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305B1 -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305B1
KR102485305B1 KR1020210001001A KR20210001001A KR102485305B1 KR 102485305 B1 KR102485305 B1 KR 102485305B1 KR 1020210001001 A KR1020210001001 A KR 1020210001001A KR 20210001001 A KR20210001001 A KR 20210001001A KR 102485305 B1 KR102485305 B1 KR 102485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mart
electrochromic device
visible ligh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867A (ko
Inventor
이선영
손민희
김지선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21/01638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08229A1/ko
Publication of KR2022006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305B1/ko
Priority to US18/297,384 priority patent/US2023024411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02F1/15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ion transporting layer, e.g. electroly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에 배치되고, 은(Ag)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전해질, 리튬(Li)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 전해질, 및 용매가 혼합된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Smart electrochromic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반사도와 근적외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반사도가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전기변색(Electrochromism)이란 전압을 인가하면 전계방향에 의해 가역적으로 색상이 변하는 현상으로서, 이러한 특성을 지닌 전기화학적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서 재료의 광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할 수 있는 물질을 전기변 색물질이라고 한다. 이러한 전기변색물질은 외부에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색을 띠지 않고 있다가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색을 띠게 되거나, 반대로 외부에서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색을 띠고 있다가 신호가 인가되면 색이 소멸하는 특성을 갖는다.
전기변색 소자는 외부에서 인가한 전압에 의한 전기변색 물질이 산화-환원 반응으로 인해 가역적으로 색이 변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전기변색 소자는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채색 변화가 가능하여 스마트 윈도우, 자동차 룸 미러, 노트북, 휴대폰, 장식 디자인 등 광범위한 응용 범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전기변색 소자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10-2017-0142473(출원번호:10-2016-0075980, 출원인: 정순성)에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되는 제1 금속 산화물층, 상기 제1 금속 산화물층 상에 구비되고 은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구비되는 제2 금속 산화물층, 및 상기 제2 금속 산화물층 상에 구비되는 제2 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금속층의 금속은 은보다 산화 준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도성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밖에도, 전기변색 소자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10-2017-014247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반사도가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근자외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반사도가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기변색층 내부 크랙 발생 문제가 현저하게 감소된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환경오염 문제가 현저하게 감소된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대면적 공정에 적용이 용이한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에 배치되고, 은(Ag)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전해질, 리튬(Li)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 전해질, 및 용매가 혼합된 전해질을 포함하되, 상기 전해질 내의 은 이온 또는 리튬 이온의 이동에 따라,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반사도와, 근적외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반사도가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리튬 이온이 상기 전해질로부터 상기 전기변색층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시광선 파장대는 투과하고, 근적외선 파장대는 차단하는 근적외선 차단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은 이온 및 상기 리튬 이온이 모두 상기 전해질로부터 상기 전기변색층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1% 이하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10% 이하인 블랙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은 이온이 상기 전해질로부터 상기 제2 전극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2% 이하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70% 이상인 거울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은 이온 및 상기 리튬 이온이 이동되지 않는 경우,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70% 이상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15% 이하인 투명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근적외선 차단 모드, 상기 블랙 모드, 상기 거울 모드, 및 상기 투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베이스 전해질 대비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의 농도비가 1:5 초과 1:20 미만인 경우, 상기 근적외선 차단 모드, 상기 블랙 모드, 상기 거울 모드, 및 상기 투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은, 과염소산 리튬(LiClO4) 또는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Li-TFSI)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변색층은, 복수의 상기 금속 산화물의 입자(particle)들이 관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산화물은, 텅스텐 산화물(WO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베이스 전해질은, 질산 은(AgNO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제조 방법은, 제1 전극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층이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기변색층이 형성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접합시키는 단계, 은(Ag)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전해질, 리튬(Li)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 전해질, 및 용매가 혼합된 전해질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에 상기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금속 산화물이 상기 제1 전극 상에 건식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질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베이스 전해질,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 및 용매가 혼합되는 동안, 상기 제1 베이스 전해질,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 및 용매가 혼합된 용액이 열처리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전극(예를 들어, FTO glass) 및 제2 전극(예를 들어, ITO glass),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금속 