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049B1 -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049B1
KR102485049B1 KR1020220101855A KR20220101855A KR102485049B1 KR 102485049 B1 KR102485049 B1 KR 102485049B1 KR 1020220101855 A KR1020220101855 A KR 1020220101855A KR 20220101855 A KR20220101855 A KR 20220101855A KR 102485049 B1 KR102485049 B1 KR 102485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unit
stat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8378A (ko
Inventor
하헌우
김도훈
이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10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04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tch Board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험단자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호용 배전반의 시험단자대가 내측에 위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와, 잠금 또는 잠금 해지 상태로 전환되어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가변시키는 록킹유닛과, 보호용 배전반의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 통전 여부를 감지하며,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록킹유닛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제어유닛은,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며, 케이블에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상태로 도어의 폐쇄가 감지되는 경우 록킹유닛을 잠금 상태로 전환시키며, 제어유닛은, 케이블에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상태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고, 제어유닛에는, 하나 이상의 표시램프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며, 표시램프는, 도어의 외부에 설치되며,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험단자대 잠금장치{LOCKING DEVICE OF TEST TERMINAL}
본 발명은 시험단자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용 배전반내 CT(Current Transformer) 2차측 케이블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보호용 배전반의 착오시험을 방지할 수 있는 시험단자대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달된 전력을 변환하여 아파트, 빌딩, 학교, 공장, 항만 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전반 설비는 각종 전기기기를 수납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 투시를 위한 투시창이 구비되는 도어와, 케이스에 수용된 각종 전기기기 등으로 구성되며, 케이스의 외부에는 점검을 위한 시험용단자대가 구성된다.
배전반의 시험용단자대는 (CTT: Current Transformer Test), PTT(Potencial Transformer Test) 등으로 구분되며, CTT, PTT는 일반적으로 변성기와 전력량계 사이에 설치되어 고압 이상 전기의 사용량을 측정하거나, 해당 변성기 또는 전력량계를 교체하거나 시험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배전반은 시험용단자대를 이용해 점점 및 측정 등의 작업을 진행할 때 배전반 케이블의 전류 통전 여부(활선, 사선)가 외부로 표시되지 않아 작업자가 감전 사고에 노출되었다. 따라서 배전반의 케이블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만 전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작업자가 케이블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국내 등록실용 제20-2009-0010331호(등록일: 2009년 10월 12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시험단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용 배전반의 CT(Current Transformer) 2차측 케이블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보호용 배전반의 착오시험을 방지할 수 있는 시험단자대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단자대 잠금장치는, 보호용 배전반의 시험단자대가 내측에 위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잠금 또는 잠금 해지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가변시키는 록킹유닛; 및 상기 보호용 배전반의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 통전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록킹유닛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케이블에 상기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상태로 상기 도어의 폐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록킹유닛을 잠금 상태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케이블에 상기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상태로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유닛에는, 하나 이상의 표시램프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며, 상기 표시램프는, 상기 도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지 상태로 전환되는 제1잠금부 및, 상기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잠금부와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는 제2잠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잠금부는, 상기 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의 일측으로 출몰 가능한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2잠금부는, 상기 도어 폐쇄시 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교차로 위치되는 걸림몸체 및, 상기 걸림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로드가 삽입 및 탈거되는 걸림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호용 배전반의 CT(Current Transformer) 2차측 케이블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고, 보호용 배전반의 케이블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외부로 경고음이 출력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보호용 배전반의 착오시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단자대 잠금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단자대 잠금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단자대 잠금장치의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단자대 잠금장치의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단자대 잠금장치에서 록킹유닛과 제어유닛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단자대 잠금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단자대 잠금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단자대 잠금장치의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단자대 잠금장치의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단자대 잠금장치에서 록킹유닛과 제어유닛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단자대 잠금장치는 보호용 배전반(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시험단자대(20)의 각 단자들을 외부로부터 커버하며, 시험단자대(20) 사용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험단자대 잠금장치는 하우징(100)과, 도어(200)와, 록킹유닛(300)과, 제어유닛(400) 및, 전원 공급유닛(5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보호용 배전반(10)의 외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시험단자대(20)가 위치되도록 전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110)이 일정 넓이로 형성된다.
