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411B1 -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411B1
KR102485411B1 KR1020180025316A KR20180025316A KR102485411B1 KR 102485411 B1 KR102485411 B1 KR 102485411B1 KR 1020180025316 A KR1020180025316 A KR 1020180025316A KR 20180025316 A KR20180025316 A KR 20180025316A KR 102485411 B1 KR102485411 B1 KR 102485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memory
program
controller
semiconductor memo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784A (ko
Inventor
이주영
정회승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5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411B1/ko
Priority to US16/144,088 priority patent/US11086722B2/en
Priority to CN201811212582.4A priority patent/CN110221992B/zh
Publication of KR2019010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05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based on arbitration
    • G06F13/1642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based on arbitration with request queu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9Command handling arrangements, e.g. command buffers, queues, command 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43Transmit or communication e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21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withi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66Error or fault reporting or storing
    • G06F11/0784Routing of error reports, e.g. with a specific transmission path or data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71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involving logging of persistent data for recov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06F13/1673Details of memory controller using buff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Improving I/O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Improving I/O performance
    • G06F3/0611Improving I/O performance in relation to response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06F3/0619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data integrity, e.g. data losses, bit e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6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8Controller construc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기술은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모리 시스템은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및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커맨드들을 큐잉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커맨드 큐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커맨드 큐들에 큐잉된 상기 복수의 커맨드들을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이 제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제1 반도체 메모리에 대응하는 제1 커맨드 큐를 홀딩시킨다.

Description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효율적으로 프로그램 페일을 처리할 수 있는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환경에 대한 패러다임(paradigm)이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로 인해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는 메모리 시스템, 다시 말해 데이터 저장 장치를 사용한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주 기억 장치 또는 보조 기억 장치로 사용된다.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는 기계적인 구동부가 없어서 안정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며, 또한 정보의 액세스 속도가 매우 빠르고 전력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갖는 메모리 시스템의 일 예로 데이터 저장 장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장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메모리 카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시 하나의 반도체 메모리에서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할 경우 효율적으로 프로그램 페일을 처리할 수 있는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및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커맨드들을 큐잉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커맨드 큐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커맨드 큐들에 큐잉된 상기 복수의 커맨드들을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이 제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제1 반도체 메모리에 대응하는 제1 커맨드 큐를 홀딩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및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커맨드들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커맨드들을 큐잉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커맨드 큐들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서부; 상기 복수의 커맨드 큐들에 큐잉된 상기 복수의 커맨드들을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이 제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플래쉬 제어부; 및 상기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제1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메모리 장치로 출력하거나,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상기 호스트로 출력하기 위한 메모리 버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래쉬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제1 반도체 메모리에 대응하는 제1 커맨드 큐를 홀딩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커맨드들을 큐잉하여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커맨드 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커맨드 큐들에 큐잉된 상기 복수의 커맨드들을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의 제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제1 반도체 메모리에 대응하는 제1 커맨드 큐를 홀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중 상기 제1 반도체 메모리를 제외한 제2 반도체 메모리들의 상기 제반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반도체 메모리의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시 하나의 반도체 메모리에서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할 경우, 나머지 반도체 메모리들에 대응하는 커맨드들을 정상적으로 처리한 후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의 프로그램 페일을 처리함으로써, 프로그램 페일 처리를 위해 큐잉된 커맨드들을 다시 큐잉하는 동작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도체 메모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메모리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맨드 큐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서술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Memory System; 1000)은 메모리 장치(Memory Device; 1100), 컨트롤러(Controller; 1200), 및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 1300)를 포함한다.
메모리 장치(1100)는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 100)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들은 복수의 그룹들로 분할될 수 있다.
도 1에서, 복수의 그룹들은 각각 제 1 내지 제 n 채널들(CH1~CHn)을 통해 컨트롤러(1200)와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 반도체 메모리(100)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각 그룹은 하나의 공통 채널을 통해 컨트롤러(12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1200)는 복수의 채널들(CH1~CHk)을 통해 메모리 장치(1100)의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1200)는 호스트(Host; 1400)와 메모리 장치(1100) 사이에 연결된다. 컨트롤러(1200)는 호스트(1400)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1100)를 액세스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0)는 호스트(1400)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1100)의 리드, 프로그램, 이레이즈, 그리고 배경(background) 동작 등과 같은 제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1200)는 메모리 장치(1100) 및 호스트(140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1200)는 메모리 장치(1100)를 제어하기 위한 펌웨어(firmware)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1200)는 메모리 장치(1100)에 포함된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메모리가 프로그램 동작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할 경우,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에 대응하는 커맨드 큐의 커맨드 출력 동작을 홀딩처리하고, 나머지 반도체 메모리들에 대응하는 커맨드 큐는 정상적으로 커맨드를 출력하여 나머지 반도체 메모리들이 출력된 커맨드에 대응하는 제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1200)는 나머지 반도체 메모리들의 제반 동작이 완료된 후,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에 대한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을 수행하고,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가 재 큐잉된 커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버퍼 메모리(1300)는 호스트(1400)로부터 요청에 따라 리드 동작시 메모리 장치(1100)로부터 리드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호스트(1400)로 출력하거나, 프로그램 동작시 호스트(14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메모리 장치(1100)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버퍼 메모리(1300)가 컨트롤러(1200)와 구분되는 구성 요소로 도시 및 설명되었으나, 컨트롤러(1200)가 버퍼 메모리(1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스트(1400)는 메모리 시스템(1000)을 제어한다. 호스트(1400)는 컴퓨터, PDA, PMP, MP3 플레이어, 카메라, 캠코더, 모바일 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호스트(1400)는 메모리 시스템(1000)의 프로그램 동작, 리드 동작, 이레이즈 동작 등을 커맨드를 통해 요청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0) 및 메모리 장치(1100)는 하나의 반도체 장치로 집적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로서, 컨트롤러(1200) 및 메모리 장치(1100)는 하나의 반도체 장치로 집적되어, 메모리 카드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200) 및 메모리 장치(1100)는 하나의 반도체 장치로 집적되어 PC 카드(PCMCIA, 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컴팩트 플래시 카드(CF), 스마트 미디어 카드(SM, SMC),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MMC, RS-MMC, MMCmicro), SD 카드(SD, miniSD, microSD, SDHC), 유니버설 플래시 기억장치(UFS) 등과 같은 메모리 카드를 구성할 것이다.