산화물(예를 들어, WO3)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에 배치되고, 은(Ag)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전해질(예를 들어, AgNO3), 리튬(Li)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 전해질(예를 들어, LiClO4), 및 용매가 혼합된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반사도와, 근적외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반사도가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빛을 투과하는 투명 모드, 빛을 차단하는 블랙 모드, 빛을 반사하는 거울 모드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파장 대는 투과하고 근적외선 파장 대는 차단하는 근적외선 차단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변색층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건식 적층 방법(예를 들어, Nanoparticle Deposition System)이 사용되므로, 상기 전기변색층의 내부 크랙(crack) 발생 문제 및 환경오염 문제가 현저하게 감소되고, 대면적 공정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투명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전해질 내의 이온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근적외선 차단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전해질 내의 이온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블랙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전해질 내의 이온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거울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전해질 내의 이온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의 각 구현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근적외선 차단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의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블랙 모드 및 거울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의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전해질이 포함하는 LiClO4 농도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전해질이 포함하는 Li-TFSI농도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광학적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전기변색층 이미지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거울 모드 및 블랙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의 이미지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변색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극(100)이 준비될 수 있다(S10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100)은 FTO(Fluorine Tin doped Oxide) 글라스(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00) 상에 전기변색층(200)이 형성될 수 있다(S20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변색층(200)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산화물은 텅스텐 산화물(WO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변색층(200)은 건식 적층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100) 상에 상기 금속 산화물의 분말이 NPDS(Nanoparticle Deposition System)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습식 적층 방법으로 상기 전기변색층(200)이 형성되는 경우, 전기변색층 내 용매의 기화로 인하여 내부 크랙(crack)이 발생되어, 전기변색 소자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습식 적층 방법의 경우,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건식 적층 방법으로 상기 전기변색층(200)이 형성되는 경우, 내부 크랙(crack) 발생 문제 및 환경오염 문제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변색층(200)이 건식 적층 방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전기변색층(200)은 복수의 상기 금속 산화물의 입자(particle)들이 관찰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00)이 형성된 상기 제1 전극(100)과 제2 전극(300)이 접합될 수 있다(S300).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변색층(200)이 상기 제1 전극(100)과 상기 제2 전극(3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전극(100)과 상기 제2 전극(300)이 접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전극(300)은 상기 제1 전극(100)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300)은 ITO(Indium Tin Oxide) 글라스(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은(Ag)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전해질, 리튬(Li)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 전해질, 브롬(Br)을 포함하는 제3 베이스 전해질, 및 용매가 혼합된 전해질이 준비될 수 있다(S400). 예를 들어, 상기 제1 베이스 전해질은, 질산 은(AgNO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은, 과염소산 리튬(LiClO4) 또는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Li-TFSI)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베이스 전해질은 테트라-n-뷰틸암모니움 브로마이드(tetra-n-butylammonium bromide, TBAB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는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베이스 전해질, 및 상기 용매가 혼합되는 동안, 상기 제1 내지 제3 베이스 전해질, 및 상기 용매가 혼합된 용액이 열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베이스 전해질, 및 상기 용매가 혼합된 용액은 60℃의 온도로 열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예를 들어, LiClO4) 및 상기 용매(예를 들어, DMSO)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상기 전해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예를 들어, LiClO4)이 상기 용매(예를 들어, DMSO)에 용해되는 경우 흡열 반응이 발생됨으로,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예를 들어, LiClO4)이 상기 용매(예를 들어, DMSO)와 혼합된 용액을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예를 들어, LiClO4) 및 상기 용매(예를 들어, DMSO)의 반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질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전해질의 농도비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베이스 전해질(예를 들어, AgNO3) 대비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예를 들어, LiClO4)의 농도비가 1:5 초과 1:20 미만으로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베이스 전해질(예를 들어, AgNO3)의 농도가 50 mM인 경우,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예를 들어, LiClO4)의 농도는 250 mM 초과 1000 mM 미만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투명 모드, 근적외선 차단 모드, 블랙 모드, 및 거울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베이스 전해질(예를 들어, AgNO3) 대비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예를 들어, LiClO4)의 농도비가 1:5 이하이거나 1:20 이상인 경우, 근적외선 차단 모드에서 가시광선 파장까지 차단하는 문제점, 및 블랙 모드로 구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상기 제2 전극(300)과 상기 전기변색층(200) 사이에 주입될 수 있다(S500). 