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560B1 -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560B1
KR102484560B1 KR1020160003706A KR20160003706A KR102484560B1 KR 102484560 B1 KR102484560 B1 KR 102484560B1 KR 1020160003706 A KR1020160003706 A KR 1020160003706A KR 20160003706 A KR20160003706 A KR 20160003706A KR 102484560 B1 KR102484560 B1 KR 102484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rate
receiving terminal
transmitting
degree
change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4548A (ko
Inventor
임치우
김재열
박우명
안석기
장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3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560B1/ko
Priority to US15/405,096 priority patent/US10560216B2/en
Publication of KR2017008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11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using multiple parity bits
    • H03M13/1102Codes on graphs and decoding on graphs, e.g. low-density parity check [LDPC]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3Joint error correction and other techniques
    • H03M13/6306Error control coding in combination with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and diversity transmission, e.g. coding schemes for the multiple transmission of the same information or the transmission of incremental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4Buffe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단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단으로부터 상기 수신단의 배터리 상태 및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결정된 상기 저밀도 패티리 검사 부호의 부호율에 대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부호율의 임시 모부호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임시 모부호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수신단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ME}
본 개시는 저밀도 패리티 검사(LDPC: 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증복분 증가(IR: Incremental Redundancy)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 (HARQ: Hybrid Auto Retransmit ReQuest) 방식을 사용하는 신호 송수신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ulti-input multi-output: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5G 시스템은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망에 적용하기 의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짐에 따라 높은 데이터 전송률뿐만 아니라, 낮은 데이터 전송률까지 지원하는 채널 코딩(channel coding)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터보 (turbo) 코드 대비 4배 이상의 저전력(areal efficiency)으로 운용 가능한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LDPC: Low density parity check code)는 대표적인 차세대 오류 정정 기술로 고려되고 있다.
5G 시스템에서 적용될 LDPC 부호는 높은 데이터 전송률뿐만 아니라, 낮은 데이터 전송률까지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낮은 부호율을 가지는 PCM(parity check matrix)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하여, 일반적인 디코더(Decoder) 구현 시에는 가장 낮은 부호율에 대한 디코더가 구현된다. 반면, 실제 운용 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낮은 부호율로 전체적으로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하는 것은 불필요하며, 이로 인해서 요구되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HARQ: Hybrid Auto Retransmit ReQuest) 버퍼(Buffer)의 크기도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채널 및 자원 상황에 따라서 변조 파라미터와 부호율 등을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성능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전송 기법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시 사용되는 모부호율을 가변적으로 운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을 위한 IR-HARQ 운용 시 레이트 매칭을 위한 제어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단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단으로부터 상기 수신단의 배터리 상태 및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결정된 상기 저밀도 패티리 검사 부호의 부호율에 대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부호율의 임시 모부호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임시 모부호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수신단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방법은;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단이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의 배터리 상태 및 버퍼 상태 상기 저밀도 패티리 검사 부호의 부호율에 대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단의 배터리 상태 및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결정된 부호율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 부호율 변경 요청을 송신단에게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단으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에 대응하게 결정된 상기 부호율의 임시 모부호율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단에 있어서, 수신단으로부터 상기 수신단의 배터리 상태 및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결정된 상기 저밀도 패티리 검사 부호의 부호율에 대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변경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부호율의 임시 모부호율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임시 모부호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수신단에게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장치는;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의 배터리 상태 및 버퍼 상태 상기 저밀도 패티리 검사 부호의 부호율에 대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수신단의 배터리 상태 및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결정된 부호율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 부호율 변경 요청을 송신단에게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단으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에 대응하게 결정된 상기 부호율의 임시 모부호율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들과, 이득들 및 핵심적인 특징들은 부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고,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게시하는,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본 게시의 구체적인 설명 부분을 처리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를 통해 사용되는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용어들 “포함하다(include)” 및 “포함하다(comprise)”과 그 파생어들은 한정없는 포함을 의미하며; 상기 용어 “혹은(or)”은 포괄적이고 ‘및/또는’을 의미하고; 상기 구문들 “~와 연관되는(associated with)” 및 ““~와 연관되는(associated therewith)”과 그 파생어들은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be included within), ~와 서로 연결되고(interconnect with), 포함하고(contain), ~내에 포함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조하고(cooperate with), 인터리빙하고(interleave), 병치하고(juxtapose), ~로 가장 근접하고(be proximate to), ~로 ~할 가능성이 크거나 혹은 ~와 ~할 가능성이 크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have a property of) 등과 같은 것을 의미하고; 상기 용어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혹은 그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상기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2개의 몇몇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제어기와 연관되는 기능성이라도 집중화되거나 혹은 분산될 수 있으며, 국부적이거나 원격적일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만 할 것이다.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은 이 특허 문서에 걸쳐 제공되고,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경우, 대부분의 경우가 아니라고 해도, 상기와 같은 정의들이 종래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의 미래의 사용들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수신단의 모부호율 변경 요청에 따라 IR-HARQ가 운용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순환 버퍼 기반 레이트 매칭을 위한 HARQ 버퍼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순환 버퍼 기반 레이트 매칭을 위한 HARQ 버퍼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IR-HARQ 운용 시 송신단의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된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IR-HARQ 버퍼를 운용하는 송신단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단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다음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들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개시는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LDPC: Low density parity check code)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는 LDPC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 (HARQ: Hybrid Auto Retransmit ReQuest) 방식 중 IR (Incremental Redundancy) 방식을 사용할 경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는 LDPC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이 LDPC 부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IR-HARQ 방식은, 패킷의 초기 전송 시 잉여비트(redundant bit)를 추가하지 않거나, 매우 적은 부분만 추가하여 전송한다. 이후, 동일 패킷의 반복적인 전송 과정에서 잉여 비트를 늘린 후 잉여 비트만 재전송하고, 수신단은 실패한 패킷을 저장한다. 이에 따라, 재전송된 패킷을 수신한 수신단은 저장에 실패한 패킷 및 재전송된 잉여 비트를 결합하여 복호한다. 이때, 부호율(code rate)은 감소하는 반면, 오히려 코딩 이득은 증가하게 된다.
