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702B1 -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702B1
KR102484702B1 KR1020200156843A KR20200156843A KR102484702B1 KR 102484702 B1 KR102484702 B1 KR 102484702B1 KR 1020200156843 A KR1020200156843 A KR 1020200156843A KR 20200156843 A KR20200156843 A KR 20200156843A KR 102484702 B1 KR102484702 B1 KR 102484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external
hose
binding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9581A (ko
Inventor
문성준
문정욱
Original Assignee
문성준
문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준, 문정욱 filed Critical 문성준
Priority to KR1020200156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7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16L27/12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with means for locking the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in the final mounted position
    • F16L27/1275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with means for locking the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in the final mounted position by means of at least an external threaded bol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16L27/08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the joint elements extending coaxially for some distance from their point of separation
    • F16L27/082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the joint elements extending coaxially for some distance from their point of separation with ball or roller bearings
    • F16L27/082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the joint elements extending coaxially for some distance from their point of separation with ball or roller bearings having radial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방용 호스가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상기 호스가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가 상호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기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관 형태로 구비된 내부연결부; 상기 내부연결부의 바깥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체결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누수를 방지하고,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지지되는 외부연결부; 및 상기 내부연결부와 상기 외부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연결부의 연결되는 방향과 상기 외부연결부의 상기 호스 방향에 상호 중첩되는 내부에서 상호 결박한 상태에서 하중을 분산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볼 베어링 형태로 구비된 회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HOSE TORSION-PREVENTIVE APPARATUS FOR FIRE HOSE}
본 발명은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호스를 상호 연결하는 소방노즐의 꼬임을 방지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씰링 효율과 외부 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꼬임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소방호스는 소방차 또는 소화전에 연결하여서 소방용수를 화재장소까지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소방호스는 양단에 연결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는 나사가 형성된 암 연결구와 수 연결 구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주택밀집 지역과 같은 화재현장은 대부분 골목길이 협소하여 소방차량의 정차시 어쩔 수 없이 차량진행 방향으로 소방차량을 정차한다.
이상과 같이 골목길에 차량진행 방향으로 소방차량을 정차한 후 소방호스를 소방차에 연결하여 전개하게 되면, 소방차량의 소화전이 차량의 측면으로 인출되게 구성되어 있어 소방호스가 꺾여 소화작업시 소방수의 유량손실 이 발생하여 화재진압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방호스의 직조튜브 특성상 수압에 의하여 소방호스의 회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흡수할 연결구조가 구비되지 않아 소방호스가 꼬이거나 소방호스가 전체적으로 회전되어 소화작업이 원활하지 않고, 꼬임이 갑자기 풀리게되면 소방호스와 노즐이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큰힘을 가지고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와의 충돌에 의해 부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소방호스가 상호 연결 시에 꼬임을 방지하도록 회전가능 한 복수의 볼을 삽입 설치하여 회전가능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소방호스 꼬임 방지 장치는 복수의 볼을 삽입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호스의 회전되는 부분으로 볼을 삽입하는 공정이 어렵고, 삽입 후에 회전 시에 호스 연결부의 지속적인 마찰로 인해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 기술의 소방호스 꼬임 방지 장치는 볼에 의해 미끄럼 회전됨에 따라 압력이 제거되면 과도한 회전에 의해 꼬임이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방호스를 상호 연결하는 소방노즐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되는 위치에 결박과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미끄럼에 의해 회전을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씰링효율과 외부 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방지하여 꼬임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는 소방용 호스가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상기 호스가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가 상호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관 형태로 구비된 내부연결부; 상기 내부연결부의 바깥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에서 체결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누수를 방지하고,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지지되는 외부연결부; 및 상기 내부연결부와 상기 외부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연결부의 연결되는 방향과 상기 외부연결부의 상기 호스 방향에 상호 중첩되는 내부에서 상호 결박한 상태에서 하중을 분산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볼 베어링 형태로 구비된 회전부;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연결부는, 상기 연결장치에 설치되는 상기 호스를 고정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호스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호스연결공간을 가지고, 상기 호스연결공간의 안쪽면으로 상기 호스가 고정되도록 돌출된 돌기 형태의 내부연결돌기를 가지며, 바깥 둘레에 상기 외부연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내부결박홈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상기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이 통과되는 내부연결공간을 가지는 내부연결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연결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의 바깥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연결체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경이 확대된 크기로 구비되고, 안쪽면에 상기 내부결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외부결박홈을 가지며, 상기 외부결박홈의 연결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안쪽면으로 상기 내부연결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누수를 차단하는 외부씰링체가 설치되는 외부씰링홈이 형성된 외부연결공간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내부연결체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내부에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유로 형태의 배출유로를 가지는 외부연결체; 및 상기 외부연결체의 상호 연결되는 방향에 각각 돌출되어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되는 외부체결체를 가지고, 상기 호스의 연결 시에 상호 체결되고, 상기 호스의 분리 시에 체결이 해제되는 외부체결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씰링체는 상기 씰링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형 시트 형태로 구비되어 단면적이 영문자 "U" 자가 90도 뒤집어져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여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회전 시 씰링을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맞닿은 부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호스의 연결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각각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 둘레 방향으로 확대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차단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를 상호 결박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한쪽에 개방되어 결박압력을 분산하도록 구비된 결박스러스트베어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박스러스트베어링은,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하되, 결박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되는 결박유지공간을 가지는 결박베어링유지체;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상기 내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와 상기 외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는 결박베어링볼; 및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결박유지공간 위치에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결박커버공간을 가지는 결박볼커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결박파형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연결부는, 