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559B1 -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559B1
KR102485559B1 KR1020200100317A KR20200100317A KR102485559B1 KR 102485559 B1 KR102485559 B1 KR 102485559B1 KR 1020200100317 A KR1020200100317 A KR 1020200100317A KR 20200100317 A KR20200100317 A KR 20200100317A KR 102485559 B1 KR102485559 B1 KR 10248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light transmittance
blocker
sensor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9966A (ko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성 filed Critical 김대성
Priority to KR1020200100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559B1/ko
Priority to US18/019,242 priority patent/US20230284592A1/en
Priority to PCT/KR2021/009493 priority patent/WO2022035083A1/ko
Publication of KR2022001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BHARNESS; DEVICES USED IN CONNECTION THEREWITH; WHIPS OR THE LIKE
    • B68B1/00Devices in connection with harness, for hitching, reining, training, breaking or quietening horses or other traction animals
    • B68B1/10Blin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동물의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동물 제어 장치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및 동물의 시야를 가리도록 배치되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광 투과율이 제어되는 시야 차단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ANIMAL CONTROL DEVICE AND ANIMAL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물의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센서를 이용하여 동물, 예컨대 승마용 말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말이 흥분하는 돌발 상황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그 상황을 감지하고, 말을 제어하는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말(horse)은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가축의 하나이다. 아주 오래 전에는 인간의 식량을 위한 사냥의 대상에 불과하였으나, 온순한 성향을 가져 인간이 길들이기 용이하면서도 힘과 지구력이 좋아 승용(乘用)·만용(輓用)·태용(用) 등으로 이용하였고, 최근에는 주로 승마 등의 레저 스포츠용으로 이용되는 가축이다.
말은 반복 학습을 통해 훈련이 가능한 정도의 지능을 가지고 있다. 반면, 말은 겁이 많아 쉽게 흥분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어 인간의 의도대로 제어 가능한 말을 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또한 충분히 훈련된 말이라 하더라도 돌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말이 몹시 흥분하여 통제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또한 말은 서열 의식이 강해 탑승한 기수(騎手) 내지는 기승자(騎乘者)와의 서열 정리가 훈련되지 않을 경우 통제가 불가능할 수 있고, 이 경우 탑승한 기승자(또는 기수) 등에게 큰 위험을 초래하기도 한다.
한편, 승마는 귀족들이 하는 취미 생활로 여겨지다가, 최근 들어 국민 소득 증대에 따라 일반인들이 취미로 승마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대중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승마 초보자도 충분히 탑승할 수 있을 정도로 잘 훈련된 승마용 말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말의 가축화는 서기전 2,500년 부근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처럼 인간은 아주 오래 전부터 말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말을 가축화해 오고 있다. 그러나 오래 전부터 인간이 말을 길들이는 방법은 순전히 반복 학습에 의지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말을 훈련시키는 기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잘 훈련된 말은 매우 고가에 거래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말을 훈련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 뿐 아니라, 잘 훈련된 말이라 하더라도 전술한 것과 같이 말의 기본 성향으로 인해, 즉 돌발 상황에서 흥분하거나, 또는 탑승한 기승자를 주인으로 인식하지 않아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 승마 도중 발생하는 낙마 사고는 큰 부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전문 기수가 아니라 스포츠 내지는 체험의 일환으로서 승마에 입문하고자 하는 일반인들, 즉 기승자에게 흥분한 말을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승마 스포츠의 진입 장벽을 높이고 승마 스포츠를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잘 훈련된 말을 기르고, 일반인들이 스포츠로서 훈련된 말에 탑승했을 때 돌발 상황에서 말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 장치가 절실히 요구된다.
