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337B1 -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337B1
KR102485337B1 KR1020170147505A KR20170147505A KR102485337B1 KR 102485337 B1 KR102485337 B1 KR 102485337B1 KR 1020170147505 A KR1020170147505 A KR 1020170147505A KR 20170147505 A KR20170147505 A KR 20170147505A KR 102485337 B1 KR102485337 B1 KR 10248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user terminal
user
regula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638A (ko
Inventor
이지아
한지민
아나스타샤 야리지나
박정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7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3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정기적으로 동일 경로에 대해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동일 경로를 정기적 경로로 등록하는 정기적 경로 등록부;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정기적인 요청이 없어도,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과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예약 처리부; 및 상기 수행된 예약에 대해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의 제공을 처리하는 예약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car hailing servic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요청하는 정기적인 경로를 등록 및 공개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가 차량 서비스를 예약 이용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을 원하는 소비자와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실시간으로 연결해주는 차량 호출 서비스(car-hailing service, ride-hailing service) 및 출발지 및 목적지가 유사한 이용자간에 차량을 공유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 공유 서비스(car sharing service) 등이 증가하고 있다.
차량 호출 서비스의 경우 차량을 호출한 이용자 단독으로 이용함으로써 이용자의 비용 부담이 발생하고 특히 차량 주행 거리나 시간이 긴 경우 차량 호출서비스 비용 부담이 더욱 클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공자(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의 정기적인 경로를 등록 및 공개하면 다른 사용자가 해당 경로에 조인(join)할 수 있도록 예약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료를 절감하고 운전자는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정기적으로 동일 경로에 대해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동일 경로를 정기적 경로로 등록하는 정기적 경로 등록부;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과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예약 처리부; 및 상기 수행된 예약에 대해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의 제공을 처리하는 예약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과금을 납부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로 과금을 지급하는 과금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의 차량 호출 서비스 이용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정기적 경로를 추출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 이용 패턴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부는, 이용자별 정기적 경로 리스트를 생성하여 리스트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정기적인 요청이 없어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검색 요청 시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 중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중 제 1 운전자 단말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과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로부터 픽업시간, 요금, 픽업 장소를 결정받아 예약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약 관리부는, 상기 픽업시간 전에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과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로 픽업 시간 및 위치를 알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 중 제 2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검색을 요청받으면,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로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중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에 의해 등록된 정기적 경로가 선택되어, 상기 정기적 경로로의 합류 또는 수정을 요청받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의 경로가 상기 정기적 경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제 2 이용자와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제 1 이용자를 합류시켜, 동일한 출발지에서 동일한 도착지에 도착하는 경로를 함께 이용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에 의한 정기적 경로와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의 경로가 일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에 의한 정기적 경로와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의 경로가 일치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로 운행을 요청하기 위한 경로 수정을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금 처리부는,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정기적 경로의 합류 또는 수정을 요청받아 예약을 수행한 경우, 이용자별 과금을 할인하고,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의 수익을 증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되어 수정된 경로에 대해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이 승인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중 제 2 운전자 단말로 상기 수정된 경로에 대해 차량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제 2 운전자 단말이 상기 수정된 경로에 대한 차량 서비스 제공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의 차량을 통해 상기 정기적 경로를 운행하고, 상기 제 2 운전자 단말의 차량을 통해 상기 정기적 경로를 초과하는 경로를 운행하도록 예약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정기적으로 동일 경로에 대해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동일 경로를 정기적 경로로 등록하고,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과 연동하여 정기적으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이용자별 정기적 등록을 저장한 등록 현황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의 접속 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하는 정기적 경로 등록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정기적인 요청이 없어도,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과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예약 처리부; 상기 수행된 예약에 대해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의 제공을 처리하는 예약 관리부; 및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과금을 납부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로 과금을 지급하는 과금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정기적으로 동일 경로에 대해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동일 경로를 정기적 경로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과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된 예약에 대해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의 제공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과금을 납부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로 과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검색 요청 