상기 연결장치에 설치되는 상기 호스를 고정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호스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호스연결공간을 가지고, 상기 호스연결공간의 안쪽면으로 상기 호스가 고정되도록 돌출된 돌기 형태의 내부연결돌기를 가지며, 바깥 둘레에 상기 외부연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내부결박홈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상기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이 통과되는 내부연결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결박홈의 연결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안쪽면으로 상기 외부연결부에 접촉되는 위치에 누수를 차단하는 내부씰링체가 설치되는 내부씰링홈을 가지는 내부연결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씰링체는 상기 내부씰링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형 시트 형태로 구비되어 단면적이 영문자 "U" 자가 90도 뒤집어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여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회전 시 씰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연결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의 바깥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연결체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경이 확대된 크기로 구비되고, 안쪽면에 상기 내부결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외부결박홈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내부연결체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내부에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유로 형태의 배출유로를 가지는 외부연결체; 및 상기 외부연결체의 상호 연결되는 방향에 각각 돌출되어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되는 외부체결체를 가지고, 상기 호스의 연결 시에 상호 체결되고, 상기 호스의 분리 시에 체결이 해제되는 외부체결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맞닿은 부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호스의 연결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각각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 둘레 방향으로 확대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차단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전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를 상호 결박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한쪽에 개방되어 결박압력을 분산하도록 구비된 결박스러스트베어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박스러스트베어링은,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하되, 결박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되는 결박유지공간을 가지는 결박베어링유지체;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상기 내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와 상기 외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는 결박베어링볼; 및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결박유지공간 위치에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결박커버공간을 가지는 결박볼커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결박파형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연결부는, 상기 연결장치에 설치되는 상기 호스를 고정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호스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호스연결공간을 가지고, 상기 호스연결공간의 안쪽면으로 상기 호스가 고정되도록 돌출된 돌기 형태의 내부연결돌기를 가지며, 바깥 둘레에 상기 외부연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내부결박홈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상기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이 통과되는 내부연결공간을 가지는 내부연결체; 및 상기 내부연결체의 상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관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연결부 사이에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의 안쪽면이 상기 내부연결체의 바깥면에 지지되고, 연결되는 방향 면이 접촉 지지하도록 바깥으로 돌출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연결체보다 직경을 확대한 내부베어링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연결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의 바깥둘레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연결체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경이 확대된 크기로 구비되고, 안쪽면에 상기 내부결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외부결박홈이 형성된 외부연결공간을 가지며, 상기 외부연결공간의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의 상기 호스 방향 면이 지지되는 단턱이 구비되도록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회전부와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의 상기 호스 방향 면이 접촉되면 지지되는 외부베어링공간을 가지고,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가 삽입 접촉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안쪽면으로 상기 내부연결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누수를 차단하는 외부씰링체가 설치되는 외부씰링홈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내부연결체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내부에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유로 형태의 배출유로를 가지는 외부연결체; 및 상기 외부연결체의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되는 외부체결체를 가지고, 상기 호스의 연결 시에 상호 체결되고, 상기 호스의 분리 시에 체결이 해제되는 외부체결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부씰링체는 상기 외부씰링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형 시트 형태로 구비되어 단면적이 영문자 "U" 자가 90도 뒤집어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여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회전 시 씰링을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맞닿은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호스의 연결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각각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 둘레 방향으로 확대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차단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를 상호 결박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한쪽에 개방되어 결박압력을 분산하도록 구비된 결박스러스트베어링; 및 상기 호스 방향이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지지되고, 상호 연결되는 방향이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되어 있으며,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구비된 회전스러스트베어링;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를 상호 결박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한쪽에 개방되어 결박압력을 분산하도록 구비된 결박스러스트베어링; 및 상기 호스 방향이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지지되고, 상호 연결되는 방향이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되어 있으며,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구비된 회전스러스트베어링;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박스러스트베어링은,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하되, 결박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되는 결박유지공간을 가지는 결박베어링유지체;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상기 내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와 상기 외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는 결박베어링볼; 및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결박유지공간 위치에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결박커버공간을 가지는 결박볼커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결박파형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스러스트베어링은, 상기 호스 방향이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지지되고, 상호 연결되는 방향이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베어링공간과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된 회전베어링유지체; 한쌍의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삽입된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와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된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베어링볼; 및 상기 회전베어링볼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볼커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회전파형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연결부는, 상기 연결장치에 설치되는 상기 호스를 고정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호스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호스연결공간을 가지고, 상기 호스연결공간의 안쪽면으로 상기 호스가 고정되도록 돌출된 돌기 형태의 내부연결돌기를 가지며, 바깥 둘레에 상기 외부연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내부결박홈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상기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이 통과되는 내부연결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결박홈의 연결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안쪽면으로 상기 외부연결부에 접촉되는 위치에 누수를 차단하는 내부씰링체가 설치되는 내부씰링홈을 가지는 내부연결체; 및 상기 내부연결체의 