말이 흥분할 때 취하는 행동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번째는 말이 갑작스럽게 질주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말의 기립 행동이다. 마지막으로 세번째는 기승자 등의 지시에 따르지 않고 경로를 이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말이 흥분하거나, 또는 기수 내지는 기승자의 지시에 따르지 않는 경우에 말을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말이 흥분하거나, 또는 기수 내지는 기승자의 지시에 따르지 않는 경우 말을 제어하는 장치를 이용한 말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말이 흥분하거나, 또는 기수 내지는 기승자의 지시에 따르지 않는 경우 말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및 동물의 시야를 가리도록 배치되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광 투과율이 제어되는 시야 차단기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속력 센서를 포함하여 동물의 이동 속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물의 이동 속력이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는, 측정된 속력이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측정된 속력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더욱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측정된 속력이 상기 기준값 미만이거나 이하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는, 측정된 속력이 제1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키는 제1 단계; 및 제1 단계 이후에 다시 측정된 속력이 상기 제1 기준값 보다 큰 제2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더욱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된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서로 간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간에 기준값 이상의 레벨 차이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야 차단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광 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간에 기준값 이상의 레벨 차이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는 동물 시야의 하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시야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된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는 각각 기울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센서가 측정한 기울기와 상기 제2 센서가 측정한 기울기 간에 기준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가 측정한 기울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위치가, 기 설정된 허용 영역 외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야 차단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광 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허용 영역의 일측으로 벗어난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는 동물 시야의 타측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시야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가 상기 허용 영역의 타측으로 벗어난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는 동물 시야의 일측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시야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말이 특정 행동을 취하는 경우 말의 시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말을 제어하고 흥분을 가라앉힐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를 착용한 말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동물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의 광 투과율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의 광 투과율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시야 차단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의 시야 차단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폭, 길이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를 착용한 말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동물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의 광 투과율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1)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201) 및 센서(201)에 의해 제어되는 시야 차단기(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1)는 동물을 훈련 내지는 조련하거나, 또는 통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동물 제어 장치(11)의 제어 대상이 말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라 제어 가능한 다양한 동물들이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당나귀, 양, 염소 등의 가축에 적용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늑대, 호랑이 등의 맹수, 또는 필요에 따라 강아지, 고양이, 토끼 등 애완 동물에 사용될 수도 있다.
시야 차단기(100)는 동물의 안구 등을 가리도록 배치되어 동물의 시야 상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 반경이 약 300도 이상인 말에 적용될 경우, 해당 시야를 모두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시야 차단기(100)는 동물의 두상 등에 씌워지는 마스크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야 차단기(100)는 안경과 같은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종래의 차안대 등의 마스크와 탈부착 가능한 부속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시야 차단기(1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투과하는 광의 양, 즉 광 투과율을 제어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 차단기(100)는 액정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렌즈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거동하는 액정(liquid crystal)을 포함하여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의 초기 배열 및 종류에 따라 TN(Twisted Nematic)형 액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액정,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액정 렌즈는 다수의 영역(PX)으로 구획된 상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영역(PX)들 별로 독립적으로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영역(PX)은 화소 또는 픽셀(pixel)과 같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센서(201)에 의해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반응하여 전체, 또는 일부분(즉, 일부 영역(PX))의 광 투과율을 변경 가능하고, 높은 광 투과율을 부여하거나, 광 투과율을 실질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상 동물의 시야를 선택적으로 확보하거나, 차단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야 차단기(1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가림막이 이동하여 물리적으로 동물의 시야를 차단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
시야 차단기(100)의 최초의 광 투과율은 약 90% 이상, 또는 약 91% 이상, 또는 약 92% 이상, 또는 약 93% 이상, 또는 약 94% 이상, 또는 약 95% 이상, 또는 약 96% 이상, 또는 약 97% 이상, 또는 약 98% 이상, 또는 약 99% 이상, 또는 100%일 수 있다. 상기 '최초'라 함은 시야 차단기(100)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 또는 별도의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센서(201)는 대상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센서(201)는 대상 동물에 부착되어 대상 동물의 속력(speed), 예컨대 순간 속력을 측정하는 속력 센서일 수 있다. 센서(201)는 안장 등에 부착되어 동물의 이동과 함께 같이 이동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센서(201)는 센싱 모듈(231)과 프로세서(22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모듈(231)은 특유의 방식에 의해 원하는 상태를 감지하는 모듈을 의미하고, 프로세서(221)는 센싱 모듈(231)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소정의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그 결과 출력한 신호를 시야 차단기(100)로 보낼 수 있다. 프로세서(22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201)와 시야 차단기(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센싱 모듈(231)은 말의 이동 속력을 감지하고, 프로세서(221)는 측정된 말의 속력과 소정의 기준 속력을 비교하여, 측정된 말의 속력이 상기 기준 속력 보다 클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낮출 수 있다. 반면, 측정된 말의 속력이 상기 기준 속력 보다 작을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다시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속력은 약 30km/h, 또는 약 32km/h, 또는 약 34km/h, 또는 약 36km/h, 또는 약 38km/h 또는 약 40km/h일 수 있다. 말이 상기 기준 속력 미만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시야 차단기(100)는 광을 충분히 투과시키며, 말의 시야를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말이 상기 기준 속력을 초과하는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시야 차단기(100)는 광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광 투과율의 감소는 점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광 투과율을 설정한다(S110). 제1 광 투과율은 전술한 최초 상태에서의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의미할 수 있다.
