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596B1 -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 - Google Patents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596B1
KR102110596B1 KR1020180127617A KR20180127617A KR102110596B1 KR 102110596 B1 KR102110596 B1 KR 102110596B1 KR 1020180127617 A KR1020180127617 A KR 1020180127617A KR 20180127617 A KR20180127617 A KR 20180127617A KR 102110596 B1 KR102110596 B1 KR 102110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variable
fixing groove
socke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448A (ko
Inventor
안규찬
Original Assignee
안규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규찬 filed Critical 안규찬
Priority to KR102018012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5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49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being turned through an angle when passing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3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the connection taking place from inside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켓 또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퀵 커플링부(100) 외부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니플(300) 및 상기 퀵 커플링부(100)와 니플(300)의 중간에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각도가 변형되는 가변 각도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퀵 커플링부(100), 가변 각도부(200) 및 니플(300)의 내부에 연통되는 유로(B)를 포함하여, 가변 각도부(200)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어, 다양한 환경에서의 배관 설치를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Variable angle quick coupler}
본 발명은 각도 변경이 가능한 퀵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 또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퀵 커플링부, 각도 변경이 가능한 가변각도부 및 니플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수작업만으로도 두 개의 관형 제품을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고, 작업이 수행되는 공간의 형태에 알맞은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퀵 커플러(Quick coupler)란 별도의 조립 공구 없이 수작업만으로 호스, 파이프와 같은 관형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물, 기름, 가스, 공기 등의 유체를 원거리로 이동시킬 때 관형부재의 연결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연결 수단이다.
최근에는 퀵 커플러의 신속한 결합성 때문에 등반용 장비의 일종인 비너 등에도 활용되고 있으며, 건축용, 소방용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퀵 커플러의 커플링부는 소켓형 커플러와 플러그형 커플러로 분류될 수 있으며, 소켓형 커플러에 플러그형 커플러를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유체 라인을 연결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소켓형 커플러에는 통상적으로 O링, 테프론링과 같은 밀폐부재와 리테이너 및 돌출형 고정부가 구비되고, 플러그형 커플러에는 요홈이 구비되어, 플러그형 커플러를 소켓형 커플러에 삽입하면, 소켓형 커플러의 돌출형 고정부에 플러그형 커플러의 요홈이 걸림으로써 리테이너 내에 플러그형 커플러가 고정된다. 또한, 소켓형 커플러의 밀폐부재에 의해 유체가 누출되지 않고 완전 밀폐되도록 연결되므로, 신속하고 간편한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퀵 커플러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퀵 커플러에 니플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두 관형부재를 연결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 부위가 지면보다 높이 위치하는 경우, 퀵 커플러 또는 니플에 연결된 관형부재가 지면 방향으로 늘어지기 때문에 시공에 필요한 공간이 증가하고, 관형부재가 손상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퀵 커플러, 엘보우, 니플을 순차적으로 연결해서 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각 부품을 별도로 연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고, 필요 공간 증가 문제는 여전히 해소될 수 없었다.
또한, 미리 45도, 90도, 135도 등 다양한 종류의 엘보우를 구비해 둔 뒤, 시공 공간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시공 단계가 증가하며, 상기 엘보우로 시공 장소의 제약을 극복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개 이상의 엘보우를 사용하거나 또 다른 배관 부속을 추가로 연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각 연결부품을 현장에서 연결할 필요 없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두 관형부재의 결합을 체결할 수 있는 퀵 커플러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296914호(2013.08.08 등록)
본 발명에서는 소켓 또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퀵 커플링부, 각도 변경이 가능한 가변각도부 및 니플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수작업만으로도 두 개의 관형 제품을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고, 작업이 수행되는 공간의 형태에 알맞은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 또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퀵 커플링부(100); 외부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니플(300); 및 상기 퀵 커플링부(100)와 니플(300)의 중간에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각도가 변형되는 가변 각도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퀵 커플링부(100), 가변 각도부(200) 및 니플(300)의 내부에 연통되는 유로(B)를 포함하는,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변 각도부(200)는, 퀵 커플링부(100)와 연결되는 제1 몸체(210), 니플(300)과 연결되는 제2 몸체(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의 결합면(A-A')이 유로(B)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몸체(210)는 상기 결합면을 기준으로 제2 몸체(2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211)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211)의 말단에는 결합면과 평행하도록 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끼움돌기(2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220)에는 상기 돌기(211)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홈(221)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홈(221)에 돌기(211)가 끼워짐으로써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220)의 외면에서 제1 몸체(210)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고정홈(2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210) 및 제 2 몸체(220)에 각각 고정홈(23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고정요홈(231) 및 제2 고정요홈(233)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요홈(231) 및 제2 고정요홈(233)은 고정홈(230)의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230)에 