송신단에서 IR-HARQ 방식을 수행할 경우, 재전송할 패킷들을 저장하기 위해서 HARQ 버퍼가 사용된다. HARQ 버퍼로는 보통 버퍼의 처음과 끝이 맞닿아 있는 것과 같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순환 버퍼(circular buffer)가 사용된다. 일 예로, 5G 시스템의 경우, 5Gbps 이상의 부호율을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크기의 HARQ 버퍼가 요구된다. IR-HARQ 방식에서 요구되는 버퍼의 크기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처리량(데이터 전송률)*RTT_HARQ/모부호율*LLR_bits
여기서, 처리량은 송신단의 신호 전송률(bits/s)을 의미하고, RTT(Round Trip Time)_HARQ는 IR-HARQ 운용 시 신호의 재전송 시점을 나타내고, LLR(Log likelihood riato) bits는 수신단의 복호 수행 시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 신호의 LLR값을 표현하는 비트 수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IR-HARQ 방식을 운용할 경우에는 모부호율이 HARQ 버퍼 크기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소 부호율을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높은 부호율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코딩 이득이 높아지는 반면, 요구되는 HARQ 버퍼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IR-HARQ 운용 시 모부호율을 가변적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단이 미리 결정한 조건을 기반으로 모부호율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고, 송신단에게 모부호율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수신단의 모부호율 변경 요청에 따라 IR-HARQ가 운용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04단계에서 수신단(100)은 미리 결정한 조건, 일 예로, 현재의 배터리 및 HARQ 버퍼 상태를 확인하여 디폴트(default) 모부호율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단(200)은 배터리의 전력량과 전력 임계값을 비교하여 현재 배터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전체 전력 중 임의의 비율(예를 들어, 1/3, 2/3)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전력 임계값으로 결정하고, 현재 전력량과 전력 임계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 배터리 상태를 미리 결정된 레벨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전력량이 1/3에 대응하는 전력 임계값 미만일 경우, 현재 배터리 상태를 “하” 레벨로 나타내고, 현재 전력량이 1/3에 대응하는 전력 임계값보다 이상이고, 현재 전력량이 2/3에 대응하는 전력 임계값 미만인 경우, 현재 배터리 상태를 “중” 레벨로 나타낸다. 그리고, 현재 전력량이 2/3에 대응하는 전력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현재 배터리 상태를 “상” 레벨로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HARQ 버퍼 상태 역시 버퍼에 현재 저장된 양과 미리 결정된 버퍼량 임계값을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도, 버퍼량 임계값을 HARQ 버퍼의 전체 버퍼량 중 임의의 비율에 대응하는 버퍼량을 버퍼량 임계값으로 결정하여, 현재 버퍼량이 버퍼량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레벨들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전력 임계값 및 버퍼 임계값은, 상기 수신단(100)이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거나, 사전에 상기 송신단(102)으로부터 수신한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현재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가 결정되면, 상기 수신단(100)은 결정된 현재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가 모부호율의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모부호율의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수신단(100)은 모부호율 변경 요청을 생성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모부호율의 변경 조건은, 상기 수신단(100)이 임의로 결정하거나, 상기 송신단(102)으로부터 사전에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부호율의 변경 조건이 현재 버퍼량과 HARQ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하” 레벨에 해당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때,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신단(100)은 상기 수신단(102)과 사전에 배터리 상태와 HARQ 버퍼 상태의 레인지 별로 적용 가능한 임시 모부호율의 매핑 정보를 교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단(100)은 상기 레인지들 중 상기 결정한 현재 배터리 상태와 HARQ 버퍼 상태가 포함되는 레인지와 매핑되는 임시 모부호율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매핑 정보는, 배터리 상태와 HARQ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인지를 기반으로 해당 임시 모부호율이 매핑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수신단(100)이 현재 결정한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임시 모부호율을 결정한 경우, 상기 모부호율 변경 요청에는 상기 결정된 임시 모부호율을 지시하는 정보, 혹은 상기 결정된 임시 모부호율만큼 모부호율의 증가 요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모부호율에 대해 일정 비율만큼 증가시킨 임시 모부호율들을 미리 설정하고, 상기 임시 모부호율들에 대한 정보를 IR-HARQ를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송신단(102)과 상기 수신단(100)간에 미리 교환한 상태임을 가정한다. 