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004A -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004A
KR20230121004A KR1020230016526A KR20230016526A KR20230121004A KR 20230121004 A KR20230121004 A KR 20230121004A KR 1020230016526 A KR1020230016526 A KR 1020230016526A KR 20230016526 A KR20230016526 A KR 20230016526A KR 20230121004 A KR20230121004 A KR 20230121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light transmittance
horse
location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성 filed Critical 김대성
Publication of KR20230121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01K11/008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incorporat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rds (AREA)
  • Biophys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동물을 제어하기 위한 사람의 별도의 행위, 예컨대 제어 장치의 작동을 위한 행위가 없는 경우에도 동물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동물 제어 장치는 외부의 다른 장치와의 거리에 관한 거리 정보 또는 위치에 기초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식별기; 및 상기 위치 식별기의 생성 정보에 기초하여 동물의 시야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시야 차단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ANIMAL CONTROL DEVICE AND ANIMAL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물의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말이나 강아지 등의 동물이 통제되지 않는 상황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그 상황을 감지하고 동물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동물을 제어하기 위한 사람의 별도의 행위, 예컨대 제어 장치의 작동을 위한 행위가 없는 경우에도 동물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말(horse)은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가축의 하나이다. 아주 오래 전에는 인간의 식량을 위한 사냥의 대상에 불과하였으나, 온순한 성향을 가져 인간이 길들이기 용이하면서도 힘과 지구력이 좋아 승용(乘用)·만용(輓用)·태용(用) 등으로 이용하였고, 최근에는 주로 승마 등의 레저 스포츠용으로 이용되는 가축이다.
말은 반복 학습을 통해 훈련이 가능한 정도의 지능을 가지고 있다. 반면, 말은 겁이 많아 쉽게 흥분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어 인간의 의도대로 제어 가능한 말을 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또한 충분히 훈련된 말이라 하더라도 돌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말이 몹시 흥분하여 통제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또한 말은 서열 의식이 강해 탑승한 기수(騎手) 내지는 기승자(騎乘者)와의 서열 정리가 훈련되지 않을 경우 통제가 불가능할 수 있고, 이 경우 탑승한 기승자(또는 기수) 등에게 큰 위험을 초래하기도 한다.
한편, 승마는 귀족들이 하는 취미 생활로 여겨지다가, 최근 들어 국민 소득 증대에 따라 일반인들이 취미로 승마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대중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승마 초보자도 충분히 탑승할 수 있을 정도로 잘 훈련된 승마용 말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US 6,311,645 B1
말의 가축화는 서기전 2,500년 부근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처럼 인간은 아주 오래 전부터 말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말을 가축화해 오고 있다. 그러나 오래 전부터 인간이 말을 길들이는 방법은 순전히 반복 학습에 의지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말을 훈련시키는 기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잘 훈련된 말은 매우 고가에 거래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말을 훈련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 뿐 아니라, 잘 훈련된 말이라 하더라도 전술한 것과 같이 말의 기본 성향으로 인해, 즉 돌발 상황에서 흥분하거나, 또는 탑승한 기승자를 주인으로 인식하지 않아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 승마 도중 발생하는 낙마 사고는 큰 부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전문 기수가 아니라 스포츠 내지는 체험의 일환으로서 승마에 입문하고자 하는 일반인들, 즉 기승자에게 흥분한 말을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승마 스포츠의 진입 장벽을 높이고 승마 스포츠를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잘 훈련된 말을 기르고, 일반인들이 스포츠로서 훈련된 말에 탑승했을 때 돌발 상황에서 말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 장치가 절실히 요구된다.
말이 흥분할 때 취하는 행동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번째는 말이 갑작스럽게 질주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말의 기립 행동이다. 마지막으로 세번째는 기승자 등의 지시에 따르지 않고 경로를 이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말이 흥분하거나, 또는 기수 내지는 기승자의 지시에 따르지 않는 경우에 말을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말이 흥분하거나, 또는 기수 내지는 기승자의 지시에 따르지 않는 경우 말을 제어하는 장치를 이용한 말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말이 흥분하거나, 또는 기수 내지는 기승자의 지시에 따르지 않는 경우 말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반려 동물, 예를 들어 개나 강아지를 조련하거나, 또는 일상 생활 중에 동물을 통제하기 위한 동물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사람의 별도 행위 없이도 동물을 통제할 수 있는 동물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반려 동물을 조련하거나 일상 생활 중에 동물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사람의 별도 행위 없이도 동물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와 같은 동물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및 동물의 시야를 가리도록 배치되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광 투과율이 제어되는 시야 차단기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속력 센서를 포함하여 동물의 이동 속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물의 이동 속력이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는, 측정된 속력이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측정된 속력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더욱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측정된 속력이 상기 기준값 미만이거나 이하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는, 측정된 속력이 제1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키는 제1 단계; 및 제1 단계 이후에 다시 측정된 속력이 상기 제1 기준값 보다 큰 제2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더욱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된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서로 간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간에 기준값 이상의 레벨 차이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야 차단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광 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간에 기준값 이상의 레벨 차이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는 동물 시야의 하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시야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된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는 각각 기울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센서가 측정한 기울기와 상기 제2 센서가 측정한 기울기 간에 기준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가 측정한 기울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위치가, 기 설정된 허용 영역 외인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야 차단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광 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허용 영역의 일측으로 벗어난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는 동물 시야의 타측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시야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가 상기 허용 영역의 타측으로 벗어난 경우, 상기 시야 차단기는 동물 시야의 일측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시야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는 동물의 이동 속력을 측정하는 속력 센서; 및 동물의 시야를 가리도록 배치되는 시야 차단기로서, 상기 동물의 이동 속력이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시야 차단기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는 동물의 이동 속력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속력 센서; 및 동물의 시야를 가리도록 배치되는 시야 차단기로서, 상기 센서 모듈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광 투과율이 제어되고, 상기 동물의 이동 속력이 기준값 이상이거나 초과인 경우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의 시야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시야 차단기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는, 외부의 다른 장치와의 거리에 관한 거리 정보 또는 위치에 기초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식별기; 및 상기 위치 식별기의 생성 정보에 기초하여 동물의 시야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시야 차단기를 포함한다.
