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319B1 - 재작업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재작업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319B1
KR102484319B1 KR1020150189328A KR20150189328A KR102484319B1 KR 102484319 B1 KR102484319 B1 KR 102484319B1 KR 1020150189328 A KR1020150189328 A KR 1020150189328A KR 20150189328 A KR20150189328 A KR 20150189328A KR 102484319 B1 KR102484319 B1 KR 102484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wire
display panel
rear support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743A (ko
Inventor
박종영
장지광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9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3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01L51/56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재작업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커버가 점착 테이프로 고정되고 있고, 점착 테이프 주위에 와이어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 불량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커버의 분리가 필요할 때, 와이어를 당기는 것만으로 점착 박리가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커버 분리를 위한 별도의 기구나 부품을 요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재작업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DEVICE WITH EXCELLENT RE-WORK PROPERT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 불량 등으로 인하여, 점착제로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커버를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장치, OLED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장치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와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배면에 부착되는 백 커버(back cover)와 같은 배면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와 배면 지지부(120)는 점착부(130)에 부착되어 서로 고정된다.
도 2는 배면 지지부에 점착부가 배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점착부(130)는 복수의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로 배면 지지부(120)나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된다. 이는 점착부(130)를 구성하는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이 우수해지면서 점착 테이프의 사용량을 감소시킨 결과라 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 테스트 시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 시에 모듈 불량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과 배면 지지부를 분리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통상 점착 테이프보다 강한 힘을 제공하는 별도의 박리 장치 혹은 점착 테이프를 용해할 수 있는 화학 물질을 이용한다.
별도의 박리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백 커버에 휘어짐 등의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화학 물질을 이용하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 문제, 화학 약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부나 배면 지지부의 표면 변질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안고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배면 지지부의 분리 방식을 탈피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7950호(2009.04.16.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용제형 재박리용 점착제 조성물 및 재박리용 점착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비하여 보다 간단하고 보다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커버를 분리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 배면에 배치되는 배면 지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상기 배면 지지부를 고정하는 점착부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점착부 주위에 점착 박리용 와이어가 배치되어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배면 지지부를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 점착 박리용 와이어를 당겨 점착부를 두께 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점착 박리용 와이어가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배면 지지부를 고정하는 점착부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필요시 점착부를 쓸고 가는 형태로 점착 박리용 와이어를 당기는 것만으로도 쉽게 점착부의 점착 박리가 수행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배면 지지부의 분리를 위한 별도의 기구나 부품을 요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배면 지지부를 고정하는 점착부 주위에 점착 박리용 와이어가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필요시 점착 박리용 와이어를 당기는 것만으로도 점착부를 쓸고 가는 형태로 쉽게 점착부의 점착 박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배면 지지부가 점착부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배면 지지부에 점착부가 배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점착 박리용 와이어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점착 박리가 수행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점착 테이프 구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점착 박리용 와이어 배치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점착 박리용 와이어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로, 배면 지지부에 점착 박리용 와이어를 수용하는 와이어 수용 홈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점착 박리용 와이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점착 박리용 와이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와이어 모재에 고경도 입자가 배치된 와이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점착 박리용 와이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복수의 와이어 모재가 서로 꼬여있는 형태의 합사 와이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 상에 있다"라고 함은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접촉한 상태로 바로 위에 있다"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과 비접촉한 상태이거나 제3의 부분이 중간에 더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점착 박리용 와이어가 추가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점착 박리용 와이어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점착 박리가 수행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PDP 패널, OLED 패널,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 LCD 패널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백 커버와 같은 배면 지지부가 점착부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부(110), 배면 지지부(120) 및 점착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화상이 구현되는 부분으로, OLED 패널이나, 백라이트를 포함한 LCD 패널 등이 될 수 있다.
배면 지지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부(110) 배면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백 커버(back cover)가 될 수 있다.
점착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와 배면 지지부(120)를 고정한다. 점착부(130)는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쿠션 역할을 하는 기재층 양측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점착 테이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점착부(130)는 복수의 점착 테이프가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배면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도 5는 점착 테이프 구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점착부(130)를 구성하는 점착 테이프는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재질 등의 쿠션 역할을 하는 기재층(131)과, 기재층 양쪽에 배치된 점착제층(132, 133)을 포함한다. 기재층(131)과 각 점착제층(132,133) 사이에는 고분자 필름이 배치될 수도 있다. 각 점착제층(132, 133)은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 공지된 다양한 점착제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기재층(131) 일측의 점착제층(예를 들어, 132)은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에 점착되고, 기재층(131) 타측의 점착제층(예를 들어, 133)은 배면 지지부(120)에 점착된다.
본 발명의 경우, 점착부(130) 주위에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가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와 배면 지지부(120)를 고정하는 점착부(130)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패널 불량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배면 지지부를 분리해야 하는 경우와 같은 필요시에 점착 박리용 와이어를 조작하여 점착 박리시킬 수 있다.