컨트롤러(1200) 및 메모리 장치(1100)는 하나의 반도체 장치로 집적되어 반도체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를 구성할 수 있다. 반도체 드라이브(SSD)는 반도체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메모리 시스템(1000)이 반도체 드라이브(SSD)로 이용되는 경우, 메모리 시스템(1000)에 연결된 호스트(1400)의 동작 속도는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다른 예로서, 메모리 시스템(1000)은 컴퓨터, UMPC (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블랙박스(black box),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3차원 수상기(3-dimensional television),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정보를 무선 환경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 중 하나,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 중 하나, 텔레매틱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 중 하나, RFID 장치, 또는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중 하나 등과 같은 전자 장치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 중 하나로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 예로서, 메모리 장치(1100) 또는 메모리 시스템(1000)은 다양한 형태들의 패키지로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장치(1100) 또는 메모리 시스템(1000)은 PoP(Package on Package), Ball grid arrays(BGAs), Chip scale packages(CSPs), Plastic Leaded Chip Carrier(PLCC), Plastic Dual In Line Package(PDIP), Die in Waffle Pack, Die in Wafer Form, Chip On Board(COB), Ceramic Dual In Line Package(CERDIP), Plastic Metric Quad Flat Pack(MQFP), Thin Quad Flatpack(TQFP), Small Outline(SOIC), Shrink Small Outline Package(SSOP), Thin Small Outline(TSOP), Thin Quad Flatpack(TQFP), System In Package(SIP), Multi Chip Package(MCP), Wafer-level Fabricated Package(WFP), Wafer-Level Processed Stack Package(WSP) 등과 같은 방식으로 패키지화되어 실장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200)는 호스트 제어부(1210), 프로세서부(1220), 메모리 버퍼부(1230), 플래쉬 제어부(1240), 호스트 인터페이스(1250), 버퍼 제어부(1260), 버퍼 메모리 인터페이스(1270), 에러 정정부(1280), 플래쉬 인터페이스(1290), 및 버스(131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310)는 컨트롤러(1200)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채널(channel)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스트 제어부(1210)는 도 1의 호스트(1400)와 호스트 인터페이스(1250) 및 컨트롤러 버퍼 메모리, 즉 메모리 버퍼부(1230) 또는 도 1의 버퍼 메모리(1300) 간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로서 호스트 제어부(1210)는 호스트(140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호스트 인터페이스(1250)를 거쳐 메모리 버퍼부(1230) 또는 버퍼 메모리(1300)에 버퍼링(buffering) 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호스트 제어부(1210)는 메모리 버퍼부(1230) 또는 버퍼 메모리(1300)에 버퍼링(buffering)된 데이터를 호스트 인터페이스(1250)를 거쳐 호스트(1400)로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20)는 컨트롤러(1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고, 논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2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1250)를 통해 도 1의 호스트(1400)와 통신하고, 플래쉬 인터페이스(1290)를 통해 도 1의 메모리 장치(11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220)는 버퍼 메모리 인터페이스(1270)를 통해 도 1의 버퍼 메모리(13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220)는 버퍼 제어부(1260)를 통해 메모리 버퍼부(12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20)는 메모리 버퍼부(1230)를 동작 메모리,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또는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로 사용하여 메모리 시스템(1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220)는 컨트롤러(1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플래시 변환 계층(FTL: Flash Translation Layer, 이하 'FTL'이라 칭하기로 함)이라 불리는 펌웨어(firmware)를 구동한다. FTL은 메모리 버퍼부(123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20)는 호스트(1400)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시켜 복수의 커맨드 큐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커맨드 큐 각각은 메모리 장치(1100)의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 각각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세서부(1220)는 메모리 장치(1100)의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메모리가 프로그램 동작 시 프로그램 동작 페일로 판단될 경우,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20)는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100)로부터 프로그램 페일에 대한 보고(report)를 수신하여 프로그램 페일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 시 프로세서부(1220)는 프로그램 동작 페일로 판단된 반도체 메모리의 페이지 버퍼 그룹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메모리 버퍼부(1230) 또는 버퍼 메모리(1300)에 저장하고, 커맨드 큐에 큐잉되어 있던 페일된 프로그램 커맨드의 어드레스를 변경하여 커맨드 큐에 다시 큐잉시킨다. 이때 프로세서부(1220)는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에 대응하는 커맨드 큐 중 프로그램 동작이 페일된 어드레스와 동일한 어드레스를 갖는 리드 커맨드를 서치하고, 리드 커맨드가 존재할 경우 리드 커맨드를 제거하거나 리드 커맨드의 어드레스를 앞서 변경된 어드레스로 수정하여 수정된 리드 커맨드를 포함하는 커맨드들을 다시 큐잉시킬 수 있다.