이에 따라,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변색층(200)이 상기 금속 산화물(예를 들어, WO3)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이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예를 들어, LiClO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상기 제1 전극(100) 및 상기 제2 전극(20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반사도와, 근적외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반사도가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투명 모드, 근적외선 차단 모드, 블랙 모드, 및 거울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투명 모드, 근적외선 차단 모드, 블랙 모드, 및 거울 모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투명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전해질 내의 이온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근적외선 차단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전해질 내의 이온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블랙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전해질 내의 이온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거울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전해질 내의 이온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투명 모드(Transparent)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질(400) 내의 은 이온(I1) 및 리튬 이온(I2)이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투명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상기 투명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70% 이상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15%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상기 투명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상술된 다른 모드 들과 비교하여,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근적외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모두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근적외선 차단 모드(NIR block)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상기 제1 전극(FTO, 100)에 (+)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전극(ITO, 300)에 (-)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질(400) 내의 상기 리튬 이온(I2)은 상기 전해질(400)로부터 상기 전기변색층(2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해질(400) 내의 상기 은 이온(I1)은 상기 전해질(400) 내에 잔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근적외선 차단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극(FTO, 100)에 +2.0V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전극(ITO, 300)에 -2.0V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근적외선 차단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상기 근적외선 차단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가시광선 파장대는 투과하고 근적외선 파장 대는 차단할 수 있다. 즉,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근적외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보다 높을 수 있다.
블랙 모드(Black)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상기 제1 전극(FTO, 100)에 (+)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전극(ITO, 300)에 (-) 전압이 인가되되, 상기 근적외선 차단 모드 구현을 위해 인가되는 전압 보다 큰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질(400) 내의 상기 은 이온(I1) 및 상기 리튬 이온(I2)이 모두 상기 전해질(400)로부터 상기 전기변색층(2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블랙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극(FTO, 100)에 +3.0V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전극(ITO, 300)에 -3.0V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블랙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상기 블랙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1% 이하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1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상기 블랙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상술된 다른 모드 들과 비교하여,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근적외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모두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거울 모드(Mirror)
상기 스마트 전기 변색 소자의 상기 제1 전극(FTO, 100)에 (-)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전극(ITO, 300)에 (+)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질(400) 내의 상기 은 이온(I1)은 상기 전해질(400)로부터 상기 제2 전극(ITO, 3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해질(400) 내의 상기 리튬 이온(I2)은 상기 전해질(400) 내에 잔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거울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극(FTO, 100)에 -2.5V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전극(ITO, 300)에 +2.5V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거울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상기 거울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2% 이하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7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상기 거울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상술된 다른 모드 들과 비교하여,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 및 근적외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모두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1 전극(FTO, 100) 및 제2 전극(ITO, 300), 상기 제1 전극(100)과 상기 제2 전극(3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금속 산화물(WO3)을 포함하는 상기 전기변색층(200), 및 상기 제2 전극(300)과 상기 전기변색층(200) 사이에 배치되고, 은(Ag)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전해질, 리튬(Li)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 전해질, 및 용매가 혼합된 상기 전해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상기 제1 전극(100) 및 상기 제2 전극(20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반사도와, 근적외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반사도가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빛을 투과하는 투명 모드, 빛을 차단하는 블랙 모드, 빛을 반사하는 거울 모드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파장 대는 투과하고 근적외선 파장 대는 차단하는 근적외선 차단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변색층(2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건식 적층 방법(예를 들어, Nanoparticle Deposition System)이 사용되므로, 상기 전기변색층(200)의 내부 크랙(crack) 발생 문제 및 환경오염 문제가 현저하게 감소되고, 대면적 공정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이 설명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실험 예 및 특성평가 결과가 설명된다.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제조
에탄올로 세척된 FTO glass(Fluorine Tin doped Oxide glass) 및 ITO glass (Indium Tin Oxide glass)가 준비된다. 또한, 50 mM 농도의 AgNO3, 250 mM 농도의 TBABr(tetra-n-butylammonium bromide), 250 mM, 500 mM, 1000 mM 농도의 LiClO4, 및 DMSO(Dimethyl sulfoxide)를 혼합한 후 60℃의 온도로 열처리한 전해질이 준비된다.