삽입되어, 제1 몸체(210)에 대한 제2 몸체(2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핀(240)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변 각도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는, 소켓 또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퀵 커플링부, 각도 변경이 가능한 가변각도부 및 니플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수작업만으로도 두 개의 관형 제품을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고, 작업이 수행되는 공간의 형태에 알맞은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10)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90도 각도로 조절된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10)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슬라이딩식 소켓(1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끼움식 소켓(13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끼움식 소켓(130)의 전면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가변 각도부(200)가 결합상태일 때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가변 각도부(200)가 해체됐을 때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서 결합면인 A-A'면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240)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가변 각도부(200)가 2개 설치된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10)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10)는 퀵 커플링부(100), 가변 각도부(200) 및 니플(300)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가지며, 이들 내부를 관통하는 유로(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가변 각도부(200)가 180도일 때, 퀵 커플링부(110)가 위치한 방향을 앞, 니플(300)이 위치한 방향을 뒤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향은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정의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니플(300)이 앞에, 퀵 커플링부(110)가 뒤에 위치할 수도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기술자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10)를 사용하면,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수작업만으로 두 관형부재를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가변 각도부(2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시공되는 공간의 형상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연결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2에서는 일예로 90도 각도를 갖는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10)를 도시하였으나, 가변 각도부(2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다양한 각도의 구현이 가능한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통상적으로 관형부재를 연결하는 작업시에는, 현장에서 엘보우의 일측에 퀵 커플러를 결합하고, 타측에 니플을 결합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다단계 결합 작업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증가하고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10)는 퀵 커플링부(100), 가변 각도부(200) 및 니플(300)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의 단축도 이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퀵 커플링부(100)는 플러그형 또는 소켓형일 수 있는데, 플러그형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하여, 소켓형 연결부재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맞물림으로써 결합되는 것으로써, 해당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다양한 종류의 플러그가 사용될 수 있다.
소켓형인 경우에는 슬라이더를 소켓형 퀵 커플링부(100)의 몸체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고 관형부재 또는 연결부재를 소켓 내부에 인입한 뒤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관형부재나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슬라이딩식 소켓일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슬라이더를 구비하지 않고, 소켓형 퀵 커플링부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구비되어, 힘을 가하여 관형부재 또는 연결부재를 소켓 내부로 밀어 넣음으로써 관형부재 또는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끼움식 소켓일 수도 있다.
상기 니플(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관형부재 내부에 끼워지면, 돌출부가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관형부재와 연결되는 연결구를 일컫는 것으로서, 그 종류 및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 및 형상의 니플(300)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식 소켓(1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딩식 소켓(110)은 슬라이딩식 소켓 몸체(111), 슬라이딩식 소켓 몸체(111)의 외주면에 앞뒤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113), 슬라이딩식 소켓 몸체(111)와 슬라이더(113)의 사이에 형성되고, 슬라이더(11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는 스프링(115), 슬라이더(113)에 의해 감싸지는 슬라이딩식 소켓 몸체(111)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어, 슬라이더(113)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식 소켓(110) 내부에 위치한 관형부재 또는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볼(117), 슬라이딩식 소켓(110)과 관형부재 또는 연결부재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119)을 포함한다.
도 3은 슬라이딩식 소켓(110)에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았을 때인 초기 상태의 도면으로,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115)이 이완되어, 슬라이더(113)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13)의 일부 내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볼 고정부(114)가 볼(117)을 슬라이딩식 소켓(110) 내부의 유로(B) 방향으로 밀어, 볼(117)이 슬라이딩식 소켓 몸체(111)에 형성된 홀에 걸쳐지며, 유로(B) 방향으로 볼(117)의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113)의 일부 내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볼 고정부(114)는 슬라이더(113)의 앞쪽 및 뒤쪽 내주연에는 형성되지 않는데, 볼 고정부(114)가 형성되지 않은 슬라이더(113)의 뒤쪽 공간에는 스프링이 배치되기 때문이고, 볼 고정부(114)가 형성되지 않은 슬라이더(113)의 앞쪽 공간에는 관형부재 또는 연결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해 슬라이더(113)를 뒤쪽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켰을 때 볼(117)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113)를 뒤쪽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스프링(115)이 수축되게 되고, 이때 관형부재를 슬라이딩식 소켓 몸체(110) 내부로 인입시키면, 볼(117)이 관형부재 또는 연결부재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밀려, 볼 고정부(114)가 형성되지 않은 슬라이더(113)의 앞쪽 공간에 수용되게 된다.