메모리 버퍼부(1230)는 프로세서부(1220)의 동작 메모리, 캐시 메모리 또는 버퍼 메모리로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 버퍼부(1230)는 프로세서부(1220)가 실행하는 코드들 및 커맨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버퍼부(1230)는 프로세서부(122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버퍼부(1230)는 SRAM(Static RAM), 또는 DRAM(Dynamic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버퍼부(1230)는 프로세서부(1220)에 의해 큐잉된 복수의 커맨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플래쉬 제어부(1240)는 복수의 커맨드 큐들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1100)의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들을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를 출력한다. 또한 플래쉬 제어부(1240)는 메모리 장치(1100)의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들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에 대응하는 커맨드 큐를 홀딩하여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의 출력을 중지시키거나, 홀딩된 커맨드 큐를 홀딩 해제하여 중지된 커맨드 출력을 재개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플래쉬 제어부(1240)는 프로세서부(1220)의 구성 요소로서 프로세서부(1220)에 포함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1250)는 프로세서부(1220)의 제어에 따라, 도 1의 호스트(14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호스트 인터페이스(1250)는 USB (Universal Serial Bus), SATA (Serial AT Attachment), SAS (Serial Attached SCSI), HSIC (High Speed Interchip), SCSI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PCI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on), PCIe (PCI express), NVMe (NonVolatile Memory express), UFS (Universal Flash Storage), SD (Secure Digital), MMC (MultiMedia Card), eMMC (embedded MMC), DIMM (Dual In-line Memory Module), RDIMM (Registered DIMM), LRDIMM (Load Reduced DIMM)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퍼 제어부(1260)는 프로세서부(122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 버퍼부(12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퍼 메모리 인터페이스(1270)는 프로세서부(1220)의 제어에 따라 도 1의 버퍼 메모리(13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퍼 메모리 인터페이스(1270)는 채널을 통해 커맨드, 어드레스 및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1300)와 통신할 수 있다.
에러 정정부(1280)는 에러 정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에러 정정부(1280)는 플래쉬 인터페이스(1290)를 통해 도 1의 메모리 장치(1100)에 기입될 데이터에 기반하여 에러 정정 인코딩(ECC en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에러 정정 인코딩된 데이터는 플래쉬 인터페이스(1290)를 통해 메모리 장치(1100)로 전달될 수 있다. 에러 정정부(1280)는 메모리 장치(1100)로부터 플래쉬 인터페이스(129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에러 정정 디코딩(ECC 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에러 정정부(1280)는 플래쉬 인터페이스(1290)의 구성 요소로서 플래쉬 인터페이스(1290)에 포함될 수 있다.
플래쉬 인터페이스(1290)는 프로세서부(1220)의 제어에 따라, 도 1의 메모리 장치(11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플래쉬 인터페이스(1290)는 채널을 통해 커맨드 제어 신호들, 어드레스 및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11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플래쉬 인터페이스(1290)는 메모리 장치(1100)가 동작 수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거나 에러가 발생하여 동작 실패할 경우 이에 대한 보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반도체 메모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100)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BLK1~BLKz)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110),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BLK1~BLKz)의 선택된 페이지에 포함된 메모리 셀들의 프로그램 동작, 리드 동작, 또는 이레이즈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주변회로(PERI)를 포함한다. 주변회로(PERI)는 제어 회로(120), 전압 공급 회로(130), 페이지 버퍼 그룹(140), 컬럼 디코더(150) 및 입출력 회로(160)를 포함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110)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BLK1~BLKz)을 포함한다.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BLK1~BLKz) 각각은 복수의 페이지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페이지들 각각은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복수의 메모리 셀들은 불휘발성(non volatile) 메모리 셀들이다.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제어 회로(120)는 외부로부터 입출력 회로(160)를 통해 입력되는 커맨드(CMD)에 응답하여 리드 동작, 프로그램 동작, 또는 이레이즈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전압 제어 신호(VCON)를 출력하고, 동작의 종류에 따라 페이지 버퍼 그룹(140)에 포함된 페이지 버퍼들(PB1~PBk)을 제어하기 위한 PB 제어 신호(PBCON)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 회로(120)는 입출력 회로(16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ADD)에 응답하여 로우 어드레스 신호(RADD)와 컬럼 어드레스 신호(CADD)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 회로(120)는 프로그램 동작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경우, 이를 프로세서부(도 2의 1220)로 보고(report)할 수 있다.
