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920B1 -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920B1
KR102335920B1 KR1020140184694A KR20140184694A KR102335920B1 KR 102335920 B1 KR102335920 B1 KR 102335920B1 KR 1020140184694 A KR1020140184694 A KR 1020140184694A KR 20140184694 A KR20140184694 A KR 20140184694A KR 102335920 B1 KR102335920 B1 KR 102335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qi
channel quality
reception failure
failure rate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4158A (ko
Inventor
임빈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860,022 priority Critical patent/US9667362B2/en
Publication of KR20160034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04B17/0085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using test signal gene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과정과, 목표 수신 실패율에 기반하여 채널 품질에 따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수신 실패율은, 제 1 CQI에 대응하는 효율과 제 2 CQI에 대응하는 효율의 비율을 이용하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CQI 선택 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기(transmitter)는 무선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채널 품질 정보(이하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라 함)를 수신기(receiver)에 전달한다. 다수의 CQI 후보들 중 상기 CQI를 선택하는 기준은 선택된 CQI에 따라 상기 송신기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해당 데이터의 에러율(error rate)이 목표 수신 실패율(target BLock Error Rate)을 초과하는지 여부이다. 기존의 CQI 선택 과정은 복수의 CQI에 대해 동일하게 10%의 목표 수신 실패율을 적용하였다. 상기 10%의 목표 수신 실패율을 적용하는 것은 에러율을 10%로 이하가 되게 하여 일괄적으로 에러율을 낮출 수는 있지만, 상기 10%의 에러율을 적용하는 것은 전송률 최대화(throughput maximization)의 관점에 의하면 최적의 기준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전송률 최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목표 수신 실패율 설정 및 그에 따른 CQI 선택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QI 선택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목표 에러율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과정과, 목표 수신 실패율에 기반하여 채널 품질에 따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수신 실패율은, 제 1 CQI에 대응하는 효율과 제 2 CQI에 대응하는 효율의 비율을 이용하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제어부와, 목표 수신 실패율에 기반하여 채널 품질에 따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수신 실패율은, 제 1 CQI에 대응하는 효율과 제 2 CQI에 대응하는 효율의 비율을 이용하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송률을 최대화하기 위한 CQI를 선택함으로써 전송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CQI마다 목표 수신 실패율을 다르게 설정하여 향상된 CQI 선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와 수신 실패율의 상관도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목표 수신 실패율 설정 과정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준에 따른 CQI 선택 과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QI 선택을 위한 과정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표 수신 실패율과 CQI 선택의 상관도의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목표 수신 실패율 설정을 통한 CQI 선택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목표 수신 실패율은 target BLER(block Error Rate)일 수 있다. 이하 단말은 휴대전화(cellular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을 비롯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송 용량을 높이기 위하여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를 이용한다. 단말은 현재 위치한 장소에서 무선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기지국에 전송하고 기지국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변조(modulation) 방식이나 부호율(code rate)을 관리할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는 제1내지 제15 CQI를 이용하고 각 CQI마다 변조방식, 부호율, 효율이 하기 표 1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CQI 차수 변조방식 부호율 x 1024 효율
0 out of range
1 QPSK 78 0.1523
2 QPSK 120 0.2344
3 QPSK 193 0.3770
4 QPSK 308 0.6016
5 QPSK 449 0.8770
6 QPSK 602 1.1758
7 16QAM 378 1.4766
8 16QAM 490 1.9141
9 16QAM 616 2.4063