상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관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연결부 사이에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의 안쪽면이 상기 내부연결체의 바깥면에 지지되고, 연결되는 방향 면이 접촉 지지하도록 바깥으로 돌출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연결체보다 직경을 확대한 내부베어링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내부씰링체는 상기 내부씰링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형 시트 형태로 구비되어 단면적이 영문자 "U" 자가 90도 뒤집어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여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회전 시 씰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연결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의 바깥둘레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연결체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경이 확대된 크기로 구비되고, 안쪽면에 상기 내부결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외부결박홈이 형성된 외부연결공간을 가지며, 상기 외부연결공간의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의 상기 호스 방향 면이 지지되는 단턱이 구비되도록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회전부와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의 상기 호스 방향 면이 접촉되면 지지되는 외부베어링공간을 가지고, 내부에 상기 내부연결체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내부에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유로 형태의 배출유로를 가지는 외부연결체; 및 상기 외부연결체의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되는 외부체결체를 가지고, 상기 호스의 연결 시에 상호 체결되고, 상기 호스의 분리 시에 체결이 해제되는 외부체결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맞닿은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호스의 연결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각각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 둘레 방향으로 확대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차단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를 상호 결박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한쪽에 개방되어 결박압력을 분산하도록 구비된 결박스러스트베어링; 및 상기 호스 방향이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지지되고, 상호 연결되는 방향이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되어 있으며,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구비된 회전스러스트베어링;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결박스러스트베어링은,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하되, 결박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되는 결박유지공간을 가지는 결박베어링유지체;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상기 내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와 상기 외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는 결박베어링볼; 및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결박유지공간 위치에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결박커버공간을 가지는 결박볼커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결박파형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스러스트베어링은, 상기 호스 방향이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지지되고, 상호 연결되는 방향이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베어링공간과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된 회전베어링유지체; 한쌍의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삽입된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와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된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베어링볼; 및 상기 회전베어링볼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볼커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회전파형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방호스를 상호 연결하는 소방노즐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되는 위치에 결박과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미끄럼에 의해 회전을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씰링효율과 외부 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방지하여 꼬임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 부분인 결박스러스트베어링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 부분인 결박베어링유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8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 부분인 회전스러스트베어링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부분인 회전베어링유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 부분인 결박스러스트베어링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100)는 소방용 호스가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소방용 호스의 연결되는 부분에 선택된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은 양쪽에 설치된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호스가 연결되는 선택되는 한쪽에만 설치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런,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100)는 내부연결부(110), 외부연결부(120), 및 회전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부연결부(110), 외부연결부(120), 및 회전부(130)는 상호 연결되는 대칭 형태로 체결되는 형태에는 차이가 있으나, 이는 통상적인 것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한쌍으로 설명한다.
내부연결부(110)는 상호 연결되는 상기 호스가 양측에 각각 고정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관형태로 구비된다.
이런, 내부연결부(110)는 연결장치에 설치되는 각각의 호스를 고정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각각의 호스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호스연결공간(112)을 가지고, 호스연결공간(112)의 안쪽면으로 호스가 고정되도록 돌출된 돌기 형태의 내부연결돌기(113)를 가지며, 바깥 둘레에 외부연결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130)가 설치되는 내부결박홈(116)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이 통과되는 내부연결공간(115)을 가지는 내부연결체(111)로 구비된다.
외부연결부(120)는 한쌍의 내부연결부(110)의 바깥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에서 체결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누수를 방지하고,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지지된다.
이런, 외부연결부(120)는 외부연결체(121), 외부체결몸체(123), 및 외부차단커버(124)를 포함한다.
외부연결체(121)는 한쌍의 내부연결체(111)의 바깥둘레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연결체(111)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경이 확대된 크기로 구비되고, 안쪽면에 내부결박홈(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연결체(111)와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130)가 설치되는 외부결박홈(121b)을 가지며, 외부결박홈(121b)의 연결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안쪽면으로 내부연결체(111)에 접촉되는 위치에 누수를 차단하는 외부씰링체(122)가 설치되는 외부씰링홈(121c)이 형성된 외부연결공간(121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외부연결체(121)의 내부에 내부연결체(111)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내부에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유로 형태의 배출유로(121e)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런, 외부씰링체(122)는 외부씰링홈(121c)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형 시트 형태로 구비되어 단면적이 영문자 "U" 자가 90도 뒤집어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여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회전 시 씰링을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즉, 외부씰링체(122)가 통상적인 평판형태로 구비하게 되면 회전 시에 압착되는 압력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거나, 손상이 발생됨에 따라 영문자 "U" 자가 90도 뒤집어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위치한 형상으로 구비하여 안쪽과 바깥쪽을 보강하면서 사이에 발생된 공간에 의해 수축된 상태에서 회전 시에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외부체결몸체(123)는 한쌍의 외부연결체(121)의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되는 외부체결체(123a)를 가지고, 호스의 연결 시에 상호 체결되고, 호스의 분리 시에 체결이 해제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외부체결몸체(123)는 호스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 체결되도록 상호 연결되는 방향에 설치된 것으로, 상호 체결을 위해서 삽입되는 암수를 선택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함에 따라 따로의 설명 없이 동일한 부호로 표기한다.
외부차단커버(124)는 한쌍의 외부연결체(121)와 내부연결체(111)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호스의 연결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연결체(121)와 내부연결체(111)의 각각의 호스 방향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 둘레 방향으로 확대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130)는 내부연결부(110)와 외부연결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연결부(110)의 연결되는 방향과 외부연결부(120)의 호스 방향에 상호 중첩되는 내부에서 상호 결박한 상태에서 하중을 분산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볼 베어링 형태로 구비된다.