전압 공급 회로(130)는 제어 회로(120)의 전압 제어 신호(VCON)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들의 프로그램 동작, 리드 동작 및 이레이즈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압들을 선택된 메모리 블록의 드레인 셀렉트 라인, 워드라인들(WLs) 및 소스 셀렉트 라인을 포함하는 로컬 라인들로 공급한다. 이러한 전압 공급 회로(130)는 전압 생성 회로 및 로우 디코더를 포함한다.
전압 생성 회로는 제어 회로(120)의 전압 제어 신호(VCON)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들의 프로그램 동작, 리드 동작 및 이레이즈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압들을 글로벌 라인들로 출력한다.
로우 디코더는 제어 회로(120)의 로우 어드레스 신호들(RADD)에 응답하여, 전압 생성 회로에서 글로벌 라인들로 출력된 동작 전압들이 메모리 셀 어레이(110)에서 선택된 메모리 블록의 로컬 라인들로 전달될 수 있도록 글로벌 라인들과 로컬 라인들을 연결한다.
페이지 버퍼 그룹(140)은 비트라인들(BL1~BLk)을 통해 메모리 셀 어레이(110)와 연결되는 다수의 페이지 버퍼들(PB1~PBk)을 각각 포함한다. 페이지 버퍼 그룹(140)의 페이지 버퍼들(PB1~PBk)은 제어 회로(120)의 PB 제어 신호(PBCON)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들에 저장하기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DATA)에 따라 비트라인들(BL1~BLk)을 선택적으로 프리차지하거나, 메모리 셀들로부터 데이터(DATA)를 리드하기 위하여 비트라인들(BL1~BLk)의 전압을 센싱한다.
컬럼 디코더(150)는 제어 회로(120)에서 출력된 컬럼 어드레스 신호(CADD)에 응답하여 페이지 버퍼 그룹(140)에 포함된 페이지 버퍼들(PB1~PBk)을 선택한다. 즉, 컬럼 디코더(150)는 메모리 셀들에 저장될 데이터(DATA)를 컬럼 어드레스 신호(CADD)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페이지 버퍼들(PB1~PBk)로 전달한다. 또한, 리드 동작에 의해 페이지 버퍼들(PB1~PBk)에 래치된 메모리 셀들의 데이터(DATA)가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컬럼 어드레스 신호(CADD)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페이지 버퍼들(PB1~PBk)을 선택한다.
입출력 회로(160)는 프로그램 동작 시 메모리 셀들에 저장하기 위해 입력된 데이터(DATA)를 페이지 버퍼 그룹(140)으로 입력하기 위하여 제어 회로(120)의 제어에 따라 컬럼 디코더(150)에 전달한다. 컬럼 디코더(150)는 입출력 회로(16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DATA)를 페이지 버퍼 그룹(140)의 페이지 버퍼들(PB1~PBk)로 전달하면 페이지 버퍼들(PB1~PBk)은 입력된 데이터(DATA)를 내부의 래치 회로에 저장한다. 또한, 리드 동작 시 입출력 회로(160)는 페이지 버퍼 그룹(140)의 페이지 버퍼들(PB1~PBk)로부터 컬럼 디코더(150)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DATA)를 외부로 출력한다.
도 4는 도 3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모리 셀 어레이(110)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BLK1~BLKz)을 포함한다. 각 메모리 블록은 3차원 구조를 갖는다. 각 메모리 블록은 기판 위에 적층된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메모리 셀들은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각 메모리 블록의 구조는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메모리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메모리 블록은 비트라인들(BL1~BLk)과 공통 소스 라인(CSL) 사이에 연결된 다수의 스트링들(ST1~STk)을 포함한다. 즉, 스트링들(ST1~STk)은 대응하는 비트 라인들(BL1~BLk)과 각각 연결되고 공통 소스 라인(CSL)과 공통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스트링(ST1)은 소스가 공통 소스 라인(CSL)에 연결되는 소스 셀렉트 트랜지스터(SST), 복수의 메모리 셀들(C01~Cn1), 그리고 드레인이 비트라인(BL1)에 연결되는 드레인 셀렉트 트랜지스터(DST)를 포함한다. 메모리 셀들(C01~Cn1)은 셀렉트 트랜지스터들(SST, DST)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소스 셀렉트 트랜지스터(SST)의 게이트는 소스 셀렉트 라인(SSL)에 연결되고, 메모리 셀들(C01~Cn1)의 게이트들은 워드라인들(WL0~WLn)에 각각 연결되며, 드레인 셀렉트 트랜지스터(DST)의 게이트는 드레인 셀렉트 라인(DSL)에 연결된다.
메모리 블록에 포함된 메모리 셀들은 물리적 페이지 단위 또는 논리적 페이지 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워드라인(예, WL0)에 연결된 메모리 셀들(C01~C0k)이 하나의 물리적 페이지(PAGE0)를 구성한다. 이러한 페이지는 프로그램 동작 또는 리드 동작의 기본 단위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맨드 큐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스트(1400)로부터 복수의 커맨드들이 입력된다(S610). 복수의 커맨드들은 프로그램 커맨드, 리드 커맨드, 이레이즈 커맨드일 수 있다.
