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159B1 -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159B1
KR102485159B1 KR1020200000225A KR20200000225A KR102485159B1 KR 102485159 B1 KR102485159 B1 KR 102485159B1 KR 1020200000225 A KR1020200000225 A KR 1020200000225A KR 20200000225 A KR20200000225 A KR 20200000225A KR 102485159 B1 KR102485159 B1 KR 102485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or
base
pipe
base cover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228A (ko
Inventor
장창민
박수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0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15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or detecting smoke or gas
    • G08B17/11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에 수직관체가 장착되고, 수직관체의 하단에 고정된 고정판에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직관체를 통해 테스트용 기체를 화재감지기로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화재감지기를 설치 위치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APPARATUS FOR INSTALLING A FIRE DETECTOR}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층간벽체에 형성된 오픈홀에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발생한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여 화재에 의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화재감지기가 설치된다. 화재감지기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경보시스템의 중앙제어부에 화재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자동으로 화재 발생을 신고하는 한편 스프링클러를 작동시켜 조기 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화재감지기는 천정면에서 돌출된 보 또는 그 외 시설물 등에 부착되거나 설치 상태가 수평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연기 감지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소방법 규정(화재안전기준)에 따르면 화재감지기는 반드시 화재시 벽과 천정을 따라 이동하는 연기를 쉽고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천정이나 반자에 직접 및 수평 상태로 설치되어야만 한다.
한편, 화재감지기는 정기적으로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해야만 한다. 그런데 층고가 높은(천정 높이 7m 이상) 경우에는 점검 작업이 어렵고 위험하기 때문에 층간벽체를 관통하는 점검용 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층에서 점검용 홀을 통해 화재감지기를 직접 꺼내어 검사를 실시하게 되며, 상기 점검용 홀을 통상 ‘오픈홀(Open hole)’이라 칭하고 있다.
그러나 오픈홀을 통해 점검을 실시할 때 화재감지기를 장착 위치에서 분리하고 오픈홀의 상방 외측으로 꺼내야 했기 때문에 화재감지기 점검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감지기를 오픈홀에서 꺼내는 과정에서 화재감지기에 연결된 배선이나 다른 옥내 배선들에 절선 및 혼촉이 발생된다. 이 경우 2차 전기 사고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감지기 점검 작업보다 배선 보수에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을 소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검사 후 화재감지기를 재설치할 때 정확한 수평 상태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며, 이에 따라 화재감지기의 감지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화재감지기가 오작동하여 경보음이 발생했을 때 화재감지기를 오픈홀에서 꺼내어 화재감지기와 배선을 분리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오작동시 경보음을 중지시키는 응급대응이 불편하고, 화재감지기를 오픈홀에서 꺼냄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들이 그대로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1698호(2018.02.19.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재감지기 점검 작업이 용이하고, 배선의 절손 및 혼촉 위험이 해소되며, 화재감지기의 수평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오작동시 응급 대응이 용이하도록 된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층간벽체에 관통 형성된 오픈홀의 상부 입구 주변에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베이스커버와, 상기 베이스커버의 하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하 단부가 개구된 수직관체와, 상기 수직관체의 하단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하면에 화재감지기가 장착되는 고정판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관체의 상부 개구부는 베이스커버에 형성된 개구홀을 통해 베이스커버 상부로 개구되고, 상기 수직관체의 하부 개구부는 고정판에 형성된 개구홀을 통해 고정판의 하부로 개구된다.
상기 베이스는 천정벽체의 상면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커버는 베이스의 상면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수직관체는 베이스커버의 하면에 수직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은 수직관체의 하단에 수평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화재감지기는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고정링을 매개로 고정되고, 고정링은 고정판 및 화재감지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의 상면에 상기 수직관체가 연통되는 개구홀의 주변을 감싸는 점검박스가 형성되고, 점검박스의 상부에는 점검박스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점검박스커버가 설치된다.
상기 점검박스의 일측부에 커넥터가 관통 설치되고, 커넥터의 점검박스 내측 단부에 상기 수직관체를 통해 화재감지기에 일단이 연결된 전선의 타단이 연결된 다.