10 64QAM 466 2.7305
11 64QAM 567 3.3223
12 64QAM 666 3.9023
13 64QAM 772 4.5234
14 64QAM 873 5.1152
15 64QAM 948 5.5547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 CQI의 차수가 증가할수록 변조방식은 고차의 변조방식이 선택되고, 부호율이 증가하며, 효율 역시 증가한다. 따라서 보다 높은 CQI를 선택한다면 보다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채널 품질에 따라 CQI의 수신 실패율이 달라지므로 선택할 수 있는 CQI의 차수는 채널 품질에 따른 한계가 존재한다. 상기 표에서는 변조방식과 부호율을 이용하여 CQI에 대응하는 MCS 효율을 결정하였지만, 상기 CQI에 대응하는 MCS 효율은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s)의 전송 블럭 크기(transport block size)와 부호율,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RE(resource element)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과 수신 실패율의 상관도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의 가로축은 신호대잡음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수신 실패율을 나타낸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신호대잡음비가 증가할수록 각 CQI의 수신 실패율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채널품질이 높아질수록 수신 성공율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CQI 1은 신호대잡음비가 약 -10dB일 경우 수신 실패율이 100%에 가깝지만, 신호대잡음비가 약 -6.8dB일 경우 수신 실패율이 10%로 감소하고, 신호대잡음비가 약 -6dB일 경우 1% 가까이로 감소한다. 상기 CQI 1을 일 예로 들었지만, 상기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CQI 1을 제외한 나머지 CQI에서도 위와 같은 패턴으로 수신 실패율이 감소한다. 또한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신호대잡음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CQI의 제약이 존재한다. CQI별로 수신 실패율이 다르기 때문에, 선택할 수 있는 CQI가 달라진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각 CQI 별로 수신 실패율이 100%인 구간이 존재한다. 상기 수신 실패율이 100%인 구간에 해당하는 CQI를 선택한다면 수신이 불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CQI 15는 신호대잡음비가 약 19dB이하인 구간에서는 수신 실패율이 100%이므로 약 19dB이하인 구간에서는 상기 CQI 15를 선택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신호대잡음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최대 CQI 내에서 수신 실패율을 고려한 CQI 선택을 통해 전송률을 높일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목표 수신 실패율 설정 과정의 예를 나타낸다.
210 단계에서 단말은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단말은 수신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고, 수신한 잡음(noise)을 측정한 후 상기 수신한 신호의 전력과 상기 수신한 노이즈의 비율(이하 신호대잡음비라 한다.)을 이용하여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한 신호대잡음비가 클수록 수신한 신호 대비 노이즈의 비율이 적으므로 채널품질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측정한 신호대잡음비는 상기 단말이 CQI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22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CQI 별 전송률을 비교한다.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기법을 가정할 경우, 채널품질이 주어진 상황에서 각 CQI별 전송률(throughput)은 하기 수식과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채널품질은 SNR,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MMIS(mean mutual information per symbol), MMIB(mean mutual information per coded bit)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4123807392-pat00001
여기서, 상기 T는 CQI별 전송률, 상기 SE(spectral efficiency)는 CQI에 대응하는 효율(예를 들어, 상기 표 1의 효율), 상기 Pk는 각각 k번째 재전송될 확률을 나타낸다. 상기 P1은 주어진 채널 품질에 따라 구할 수 있고, P2는 IR combining(Incremental Redundancy) 된 데이터의 수신 성능을 모델링하기 복잡하므로 chase combining을 가정하여 현재 SNR보다 3dB 향상된 채널 품질에서의 재전송 확률(데이터 수신 실패 확률)과 같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3dB 향상은 채널 변화가 충분히 느리다는 가정에서 이루어진 것이지만, 채널 변화가 빠른 경우에 재전송 시점의 채널이 현시점의 채널과 독립적이라고 가정한다면 평균적으로는 현시점의 SNR과 같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P2와 마찬가지로 P3, P4는 4.8dB, 6dB 증가한 채널 품질에서의 재전송 확률과 같다고 가정한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LTE의 15개 CQI에 대해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환경에서 신호대잡음비와 수신 실패율의 상관도를 살펴보면, 초기전송 시 P1이 적절한 수준(예를 들어 90% 미만)이라면 P2는 무시할만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역시 P3, P4도 무시할만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관찰 결과와 가정에 따라 상기 수학식 1은 수학식 2와 같이 단순화 시킬 수 있다.