이런, 회전부(130)는 내부연결체(111)와 외부연결체(12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결박홈(116)과 외부결박홈(121b)에 걸쳐서 설치되어 내부연결체(111)와 외부연결체(121)를 상호 결박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한쪽에 개방되어 결박압력을 분산하도록 구비된 결박스러스트베어링(131)으로 구비된다.
상술된 결박스러스트베어링(131)은 결박베어링유지체(132), 결박베어링볼(133), 및 결박볼커버체(134)를 포함한다.
결박베어링유지체(132)는 내부연결체(111)와 외부연결체(12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결박홈(116)과 외부결박홈(121b)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하되, 결박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되는 결박유지공간(122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결박베어링볼(133)은 한쌍의 결박베어링유지체(132)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내부결박홈(116)에 삽입된 결박베어링유지체(132)와 외부결박홈(121b)에 삽입된 결박베어링유지체(132)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결박볼커버체(134)는 결박베어링볼(133)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결박베어링유지체(132)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결박베어링볼(133)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결박유지공간(122a) 위치에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결박커버공간(134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도 5는 도 4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 부분인 결박베어링유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 구성인 결박베어링유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결박베어링유지체(13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결박파형돌출부(122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100)는 내부연결부(110), 외부연결부(120), 및 회전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고, 내부연결부(110)와 외부연결부(120)도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씰링되는 구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 내부연결부(110)와 외부연결부(120)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연결부(110)는 연결장치에 설치되는 각각의 호스를 고정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각각의 호스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호스연결공간(112)을 가지고, 호스연결공간(112)의 안쪽면으로 각각의 호스가 고정되도록 돌출된 돌기 형태의 내부연결돌기(113)를 가지며, 바깥 둘레에 외부연결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130)가 설치되는 내부결박홈(116)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이 통과되는 내부연결공간(115)을 가지며, 내부결박홈(116)의 연결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안쪽면으로 외부연결부(120)에 접촉되는 위치에 누수를 차단하는 내부씰링체(119)가 설치되는 내부씰링홈(114)을 가지는 내부연결체(111)로 구비된다.
상술된 내부씰링체(119)는 내부씰링홈(114)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형 시트 형태로 구비되어 단면적이 영문자 "U" 자가 90도 뒤집어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여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회전 시 씰링을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외부연결부(120)는 외부연결체(121), 및 외부체결몸체(123)를 포함한다.
외부연결체(121)는 내부연결체(111)의 바깥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연결체(111)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경이 확대된 크기로 구비되고, 안쪽면에 내부결박홈(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연결체(111)와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130)가 설치되는 외부결박홈(121b)을 가지며, 내부에 내부연결체(111)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내부에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유로 형태의 배출유로(121e)를 가지는 외부연결공간(121a)이 구비된다.
외부체결몸체(123)는 외부연결체(121)의 상호 연결되는 방향에 각각 돌출되어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되는 외부체결체(123a)를 가지고, 호스의 연결 시에 상호 체결되고, 호스의 분리 시에 체결이 해제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외부체결몸체(123)는 암수 형태로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이나 통상적인 기술에 속함에 따라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은 도 8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 부분인 회전스러스트베어링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100)는 내부연결부(110), 외부연결부(120), 및 회전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부연결부(110), 외부연결부(120), 및 회전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내부연결부(110), 외부연결부(120), 및 회전부(130) 구조에서 결박스러스트베어링(131)이 설치된 구조는 유사하고, 회전부(130)의 구성이 추가되어 있는 것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구조임에 따라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연결부(110)는 내부연결체(111), 및 내부베어링지지체(117)를 포함한다.
내부연결체(111)는 연결장치에 설치되는 각각의 호스를 고정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각각의 호스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호스연결공간(112)을 가지고, 호스연결공간(112)의 안쪽면으로 각각의 호스가 고정되도록 돌출된 돌기 형태의 내부연결돌기(113)를 가지며, 바깥 둘레에 외부연결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130)가 설치되는 내부결박홈(116)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이 통과되는 내부연결공간(115)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내부베어링지지체(117)는 내부연결체(111)의 상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관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외부연결부(120) 사이에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의 안쪽면이 내부연결체(111)의 바깥면에 지지되고, 연결되는 방향 면이 접촉 지지하도록 바깥으로 돌출하기 위해서 내부연결체(111)보다 직경을 확대하도록 구비된다.
외부연결부(120)는 외부연결체(121), 외부체결몸체(123), 및 외부차단돌기(124)를 포함한다.