도어(200)는 하우징(100)의 전면에 결합되어 수용공간(110)의 전방을 개폐시키며, 도어(200)와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도어(200)가 회동 개폐될 수 있도록 힌지부(220)가 결합될 수 있다.
힌지부(22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도어(200)가 회동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200)와 하우징(100)에는 잠금 또는 잠금 해지 가능하도록 후술 될 록킹유닛(300)이 설치된다. 도어(200)에는 외부에서 수용공간(110)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표시창(210)이 구비될 수 있다.
록킹유닛(300)은 후술 될 제어유닛(400)의 구동 제어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지 상태로 전환되어 도어(200)의 개폐 상태를 가변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후술 될 제어유닛(400)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지 상태로 전환되는 제1잠금부(310) 및, 도어(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1잠금부(310)와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는 제2잠금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잠금부(310)는 후술 될 제어유닛(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작동부(311) 및, 작동부(311)의 일측으로 출몰 가능한 로드(312)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잠금부(320)는 도어(200) 폐쇄시 작동부(311)의 일측에 교차로 위치되는 걸림몸체(321) 및, 걸림몸체(321)의 일측에 형성되며, 로드(312)가 삽입 및 탈거되는 걸림홀(322)이 구비될 수 있다.
작동부(311)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자력이 발생되는 전자석이 내장될 수 있으며, 로드(312)는 작동부(311)에 내삽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발생된 자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작동부(311)의 일측에는 로드(312)의 일단이 출몰할 수 있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작동부(311)는 후술 될 전원 공급유닛(500)과 제어유닛(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작동부(311)는 수용공간(110)의 일측 벽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로드(312)는 작동부(311)의 일측으로부터 수평하게 출몰될 수 있으나, 작동부(311)의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걸림몸체(321)는 도어(200)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걸림홀(322)은 걸림몸체(321)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측방으로 관통될 수 있다. 걸림홀(322)은 로드(312)가 대응되게 삽입 및 탈거되도록 로드(312)의 일단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어(200)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로드(312)의 일단이 작동부(31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로드(312)의 일단이 걸림홀(32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도어(200)는 로드(312)와 걸림홀(322)의 걸림 동작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어유닛(400)은 보호용 배전반(10)의 내부에 설치된 케이블(11)에 장착되어 전류 통전 여부를 감지하며, CT(Current Transformer) 2차측 케이블(11)에 흐르는 전류가 설정값(0.1A 등)을 초과하는 경우 록킹유닛(300)을 잠금 상태로 전환시킨다.
또한, 제어유닛(400)은 도어(20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며, 케이블(11)에 설정값(0.1A 등)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상태로 도어(200)의 폐쇄가 감지되는 경우 록킹유닛(300)을 잠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유닛(400)에는 도어(20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 감지부(420)가 연결라인(L)에 의해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고, 제어유닛(400)에는 케이블(11)의 전류 통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감지부(410)가 연결라인(L)에 의해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
개폐 감지부(420)는 도어(20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전류 감지부(410)는 보호용 배전반(10)의 내부에 배설된 케이블(11)을 감싸는 상태로 설치할 수 이다.
여기서, 전류 감지부(410)는 케이블(11)이 관통되게 설치되도록 홀이 형성된 전류 센서(CT: Current Transform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류 감지부(410)의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어유닛(400)은 케이블(11)에 설정값 이하의 전류가 흐르는 상태로 도어(200)의 폐쇄가 감지되는 경우 록킹유닛(300)을 잠금 해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록킹유닛(300)의 로드(312)가 작동부(311)의 외부로 돌출되어 걸림몸체(321)의 걸림홀(322)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걸림 위치되며, 도어(200)는 수용공간(110)의 전방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어유닛(400)은 케이블(11)에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상태로 도어(200)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고, 제어유닛(400)은 설정시간 내에 도어(200)의 폐쇄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도어(20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보호용 배전반(10)의 케이블(11)에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활선 상태의 케이블(11) 작업에 의해 안전사고 및 보호용 배전반 착오시험이 발생될 염려가 있으므로, 케이블(11)이 활선 상태일 때에는 경고음을 출력하여 안전사고 및 착오시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400)에는 하나 이상의 표시램프(420)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으며, 표시램프(420)는 도어(20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표시램프(420)는 도어(200)의 개폐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램프(420)은 도어(200)의 잠금 해지시 녹색 광을 점등하는 개방 램프와, 도어(200)의 잠금시 적생 광을 점등하는 폐쇄 램프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표시램프(420)의 개수 및 색상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전원 공급유닛(500)은 록킹유닛(300)과 제어유닛(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전원 공급유닛(500)은 외부의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원이 전달되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유닛(500)에는 전원을 온(ON)/오프(OFF)기키기 위한 전원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유닛(400)과 연결라인(L)에 의해 접속될 수 있도록 다수의 연결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보호용 배전반(10)의 내부에 배설된 케이블(11)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는 도어(200)가 개방되지 않고, 보호용 배전반(10)의 내부에 배설된 케이블(11)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외부로 경고음이 출력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착오시험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시험단자대 잠금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보호용 배전반 11: 케이블
20: 시험단자대 100: 하우징
110: 수용공간 200: 도어
210: 표시창 220: 힌지부
300: 록킹유닛 310: 제1잠금부
311: 작동부 312: 로드
320: 제2잠금부 321: 걸림몸체
322: 걸림홀 400: 제어유닛
410: 전류 감지부 420: 개폐 감지부
430: 표시램프 500: 전원 공급유닛
L: 연결라인