상기 임시 모부호율들에 대한 정보는 일 예로, 상기 결정된 임시 모부호율들 각각을 지시하는 인덱스를 매핑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106단계에서의 모부호율 변경 요청에 상기 결정된 임시 모부호율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수신단(100) 및 상기 송신단(102)이 상기한 절차에 따라 결정된 임시 모부호율을 사용 중인 상태에서, 상기 수신단(100)이 현재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가 상기 모부호율 변경 조건을 만족함을 감지하면, 현재 사용 중인 임시 모부호율에 대한 증가 요청 혹은 다른 임시 모부호율을 지시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106단계의 상기 모부호율 변경 요청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수신단(100)이 모부호율 변경 요청을 송신하는 시점은, 수신단(100)이 현재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가 상기 모부호율 변경 조건을 만족함을 감지한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혹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송신단(102)으로부터 획득한 주기에 따라 수신단(100)이 모부호율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 지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에 따라 모부호율 변경 요청을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모부호율 변경 요청은, 별도의 업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서 송신되지 않고, 기존 제어 채널에 피기백(piggyback)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108단계에서 송신단(102)은 상기 모부호율 변경 요청에 대응하게 현재 사용할 모부호율을 결정한다. 만약, 상기 모부호율 변경 요청에 임시 모부호율을 지시하는 인덱스가 포함된 경우, 상기 송신단(102)은 상기 인덱스에 대응하는 임시 모부호율로 현재 사용할 모부호율을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모부호율 변경 요청에 모부호율 혹은 현재 사용중인 임시 모부호율에 대한 증가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송신단(102)은 상기 수신단(100)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 측정 보고를 기반으로, 채널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현재 사용할 모부호율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수신단(100)과 사전에 설정한 2/3, 3/4, 4/5의 임시 모부호율들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고, 상기 임시 모부호율들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범위가 매핑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송신단(102)은 채널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일 예로,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피드백받는 채널 측정 보고에 포함되는 일 예로, 채널 품질 정보(CQI: channel quality information)를 기반으로, 현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현재 채널 상태가 포함되는 채널 상태 범위에 매핑되는 임시 모부호율을 현재 사용할 부호율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단(102)이 채널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상기 CQI 외에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NR(Signal to Noise Rati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모부호율 변경 요청에 상기 수신단(100)이 결정한 임시 모부호율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도, 송신단(102)은 추가로 상기 수신단(100)과의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임시 모부호율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단(102)은 상기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임시 모부호율과, 상기 모부호율 변경 요청에 포함된 상기 인덱스에 대응하는 임시 모부호율이 상이할 경우, 상기 임시 모부호율들 중 높은 부호율을 현재 사용할 부호율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110단계에서 상기 송신단(102)은 상기 결정한 임시 모부호율 관련 정보를 상기 수신단(100)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임시 모부호율 관련 정보는 상기 결정한 임시 모부호율을 지시하거나, 상기 임시 모부호율에 대해 상기 수신단(100)과 사전에 약속한 인덱스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임시 모부호율 관련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이용하거나, 제어 채널에 상기 임시 모부호율을 지시하는 필드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제어 채널에 상기 임시 모부호율을 지시하는 필드를 추가할 경우, 오버 헤드(Overhead)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사전에 변경 가능한 값을 미리 정의한 후에 인덱스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모부호율이 1/3인 경우, 1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필드의 값을 나타낼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0’이면, 1/2의 임시 모부호율을 지시하고,‘1’이면 되는 2/3의 임시 모부호율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송신단(102)으로부터 임시 모부호율 관련 정보를 수신한 수신단(100)은, 112단계에서 상기 정보로부터 획득한 임시 모부호율을 사용하여 송신단(102)으로부터 수신한 패킷들에 대한 디코딩 및 IR_-HARQ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수신단의 배터리 및 HARQ 버퍼 상태와, 송수신단간의 채널 상태 등을 고려하여 모부호율을 변경하여 사용할 경우, 디폴트 모부호율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소비 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하기 <표 1>은 본 개시의 제1실시 예에 따라 모부호율을 가변할 경우, 송신단에서의 소비 전력의 일 예를 나타낸 표이다.
