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23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232B1
KR102485232B1 KR1020210010691A KR20210010691A KR102485232B1 KR 102485232 B1 KR102485232 B1 KR 102485232B1 KR 1020210010691 A KR1020210010691 A KR 1020210010691A KR 20210010691 A KR20210010691 A KR 20210010691A KR 102485232 B1 KR102485232 B1 KR 102485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mpressor
condenser
refrigerant
mach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707A (ko
Inventor
백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23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2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 F25B31/023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with compressor of reciprocating-pist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1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3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preventing vib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온의 저장 공간과, 기계실을 각각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는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 배관은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조에서,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위한 압축기와 응축기 등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기계실이 저장 공간과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에 사용되는 압축기로는, 피스톤이 왕복 직선 운동하는 구동모터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운동전환에 의한 기계적인 손실이 없이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는 리니어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보통, 리니어 압축기는, 밀폐된 쉘 내부에서 피스톤이 리니어 모터에 의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 모터는 이너 스테이터 및 아우터 스테이터 사이에 영구 자석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영구자석은 영구자석과 이너(또는 아우터) 스테이터 간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이 피스톤과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됨에 따라,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도록 한다.
다만, 이와 같이 직선 왕복 운동하며 구동되는 리니어 압축기를 사용할 경우,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이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냉매 배관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3-0034587호(공개일 2003년 05월 09일)에는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의 냉매관 또는 응축기 후단부의 냉매관 등에 방진고무가 부착되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다만, 선행문헌과 같이 냉매 배관의 진동에 의한 소음 냉매 배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진 고무를 사용하는 경우, 방진 고무의 질량이 고정되어 가변 주파수를 사용하는 압축기를 구비하는 냉동 사이클에의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선행문헌과 같이 방진고무를 사용하는 경우, 배관 용접 또는 제품 운송 시, 상기 방진 고무의 탈거 누락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진동 저감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별도의 부재 없이, 냉매 배관의 형상을 변경하여 상기 냉매 배관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냉매가 수직으로 유동하여 진동 전달의 완충 작용을 수행하도록 상기 냉매 배관의 적어도 일부를 상방으로 절곡하게 형성하여 냉매 배관의 공진을 회피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냉매 배관이 응축기 내측 공간에서 다수 회 절곡되어, 집수 공간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증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온의 저장 공간과, 기계실을 각각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는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 배관은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매 배관은, 상방을 향해 절곡되는 제 1 연장부; 상기 제 1 연장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방을 향해 절곡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연장부, 상기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3 연장부는, 라운드지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냉매 배관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를 향해 연장되는 제 1 배관; 상기 제 1 배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응축기가 벤딩되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제 2 배관; 및 상기 제 2 배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응축기에 연결되는 제 3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장부, 상기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3 연장부는 상기 제 1 배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는, 직선 왕복 운동하며 구동되는 리니어 압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파이프; 압축된 냉장고가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토출 파이프; 및 냉매를 상기 압축기에 보충하기 위한 프로세스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관은, 상기 토출 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내측에 상기 내측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기계실의 전면과 후면 및 측면을 따라 벤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헤더; 상기 제 1 헤더와 이격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헤더; 상기 제 1 헤더와 상기 제 2 헤더의 사이를 연결하는 튜브; 및 상하 배치되는 튜브의 사이를 연결하는 열교환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배관은, 상기 제 1 헤더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더는, 상기 응축기 측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입력 연결부; 및 상기 입력 연결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응축기 측에서 냉매를 토출시키는 출력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배관은, 상기 입력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에 장착되며, 상기 응축기가 장착되는 베이스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팬의 내측에는 집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배관은, 상기 집수 공간의 내측에서 다수 회 반복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배관은, 상기 응축기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 2 배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부재 없이, 냉매 배관의 형상을 변경하여 상기 냉매 배관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냉매가 수직으로 유동하여 진동 전달의 완충 작용을 수행하도록 상기 냉매 배관의 적어도 일부를 상방으로 절곡하게 형성하여 냉매 배관의 공진을 회피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냉매 배관이 응축기 내측 공간에서 다수 회 절곡되어, 집수 공간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증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후면의 