상기 FTO glass에 WO3 분말을 NPDS(Nanoparticle Deposition system)으로 건식 적층하고 DI water에 담가 20분간 sonication 한 후 air gun으로 건조하여 400 nm 두께의 전기변색층을 형성하였다.
전기변색층이 형성된 FTO glass는 WO3 전기변색층이 사이에 배치되도록 ITO glass와 접합시키고, WO3 전기변색층과 ITO glass 사이에 상기 전해질을 주입하여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를 제조하였다.
250 mM 농도의 LiClO4가 사용된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실시 예 1-1로 정의되고, 500 mM 농도의 LiClO4가 사용된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실시 예 1-2로 정의되고, 1000 mM 농도의 LiClO4가 사용된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실시 예 1-3으로 정의된다. 실시 예 1-1 내지 1-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전해질 조성이 아래의 <표 1>에 정리된다.
구분 AgNO3 LiClO4 AgNO3:LiClO4 농도비
실시 예 1-1 50 mM 250 mM 1:5
실시 예 1-2 50 mM 500 mM 1:10
실시 예 1-3 50 mM 1000 mM 1:20
실시 예 2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제조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하되, 전해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LiClO4 대신 Li-TFSI(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가 사용되었다.
250 mM 농도의 Li-TFSI가 사용된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실시 예 2-1로 정의되고, 500 mM 농도의 Li-TFSI가 사용된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실시 예 2-2로 정의되고, 1000 mM 농도의 Li-TFSI가 사용된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실시 예 2-3으로 정의된다. 실시 예 1-1 내지 1-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전해질 조성이 아래의 <표 2>에 정리된다.
구분 AgNO3 Li-TFSI AgNO3: Li-TFSI 농도비
실시 예 2-1 50 mM 250 mM 1:5
실시 예 2-2 50 mM 500 mM 1:10
실시 예 2-3 50 mM 1000 mM 1:20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제조
상술된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하되, 전해질로서, AgNO3, TBABr, 및 DMSO가 혼합된 전해질이 사용되었다.
상기 실시 예 1 내지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에 사용된 전해질의 조성의 아래의 <표 3>에 정리된다.
구분 전해질 조성
실시 예 1 AgNO3 + TBABr + DMSO + LiClO4
실시 예 2 AgNO3 + TBABr + DMSO + Li-TFSI
실시 예 3 AgNO3 + TBABr + DMSO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의 각 구현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의 투명 모드, 근적외선 차단 모드, 블랙 모드, 및 거울 모드 상태를 촬영하여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투명 모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ITO에 -2.0V 전압 및 FTO에 +2.0V 전압을 인가한 근적외선 차단 모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c)는 ITO에 -3.0V FTO에 +3.0V 전압을 인가한 블랙 모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d)는 ITO에 +2.5V 전압 및 FTO에 -2.5V 전압을 인가한 거울 모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의 (a) 내지 (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각각의 모드 상태에 따라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는 서로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상태의 구현을 위해 ITO 및 FTO에 인가되는 전압이 아래의 <표 4>에 정리된다.