시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 중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중 제 1 운전자 단말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과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로부터 픽업시간, 요금, 픽업 장소를 결정받아 예약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 중 제 2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검색을 요청받으면,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로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중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에 의해 등록된 정기적 경로가 선택되어, 상기 정기적 경로로의 합류 또는 수정을 요청받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의 경로가 상기 정기적 경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제 2 이용자와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제 1 이용자를 합류시켜, 동일한 출발지에서 동일한 도착지에 도착하는 경로를 함께 이용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에 의한 정기적 경로와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의 경로가 일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에 의한 정기적 경로와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의 경로가 일치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로 운행을 요청하기 위한 경로 수정을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금을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이용자와 상기 제 2 이용자가 합류하거나 경로 수정한 경우, 상기 제 1 이용자와 상기 제 2 이용자가 지급해야할 요금을 할인하여 주고,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의 차량 운전자에게 지급할 수익을 증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제공자(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의 정기적인 경로를 등록 및 공개하면 다른 사용자가 해당 경로에 합류(join)할 수 있도록 예약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료를 절감하고 운전자는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과 운전자 단말에 제공되는 경로 정보 및 예상 요금의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과 운전자 단말에 제공되는 경로 정보 및 예상 요금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적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차량 호출 서비스는 카 헤일링(car-hailing), 라이드 헤일링(ride-hailing) 서비스로서, 이용자가 차량 호출 시 운전자가 이용자를 픽업하여 목적지까지 주행하고 이용자는 운전자에게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며, 차량 공유 서비스는 카 세어링(car-sharing), 카풀(car-pool) 서비스를 포함하며 출발지 및 목적지가 유사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가 하나의 차량에 동승하여 운전자에게 저렴한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차량 서비스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의미하나, 차량 호출서비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가 공유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가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정기적인 경로를 등록하여 공개하면 다른 이용자가 해당 경로에 합류(join)할 수 있도록 하고, 정기적인 경로에 대해 차량을 제공하는 운전자가 정기 예약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료를 절감하고 운전자는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용자 단말군(200)과 운전자 단말군(300) 간에 차량 호출 서비스 및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은 차량 호출 서비스 또는 차량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301, 302, …300N)은 차량 호출 또는 차량 공유 요청을 수신하면 차량을 주행하여 이용자가 있는 위치 또는 차량 공유 승하차장으로 이동하여 이용자를 태워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운전자의 단말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301, 302, …300N)은 스마트폰, 패드, PDA 등 휴대가 가능하고 모든 이동 통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301, 302, …300N)은 차량 호출 서비스, 차량 공유 서비스, 차량 호출-공유 결합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차량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차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인증부(120), 저장부(130),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301, 302, …300N)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통신부(110)는 유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301, 302, …300N)의 로그인 시 미리 저장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 또는 운전자의 인증을 수행한 후 로그인을 수행한다. 이때, 운전자의 인증 시 운전면허 소지 여부, 자격기준(운전경력), 제공 가능한 이동차량 정보 등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회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301, 302, …300N)의 위치 정보, 경로 생성을 위한 지도 정보,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이용자 및 운전자 인증 정보, 경로정보, 차량 공유 승하차장 정보, 차량 공유 서비스 또는 차량 호출 서비스 과금 정책 정보, 이용자에 의해 등록된 정기적인 경로 정보 등록 현황 리스트 등을 저장한다.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 로부터 정기적으로 동일 경로에 대해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의 요청이 있는 경우 동일 경로를 정기적 경로로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로부터의 정기적인 요청이 없어도,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301, 302, …300N)과 연동하여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40)는 정기적 경로 등록부(141), 차량 호출 서비스 이용 패턴 분석부(142), 예약 처리부(143), 예약 관리부(144), 과금 처리부(145)를 포함한다.
정기적 경로 등록부(14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 로부터 정기적으로 동일 경로에 대해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의 요청이 있는 경우 동일 경로를 정기적 경로로 등록한다. 이때, 정기적 경로 등록부(141)는 이용자별 정기적 경로 리스트를 생성하여 리스트업한다.
차량 호출 서비스 이용 패턴 분석부(14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의 차량 호출 서비스 이용 패턴을 분석하여, 정기적 경로를 추출한다.
예약 처리부(14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 로부터의 정기적인 요청이 없어도,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301, 302, …300N)과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한다.
예약 처리부(14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301, 302, …300N)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 로부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검색 요청 시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301, 302, …300N)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 로 제공할 수 있다.
예약 처리부(14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 중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1(20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301, 302, …300N)중 운전자 단말1(301)을 연결하여, 이용자 단말1(201)과 운전자 단말1(301)로부터 픽업시간, 요금, 픽업 장소를 결정받아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예약 처리부(14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201, 202, …200N) 중 이용자 단말2(202)로부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검색을 요청받으면, 이용자 단말2(202)로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를 제공하고, 이용자 단말2(202)로부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중 이용자 단말1(201)에 의해 등록된 정기적 경로가 선택되어, 정기적 경로로의 합류 또는 수정을 요청받아 적용할 수 있다.