R=1/3 R=1/2 R=2/3 R=5/6
100 67 50 40
<표 1>을 참조하면, 디폴트 모부호율이 1/3인 경우, 송신단에서 사용되는 소비 전력을 100이라 가정하면, 모부호율이 증가됨에 따라 디폴트 부호율에서 사용되는 소비 전력에 비해 사용되는 소비 전력이 감소됨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수신단(100)이 104단계에서 현재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모부호율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만 판단하고, 상기 모부호율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만 확인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모부호율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수신단(100)은 변경할 임시 모부호율을 결정하지 않고, 106단계에서 결정한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를 모부호율 변경 요청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1의 104단계에서 수신단(100)이 결정된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변경할 임시 모부호율을 결정하는 대신, 송신단(102)이 상기 모부호율 변경 요청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수신단(100)의 현재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전력 임계값과 버퍼량 임계값과 비교하여 현재 사용할 임시 모부호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력 임계값 및 버퍼량 임계값은 상기 수신단(100)이 사전에 결정하여 송신단(102)에게 미리 전달할 수 도 있고, 상기 송신단(102)이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단(102)은 108단계에서 상기 현재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수신단(100)과의 채널 상태를 추가로 고려하여 현재 사용할 임시 모부호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배터리 상태, HARQ 버퍼 상태 및 채널 상태 각각에 대해 결정된 임시 모부호율 중 높은 부호율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배터리 상태, HARQ 버퍼 상태 및 채널 상태 모두를 고려하여 임시 모부호율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104단계에서 수신단은 현재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가 모부호율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결정된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모부호율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106단계에서 수신단(100)은 모부호율 변경 요청을 상기 송신단(102)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송신단(102)은 상기 모부호율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단(100)으로부터 채널 측정 보고로부터 획득한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채널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임시 모부호율을 현재 사용할 모부호율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도 1에서 설명한 파라미터들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은, IR-HARQ 사용 시, 디폴트 모부호율, 혹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임시 모부호율에 따라 인코딩된 코드워드 패킷을 전송하고자 하는 크기의 서브(sub) 패킷으로 변환하는 순환 버퍼 기반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을 수행한다. 순환 버퍼 기반 레이트 매칭을 이용하여 서브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서 먼저, 코드워드 패킷을 비트 단위 순환 버퍼(bitwise circular buffer)에 저장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순환 버퍼 기반 레이트 매칭을 위한 HARQ 버퍼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HARQ 버퍼는 순환 버퍼이므로, 상기 버퍼에 접속할 때 버퍼의 맨 마지막 비트 인덱스를 접속한 후에는 다시 버퍼의 맨 처음 비트 인덱스를 접속하는 순환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코드워드 패킷을 상기 HARQ 버퍼에 저장하는 경우, 코드워드 패킷의 구성화 비트들(systematic bits)을 먼저 저장한 후, 패리티 비트들(parity bits)을 저장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IR-HARQ 사용 시, 하나의 코드워드 패킷으로부터 초기 전송 및 재전송에 사용되는 다수의 서브 패킷들이 생성된다. 이때, 각 서브 패킷은 해당 서브 패킷의 길이와 상기 서브 패킷의 시작 지점으로 구별이 가능하다. 각 서브 패킷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는 보통 2비트(bit)로 구성되는 RV(redundancy version)로 나타내어지며, 각 서브 패킷을 송신할 때마다 송신단은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서브 패킷을 전송하고, 제어 채널을 통해서 상기 서브 패킷의 RV 정보를 송신한다. RV 정보는, HARQ 버퍼에서 미리 결정된 시작 지점들 중 하나를 지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HARQ 버퍼는 일 예로, 미리 결정된 4개의 시작 지점들(200, 202, 204, 206)을 가진다. 송신단은 매 서브 패킷의 전송마다 상기 4개의 시작 지점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시작 지점을 지시하는 RV를 제어채널을 통해서 전송한다. IR-HARQ 전송에 필요한 서브 패킷들 각각은 상기 4개의 시작 지점들 중 하나를 통해서 동일 방향으로만 송신되며, 가변적인 크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도 2의 시작지점들은 평균적인 HARQ 이득을 얻기 위해서 등간격으로 위치하며, 해당 서브 패킷은 동일 방향으로만 저장된다. 상기한 서브 패킷들은 가변적인 크기를 가짐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된 시작 지점들에 대응하는 RV를 사용할 경우, 서브 패킷 간에 오버랩되는 부분이 발생하여 코드워드 패킷에서 전송하지 못한 부분들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HARQ 코딩 이득을 높이기 위해서 보다 많은 수의 시작 지점들을 설정할 경우, RV 정보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하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서는 패킷의 가변 크기에 적응적으로 전송할 서브 패킷의 시작 지점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RV 정보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터보 코드를 사용할 경우, 정보 비트들과 패리티(Parity) 비트들 간의 우선 순위(Priority)가 존재하지만, 보통 1이하의 부호율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보 비트들은 모두 전송된다. 