기계실이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기계실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기계실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응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3 연장부의 수직 방향 최장 거리를 조절한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3 연장부의 수직 방향 최장 거리를 조절함에 따른 공진 회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후면의 기계실이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기계실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기계실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는 도어(20)측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기계실 개구(101a)를 차폐하는 기계실 커버(12)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은 상하 또는 좌우로 구획되어 다수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온도로 냉각되어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다수의 저장 공간을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저장 공간을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저장 공간이 상하로 구획되고, 상기 도어(20) 또한 상부 도어(21)와 하부 도어(22)로 구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101)와, 상기 아웃케이스(101) 내측에서 상기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01)와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채워지게 되어 상기 저장 공간이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1)에는, 하나의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는 압축기(30), 응축기(50) 및 증발기(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0) 및 상기 응축기(50)는 상기 캐비닛(10)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계실(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기계실(11)은 상기 캐비닛(10)의 후면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1)은 상기 저장 공간의 냉각을 위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들을 포함하여 다수의 전장 부품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 공간과 구획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1)은 외부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기계실(11) 내부의 구성들이 냉각 또는 열교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기계실(11)의 바닥면은 바텀 플레이트(1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111)에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 공급하는 압축기(30)와, 상기 압축기(30)로부터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방열시키는 응축기(50), 그리고, 상기 기계실(11) 내부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 유닛(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0)와 응축기(50) 및 송풍팬 유닛(60)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11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 유닛(60)을 기준으로 상기 기계실(11)의 내부는 좌우로 구획될 수 있으며,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에 응축기(50)가 배치되고, 좌측에 압축기(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50)가 배치되는 우측의 영역은 외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1a)라 할 수 있고, 상기 압축기(30)가 배치되는 좌측의 영역은 외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1b)라 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1)의 후면에 형성되는 기계실 개구(101a)에는 기계실 커버(1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12)는 상기 기계실(11)의 후면 및 상기 냉장고(1)의 후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 개구(101a)를 차폐하여 상기 기계실(11) 내부의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실 개구(101a)의 높이는 상기 응축기(50)의 상단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계실(11)의 하면은 바텀 플레이트(11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11)의 전면을 포함한 상면은 탑 플레이트(1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1) 개구의 높이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111) 후단과 상기 탑 플레이트(112) 후단의 사이 거리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응축기(50)의 높이와 같거나 사실상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계실 커버(12)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기계실 개구(101a)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응축기(50)는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인출입되면서 장착 및 분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계실 커버(12)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21)와, 상기 기계실(1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1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21)는 상기 응축기(5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구(122)는 상기 압축기(3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21)와 상기 토출구(122)는 다수의 홀들로 이루어진 그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가 방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1)의 양측면과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10)의 양측면에는 캐비닛 흡입구(101b)와 캐비닛 토출구(10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흡입구(101b)는 외기가 흡입되는 통로로 상기 흡입부(11a) 즉, 상기 응축기(50)가 배치되는 영역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토출구(101c)는 상기 기계실(1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로 상기 토출부(11b) 즉, 상기 압축기(30)가 배치되는 영역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텀 플레이트(111)에는 플레이트 흡입구(111a)와 플레이트 토출구(11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111a)는 상기 흡입부(11a)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텀 플레이트(111)의 전단에 가로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111b)는 상기 토출부(11b)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텀 플레이트(111)의 전단에 가로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계실(11)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상기 송풍팬 유닛(60)에 의해 좌우측에 각각 흡입부(11a)와 토출부(11b)가 배치되고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입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응축기(50)를 기준으로 전방의 흡입구(121)와, 후방의 플레이트 흡입구(111a), 그리고 측방의 캐비닛 흡입구(101b)를 통해서 외부 공기가 강제 흡입되어 상기 흡입부(11a)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흡입부(11a)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응축기(50)의 전면과 후면 측면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응축기(50)를 기준으로 전체 면에 걸쳐 고르게 외부 공기가 통과하게 되어 상기 응축기(50)의 효과적인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30)를 