구분 ITO FTO
투명 모드 0V 0V
근적외선 차단 모드 -2.0V +2.0V
블랙 모드 -3.0V +3.0V
거울 모드 +2.5V -2.5V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근적외선 차단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의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를 준비한 후, 초기 상태(Initial), 근적외선 차단 모드 상태(NIR block), 및 탈색 상태(Bleaching) 각각에 대해 인가되는 광의 파장(Wavelength, nm)에 따른 투과도(Transmittance, %)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탈색 상태는, 근적외선 차단 모드 상태로 구현된 후, ITO에 +1V의 전압 및 FTO에 -1V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구현하였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근적외선 차단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가시광선 파장대(약 400 nm ~ 700 nm)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투과도를 갖는 반면, 근적외선 파장대(약 700 nm ~ 900 nm)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투과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근적외선 차단 모드 상태에서 탈색 상태로 변화되는 경우, 근적외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율 변화율(ΔT)이 43%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가시광선 파장 대는 투과하고 근적외선 파장 대는 차단하는 근적외선 차단 모드로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블랙 모드 및 거울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의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를 준비한 후, 블랙 모드 상태(Black), 및 거울 모드 상태(Mirror) 각각에 대해 인가되는 광의 파장(Wavelength, nm)에 따른 투과도(Transmittance, %)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블랙 모드 상태 및 거울 모드 상태로 구현되는 경우,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근적외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모두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전해질이 포함하는 LiClO4 농도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각각 상기 실시 예 1-1, 1-2, 및 1-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광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10의 (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실시 예 1-1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경우, 근적외선 차단 모드(NIR block) 상태에서 가시광선 영역까지 차단하고, 블랙 모드(Black) 구현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탈색(Bleaching)시 초기(Initial) 수준으로 투과도과 회복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0의 (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실시 예 1-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경우, 근적외선 차단 모드(NIR block) 상태에서 가시광선 영역에 대한 선택성이 없고, 블랙 모드(Black) 상태에서 상기 실시 예 1-2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보다 낮은 투과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도 10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실시 예 1-2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경우, 근적외선 차단 모드(NIR block), 블랙 모드(black), 및 거울 모드(Mirror)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해질이 포함하는 AgNO3 대비 LiClO4 농도비가 1:5(50mM:250mM) 초과 1:20(50mM:1000mM) 미만으로 제어됨에 따라, 근적외선 차단 모드(NIR block), 블랙 모드(black), 및 거울 모드(Mirror)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전해질이 포함하는 Li-TFSI농도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1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각각 상기 실시 예 2-1, 2-2, 및 2-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광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11의 (a) 내지 (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Li-TFSI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근적외선 차단 모드(NIR block)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도 11의 (a) 및 (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실시 예 2-1 및 실시 예 2-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경우, 블랙 모드(black) 구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상기 실시 예 2-2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경우, 근적외선 차단 모드(NIR block), 블랙 모드(black), 및 거울 모드(Mirror)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해질이 포함하는 AgNO3 대비 Li-TFSI 농도비가 1:5(50mM:250mM) 초과 1:20(50mM:1000mM) 미만으로 제어됨에 따라, 근적외선 차단 모드(NIR block), 블랙 모드(black), 및 거울 모드(Mirror)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광학적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2의 (a) 및 (b)를 참조하면, 각각 상기 실시 예 1-2 및 2-2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광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12의 (a) 및 (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실시 예 1-2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상기 실시 예 2-2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와 비교하여, 근적외선 차단 모드(NIR block) 및 블랙 모드(Black)에서 더욱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 예 1-2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탈색(Bleaching)시 39%의 투과도 회복(ΔT)을 나타내어, 25%의 투과도 회복(ΔT)을 나타내는 상기 실시 예 2-2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보다 더욱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상기 전해질로서 LiClO4가 사용되는 경우 Li-TFSI가 사용되는 경우보다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전기변색층 이미지이다.