말이 이동함에 따라 센서(201)는 말의 속력을 측정하고(S120), 말의 속력이 기준 속력을 초과, 예컨대 35km/h를 초과한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은 제2 광 투과율로 변경될 수 있다(S130). 제2 광 투과율은 제1 광 투과율 보다 낮은 정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 투과율은 약 99%이고, 제2 광 투과율은 약 50%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광 투과율의 변화는 연속적으로 점진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비연속적으로 점진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말의 시야 상에 놓인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이 저하됨에 따라 말의 시야는 어두워질 수 있고, 말은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흥분을 가라앉히고 속력 내지는 속도를 줄일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말의 속력이 기준 속력을 초과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제1 광 투과율을 그대로 유지하며, 센서(201) 또는 프로세서(221)는 말의 속력과 기준 속력을 비교하는 단계를 소정의 시간 차를 두고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이 제2 광 투과율로 설정된 이후, 소정 시간을 대기하거나, 지연하는 단계(S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말이 기준 속력을 초과하여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이 변화하고(S130), 이에 따라 흥분이 다소 가라 앉더라도 즉각적으로 기준 속력 이하로 속력이 변화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 시간을 대기한 이후, 다음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은 약 5초, 또는 약 6초, 또는 약 7초, 또는 약 8초, 또는 약 9초, 또는 약 10초, 또는 약 15초, 또는 약 20초일 수 있다.
그 다음 다시 센서(201)는 말의 속력을 측정한다(S140). 그리고 말의 속력이 여전히 기준 속력을 초과한 상태, 즉 35km/h를 초과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은 제3 광 투과율로 변경될 수 있다(S150). 제3 광 투과율은 제2 광 투과율 보다 낮은 정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광 투과율은 약 10%, 또는 약 5%, 또는 약 1%, 또는 0%, 즉 완전히 광 투과가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시야 차단기(100)가 제2 광 투과율로 충분히 어두워졌음에도 말이 진정되지 않고 여전히 빠른 속력으로 이동하는 경우, 시야를 더욱 어둡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를 완전히 차단하여 이동을 강제적으로 멈출 수 있다.
반면, 시야 차단기(100)가 제2 광 투과율로 어두워진 이후 말의 속력이 기준 속력 이하로 감소된 것이 측정된 경우 광 투과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 차단기(100)는 최초 상태인 제1 광 투과율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말의 속력이 기준 속력 이하인 것으로 판단(S140)되더라도, 제1 광 투과율로의 변경은 소정의 시간을 대기한 이후(S145) 수행될 수 있다. 말이 흥분한 상태에서는 속력의 증감이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말의 속력이 기준 속도 이하로 감소된 이후, 충분한 시간, 예컨대 약 10초, 또는 11초, 또는 약 12초, 또는 약 13초, 또는 약 14초, 또는 약 15초, 또는 약 16초, 또는 약 17초, 또는 약 18초, 또는 약 20초, 또는 약 25초, 또는 약 30초가 경과한 이후 시야 차단기(100)가 최초의 광 투과율로 원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돌발 상황, 예컨대 말이 흥분하는 경우에 말에 탑승한 기수 내지는 기승자로서는 말을 통제할 방법이 여의치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기승자 등이 말을 진정시키기 위한 행동을 별도로 취하지 않더라도, 말의 움직임을 센서(201)를 이용해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말의 흥분을 가라앉힐 수 있다. 특히 시야에 유독 민감한 말과 같은 동물의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여 효과적으로 진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훈련용 말 등의 경우, 말의 속도가 제한적일 필요가 있다. 탑승자가 전문 기수가 아니기 때문에 대략 10km/h 내지 20km/h 사이의 속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속력 정보에 기반하여 시야 차단기(100)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말은 반복 수행을 통해 행동이 학습될 수 있는 수준의 지능을 가졌으며, 속력과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 간의 상관 관계를 학습시켜 말을 훈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속력 이상으로 달릴 경우 시야가 어두워짐을 말에게 학습시켜 훈련용 말이 소정 기준 이상으로는 달리지 않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201)는 대상 동물에 부착되어 대상 동물의 가속도, 예컨대 순간 가속도 내지는 평균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01)의 센싱 모듈(231)은 말의 가속도를 감지하고, 프로세서(221)는 측정된 말의 가속도와 소정의 기준 가속도를 비교하여, 측정된 말의 가속도가 상기 기준 가속도 보다 클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낮출 수 있다. 반면, 측정된 말의 가속도가 상기 기준 가속도 보다 작을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다시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의 광 투과율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물의 속력(또는 속도), 또는 가속도 등을 측정하는 속력 센서를 구비하되, 프로세서를 통한 알고리즘이 상이한 점이 도 5 등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1)와 상이한 점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의 제어 방법은 제1 기준 속력 및 제2 기준 속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광 투과율을 설정한다(S210). 제1 광 투과율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말이 이동함에 따라 센서는 말의 속력을 측정하고(S220), 말의 속력이 제1 기준 속력을 초과, 예컨대 35km/h를 초과한 경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제2 광 투과율로 변경할 수 있다(S230). 제2 광 투과율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반면 말의 속력이 제1 기준 속력을 초과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제1 광 투과율을 그대로 유지하며, 센서 또는 프로세서는 말의 속력과 제1 기준 속력을 비교하는 단계를 소정의 시간 차를 두고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이 제2 광 투과율로 설정된 이후, 센서는 말의 속력을 여전히 측정하고, 말의 속력이 제2 기준 속력을 초과한 것으로 측정한 경우(S240)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제3 광 투과율로 변경할 수 있다(S250). 제2 기준 속력은 제1 기준 속력에 비해 더 큰 속력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기준 속력은 약 38km/h, 또는 약 40km/h, 또는 약 42km/h일 수 있다.