예약 처리부(143)는 이용자 단말2(202)의 경로가 정기적 경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이용자 단말2(202)를 이용하는 제 2 이용자와 이용자 단말1(201)을 이용하는 제 1 이용자를 합류시켜, 동일한 출발지에서 동일한 도착지에 도착하는 경로를 함께 이용하도록 한다.
예약 처리부(143)는 이용자 단말1(201)에 의한 정기적 경로와 이용자 단말2(202)의 경로가 일부 일치하는 경우, 이용자 단말1(201)에 의한 정기적 경로와 이용자 단말2(202)의 경로가 일치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운전자 단말1(201)로 운행을 요청하기 위한 경로 수정을 할 수 있다. 예약 처리부(143)는 이용자 단말1(201)로부터 요청되어 수정된 경로에 대해 운전자 단말1(201)이 승인하지 않은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중 운전자 단말2(202)로 수정된 경로에 대해 차량 서비스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예약 처리부(143)는 운전자 단말2(302)이 상기 수정된 경로에 대한 차량 서비스 제공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운전자 단말1(301)의 차량을 통해 정기적 경로를 운행하고, 운전자 단말2(302)의 차량을 통해 상기 정기적 경로를 초과하는 경로를 운행하도록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예약 관리부(144)는 예약신청된 픽업시간 전에 이용자 단말1(201)과 운전자 단말1(301)로 픽업 시간 및 위치를 알람을 수행한다. 이때 알람은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과금 처리부(145)는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과금을 납부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로 과금을 지급한다. 과금 처리부(145)는 이용자 단말2(202)로부터 정기적 경로의 합류 또는 수정을 요청받아 예약을 수행한 경우, 이용자별 과금을 할인하고, 운전자 단말1(201)의 수익을 증대한다. 과금 처리부(145)는 차량 서비스 이용이 완료되면 미리 이용자에 의해 계정에 연동된 계좌 또는 카드를 통해 과금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경로를 파악하고 정기적인 경로를 등록하여 공개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이용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와 차량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이용자가 매번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한번의 정기적 경로 등록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정기적으로 제공받는 예시를 개시한다.
먼저 이용자 단말1(201)이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면(S101),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경로에 대해 정기적 경로로 등록 및 예약 신청을 할 것인지를 이용자 단말1(201)로 요청한다(S102).
이에 이용자 단말1(201)이 정기적 경로의 등록 및 예약을 신청하면(S103),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경로를 정기적 경로로 등록한다(S104).
이 후,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정기적 경로 주행을 위한 차량 제공이 가능한 운전자를 검색하고(S105), 해당 정기적 경로 주행이 가능한 차량 제공자인 운전자에 대한 운전자 정보 및 요금 정보를 이용자 단말1(201)로 제공한다(S106).
이어 이용자 단말1(201)로부터 해당 운전자가 선택되면(S107),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용자 단말1(201)과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자 단말1(301) 간에 차량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고(S108), 예약 시간을 카운트하여 예약시간 도래 시 픽업시간 전에 이용자 단말1(201)과 운전자 단말1(301)로 위치 및 시간을 알람한다(S109, S110).
이에 이용자1과 운전자1의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이 완료되면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과금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S11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한 번의 정기적 경로 등록 및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으로, 매번 차량 호출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아도 정기적으로 해당 경로에 대해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로서, 도 7a는 이용자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정기 경로 등록 신청 여부를 묻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b는 이용자 단말 또는 운전자 단말에 표시되는 등록된 정기적 경로에 대한 등록 현황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7c는 이용자 단말 또는 운전자 단말에 표시되는 경로 상세 내용과 예상 요금의 예시도이다. 도 7d는 이용자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정기 경로에 대한 예약 수락 요청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c는 이용자 단말 또는 운전자 단말에 표시되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위한 알람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이용자가 등록한 정기적 경로에 대해 운전자 단말이 정기적 경로를 검색하여 참여하는 예를 개시한다.
먼저 이용자 1가 이용하는 이용자 단말1(201)이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면(S201),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경로에 대해 정기적 경로로 등록 및 예약 신청을 할 것인지를 이용자 단말1(201)로 요청한다(S202). 이때, 정기 경로 등록 및 예약 신청 화면은 도 7a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이용자 단말1(201)이 정기적 경로의 등록 및 예약을 신청하면(S203),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경로를 정기적 경로로 등록하고 등록 현황 리스트를 리스트업한다(S204). 이때, 등록 현황 리스트는 도 7b와 같이 표시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경로 항목 중 새롭게 입력된 가장 최근의 경로 항목은 진하게 표시하여 이전 등록된 경로 항목과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면 도 7c와 같이 상세 경로 및 예상요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운전자1가 운전자단말1(301)을 통해 등록되어 있는 정기적 경로를 검색하여 운전자 단말1(301)로부터 도 7b의 정기적 경로 중 이용자1의 정기적 경로가 선택되면(S205),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용자 단말1(201)에 대해 정기적 경로를 선택한 운전자 단말1(301)로 이용자1의 정보를 제공해도 되는지 승인 요청을 하고(S206), 운전자 단말1(301)에 대해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1(201)로 운전자 정보를 제공해도 되는지 승인을 요청한다(S207). 도 7d는 이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승인 요청 화면의 예시이다.