이와 비교하여, LDPC 부호를 사용할 경우, PCM(Parity Check Matrix)의 부호 벡터에 대응하는 변수 노드(variable)들 내에서도 디그리(Degree)의 높고 낮음에 따른 우선 순위가 존재한다. 여기서, 디그리는 변수 노드들과 검사(check) 노드들간의 연결 선의 수로 정의된다. 그러므로, LDPC 부호의 디그리에 따른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서는 IR-HARQ 운용 시 송신단이 송신할 패킷에 대해 PCM을 이용하여 복호 시, 부호 벡터에 대응하는 변수 노드들의 디그리를 고려하여 RV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HARQ 버퍼에 저장할 서브 패킷들 중 상대적으로 높은 디그리를 가지는 변수 노드에 대응하는 비트들로 구성된 서브 패킷이 상대적으로 낮은 디그리를 가지는 변수 노드에 대응하는 비트들로 구성된 서브 패킷과 비교하여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IR-HARQ에서 재전송 시 할당받는 자원의 크기가 가변적이므로, HARQ 버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디그리를 가지는 변수 노드에 대응하는 비트들로 구성된 서브 패킷이 우선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RV 구성 방안을 제안한다.
도 3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순환 버퍼 기반 레이트 매칭을 위한 HARQ 버퍼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HARQ 버퍼는, 정보 비트들로 구성되는 패킷에 대해 디그리 임계값을 기준으로, 상기 디그리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디그리를 가지는 변수 노드에 대응하는 비트들로 구성된 서브 패킷(이하, ‘디그리가 높은 서브 패킷’이라 칭함)이 저장되는 시작지점1(300)와, 상기 디그리 임계값보다 작은 디그리를 가지는 변수 노드에 대응하는 비트들로 구성된 서브 패킷(이하, ‘디그리가 낮은 서브 패킷’이라 칭함)이 저장되는 시작지점2(30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시작지점1,2(300, 302) 각각은 양방향으로 해당 패킷을 저장할 수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시계 방향을 순방향으로 칭하고, 그 반대 방향을 역방향으로 칭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RV는, RV를 구성하는 기존의 2비트 중 최하위 비트(LSB: Least significant Bit)에 대응하는 1비트를 시작 지점을 지시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RV의 LSB가 ‘1’이면, 디그리가 낮은 서브 패킷을 위한 시작 지점2(302)를 지시하고, RV의 LSB가 ‘0’이면, 디그리 가 높은 서브 패킷을 위한 시작 지점1(300)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RV를 구성하는 상기 2비트 중 최상위 비트(MSB: Most significant Bit)인 1비트를 각 시작지점에서 저장되는 방향 즉, 순방향 혹은 역방향을 지시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RV의 MSB가 ‘1’이면, 서브 패킷이 저장되는 방향이 순방향임을 지시하고, RV의 MSB가 ‘0’이면, 해당 서브 패킷이 저장되는 방향이 역방향임을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은 디그리 임계값을 기반으로, HARQ 버퍼에 저장할 서브 패킷들에 대해 디그리가 높은 서브 패킷과 디그리가 낮은 서브 패킷을 분류하고, 분류된 서브 패킷이 저장될 시작 지점 및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HARQ 버퍼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해당 서브 패킷이 저장되는 방향을 양 방향으로 지정할 수 있음에 따라, 디그리가 높은 서브 패킷들의 경우, HARQ 버퍼에 저장된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시작 지점1(300)로부터 저장되는 방향성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그리가 높은 서브 패킷이 상기 시작 지점1(300)로부터 순방향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다음 순으로 디그리가 높은 서브 패킷은 상기 시작 지점1(300)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저장함에 따라, 디그리가 낮은 서브 패킷 혹은 패리티 비트들보다 송신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RV는 다른 수의 비트로도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1비트로 RV를 구성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HARQ 버퍼의 중앙을 시작 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시작 지점에서 해당 서브 패킷이 저장되는 방향 즉, 순방향 혹은 역박향을 1비트로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3비트로 RV를 구성하는 경우, HARQ 버퍼에서 디그리가 높은 서브 패킷이 저장되는 지점을 시작 지점, 중간 지점 및 끝 지점을 설정하고, 해당 지점을 지시하는 형태로 구성한다. 그리고, 방향은 모두 한가지 방향으로 구성함에 따라 RV로는 방향을 표기할 필요가 없으며, 저장되는 서브 패킷이 중첩될 수 있는 상황을 막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3비트로 RV를 구성할 경우, HARQ 버퍼에서 디그리 높은 서브 패킷이 저장되는 지점의 시작 지점 및 끝 지점을 설정하여 2비트로 해당 지점을 지시하고, 나머지 1비트로 해당 지점에서 저장되는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도 3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IR-HARQ 운용 시 송신단의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된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일 예로, 디폴트 부호율이 1/3인 PCM이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상기 PCM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 및 패리티 비트들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IR-HARQ 운용 시 HARQ 버퍼에 저장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참조 번호 310은 정보 비트들로 구성된 서브 패킷들 중디그리가 높은 서브 패킷이 저장되는 시작 지점을 나타내고, 참조 번호 320은 상기 정보 비트들로 구성된 서브 패킷들 중 디그리가 낮은 서브 패킷이 저장되는 시작 지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번호 330은 패리티 비트들이 저장되는 시작 