Figure 112014123807392-pat00002
m번째 CQI에 상기 수식을 적용한 것을 T(m)이라 하면, 상기 수학식 2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14123807392-pat00003
전송률(Throughput) 최대화의 관점에서 최적의 CQI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CQI별 전송률, 즉, T(1), T(2), …,T(15)를 비교하여 가장 큰 전송률을 갖는 m번째 CQI를 선택하여야 한다. m번째 CQI의 제 1 재전송률 P1(m)이 적절한 값을 갖는 채널환경을 가정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1(1), P1(2),…,P1(m-1)은 0에 근접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T(1), T(2),…, T(m-1)에서 가장 큰 값은 T(m-1)이 되며, P1(1), P1(2),…,P1(m-1)이 0에 근접한 값을 갖으므로, 그 값은 SE(m-1)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도 1에도신된 바와 같이, P1(m)이 적절한 값을 갖는 채널품질 영역에서 P1(m+1), P1(m+2),…,P1(15)는 모두 1이며,제 2 재전송률 P2(m+1), P2(m+2), …, P2(15) 또한 1에 가까운 값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m+1번째 CQI가 m번째 CQI보다 효율면에서 2배 이상 큰 경우가 없으므로 T(m), T(m+1), T(m+2), …, T(15)의 비교에서는 T(m)이 가장 큰 값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최적의 전송률은 T(m-1)과 T(m)을 비교해서 찾을 수 있다.
Figure 112014123807392-pat00004
상기 수학식 4에 상기 수학식 3을 대입하면 하기 수학식 5를 도출해 낼 수 있다.
Figure 112014123807392-pat00005
상기 수학식 5는 하기 수학식 6과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14123807392-pat00006
m번째 CQI의 전송률 T(m)이 m-1번째 CQI의 전송률 T(m-1)보다 큰 조건은 m번째 CQI의 초기 패킷 수신 실패율(=BLER, BLlock Error Rate) P1(m)이 SE(m)/SE(m-1)-1보다 작은 것이다. 즉, 전송률 최대화 관점에서 볼 때 m번째 CQI 선택할 수 있는 최대 BLER는 SE(m)/SE(m-1)-1이다.
상술한 과정들과 상기 표 1에 의해 최종 도출된 CQI 별 최대 BLER는 하기 표2와 같다. 이후, 최대 BLER는 Target BLER(목표 수신 실패율)라고 부른다.
CQI Target BLER
2 0.539
3 0.608
4 0.596
5 0.458
6 0.341
7 0.256
8 0.296
9 0.257
10 0.135
11 0.217
12 0.175
13 0.159
14 0.131
15 0.086
상기 목표 수신 실패율은 3G(3rd generation)과 같이 다수의 CQI를 사용할 경우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3G와 같이 다수의 CQI를 사용할 경우, 채널 품질의 특정 값마다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미리 CQI별 전송률 T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품질이 SNR이라 할 때, 0.1dB마다 각 CQI의 전송률 T를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후, 각 SNR 샘플(sample)마다 최대의 전송률을 갖는 CQI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이후, 각 CQI가 선택되는 채널 품질 영역에서 해당 CQI가 갖는 가장 큰 BLER를 해당 CQI의 target BLER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의해 CQI별 Target BLER가 설정되면, 해당 Target BLER를 갖는 채널품질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채널 품질을 각 CQI 채널품질의 임계값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QI 1 내지 CQI 15의 채널품질 임계값은 각각 -7, -5, -3, 0, 3, 7, 9, 11, 13, 14, 15, 16, 18, 19, 20dB 일 수 있다.
23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결정된 목표 수신 실패율에 따라 CQI를 선택한다. 종래는 목표 수신 실패율을 모든 CQI에서 동일하게 10%로 설정하였지만, 본원발명은 각 CQI 별로 목표 수신 실패율을 달리하여 설정한 후, 설정된 목표 수신 실패율에 따라 CQI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준에 따른 CQI 선택 과정의 예를 도시한다.
310 단계에서 단말은 채널 품질(Q)을 측정한다. 상기 단말은 수신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고, 수신한 잡음(noise)을 측정한 후 신호대잡음비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한 신호대잡음비가 클수록 수신한 신호 대비 노이즈의 비율이 적으므로 채널품질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측정한 신호대잡음비는 상기 단말이 CQI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32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채널 품질 Q를 CQI의 채널 품질 임계값(TH)과 비교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채널 품질 Q와 상기 CQI의 채널 품질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채널 품질보다 작은 임계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33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채널 품질과 상기 채널 품질의 임계값의 비교를 통해 만일 상기 320 단계의 조건, 즉, 상기 채널 품질 보다 작은 임계값이 존재할 경우 상기 단말은 34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20 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임계값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임계값에 대응하는 CQI를 선택한다. 만일 상기 320 단계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즉, 상기 채널 품질 보다 작은 임계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은 350 단계로 진행하여, CQI 0을 선택한다.