그 후, 이용자 단말1(201) 및 운전자 단말1(301)로부터 각각 승인을 받으면(S208, S209),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용자 단말1(201) 및 운전자 단말1(301)을 연결시켜, 차량 서비스 예약을 수행한다(S210). 이때, 이용자 단말1(201) 및 운전자 단말1(301)이 서로 연결되면, 이용요금이나 경로를 조정하거나, 픽업 장소 등을 협의할 수 있다.
이 후,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픽업시간이 도래하는지를 체크하여 픽업시간이 도래하기 일정 시간 전에 위치 및 예약 시간 알람을 이용자 단말1(201) 및 운전자 단말1(301)로 전송한다(S211, S212). 도 7e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위한 픽업시간 알람 화면의 예시이다.
이에 이용자1와 운전자2 간에 차량 서비스가 수행된 후,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과금 결제를 처리한다(S213). 이때, 과금 결제는 이용자1로부터 과금을 받아 운전자2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이용자가 등록한 정기적 경로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가 경로를 검색하여 해당 경로로의 차량공유가 가능한 운전자와 연결시켜줌으로써 차량 호출 서비스와 차량 공유 서비스가 공존되어 이용자의 비용을 절감하고 운전자의 수입을 증가시켜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1이 매일 아침 7시 양재역에서 차량에 탑승하여 노들길을 통해 여의도 구회의사당까지 주행하는 경로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양재역, 노들길, 여의도 국회의사당까지의 경로를 정기적 경로로 등록하여 공개함으로써 해당 경로의 차량 제공이 가능한 운전자와 연결해주고 이용자에게는 비용을 할인해주고 운전자가 그 비용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8a 내지 도 8d를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과 운전자 단말에 제공되는 경로 정보 및 예상 요금의 예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1이 등록한 정기적 경로와 이용자 2의 경로가 일치하는 경우의 예시도이고,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1이 등록한 정기적 경로와 이용자 2의 경로가 일부 일치하는 경우이며, 도 8d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2의 경로가 이용자 1이 등록한 정기적 경로를 초과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이용자1이 등록한 정기적 경로에 대해 이용자 2가 참여하여 이용자들의 요금은 절감되고 운전자의 수익은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개시한다.
먼저 이용자 1가 이용하는 이용자 단말1(201)이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면(S301),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경로에 대해 정기적 경로로 등록 및 예약 신청을 할 것인지를 이용자 단말1(201)로 요청한다(S302).
이에 이용자 단말1(201)이 정기적 경로의 등록 및 예약을 신청하면(S303),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경로를 정기적 경로로 등록하고 등록 현황 리스트를 리스트업한다(S304). 이때, 이용자 2의 이용자 단말2(202)가 등록되어 있는 정기적 경로를 검색하여 자신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로와 전부 일치하거나 일부 일치하는 정기적 경로가 있는지 검색하여 전부 일치하는 경로로의 합류 또는 일부 일치하는 경로의 수정을 요청한다(S305).
이에,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용자 2의 경로 합류 또는 수정 요청을 저장한다(S306). 도 8a를 참조하면 이용자 1의 정기적 경로가 양재역에서 출발하여 노들길을 거쳐 국회의사당에 도착하는 것인데, 이용자 2의 경로가 신사 사거리에서 국회의사당역까지로, 이용자 1의 정기적 경로내에 포함되어 이용자 2는 이용자 1의 경로에 합류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 1의 예상요금은 30% 절감된 7천원이고 이용자 2의 예상요금은 30% 절감되어 5600원이며, 운전자의 수익은 25% 증대되어 12600원이다. 이때, 할인 및 증대를 편의상 퍼센트(%)로 표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할인 및 증대율은 이용자와 운전자의 협의하에 조절될 수 있다.