Claims (3)

  1. 보호용 배전반의 시험단자대가 내측에 위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잠금 또는 잠금 해지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가변시키는 록킹유닛; 및
    상기 보호용 배전반의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 통전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록킹유닛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케이블에 상기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상태로 상기 도어의 폐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록킹유닛을 잠금 상태로 전환시키며,
    상기 케이블에 상기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상태로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유닛에는, 하나 이상의 표시램프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며,
    상기 표시램프는, 상기 도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지 상태로 전환되는 제1잠금부 및,
    상기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잠금부와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는 제2잠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는, 상기 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의 일측으로 출몰 가능한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2잠금부는, 상기 도어 폐쇄시 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교차로 위치되는 걸림몸체 및, 상기 걸림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로드가 삽입 및 탈거되는 걸림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5A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485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855A KR102485049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36A KR102434334B1 (ko) 2020-06-30 2020-06-30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5A KR102485049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36A Division KR102434334B1 (ko) 2020-06-30 2020-06-30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378A KR20220118378A (ko) 2022-08-25
KR102485049B1 true KR102485049B1 (ko) 2023-01-06

Family

ID=79347788

Famil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36A KR102434334B1 (ko) 2020-06-30 2020-06-30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7A KR102485073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6A KR102485050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1A KR102463127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49A KR102448208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3A KR102463129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48A KR102448209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5A KR102485049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4A KR102485048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0A KR102463126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2A KR102463128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36A KR102434334B1 (ko) 2020-06-30 2020-06-30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7A KR102485073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6A KR102485050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1A KR102463127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49A KR102448208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3A KR102463129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48A KR102448209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854A KR102485048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0A KR102463126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0220101852A KR102463128B1 (ko) 2020-06-30 2022-08-16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1) KR102434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303B1 (ko) * 2022-09-27 2023-02-06 주식회사 건국 세이프티 유닛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430B1 (ko) 2014-11-14 2016-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도어 잠금 장치
US20160248232A1 (en) 2013-09-30 2016-08-25 Schneider Electric USA, Inc. Mcc unit troubleshooting compart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70U (ko) * 2017-04-28 2018-11-07 한국전력공사 작업자 실수 방지를 위한 보호배전반
KR102066852B1 (ko) * 2018-05-23 2020-01-16 한국전력공사 점검용 전환부를 구비하는 보호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48232A1 (en) 2013-09-30 2016-08-25 Schneider Electric USA, Inc. Mcc unit troubleshooting compartment
KR101616430B1 (ko) 2014-11-14 2016-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도어 잠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982A (ko) 2022-08-26
KR20220118980A (ko) 2022-08-26
KR20220118978A (ko) 2022-08-26
KR20220118377A (ko) 2022-08-25
KR20220118379A (ko) 2022-08-25
KR102463126B1 (ko) 2022-11-07
KR20220118378A (ko) 2022-08-25
KR102448208B1 (ko) 2022-09-29
KR102485050B1 (ko) 2023-01-06
KR20220119337A (ko) 2022-08-29
KR20220118376A (ko) 2022-08-25
KR20220118981A (ko) 2022-08-26
KR20220001733A (ko) 2022-01-06
KR102448209B1 (ko) 2022-09-29
KR20220118979A (ko) 2022-08-26
KR102463128B1 (ko) 2022-11-07
KR102485048B1 (ko) 2023-01-06
KR102485073B1 (ko) 2023-01-06
KR102463127B1 (ko) 2022-11-07
KR102434334B1 (ko) 2022-08-22
KR102463129B1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049B1 (ko)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102348594B1 (ko) 안전유도가 가능한 배전반(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mcc, ess)
KR20160005480A (ko) 수배전반의 도어 개폐장치
EA030501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истанционной проверки угольной шахты на утечку
CN105785162A (zh) 由电流变压器所感应的测试装置动力提供
KR102496938B1 (ko) 결상 감지 기능을 갖는 감전보호 감시장치가 적용된 수배전반
CN110482355A (zh) 一种电梯门锁检测电路及装置
JPH09163518A (ja) キュービクル式受電設備
JP5456579B2 (ja) スイッチギヤ
JP2012114000A (ja) 配線ダクト用プラグ
JP2001349853A (ja) 可搬型蛍光x線分析計
CN217655176U (zh) 一种电池装置的检测设备
US11378593B2 (en) Voltage indicator display module with removable battery shuttle
CN111983396A (zh) 一种电气高压试验区域安全保护系统
JP2021009122A (ja) プラグチェック装置
KR102477912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배전반 감시 시스템
US20240001766A1 (en) A Monitoring Device For An At Least Partially Electrically Operated Motor Vehicle
KR20220052678A (ko) 전압인가 상태 감지 및 감전 방지기능을 갖는 배전반
JP3973259B2 (ja) トリップロック端子台
RU2816562C1 (ru) Однополюсный указатель 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варианты)
JPH05234473A (ja) 検電・検相ロック機能付開閉器
KR20230117503A (ko) 인공지능 수배전반
JPH0378428A (ja) ガス絶縁機器の事故点標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