컨트롤러(1200)의 프로세서부(1220)는 호스트(1400)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큐잉시켜 복수의 커맨드 큐를 생성한다(S620). 복수의 커맨드 큐 각각은 메모리 장치(1100)의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 각각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커맨드 큐(Q1 내지 Qy) 각각은 복수의 커맨드들이 우선 순위에 따라 큐잉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맨드 큐(Q1)는 제1 커맨드(CMD1_1) 내지 제N 커맨드(CMD1_N)이 순서대로 큐잉되어 있고, 제2 커맨드 큐(Q2)는 제1 커맨드(CMD2_1) 내지 제N 커맨드(CMD2_N)이 순서대로 큐잉되어 있고, 제x 커맨드 큐(Qx)는 제1 커맨드(CMDx_1) 내지 제N 커맨드(CMDx_N)이 순서대로 큐잉되어 있고, 제y 커맨드 큐(Qy)는 제1 커맨드(CMDy_1) 내지 제N 커맨드(CMDy_N)이 순서대로 큐잉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각 커맨드 큐가 동일한 수의 커맨드들이 큐잉된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 커맨드 큐의 큐잉된 커맨드 수는 경우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플래쉬 제어부(1240)는 복수의 커맨드 큐들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1100)의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들을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를 출력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커맨드 큐(Q1 내지 Qy) 각각은 커맨드 출력 동작에 의해 큐잉된 순서에 따라 커맨드들을 출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N 커맨드들(CMD1_N, CMD2_N, ..., CMDx_N, CMDy_N)이 먼저 출력되고, 그 다음으로 왼쪽 방향에 배치된 커맨드들이 순서대로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들 각각은 플래쉬 제어부(1240)에서 출력되는 커맨드에 응답하여 커맨드에 대응하는 제반 동작을 수행한다(S630). 이때, 제x 커맨드 큐(Qx)에서 출력되는 제N 커맨드(CMDx_N)는 프로그램 커맨드라고 가정하면, 제x 커맨드 큐(Qx)에 대응하는 메모리 장치(1100)의 반도체 메모리(100)는 제N 커맨드(CMDx_N)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세서부(1220)는 메모리 장치(1100)의 동작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하는 지를 검출한다(S640).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들은 플래쉬 제어부(1240)에서 출력되는 커맨드들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동작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할 경우 이를 컨트롤러(1200)의 프로세서부(1220)으로 보고(report)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20)는 반도체 메모리(100)로부터 수신되는 보고(report)에 따라 프로그램 페일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들이 제반 동작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아니오),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들은 계속적으로 수신되는 다음 커맨드들에 응답하여 다음 제반 동작들을 수행하며, 복수의 커맨드 큐(Q1 내지 Qy)에 큐잉된 모든 커맨드들에 대한 동작을 완료한 후 종료될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메모리가 프로그램 동작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할 경우(예), 플래쉬 제어부(1240)는 프로세서부(122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 장치(1100)의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100)들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에 대응하는 커맨드 큐를 홀딩하여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의 출력을 중지시킨다(S650). 예를 들어 도 7의 제x 커맨드 큐(Qx)에 대응하는 반도체 메모리(100)가 프로그램 커맨드인 제N 커맨드(CMDx_N)에 대응하는 동작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할 경우, 플래쉬 제어부(1240)는 제x 커맨드 큐(Qx)를 홀딩 처리한다.
플래쉬 제어부(1240)는 홀딩 처리된 제x 커맨드 큐(Qx)를 제외한 나머지 커맨드 큐(Q1, Q2, ..., Qy)에 큐잉된 커맨드들을 출력하고,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를 제외한 나머지 반도체 메모리들은 플래쉬 제어부(1240)에서 출력되는 커맨드들에 응답하여 제반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S660).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를 제외한 나머지 반도체 메모리들이 제x 커맨드 큐(Qx)를 제외한 나머지 커맨드 큐(Q1, Q2, ..., Qy)에 큐잉된 커맨드들에 대응하는 제반 동작을 모두 완료한 경우, 프로세서부(1220)는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에 대한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을 수행한다(S670).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 시 프로세서부(1220)는 프로그램 동작 페일로 판단된 반도체 메모리의 페이지 버퍼 그룹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메모리 버퍼부(1230) 또는 버퍼 메모리(1300)에 저장하도록 플래쉬 인터페이스(1290), 버퍼 제어부(1260) 또는 버퍼 메모리 인터페이스(1270)를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부(1220)는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에 대응하는 커맨드 큐에 큐잉되어 있던 페일된 프로그램 커맨드의 어드레스를 변경하여 커맨드 큐에 다시 큐잉시킨다. 또한 프로세서부(1220)는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에 대응하는 커맨드 큐 중 프로그램 동작이 페일된 어드레스와 동일한 어드레스를 갖는 리드 커맨드를 서치(search)하고, 리드 커맨드가 존재할 경우 리드 커맨드를 제거하거나 리드 커맨드의 어드레스를 앞서 변경된 어드레스로 수정하여 수정된 리드 커맨드를 포함하는 커맨드들을 다시 큐잉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에 대응하는 제x 커맨드 큐(Qx)에 큐잉되어 있던 페일된 프로그램 커맨드인 제N 커맨드(CMDx_N)의 어드레스(예를 들어 블록 어드레스)를 변경하여 새로운 커맨드(CMDx'_N)를 생성하고, 이를 제x 커맨드 큐(Qx)에 큐잉시킨다. 또한 제x 커맨드 큐(Qx) 중 프로그램 동작이 페일된 어드레스(예를 들어 블록 어드레스)와 동일한 어드레스를 갖는 리드 커맨드를 서치하고, 리드 커맨드가 존재할 경우(예를 들어 CMDx_2), 리드 커맨드(CMDx_2)를 제거하거나 리드 커맨드(CMDx_2)의 어드레스를 앞서 변경된 어드레스로 수정하여 새로운 리드 커맨드(CMDx'_2)를 생성하고, 이를 제x 커맨드 큐(Qx)에 큐잉시킨다.