외부연결체(121)는 한쌍의 내부연결체(111)의 바깥둘레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연결체(111)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경이 확대된 크기로 구비되고, 안쪽면에 내부결박홈(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연결체(111)와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가 설치되는 외부결박홈(121b)이 형성된 외부연결공간(121a)을 가지며, 외부연결공간(121a)의 상호 연결되는 방향으로 회전부(130)의 각각의 호수 방향 면이 지지되는 단턱이 구비되도록 직경이 축소되어 회전부(130)와 내부베어링지지체(117)가 삽입되어 회전부의 한쪽면이 접촉되면 지지되는 외부베어링공간(121d)을 가지고, 외부베어링공간(121d)에 상호 연결되는 방향으로 내부베어링지지체(117)가 삽입 접촉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안쪽면으로 내부연결체(111)에 접촉되는 위치에 누수를 차단하는 외부씰링체(122)가 설치되는 외부씰링홈(121c)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외부연결체(121)의 내부에 내부연결체(111)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내부에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유로 형태의 배출유로(121e)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런, 외부씰링체(122)는 외부씰링홈(121c)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형 시트 형태로 구비되어 단면적이 영문자 "U" 자가 90도 뒤집어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여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회전 시 씰링을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즉, 외부씰링체(122)가 통상적인 평판형태로 구비하게 되면 회전 시에 압착되는 압력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거나, 손상이 발생됨에 따라 영문자 "U" 자가 90도 뒤집어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위치한 형상으로 구비하여 안쪽과 바깥쪽을 보강하면서 사이에 발생된 공간에 의해 수축된 상태에서 회전 시에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외부체결몸체(123)는 한쌍의 외부연결체(121)의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되는 외부체결체(123a)를 가지고, 호스의 연결 시에 상호 체결되고, 호스의 분리 시에 체결이 해제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외부체결몸체(123)는 호스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 체결되도록 연결되는 방향에 설치된 것으로, 상호 체결을 위해서 삽입되는 암수를 선택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함에 따라 따로의 설명 없이 동일한 부호로 표기한다.
외부차단돌기(124)는 한쌍의 외부연결체(121)의 내부연결체(111)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호스의 연결방향으로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연결체(111)가 삽입되는 부분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돌출 구비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외부차단커버(124)는 한쌍의 외부연결체(121)와 내부연결체(111)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호스의 연결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연결체(121)와 내부연결체(111)의 각각의 호스 방향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 둘레 방향으로 확대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된 외부차단돌기(124)와 외부차단커버(124)는 각각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하나가 설치될 수도 있고, 둘다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130)는 내부연결부(110)와 외부연결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연결부(110)의 연결되는 방향과 외부연결부(120)의 호스 방향에 상호 중첩되는 내부에서 상호 결박한 상태에서 하중을 분산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볼 베어링 형태로 구비된다.
이런, 회전부(130)는 결박스러스트베어링(131), 및 회전스러스트베어링(135)을 포함한다.
결박스러스트베어링(131)은 내부연결체(111)와 외부연결체(12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결박홈(116)과 외부결박홈(121b)에 걸쳐서 설치되어 내부연결체(111)와 외부연결체(121)를 상호 결박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한쪽에 개방되어 결박압력을 분산하도록 구비된 결박스러스트베어링(131)으로 구비된다.
이런, 결박스러스트베어링(131)은 결박베어링유지체(132), 결박베어링볼(133), 및 결박볼커버체(134)를 포함한다.
결박베어링유지체(132)는 내부연결체(111)와 외부연결체(12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결박홈(116)과 외부결박홈(121b)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하되, 결박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되는 결박유지공간(122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결박베어링볼(133)은 한쌍의 결박베어링유지체(132)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내부결박홈(116)에 삽입된 결박베어링유지체(132)와 외부결박홈(121b)에 삽입된 결박베어링유지체(132)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결박볼커버체(134)는 결박베어링볼(133)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결박베어링유지체(132)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결박베어링볼(133)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결박유지공간(122a) 위치에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결박커버공간(134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결박베어링유지체(13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결박파형돌출부(122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스러스트베어링(135)은 호스 방향이 외부베어링공간(121d)에 지지되고, 상호 연결되는 방향이 내부베어링지지체(117)에 지지되어 있으며,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구비된다.
즉, 회전스러스트베어링(135)은 회전베어링유지체(136), 회전베어링볼(137), 및 회전볼커버체(138)를 포함한다.
회전베어링유지체(136)는 호스 방향이 외부베어링공간(121d)에 지지되고, 상호 연결되는 방향이 내부베어링지지체(117)에 지지되어 있으며, 외부베어링공간(121d)과 내부베어링지지체(117)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된다.
회전베어링볼(137)은 한쌍의 회전베어링유지체(136)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외부베어링공간에 삽입된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136)와 내부베어링지지체(117)에 지지된 회전베어링유지체(136)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회전볼커버체(138)는 회전베어링볼(137)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회전베어링유지체(136)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회전베어링볼(137)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도 11은 도 10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부분인 회전베어링유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 구성인 회전베어링유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회전베어링유지체(136)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회전파형돌출부(13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100)는 내부연결부(110), 외부연결부(120), 및 회전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부(130)는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고, 내부연결부(110)와 외부연결부(120)도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씰링되는 구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 내부연결부(110)와 외부연결부(120)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런, 내부연결부(110)는 내부연결체(111), 및 내부베어링지지체(117)를 포함한다.