지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패리티 비트들에 대응하는 검사 노드의 디그리는 2 또는 3을 가지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HARQ 버퍼의 패리티 비트들이 저장되는 영역 역시 디그리 수에 따라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예를 들어, 열로 구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그리가 3인 검사 노드에 대응하는 패리티 비트들이 상기 HARQ 버퍼의 패리티 비트들이 저장되는 영역 중 첫 번째 열에 저장되고, 디그리가 2인 검사 노드에 대응하는 패리티 비트들이 나머지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IR-HARQ 버퍼를 운용하는 송신단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0단계에서 송신단은 전송할 서브 패킷을 구성하는 비트에 대응하는 변수 노드의 디그리를 계산한다. 402단계에서 송신단은 디그리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서브 패킷이 디그리가 높은 서브 패킷인지 아니면, 디그리가 낮은 서브 패킷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디그리가 높은 서브 패킷인 경우, 404a단계로 진행한다. 404a단계에서 상기 송신단은 HARQ 버퍼에서 상기 디그리 임계값이 높은 서브 패킷이 저장되는 시작 지점과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시작 지점 및 방향을 지시하는 RV를 구성하고, 406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 결과 디그리가 낮은 서브 패킷인 경우, 404b단계에서 송신단은 HARQ 버퍼에서 상기 디그리가 낮은 서브 패킷이 저장되는 시작 지점 및 방향을 지시하는 RV를 구성하고, 406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구성되는 RV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앞서 설명한 1비트 내지 3비트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HARQ 버퍼에서 디그리가 높거나 낮은 서브 패킷이 저장되는 시작 지점과, RV의 비트 수에 따라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3의 실시 예와 같이 설정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406단계에서 송신단은 해당 서브 패킷을 데이터 채널로 전송하고, 상기 서브 패킷의 RV를 제어 채널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단(500)은 일 예로, 제어부(502)와, 송수신부(504) 및 HARQ 버퍼(5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송신단(500)의 구성은 일 예로서 설명한 것으로, 실시 예 혹은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해당 서브 유닛들은 다수의 서브 유닛들로 세분화되거나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2)는 본 개시의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504) 및 HARQ 버퍼(506)가 동작하도록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송수신부(504)를 통해서 수신단으로부터 모부호율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502)는 상기 수신단의 현재 배터리 상태, HARQ 버퍼 상태 및 상기 수신단과의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변경할 임시 모부호율을 결정하고, 상기 송수신부(504)를 통해서 상기 결정한 임시 모부호율 관련 정보를 상기 수신단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임시 모부호율을 결정하는 동작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신단이 결정한 임시 모부호율을 사용하거나, 상기 수신단이 모부호율 변경 요청에 포함시켜 전송한 현재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현재 배터리 상태와 HARQ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임시 모부호율을 결정하거나,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피드백 받는 채널 측정 보고로부터 획득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02)는 디그리 임계값을 기반으로 전송할 서브 패킷이 디그리가 낮은 서브 패킷인지 아니면, 디그리가 높은 서브 패킷인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결정된 시작 지점 및 방향을 결정하여 상기 HARQ 버퍼(506)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HARQ 버퍼(506)은 상기 제어부(502)로부터 획득한 상기 확인 결과에 대응하는 시작 지점 및 방향으로 상기 서브 패킷을 저장한다.
각 실시 예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1 및 도 4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단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신단(600)은 일 예로, 제어부(602)와, 송수신부(604) 및 모부호율 변경부(6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의 수신단(500)의 구성은 일 예로서 설명한 것으로, 실시 예 혹은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해당 서브 유닛들은 다수의 서브 유닛들로 세분화되거나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폴트 모부호율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을 위해 나머지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2)가 송신단으로부터 획득하거나, 미리 결정한 시점에서 상기 모부호율 변경부(606)가 모부호율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모부호율 변경부(606)는 도 1의 104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수신단(100)의 현재 배터리 상태 및 HARQ 버퍼 상태를 결정하고, 미리 결정된 모부호율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 지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모부호율 변경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송수신부(604)를 통해서 송신단에게 모부호율 변경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모부호율 변경 요청에 포함되는 정보는 상기 모부호율 변경부(606)의 실시 예 별 104단계에서의 동작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즉, 상기 모부호율 변경부(606)가 임시 모부호율을 직접 결정하는 경우와, 상기 송신단이 임시 모부호율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따라 상기 모부호율 변경 요청에 포함되는 정보는 상이해진다.
