22.7 2.8 1.7
실시예 12 0.28 87 68 15.4 2.7 1.7
실시예 13 0.30 82 61 12.4 2.6 1.6
비교예 1 0.35 85 65 23.6 1.7 1.1
비교예 2 0.31 89 68 21.9 2.3 1.5
비교예 3 0.57 82 55 17.8 2.1 1.2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 20 내지 40 중량%,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5 내지 15 중량%,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1 내지 10 중량%, 표면개질된 실리카 20 내지 40 중량% 및 탄산칼슘 10 내지 35 중량%로 첨가한 실시예 2~4, 7, 8, 11 및 12의 경우, 미끄럼 방지 성능, 마모율, 차열 성능 및 접착 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였다.
반면,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의 함량이 너무 적은 실시예 1의 경우 접착성능이 좋지 않았으며, 반복된 내마모성 실험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반대로,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가 너무 과량인 실시예 5의 경우 미끄럼방지 성능 및 내마모성이 다소 좋지 않았다. 또한, 표면개질된 알루미나가 너무 적은 실시예 6의 경우 내마모성이 떨어졌으며, 실시예 9의 경우 고가의 알루미나와 다소 과량 들어갔음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8과 성능은 유사한 반면 원가는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표면개질된 차열소재의 함량이 너무 적은 실시예 10의 경우 차열 성능이 좋지 않았으며, 반대로 차열소재의 함량이 너무 많은 실시예 13의 경우 상대적으로 탄산칼슘의 함량이 줄어들어 미끄럼방지 성능이 다소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표면개질되지 않은 알루미나와 실리카를 첨가한 비교예 1의 경우 물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며,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 대신 다른 종류의 실란 화합물을 표면개질제로 사용하여 제조된 제조예 3의 표면개질된 알루미나와 제조예 4의 표면개질된 실리카를 첨가한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 3 대비 물성이 다소 떨어졌다. 또한, 알루미나 대신 탄산칼슘만을 첨가한 비교예 3의 경우, 내마모시험 후 미끄럼방지 성능이 크게 떨어졌으며, 접착강도 역시 좋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포장재 조성물 총 중량 중,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5 내지 15 중량%, 및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 5 내지 15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3 내지 12 중량%, 및 아크릴계 단량체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 우레탄계 올리고머 1 내지 2 중량%; 가소제 0.4 내지 0.8 중량%; 표면개질된 실리카 20 내지 40 중량%; 및 충진재 10 내지 35 중량%;를 더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화학식 1]
    Figure 112022096893418-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이되, 반드시 하나 이상의 알콕시기를 가지며,
    L1, L2 및 A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n은 5 내지 100의 실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이며, L1, L2 및 A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렌기이고, n은 10 내지 50의 실수인, 미끄럼방지 포장재.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내지 60,000 g/mol인, 미끄럼방지 포장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내지 70℃인, 미끄럼방지 포장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미노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콕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에폭시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및 글리콜계 아크릴계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계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20,000 g/mol이고, 점도가 30,000 내지 40,000 cPs인, 미끄럼방지 포장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50 ㎛인, 미끄럼방지 포장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는 모스(Mohs) 경도가 9 이상인, 미끄럼방지 포장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소재는 산화아연(ZnO), 이산화티탄(TiO2), 산화세륨(CeO), 산화텅스텐(WO3), 안티몬주석산화물(ATO), 인듐주석산화물(ITO), 세슘텅스텐산화물(CWO) 및 삼산화안티몬-산화아연(Sb2O3-ZnO)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미끄럼방지 포장재.
  13. a) 포장재 조성물 총 중량 중,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알루미나 5 내지 15 중량%, 및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차열소재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 5 내지 15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3 내지 12 중량%, 및 아크릴계 단량체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베이스 수지; 우레탄계 올리고머 1 내지 2 중량%; 가소제 0.4 내지 0.8 중량%; 표면개질된 실리카 20 내지 40 중량%; 및 충진재 10 내지 35 중량%;를 더 포함하는 포장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포장재 조성물을 바탕면 상에 도포한 후 양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22096893418-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이되, 반드시 하나 이상의 알콕시기를 가지며,
    L1, L2 및 A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n은 5 내지 100의 실수이다.)