도 8b는 이용자 1의 정기적 경로가 양재역에서 노들길을 거쳐 국회의사당까지인데, 이용자 2의 경로는 AT 센터에서 노들길을 거쳐 국회의사당역으로 양재역에서 국회의사당역까지의 경로는 이용자 1의 경로내에 포함되나, AT 센터에서 양재역까지의 경로는 이용자 1의 경로와 상이하다. 이에 이용자 2는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AT 센터에서 픽업해주는 경로로 수정하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운전자1이 AT 센터에서 이용자 2를 픽업하고 양재역에서 이용자 1을 픽업하여 국회의사당역에서 이용자 2를 내려주고 국회의사당에서 이용자 2를 내려주는 경로에 동의하면 계약이 성립될 수 있다.
도 8c는 이용자 1의 정기적 경로는 양재역에서 노들길을 거쳐 국회의사당에 도착하는 경로인데, 이용자 2는 신사사거리에서 노들길을 거쳐 선유도에 도착하는 경로로, 신사사거리에서 국회의사당까지는 이용자 1의 정기적 경로내에 포함되나, 국회의사당에서 선유도까지의 경로가 이용자 1의 경로를 초과하는 경우이다. 이에 이용자 2는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국회의사당에서 선유도까지 추가로 더 주행하는 경로로 수정하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된 경로에 대해 운전자가 승인하면 계약이 성립된다.
도 8d는 정기적 경로는 양재역에서 노들길을 거쳐 국회의사당에 도착하는 경로인데, 이용자 2는 AT 센터에서 노들길을 거쳐 선유도에 도착하는 경로로, 양재역에서 국회의사당까지의 경로를 초과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에 이용자 2는 이용자 1의 경로를 초과하는 부분 AT 센터에서 양재역까지, 국회의사당에서 선유도까지의 경로에 대해 추가 주행하는 경로로 수정하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된 경로에 대해 운전자가 승인하면 계약이 성립된다.
도 8a 내지 도 8c의 예시에서 이용자 2명이 합류함으로써 이용자들의 할인율 및 운전자의 수익률이 높아져 이용자들과 운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후, 운전자1가 운전자단말1(301)을 통해 등록되어 있는 정기적 경로를 검색하여 운전자 단말1(301)로부터 해당 이용자1의 정기적 경로가 선택되면(S307),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용자 단말1(201)에 대해 정기적 경로를 선택한 운전자 단말1(301) 및 이용자 단말2(202)로 이용자1의 정보를 제공해도 되는지 승인 요청을 하고(S308), 이용자 단말2(202)에 대해 정기적 경로를 선택한 운전자 단말1(301) 및 이용자 단말1(201)로 이용자2의 정보를 제공해도 되는지 승인 요청을 하며(S309), 운전자 단말1(301)에 대해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1(201), 이용자 단말2(202)로 운전자 정보를 제공해도 되는지 승인을 요청한다(S310).
그 후, 이용자 단말1(201), 이용자 단말2(202) 및 운전자 단말1(301)로부터 각각 승인을 받으면(S311, S312, S313),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용자 단말1(201), 이용자 단말2(202) 및 운전자 단말1(301)을 연결시켜, 차량 서비스 예약을 수행한다(S314). 이때, 이용자 단말1(201), 이용자 단말2(202) 및 운전자 단말1(301)이 서로 연결되면, 이용요금이나 경로를 조정하거나, 픽업 장소 등을 협의할 수 있다.
이 후,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픽업시간이 도래하는지를 체크하여 픽업시간이 도래하기 일정 시간 전에 위치 및 예약 시간 알람을 이용자 단말1(201), 이용자 단말2(202) 및 운전자 단말1(301)로 전송한다(S315, S316). 이에 이용자1, 이용자2와 운전자1 간에 차량 서비스가 수행된 후,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과금 결제를 처리한다(S317). 이때, 과금 결제는 이용자1, 이용자 2로부터 과금을 받아 운전자1에게 지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4에서는 이용자 단말2(202)이 경로에 합류한 후 운전자 단말1(301)이 경로를 선택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용자 단말2(202) 및 운전자 단말1(301)의 참여 순서는 무관하고 운전자가 경로를 먼저 선택한 후 이용자 2가 합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이용자1이 등록한 정기적 경로에 대해 이용자 2가 참여하여 이용자들의 차량 공유를 통해 요금은 절감되고 운전자의 수익은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이용자 1이 토요일 아침 5시마다 양재역을 출발하여 노들길을 통해 국회의사당에 도착하는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경우, 예상 요금이 만원이라고 할 때, 이용자 1의 경로와 일부 또는 전부 겹치는 경로를 주행해야 하는 이용자 2의 합류 또는 경로 수정에 따라 이용자 2가 참여함으로써 이용자 1과 이용자 2의 요금을 할인해주고 운전자의 수익은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과 운전자 단말에 제공되는 경로 정보 및 예상 요금의 예시도이다. 도 9a는 이용자 1의 등록된 정기적인 경로에 대한 경로정보와 예상 요금 정보를 도시한다. 도 9b는 이용자 2가 합류하는 경우 경로 정보와 예상 요금 정보를 도시한다. 도 9c는 이용자 2와 운전자 2 가 합류하는 경우의 경로정보와 예상 요금정보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가 차량 호출 및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는 예를 개시한다.
