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236B1 -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활용한 분사식 건축용 3d 프린터 장치 - Google Patents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활용한 분사식 건축용 3d 프린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236B1
KR102484236B1 KR1020200146562A KR20200146562A KR102484236B1 KR 102484236 B1 KR102484236 B1 KR 102484236B1 KR 1020200146562 A KR1020200146562 A KR 1020200146562A KR 20200146562 A KR20200146562 A KR 20200146562A KR 102484236 B1 KR102484236 B1 KR 102484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weight
parts
data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1295A (ko
Inventor
서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키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키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키플랜트
Priority to KR1020200146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2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6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1Rapid manufacturing of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ng, agglomerating or laminat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0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in the an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34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s
    • C04B2111/00181Mixtures specially adapted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3DP), stereo-lithography or prototy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Abstract

제조목적물 3D 데이터 생성단계, 3D 데이터에 따른 제조 목적물 적층단계, 적층된 제조 목적물 표면을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하는 3D 스캔단계, 3D 데이터에 따른 제조 목적물 표면에 숏크리트, 급결제의 혼합물를 스프레이 분사하는 표면가공단계, 최종가공물 획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콘크리트 3D 프린팅 구조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렇게 제조되는 고품질의 콘크리트 3D 프린팅 구조물 지속적인 공급과 흐름에 의한 변형이 적고, 안정화 시간이 짧아 3D 프린팅을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가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조된 콘크리트 2차 제품 또는 성형물의 품질 특성을 만족하는 강도, 내구성 및 친환경적인 특성을 갖출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활용한 분사식 건축용 3D 프린터 장치{Spray-type 3D printer device for architecture using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3D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피트 적층형 3D 프린터 구조와 스프레이 분사형 노즐을 별도로 구비하여 1차적으로 구조물을 적층하고, 적층된 표면에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활용하여 스프레이 분사하여 고품질의 3D 콘트리트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는 건축용 하이브리드형 3D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산업에서는 건축물의 독창성 및 심미성 확보를 위하여 비정형 형태로 시공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수요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기존의 전통 건설재료인 콘크리트를 기반으로 비정형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형틀인 거푸집을 이용하여 3차원 곡률을 이루도록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기존 건축물 시공방법은 거푸집의 비정형화를 위해 매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게 되며, 비정형성의 구현에도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전세계적으로 건축물의 다양한 비정형성 부여를 위하여 3차원 프린팅(3D Printing) 기술을 접목한 건축물 시공법 개발이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3차원 프린팅 기술은 “3차원 모델 데이터로부터 형상을 만들기 위하여 연속된 재료를 한층 한층씩(layer upon layer) 적층하는 방법으로 절삭가공 기술과 대비되는 기술이다”라고 정의된다. 또한, 광원의 종류, 적층방식 및 소재에 따라 구분하고 있으며,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에서는 3차원 프린팅 기술을 크게 7가지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미국재료시험협회에서 정의하고 있는 3차원 프린팅 기술 중 시멘트, 슬래그, 플라이애시 등 기존의 전통적인 세라믹 소재를 사용재료로 적용할 수 있는 방식은 재료압출방식(Material Extrusion Method)과 분말적층방식 (Binder Jetting Method) 등이 있다.