상기 동물 제어 장치는 상기 위치 식별기의 생성 정보에 기초하여 시야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장치와 위치 식별기의 거리가 제1 거리일 때, 상기 시야 차단기는 제1 광 투과율을 가지고, 상기 다른 장치와 위치 식별기의 거리가 제1 거리 보다 먼 제2 거리일 때, 상기 시야 차단기는 제1 광 투과율 보다 작은 제2 광 투과율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기준 위치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시야의 차단 정도 또는 시야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시야 차단 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시스템은 제1 위치 식별기; 및 제2 위치 식별기와 시야 차단기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위치 식별기는 제1 위치 식별기와 연동하여, 상호 간의 거리에 관한 정보 또는 제2 위치 식별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제1 위치 식별기 와 제2 위치 식별기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컴퓨팅 장치의 위치 또는 상기 다른 장치와 컴퓨팅 장치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위치 또는 거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조절하는 광 투과율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말이 특정 행동을 취하는 경우 말의 시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말을 제어하고 흥분을 가라앉힐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 공원이나 마당에서 동물, 예컨대 강아지가 활동할 때에 별도의 목줄을 이용해 활동 반경을 제한하지 않는 경우에도 기준 위치에서 소정의 반경을 벗어나지 않고 활동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강아지의 조련, 예컨대 반려 동물의 산책 습관 조련이나 시각 장애인을 위한 안내견의 조련/훈련 과정에서 활용하여 손쉬운 동물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를 착용한 말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동물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의 광 투과율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의 광 투과율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시야 차단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의 시야 차단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동물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동물 제어 장치의 논리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3 또는 도 16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시스템에서 시야 차단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 특허청구범위는 발명의 실체를 이루는 기술내용을 설명하는 사항이 아니라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개시된 기술구성을 토대로 어떠한 범위를 권리로 청구하는지를 나타내는 사항이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기술을 포함하는 추상적 상위개념으로 구성하는 것은 어느 정도 불가피한 것이며, 당업자가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특허청구범위에 속한 기술구성이나 그 결합 및 작용효과를 이해할 수 있다면 그 특허청구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뒷받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어떠한 용어를 특정한 의미로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그 의미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를 지칭함에 있어 '제1 구성요소', '제2 구성요소', '제1-1 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적 수식어는 어느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단순히 구별하여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지칭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제2 구성요소로 바꾸어 지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또, 발명의 설명에서 제1 구성요소로 지칭되는 것은 청구항에서 제2 구성요소로 지칭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폭, 길이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를 착용한 말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동물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의 광 투과율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1)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201) 및 센서(201)에 의해 제어되는 시야 차단기(100)를 포함한다. 또, 동물 제어 장치(11)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동물 제어 장치(11)에 포함되거나, 또는 센서(201)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1)는 동물을 훈련 내지는 조련하거나, 또는 통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동물 제어 장치(11)의 제어 대상이 말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라 제어 가능한 다양한 동물들이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당나귀, 양, 염소 등의 가축에 적용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늑대, 호랑이 등의 맹수, 또는 필요에 따라 강아지, 고양이, 토끼 등 애완 동물에 사용될 수도 있다.
