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251B1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251B1
KR102485251B1 KR1020170167102A KR20170167102A KR102485251B1 KR 102485251 B1 KR102485251 B1 KR 102485251B1 KR 1020170167102 A KR1020170167102 A KR 1020170167102A KR 20170167102 A KR20170167102 A KR 20170167102A KR 102485251 B1 KR102485251 B1 KR 102485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processing
analog
digital
digit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652A (ko
Inventor
양상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7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25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09Sonic sensors; Signal treat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1205Multiplexed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외부 소음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수신한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 소음을 제거하는 마이크로폰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현대 사회에서 자동차는 가장 보편적인 이동 수단으로서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과거보다 장거리의 이동이 용이하고, 생활이 편해지는 등 생활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패널에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등에게 음악, 음성, 또는 음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이 장착되어있다. 이러한 오디오 시스템은 볼륨 조정 기능이 가지며, 볼륨은 탑승자의 수동 조정 등에 따라 조정된다.
또한, 오디오 시스템은 다양한 전자 장치 및 서비스 기능과 결합되어 다양한 소리, 경고음, 음악 등을 중복하여 재생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라디오 장치를 통해 음악이 재생되는 도중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안내하는 경고음이 함께 스피커를 통해 흘러 나올 수 있다.
한편, 탑승자는 이렇게 중복되어 재생되는 차량 내부의 사운드 및 차량 주행에 따른 풍절음, 엔진 소음 등 다양한 노이즈에 의해서 필요한 경고음을 듣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에는 외부에서 유입도는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 능동형 도로 소음 제거(Active Road Noise Cancellation) 시스템이 탑재되는데, 능동형 도로 소음 제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외부 소음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있으며, 마이크로폰은 마이크로폰을 제어하는 차량의 헤드 유닛과 마이크로폰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과 헤드 유닛이 각각 케이블 선을 통해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차량의 내부 설계에 복잡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케이블 선의 증가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과 헤드 유닛으로 연결로 인해 발생되는 케이블 선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외부 소음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수신한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어부와 단일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복수 개의 마이크르폰(micropho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과의 각각의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차량의 가로 중심선 또는 상기 세로 중심선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멀티 플렉서(Multiplex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및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순차적으로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저장된 디지털 신호를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변조한 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동시에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외부 소음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폰으부터 출력되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마이크로폰을 제어하는 헤드 유닛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헤드 유닛과 단일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르폰과의 각각의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차량의 가로 중심선 또는 상기 세로 중심선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멀티 플렉서(Multiplex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및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는,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유닛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디지털 신호를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변조한 후, 상기 헤드 유닛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아나로그 신호를 동시에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처리부가 마이크로폰과의 각각의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헤드 유닛과는 단일 케이블 선으로 연결되어 케이블 선의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설계도의 자유 및 비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내부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차량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과 헤드 유닛이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 처리부가 마련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및 도2를 통해 본 발명이 설치된 차량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외관도이고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내부도이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12,13),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5), 차량(100) 내부의 사용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6),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후방 유리(18) 및 사용자에게 차량(100) 측면 및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4)를 포함할 수 있다.
차륜(12,13)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12),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13)을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 장치(미도시)는 차량(1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12) 또는 후륜(13)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 또는 축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15)는 차량(10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사용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100) 외부에는 도어(15)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17)가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17)에는 블루투스(Low Frequency)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안테나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 조작 장치(미도시)를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15)의 터치 감지부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1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 조작 장치(미도시)와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100)의 도어 락이 해제되어 사용자의 손잡이(17)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15)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 뿐만 아니라, 차량(100) 내 탑승한 동승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유리(16)는 본체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사용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 쉴드 글래스(wind shield glass)라고도 한다.