410 단계에서 단말은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단말은 수신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고, 수신한 잡음을 측정한 후 신호대잡음비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한 신호대잡음비가 클수록 수신한 신호 대비 노이즈의 비율이 적으므로 채널품질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측정한 신호대잡음비는 상기 단말이 CQI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42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CQI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수학식 1 내지 상기 수학식 6을 이용하여 각 CQI 별 목표 수신 실패율을 설정하고, 설정된 각 CQI 별 목표 수신 실패율의 테이블(table)을 저장한 후, 상기 단말은 현재의 채널 품질을 감지한 후 해당 채널 품질에서 선택 가능한 CQI를 확인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선택 가능한 CQI의 설정된 목표 수신 실패율을 확인한 후, 상기 채널 품질에서 상기 설정된 목표 수신 실패율을 초과하지 않는 CQI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특정 채널 품질에서 CQI(k)와 CQI(k-1)이 선택가능할 경우, 상기 CQI(k)와 상기 CQI(k-1)의 설정된 목표 수신 실패율을 확인하고, 상기 CQI(k)와 상기 CQI(k-1) 중 특정 채널 품질에서 수신 실패율이 설정된 목표 수신 실패율을 초과하지 않는 CQI를 선택하여 CQI 정보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표 수신 실패율과 CQI 선택의 상관도의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도 5의 가로축은 채널품질(510)을 나타내고, 도 5의 세로축은 수신 실패율(520)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은 모든 CQI에 동일하게 10%의 목표 수신 실패율을 적용(560)한다. 따라서 단말은 채널 품질에 따라 특정 CQI가 10%를 초과하게 되면 일괄적으로 해당 특정 CQI를 제외하여 CQI를 선택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각 CQI별로 목표 수신 실패율을 다르게 적용(552, 554, 556)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채널 품질에 따라 선택하는 CQI의 범위(540)가 종래의 선택 CQI 범위(530)와 차이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특정 채널 품질 A(512)에서 CQI를 선택한다고 가정하면, 종래의 목표 수신 실패율 10%(560)를 적용할 경우 채널품질 A(512)에서 CQI(k)의 수신 실패율은 10%를 초과하게 되므로 CQI(k)를 선택할 수가 없으므로 CQI(k-1)을 선택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채널품질 A(512)에서의 새로운 수신 실패율을 적용한 CQI 선택에 의하면, 상기 채널품질 A(512)에서의 CQI(k)의 수신 실패율이 새롭게 설정된 CQI(k)를 위한 수신 실패율(552)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상기 단말은 상기 채널품질 A(512)에서 CQI(k)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새롭게 설정된 CQI를 위한 수신 실패율을 적용할 경우, 기존의 CQI 선택 방법과 비교하여, B(572), C(574), D(576) 구간에서 CQI 선택의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CQI 선택방법에 비해 일부 구간에서 더 높은 CQI가 선택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2는 새로운 수신 실패율을 적용한 CQI 선택 방법에 따른 전송률 이득을 나타낸다.
페이딩 전송 모드 MIMO 연관성 SNR 10% 수신 실패율 적용
전송률
새로운 수신 실패율
적용 전송률
전송률이득
ETU70 TM3 Low 15 27.1 28.6 5.5%
ETU70 TM3 Low 10 17.1 18.2 6.4%
ETU70 TM3 Low 5 9.1 9.5 4.4%
ETU300 TM3 Low 15 27 28.4 5.2%
ETU300 TM3 Low 10 17.1 17.6 2.9%
ETU300 TM3 Low 5 9 9.4 4.4%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새로운 수신 실패율을 적용한 전송률이 10%의 수신 실패율을 적용한 전송률 보다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장치는 RF(Radio Frequency)처리부(610), 기저대역 처리부(620), 저장부(630), 제어부(640), CQI 선택 제어부(642)를 포함한다.