플래쉬 제어부(1240)는 홀딩된 제x 커맨드 큐(Qx)를 홀딩 해제하여 중지된 커맨드 출력을 재개시킨다(S680).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반도체 메모리는 플래쉬 제어부(1240)에서 출력되는 커맨드들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690).
도 8은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Memory System; 30000)은 이동 전화기(cellular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무선 교신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30000)은 메모리 장치(1100)와 상기 메모리 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1200)는 프로세서(Processor; 310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 장치(1100)의 데이터 액세스 동작, 예컨대 프로그램(program) 동작, 이레이즈(erase) 동작 또는 리드(read)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100)에 프로그램된 데이터는 메모리 컨트롤러(12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Display; 320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무선 송수신기(RADIO TRANSCEIVER; 3300)는 안테나(ANT)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송수신기(3300)는 안테나(ANT)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를 프로세서(3100)에서 처리(process)될 수 있는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3100)는 무선 송수신기(33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처리(process)하고 처리(process)된 신호를 메모리 컨트롤러(1200) 또는 디스플레이(320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1200)는 프로세서(3100)에 의하여 처리(process)된 신호를 메모리 장치(1100)에 프로그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수신기(3300)는 프로세서(31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경하고 변경된 무선 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장치(Input Device; 3400)는 프로세서(3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또는 프로세서(3100)에 의하여 처리(process)될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터치 패드(touch pad)와 컴퓨터 마우스(computer mouse)와 같은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 키패드(keypad) 또는 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100)는 컨트롤러(12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무선 송수신기(33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또는 입력 장치(34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320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3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 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1200)는 프로세서(310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3100)와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컨트롤러(1200)는 도 2에 도시된 컨트롤러(1200)의 예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Memory System; 40000)은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넷-북(net-book), e-리더(e-read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또는 MP4 플레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40000)은 메모리 장치(Memory Device; 1100)와 메모리 장치(1100)의 데이터 처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 12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Processor; 4100)는 입력 장치(Input Device; 420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메모리 장치(1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Display; 430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장치(4200)는 터치 패드 또는 컴퓨터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 키패드, 또는 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0)는 메모리 시스템(40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 컨트롤러(1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 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1200)는 프로세서(4100)의 일부로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4100)와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컨트롤러(1200)는 도 2에 도시된 컨트롤러(1200)의 예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50000)은 이미지 처리 장치,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 전화기,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스마트 폰, 또는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태블릿 PC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50000)은 메모리 장치(Memory Device; 1100)와 상기 메모리 장치(1100)의 데이터 처리 동작, 예컨대 프로그램 동작, 이레이즈 동작 또는 리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1200)를 포함한다.