이후, 슬라이더(113)를 뒤쪽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115)이 이완하면서 슬라이더(113)를 앞쪽 방향으로 다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볼(117)은 볼 고정부(114)에 의해 다시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유로(B)의 일부에 돌출되어 있는 볼(117)이 걸림턱 역할을 하여 관형부재 또는 연결부재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볼 고정부(114)가 형성되지 않은 슬라이더(113)의 앞쪽 공간에, 슬라이딩식 소켓 몸체(111)로부터 돌출 형성된 턱이 위치하여, 볼 고정부(114)의 걸림턱으로 작용함으로써 볼 고정부(114)의 최대 이동 위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턱과 맞닿는 볼 고정부(114)의 전면은, 볼(117)이 원주방향 또는 이의 반대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경사진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끼움식 소켓(13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 4를 참조하면, 끼움식 소켓(130)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끼움식 소켓 몸체(131), 끼움식 소켓 몸체(131)의 내주연에 결합되어 있는 오링(139) 및 관형부재 또는 연결부재가 인입되는 끼움식 소켓 몸체(131)의 앞쪽 내측에 끼움식 소켓 몸체(131)와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끼움식 소켓 결합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끼움식 소켓 결합부(135)의 전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후면은 끼움식 소켓 몸체(131)에 결합되어 있으며, 끼움식 소켓 결합부(135)의 외주면은 끼움식 소켓 몸체(131)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식 소켓 결합부(135)는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37)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37)의 관형부재 또는 연결부재가 인입되는 방향은 둔각으로 형성되며, 그 반대 방향은 직각 또는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형부재 또는 연결부재가 인입되는 방향으로는 쉽게 인입되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으므로, 관형부재 또는 연결부재와 끼움식 소켓(13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끼움식 소켓(130)의 전면을 확대한 사시도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끼움식 소켓 결합부(135)는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끼움식 소켓(130)과 관형부재의 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두 개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개수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도 6은 상기 가변 각도부(200)가 결합상태일 때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가변 각도부(200)를 해체시켰을 때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변 각도부(200)는 퀵 커플링부(100)와 연결되는 제1 몸체(210), 니플(300)과 연결되는 제2 몸체(220)를 포함하고,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유로(B)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들의 결합면인 A-A'이 유로(B) 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변 각도부(200)를 구성하는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유로(B)의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결합면, 즉 타원형의 결합면을 갖고, 유로(B)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회전 각에 따라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이루는 각이 변하게 된다.
상기 제1 몸체(210)는 상기 결합면을 기준으로 제2 몸체(2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돌기(211)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211)의 말단에는 결합면과 평행한 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끼움돌기(213)가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211)의 제1 몸체(210) 쪽에는 제1 끼움돌기(213)보다 원주가 작은 제1 요홈(212)이 형성되고, 돌기(211)의 제2 몸체(210) 쪽에는 제1 끼움돌기(213)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몸체(220)에는 상기 돌기(211)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홈(22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끼움돌기(213)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요홈(222)과 제1 요홈(212)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제2 끼움돌기(223)가 형성되어, 제1 몸체(210)의 제1 끼움돌기(213)가 제2 몸체(220)의 제2 요홈(222)에 결합되고, 제2 몸체(220)의 제2 끼움돌기(223)가 제1 몸체(210)의 제1 요홈(212)에 결합되어 서로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또한, 제1 요홈(212), 제1 끼움돌기(213), 제2 요홈(222) 및 제2 끼움돌기(223)의 상기 결합면과 평행한 면방향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유로(B)의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타원형의 결합면을 가지므로, 제1 몸체(210) 및/또는 제2 몸체(22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형성하는 각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의 회전각을 변화시킴으로써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10)의 가변 각도부(200)의 각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요홈(212)에는 유로(B)의 밀폐력을 확보하기 위한 오링(215)이 구비될 수 있는데, 오링(215)에 의해 점유되는 부피를 확보하기 위해 제1 요홈(212)의 원주방향 내면과 제2 끼움돌기(223)의 원주방향 외면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 각도부(200)에는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 수단은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230) 및 고정홈(230) 내에 수용되는 고정핀(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홈(230)은 제2 몸체(220)의 외면에서 제1 몸체(210)의 내부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몸체(210)의 외면에서 제2 몸체(220)의 내부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되거나, 2개 이상의 고정홈(230)이 