내부연결체(111)는 연결장치에 설치되는 각각의 호스를 고정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각각의 호스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호스연결공간(112)을 가지고, 호스연결공간(112)의 안쪽면으로 호스가 고정되도록 돌출된 돌기 형태의 내부연결돌기(113)를 가지며, 바깥 둘레에 외부연결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130)가 설치되는 내부결박홈(116)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이 통과되는 내부연결공간(115)을 가지며, 내부결박홈(116)의 연결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안쪽면으로 외부연결부(120)에 접촉되는 위치에 누수를 차단하는 내부씰링체(119)가 설치되는 내부씰링홈(114)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런, 내부씰링체(119)는 내부씰링홈(114)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형 시트 형태로 구비되어 단면적이 영문자 "U" 자가 90도 뒤집어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여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회전 시 씰링을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내부베어링지지체(117)는 내부연결체(111)의 상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관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외부연결부(120) 사이에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130)의 안쪽면이 내부연결체(111)의 바깥면에 지지되고, 연결되는 방향 면이 접촉 지지하도록 바깥으로 돌출하기 위해서 내부연결체(111)보다 직경을 확대하도록 구비된다.
상술된 외부연결부(120)는 외부연결체(121), 및 외부체결몸체(123)를 포함한다.
외부연결체(121)는 내부연결체(111)의 바깥둘레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연결체(111)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경이 확대된 크기로 구비되고, 안쪽면에 내부결박홈(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연결체(111)와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130)가 설치되는 외부결박홈(121b)이 형성된 외부연결공간(121a)을 가지며, 외부연결공간(121a)의 연결되는 방향으로 회전부(130)의 호스 방향 면이 지지되는 단턱이 구비되도록 직경이 축소되어 회전부(130)와 내부베어링지지체(117)가 삽입되어 회전부(130)의 호스 방향 면이 접촉되면 지지되는 외부베어링공간(121d)을 가지고, 내부에 내부연결체(111)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내부에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유로 형태의 배출유로(121e)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외부체결몸체(123)는 외부연결체(121)의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되는 외부체결체(123a)를 가지고, 호스의 연결 시에 상호 체결되고, 호스의 분리 시에 체결이 해제되도록 구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결장치 110 : 내부연결부
111 : 내부연결체 112 : 호스연결공간
113 : 내부연결돌기 114 : 내부씰링홈
115 : 내부연결공간 116 : 내부결박홈
117 : 내부베어링지지체 118 : 씰링연장체
119 : 내부씰링체 120 : 외부연결부
121 : 외부연결체 121a : 외부연결공간
121b : 외부결박홈 121c : 외부씰링홈
121d : 외부베어링공간 121e : 배출유로
122 : 외부씰링체 123 : 외부체결몸체
123a : 외부체결체 124 : 외부차단커버
125 : 고정차단커버 126 : 커버체결체
127 : 베어링고정삽입몸체 128 : 삽입체결체
129 : 베어링고정체 130 : 회전부
131 : 결박스러스트베어링 132 : 결박베어링유지체
132a : 결박유지공간 132b : 결박파형돌출부
133 : 결박베어링볼 134 : 결박볼커버체
134a : 결박커버공간 135 : 회전스러스트베어링
136 : 회전베어링유지체 136a : 회전파형돌출부
137 : 회전베어링볼 138 : 회전볼커버체

Claims (34)

  1. 소방용 호스가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상기 호스가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가 상호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관 형태로 상호 결벽되면서 회전을 지지하도록 바깥 방향이 개방되고 나머지가 폐쇄된 홈 형태의 내부결박홈을 가지는 내부연결부;
    상기 내부연결부의 바깥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에서 체결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누수를 방지하고,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지지되며, 안쪽면에 상기 내부결박홈과 대응되어 안쪽이 개방되고 나머지가 폐쇄되어 상기 외부결박홈과 함께 상호 폐쇄한 형태가 되도록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외부결박홈을 가지는 외부연결부; 및
    상기 내부연결부와 상기 외부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를 상호 결박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한쪽에 개방되어 결박압력을 분산하도록 구비된 회전부;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연결부는,
    상기 연결장치에 설치되는 상기 호스를 고정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호스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호스연결공간을 가지고, 상기 호스연결공간의 안쪽면으로 상기 호스가 고정되도록 돌출된 돌기 형태의 내부연결돌기를 가지며, 바깥 둘레에 상기 외부연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내부결박홈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상기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이 통과되는 내부연결공간을 가지는 내부연결체;로 구비된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의 바깥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연결체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경이 확대된 크기로 구비되고, 안쪽면에 상기 내부결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외부결박홈을 가지며, 상기 외부결박홈의 연결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안쪽면으로 상기 내부연결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누수를 차단하는 외부씰링체가 설치되는 외부씰링홈이 형성된 외부연결공간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내부연결체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내부에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유로 형태의 배출유로를 가지는 외부연결체; 및
    상기 외부연결체의 상호 연결되는 방향에 각각 돌출되어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되는 외부체결체를 가지고, 상기 호스의 연결 시에 상호 체결되고, 상기 호스의 분리 시에 체결이 해제되는 외부체결몸체;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체는 상기 씰링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형 시트 형태로 구비되어 단면적이 영문자 "U" 자가 90도 뒤집어져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여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회전 시 씰링을 유지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맞닿은 부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호스의 연결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각각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 둘레 방향으로 확대되어 외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차단커버;를 더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를 상호 결박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한쪽에 개방되어 결박압력을 분산하도록 구비된 결박스러스트베어링;으로 구비된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스러스트베어링은,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하되, 결박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되는 결박유지공간을 가지는 결박베어링유지체;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상기 내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와 상기 외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는 결박베어링볼; 및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결박유지공간 위치에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결박커버공간을 가지는 결박볼커버체;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결박파형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연결부는,
    상기 연결장치에 설치되는 상기 호스를 고정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호스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호스연결공간을 가지고, 상기 호스연결공간의 안쪽면으로 상기 호스가 고정되도록 돌출된 돌기 형태의 내부연결돌기를 가지며, 바깥 둘레에 상기 외부연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내부결박홈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상기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이 통과되는 내부연결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결박홈의 연결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안쪽면으로 상기 외부연결부에 접촉되는 위치에 누수를 차단하는 내부씰링체가 설치되는 내부씰링홈을 가지는 내부연결체;로 구비된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씰링체는 상기 내부씰링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형 시트 형태로 구비되어 단면적이 영문자 "U" 자가 90도 뒤집어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여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회전 시 씰링을 유지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의 바깥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연결체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경이 확대된 크기로 구비되고, 안쪽면에 상기 내부결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외부결박홈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내부연결체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내부에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유로 형태의 배출유로를 가지는 외부연결체; 및