재료압출방식은 현재 3차원 프린팅 기술 중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식으로, 재료압출방식은 시멘트, 슬래그, 플라이애시와 같은 세라믹 재료를 물, 골재, 첨가제 등과 함께 사전에 균등 혼합한 다음, 혼합물을 재료압축방식 3차원 프린터의 압출창치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하면서 연속적으로 밀어내어 원하는 위치에 도포함으로서 구조체를 축조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재료압출방식은 현장 시공이 가능하고, 기둥, 벽체와 같은 대형 부재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며, 다른 프린팅 방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출력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재료압출방식은 유동성을 갖고 있는 콘크리트를 압출에 의해 적층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균일한 적층성 및 형상 확보를 위한 응결제어가 매우 어려우며, 큰 곡률의 부재, 상부 슬래브, 켄틸레버, 내부 다공성 구현 등이 곤란하며, 복잡한 비정형성 구현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분말적층방식은 조형유닛에 적층된 세라믹 기반의 분말에 접착헤드를 이용하여 액체 상태의 접착액을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한층을 경화시킨다. 그리고 새로운 분말의 적층을 위해 조형유닛이 한층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하강된 한층에 새로운 분말을 도포(약 0.1 mm)한 다음, 다시 접착액을 분사하여 경화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3차원 조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분말의 적층 및 경화 공정을 반복하면서 특정 건조시간 후 에어블로워를 사용하여 접착되지 않은 분말을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인 3차원 조형물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말적층방식은 재료 압출방식에 비교하여 미세한 디테일과 복잡한 모양을 가진 대상물을 출력할 수 있어 비정형성 구현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분말적층방식은 현장에서의 직접적인 프린팅은 곤란하며 외장재와 같은 공장 제조형태의 프리캐스트 제품에 적합한 방식이다. 또한, 분말적층방식은 3차원 프린팅 방식의 특성상 재료압출방식에 비하여 출력물의 압축강도 및 흡수율 등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선행문헌 1 : 국내등록특허 10-2031736호(2019.10.14 등록공고) 선행문헌 2 : 국내등록특허 10-1738246호(2017.05.15 등록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료압출적층방식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적층하고, 이 제조 목적물의 표면을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한 후 스캔 결과에 따라 가공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가공 데이터에 따라 정밀하게 숏크리트를 분사하여 표면을 가공함으로써 고품질의 콘크리트 3D 프린팅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자 한다.
이렇게 제조되는 3D 콘크리트 구조물은 3D 프린팅에 적합하게 지속적인 공급과 흐름에 의한 변형이 적고, 안정화 시간이 짧아 3D 프린팅을 통한 콘크리트의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된 콘크리트 2차 제품 또는 성형물의 품질 특성을 만족하는 강도, 내구성 및 친환경적인 특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조목적물 3D 데이터 생성단계; 3D 데이터에 따른 제조 목적물 적층단계; 적층된 제조 목적물 표면을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하는 3D 스캔단계; 3D 데이터에 따른 제조 목적물 표면에 숏크리트, 급결제의 혼합물을 스프레이 분사하는 표면가공단계; 최종가공물 획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콘크리트 3D 프린팅 구조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표면가공단계는 숏크리트, 급결제의 혼합물을 스프레이 분사하기 전에 콘크리트용 섬유 분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콘트리트 3D 프린팅 구조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3D 스캔단계는 라이더(LiDAR) 센서를 이용하여 3D 입체 제조 목적물의 적층 레이어 표면을 데이터화 하고, 작업대상 표면의 데이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3D 프린팅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표면가공단계는 숏크리트, 급결제를 분사노즐 내의 혼합챔버에서 공기와 함께 혼합하여 표면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3D 프린팅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숏크리트는 초속경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모래 100~200 중량부;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왕겨(Rice-Husk)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 10~50중량부; 지르코늄 실리카퓸 20~30 중량부; 및 배합수 20~3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3D 프린팅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급결제로서 초속경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CaO-Al2O3, SiO2, Na2CO3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3D 프린팅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속적인 공급과 흐름에 의한 변형이 적고, 안정화 시간이 짧아 3D 프린팅을 통한 콘크리트의 제조가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조된 콘크리트 2차 제품 또는 성형물의 품질 특성을 만족하는 