KR1020220062279A 2022-05-20 2022-05-20 내마모성 및 차열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5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279A KR102485610B1 (ko) 2022-05-20 2022-05-20 내마모성 및 차열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279A KR102485610B1 (ko) 2022-05-20 2022-05-20 내마모성 및 차열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610B1 true KR102485610B1 (ko) 2023-01-09

Family

ID=8489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279A KR102485610B1 (ko) 2022-05-20 2022-05-20 내마모성 및 차열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6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4544A (ko) 2005-05-31 2006-12-05 김미순 맥반석을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반강성 포장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2016070025A (ja) * 2014-10-01 2016-05-09 Agc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遮熱性舗装体
KR20160096628A (ko) * 2013-12-11 2016-08-16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인크. 개질된 금속 산화물의 나노 분산액을 갖는 안정한 프라이머 제제 및 코팅
KR101946377B1 (ko) * 2018-08-21 2019-02-11 주식회사 현대하이텍 미끄럼방지용 차열성 바닥포장재
KR20200113940A (ko) *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씨 도로상의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포장체의 표면에 도포하는 차열성 mma 도막형 바닥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4544A (ko) 2005-05-31 2006-12-05 김미순 맥반석을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반강성 포장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60096628A (ko) * 2013-12-11 2016-08-16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인크. 개질된 금속 산화물의 나노 분산액을 갖는 안정한 프라이머 제제 및 코팅
JP2016070025A (ja) * 2014-10-01 2016-05-09 Agc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遮熱性舗装体
KR101946377B1 (ko) * 2018-08-21 2019-02-11 주식회사 현대하이텍 미끄럼방지용 차열성 바닥포장재
KR20200113940A (ko) *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씨 도로상의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포장체의 표면에 도포하는 차열성 mma 도막형 바닥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429B1 (ko) 친환경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 시공방법
KR101311704B1 (ko) 시인성이 우수한 상온경화형 차선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046627B1 (ko) 장기 차열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한 이액형 상온경화형 도로 표지용 도료 조성물
KR101734086B1 (ko) 기능성 및 시인성이 우수한 상온 급속 경화형 차선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0802343B1 (ko) 건축물 내외장재 투명마감재용 조성물
KR102159619B1 (ko) 젖은 노면에서 재귀반사성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노면 표지
KR101632621B1 (ko)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포장재 조성물,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포장재, 이의 제조방법 및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시공방법
KR102396355B1 (ko) 유연성 및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끄럼방지 포장재
KR102094647B1 (ko) 상온포장 가능한 이액형 미끄럼방지 차열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6377B1 (ko) 미끄럼방지용 차열성 바닥포장재
KR102078141B1 (ko) 점도가 제어된 논슬립 특성을 갖는 도로 도포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45049B1 (ko) Pva 섬유를 혼입한 mma계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막 및 시공방법
KR101037033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및 과속방지턱 제조용 도로노면 표시 조성물
KR102538500B1 (ko) 고마찰 미끄럼방지 노면처리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시공공법
KR102196705B1 (ko) 유리알 부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친환경 도로차선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052162B1 (ko) 노면 포장용 차열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열성 도료 시공 방법
KR101129457B1 (ko) 강도, 신율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방법
KR102143785B1 (ko) 우천시 시인성이 향상된 열 융착식 노면 표지용 도료조성물
KR101522195B1 (ko) 미끄럼 방지용 포장재 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형성된 미끄럼 방지용 포장재
KR102351674B1 (ko) 차열 특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44143B1 (ko) 내크랙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KR20230016090A (ko) 내구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5610B1 (ko) 내마모성 및 차열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10574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며 내크랙성 및 휘도가 우수한 도로노면 표시 조성물
KR101542577B1 (ko) 친환경 미끄럼방지 포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