도 13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전기변색층 FE-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미지 및 EDS(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mapping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3의 (a) 내지 (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전기변색층은, WO3 분말이 건식 적층됨에 따라, WO3 입자들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기변색층이 FTO 상에 적층됨으로, EDS mapping 이미지에서 주석(Sn) 및 텅스텐(W)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거울 모드 및 블랙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의 이미지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거울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의 ITO glass에 대한 FE-SEM 이미지 및 EDS mapping 이미지를 나타내고,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 4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가 블랙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의 WO3 전기변색층에 대한 FE-SEM 이미지 및 EDS mapping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4의 (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거울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전해질 내의 은(Ag) 이온이 ITO glass로 이동됨에 따라, ITO glass에서 은(Ag)이 검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도 14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블랙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전해질 내의 은(Ag) 이온이 WO3 전기변색층으로 이동됨에 따라, WO3 전기변색층에서 은(Ag) 이온이 검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를 준비한 후, 투명 모드 상태(transparent), 거울 모드 상태(mirror), 및 블랙 모드 상태(black) 각각에 대해 인가되는 광의 파장(Wavelength, nm)에 따른 투과도(Transmittance, %)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반면,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를 준비한 후, 투명 모드 상태(transparent), 거울 모드 상태(mirror), 및 블랙 모드 상태(black) 각각에 대해 인가되는 광의 파장(Wavelength, nm)에 따른 반사도(Reflectance, %)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도 15의 (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투과 모드 상태에서 680 nm 파장에 대한 투과도가 76.44%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블랙 모드 및 거울 모드 상태에서 680 nm 파장에 대한 투과도가 각각 0.51% 및 1.26%로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달리, 도 15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투과 모드 및 블랙 모드 상태에서 680 nm 파장에 대한 반사도가 약 10%로 낮게 나타나는 반면, 거울 모드 상태에서 680 nm 파장 및 440 nm 파장에 대한 반사도가 각각 73.1% 및 77.2%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변색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를 준비한 후, 투과 모드(Transparent)에서 블랙 모드(Black)로 변화되는 시간 및 투과 모드(Transparent)에서 거울 모드(Mirror)로 변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도 1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투과 모드에서 블랙 모드로 변화되는 시간(tc)은 16초이고, 투과 모드에서 거울 모드로 변화되는 시간(tc)은 35초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를 준비한 후, 100 스위칭 사이클(switching cycle) 동안 투과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투과 모드-블랙 모드-투과 모드-거울 모드-투과 모드 순서로의 동작을 1 스위칭 사이클로 정의하였다. 또한, 블랙 모드 이후의 투과 모드 및 거울 모드 이후의 투과 모드는 탈색된 상태로 정의하였다.
도 17의 (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 스위칭 사이클 후, 블랙 모드 이후 탈색된 상태에서의 투과도 및 거울 모드 이후 탈색된 상태에서의 투과도는 각각 74.5% 및 73.5%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00 스위칭 사이클 후, 블랙 모드 이후 탈색된 상태에서의 투과도 및 거울 모드 이후 탈색된 상태에서의 투과도는 각각 73.1% 및 79.6%로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 스위칭 사이클 후 및 100 스위칭 사이클 후 블랙 모드에서의 투과도는 각각 1.3% 및 9.6%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상기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각 모드가 반복적으로 구동됨에도 불구하고, 탈색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투과도(70% 이상)를 나타내고 블랙 모드에서 지속적으로 낮은 투과도(10% 이하)를 나타냄으로 높은 안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7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를 준비한 후, 100 사이클 동안 반사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투과 모드-거울 모드-투과 모드 순서로의 동작을 1 사이클로 정의하였다. 또한, 거울 모드 이후의 투과 모드는 탈색된 상태로 정의하였다.
도 17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680 nm 파장에 대해 1 사이클 후 반사도는 73.1%를 나타내고, 100 사이클 후 반사도는 72.7%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100 사이클 동안 반사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상기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높은 광학적 안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를 준비한 후, 1 사이클, 50 사이클, 및 100 사이클 후 100 mV/s의 scan rate에서 Cyclic voltammetry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도 1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 사이클, 50 사이클, 및 100 사이클 후 각각 77.68, 84.31, 및 88.17 mC/cm2의 전류 밀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100 사이클 동안 전류 밀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상기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는 높은 전기적 안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제1 전극
200: 전기변색층
300: 제2 전극
400: 전해질

Claims (14)

  1.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에 배치되고, 은(Ag)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전해질, 리튬(Li)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 전해질, 및 용매가 혼합된 전해질을 포함하되,
    상기 전해질 내의 은 이온 또는 리튬 이온의 이동에 따라,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반사도와, 근적외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 및 반사도가 선택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1 베이스 전해질 대비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의 농도비가 1:5 초과 1:20 미만으로 제어되어,