기준으로 전방의 토출구(122)와, 후방의 플레이트 토출구(111b), 그리고 측방의 캐비닛 토출구(101c)를 통해서 상기 기계실(11) 내부의 공기가 상기 압축기(30)를 냉각시킨 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팬 유닛(6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측방의 압축기(30)를 지나면서 상기 압축기(30)를 냉각시키고 상기 토출부(11b)의 전방 및 후방 그리고 측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송풍팬 유닛(6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흡입부(11a)로 외기가 입체적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응축기(50)는 방열되고, 상기 압축기(30)를 입체적으로 냉각시킨 후 상기 토출부(11b)를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11)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고(1)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워터 밸브(7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5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증발을 위해 감압시키는 팽창수단(74)(팽창밸브, 전자 팽창밸브, 모세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바텀 플레이트(111)에는 베이스 팬(4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팬(40)은 좌우 양측 중 상기 응축기(50)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흡입구(111a)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응축기(50), 상기 송풍팬 유닛(60) 및 상기 팽창수단(74)은 상기 베이스 팬(4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팬(40)의 수직 상방에는 증발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팬(40)에는, 상기 증발기 또는 상기 증발기가 배치된 공간에서 발생된 제상수를 상기 베이스 팬(40)으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호스(72,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호스(72,73)는 증발기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팬(40)의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팬(40)은 상기 드레인 호스(72,73)에 의해 배출되는 제상수가 저장되므로 드레인 팬이라 부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응축기(50)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응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응축기(50)는 상기 기계실(11)의 전면과 후면 및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형상으로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응축기(50)는 상기 흡입부(11a)의 전면과 후면 및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형상으로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50)는 상기 기계실(11)의 후면 즉, 상기 기계실 커버 (12)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기계실 커버 (12)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1 직선부(501)와, 상기 제 1 직선부(50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직선부(501)와 나란히 배치되는 제 2 직선부(502), 그리고 상기 제 1 직선부(501)와 제 2 직선부(502)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기계실(11)의 측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벤딩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50)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팬(40)에서 상기 기계실(11)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11a)의 내측으로 각 방향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모두 상기 응축기(50)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 유닛(60)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응축기(50)는 한쌍의 제 1 헤더(53)와 제 2 헤더(55) 그리고 상기 제 1 헤더(53)와 제 2 헤더(55)의 사이를 연결하는 튜브(51) 그리고, 상하 배치되는 튜브(51)의 사이를 연결하는 열교환 핀(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통상 마이크로 채널 응축기(micro channel condenser)라고 불리는 구조로 비교적 컴팩트한 크기로 구성되며 우수한 열교환 성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헤더(53)와 제 2 헤더(55)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높이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헤더(53)의 전방에 상기 제 2 헤더(55)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더(53)와 제 2 헤더(55)는 다수의 상기 튜브(51)들의 양단과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연결된 상기 다수의 튜브(51)들을 따라 유동되는 냉매의 유동 경로를 결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더(53)에는 상기 응축기(50)측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입력 연결부(531)와, 상기 응축기(50) 측에서 냉매가 토출되는 출력 연결부(532)가 상하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연결부(531)에는 상기 압축기(30)와 연결되는 냉매 배관(450)이 연결되고, 상기 출력 연결부(532)에는 상기 팽창수단(74)과 연결되는 출력관(56)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연결부(531)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 1 헤더(53)를 통해 다수의 상기 튜브(51)들을 지나 상기 제 2 헤더(55)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헤더(55)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 2 헤더(55)에 의해 방향 전화된 후 다수의 다른 상기 튜브(51)들을 지나 상기 제 1 헤더(53)로 유동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상기 출력 연결부(532) 및 출력관(56)을 통해 팽창수단(74)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튜브(51)는 하나의 튜브(51)가 복수의 채널 또는 유로가 가로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이 상기 제 1 헤더(53)와 제 2 헤더(55)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51)는 동일한 구조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헤더(53)와 제 2 헤더(55)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튜브(51)들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열교환 핀(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핀(52)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속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튜브(51)들 사이 공간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핀(52)의 장착에 의해 상기 열교환 핀(52)의 절곡된 부분과 상기 튜브(51)들의 사이에는 핀 개구(521)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핀(52)에 의해 형성되는 핀 개구(521)들을 통과하는 공기의 접촉 면적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튜브(51) 내부의 냉매와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30)는, 리니어 압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리니어 압축기로 구비되는 상기 압축기(30)는, 밀폐된 쉘 내부에서 피스톤이 리니어 모터에 의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모터는 이너 스테이터 및 아우터 스테이터 사이에 영구 자석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영구자석은 영구자석과 이너(또는 아우터) 스테이터 간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이 피스톤과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됨에 따라,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압축기(30)에는, 쉘(301) 및 상기 쉘(301)의 양측에 결합되는 쉘 커버(302)가 포함된다.