상기 베이스에 화재경보시스템의 중앙제어부에 연결된 전선이 연결되는 그랜드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와 그랜드의 사이에 젠더가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복수의 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커버에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홀이 형성되며, 볼트홀에 볼트가 삽입되는 상태로 베이스커버가 베이스의 상면에 안착되고, 볼트홀의 상방으로 돌출된 볼트에 나비너트가 체결되어 베이스에 베이스커버가 장착된다.
상기 수직관체는 베이스커버의 하면에 장착되는 상부관과, 고정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하부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관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부관과 하부관이 서로 나사 결합되어, 수직관체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부관의 수나사부에 고정너트가 구비되어, 하부관의 나사 체결 깊이를 조절한 후에는 고정너트를 상부관쪽으로 조여 상부관에 대해 하부관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픈홀을 통한 화재감지기 점검 작업시 오픈홀에서 화재감지기를 꺼내지 않고도 점검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화재감지기 점검 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재감지기를 오픈홀에서 꺼내지 않아도 되므로 화재감지기를 오픈홀에서 꺼낼 때 발생하는 배선의 절손 및 혼촉 위험이 해소된다. 따라서 배선 보수 작업이 필요 없게 되고, 전기 합선 사고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화재감지기 설치시 화재감지기를 설치 기구에 먼저 장착하고, 설치 기구를 오픈홀에 삽입한 후 층간벽체의 상측에서 고정하기 때문에 화재감지기 설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재감지기를 수평 상태로 설치하기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는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층간벽체의 두께 차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감지기 점검시 화재감지기의 장착 상태를 해제하고 오픈홀 상방으로 꺼내지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최초의 양호한 수평 설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점검 작업에 의해 화재감지기의 수평 상태가 불량해져서 감지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감지기 오작동시에는 점검박스 외측에 위치한 젠더만을 분리하여 매우 쉽게 경보음을 중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와 화재감지기의 설치 전 분리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를 이용한 화재감지기 설치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의 일 구성도로서 (a)는 수직관체의 조립 상태도, (b)는 수직관체의 분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를 이용한 화재감지기 설치 상태에서 화재감지기를 점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의 구성과 설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서 도면부호 10은 층간벽체이고, 층간벽체에는 오픈홀(2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는, 오픈홀(20)의 상부 입구 주변에 설치된 베이스(30)와, 베이스(30)에 장착되는 베이스커버(40)와, 베이스커버(40)의 하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하 단부가 개구된 수직관체(50)와, 수직관체(50)의 하단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하면에 화재감지기(70)가 장착되는 고정판(6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30)는 오픈홀(20)의 상측 개구 주변 즉, 층간벽체(10)의 상면에 고정 상태로 설치된다. 베이스(30)는 층간벽체(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직사각형의 금속 구조물이며, 상단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볼트(9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30)의 일측부에는 화재감지기(70)와 화재경보시스템의 중앙제어부를 연결하는 옥내 배선이 연결된 그랜드(10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커버(40)는 베이스(3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베이스(30)의 상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볼트(91)가 관통되는 볼트홀(44)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91)가 볼트홀(44)을 관통하도록 베이스커버(40)를 베이스(30)의 상면에 올려놓은 뒤 베이스커버(40)의 상방으로 돌출된 볼트(91)에 나비너트(92)를 체결함으로써 베이스(30)에 베이스커버(40)를 장착할 수 있다. 반대로 나비너트(92)를 풀어 베이스(30)로부터 베이스커버(40)를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베이스커버(40)의 일측부에는 상기 그랜드(10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그랜드홀(45)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커버(40)의 상면에는 점검박스(41)가 형성된다. 점검박스(41)의 형상에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커넥터(46)가 설치될 수 있는 정도의 높이와 두께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커넥터(46)는 점검박스(41)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점검박스(41) 내측에 위치한 단부에 화재감지기(70)에 연결된 전선(미도시)이 연결되며, 점검박스(41)의 외측 단부쪽에는 젠더(110)가 연결될 수 있는 접속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젠더(110)를 매개로 상기 그랜드(100)와 커넥터(46)가 연결됨으로써 화재감지기(70)가 중앙제어부에 연결된다.