후방 유리(18)는 본체의 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사용자가 차량(100)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리어 글라스 (Rear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차량에는 측면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4)가 마련될 수 있으며, 좌측 후방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4L)와 우측 후방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4R)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에는 사용자의 운전 시야를 밝혀주는 전조등(11)이 각각 차량(100)의 전면부 왼쪽(11L)과 오른쪽(11R)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전조등은 헤드라이트(Head Light)를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차량(100) 내부에는 차량(100)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 소음 인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00)은 후면 또는 측면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100)의 측면이나 후면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시보드(26)의 중앙 영역에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한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이 마련될 수 있다. AVN 단말에는 단말에서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5)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는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부가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운전석(22L)와 조수석(22R) 사이에 죠그 셔틀(jog shuttle) 타입의 센터 입력부(33)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센터 입력부(33)를 돌리거나 가압하거나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입력부(33) 옆에는 차량(100)의 엔진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기어 봉(32)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10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2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3L, 23R)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운전석(22L) 쪽의 대시보드(26)에는 원격 조작 장치(미도시; 일 예로서, 포브(FOB)키)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28)이 형성될 수 있다. 키 홈(28)에 차량의 시동을 킬 수 있는 원격 조정 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26)에는 차량(100)의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시동 버튼(29)이 마련될 수 있고, 키 홈(28)에 원격 조작 장치가 삽입되거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 조작 장치와 차량(100) 간의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의 시동 버튼(29) 가압에 의해 차량(100)의 시동이 턴온될 수 있다.
한편, 차량(100)에는 공조 장치가 구비되어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21L, 21R)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부 및 내부 모습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구성에 대해 알아본다.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을 감지하고 이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있는 감지부(110), 원격 조작 장치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통신부(120), 차량(100)에 관한 각종 정보 및 신호 처리부(150)에 의해 변조된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130) 및 복수 개의 마이크로 폰을 제어하는 제어부(140) 및 감지부(110)로부터 수신한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140)로 송신하는 신호 처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0)는 차량(100) 외부에서 발생하는 외부 소음을 차량(100)의 내부에서 감지하는 구성 또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감지부(110)는 차량(110) 내부에 설치되며, 차량(100) 외부의 소음에 의해서 운전자가 들을 수 있는 소음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10)는 외부 소음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마이크로폰(microphone, 111-116)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은 차량(100) 내부의 다양한 위치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원격 조작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차량(100) 내부의 각종 구성 요소들간에 신호를 송수신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120)는 외부 서버와 여러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RF(Radio Frequency),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광대역(Ultra-Wide Band: UWB) 통신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통신부(120)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단일의 구성요소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미도시) 및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가 별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차량(100)에 관한 각종 정보 및 신호 처리부(150)에서 변조된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차량(100)의 길이, 높이, 너비 등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차량(100)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111~116)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3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40)와 관련하여 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100)에 마련되어 있는 각종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신호 처리부(15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111~116)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폰(111~116)을 포함한 차량(100)에 마련된 오디오 시스템을 제어하는 헤드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50)는 감지부(110)로부터 수신한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어부(14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50)는 신호 처리 모듈로 지칭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50)의 구성 요소 및 신호 처리부(150)가 설치될 수 있는 위치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과 헤드 유닛이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 처리부(150)가 마련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주행시 도로에서부터 들어오는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 능동형 도로 소음 제거(Active Road Noise Cancellation) 시스템이 탑재되는데, 능동형 도로 소음 제거 시스템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지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복수 개의 멀티 마이크로폰(211, 212, 213, 214, 215, 216)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211, 212, 213, 214, 215, 216)은 탑승자들의 위치와 가까운 차량의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복수 개의 멀티 마이크로폰(211, 212, 213, 214, 215, 216)의 작동은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헤드 유닛(Head Unit, H/U, 220)과 연결되어 있어야 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마이크로폰(211, 212, 213, 214, 215, 216)은 헤드 유닛(220)과 케이블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100)에는 마이크로폰(211, 212, 213, 214, 215, 216)은 헤드 유닛과 일대일로 연결되기 위한 많은 수의 케이블 선이 필요하기 때문에, 차량(100) 내부 설계에 복잡성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111~116)부터 