시야 차단기(100)는 동물의 안구 등을 가리도록 배치되어 동물의 시야 상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 반경이 약 300도 이상인 말에 적용될 경우, 해당 시야를 모두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시야 차단기(100)는 동물의 두상 등에 씌워지는 마스크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야 차단기(100)는 안경 또는 고글과 같은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종래의 차안대 등의 마스크와 탈부착 가능한 부속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시야 차단기(1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투과하는 광의 양, 즉 광 투과율을 제어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 차단기(100)는 액정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렌즈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거동하는 액정(liquid crystal)을 포함하여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의 초기 배열 및 종류에 따라 TN(Twisted Nematic)형 액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액정,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액정 렌즈는 다수의 영역(PX)으로 구획된 상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영역(PX)들 별로 독립적으로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영역(PX)은 화소 또는 픽셀(pixel)과 같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센서(201)에 의해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반응하여 전체, 또는 일부분(즉, 일부 영역(PX))의 광 투과율을 변경 가능하고, 높은 광 투과율을 부여하거나, 광 투과율을 실질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상 동물의 시야를 선택적으로 확보하거나, 차단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야 차단기(1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가림막이 이동하여 물리적으로 동물의 시야를 차단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
시야 차단기(100)의 최초의 광 투과율은 약 90% 이상, 또는 약 91% 이상, 또는 약 92% 이상, 또는 약 93% 이상, 또는 약 94% 이상, 또는 약 95% 이상, 또는 약 96% 이상, 또는 약 97% 이상, 또는 약 98% 이상, 또는 약 99% 이상, 또는 100%일 수 있다. 상기 '최초'라 함은 시야 차단기(100)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 또는 별도의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센서(201)는 대상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센서(201)는 대상 동물에 부착되어 대상 동물의 속력(speed), 예컨대 순간 속력을 측정하는 속력 센서일 수 있다. 센서(201)는 안장 등에 부착되어 동물의 이동과 함께 같이 이동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센서(201)는 센싱 모듈(231)과 프로세서(22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모듈(231)은 특유의 방식에 의해 원하는 상태를 감지하는 모듈을 의미하고, 프로세서(221)는 센싱 모듈(231)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소정의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그 결과 출력한 신호를 시야 차단기(100)로 보낼 수 있다. 프로세서(22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201)와 시야 차단기(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201)와 별개로 프로세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는 센서(201)(또는 센서 모듈)과 시야 차단기(100)의 제어부로 기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또는 센서 모듈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다. 즉, 센서 또는 센서 모듈의 측정 결과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센싱 모듈(231)은 말의 이동 속력을 감지하고, 프로세서(221)는 측정된 말의 속력과 소정의 기준 속력을 비교하여, 측정된 말의 속력이 상기 기준 속력 보다 클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낮출 수 있다. 반면, 측정된 말의 속력이 상기 기준 속력 보다 작을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다시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속력은 약 30km/h, 또는 약 32km/h, 또는 약 34km/h, 또는 약 36km/h, 또는 약 38km/h 또는 약 40km/h일 수 있다. 말이 상기 기준 속력 미만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시야 차단기(100)는 광을 충분히 투과시키며, 말의 시야를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말이 상기 기준 속력을 초과하는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시야 차단기(100)는 광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광 투과율의 감소는 점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광 투과율을 설정한다(S110). 제1 광 투과율은 전술한 최초 상태에서의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의미할 수 있다.
말이 이동함에 따라 센서(201)는 말의 속력을 측정하고(S120), 말의 속력이 기준 속력을 초과, 예컨대 35km/h를 초과한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은 제2 광 투과율로 변경될 수 있다(S130). 제2 광 투과율은 제1 광 투과율 보다 낮은 정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 투과율은 약 99%이고, 제2 광 투과율은 약 50%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광 투과율의 변화는 연속적으로 점진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비연속적으로 점진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말의 시야 상에 놓인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이 저하됨에 따라 말의 시야는 어두워질 수 있고, 말은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흥분을 가라앉히고 속력 내지는 속도를 줄일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말의 속력이 기준 속력을 초과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제1 광 투과율을 그대로 유지하며, 센서(201) 또는 프로세서(221)는 말의 속력과 기준 속력을 비교하는 단계를 소정의 시간 차를 두고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이 제2 광 투과율로 설정된 이후, 소정 시간을 대기하거나, 지연하는 단계(S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말이 기준 속력을 초과하여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이 변화하고(S130), 이에 따라 흥분이 다소 가라 앉더라도 즉각적으로 기준 속력 이하로 속력이 변화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 시간을 대기한 이후, 다음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은 약 5초, 또는 약 6초, 또는 약 7초, 또는 약 8초, 또는 약 9초, 또는 약 10초, 또는 약 15초, 또는 약 20초일 수 있다.
그 다음 다시 센서(201)는 말의 속력을 측정한다(S140). 그리고 말의 속력이 여전히 기준 속력을 초과한 상태, 즉 35km/h를 초과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은 제3 광 투과율로 변경될 수 있다(S150). 제3 광 투과율은 제2 광 투과율 보다 낮은 정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광 투과율은 약 10%, 또는 약 5%, 또는 약 1%, 또는 0%, 즉 완전히 광 투과가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시야 차단기(100)가 제2 광 투과율로 충분히 어두워졌음에도 말이 진정되지 않고 여전히 빠른 속력으로 이동하는 경우, 시야를 더욱 어둡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를 완전히 차단하여 이동을 강제적으로 멈출 수 있다.