즉, 모듈 불량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와 배면 지지부(120) 분리 필요시,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이, 플렉서블한 특징을 갖는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를 점착부(130)가 있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가 점착부(130) 내부를 쓸고 가면서 점착부(130)를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분리되거나 혹은 점착부(130)가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더라도 점착력이 약화될 수 있어, 쉽게 점착부(130)의 점착 박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는 하나만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는 2개 이상 복수개로 배치되는 것이 전체 점착부를 제거할 수 있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는 점착 테이프의 기재층(131)을 분리하는 형태로 점착 박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점착 박리용 와이어(31)는 점착 테이프의 각 점착층(132, 133)을 분리하는 형태로 점착 박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점착 박리용 와이어 배치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점착 박리용 와이어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는 배면 지지부(120) 상에 점착 박리용 와이어가 배치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부(110) 상에 점착 박리용 와이어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 의하면,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는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와 배면 지지부(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가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와 배면 지지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필요시 점착 박리의 수행이 가능하다.
다른 방식으로, 도 7에 도시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배면 지지부(120)는 와이어 관통 홀(3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는 일부분이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와 배면 지지부(120)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의 다른 일부분이 와이어 관통 홀(320)을 통하여 배면 지지부(120)의 배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의 일부분만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배면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고,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의 나머지 부분(도 7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 부분)은 배면 지지부(120)의 배면에 위치하여, 배면 지지부(120) 배면으로 노출된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와 배면 지지부(120)의 분리를 위해,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와이어를 잡아 당기는 조작을 수행하면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는 일부 또는 전부가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와 배면 지지부(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점착부(130)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점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형태일 경우,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는 복수의 점착 테이프와 오버랩되지 않게(non-overlap)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점착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와 배면 지지부(12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고, 복수의 점착 테이프에 의해 구현된다. 이때,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가 복수의 점착 테이프와 오버랩(overlap)되게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점착 테이프와 오버랩된 점착 박리용 와이어 부분에서는 점착부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해당 부분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부(110) 또는 배면 지지부(120)가 점착 테이프가 아닌 점착 박리용 와이어와 접촉되고, 특히, 와이어 양쪽 부분에서 테이프 들뜸 현상이 발생하여 점착 영역이 다소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점착 박리용 와이어는 복수의 점착 테이프와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는 배면 지지부(120)에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와이어 수용 홈(810)이 구비되어 있다.
와이어 수용 홈(810)의 깊이는,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가 홈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 수용 홈(810)의 폭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가 와이어 수용 홈(8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와이어 수용 홈(810)의 폭은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작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의 경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와는 달리, 와이어 수용 홈(810)이 점착부(130)와 오버랩 될 수 있다. 물론, 와이어 수용 홈(810)은 점착부(130)와 오버랩되지 않는 형태로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가 점착부(130)와 오버랩되더라도, 오버랩되는 점착 박리용 와이어 부분이 와이어 수용 홈(81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점착부의 두께가 불균일한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점착 박리용 와이어 양쪽 부분에서 테이프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가 점착부(130)와 오버랩되는 경우에 비하여 점착 영역의 감소를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 전면에서 볼 때,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가 굽혀진 상태로 그 끝단이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와 배면 지지부(120) 사이의 점착부(130) 외곽 영역에 위치하도록 마감처리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의 팸 너트(pem nut)나, 개별 점착 테이프에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의 일부분을 감아 두는 형태로 마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와이어 관통 홀(320) 등을 이용하여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가 배면 지지부(120)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마감처리 할 수도 있다.
도 9는 점착 박리용 와이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 모재(901) 자체일 수 있다. 와이어 모재(901)의 재질은 고강도 스틸, 스테인리스 스틸, 크롬, 니켈, 크롬, 니켈-크롬 합금 등과 같은 고강도 금속일 수 있다.
점착 박리용 와이어(901)의 두께는 점착부(130)의 두께 이하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너무 얇을 경우, 점착 박리 도중에, 점착 박리용 와이어(901)가 끊어질 수 있는 바, 점착부 두께의 대략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점착부 두께의 대략 2/3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0은 점착 박리용 와이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 모재(901)와, 와이어 모재에 배치되며 와이어 모재보다 경도가 높은 고경도 입자(902)를 포함할 수 있다. 고경도 입자(902)는 다이아몬드, CrN, TiN 등과 같은 금속 질화물, SiC 등과 같은 금속 탄화물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고경도 입자(902)는 스프레이 방법, 전착 방법 등에 의해 와이어 모재(901)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점착 박리용 와이어는 금속 와이어 모재(901)에 배치된 고경도 입자(902)가 톱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점착 박리용 와이어를 이용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점착 박리용 와이어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적은 힘으로도 점착 박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은 점착 박리용 와이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점착 박리용 와이어(310)는 복수의 와이어 모재(901)가 서로 꼬여있는 형태의 합사 와이어 형태가 될 수 있다.