수신되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제어부(140)로 송신하는 신호 처리부(150)가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211~216)과의 각각의 합이 최소가 되는 위치에 존재하고, 단일 케이블 선을 통해 제어부(14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차량(100)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100) 내부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50)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211~216)으로부터 송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최소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150)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211~216)과의 각각의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140)와는 단일 케이블 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부(150)는 제1마이크로폰(211)과의 거리, 제2마이크로폰(212)과의 거리, 제3마이크로폰(213)과의 거리, 제4마이크로폰(214)과의 거리, 제5마이크로폰(211)과의 거리 및 제6마이크로폰(216)과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50)는 제어부(140)와는 단일 케이블 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211~216)과 제어부(140)를 연결하는 케이블 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211~216)은 차량(100)의 세로 중심선(a) 또는 가로 중심선(b)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설치되므로, 신호 처리부(150)는 차량(100)의 세로 중심선(a) 또는 가로 중심선(b)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도 6에서는 차량(100) 내부에 마이크로폰(211~216)이 6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 4개, 8개 등 차량(100) 환경에 따라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신호 처리부(150)는 설치된 마이크르폰과의 각각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지금까지 신호 처리부(150)가 마련될 수 있는 위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하 신호 처리부(150)의 구성 및 동작 순서에 대해 알아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150)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150)는 감지부(110)로부터 송신되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멀티 플렉서(151),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152a) 및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변조한 후, 이를 제어부(140)부로 송신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or, DSP, 153)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플렉서(151)는 수신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단을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회로 장치를 의미하며, 데이터 셀렉터(Data Selector)로 지칭되기도 한다.
즉, 멀티 플렉서(151)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211~216)으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52a)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플랙서(151)는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개수 만큼 복수 개의 스위치(151a, 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52a)는 멀티 플렉서(151)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52a)는 일정한 간격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 한 후, 샘플링한 아날로그 수치를 각 시스템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수치로 양자화(digital)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or, DSP, 153) 장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52)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차량(100) 내부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변조한 후, 제어부(14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저장부(130)에 임시적으로 저장되어 있다가,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이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153)로 송신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153) 내부에 같이 마련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동작 순서를 설명하면, 감지부(110)에서 출력되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멀티 플렉서(151)에 입력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153)는 첫 번째 아날로그 신호가 멀티 플렉서(151)를 통과할 수 있도록 첫 번째 스위칭(151a) 인가 신호를 멀티 플렉서(151)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 플렉서(151)를 통과한 첫 번째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52a)로 입력 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그 후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153)로 전송되어 임시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153)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153)는 두 번째 아날로그 신호가 멀티 플렉서(151)를 통과할 수 있도록 두 번째 스위칭(151b) 인가 신호를 멀티 플렉서(151)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 플렉서(151)를 통과한 두 번째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52a)로 입력 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그 후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153)로 전송되어 임시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153)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을 거친 복수 개의 디지털 신호들은 차량(100) 내부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변조한 후, 제어부(140)로 송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111~116)을 제어하는 헤드 유닛으로 송신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150)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150)는 감지부(110)로부터 송신되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동시에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52b) 및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변조한 후, 이를 제어부(140)부로 송신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153)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신호 처리부(150)는 멀티 플렉서(151)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는 하나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52a)를 포함하고 있으나, 도 8의 신호 처리부는(150)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동시에 변환 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5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신호 처리부(150)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우, 감지부(110)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52)로 입력되며, 동시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복수의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153)로 송신되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153)에서 차량(100) 내부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변조된 후, 제어부(140)로 송신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111~116)을 통해 외부 소음이 감지된 경우, 복수 개의 마이크로 폰(111~116)은 이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로 송신할 수 잇다. (S110)