형성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홈(230)의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요홈이 제1 몸체(210) 및 제2 몸체(220) 각각에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제1 몸체(210)에는 제1 고정요홈(231)이, 제2 몸체(220)에는 제2 고정요홈(233)이 형성되어, 이후 설명될 고정핀(240)의 쐐기(243)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쐐기(243)에 의해 고정핀(240)이 고정홈(230) 내에 고정 결합되면,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더 이상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므로,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형성하는 각도가 특정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에 형성되는 고정홈(230)의 개수가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닌데, 제2 몸체(220)의 외면으로부터 제1 몸체(210)와의 결합면까지 관통 형성되는 고정홈(230)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의 결합면으로부터 제1 몸체(210)의 내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고정홈(230)은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10)의 가변 각도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결합면인 A-A'면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제2 몸체(220)와의 결합면으로부터 제1 몸체(210)의 내부까지 형성되는 고정홈(230)은, 유로(B)의 중심점에 대하여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8에는 일 예로 18개의 고정홈(23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각 고정홈(230)은 서로 동일한 각을 갖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각을 갖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각 고정홈(230)이 나타내는 각은, 가변 각도부(200)가 나타내는 각과 동일하므로, 가변 각도부(200)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각 고정홈(230)은 다양한 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가변 각도부(2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에서, 결합면과 제2 몸체(220)가 나타내는 최소 각도가 45도인 경우, 제2 몸체(220)를 결합면에 대하여 180도 회전시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90도를 이루며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몸체(210)의 내부까지 형성되는 고정홈(230)이 총 8개일 때, 각 고정홈(230)은 22.5도 간격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가변 각도부(200)가 나타낼 수 있는 각은 90도, 112.5도, 135도, 157.5도 및 180도이다.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결합면과 제2 몸체(220)가 나타내는 최소 각도를 변화시키거나, 제1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홈(230)의 개수, 또는 각 고정홈(230)이 배치되는 각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각도가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고정홈(230)에 고정핀(240)이 인입되면,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의 회전이 불가능해지므로, 가변 각도부(200)의 각도가 조절된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24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고정핀(240)은 쐐기홈(245)과, 쐐기홈(245) 내부에 수용되며, 쐐기홈(245)과 스프링(247)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쐐기(243)를 포함한다.
고정핀(240)이 고정홈(230)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에 위치한 쐐기(243)의 일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고정핀(240)이 고정홈(230) 내부로 인입될 때, 스프링(247)이 압축되며 쐐기(243)가 쐐기홈(245) 내부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고정핀(240)의 고정홈(230) 내부로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고정핀(240)의 인입이 계속 진행되면, 쐐기(243)가 제1 고정요홈(231) 또는 제2 고정요홈(233)에 위치했을 때, 스프링(247)이 이완되며 쐐기(243)가 이들 고정요홈(231, 233)에 배치되게 된다. 쐐기(243)가 제2 고정요홈(233)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핀(240)을 계속 눌러 인입시키면, 스프링(247)이 다시 압축되며, 쐐기(243)가 쐐기홈(245) 내부로 이동하여 고정핀(240)의 인입이 계속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쐐기(243)가 제1 고정요홈(231)에 배치되면 고정핀(240)은 고정홈(230)에 막혀 더 이상 안쪽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쐐기(243)의 후면과 쐐기(243)의 길이방향의 사잇각은 직각 또는 예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깥쪽으로 고정핀(240)을 당기더라도 고정핀(240)이 이동하지 않아, 고정핀(240)이 이탈되지 않으므로, 설정된 가변 각도부(200)의 각도가 고정,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10)는 각도 변경 및 변경된 각도의 고정이 가능한 가변 각도부(200)를 포함하며, 이 가변 각도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가변 각도부(200)가 2개 설치된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가변 각도부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10)와 같은 연결구가 설치되는 공간이 복잡하고, 설치에 제약이 많은 경우에 특히 더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 각도부(20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10)는 여러 개의 부품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설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도 변경이 가능하고, 변경될 수 있는 각도 범위가 넓어, 사용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공간에 최적화된 배관을 설치할 수 있으며, 변경된 각도의 고정이 가능하므로 설치 후 각도 변화에 의한 누출 또는 연결 해체 등의 문제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 100: 퀵 커플링부
110: 슬라이딩식 소켓 111: 슬라이딩식 소켓 몸체
113: 슬라이더 114: 볼 고정부
115: 스프링 117: 볼
119: 오링 130: 끼움식 소켓
131: 끼움식 소켓 몸체 133: 끼움식 소켓 입구
135: 끼움식 소켓 결합부 137: 돌출부
139: 오링 200: 가변 각도부
210: 제1 몸체 211: 돌기
212: 제1 요홈 213: 제1 끼움돌기
215: 오링 220: 제2 몸체