반면, 시야 차단기(100)가 제2 광 투과율로 어두워진 이후 말의 속력이 기준 속력 이하로 감소된 것이 측정된 경우 광 투과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 차단기(100)는 최초 상태인 제1 광 투과율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말의 속력이 기준 속력 이하인 것으로 판단(S140)되더라도, 제1 광 투과율로의 변경은 소정의 시간을 대기한 이후(S145) 수행될 수 있다. 말이 흥분한 상태에서는 속력의 증감이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말의 속력이 기준 속도 이하로 감소된 이후, 충분한 시간, 예컨대 약 10초, 또는 11초, 또는 약 12초, 또는 약 13초, 또는 약 14초, 또는 약 15초, 또는 약 16초, 또는 약 17초, 또는 약 18초, 또는 약 20초, 또는 약 25초, 또는 약 30초가 경과한 이후 시야 차단기(100)가 최초의 광 투과율로 원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돌발 상황, 예컨대 말이 흥분하는 경우에 말에 탑승한 기수 내지는 기승자로서는 말을 통제할 방법이 여의치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기승자 등이 말을 진정시키기 위한 행동을 별도로 취하지 않더라도, 말의 움직임을 센서(201)를 이용해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말의 흥분을 가라앉힐 수 있다. 특히 시야에 유독 민감한 말과 같은 동물의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여 효과적으로 진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훈련용 말 등의 경우, 말의 속도가 제한적일 필요가 있다. 탑승자가 전문 기수가 아니기 때문에 대략 10km/h 내지 20km/h 사이의 속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속력 정보에 기반하여 시야 차단기(100)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말은 반복 수행을 통해 행동이 학습될 수 있는 수준의 지능을 가졌으며, 속력과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 간의 상관 관계를 학습시켜 말을 훈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속력 이상으로 달릴 경우 시야가 어두워짐을 말에게 학습시켜 훈련용 말이 소정 기준 이상으로는 달리지 않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201)는 대상 동물에 부착되어 대상 동물의 가속도, 예컨대 순간 가속도 내지는 평균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01)의 센싱 모듈(231)은 말의 가속도를 감지하고, 프로세서(221)는 측정된 말의 가속도와 소정의 기준 가속도를 비교하여, 측정된 말의 가속도가 상기 기준 가속도 보다 클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낮출 수 있다. 반면, 측정된 말의 가속도가 상기 기준 가속도 보다 작을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다시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의 광 투과율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물의 속력(또는 속도), 또는 가속도 등을 측정하는 속력 센서를 구비하되, 프로세서를 통한 알고리즘이 상이한 점이 도 5 등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1)와 상이한 점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의 제어 방법은 제1 기준 속력 및 제2 기준 속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광 투과율을 설정한다(S210). 제1 광 투과율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말이 이동함에 따라 센서는 말의 속력을 측정하고(S220), 말의 속력이 제1 기준 속력을 초과, 예컨대 35km/h를 초과한 경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제2 광 투과율로 변경할 수 있다(S230). 제2 광 투과율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반면 말의 속력이 제1 기준 속력을 초과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제1 광 투과율을 그대로 유지하며, 센서 또는 프로세서는 말의 속력과 제1 기준 속력을 비교하는 단계를 소정의 시간 차를 두고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이 제2 광 투과율로 설정된 이후, 센서는 말의 속력을 여전히 측정하고, 말의 속력이 제2 기준 속력을 초과한 것으로 측정한 경우(S240)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제3 광 투과율로 변경할 수 있다(S250). 제2 기준 속력은 제1 기준 속력에 비해 더 큰 속력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기준 속력은 약 38km/h, 또는 약 40km/h, 또는 약 42km/h일 수 있다.
즉, 전술한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방법은 하나의 기준값과 소정의 시간 경과를 기준으로 광 투과율을 제어하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방법은 복수의 기준값과 그 사이의 구간들을 기준으로 광 투과율을 제어함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말의 속력이 제2 기준 속력 보다 작고(S240), 제1 기준 속력 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 경우(S245), 즉 말이 제1 기준 속력과 제2 기준 속력 사이의 속력, 예컨대 36km/h으로 이동하는 경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은 여전히 제2 광 투과율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말의 속력이 제2 기준 속력 뿐 아니라 제1 기준 속력 보다 작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S245), 즉 제2 광 투과율로 변경됨에 따라 말이 급격하게 속도를 줄인 경우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은 제1 광 투과율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시야 차단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2)는 센서(202a, 202b) 및 센서(202a, 202b)에 의해 제어되는 시야 차단기(100)를 포함하되, 센서(202a, 202b)는 대상 동물의 기립 등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02a, 202b)는 제1 위치 센서(202a) 및 제2 위치 센서(2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202a)와 제2 위치 센서(202b)는 서로 간의 상대적인 위치, 구체적으로 서로 간의 상대적인 고도 내지는 레벨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도 6은 제1 위치 센서(202a)를 말의 뒷발에 부착하고, 제2 위치 센서(202b)를 말의 안장에 부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위치 센서(202a) 및 제2 위치 센서(202b)는 말이 기립했을 경우 소정의 고도 차이를 유발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제2 위치 센서(202b)는 말의 앞발, 또는 목, 또는 두상 부근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위치 센서(202a)와 제2 위치 센서(202b)는 각각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의 기울기 센서 기능을 포함하거나, 레벨 센서 기능과 함께 기울기 센서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울기 센서는 가속도 센서 및/또는 각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202a)와 제2 위치 센서(202b)는 서로 간의 상대적인 위치뿐 아니라 기울기를 함께 측정하여 말의 기립 자세를 더욱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위치 센서(202a)가 말의 뒷발에 부착되는 경우, 말의 뒷발은 지면 상에 놓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말의 기립 행동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센서(202a)가 측정한 기울기와 제2 위치 센서(202b)가 측정한 기울기가 소정 기준 이상, 또는 소정 기준 초과인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이 저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말이 흥분할 경우 기립 행동을 취하는 경우가 있고, 대형 낙마 사고는 대부분 말의 기립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말이 기립에 그치지 않고 넘어지는 등의 경우, 탑승자가 압사당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특히 위험한 말의 기립 자세가 감지될 경우, 말의 시야를 차단하여 말의 흥분을 가라앉힐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202a, 202b)를 이용하여 동물을 제어하는 방법은 전술한 도 5 또는 도 6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센서(202a, 202b)를 이용하여 말의 기립이 감지된 경우, 시야 차단기(100)는 일부 영역만의 광 투과율을 변경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물의 시야의 하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시야를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말이 기립한 경우, 말의 상측 시야와 외측 시야를 차단하여 동물의 시야를 하측 및 내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말을 진정시키고 지상으로 안착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3)는 센서(203) 및 센서(230)에 의해 제어되는 시야 차단기(100)를 포함하되, 센서(203)는 대상 동물의 기립 등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03)는 말의 안장 등에 부착되는 자이로 센서 등의 기울기 센서일 수 있다. 