상기 쉘(301)의 하측에는, 레그(31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그(310)는, 상기 기계실(11)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그(310)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11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레그(310)를 통해 상기 압축기(30)가 상기 기계실(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쉘(301)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누워져 있는 배치, 또는 축방향으로 누워 있는 배치를 이룰 수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쉘(301)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반경방향으로는 다소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30)는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압축기(30)가 상기 베이스(40)에 설치될 때, 상기 기계실(11)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쉘(301)의 외면에는, 터미널(30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308)은 외부 전원을 리니어 압축기의 모터 어셈블리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터미널(308)의 외측에는, 브라켓(309)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09)은, 상기 터미널(308)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09)은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상기 터미널(308)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쉘(301)의 양측부는 개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구된 쉘(301)의 양측부에는, 상기 쉘 커버(30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 커버(302)는 상기 쉘(301)의 양측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쉘 커버(302)에 의하여, 상기 쉘(301)의 내부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0)에는, 상기 쉘(301) 또는 쉘 커버(302)에 구비되어, 냉매를 흡입, 토출 또는 주입시킬 수 있는 다수의 파이프(304,305,306)가 더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파이프(304,305,306)에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3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파이프(304)와, 압축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30)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토출 파이프(305) 및 냉매를 상기 압축기(30)에 보충하기 위한 프로세스 파이프(306)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흡입 파이프(304)는 상기 쉘커버(302)에 결합될 수 있다. 냉매는 상기 흡입 파이프(304)를 통하여 축방향을 따라 상기 압축기(3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305)는 상기 쉘(30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 파이프(3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축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된 냉매는 상기 토출 파이프(3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306)는 상기 쉘(30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306)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30)의 내부로 냉매를 주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306)는 상기 토출 파이프(30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 파이프(305)와 다른 높이에서 상기 쉘(30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라 함은, 상기 레그(310)로부터의 수직방향(또는 반경방향)으로의 거리로서 이해된다. 상기 토출 파이프(305)와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306)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쉘(301)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작업자는 작업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 파이프(305)에는, 상기 압축기(30)와 상기 응축기(50)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450)이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매 배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450)은, 다수 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 배관(450)은, 상기 응축기(50)가 벤딩되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매 배관(450)은, 상기 압축기(30)에 연결되며, 상기 내측 공간의 바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배관(451)과, 상기 제 1 배관(451)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팬(40)에 형성되는 집수 공간(433a)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배관(452)과, 상기 제 2 배관(45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응축기(50)에 연결되는 제 3 배관(4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배관(45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헤더(53)에 연결되는 제 3 배관(4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관(451)는 상기 압축기(30)와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5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배관(451)는 상기 압축기(30)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 공간의 바닥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관(451)는 상기 압축기(30)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배관(451)은 상기 토출 파이프(305)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배관(452)은, 상기 제 1 배관(451)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 2 배관(452)은, 상기 제 1 배관(45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집수 공간(433a)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세히, 상기 제 2 배관(452)은, 상기 집수 공간(433a)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응축기(50)가 