메모리 시스템(50000)의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5200)는 광학 이미지를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들은 프로세서(Processor; 5100)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1200)로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5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들은 디스플레이(Display; 5300)를 통하여 출력되거나 컨트롤러(1200)를 통하여 메모리 장치(11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1100)에 저장된 데이터는 프로세서(5100)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12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530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 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1200)는 프로세서(5100)의 일부로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5100)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컨트롤러(1200)는 도 2에 도시된 컨트롤러(1200)의 예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Memory System; 70000)은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또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70000)은 메모리 장치(Memory Device; 1100),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 1200) 및 카드 인터페이스(Card Interface; 71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1200)는 메모리 장치(1100)와 카드 인터페이스(7100)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카드 인터페이스(7100)는 SD(secure digital)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메모리 컨트롤러(1200)는 도 2에 도시된 컨트롤러(1200)의 예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카드 인터페이스(7100)는 호스트(HOST; 60000)의 프로토콜에 따라 호스트(60000)와 메모리 컨트롤러(1200)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을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카드 인터페이스(71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프로토콜, IC(InterChip)-USB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인터페이스는 호스트(60000)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하드웨어, 상기 하드웨어에 탑재된 소프트웨어 또는 신호 전송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70000)이 PC,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이동 전화기, 콘솔 비디오 게임 하드웨어, 또는 디지털 셋-탑 박스와 같은 호스트(60000)의 호스트 인터페이스(6200)와 접속될 때, 호스트 인터페이스(62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6100)의 제어에 따라 카드 인터페이스(7100)와 메모리 컨트롤러(1200)를 통하여 메모리 장치(1100)와 데이터 교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와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모든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의 대상이 되거나 생략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예에서 단계들은 반드시 순서대로 일어날 필요는 없으며, 뒤바뀔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메모리 시스템
1100 : 메모리 장치
1200 : 컨트롤러
1300 : 버퍼 메모리
1400 : 호스트
1210 : 호스트 제어부
1220 : 프로세서부
1230 : 메모리 버퍼부
1240 : 플래쉬 제어부
1250 : 호스트 인터페이스
1260 : 버퍼 제어부
1270 : 버퍼 메모리 인터페이스
1280 : 에러 정정부
1290 : 플래쉬 인터페이스
1310 : 버스

Claims (23)

  1. 하나의 채널에 연결된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및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커맨드들을 큐잉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커맨드 큐들을 생성하고, 상기 하나의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각각에 상기 복수의 커맨드들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이 상기 복수의 커맨드들에 대응되는 제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제1 반도체 메모리에 대응하는 제1 커맨드 큐에 포함된 커맨드를 홀딩시키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중 상기 제1 반도체 메모리를 제외한 제2 반도체 메모리들이 상기 제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반도체 메모리들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반도체 메모리들의 상기 제반 동작이 완료된 뒤 상기 제1 반도체 메모리의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에서 상기 홀딩된 커맨드의 어드레스를 변경하여 새로운 프로그램 커맨드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프로그램 커맨드를 상기 제1 커맨드 큐에 다시 큐잉하는, 메모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시 상기 제1 반도체 메모리의 페이지 버퍼 그룹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커맨드 큐에 큐잉된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프로그램 커맨드의 어드레스를 새로운 어드레스로 변경하여 상기 새로운 프로그램 커맨드를 생성하는 메모리 시스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커맨드 큐에 상기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상기 프로그램 커맨드의 어드레스와 동일한 어드레스를 갖는 리드 커맨드를 서치(search)하는 메모리 시스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서치된 상기 리드 커맨드의 상기 어드레스를 상기 새로운 어드레스로 변경하여 새로운 리드 커맨드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리드 커맨드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커맨드 큐를 다시 큐잉하는 메모리 시스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서치된 상기 리드 커맨드를 제거하여 상기 제1 커맨드 큐를 다시 큐잉하는 메모리 시스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 후, 다시 큐잉된 상기 제1 커맨드 큐를 홀딩해제하여 상기 제1 커맨드 큐에 큐잉된 상기 복수의 커맨드들을 출력시켜 상기 제1 반도체 메모리가 상기 제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메모리 시스템.
  9. 하나의 채널에 연결된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및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커맨드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커맨드들을 큐잉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커맨드 큐들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서부;
    상기 하나의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각각에 상기 복수의 커맨드들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이 상기 복수의 커맨드들에 대응되는 제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플래쉬 제어부; 및
    상기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제1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로 출력하거나,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로부터 수신되는 제2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상기 호스트로 출력하기 위한 메모리 버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래쉬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제1 반도체 메모리에 대응하는 제1 커맨드 큐에 포함된 커맨드를 홀딩시키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중 상기 제1 반도체 메모리를 제외한 제2 반도체 메모리들이 상기 제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반도체 메모리들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반도체 메모리들의 상기 제반 동작이 완료된 뒤 상기 제1 반도체 메모리의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에서 상기 홀딩된 커맨드의 어드레스를 변경하여 새로운 프로그램 커맨드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프로그램 커맨드를 상기 제1 커맨드 큐에 다시 큐잉하는, 메모리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시 상기 제1 반도체 메모리의 페이지 버퍼 그룹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여 상기 메모리 버퍼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제1 커맨드 큐에 큐잉된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프로그램 커맨드의 어드레스를 새로운 어드레스로 변경하여 상기 새로운 프로그램 커맨드를 생성하는 메모리 시스템.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제1 커맨드 큐에 상기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상기 프로그램 커맨드의 어드레스와 동일한 어드레스를 갖는 리드 커맨드를 서치하는 메모리 시스템.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서치된 상기 리드 커맨드의 상기 어드레스를 상기 새로운 어드레스로 변경하여 새로운 리드 커맨드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리드 커맨드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커맨드 큐를 다시 큐잉하는 메모리 시스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서치된 상기 리드 커맨드를 제거하여 상기 제1 커맨드 큐를 다시 큐잉하는 메모리 시스템.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 후, 다시 큐잉된 상기 제1 커맨드 큐를 홀딩해제하여 상기 제1 커맨드 큐에 큐잉된 상기 복수의 커맨드들을 출력시켜 상기 제1 반도체 메모리가 상기 제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메모리 시스템.