상기 송수신부(604)는 상기 송신단으로부터 현재 사용할 임시 모부호율에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602)는 상기 임시 모부호율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임시 모부호율에 상응하게 디코딩 및 IR-HARQ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수신단(600)을 제어한다. 상기 수신단(60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1의 실시 예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특정 측면들은 또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리드 온니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이하 ‘ROM’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이하 ‘RAM’라 칭하기로 한다)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상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과 같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개시를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개시가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수신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2)

  1.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단말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의 부호율에 대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변경 요청에 기초하여 제1 부호율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수신 단말로 상기 변경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부호율을 송신하는 과정,
    디그리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호율에 대응하여 부호화된 코드워드 패킷에 포함된 정보 비트들에 상응하는 패리티 검사 행렬의 변수 노드의 디그리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디그리 임계값의 제1 디그리보다 더 높은 디그리를 가지는 제1 변수 노드에 상응하는 상기 정보 비트들을 순환 버퍼의 부분 영역들 중 제1 부분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부분 영역은, 상기 디그리 임계값의 상기 제1 디그리보다 더 낮은 디그리를 가지는 제2 변수 노드에 상응하는 정보 비트들을 저장하기 위한 제2 부분 영역의 전송 우선순위보다 더 높은 전송 우선순위를 가지며,
    상기 부호율에 대한 변경 요청은 상기 수신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제2 부호율을 지시하는 정보 또는 상기 수신 단말의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의 상기 부호율에 대한 변경 요청은 상기 수신 단말의 배터리 상태 및 상기 수신 단말의 버퍼 상태를 기초로 결정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율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변경 요청에 포함된 상기 제2 부호율을 지시하는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부호율이 상기 송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 사이의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부호율과 다른 경우, 상기 송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 사이의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부호율을 상기 제1 부호율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 높은 디그리를 가지는 상기 변수 노드에 상응하는 정보 비트들을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
    상기 더 높은 전송 우선순위를 가지는 상기 제1 부분 영역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영역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제1 부분 영역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제1 부분 영역에서 상기 더 높은 디그리를 가지는 상기 변수 노드에 상응하는 상기 정보 비트들이 저장되는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영역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더 높은 전송 우선순위를 가지는 상기 제1 부분 영역의 시작, 중간, 또는 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단말이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의 부호율의 변경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의 상기 부호율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부호율 변경 요청을 송신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부호율 변경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제1 부호율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부호율 변경 요청은 상기 수신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제2 부호율을 지시하는 정보 또는 상기 수신 단말의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의 부호율의 변경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 단말의 배터리 상태 또는 상기 수신 단말의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기결정된 부호율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의 배터리 상태 또는 상기 수신 단말의 버퍼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부호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삭제
  9.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단말에 있어서,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의 부호율에 대한 변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변경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제1 부호율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변경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호율을 결정하고, 디그리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호율에 대응하여 부호화된 코드워드 패킷에 포함된 정보 비트들에 상응하는 패리티 검사 행렬의 변수 노드의 디그리를 식별하고, 및 상기 디그리 임계값의 제1 디그리보다 더 높은 디그리를 가지는 제1 변수 노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비트들을 순환 버퍼의 부분 영역들 중 제1 부분 영역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영역은 상기 디그리 임계값의 상기 제1 디그리보다 더 낮은 디그리를 가지는 제2 변수 노드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을 저장하기 위한 제2 부분 영역의 전송 우선순위보다 더 높은 전송 우선순위를 가지며, 및
    상기 부호율에 대한 변경 요청은 상기 수신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제2 부호율을 지시하는 정보 또는 상기 수신 단말의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의 상기 부호율에 대한 변경 요청은 상기 수신 단말의 배터리 상태 및 상기 수신 단말의 버퍼 상태를 기초로 결정되는 송신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 요청에 포함된 상기 제2 부호율을 지시하는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부호율이 상기 송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 사이의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부호율과 다른 경우, 상기 송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 사이의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부호율을 상기 제1 부호율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더 높은 디그리를 가지는 상기 변수 노드에 상응하는 정보 비트들을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더 높은 전송 우선순위를 가지는 상기 제1 부분 영역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영역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제1 부분 영역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제1 부분 영역에서 상기 더 높은 디그리를 가지는 상기 변수 노드에 상응하는 상기 정보 비트들이 저장되는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영역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더 높은 전송 우선순위를 가지는 상기 제1 부분 영역의 시작, 중간, 또는 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단말.