221: 돌기홈 222: 제2 요홈
223: 제2 끼움돌기 230: 고정홈
231: 제1 고정요홈 233: 제2 고정요홈
240: 고정핀 241: 고정핀 몸체
243: 쐐기 245: 쐐기홈
247: 스프링 300: 니플

Claims (6)

  1. 소켓 또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퀵 커플링부(100);
    외부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니플(300); 및
    상기 퀵 커플링부(100)와 니플(300)의 중간에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각도가 변형되는 가변 각도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퀵 커플링부(100), 가변 각도부(200) 및 니플(300)의 내부에 연통되는 유로(B)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각도부(200)는, 퀵 커플링부(100)와 연결되는 제1 몸체(210), 니플(300)과 연결되는 제2 몸체(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의 결합면(A-A')이 유로(B)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고,
    상기 제2 몸체(220)의 외면에서 제1 몸체(210)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고정홈(2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210) 및 제 2 몸체(220)에 각각 고정홈(23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고정요홈(231) 및 제2 고정요홈(233)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요홈(231) 및 제2 고정요홈(233)은 고정홈(230)의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변 각도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퀵 커플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210)는 상기 결합면을 기준으로 제2 몸체(2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211)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211)의 말단에는 결합면과 평행하도록 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끼움돌기(2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220)에는 상기 돌기(211)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홈(221)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홈(221)에 돌기(211)가 끼워짐으로써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230)에 삽입되어, 제1 몸체(210)에 대한 제2 몸체(2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핀(240)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
  6. 삭제
KR1020180127617A 2018-10-24 2018-10-24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 KR102110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617A KR102110596B1 (ko) 2018-10-24 2018-10-24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617A KR102110596B1 (ko) 2018-10-24 2018-10-24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448A KR20200046448A (ko) 2020-05-07
KR102110596B1 true KR102110596B1 (ko) 2020-05-13

Family

ID=7072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617A KR102110596B1 (ko) 2018-10-24 2018-10-24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5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9827A (ja) * 2004-04-13 2005-10-27 Mitsui Chemicals Inc 自在継手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70Y2 (ja) * 1991-06-22 1995-05-1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自在継手
US5275444A (en) * 1992-09-21 1994-01-04 Wythoff Johan G Swivel hose coupling for pressurized fluid, fuel and gas systems
JPH08326972A (ja) * 1995-06-05 1996-12-10 Kubota Corp 自在継手
KR101296914B1 (ko) 2011-10-12 2013-08-14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무부하 퀵 커플러
KR101865762B1 (ko) * 2016-11-23 2018-06-08 김윤기 연결각 조절이 용이한 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9827A (ja) * 2004-04-13 2005-10-27 Mitsui Chemicals Inc 自在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448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3510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ES2355964T3 (es) Conector rápido para aplicaciones de alta presión.
KR100757005B1 (ko) 파이프 조인트
US6913294B2 (en) Coupling for coaxial connection of fluid conduits
ES2379638T3 (es) Conector rápido con estructura de retención
US6637779B2 (en) Fluid quick connector with grooved endform
EP1363061B1 (en) Fluid line assembly
EP1559945B1 (en) False insertion protection top hat for fluid quick connectors
US7029036B2 (en) Rotatable two part quick connection
US10060564B2 (en) Quick connect torque coupling with safety lock
JP2006189156A (ja) ワイヤーリテイナーを有する流体クイックコネクタ
US6866064B2 (en) Coupling assembly having a coupling member removably securable in an apparatus
RU2402713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US5806563A (en) Dual ball valve assembly
EP0275677A1 (en) Protective device for quick connect coupling
KR102110596B1 (ko) 각도 가변형 퀵 커플러
ES2760986T3 (es) Acoplamiento rápido
US20040178630A1 (en) Pipe coupling
US6305426B1 (en) Expansion tube joint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1180871B1 (ko) 유체 라인용 커넥터
JPH0712693U (ja) 管継手
CN114174709B (zh) 紧凑且可拆卸的流体连接装置
KR102075113B1 (ko) 각도 가변형 밸브
KR102250122B1 (ko) 원터치 고압 커넥터
EP1653143A1 (en) Fluid quick connector with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