강도, 내구성 및 친환경적인 특성을 갖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적층과 표면가공에 의한 3D 프린팅 구조물 제조방법에 의하여 비정형의 건축 외장재를 제조할 수 있고, 제조된 건축 외장재에서 흡수율과 압축강도와 같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적층과 표면가공에 의한 3D 프린팅 구조물 제조방법에 의하여 비정형의 건축 외장재를 제조할 때 균일하고 고품질의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품질의 3D 프린팅 구조물 제조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품질의 3D 프린팅 구조물 제조에 관한 공정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늄 실리카퓸 함량에 따른 유동성 실험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품질의 3D 프린팅 구조물 제조공정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품질의 3D 프린팅 구조물 제조에 관한 공정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품질의 3D 프린팅 구조물은 압출 적층방식으로 콘크리트 소재를 3D 설계 데이터에 따라 적층하고, 적층된 제조 목적물의 표면을 3D 스캐너로 스캔하여 요철 및 불량 부위를 가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가공 데이터에 따라 숏크리트, 급결제를 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분사하여 표면 가공함으로써 고품질의 3D 프린팅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조 목적물 3D 데이터 생성단계(S 100)는 설계된 3D 프린팅 구조물의 설계 도면에 따라 3D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는 작업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되는 작업 데이터에 의하여 3D 데이터에 따른 제조 목적물 적층단계(S200)는 3D 프린터의 노즐이 X, Y, Z 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콘크리트 소재를 압출 적층하면서 제조 목적물이 적층된다. 이렇게 출력되는 콘크리드 재료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면서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목적물이 적층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적층되는 제조 목적물은 직선형 뿐만 아니라 곡선형의 벽체와 같이 비정형의 벽체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디자인의 건물 외벽을 용이하게 구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출 적층방식으로 제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출력물의 표면이 고르지 않고, 요철, 홈이 발생하여 불량의 원인이 되며, 수요자의 품질에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단순한 구조의 단위 모듈 생산에 치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3D 데이터 스캔단계(S300)는 적층된 제조목적물의 표면을 스캔하는 단계이다. 라이다(LiDAR) 센서를 이용한 3D 형상 표면 스캐닝 기술을 적용하는 표면 스캔 방식으로 레이저를 목표물 표면에 비춤으로써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라이다 센서 시스템을 통하여 3D 입체 추출물의 적층 레이어 표면을 데이터화하고, 3D 프린팅과 동시에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연동하여 제조 목적물의 마감면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다. 이렇게 적층된 제조 목적물의 표면에서 측정된 데이터 값을 기초 설계값과 비교함으로써 골의 값을 반환받아 어느 부분이 어느 정도 보완이 필요한지 작업 표면의 데이터를 계산 및 생성할 수 있다.
표면 가공단계(S400)는 상기 3D 스캔단계(S300)에서 측정된 데이터 값과 기초 설계값과 비교하여 계산 및 생성되는 작업 표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조 목적물의 표면에 숏크리트, 급결제의 혼합물을 분사하여 표면을 가공함으로써 표면 품질을 향상시키는 단계이다.
표면 가공단계(S400)는 숏크리트 및 급결제의 혼합물의 분사 전에 콘크리트용 섬유를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용 섬유는 통상적으로 인장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나일론, 고분자량 고밀도(HMWHEPE)가 사용된다. 콘크리트 섬유는 몰탈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1.0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된다. 콘크리트 섬유를 포함하는 몰탈은 결합제, 잔골제, 혼화제, 콘크리트 섬유 및 잔량으로 물과 공기로 구성되는 것으로 분사용 몰탈이다.
표면 가공단계(S400)에서 분사되는 콘크리트 섬유는 제조 목적물 표면과 다음 단계에서 분사되는 숏크리트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제조되는 구조물의 내환경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숏크리트와 급결제는 분사노즐 내의 혼합 챔버에서 압축 공기와 함께 혼합되어 제조 목적물 표면에 분사된다. 이러한 숏크리트는 분무식에 적합한 유동성과 압축강도를 동시에 만족해야 된다. 이러한 압축강도와 유동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숏크리트는 초속경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모래 100~200 중량부,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왕겨(Rice-Husk)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 10~50 중량부, 지르코늄 실리카퓸 20~30 중량부 및 배합수 20~30 중량부의 혼합물로 구성한다.
초속경 시멘트는 일반적인 포틀랜드 시멘트에 보크사이크, 카올린, 형석 등을 적당량 가하여 클링커로 만들고, 이것에 무수 석고 및 반수 석고를 첨가하여 분쇄한 시멘트로, 재령 2~3시간에 대략 압축강도 200~300kgf/cm2의 조기 강도를 얻을 수 있는 급속 경화형 시멘트를 말한다. 이러한 초속경 시멘트는 조기 강도 발현이라는 장점을 갖고, 발현 강도 역시 우수하여 시간 단축을 필요로 하는 포장 공법에 활용될 수 있다.