센서(203)는 가속도 센서 및/또는 각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203)는 말이 기립했을 경우 그 기울기, 내지는 각속도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203)가 측정한 그 기울기가 소정 기준 이상 또는 초과인 경우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이 저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의 시야 차단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4) 내지는 동물 제어 시스템(14)은 말에 부착된 센서(204), 센서(204)에 의해 제어되는 시야 차단기(100)를 포함하고, 펜스 등의 주변 구조물에 부착된 기준 마커(300)(또는 다른 장치) 내지는 비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말, 특히 훈련용 말이나 경주용 말, 경기용 말, 시연용 말 등의 경우 정해진 구역 내에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정해진 경로 외의 위치로 이동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4)의 센서(204)는 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되, 구체적으로 말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04)는 말의 안장 등에 부착되어 말과 함께 이동하되, 펜스 등의 주변 구조물에 부착된 복수의 기준 마커(300)와 함께 연계하여 말이 경로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기준 마커(300)는 서로 상호 통신하여 기준 마커(300)를 가상으로 연결하여 구현 가능한 정해진 영역을 설정할 수 있고, 센서(204)가 상기 가상의 영역 밖으로 벗어나면 말이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시야 차단기(100)의 광 투과율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서(204)는 GPS 등의 위치 기반 측정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센서(204)를 이용하여 말이 기준 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시야 차단기(100)는 일부 영역만의 광 투과율을 변경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물의 시야를 좌측과 우측 중 일부의 시야를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말이 경로를 일측(예컨대 우측)으로 벗어난 경우, 말의 타측(예컨대 좌측) 시야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시야를 차단하여 동물의 시야를 타측(예컨대 좌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말의 좌측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말이 경로를 타측(예컨대 좌측)으로 벗어난 경우, 말의 일측(예컨대 우측) 시야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시야를 차단하여 동물의 시야를 일측(예컨대 우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말의 좌측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5) 또는 동물 제어 시스템(15)은 사용자 단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시야 차단기(100)와 블루투스, NFC, wifi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과 시야 차단기(100)는 고유 번호 등의 식별 수단을 통해 서로 간에만 양방향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400)과 시야 차단기(100) 간에 일정한 시간 동안 송수신이 없으면 통신이 끊겨져 타임 아웃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시승자의 숙련도 상태에 따라 초급, 중급, 상급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모드를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의 성별, 키, 몸무게, 나이 등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전술한 도 5 또는 도 6 등의 실시예에서 기준 속력, 제1 기준 속력 및/또는 제2 기준 속력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위험한 돌발 상황을 설정 가능하고, 더욱 정밀한 동물의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느 정도 숙련된 기수인 경우, 시야 차단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기준 속력을 약 40km/h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말의 마장 기술을 훈련하는 말의 경우 기준 기울기의 값을 소정 기준 이상으로 높게 설정하여 장애물을 뛰어넘는 순간에 말의 시야가 차단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동물 제어 시스템(15)은 미리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말의 이동 제한 구역을 설정해두고, 사용자 단말(400)에 이를 인식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앱을 설치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현재 자신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은 허용된 이동 제한 구역을 벗어나면 시야 차단기(100)를 제어하여 시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응용하여 어느 기준 센서(또는 기준 비콘)를 기준으로 동물이 제한 반경 이상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어느 기준 센서와, 동물 제어 장치의 센서의 거리에 따라 동물 제어 장치의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이 증가되거나, 감소되거나, 유지되는 등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울타리나, 목줄 등 없이도 동물의 행동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준 센서와 동물 제어 장치의 센서가 제1 거리일 경우 시야 차단기는 제1 광 투과율을 갖거나, 또는 광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준 센서와 동물 제어 장치의 센서가 상기 제1 거리 보다 작은 제2 거리일 경우, 시야 차단기는 제1 광 투과율 보다 큰 제2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동물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동물 제어 장치의 논리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시스템(5)은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또는 제1 위치 식별 모듈, 또는 제1 위치 식별기, 또는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컴퓨팅 장치, 또는 다른 장치) 및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동물 제어 장치(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를 주머니에 소지하거나, 제1 위치 식별 장치(310)가 부착된 목줄을 소지할 수 있다.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는 비콘일 수 있다. 이 때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는 후술할 제2 위치 식별 장치(320)와 연동될 수 있다.
비콘은 위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어떤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기기 또는 그러한 하드웨어를 통칭한다. 이 때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는 제2 위치 식별 장치(320)에 대한 기준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제2 위치 식별 장치(320) 간의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적외선, 저주파, LED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물 제어 장치(15)는 프로세서(510)(또는 제어부), 메모리(520), 제2 위치 식별 장치(320)(또는 제2 위치 식별 모듈, 또는 제2 위치 식별기) 및 시야 차단 모듈(100)(또는 시야 차단기)을 포함할 수 있다. 동물 제어 장치(15)는 동물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에 상주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 소프트웨어에 따른 명령어를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된 동작 및/또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프로세서(510)와 연결된 하드웨어적 구성요소 및/또는 소프트웨어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데이터의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510)는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일부로서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이나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520)에 저장하거나, 메모리(520)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결과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다른 칩셋(chipset),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20)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20)에는 상기 방법이 구현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어가 상주(loading)될 수 있다. 메모리(520)는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상기 방법이 구현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라이브러리(library), 리소스 파일(resource file) 및 그 방법이 구현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위치 식별 장치(320)는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연동하여, 제1 위치 식별 장치(310), 또는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장치(15)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제2 위치 식별 장치(320)의 통신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위치 식별 장치(310) 및 제2 위치 식별 장치(320)는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제2 위치 식별 장치(320)를 한 쌍의 비콘으로 적용할 경우 다양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비콘은 최초 셋업 이후 페어링 과정이 불필요하고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다. 필요한 경우, 비콘은 일대다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제2 위치 식별 장치(320)가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 상당한 장거리, 예컨대 약 50m의 거리에서 위치 정보의 파악이 가능하며, 오차범위가 약 5cm 이내로 매우 작을 수 있다.