단일 와이어(310)의 경우, 강성이 부족하여, 점착 박리 수행시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도 11에 도시된 예와 같은 합사 와이어의 경우,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어, 점착 박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부와 배면 지지부를 고정하는 점착부 주위에 점착 박리용 와이어가 배치되어 있어, 패널부와 배면 지지부 분리 필요시 점착 박리용 와이어를 당기는 것과 같은 조작만으로도 쉽게 점착부의 점착 박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디스플레이 패널부
120 : 배면 지지부
130 : 점착부
310 : 점착 박리용 와이어
320 : 와이어 관통 홀
810 : 와이어 수용 홈
901 : 금속 와이어 모재
902 : 고경도 입자

Claims (12)

  1.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 배면에 배치되고 와이어 관통 홀이 구비된 배면 지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상기 배면 지지부를 고정하는 복수의 점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점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배면 지지부 각각의 중심부를 제외한 네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호 이격하여 배치된 제1 점착부, 제2 점착부, 제3 점착부 및 제4 점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점착부 및 상기 제3 점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배면 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점착부 및 상기 제4 점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배면 지지부의 세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배치되며,
    일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상기 배면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와이어 관통 홀을 통하여 상기 배면 지지부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배면 지지부 배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호 이격하여 배치된 제1 내지 제4 점착부 주위에 상기 복수의 점착부와 각각 오버랩되지 않는 복수 개의 점착 박리용 와이어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관통 홀은 상기 복수의 점착부가 배치된 네 가장자리를 제외하고 상기 배면 지지부의 중심부에 가까운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배면 지지부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지지부는 상기 점착 박리용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와이어 수용 홈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수용 홈이 상기 점착부와 오버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박리용 와이어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 모재와, 상기 와이어 모재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 모재보다 경도가 높은 고경도 입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박리용 와이어는 복수의 와이어 모재가 서로 꼬여있는 형태의 합사 와이어인, 디스플레이 장치.
  9.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 배면에 배치되는 배면 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상기 배면 지지부를 고정하는 복수의 점착부; 및
    복수의 점착 박리용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점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배면 지지부 각각의 중심부를 제외한 네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호 이격하여 배치된 제1 점착부, 제2 점착부, 제3 점착부 및 제4 점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점착부 및 상기 제3 점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배면 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점착부 및 상기 제4 점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배면 지지부의 세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배면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배면과 마주보는 면에 소정 깊이 및 폭을 가지는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점착 박리용 와이어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 수용 홈 내에 각각 위치하되,
    상기 와이어 수용 홈은 상기 점착 박리용 와이어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점착 박리용 와이어의 직경과 같거나 작은 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수용 홈은 상기 점착부의 가장자리부를 제외하고 중심부에 가까운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배면 지지부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수용 홈은 상기 점착 박리용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수용 홈 상부로 돌출하지 않게 상기 점착 박리용 와이어의 직경과 같거나 큰 깊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89328A 2015-12-30 2015-12-30 재작업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4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328A KR102484319B1 (ko) 2015-12-30 2015-12-30 재작업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328A KR102484319B1 (ko) 2015-12-30 2015-12-30 재작업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743A KR20170080743A (ko) 2017-07-11
KR102484319B1 true KR102484319B1 (ko) 2023-01-03

Family

ID=5935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328A KR102484319B1 (ko) 2015-12-30 2015-12-30 재작업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3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507B1 (ko) * 2018-08-07 2019-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971A (ko) * 2007-06-07 2007-07-10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평면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743A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1270B2 (en) Method of detaching attached boards from each other
TWI405293B (zh) A holding method for semiconductor wafers, a protective structure for semiconductor wafer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wafer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wafer
KR102334807B1 (ko) 플렉서블 윈도우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20220314578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back film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2078385A (ja) 保護板一体型電子部材の製造方法及び保護板一体型電子部材
CN101183285A (zh) 触控式显示装置及其重工方法
JP2003238915A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表示装置への貼着固定方法
US20170217129A1 (en) Laminated film and film attachment method
JP2010228391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加工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保護フィルム
JPWO2008093408A1 (ja) 粘着チャック装置
US20160001521A1 (en) Curv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TW200613932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removal of fluorescent substances
KR102484319B1 (ko) 재작업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70190A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US10046543B2 (en) Laminated film and film attachment method
CN106746705B (zh) 玻璃单面减薄方法及玻璃减薄设备
JP6405045B2 (ja) フィルム貼り付け方法
JP5281854B2 (ja) 光学フィルム貼付け装置、光学フィルム貼付け方法、およ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TW200926470A (en)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and rework method thereof
JP2017537857A (ja) 剥離を含む加工の方法
JP2016012120A (ja) 表示装置
JP2009046283A (ja) フィルム剥離工具およびフィルム剥離装置
CN109427260A (zh) 用于移除拼接显示器的设备和方法
KR2005011347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20170037821A (ko) 박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