상기 점검박스(41)의 바닥면 중앙에는 개구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개구홀을 통해 수직관체(50)의 상단 개구부가 점검박스(41)의 바닥면 상측으로 개구된다.
상기 점검박스(41)의 상부에는 평소에 점검박스(41) 내부 공간을 외부에 대해 차폐해주는 점검박스커버(42)가 구비된다. 점검박스커버(42)는 클램프나 볼트&너트 등을 매개로 점검박스(41)의 상면에 장착되어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제거 및 재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점검박스커버(42)의 일단부는 점검박스(41)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 개폐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40)의 양측부에는 설치 기구 전체를 취급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43)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커버(40)의 하면 중앙에는 수직관체(50)가 베이스커버(40)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30)가 층간벽체(10)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그 베이스(30)에 베이스커버(40)가 수평으로 장착되므로 베이스커버(40)에 직각 상태로 설치되는 수직관체(50)는 설치 상태에서 항상 수직 방향 즉 중력 방향을 향하게 된다.
상기 수직관체(50)는 상단의 개구홀이 베이스커버(40)의 개구홀(즉, 상기 점검박스(41)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개구홀)과 일치하도록 베이스커버(40)의 하면에 장착된다. 수직관체(50)는 베이스커버(40)에 직접 용접되거나 또는 베이스커버(4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다른 방법에 의해 선 장착된 보스부(또는 마운팅브라켓 등의 장착부)에 용접,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수직관체(50)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판(60)이 수평 상태로 장착된다. 고정판(60)은 원판형으로서 중앙에 형성된 개구홀에 수직관체(50)의 하단 개구홀이 일치되어 수직관체(50)가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60)의 하면에는 화재감지기(70)가 장착된다. 화재감지기(70)는 고정링(80)을 매개로 화재감지기(70)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링(80)은 고정판(60)과 화재감지기(70)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그 반대의 구조로 체결되거나, 또는 고정판(60)과 화재감지기(70) 양자에 모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고정링(80)은 고정판(60)과 화재감지기(70)에 후크&걸림턱 구조로 연결될 수도 있다.
고정판(60)에 장착된 화재감지기(70)에 연결된 배선은 상기 수직관체(5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점검박스(41)로 연장되어 점검박스(41)에 구비된 상기 커넥터(46)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커버(40), 수직관체(50), 고정판(60)을 포함하는 설치 기구에 화재감지기(70)를 먼저 장착한 상태에서 손잡이(43)를 잡고 설치 기구를 호픈홀(20)에 삽입하고, 베이스커버(40)를 베이스(30)에 고정하며, 마지막으로 점검박스(41)의 커넥터(46)와 베이스(30)의 그랜드(100)를 젠더(110)로 연결하면 화재감지기(70)의 설치가 완료된다(도 2의 상태). 이때 점검박스커버(42)는 점검박스(41)에 선 장착된 상태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관체(50)는 서로 나사 결합되는 상부관(51)과 하부관(52)으로 이루어진다.
상부관(51)은 베이스커버(40)의 하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암나사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관(52)은 고정판(60)의 상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부관(51)에 삽입 가능한 지름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암나사부(51a)와 수나사부(52a)가 상호 나사 체결되는 구조로 상부관(51)의 내부에 하부관(52)이 삽입되면서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부관(51)과 하부관(52)의 나사 결합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수직관체(50)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에 따라 층간벽체(10)의 두께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수직관체(50)의 길이를 조절하여 화재감지기(7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화재감지기(70)가 층간벽체(50)의 하면, 즉 아래층의 천정면에 정확히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관(52)의 수나사부(52a)에는 고정너트(53)가 나사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관(51)에 대한 하부관(52)의 체결 깊이를 조절하여 수직관체(50)의 길이를 조절한 후에는 상기 고정너트(53)를 상부관(51)쪽으로 조여 상부관(51) 하단에 밀착시킴으로써 상부관(51)에 대한 하부관(5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기구를 이용하여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경우에 화재감지기를 점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작업자는 점검하고자 하는 화재감지기(70)가 설치된 층의 위층 바닥에서 베이스(30) 및 베이스커버(40)를 찾는다.