시야 차단 모듈(100)은 동물, 예컨대 강아지의 안구 등을 가리도록 배치되어 동물의 시야 상에 놓일 수 있다. 시야 차단 모듈(100)은 강아지의 두상에 씌워지는 마스크와 같이 제공되거나, 또는 안경이나 고글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시야 차단 모듈(100)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동물의 시야 범위를 투과하는 광의 양, 즉 광 투과율을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시야 차단 모듈(100)은 복수의 영역(즉, 픽셀)로 구획된 액정 렌즈, 및 동물의 두상에 고정되기 위한 착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야 차단 모듈(100)은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물의 시야 중 일부분, 예컨대 양측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 입장에서 시야가 좁아지는 느낌을 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시야 차단 모듈(100)의 액정 렌즈가 복수의 픽셀로 구획되거나, 또는 구획되지 않은 경우, 시야 차단 모듈(100)은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물의 시야의 적어도 일부분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켜 동물 입장에서 시야가 어두워지거나, 보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외 시야 차단 모듈(100)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시야 차단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도 14의 다양한 하드웨어적 구성요소들은 데이터 버스를 통해 연결되고, 데이터 버스를 통해 각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프로세서(51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 소프트웨어에 따른 명령어를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된 동작 및/또는 기능을 구현하는 동물 제어 장치(15)는 기능적 요소 측면에서 설명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물 제어 장치(15)는 위치 정보 생성부(511) 및 시야 차단 결정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하드웨어 및 후술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논리적 구성에 대한 개시가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또, 도 15에 도시된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또, 도 15의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적 구성 및/또는 하드웨어적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모듈, 코드들, 코드 세그먼트들,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각 구성요소는 특정된 논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구성요소가 제공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복수의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일체화된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각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된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15)는 외부의 다른 장치, 즉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로부터 동물 제어 장치(15)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 생성부(511)는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를 기준으로 하여, 제2 위치 식별 장치(320)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 예컨대 좌표, 방향 등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위치 정보 생성부(511)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에 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정보는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제2 위치 식별 장치(320)의 방향에 관한 위치와 무관한 거리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거리 정보는 위치 정보에 내포된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제2 위치 식별 장치(320)는 상호 연동되어,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곧바로 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 시야 차단 결정부(512)는 상기 위치에 관한 정보 또는 거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야 차단 모듈(100)의 광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10) 또는 시야 차단 모듈(100)에 의한 광 투과율의 조절/제어는 광 투과율의 증가, 감소, 또는 유지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제2 위치 식별 장치(320)가 소정의 거리 이상 멀어질 경우 시야 차단 모듈(100)의 광 투과율이 감소하고, 동물의 시야가 부분적으로 가려지거나, 또는 전체적으로/부분적으로 어두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의 위치(예컨대, 사람의 위치)와 제2 위치 식별 장치(320)의 위치(예컨대, 동물의 위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일 때 시야 차단 모듈(100)(또는 그 액정 렌즈)은 제1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반면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제2 위치 식별 장치(320) 간의 거리가 멀어져 제1 거리 보다 먼 제2 거리일 때, 시야 차단 모듈(100)(또는 그 액정 렌즈)은 제1 광 투과율 보다 작은 제2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시야 차단 결정부(512)에 의한 광 투과율의 변화는 점진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제2 위치 식별 장치(320)의 거리가 어느 기준 거리(예컨대, 제1 거리 보다 멀고 제2 거리 보다 가까운 제3 거리) 보다 멀어질 경우 광 투과율을 정해진 만큼 한 단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기준 거리는 복수개로 제공되며,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제2 위치 식별 장치(320)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단계적으로 광 투과율이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제2 위치 식별 장치(320)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광 투과율이 점진적 또는 연속적으로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동작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5 또는 도 6 등에 기초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시스템(5)은 시각 장애인 안내견의 조련이나 훈련, 또는 시각 장애인의 안내 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안내견이 아닌 강아지의 산책 훈련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치 식별 장치(320) 또는 이것이 내장된 단말을 사람이 소지하고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시야 차단 모듈(100)이 내장된 동물 제어 장치(15)를 강아지에 부착할 수 있다. 만일 강아지가 사람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초과하여 또는 이상으로 멀어질 경우, 강아지의 시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강아지가 사람으로부터 너무 멀지 않은 적절한 거리 앞에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동물 시야의 차단은 전체적인 광 투과율의 감소 또는 일부 영역의 시야 차단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종래의 경우 강아지의 산책 습관을 훈련시키기 위해, 다시 말해서 강아지의 적절한 행동을 유도하거나 교정하기 위해 강아지의 목줄을 당겨 고통을 주는 부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를 제시하거나, 또는 적절한 태도로 산책했을 때 먹이나 간식을 주는 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를 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동물의 행동을 교정하였다. 위와 같은 부적 강화와 정적 강화는 동물 행동의 교정에 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사람은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물 제어 수단이 될 수 있으나, 동물에게 고통을 제공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고, 동물 행동 교정 전문가가 아닌 사람은 이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람이 직접 부적 강화법을 사용하지 않고, 그저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를 소지하고 동물과 걷는 과정에서, 다시 말해서 사람이 목줄을 당기는 등의 별도의 행동을 취하지 않고도 자연스레 동물로 하여금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시스템(6)은 제1 위치 식별 장치를 사람이 소지하여 동물과 함께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의 공간적 위치, 또는 절대적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점이 도 13 등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시스템과 상이한 점이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는 단말기와 같이 제공되거나, 또는 건축물 등에 부설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16은 제1 위치 식별 장치(310)가 단말로서 제공되고, 공원에서 사람이 휴식을 취하는 돗자리 위에 놓인 경우를 예시한다.