  14. 삭제
  15.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의 부호율의 변경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의 상기 부호율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부호율 변경 요청을 송신 단말로 송신하고, 및 상기 부호율 변경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제1 부호율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호율 변경 요청은 상기 수신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제2 부호율을 지시하는 정보 또는 상기 수신 단말의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및
    상기 수신 단말의 배터리 상태 또는 상기 수신 단말의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기결정된 부호율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단말의 배터리 상태 또는 상기 수신 단말의 버퍼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부호율을 결정하고, 및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제2 부호율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부호율 변경 요청을 송신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단말.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60003706A 2016-01-12 2016-01-12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484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706A KR102484560B1 (ko) 2016-01-12 2016-01-12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5/405,096 US10560216B2 (en) 2016-01-12 2017-01-12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706A KR102484560B1 (ko) 2016-01-12 2016-01-12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548A KR20170084548A (ko) 2017-07-20
KR102484560B1 true KR102484560B1 (ko) 2023-01-04

Family

ID=5927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706A KR102484560B1 (ko) 2016-01-12 2016-01-12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60216B2 (ko)
KR (1) KR102484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6332B2 (en) * 2017-03-14 2018-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figuring circular buffer including outer code parity and apparatus therefor
US11296823B2 (en) * 2017-05-30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y based mapping of encoded bits to symbols
US11044047B2 (en) * 2017-08-10 2021-06-2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t least one redundancy version for transmission of a data unit
US11196512B2 (en) * 2018-06-29 2021-12-07 Qualcomm Incorporated Resolving decodability for subsequent transmissions whose throughput exceeds a threshold
US11418294B2 (en) * 2019-09-20 2022-08-16 Qualcomm Incorporated Single step in-place operation method for 5G NR de-interleaving, de-rate matching, and HARQ combination
EP4133631A4 (en) 2020-04-07 2023-09-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AND IMPROVED DECODING METHOD IN A NETWORK NODE
RU2748852C1 (ru) * 2020-09-16 2021-06-01 Нокиа Текнолоджиз Ой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WO2024007097A1 (en) * 2022-07-04 2024-01-11 Qualcomm Incorporated Bit allocations for multi-level co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4805A1 (en) * 2008-01-25 2009-08-06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nterleav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9010B1 (en) * 1995-10-05 2002-05-14 Intermec Ip Corp. Hierarchical data collection network supporting packetized voice communications among wireless terminals and telephones
KR20050046471A (ko) * 2003-11-14 200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저밀도 패러티 검사 부호를 병렬 연접하는 채널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20080028281A1 (en) * 2005-01-14 2008-01-31 Shunji Miyazaki Encoding method, decoding method, and devices for same
KR100981500B1 (ko) 2006-02-07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밀도 패러티 검사 부호 기반의 하이브리드 재전송 방법
KR101421592B1 (ko) * 2007-09-05 2014-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리버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5844747B2 (ja) * 2011-01-21 2016-01-2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符号化方法、復号方法
CN105144589B (zh) * 2013-05-02 2019-06-28 索尼公司 数据处理装置以及数据处理方法
US10041313B2 (en) * 2013-12-11 2018-08-07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reach in deviated wellbores using selected injection speed
US9509342B2 (en) * 2014-06-02 2016-11-29 Sandisk Technologies Llc Error correcting code decoder
US10116336B2 (en) * 2014-06-13 2018-10-30 Sandisk Technologies Llc Error correcting code adjustment for a data storag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4805A1 (en) * 2008-01-25 2009-08-06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nterleaving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Xuehua Li et al., "An Improved Degree Distribution Based HARQ for LDPC", 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ing and Mobile Computing(2006.09.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548A (ko) 2017-07-20
US20170201344A1 (en) 2017-07-13
US10560216B2 (en)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56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1841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cremental redundancy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R-HARQ) re-transmission
US201903126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using polar c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003585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116518A (ko) 가변 처리 시간들을 갖는 노드들에 대한 harq 핸들링
US117775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KR20170097079A (ko) 많은 수의 셀들을 갖는 반송파 집성에서 상향링크 정보의 전송
US86056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5911188B2 (ja) 低密度パリティコードエンコーディング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A3072373C (en) Transmission of redundancy versions in block coding
KR2017007468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1018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cremental redundancy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R-HARQ) re-transmission
CN112640335B (zh) 极化编码系统的增量冗余混合自动重传请求传输
JP2013534750A (ja) マルチキャリア・ネットワーク構成
KR102080069B1 (ko) 비이진 ldpc 부호를 사용하는 수신기에서 데이터를 복호하는 방법 및 장치
US11431543B2 (en) Facilitating a two-stage downlink control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03383B2 (en) Selection of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WO2024065490A1 (en) Methods, system, and apparatus for joint error correction coding of a self-decodable payload
KR10233592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37264A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