벤딩되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배관(452)를 지나는 고온의 냉매에 의해 상기 집수 공간(433a)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관(452)은 상기 집수 공간(433a)의 내측에서 다수 회 반복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집수 공간(433a)의 내부에 저장된 물과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집수 공간(433a)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증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집수 공간(433a)에는 상기 제 2 배관(452)를 지지하는 배관 서포터(75, 도 3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배관(452)는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집수 공간(433a) 내측의 물이 효과적으로 증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배관(453)은 상기 제 2 배관(452)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응축기(50)의 내측면을 따라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배관(453)의 단부는 상기 응축기(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배관(453)의 단부는 상기 제 1 헤더(53)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3 배관(453)의 단부는 상기 입력 연결부(5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배관(453)는 상기 제 1 헤더(53)를 향하여 연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응축기(50)의 내측면을 따라서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송풍팬 유닛(60)의 동작에 의한 공기 강제 유동시 상기 냉매 배관(45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배관(453)은, 상기 응축기(50)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상기 응축기(50)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추가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압축기(30)가 리니어 압축기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왕복 직선 운동에 따른 진동이 상기 압축기(30)와 연결된 상기 냉매 배관(45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왕복 직선 운동에 따른 진동이 상기 냉매 배관(450)에 전달될 경우, 상기 냉매 배관(450)이 유동하고, 진동이 상기 응축기(50)에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냉매 배관(450)이 유동하는 경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냉매 배관(450)은,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 배관은(450), 상방을 향해 절곡되는 제 1 연장부(450a), 상기 제 1 연장부(450a)와 이격 배치되며, 상방을 향해 절곡되는 제 2 연장부(450b) 및 상기 제 1 연장부(450a) 및 상기 제 2 연장부(450b)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연장부(45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450a), 상기 제 2 연장부(450b) 및 상기 제 3 연장부(450c)는, 상기 제 1 배관(451)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연장부(450a)는 상방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450a)는, 상기 제 1 배관(45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장부(450a)는, 상기 제 1 배관(45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배관(451)의 축방향의 수직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450b)는, 상기 제 1 연장부(450a)와 이격 배치되며, 상방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장부(450a)와 상기 제 2 연장부(450b)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연장부(450a)와 상기 제 2 연장부(450b)는, 상기 제 1 배관(451)의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연장부(450a)는, 냉매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연장부(450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450b)는, 상기 제 1 배관(45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450b)는, 상기 제 1 배관(45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배관(451)의 축방향의 수직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연장부(450a) 및 상기 제 2 연장부(450b)는, 상기 제 1 배관(451)의 축방향의 수직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연장부(450a) 및 상기 제 2 연장부(450b)는, 상기 제 1 배관(451)의 축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450a) 및 상기 제 2 연장부(450b)를 상기 제 3 연장부(450c)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450a), 상기 제 2 연장부(450b) 및 상기 제 3 연장부(450c)는, 상기 제 1 배관(45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관(451)의 축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 1 연장부(450a) 및 상기 제 2 연장부(450b)가 동일한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제 3 연장부(450c)가 상기 제 1 연장부(450a) 및 상기 제 2 연장부(450b)를 연결하므로, 상기 제 3 연장부(450c)는, 상기 제 1 배관(451)으로부터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관(451)으로부터 상기 제 3 연장부(450c)가 상방으로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냉매 배관(450)의 공진을 완충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연장부(450a)와 상기 제 2 연장부(450b)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냉매 배관(450)의 공진을 완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450a), 상기 제 2 연장부(450b) 및 상기 제 3 연장부(450c)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냉매 유동 방향을 설명한다. 상기 압축기(30)에 의해 냉매는 고온 고압으로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0)에 의해 냉매는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30)의 상기 토출 파이프(305)를 통해 상기 냉매 배관(45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압축기(30)의 상기 토출 파이프(305)를 통해 상기 토출 파이프(305)와 연결된 제 1 배관(451)으로 냉매가 유동한다.