먼저 이용자 1가 이용하는 이용자 단말1(201)이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면(S401),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경로에 대해 정기적 경로로 등록 및 예약 신청을 할 것인지를 이용자 단말1(201)로 요청한다(S402).
이에 이용자 단말1(201)이 정기적 경로의 등록 및 예약을 신청하면(S403),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경로를 정기적 경로로 등록하고 등록 현황 리스트를 리스트업한다(S404). 이때, 이용자 2의 이용자 단말2(202)가 등록되어 있는 정기적 경로를 검색하여 자신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로와 전부 일치하거나 일부 일치하는 정기적 경로가 있는지 검색하여 전부 일치하는 경로로의 합류 또는 일부 일치하는 경로의 수정을 요청한다(S405).
이에,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용자 2의 경로 합류 또는 수정 요청을 저장한다(S406).
이 후, 운전자1가 운전자단말1(301)을 통해 등록되어 있는 정기적 경로를 검색하여 운전자 단말1(301), 운전자 단말2(301)로부터 각각 해당 이용자1의 정기적 경로가 선택된다(S407, S408),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용자 단말1(201), 이용자 단말2(202), 운전자 단말1(301), 운전자 단말2(302) 각각에 대해 각자 자신의 정보를 공유해도 되는지 승인 요청을 하고(S409, S410, S411), 이용자 단말1(201), 이용자 단말2(202), 운전자 단말1(301), 운전자 단말2(302)로부터 각각 승인을 받으면(S413, S414),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용자 단말1(201), 이용자 단말2(202), 운전자 단말1(301), 운전자 단말2(302)을 연결시켜, 차량 서비스 예약을 수행한다(S415). 이때, 이용자 단말1(201), 이용자 단말2(202), 운전자 단말1(301), 운전자 단말2(302)로부터 이 서로 연결되면, 이용요금이나 경로를 조정하거나, 픽업 장소 등을 협의할 수 있다.
이 후,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픽업시간이 도래하는지를 체크하여 픽업시간이 도래하기 일정 시간 전에 위치 및 예약 시간 알람을 이용자 단말1(201), 이용자 단말2(202), 운전자 단말1(301), 운전자 단말2(302)로 전송한다(S416, S417). 이에 이용자1, 이용자2, 운전자1, 운전자2 간에 차량 서비스가 수행된 후,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과금 결제를 처리한다(S418). 이때, 과금 결제는 이용자1, 이용자 2로부터 과금을 받아 운전자1, 2에게 지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9a를 참조하면 이용자 1이 양재역에서 국민대학교에 도착하는 경로의 경우, 사용자의 요금이 2만원이고 운전자의 수익이 2만원이라고 할 때, 도 9b를 참조하면 이용자 2의 길음역에서 상명대학교까지의 경로 주행이 필요하여 이용자 1과 이용자 2의 경로가 길음역에서 국민대학교까지 중복되는 경우, 운전자와 협의하여 양재역에서 상명대학교까지 주행경로를 수정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이용자1의 경로는 양재역에서 국민대학교까지이고, 이용자 2의 경로는 길음역에서 상명대학교까지이며, 이용자 3의 경로는 국민대학교에서 그랜드 힐튼호텔까지인 경우, 운전자 1은 양재역에서 국민대학교가지 운행하고 운전자 2는 국민대학교에서 그랜드힐튼호텔까지 운행한다고 할 때, 운전자 1은 양재역에서 이용자 1을 픽업하여 주행하다가 길음역에서 이용자 2를 태우고, 국민대학교에서 이용자 1, 2를 모두 하차시켜주고, 국민대학교에서 이용자 2는 운전자 2의 차량으로 환승을, 이용자 3은 새롭게 운전자 2의 차량에 탑승하여 상명대학교에서 하차하고 이용자 3은 그랜드 힐튼 호텔에서 하차하는 경로로 차량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이용자 1은 요금을 10% 할인받고, 이용자 2는 환승을 해야하므로 할인폭을 증가시켜 20% 할인을 받고, 이용자 3은 10% 할인을 받으며 운전자 1은 이용자 1, 2가 이용했으므로 10% 증대된 수익을 얻으며, 운전자 2는 이용자 2, 3이 이용함에 따라 12%의 수익이 증대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가 합류 또는 수정한 경로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가 부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이용자가 정기적 경로를 등록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도 6에서는 이용자가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히스토리로부터 정기적 경로를 추출하여 해당 정기적 경로를 이용하는 이용자 단말과 운전자 단말을 통해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단말(201, 202, …200N)이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301, 302, …300N)이 차량 호출 서비스 또는 차량 공유 서비스가 가능한 정기적 경로를 등록 및 공개하여 이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차량 호출 또는 공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용자별 차량 호출 서비스 이용 패턴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S501), 동일 경로에 대해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를 추출한다(S502).