즉, 전술한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방법은 하나의 기준값과 소정의 시간 경과를 기준으로 광 투과율을 제어하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방법은 복수의 기준값과 그 사이의 구간들을 기준으로 광 투과율을 제어함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말의 속력이 제2 기준 속력 보다 작고(S240), 제1 기준 속력 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 경우(S245), 즉 말이 제1 기준 속력과 제2 기준 속력 사이의 속력, 예컨대 36km/h으로 이동하는 경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은 여전히 제2 광 투과율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말의 속력이 제2 기준 속력 뿐 아니라 제1 기준 속력 보다 작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S245), 즉 제2 광 투과율로 변경됨에 따라 말이 급격하게 속도를 줄인 경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은 제1 광 투과율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시야 차단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2)는 센서(202a, 202b) 및 센서(202a, 202b)에 의해 제어되는 시야 차단기(100)를 포함하되, 센서(202a, 202b)는 대상 동물의 기립 등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02a, 202b)는 제1 위치 센서(202a) 및 제2 위치 센서(2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202a)와 제2 위치 센서(202b)는 서로 간의 상대적인 위치, 구체적으로 서로 간의 상대적인 고도 내지는 레벨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도 6은 제1 위치 센서(202a)를 말의 뒷발에 부착하고, 제2 위치 센서(202b)를 말의 안장에 부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위치 센서(202a) 및 제2 위치 센서(202b)는 말이 기립했을 경우 소정의 고도 차이를 유발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제2 위치 센서(202b)는 말의 앞발, 또는 목, 또는 두상 부근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위치 센서(202a)와 제2 위치 센서(202b)는 각각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의 기울기 센서 기능을 포함하거나, 레벨 센서 기능과 함께 기울기 센서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위치 센서(202a)와 제2 위치 센서(202b)는 서로 간의 상대적인 위치뿐 아니라 기울기를 함께 측정하여 말의 기립 자세를 더욱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위치 센서(202a)가 말의 뒷발에 부착되는 경우, 말의 뒷발은 지면 상에 놓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말의 기립 행동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센서(202a)가 측정한 기울기와 제2 위치 센서(202b)가 측정한 기울기가 소정 기준 이상, 또는 소정 기준 초과인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이 저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말이 흥분할 경우 기립 행동을 취하는 경우가 있고, 대형 낙마 사고는 대부분 말의 기립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말이 기립에 그치지 않고 넘어지는 등의 경우, 탑승자가 압사당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특히 위험한 말의 기립 자세가 감지될 경우, 말의 시야를 차단하여 말의 흥분을 가라앉힐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202a, 202b)를 이용하여 동물을 제어하는 방법은 전술한 도 5 또는 도 6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센서(202a, 202b)를 이용하여 말의 기립이 감지된 경우, 시야 차단기(100)는 일부 영역만의 광 투과율을 변경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물의 시야의 하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시야를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말이 기립한 경우, 말의 상측 시야와 외측 시야를 차단하여 동물의 시야를 하측 및 내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말을 진정시키고 지상으로 안착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3)는 센서(203) 및 센서(230)에 의해 제어되는 시야 차단기(100)를 포함하되, 센서(203)는 대상 동물의 기립 등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03)는 말의 안장 등에 부착되는 자이로 센서 등의 기울기 센서일 수 있다. 센서(203)는 말이 기립했을 경우 그 기울기, 내지는 각속도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203)가 측정한 그 기울기가 소정 기준 이상 또는 초과인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이 저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의 시야 차단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4) 내지는 동물 제어 시스템(14)은 말에 부착된 센서(204), 센서(204)에 의해 제어되는 시야 차단기(100)를 포함하고, 펜스 등의 주변 구조물에 부착된 기준 마커(300) 내지는 비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말, 특히 훈련용 말이나 경주용 말, 경기용 말, 시연용 말 등의 경우 정해진 구역 내에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정해진 경로 외의 위치로 이동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4)의 센서(204)는 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되, 