종래의 경우 사람이 동물을 신경쓰지 않고도 동물의 행동 반경을 제한하기 위해, 목줄을 강아지에게 채우고 목줄의 위치를 고정하여 동물의 행동 반경을 제한하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는 강아지에게 고통이 될 뿐 아니라 강아지가 충분한 영역을 이동하기에 장애가 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사람이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를 기준이 되는 어느 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동물을 신경쓰지 않고 휴식을 취하는 경우에도,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동물 제어 장치(15)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동물의 시야가 제한되기 때문에 강아지가 일정 거리 이상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동물로 하여금 어느 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하다 보면 시야가 어두워지거나 차단되고, 방향을 바꿔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면 어두운 시야가 유지되며, 방향을 바꿔 또 다른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면 시야가 밝아지거나 넓어지는 등의 자극을 줄 수 있어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을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물로 하여금 제1 위치 식별 장치(310)와 가까워지는 거리로 이동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시스템(6)은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당에서 기르는 강아지의 경우 울타리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집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마당에서 강아지를 기르는 경우에도 강아지에게 목줄을 채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마당 어느 위치에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를 배치하거나 설치하여 울타리의 유무와 무관하게 강이지의 행동을 교정하거나, 제어하거나,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 식별 장치(310)를 사람이 소지하지 않고 특정 장소에 놓아두거나 설치하는 경우, 제1 위치 식별 장치(310) 부근에 사람이 상주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등에도 동물의 행동 반경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3 또는 도 16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시스템에서 시야 차단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도 17을 더 참조하면, 시야 차단 모듈(100)의 액정 렌즈는 복수의 영역(PX), 즉 픽셀로 구획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 식별기(310)를 기준으로 제2 위치 식별기(320)가 어느 기준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거나, 또는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시야 차단 모듈(100)의 액정 렌즈가 전체적으로 대략 균일하게 광 투과율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액정 렌즈가 전체적으로 광 투과율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물로 하여금 시야가 어두워지도록 하고, 부적 강화를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것과 달리 액정 렌즈가 완전히 차광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도 18을 더 참조하면, 시야 차단 모듈(100)의 액정 렌즈는 복수의 영역(PX), 즉 픽셀로 구획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 식별기(310)를 기준으로 제2 위치 식별기(320)가 어느 기준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거나, 또는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시야 차단 모듈(100)의 액정 렌즈가 부분적으로만 광 투과율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액정 렌즈의 양측 가장자리의 픽셀들의 광 투과율이 감소할 수 있다. 반면 액정 렌즈의 중앙부의 픽셀들의 광 투과율은 초기 광 투과율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물로 하여금 시야가 좁아지도록 하고, 부적 강화를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동물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즉 제1 위치 식별기(310)로부터 너무 먼 거리까지 이동하는 경우에 동물의 시야를 완전히 차단할 경우 되려 동물에게 사고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시야를 개방하되,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방식으로 동물 행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것과 달리 액정 렌즈의 상측의 픽셀들만의 광 투과율이 감소하고, 하측의 픽셀들은 개방된 상태일 수도 있다.