이 후,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로 정기적 경로를 등록할지 문의하고(S503), 이용자 단말 동의 시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다(S504).
그 후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정기적 경로를 등록하여 등록 현황 리스트를 리스트업한다(S505). 도 6에서는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생성을 위해 차량 호출 서비스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예를 개시하며 S505 이후 예약하는 과정은 도 5의 S406 이후 과정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로인 정기적 경로를 등록 및 공개하여 타 이용자 및 운전자가 등록된 정기적 경로에 합류 또는 수정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공자가 선 제안하는 경로 중심의 차량 호출 서비스로서, 정기적인 경로 또는 비정기적인 경로를 대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시점이 아닌 특정 시점에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경로에 참여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비용 절감의 효과를 제공하고 제공자에게는 이익 증대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등록된 하나의 정기적 경로에 참여하는 이용자가 많을수록 이용자의 비용은 절감되고 운전자의 소득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경로를 공개함으로써 타 이용자가 효율적인 경로(예를 들어 해당 시간에 가장 안 막히는 경로)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사전에 한번의 등록 및 예약만으로 추후 예약없이 편리하게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정기적으로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적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
200 : 이용자 단말
300 : 운전자 단말
110 : 통신부
120 : 인증부
130 : 저장부
140 : 프로세서
141 : 정기적 경로 등록부
142 : 차량 호출 서비스 이용 패턴 분석부
143 : 예약 처리부
144 : 예약 관리부
145 : 과금 처리부

Claims (2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정기적으로 동일 경로에 대해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동일 경로를 정기적 경로로 등록하는 정기적 경로 등록부;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과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예약 처리부; 및
    상기 수행된 예약에 대해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의 제공을 처리하는 예약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 중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제 1 이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중 제 1 운전자 단말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과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로부터 픽업시간 및 픽업 장소를 결정받아 예약을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 중 제 2 이용자 단말로부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검색을 요청받으면,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로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중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에 의해 등록된 정기적 경로가 선택되어, 상기 정기적 경로로의 합류 또는 수정을 요청받아 적용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과금을 납부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로 과금을 지급하는 과금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의 차량 호출 서비스 이용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정기적 경로를 추출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 이용 패턴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부는,
    이용자별 정기적 경로 리스트를 생성하여 리스트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정기적인 요청이 없어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검색 요청 시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약 관리부는,
    상기 픽업시간 전에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과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로 픽업 시간 및 위치를 알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의 경로가 상기 정기적 경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제 2 이용자와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제 1 이용자를 합류시켜, 동일한 출발지에서 동일한 도착지에 도착하는 경로를 함께 이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에 의한 정기적 경로와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의 경로가 일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에 의한 정기적 경로와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의 경로가 일치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로 운행을 요청하기 위한 경로 수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과금처리부는,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정기적 경로의 합류 또는 수정을 요청받아 예약을 수행한 경우, 이용자별 과금을 할인하고,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의 수익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되어 수정된 경로에 대해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이 승인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중 제 2 운전자 단말로 상기 수정된 경로에 대해 차량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제 2 운전자 단말이 상기 수정된 경로에 대한 차량 서비스 제공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의 차량을 통해 상기 정기적 경로를 운행하고, 상기 제 2 운전자 단말의 차량을 통해 상기 정기적 경로를 초과하는 경로를 운행하도록 예약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정기적으로 동일 경로에 대해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동일 경로를 정기적 경로로 등록하고,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과 연동하여 정기적으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이용자별 정기적 등록을 저장한 등록 현황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과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 중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제 1 이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중 제 1 운전자 단말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과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로부터 픽업시간 및 픽업 장소를 결정받아 예약을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 중 제 2 이용자 단말로부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검색을 요청받으면,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로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중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에 의해 등록된 정기적 경로가 선택되어, 상기 정기적 경로로의 합류 또는 수정을 요청받아 적용하는 예약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의 접속 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하는 정기적 경로 등록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정기적인 요청이 없어도,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과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예약 처리부;