  17. 컨트롤러에서,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커맨드들을 큐잉하여 하나의 채널에 연결된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커맨드 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하나의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각각에 상기 복수의 커맨드들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의 제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중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제1 반도체 메모리에 대응하는 제1 커맨드 큐에 포함된 커맨드를 홀딩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들 중 상기 제1 반도체 메모리를 제외한 제2 반도체 메모리들의 상기 제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2 반도체 메모리들의 상기 제반 동작이 완료된 뒤 상기 제1 반도체 메모리의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홀딩된 커맨드의 어드레스를 변경하여 새로운 프로그램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커맨드 큐에 상기 새로운 프로그램 커맨드를 다시 큐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8. 삭제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반도체 메모리의 페이지 버퍼 그룹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여 메모리 버퍼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프로그램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커맨드 큐에 큐잉된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프로그램 커맨드의 어드레스를 새로운 어드레스로 변경하여 상기 새로운 프로그램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프로그램 페일 복구 동작을 수행한 후, 다시 큐잉된 상기 제1 커맨드 큐를 홀딩해제하여 상기 제1 커맨드 큐에 큐잉된 상기 복수의 커맨드들을 출력시켜 상기 제1 반도체 메모리가 상기 제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새로운 프로그램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 이 후, 상기 제1 커맨드 큐에 상기 프로그램 페일이 발생한 상기 프로그램 커맨드의 어드레스와 동일한 어드레스를 갖는 리드 커맨드를 서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리드 커맨드의 상기 어드레스를 상기 새로운 어드레스로 변경하여 새로운 리드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새로운 리드 커맨드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커맨드 큐를 다시 큐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리드 커맨드를 서치하는 단계 이 후, 서치된 상기 리드 커맨드를 제거하여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80025316A 2018-03-02 2018-03-02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485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316A KR102485411B1 (ko) 2018-03-02 2018-03-02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6/144,088 US11086722B2 (en) 2018-03-02 2018-09-27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01811212582.4A CN110221992B (zh) 2018-03-02 2018-10-18 存储器系统以及存储器系统的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316A KR102485411B1 (ko) 2018-03-02 2018-03-02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784A KR20190104784A (ko) 2019-09-11
KR102485411B1 true KR102485411B1 (ko) 2023-01-06

Family

ID=6776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316A KR102485411B1 (ko) 2018-03-02 2018-03-02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86722B2 (ko)
KR (1) KR102485411B1 (ko)
CN (1) CN1102219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4551B1 (en) * 2018-06-22 2020-01-14 Micron Technology, Inc. Managing write operations during a power loss
JP7258697B2 (ja) * 2019-09-02 2023-04-17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20210043819A (ko) * 2019-10-14 2021-04-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컨트롤러 및 컨트롤러의 동작방법
KR20220025558A (ko) * 2020-08-24 2022-03-0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스토리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20171572A1 (en) * 2020-12-01 2022-06-02 Micron Technology, Inc. Queue configuration for host interface
KR20220094726A (ko) * 2020-12-29 202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컨트롤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스토리지 장치
CN112732501B (zh) * 2021-01-07 2023-02-24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测试方法及多处理器soc芯片
KR102640910B1 (ko) * 2023-08-11 2024-02-23 리벨리온 주식회사 인공지능 연산과 연관된 데이터 복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18221A1 (en) * 2016-07-15 2018-01-18 Advanced Micro Devices, Inc. Ddr memory error recover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175B1 (ko) 2007-02-27 2008-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그것을 포함한 메모리 시스템
TWI479359B (zh) * 2013-08-01 2015-04-01 Phison Electronics Corp 指令執行方法、記憶體控制器與記憶體儲存裝置
KR101730991B1 (ko) * 2014-10-28 2017-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토리지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12399B1 (ko) 2015-09-07 2021-10-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91493B1 (ko) * 2015-12-31 2022-04-2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와 연결된 컨트롤러 및 그것의 동작 방법
TWI587218B (zh) * 2016-09-10 2017-06-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記憶體事務層級模型模擬方法及系統
US10658056B2 (en) * 2017-12-22 2020-05-19 Intel Corporation Internal copy to handle NAND program fai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18221A1 (en) * 2016-07-15 2018-01-18 Advanced Micro Devices, Inc. Ddr memory error reco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72217A1 (en) 2019-09-05
US11086722B2 (en) 2021-08-10
CN110221992B (zh) 2023-06-13
CN110221992A (zh) 2019-09-10
KR20190104784A (ko)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411B1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0698635B2 (en)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capable of storing data in a plurality of name spaces
US11645010B2 (en) Solid state drive (SSD) memory system improving the speed of a read operation using parallel DMA data transfers
US20200201571A1 (en)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0096222B (zh) 存储器系统及存储器系统的操作方法
US20210210148A1 (en)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35243B1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1029886B2 (en) Memor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memory system
US11386965B2 (en) Memory device, memory system including the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memory system
US11056177B2 (en) Controller, memor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memory system
US10725702B2 (en) Memor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20365884A1 (en) Memory system for storing map data in host memor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10984869B2 (en) Memory device, memory system including the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memory system
US20200160918A1 (en) Memor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969987B2 (en) Memory device, memory system including th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memory system
US11295830B2 (en)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memo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