상기 RF처리부(6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6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6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6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송신단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62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6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620)는 상기 RF처리부(6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6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O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620)는 상기 RF처리부(6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620) 및 상기 RF처리부(6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620) 및 상기 RF처리부(610)는 전송부,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는 CQI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30)는 상기 CQI 선택을 위한 장치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630)는 CQI 선택을 위한 정보와 특히 수신 실패율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630)는 상기 제어부(6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CQI 선택을 위한 위한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620) 및 상기 RF처리부(61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저장부(6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CQI 선택 제어부(64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CQI 선택 제어부(642)는 상기 CQI 선택을 위한 장치가 상기 도 2, 도 3, 도4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64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640)는,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640)은 수신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고, 수신한 잡음을 측정한 후 신호대잡음비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640)는 목표 수신 실패율을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수학식1 내지 상기 수학식 6을 이용하여 각 CQI 별 목표 수신 실패율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CQI를 선택한다.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채널 품질을 감지한 후 해당 채널 품질에서 선택 가능한 CQI를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가능한 CQI의 설정된 목표 수신 실패율을 확인한 후, 상기 채널 품질에서 상기 설정된 목표 수신 실패율을 초과하지 않는 CQI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과정과,
    목표 수신 실패율에 기반하여 채널 품질에 따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수신 실패율은, 제 1 CQI에 대응하는 효율과 제 2 CQI에 대응하는 효율의 비율을 이용하여 결정된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QI에 대응하는 효율은,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와 부호율(code rate)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QI에 대응하는 효율은,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의 전송 블럭 크기(transport block size)와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자원요소(resource element)의 개수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수신 실패율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CQI 효율을 제2 CQI 효율로 나눈 값에서 1을 차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에 따른 CQI의 재전송률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CQI의 재전송률에 따라 초기 패킷 수신 실패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제어부와,
    목표 수신 실패율에 기반하여 채널 품질에 따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수신 실패율은, 제 1 CQI에 대응하는 효율과 제 2 CQI에 대응하는 효율의 비율을 이용하여 결정된 것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와 부호율(code rate)을 이용하여 CQI에 대응하는 효율을 결정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의 전송 블럭 크기(transport block size)와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자원요소(resource element)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CQI에 대응하는 효율을 결정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CQI 효율을 제2 CQI 효율로 나눈 값에서 1을 차감하여 목표 수신 실패율을 결정하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품질에 따른 CQI의 재전송률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CQI의 재전송률에 따라 초기 패킷 수신 실패율을 결정하는 장치.
KR1020140184694A 2014-09-19 2014-12-19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35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60,022 US9667362B2 (en) 2014-09-19 2015-09-21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52699P 2014-09-19 2014-09-19
US62/052,699 2014-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158A KR20160034158A (ko) 2016-03-29
KR102335920B1 true KR102335920B1 (ko) 2021-12-06

Family

ID=5566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694A KR102335920B1 (ko) 2014-09-19 2014-12-19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9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6039A (ja) 2012-02-24 2013-09-05 Ntt Docomo Inc チャネル状態情報のフィードバック、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ユーザ設備、基地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5356A (ja) * 2007-08-27 2009-03-12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基地局制御方法
US20090161613A1 (en) * 2007-11-30 2009-06-25 Mark Kent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tables for feedback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95945A (ko) * 2009-02-23 201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변조 및 부호화 방법 및 그 단말
WO2012167442A1 (zh) * 2011-06-10 2012-12-13 华为技术有限公司 修正信道质量指示值的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6039A (ja) 2012-02-24 2013-09-05 Ntt Docomo Inc チャネル状態情報のフィードバック、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ユーザ設備、基地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158A (ko) 201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664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 adaptation for low cost user equipments
US96673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in communication system
US10498482B2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an uplink control channel
KR10254309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7050876A (ja) トランスポートブロックにわたって復号時間を共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683826B2 (en) Low power downlink control channel monitoring
EP3100426B1 (en) 25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user equipment category handling
US202202168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US8467471B2 (en) Coding and modulation selecting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US8451923B2 (en) MIMO transmission mode selecting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CN107005340B (zh) 无线通信网络中的传输数据信号传送
CN117693910A (zh) 用于在通信系统中发射或接收控制信息和数据的装置和方法
US11303383B2 (en) Selection of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KR10233592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0057477A1 (en) A polar code design for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re-transmission
KR20230109998A (ko)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10212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호화에 대한 오경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