    가시광선 파장 대는 투과하고 근적외선 파장 대는 차단하는 근적외선 차단 모드,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1% 이하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10% 이하인 블랙 모드,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2% 이하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70% 이상인 거울 모드, 및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70% 이상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15% 이하인 투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적으로 구현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온이 상기 전해질로부터 상기 전기변색층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시광선 파장 대는 투과하고, 근적외선 파장 대는 차단하는 근적외선 차단 모드로 구현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은 이온 및 상기 리튬 이온이 모두 상기 전해질로부터 상기 전기변색층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1% 이하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10% 이하인 블랙 모드로 구현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은 이온이 상기 전해질로부터 상기 제2 전극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2% 이하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70% 이상인 거울 모드로 구현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은 이온 및 상기 리튬 이온이 이동되지 않는 경우,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70% 이상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15% 이하인 투명 모드로 구현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근적외선 차단 모드, 상기 블랙 모드, 상기 거울 모드, 및 상기 투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적으로 구현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은, 과염소산 리튬(LiClO4) 또는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Li-TFSI)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복수의 상기 금속 산화물의 입자(particle)들이 관찰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텅스텐 산화물(WO3)을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전해질은, 질산 은(AgNO3)을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12. 제1 전극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층이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기변색층이 형성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접합시키는 단계;
    은(Ag)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전해질, 리튬(Li)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 전해질, 및 용매가 혼합된 전해질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에 상기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베이스 전해질 대비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의 농도비가 1:5 초과 1:20 미만으로 제어되어,
    가시광선 파장 대는 투과하고 근적외선 파장 대는 차단하는 근적외선 차단 모드,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1% 이하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10% 이하인 블랙 모드,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2% 이하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70% 이상인 거울 모드, 및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투과도가 70% 이상이고 가시광선 파장 대에 대한 반사도가 15% 이하인 투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적으로 구현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제조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금속 산화물이 상기 제1 전극 상에 건식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제조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베이스 전해질,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 및 용매가 혼합되는 동안, 상기 제1 베이스 전해질, 상기 제2 베이스 전해질, 및 용매가 혼합된 용액이 열처리되는 것을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210001001A 2020-11-19 2021-01-05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485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6384 WO2022108229A1 (ko) 2020-11-19 2021-11-11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8/297,384 US20230244116A1 (en) 2020-11-19 2023-04-07 Smart electrochromic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332 2020-11-19
KR20200155332 2020-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867A KR20220068867A (ko) 2022-05-26
KR102485305B1 true KR102485305B1 (ko) 2023-01-05

Family

ID=8180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001A KR102485305B1 (ko) 2020-11-19 2021-01-05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82007B (zh) * 2023-04-03 2024-04-12 浙江大学 一种电致调控可见-近红外-中远红外器件及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2490A (ja) * 2016-10-27 2018-05-1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ミラーデバイス、及び、エレクトロデポジション素子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882B1 (ko) 2016-06-17 2020-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
KR102476219B1 (ko) * 2017-05-19 2022-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능동 위장 장치
KR102246469B1 (ko) * 2017-07-21 2021-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역 전기화학 거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2490A (ja) * 2016-10-27 2018-05-1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ミラーデバイス、及び、エレクトロデポジション素子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867A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86117B (zh) 电致变色装置和电致变色调光装置
JP6610023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
JP6624206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
KR101535100B1 (ko) 전기변색 스마트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JP5790403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
US9798214B2 (en) Methods of charging solid state plasmonic electrochromic smart window devices
JP7486578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デバイス、並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操作方法
EP2290438A1 (en) Electrochromic devices having improved ion conducting layers
WO2015041991A1 (en) Chromatic systems
US8094361B2 (en) Polymer shutter compositions and devices for infrared systems
KR101816536B1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485305B1 (ko) 스마트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17026750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調光眼鏡及び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の製造方法
US20230244116A1 (en) Smart electrochromic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57051B1 (ko) 산화 그래핀 보호층 포함 전기변색용 전극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산화 그래핀 보호층 포함 전극필름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
KR20230148784A (ko) 리튬 및 은 이온의 선택적 이동을 통한 가시광선 및 적외선 선택 차단 4중 전기 변색 소자
KR102137314B1 (ko) 연속구동 특성이 향상된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550961B1 (ko) 전기변색층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KR20180009019A (ko) 전기 변색 소자
KR20220002560A (ko) 멀티-컬러 전기변색 소자
KR102258224B1 (ko) 전기변색소자
JP6776510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素子、表示装置、情報機器、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素子の製造方法、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調光レンズ
RU2810917C1 (ru) Электрохро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230148785A (ko) 건식 적층 박막의 표면 조도 차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71996A (ko)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전기변색 소자용 전해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