이후 점검박스(41)의 점검박스커버(42)를 개방한다. 점검박스커버(42)를 개방하면 점검박스(41)의 바닥에 수직관체(50)의 상부 개구홀이 보이며, 그 개구홀로 테스트용 스프레이(200)를 분사한다.
이에 분사된 테스트용 기체가 수직관체(50)를 따라 하강하여 화재감지기(70)의 내부로 유입되어 화재감지기(70) 내부의 검출부에 의해 감지된다.
화재감지기(70)가 정상일 경우 상기 검출부에서 발생한 전기신호는, 수직관체(50) 내부를 따라 배치된 전선과, 점검박스(41)의 커넥터(46), 커넥터(46)와 베이스(30)에 설치된 그랜드(100)를 연결하는 젠더(110), 그랜드(100)에 연결된 옥내 배선을 통해 화재경보시스템의 중앙제어부에 전달되어 경보신호(경보음)가 발생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화재감지기(70)가 정상임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감지기 점검 시 화재감지기(70)를 오픈홀(20)에서 꺼낼 필요 없이 단지 점검박스(41)의 커버(점검박스커버(42))만 개방하고 테스트용 스프레이(200)를 분사하는 간단한 행위를 통해 화재감지기를 매우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화재감지기(70)를 오픈홀(20)에서 꺼낼 필요가 없으므로 화재감지기(70)에 연결된 배선이나 그 외 천정 내부에 설치된 옥내 배선들의 절손 및 혼촉이 방지된다. 따라서 배선들의 절손 및 혼촉 사고를 보수하기 위한 추가 작업이 필요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전기 합선에 의한 2차 사고가 예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치 기구는 베이스(30)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베이스커버(40)에 수직관체(50)가 직각으로 설치되며, 수직관체(50)에 고정판(60)이 직각으로 설치되므로, 고정판(60)에 화재감지기(70)가 장착된 상태의 설치 기구를 설치하기만 하면 화재감지기(70)는 자연히 수평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화재감지기(70)를 최초에 수평 상태로 설치하기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후 점검을 실시한 후에도 점검에 의해 화재감지기(70)의 수평 설치 상태가 훼손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점검 작업과 상관없이 화재감지기(70)가 항상 소방법 규정대로 양호한 수평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설치 자세 불량에 의한 화재감지기(70)의 감지 성능 저하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화재감지기(70)가 오작동되었을 때 종래에는 오픈홀(20)에서 화재감지기(70)를 빼서 배선과 분리해야만 경보음을 멈출 수 있었다. 따라서 화재감지기를 오픈홀에서 빼내면서 발생하는 상기 제반 문제점들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설치 기구를 이용할 경우, 점검박스(41)의 커넥터(46)에 연결된 젠더(110)의 커넥터만 분리하면 경보음을 멈출 수 있게 되어 화재감지기 오작동시의 응급 대응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치 기구는 상기 수직관체(50)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므로 층간벽체(10)의 두께가 다른 여러 건물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층간벽체 20 : 오픈홀
30 : 베이스 40 : 베이스커버
41 : 점검박스 42 : 점검박스커버
43 : 손잡이 44 : 볼트홀
45 : 그랜드홀 46 : 커넥터
50 : 수직관체 51 : 상부관
52 : 하부관 52a : 수나사부
53 : 고정너트 60 : 고정판
70 : 화재감지기 80 : 고정링
91 : 볼트 92 : 나비너트
100 : 그랜드 110 : 젠더

Claims (10)

  1. 층간벽체에 관통 형성된 오픈홀의 상부 입구 주변에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베이스커버와;
    상기 베이스커버의 하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하 단부가 개구된 수직관체와;
    상기 수직관체의 하단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하면에 화재감지기가 장착되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관체는 베이스커버의 하면에 장착되는 상부관과, 고정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하부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관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부관과 하부관이 서로 나사 결합되어, 수직관체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하부관의 수나사부에 고정너트가 구비되어, 하부관의 나사 체결 깊이를 조절한 후에는 고정너트를 상부관쪽으로 조여 상부관에 대해 하부관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체의 상부 개구부는 베이스커버에 형성된 개구홀을 통해 베이스커버 상부로 개구되고, 상기 수직관체의 하부 개구부는 고정판에 형성된 개구홀을 통해 고정판의 하부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천정벽체의 상면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커버는 베이스의 상면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수직관체는 베이스커버의 하면에 수직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은 수직관체의 하단에 수평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는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고정링을 