    상기 외부연결체의 상호 연결되는 방향에 각각 돌출되어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되는 외부체결체를 가지고, 상기 호스의 연결 시에 상호 체결되고, 상기 호스의 분리 시에 체결이 해제되는 외부체결몸체;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맞닿은 부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호스의 연결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각각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 둘레 방향으로 확대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차단커버;를 더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를 상호 결박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한쪽에 개방되어 결박압력을 분산하도록 구비된 결박스러스트베어링;으로 구비된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스러스트베어링은,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하되, 결박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되는 결박유지공간을 가지는 결박베어링유지체;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상기 내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와 상기 외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는 결박베어링볼; 및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결박유지공간 위치에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결박커버공간을 가지는 결박볼커버체;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결박파형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연결부는,
    상기 연결장치에 설치되는 상기 호스를 고정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호스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호스연결공간을 가지고, 상기 호스연결공간의 안쪽면으로 상기 호스가 고정되도록 돌출된 돌기 형태의 내부연결돌기를 가지며, 바깥 둘레에 상기 외부연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내부결박홈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상기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이 통과되는 내부연결공간을 가지는 내부연결체; 및
    상기 내부연결체의 상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관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연결부 사이에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의 안쪽면이 상기 내부연결체의 바깥면에 지지되고, 연결되는 방향 면이 접촉 지지하도록 바깥으로 돌출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연결체보다 직경을 확대한 내부베어링지지체;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의 바깥둘레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연결체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경이 확대된 크기로 구비되고, 안쪽면에 상기 내부결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외부결박홈이 형성된 외부연결공간을 가지며, 상기 외부연결공간의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의 상기 호스 방향 면이 지지되는 단턱이 구비되도록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회전부와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의 상기 호스 방향 면이 접촉되면 지지되는 외부베어링공간을 가지고,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가 삽입 접촉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안쪽면으로 상기 내부연결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누수를 차단하는 외부씰링체가 설치되는 외부씰링홈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내부연결체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내부에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유로 형태의 배출유로를 가지는 외부연결체; 및
    상기 외부연결체의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되는 외부체결체를 가지고, 상기 호스의 연결 시에 상호 체결되고, 상기 호스의 분리 시에 체결이 해제되는 외부체결몸체;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씰링체는 상기 외부씰링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형 시트 형태로 구비되어 단면적이 영문자 "U" 자가 90도 뒤집어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여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회전 시 씰링을 유지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맞닿은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호스의 연결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각각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 둘레 방향으로 확대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차단커버;를 더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를 상호 결박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한쪽에 개방되어 결박압력을 분산하도록 구비된 결박스러스트베어링; 및
    상기 호스 방향이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지지되고, 상호 연결되는 방향이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되어 있으며,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구비된 회전스러스트베어링;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를 상호 결박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한쪽에 개방되어 결박압력을 분산하도록 구비된 결박스러스트베어링; 및
    상기 호스 방향이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지지되고, 상호 연결되는 방향이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되어 있으며,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구비된 회전스러스트베어링;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스러스트베어링은,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하되, 결박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되는 결박유지공간을 가지는 결박베어링유지체;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상기 내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와 상기 외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는 결박베어링볼; 및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결박유지공간 위치에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결박커버공간을 가지는 결박볼커버체;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결박파형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러스트베어링은,
    상기 호스 방향이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지지되고, 상호 연결되는 방향이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베어링공간과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된 회전베어링유지체;
    한쌍의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삽입된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와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된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베어링볼; 및
    상기 회전베어링볼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볼커버체;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회전파형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연결부는,
    상기 연결장치에 설치되는 상기 호스를 고정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호스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호스연결공간을 가지고, 상기 호스연결공간의 안쪽면으로 상기 호스가 고정되도록 돌출된 돌기 형태의 내부연결돌기를 가지며, 바깥 둘레에 상기 외부연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내부결박홈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상기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이 통과되는 내부연결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결박홈의 연결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안쪽면으로 상기 외부연결부에 접촉되는 위치에 누수를 차단하는 내부씰링체가 설치되는 내부씰링홈을 가지는 내부연결체; 및