구체적으로 말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04)는 말의 안장 등에 부착되어 말과 함께 이동하되, 펜스 등의 주변 구조물에 부착된 복수의 기준 마커(300)와 함께 연계하여 말이 경로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기준 마커(300)는 서로 상호 통신하여 기준 마커(300)를 가상으로 연결하여 구현 가능한 정해진 영역을 설정할 수 있고, 센서(204)가 상기 가상의 영역 밖으로 벗어나면 말이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서(204)는 GPS 등의 위치 기반 측정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센서(204)를 이용하여 말이 기준 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시야 차단기(100)는 일부 영역만의 광 투과율을 변경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물의 시야를 좌측과 우측 중 일부의 시야를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말이 경로를 일측(예컨대 우측)으로 벗어난 경우, 말의 타측(예컨대 좌측) 시야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시야를 차단하여 동물의 시야를 타측(예컨대 좌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말의 좌측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말이 경로를 타측(예컨대 좌측)으로 벗어난 경우, 말의 일측(예컨대 우측) 시야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시야를 차단하여 동물의 시야를 일측(예컨대 우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말의 좌측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5) 또는 동물 제어 시스템(15)은 사용자 단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시야 차단기(100)와 블루투스, NFC, wifi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과 시야 차단기(100)는 고유 번호 등의 식별 수단을 통해 서로 간에만 양방향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400)과 시야 차단기(100) 간에 일정한 시간 동안 송수신이 없으면 통신이 끊겨져 타임 아웃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시승자의 숙련도 상태에 따라 초급, 중급, 상급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모드를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의 성별, 키, 몸무게, 나이 등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전술한 도 5 또는 도 6 등의 실시예에서 기준 속력, 제1 기준 속력 및/또는 제2 기준 속력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위험한 돌발 상황을 설정 가능하고, 더욱 정밀한 동물의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느 정도 숙련된 기수인 경우, 시야 차단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기준 속력을 약 40km/h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말의 마장 기술을 훈련하는 말의 경우 기준 기울기의 값을 소정 기준 이상으로 높게 설정하여 장애물을 뛰어넘는 순간에 말의 시야가 차단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동물 제어 시스템(15)은 미리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말의 이동 제한 구역을 설정해두고, 사용자 단말(400)에 이를 인식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앱을 설치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현재 자신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은 허용된 이동 제한 구역을 벗어나면 시야 차단기(100)를 제어하여 시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시야 차단기
201: 센서

Claims (10)

  1. 동물의 이동 속력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속력 센서; 및
    동물의 시야를 가리도록 배치되는 시야 차단기로서, 상기 센서 모듈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광 투과율이 제어되고, 상기 동물의 이동 속력이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시야 차단기를 포함하는 말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측정된 속력이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측정된 속력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더욱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측정된 속력이 상기 기준값 미만이거나 이하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말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측정된 속력이 제1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키는 제1 단계; 및
    제1 단계 이후에 다시 측정된 속력이 상기 제1 기준값 보다 큰 제2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더욱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말 제어 장치.
  5.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센서; 및
    동물의 시야를 가리도록 배치되고, 상기 센서 모듈이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광 투과율이 제어되는 시야 차단기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모듈은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된 제1 센서 모듈과 제2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 모듈 및 상기 제2 센서 모듈은 서로 간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센서 모듈과 상기 제2 센서 모듈 간에 기준값 이상의 레벨 차이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하는 동물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 차단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광 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간에 기준값 이상의 레벨 차이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는 동물 시야의 하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시야를 완전히 차단하는 동물 제어 장치.