기존의 숏크리트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실리카퓸을 결합제로 사용해왔다. 그러나 기존의 실리카퓸을 사용한 초고성능 콘크리트는 과도한 점도로 인하여 유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분사후의 표면품질이 거칠고 불량하였다.
지르코늄 실리카퓸은 금속 지르코늄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일종으로 자갈, 모래로 이루어진 지르콘 광석을 탄소, 철 및 석회와 함께 용융시키는 과정 중에 환원되는 실리가(SiO2)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산화 지르코늄(ZrO2)가 약 2~3% 함유된 미립자가 생성된다. 지르코늄 실리카퓸은 일반적인 실리카퓸과 같이 구상 입자이지만 회백색을 띄며, 비표면적이 80,000 ~ 110,000 cm2/g 정도로서 일반 마이크로 실리카퓸에 비하여 평균 입경이 2배 정도 크다.
이러한 지르코늄 실리카퓸은 SiO2를 주성분으로 하여 마이크로 실리카퓸과 같은 포졸란 반응을 함으로써 내구성 증진에 기여하는데, 일반 마이크로 실리카퓸에 비하여 비표면적이 작아 수분 흡/탈착량이 적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수축저감 및 유동성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지르코늄 실리카퓸은 상기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 강도의 발현율은 일반 마이크로 실리카퓸과 동등 이상의 품질을 발휘하기 때문에 종래의 마이크로 실리카퓸을 사용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비해 개선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실리카퓸 이외에 지르코늄 실리카퓸을 적용하여 도 3과 같이 점도와 유동성을 테스트하고 표면 품질을 달성할 수 있는 지르코늄 실리카퓸의 적용 범위를 도출하였다. 초속경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르코늄 실리카퓸의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이 되면 숏크리트의 점도가 증가하여 유동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지르코늄 실리카퓸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점도가 감소되고 유동성이 너무 높아져 가공면의 표면에서 숏크리트의 흐름에 의한 표면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급결제로는 초속경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알루미네이트(CaO-Al2O3), SiO2, Na2CO3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1~5 중량부를 사용한다. 급결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급결력이 저하되며, 급결제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작업성이 저하되고 분사되는 숏크리트의 뭉침이 발생된다.
칼슘알루이네이트는 CaO와 Al2O3로 이루어진 광물로 Ca(OH)2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혼합되면 신속하게 수화물을 형성하여 급속하게 경화되는 성질을 갖는다. 상기 급결제는 전체 급결제 중량 100 중량% 대비 칼슘알루미네이트 50 ~ 70 중량%, SiO210~20 중량% 및 Na2CO3 4~40 중량%의 조성을 가진다.
칼슘알루미네니트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급결력이 현저히 저하하고, 7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작업성이 낮아지고, 균열 저항성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이 3D 데이터에 따른 제조 목적물 표면에 숏크리트와 급결제를 스프레이 분사하여 표면가공함으로써 표면 특성이 우수한 최종 가공물을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제조목적물 3D 데이터 생성단계;
    3D 데이터에 따른 제조 목적물 적층단계;
    적층된 제조 목적물 표면을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하는 3D 스캔단계;
    3D 데이터에 따른 제조 목적물 표면에 숏크리트, 급결제의 혼합물를 스프레이 분사하는 표면가공단계; 및
    최종가공물 획득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숏크리트는 초속경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모래 100~200 중량부;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및 왕겨(Rice-Husk)의 혼합물 10~50 중량부;
    지르코늄 실리카퓸 20~30 중량부; 및
    배합수 20~3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콘크리트 3D 프린팅 구조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가공단계는 숏크리트 및 급결제의 혼합물을 스프레이 분사하기 전에 콘크리트용 섬유 분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콘트리트 3D 프린팅 구조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스캔단계는 라이더(LiDAR) 센서를 이용하여 3D 입체 제조 목적물의 적층 레이어 표면을 데이터화 하고, 작업대상 표면의 데이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3D 프린팅 구조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가공단계는 숏크리트, 급결제를 분사노즐 내의 혼합챔버에서 공기와 함께 혼합하여 표면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3D 프린팅 구조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결제로서 초속경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CaO-Al2O3, SiO2, Na2CO3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3D 프린팅 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20200146562A 2020-11-05 2020-11-05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활용한 분사식 건축용 3d 프린터 장치 KR102484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562A KR102484236B1 (ko) 2020-11-05 2020-11-05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활용한 분사식 건축용 3d 프린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562A KR102484236B1 (ko) 2020-11-05 2020-11-05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활용한 분사식 건축용 3d 프린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295A KR20220061295A (ko) 2022-05-13