신호 처리 모듈은 도 3에서 설명한 신호 처리부(150)와 동일한 역할을 하며, 신호 처리 모듈은 마이크로폰(111~116)과의 각각의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111~116)을 제어하는 헤드 유닛과는 단일 케이블 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로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가 수신되면,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멀티 플렉서(151)에 입력되어 순차적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신호 처리 모듈에 임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S120)
그리고 멀티 플렉서(151)를 통과하여 변조된 디지털 신호는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변조된 후, 변조된 신호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폰(111-116)을 제어하는 헤드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지금까지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기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차량
110: 감지부
120: 통신부
130: 저장부
140: 제어부
150: 신호 처리부

Claims (19)

  1. 외부 소음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외부 소음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들;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폰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선택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멀티 플렉서와, 상기 멀티 플렉서에 연결되고 상기 멀티 플렉서에 선택적으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멀티 플렉서에 연결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들 각각에 대한 스위칭 인가 신호를 상기 멀티 플렉서에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스위칭 인가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어느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 전송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폰들을 제어하고 오디오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어부와 단일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는 차량.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들과의 각각의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차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차량의 가로 중심선 또는 세로 중심선에 마련되는 차량.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폰들을 제어하고 오디오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저장된 디지털 신호를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변조한 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차량.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들을 통해서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디지털 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를 포함하는 차량.
  11. 차량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들을 통해 외부 소음을 각각 감지하는 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폰들에 각각 연결된 멀티 플렉서의 복수 개의 스위치들 각각에 대한 스위칭 인가 신호를 상기 멀티 플렉서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상기 멀티 플렉서의 복수 개의 스위치들의 순차적 스위칭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들로부터 출력되는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디지털 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각각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헤드 유닛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헤드 유닛과 단일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는 차량의 제어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르폰과의 각각의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차량의 가로 중심선 또는 세로 중심선에 마련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를 통해,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디지털 신호를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변조한 후, 상기 헤드 유닛으로 송신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9. 삭제
KR1020170167102A 2017-12-07 2017-12-0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5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02A KR102485251B1 (ko) 2017-12-07 2017-12-0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02A KR102485251B1 (ko) 2017-12-07 2017-12-0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652A KR20190069652A (ko) 2019-06-20
KR102485251B1 true KR102485251B1 (ko) 2023-01-06

Family

ID=6710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102A KR102485251B1 (ko) 2017-12-07 2017-12-0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0122A3 (fr) * 2020-05-15 2021-11-19 Renault S.A.S Système embarqué pour un véhicule automob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7796A (ja) * 1998-10-21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内警報装置及び車内警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120B1 (ko) * 2005-05-09 2006-12-20 심준원 차량용 오토바이 경보 장치 및 방법
KR20120065500A (ko) * 2010-12-13 2012-06-21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7796A (ja) * 1998-10-21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内警報装置及び車内警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652A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3412B2 (ja) 自動車のオーディオシステム
US20080273715A1 (en) Vehicle external speaker and communication system
US9922548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camera systems and methods
US9240176B2 (en) Active nois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5230985B2 (ja) 車室の外側からの車両エレメントの音声制御
US9899023B2 (en) Audio video navigation devic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dio video navigation device
JP5820305B2 (ja) 車外音導入装置
CN109147815A (zh) 用于车辆中的选择性音量调节的系统和方法
US10440467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1755294A (zh) 给观察者提供关于使用中的应急车辆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842436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485441B1 (ko) 차량 및 차량 시스템
KR102485251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704051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9672842B2 (en) Terminal, audio device communicating with terminal, and vehicle
KR10248870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165159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16248B1 (ko) 오디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19171962A1 (ja) 車載無線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可搬型通信装置、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KR20210151089A (ko) 차량 시스템의 음성 제어
KR102591877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7844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587063B1 (ko) 단말기,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JP2562010B2 (ja) 音声入力制御装置
KR102384151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