  7.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센서; 및
    동물의 시야를 가리도록 배치되고, 상기 센서 모듈이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광 투과율이 제어되는 시야 차단기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모듈은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된 제1 센서 모듈과 제2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 모듈과 상기 제2 센서 모듈은 각각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 모듈이 측정한 기울기와 상기 제2 센서 모듈이 측정한 기울기 간에 기준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하는 동물 제어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00317A 2020-08-11 2020-08-11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KR10248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317A KR102485559B1 (ko) 2020-08-11 2020-08-11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US18/019,242 US20230284592A1 (en) 2020-08-11 2021-07-22 Animal control device and animal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PCT/KR2021/009493 WO2022035083A1 (ko) 2020-08-11 2021-07-22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317A KR102485559B1 (ko) 2020-08-11 2020-08-11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966A KR20220019966A (ko) 2022-02-18
KR102485559B1 true KR102485559B1 (ko) 2023-01-05

Family

ID=8024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317A KR102485559B1 (ko) 2020-08-11 2020-08-11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84592A1 (ko)
KR (1) KR102485559B1 (ko)
WO (1) WO2022035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664A1 (ko) * 2022-02-10 2023-08-17 김대성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WO2024020654A1 (en) * 2022-07-29 2024-02-01 Focus Force Pty Ltd Equine control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7672A1 (en) 2006-02-01 2007-08-09 Adrian Morgante Horse calming device
US20140107737A1 (en) 2011-05-27 2014-04-17 University College Dubli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Dublin Apparatus and method for inhibiting melatonin synthesis in a horse
US20190037806A1 (en) * 2017-07-27 2019-02-07 Command Sight, Inc. Animal Wearable Head Mountable Displa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1293A (en) * 1979-08-29 1981-04-14 Djernes William E Apparatus for starting horse races and method and means for manual and remote control thereof
US4858609A (en) * 1987-12-04 1989-08-22 Cole Roger J Bright light mask
US6311645B1 (en) * 2001-05-03 2001-11-06 Joseph S. Brown Animal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10073152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물의 이동 방향 제어 장치
KR20140046646A (ko) * 2012-10-09 2014-04-21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시야 훈련용 안경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안경
KR101864017B1 (ko) * 2016-06-29 2018-06-01 국방과학연구소 동물 행동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7672A1 (en) 2006-02-01 2007-08-09 Adrian Morgante Horse calming device
US20140107737A1 (en) 2011-05-27 2014-04-17 University College Dubli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Dublin Apparatus and method for inhibiting melatonin synthesis in a horse
US20190037806A1 (en) * 2017-07-27 2019-02-07 Command Sight, Inc. Animal Wearable Head Mountable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966A (ko) 2022-02-18
US20230284592A1 (en) 2023-09-14
WO2022035083A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559B1 (ko)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US11787402B2 (en) Vehicle collision avoidance system with enhanced pedestrian avoidance
US9457803B2 (en) Method for activating a driver assistance system
US20200019802A1 (en) Training of Vehicles to Improve Autonomous Capabilities
JP7355153B2 (ja) 車両用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124348B1 (en) Vehicle occupan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vehicle control system
KR102017780B1 (ko) 자동 운전 시스템 및 자동 운전 차량
US9740203B2 (en) Drive assist apparatus
US97786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resting time suggestion
JP2019021229A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DE112015002948T5 (de) Vorrichtung zum erfassen eines fahrunvermögenzustands eines fahrers
CN106663377A (zh) 驾驶员的驾驶不能状态检测装置
KR20150055052A (ko) 차량단 제어의 조정을 위한 방법, 측정 장치 및 제어 유닛
WO2018168052A1 (ja) 集中度判定装置、集中度判定方法及び集中度判定のためのプログラム
SE1450193A1 (sv) Förarstöd
CN113260547A (zh) 信息处理设备、移动设备、方法和程序
CN113040459A (zh) 用于监视车辆骑手的认知状态的系统和方法
CN112699721A (zh) 离开道路扫视时间的情境相关调整
CA2986160A1 (en) Training of vehicles to imporve autonomous capabilities
AU201826754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ining vehicles
CN108475495B (zh) 图像显示装置及图像显示方法
KR20230121004A (ko)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JP7230717B2 (ja) 車両用通知制御装置及び車両用通知制御方法
JP2014089579A (ja) 車両の脇見運転警報装置
JP2018151902A (ja) 集中度判定装置、集中度判定方法及び集中度判定のため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