    상기 수행된 예약에 대해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의 제공을 처리하는 예약 관리부; 및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과금을 납부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로 과금을 지급하는 과금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정기적 경로 등록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정기적으로 동일 경로에 대해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동일 경로를 정기적 경로로 등록하는 단계;
    예약 처리부가,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이용자 단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과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예약 처리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 중 상기 정기적 경로를 등록한 제 1 이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중 제 1 운전자 단말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과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로부터 픽업시간 및 픽업 장소를 결정받아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예약 처리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 중 제 2 이용자 단말로부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검색을 요청받으면,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로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예약 처리부가,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중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에 의해 등록된 정기적 경로가 선택되어, 상기 정기적 경로로의 합류 또는 수정을 요청받아 적용하는 단계; 및
    예약 관리부가, 상기 수행된 예약에 대해 정기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의 제공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과금처리부가,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과금을 납부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로 과금을 지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 처리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정기적인 요청이 없어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 검색 요청 시 상기 정기적 경로 등록 리스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자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 처리부가,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의 경로가 상기 정기적 경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제 2 이용자와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제 1 이용자를 합류시켜, 동일한 출발지에서 동일한 도착지에 도착하는 경로를 함께 이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
  23.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 처리부가,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에 의한 정기적 경로와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의 경로가 일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이용자 단말에 의한 정기적 경로와 상기 제 2 이용자 단말의 경로가 일치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로 운행을 요청하기 위한 경로 수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
  24.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과금을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과금처리부가, 상기 제 1 이용자와 상기 제 2 이용자가 합류하거나 경로 수정한 경우, 상기 제 1 이용자와 상기 제 2 이용자가 지급해야 할 요금을 할인하여 주고, 상기 제 1 운전자 단말의 차량 운전자에게 지급할 수익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147505A 2017-11-07 2017-11-07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505A KR102485337B1 (ko) 2017-11-07 2017-11-07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505A KR102485337B1 (ko) 2017-11-07 2017-11-07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638A KR20190051638A (ko) 2019-05-15
KR102485337B1 true KR102485337B1 (ko) 2023-01-05

Family

ID=6657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505A KR102485337B1 (ko) 2017-11-07 2017-11-07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3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811B1 (ko) * 2006-07-26 2008-01-0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카풀 파트너를 추천하는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5611A (ko) * 2011-06-07 2012-12-17 지용구 위치기반 카풀 운영 방법
KR20130083059A (ko) * 2011-12-28 2013-07-22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경로안내장치, 예약관리장치 및 예약안내방법
KR101586815B1 (ko) * 2014-01-29 2016-01-20 (주)휴빌론 통신형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카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811B1 (ko) * 2006-07-26 2008-01-0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카풀 파트너를 추천하는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638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388B1 (ko) 숙박 예약 시스템 및 방법
JP5202804B2 (ja) 端末及び端末の制御方法
US20170046681A1 (en) Mobile wireless payment and access
US9485647B2 (en) Providers of UBARR subscription-based services
WO2014157950A1 (ko)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135611A (ko) 위치기반 카풀 운영 방법
KR102138902B1 (ko)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4098635B2 (ja) 料金支払者変更管理方法、料金支払者変更管理プログラム、料金支払者変更管理装置
US20220277279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vehicle sharing service
JP2004030454A (ja) ポイント運用システム、及びポイント運用方法
US20170213261A1 (en) Method for detecting riders and managing and optimizing their shared transport
JP2019079460A (ja) 料金計算装置、料金計算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KR20160058334A (ko) 주차 공간 중개 서비스 방법
KR102485337B1 (ko)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26847B1 (ko) 주차비 징수 시스템
JP4158894B2 (ja) 路車間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2015075981A (ja) 駐車管理装置及び駐車管理システム
KR20030076938A (ko) 운전서비스시스템 및 운전서비스 제공방법
KR20140073138A (ko) 거주자 우선주차 관리방법
KR20170083883A (ko) 모바일 택시풀링 서비스 과금 방법 및 장치
KR20200001124A (ko) 택시 합승 요금산정 방법 및 택시 합승 시스템
CN113066305B (zh) 自动代客停车系统
KR20010016414A (ko) 통신망을 이용한 승객/화물 운송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JP5175438B2 (ja) 課金システム、課金方法、課金プログラム
KR100728621B1 (ko) 주차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