KR102484236B1 true KR102484236B1 (ko) 2023-01-05

Family

ID=8158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562A KR102484236B1 (ko) 2020-11-05 2020-11-05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활용한 분사식 건축용 3d 프린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2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6607B2 (ja) * 2000-02-28 2012-04-18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吹付工法
JP2018199940A (ja) * 2017-05-26 2018-12-20 大成建設株式会社 積層構造物の施工方法、積層構造物および積層構造物施工装置
JP2020033723A (ja) * 2018-08-28 2020-03-05 鹿島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材料吹付装置及び吹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523B1 (ko) * 2010-10-15 2013-03-20 아세아시멘트주식회사 초고층 건축용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1738246B1 (ko) 2015-07-13 2017-05-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구조물
KR102031736B1 (ko) 2018-11-20 2019-10-14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건축 외장재의 제조를 위한 3차원 프린팅용 세라믹 복합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출력된 건축 외장재의 성능개선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6607B2 (ja) * 2000-02-28 2012-04-18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吹付工法
JP2018199940A (ja) * 2017-05-26 2018-12-20 大成建設株式会社 積層構造物の施工方法、積層構造物および積層構造物施工装置
JP2020033723A (ja) * 2018-08-28 2020-03-05 鹿島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材料吹付装置及び吹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295A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7027B (zh) 一种低收缩3d打印砂浆及其制备方法
CN109057078B (zh) 一种3d打印建筑保温隔声墙体的方法
US8747549B1 (en) Fly ash-based cementitious mixture
Peng et al. Development of alternative cementitious binders for 3D printing applications: A critical review of progress, advantages and challenges
KR10145562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US10669205B2 (en) Construction units in form of bricks, blocks or tiles made from recyclable materials and by-products, methods of making the construction units and their use
KR102484236B1 (ko)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활용한 분사식 건축용 3d 프린터 장치
KR100645293B1 (ko)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CN108609988B (zh) 一种利用萤石选矿废渣-石英尾渣生产加气混凝土砌块的方法
CN109400054A (zh) 一种再生混凝土及其加工工艺
JP6129941B1 (ja) タイル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944961B (zh) 制造混凝土制品与结构的方法
JP2019026539A (ja) 残存型枠用のプレキャストセ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11554987B2 (en) Methods for producing fiber cement products with fiber cement waste
CN110185193A (zh) 一种结构功能一体化混凝土的组合方法
KR102568213B1 (ko) 폐주물사를 포함하는 혼합 주물사 및 그의 제조방법
EP3305738A1 (en) Method for comminuting cured fiber cement material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iber cement product comprising recycled cured fiber cement powder
CN100384770C (zh) 低收缩加气砼
KR102656599B1 (ko) In-situ 이산화탄소 탄산화를 이용한 바닥용 모르타르의 제조방법
KR20060082828A (ko) 폐유리 미분말을 이용한 보수용 모르타르의 제조방법
Odaglia et al. Geopolymer Binder Jetting with Recycled Aggregates: Testing and Validation for Construction Applications
KR102611744B1 (ko) 해양 양식장 폰툰용 경량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20220075470A (ko) 3d 프린팅용 안료 함유 복합체
CN117865606A (zh) 一种高强度耐热混凝土及其生产工艺
CN115324303A (zh) 一种石膏基自流平砂浆地坪界面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