상기 제 1 배관(451)으로 유동한 냉매는, 냉매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연장부(450b)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 1 연장부(450a)에 도달한다. 이 때, 상기 제 1 연장부(450a)가 상기 제 1 배관(451)의 축방향의 수직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므로, 냉매는, 상기 제 1 연장부(450a)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냉매가 상기 제 1 연장부(450a)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며, 속도가 늦추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냉매 배관(450)의 공진이 완충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450a)로 유동한 냉매는, 상기 제 1 연장부(450a)로부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상기 제 3 연장부(450c)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연장부(450c)로 유동한 냉매는, 상기 제 3 연장부(450c)를 따라, 상기 제 2 연장부(450b)로 유동하고, 상기 제 2 연장부(450b)를 따라, 다시 상기 제 1 배관(451)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배관(451)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 2 배관(452)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배관(452)이 상기 집수 공간(433a)의 내측에서, 다수 회 반복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냉매는 상기 제 2 배관(452)을 유동하며, 상기 집수 공간(433a)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냉매는 상기 제 2 배관(452)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 3 배관(453)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3 배관(453)과 연결되는 상기 제 1 헤더(53)로 유동한다. 상세히, 냉매는 상기 제 3 배관(453)과 연결되는 상기 입력 연결부(531)를 통해 상기 제 1 헤더(53)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냉매 배관(450)을 통해 상기 압축기(30)와 상기 응축기(50)가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매 배관(450)의 적어도 일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별도의 부재 없이 상기 냉매 배관(450)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세히,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압축기(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주파수가 완충될 수 있어서,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배관(451)으로부터 상기 제 3 연장부(450c)의 수직 방향 최장 거리(H)를 조절하여, 상기 냉매 배관(450)의 공진이 완충되는 것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제 3 연장부의 수직 방향 최장 거리를 조절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3 연장부의 수직 방향 최장 거리를 조절함에 따른 공진 회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구조가 적용되지 않은 냉매 배관(460)의 모습을 보여주고, 제 1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 1 배관(451)으로부터 상기 제 3 연장부(450c)의 수직 방향 최장 거리(H)가 15mm인 경우의 냉매 배관(470)의 모습을 보여주며, 제 2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 1 배관(451)으로부터 상기 제 3 연장부(450c)의 수직 방향 최장 거리(H)가 40mm인 경우의 냉매 배관(480)의 모습을 보여주며, 제 3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 1 배관(451)으로부터 상기 제 3 연장부(450c)의 수직 방향 최장 거리(H)가 60mm인 경우의 냉매 배관(490)의 모습을 보여준다.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 1 연장부(450a)와 상기 제 2 연장부(450b)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는, 모두 동일하게 30mm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경우에 대하여, 특정 주파수 범위에서 발생되는 공진을 확인할 수 있다.
상세히, 압축기(30)의 운전 주파수는, 94HZ로 설정될 수 있다. 압축기(30)의 운전 주파수의 배수와, 냉매 배관(450)의 고유 진동수가 일치하는 경우 공진이 강하게 발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압축기(30)의 운전 주파수의 배수인, 94HZ(1X), 188HZ(2X) 및 282(3X) 부근에서의 주파수와, 냉매 배관(450)의 고유 진동수가 일치하는 경우 공진이 강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 배관(460,470,480,490)의 공진을 완충시키기 위하여는, 상기 압축기(30)의 운전 주파수의 배수인, 94HZ(1X), 188HZ(2X) 및 282(3X) 부근에서의 주파수를 회피하여야 한다.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상기 압축기(30)의 운전 주파수인, 94HZ(1X) 주파수 부근에서는, 종래 기술,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경우에 대하여 공진 회피 효과의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압축기(30)의 운전 주파수의 배수인, 188HZ(2X) 주파수 부근에서는, 실시예 1의 냉매 배관(470)의 경우에서 공진 회피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188HZ(2X) 주파수 부근에서는, 상기 제 1 배관(451)으로부터 상기 제 3 연장부(450c)의 수직 방향 최장 거리(H)가 15mm이고, 상기 제 1 연장부(450a)와 상기 제 2 연장부(450b)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는 30mm인 경우가 공진 회피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30)의 운전 주파수의 배수인, 282(3X) 주파수 부근에서는, 실시예 2의 냉매 배관(480)의 경우에서 공진 회피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282(3X) 주파수 부근에서는, 상기 제 1 배관(451)으로부터 상기 제 3 연장부(450c)의 수직 방향 최장 거리(H)가 40mm이고, 상기 제 1 연장부(450a)와 상기 제 2 연장부(450b)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는 30mm인 경우가 공진 회피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배관(451)으로부터 상기 제 3 연장부(450c)의 수직 방향 최장 거리(H)를 조절하여 상기 냉매 배관(450)의 공진을 완충시킬 수 있다.