매개로 고정되고, 고정링은 고정판 및 화재감지기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커버의 상면에 상기 수직관체가 연통되는 개구홀의 주변을 감싸는 점검박스가 형성되고, 점검박스의 상부에는 점검박스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점검박스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검박스의 일측부에 커넥터가 관통 설치되고, 커넥터의 점검박스 내측 단부에 상기 수직관체를 통해 화재감지기에 일단이 연결된 전선의 타단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화재경보시스템의 중앙제어부에 연결된 전선이 연결되는 그랜드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와 그랜드의 사이에 젠더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복수의 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커버에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홀이 형성되며, 볼트홀에 볼트가 삽입되는 상태로 베이스커버가 베이스의 상면에 안착되고, 볼트홀의 상방으로 돌출된 볼트에 나비너트가 체결되어 베이스에 베이스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00225A 2020-01-02 2020-01-02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KR102485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25A KR102485159B1 (ko) 2020-01-02 2020-01-02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25A KR102485159B1 (ko) 2020-01-02 2020-01-02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28A KR20210087228A (ko) 2021-07-12
KR102485159B1 true KR102485159B1 (ko) 2023-01-06

Family

ID=7685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225A KR102485159B1 (ko) 2020-01-02 2020-01-02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1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094U (ja) * 1993-03-15 1994-09-30 山武ハネウエル株式会社 天井取付型検出器
JP3716351B2 (ja) * 1995-04-21 2005-11-16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感知器の取外し装置
KR101318192B1 (ko) * 2012-03-21 2013-10-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연기 감지기 설치 보조유닛 및 연기 감지기 설치방법
KR101831698B1 (ko) 2016-07-18 2018-02-23 김용규 화재감지기 설치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28A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745A (en) Relocatable sprinkler assemblage
KR101983634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 배선 트레이
KR102348872B1 (ko) 가공송전선간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송전 고정장치
CN105625910A (zh) 一种常开防火门的监控系统
JP6095754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KR102485159B1 (ko) 화재감지기 설치 기구
JP5851380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US7397361B2 (en) Device for security systems for operation of habitats on installations
EP3586928A1 (en) Safety monitoring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systems
KR102200631B1 (ko)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시스템
US6059046A (en) Low pressure carbon dioxide fire protection system for semiconductor fabrication facility
CN108012531A (zh) 用于受监视的灭火系统的内部安装设备
KR101246057B1 (ko) 양방향 소방 장치
KR102065843B1 (ko) 천장면에 설치되는 소방용 전기기구의 고정구
JP6154723B2 (ja) 消火栓装置
US4449589A (en) Fire containment device and method
KR102135565B1 (ko) 부하와 차단기 사이의 전류량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KR102292974B1 (ko) 소방전기공사 시공방법
US4099573A (en) Sprinkler head
WO2011025383A1 (en) Security system for operation of a habitat on installations.
KR101716612B1 (ko) 전기기구용 방수캡
JP2000176040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US6625934B1 (en) Method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restricted spaces
CN211692721U (zh) 塔筒平台的防火结构、塔筒平台以及风力发电机组
US5723770A (en) Tapping tee pressure test restraining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