    상기 내부연결체의 상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관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연결부 사이에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의 안쪽면이 상기 내부연결체의 바깥면에 지지되고, 연결되는 방향 면이 접촉 지지하도록 바깥으로 돌출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연결체보다 직경을 확대한 내부베어링지지체;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씰링체는 상기 내부씰링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형 시트 형태로 구비되어 단면적이 영문자 "U" 자가 90도 뒤집어져 연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여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회전 시 씰링을 유지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의 바깥둘레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연결체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경이 확대된 크기로 구비되고, 안쪽면에 상기 내부결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호 결박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외부결박홈이 형성된 외부연결공간을 가지며, 상기 외부연결공간의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의 상기 호스 방향 면이 지지되는 단턱이 구비되도록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회전부와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의 상기 호스 방향 면이 접촉되면 지지되는 외부베어링공간을 가지고, 내부에 상기 내부연결체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내부에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유로 형태의 배출유로를 가지는 외부연결체; 및
    상기 외부연결체의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되는 외부체결체를 가지고, 상기 호스의 연결 시에 상호 체결되고, 상기 호스의 분리 시에 체결이 해제되는 외부체결몸체;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맞닿은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호스의 연결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연결체와 상기 내부연결체의 각각의 상기 호스 방향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 둘레 방향으로 확대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차단커버;를 더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를 상호 결박하면서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한쪽에 개방되어 결박압력을 분산하도록 구비된 결박스러스트베어링; 및
    상기 호스 방향이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지지되고, 상호 연결되는 방향이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되어 있으며, 축방향인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링형상의 볼 베어링형태로 구비된 회전스러스트베어링;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스러스트베어링은,
    상기 내부연결체와 상기 외부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결박홈과 상기 외부결박홈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하되, 결박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되는 결박유지공간을 가지는 결박베어링유지체;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상기 내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와 상기 외부결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는 결박베어링볼; 및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박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결박유지공간 위치에 하중을 분산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결박커버공간을 가지는 결박볼커버체;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베어링유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결박파형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러스트베어링은,
    상기 호스 방향이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지지되고, 상호 연결되는 방향이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베어링공간과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각각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된 회전베어링유지체;
    한쌍의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 사이로 복수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이 발생하는 볼 형태로 상기 외부베어링공간에 삽입된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와 상기 내부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된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럼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베어링볼; 및
    상기 회전베어링볼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의 기설정된 공간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볼커버체;를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베어링유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파도 형상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돌출되어 구름 시에 둘출부분을 통과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회전파형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KR1020200156843A 2020-11-20 2020-11-20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KR102484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843A KR102484702B1 (ko) 2020-11-20 2020-11-20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843A KR102484702B1 (ko) 2020-11-20 2020-11-20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581A KR20220069581A (ko) 2022-05-27
KR102484702B1 true KR102484702B1 (ko) 2023-01-04

Family

ID=8179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843A KR102484702B1 (ko) 2020-11-20 2020-11-20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7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061B1 (ko) * 2013-04-11 2013-11-19 와이에스(주) 수입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꼬임 방지용 소방호스
KR101980170B1 (ko) * 2019-04-12 2019-05-20 편원규 고압호스 꼬임방지 연결구
KR101998146B1 (ko) * 2017-07-24 2019-07-09 주식회사 대성기계 소방호스용 회전형 연결구
KR102100056B1 (ko) * 2018-10-18 2020-04-10 이유선 배수용 본관에 지관을 연결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5224B2 (en) * 2005-05-17 2010-10-19 Deublin Company Multi-media rotary un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061B1 (ko) * 2013-04-11 2013-11-19 와이에스(주) 수입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꼬임 방지용 소방호스
KR101998146B1 (ko) * 2017-07-24 2019-07-09 주식회사 대성기계 소방호스용 회전형 연결구
KR102100056B1 (ko) * 2018-10-18 2020-04-10 이유선 배수용 본관에 지관을 연결하는 장치
KR101980170B1 (ko) * 2019-04-12 2019-05-20 편원규 고압호스 꼬임방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581A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959B1 (ko)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AU712074B2 (en) Expandable retrievable bridge plug
US20060260833A1 (en) Cable-routing device
KR102484702B1 (ko)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CN103303131B (zh) 油箱加油管
CA2480501C (en) Pigging ball valve
CN108343796A (zh) 流体联接元件和包括这种元件的流体联接器
JPH10513539A (ja) 管に差し込む密封インサイドスリーブ
CN210291080U (zh) 一种消防水带
JP5340861B2 (ja) 伸縮可撓性管継手
KR100279925B1 (ko) 역류방지밸브구조 및 그 역류방지밸브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밸브부재
JP5555585B2 (ja) 空気通路接続用継手
US3346307A (en) Sealed bearing
KR20230030966A (ko) 꼬임이 풀리는 소방호스 연결장치
KR102669218B1 (ko) 꼬임이 풀리는 소방호스 연결장치
KR20230030967A (ko) 꼬임이 풀리는 소방호스 연결장치
KR102110596B1 (ko)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
CN214300831U (zh) 一种管线安装结构及包括其的衣物处理设备
CN214033040U (zh) 一种管线安装结构及包括其的衣物处理设备
WO2018211573A1 (ja) 消防用接手
CN214300827U (zh) 一种管线排布结构及包括其的衣物处理设备
KR102624720B1 (ko) 소방 호스용 연결 장치
JP7430864B2 (ja) 2重同軸コネクタ
CN214300829U (zh) 一种管线安装结构及包括其的衣物处理设备
KR102387434B1 (ko) 소방호스용 탈부착 꼬임방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