1 : 냉장고
10 : 캐비닛
11 : 기계실
12 : 기계실 커버
30 : 압축기
40 : 베이스 팬
50 : 응축기
450 : 냉매 배관

Claims (11)

  1. 저온의 저장 공간과, 기계실을 각각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기계실 내에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압축기;
    상기 기계실 내에 배치되는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 배관은,
    상기 압축기와 일측이 연결된 제 1 배관과 제 1 배관의 타측에서 상기 응축기까지 연결된 제 2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관은,
    상기 압축기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구간과,
    상기 제 1 구간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2 연장부를 원호 형상으로 연결해주는 제 3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 2 구간; 및
    상기 제 2 구간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 2 배관까지 연결되는 제 3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 상기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3 연장부는, 라운드지게 절곡되는 냉장고.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관은,
    상기 제 3 구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응축기가 벤딩되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배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응축기에 연결되는 제 3 배관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직선 왕복 운동하며 구동되는 리니어 압축기로 구비되는 냉장고.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파이프;
    압축된 냉장고가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토출 파이프; 및
    냉매를 상기 압축기에 보충하기 위한 프로세스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관은, 상기 토출 파이프와 연결되는 냉장고.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내측에 상기 내측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기계실의 전면과 후면 및 측면을 따라 벤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헤더;
    상기 제 1 헤더와 이격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헤더;
    상기 제 1 헤더와 상기 제 2 헤더의 사이를 연결하는 튜브; 및
    상하 배치되는 튜브의 사이를 연결하는 열교환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배관은, 상기 제 1 헤더와 연결되는 냉장고.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헤더는,
    상기 응축기 측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입력 연결부; 및
    상기 입력 연결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응축기 측에서 냉매를 토출시키는 출력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배관은, 상기 입력 연결부와 연결되는 냉장고.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에 장착되며, 상기 응축기가 장착되는 베이스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팬의 내측에는 집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배관은, 상기 집수 공간의 내측에서 다수 회 반복적으로 절곡되는 냉장고.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배관은, 상기 응축기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 2 배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냉장고.
KR1020210010691A 2021-01-26 2021-01-26 냉장고 KR102485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691A KR102485232B1 (ko) 2021-01-26 2021-01-26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691A KR102485232B1 (ko) 2021-01-26 2021-01-2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07A KR20220107707A (ko) 2022-08-02
KR102485232B1 true KR102485232B1 (ko) 2023-01-06

Family

ID=8284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691A KR102485232B1 (ko) 2021-01-26 2021-01-26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389A1 (ko)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285A (ko) * 1998-01-23 1999-08-16 윤종용 에어콘의 고압측 파이프 완충장치
KR20080022470A (ko) * 2006-09-06 2008-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129250A (ko) * 2014-05-09 2015-11-19 (주)삼원산업사 냉장고용 u자형 응축기
KR102238350B1 (ko) * 2016-05-03 2021-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07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1527C1 (ru) Холодильник
US7901192B2 (en) Two stage reciprocating compress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0143182B1 (ko) 압축기
WO2007068072A1 (en) Hermetic compressor with internal thermal insulation
US12072139B2 (en) Refrigerator
KR102485232B1 (ko) 냉장고
US20120279245A1 (en) Compact discharge device for the refrigeration compressor of an appliance
JP4720534B2 (ja) 自動販売機
US7150605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CN214616944U (zh) 压缩机
KR20220012109A (ko) 냉장고
KR102485279B1 (ko) 냉장고
KR100862296B1 (ko) 냉동사이클 장치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KR100597291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KR101202872B1 (ko) 냉장고의 기계실
JP2000274363A (ja) 密閉型圧縮機
CN218479897U (zh) 线性压缩机
WO2021213196A1 (zh) 线性压缩机的散热组件
US20240110556A1 (en) Linear compressor
WO2022073436A1 (zh) 直线压缩机的散热组件
RU2773123C2 (ru) Холодильник
US20240110557A1 (en) Linear compressor
KR100851013B1 (ko) 2단 왕복동식 압축기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US20240110554A1 (en) Linear compressor
KR10030864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