제1 위치 식별 장치와 제2 위치 식별 장치가 소정 거리 이상/초과로 멀어질 경우, 시야 차단 모듈의 광 투과율이 부분적으로 변경, 즉 감소되어 동물의 시야가 부분적으로 가려지거나, 또는 전체적으로/부분적으로 어두워질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때, 동물은 스스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시야 차단 모듈의 광 투과율이 변화하는 것을 인지하고 본능적으로 제1 위치 식별 장치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동물의 행동 변화를 더욱 신속하게 유도하기 위해,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1 등과 전술한 바와 같이 시야 차단 모듈의 동물의 좌측 안부를 가리는 좌측의 광 투과부(예컨대, 제1 액정 렌즈, 또는 좌측 안부 커버)와 동물의 우측 안부를 가리는 우측의 광 투과부(예컨대, 제2 액정 렌즈, 또는 우측 안부 커버) 모두 일측 방향이 가려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액정 렌즈 및 제2 액정 렌즈가 모두 우측이 부분적으로 광 투과율이 감소할 경우, 동물로서는 우측의 시야가 안보이거나 어두워지는 것으로 느낄 수 있고, 이를 통해 시야가 밝게 개방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시야 차단 모듈의 픽셀들의 광 투과율의 변화로 인해 화살표 등의 다이어그램 형태의 지시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화살표 등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 부분은 광 투과율이 다른 픽셀들에 비해 더 높거나, 또는 더 낮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화살표 등의 이미지를 구성하지 않는 다른 픽셀 부분은, 전술한 도 17 등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위치 식별 장치와의 거리에 따라 광 투과율이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물이 좌측으로 이동할 경우 제1 위치 식별 장치와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좌측을 향하는 화살표 형태의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해당 픽셀의 광 투과율이 감소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 때 사전에 훈련되지 않은 동물로서는 좌측을 향하는 화살표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좌측 화살표가 출력된 상태에서 동물은 좌측으로 이동하거나, 우측으로 이동하는 등 시행 착오를 겪을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다른 픽셀 부분을 포함하여 시야가 밝아지고,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다른 픽셀 부분을 포함하여 시야가 어두워지는 등으로 시야 차단 모듈이 작동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동물로 하여금 좌측을 향하는 화살표가 출력되면 좌측으로 이동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훈련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제어 장치 및 그 시스템은 동물의 시야를 가리는 시야 차단 모듈의 광 투과율 감소를 부적 강화로 사용하고, 및/또는 광 투과율 감소를 정적 강화로 사용하여, 강아지와 사람이 산책할 때, 또는 강아지를 공원에 풀어놓을 때, 다시 말해서 일상 생활 중에서 사용자가 별도로 행동을 취하지 않더라도 동물의 본능에 기반한 동물 행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물의 시야를 가리는 시야 차단 모듈의 광 투과율의 감소를 부적 강화로, 및/또는 광 투과율의 감소를 정적 강화로 사용하여 특정 이미지(예컨대, 화살표)의 의미를 동물에게 교육하거나 훈련하거나 조련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외부의 다른 장치와의 거리에 관한 거리 정보 또는 위치에 기초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식별기; 및
    상기 위치 식별기의 생성 정보에 기초하여 동물의 시야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시야 차단기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장치와 위치 식별기의 거리가 제1 거리일 때, 상기 시야 차단기는 제1 광 투과율을 가지고,
    상기 다른 장치와 위치 식별기의 거리가 제1 거리 보다 먼 제2 거리일 때, 상기 시야 차단기는 제1 광 투과율 보다 작은 제2 광 투과율을 갖도록 구성된 동물 제어 장치.
  3. 제1 위치 식별기; 및
    제2 위치 식별기와 시야 차단기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위치 식별기는 제1 위치 식별기와 연동하여, 상호 간의 거리에 관한 정보 또는 제2 위치 식별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동물 제어 시스템.
  4.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컴퓨팅 장치의 위치 또는 상기 다른 장치와 컴퓨팅 장치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위치 또는 거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야 차단기의 광 투과율을 조절하는 광 투과율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물 제어 방법.
  5.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기준 위치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시야의 차단 정도 또는 시야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시야 차단 결정부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장치.
KR1020230016526A 2022-02-10 2023-02-08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KR20230121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50 2022-02-10
KR20220017650 2022-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004A true KR20230121004A (ko) 2023-08-17

Family

ID=8756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526A KR20230121004A (ko) 2022-02-10 2023-02-08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121004A (ko)
CN (1) CN117940013A (ko)
WO (1) WO202315366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1645B1 (en) 2001-05-03 2001-11-06 Joseph S. Brown Animal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3152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물의 이동 방향 제어 장치
JP5421179B2 (ja) * 2010-04-09 2014-02-19 公立大学法人大阪府立大学 動物活動計測装置
KR20130100815A (ko) * 2012-02-01 2013-09-12 (주)터보소프트 동물 생체정보 제어장치
US10609902B2 (en) * 2017-07-27 2020-04-07 Command Sight, Inc. Animal wearable head mountable display system
KR102485559B1 (ko) * 2020-08-11 2023-01-05 김대성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1645B1 (en) 2001-05-03 2001-11-06 Joseph S. Brown Animal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40013A (zh) 2024-04-26
WO2023153664A1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0598B2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US201803227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moting driver engagement using active feedback
US20230371476A1 (en) Corrective collar utilizing geolocation technology
US11224380B2 (en) Animal health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erformance
US9457803B2 (en) Method for activating a driver assistance system
US10417910B2 (en) Driving profiles for autonomous vehicles
US20230284592A1 (en) Animal control device and animal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117802B2 (en) Blind dog navigation system
JP2022113683A (ja) 車両用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27811B2 (ja) 集中度判定装置、集中度判定方法及び集中度判定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20210107017A (ko) 정보 처리 장치, 이동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US20220279760A1 (en) Corrective collar utilizing geolocation technology
KR20230121004A (ko) 동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제어 시스템
US20200288675A1 (en) Wearable sensor device to assist vision-impaired animal
Lewis-Evans et al. Contemporary models of behavioural adaptation
Enkhjargal et al. Rat thalamic neurons encode complex combinations of heading and movement directions and the trajectory route during translocation with sensory conflict
WO2022096942A1 (en) Ensemble of narrow ai agents for vehicles
EP3498090A1 (en) Automatic animal posture conditioning system
US20240206433A1 (en) Corrective collar utilizing geolocation technology and underground-wire fence
US20220222607A1 (en) Work system,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ltin Spatial orientation and exploration behavior of free-ranging domestic dogs
WO2024020654A1 (en) Equine control system
US20220267139A1 (en) Equine control system
Karlsson et al. Visual odometry in a freely-swimming fish
KR20220129952A (ko) 반려 동물을 위한 안전벨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