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293B1 -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293B1
KR100645293B1 KR1020050017811A KR20050017811A KR100645293B1 KR 100645293 B1 KR100645293 B1 KR 100645293B1 KR 1020050017811 A KR1020050017811 A KR 1020050017811A KR 20050017811 A KR20050017811 A KR 20050017811A KR 100645293 B1 KR100645293 B1 KR 100645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one
artificial stone
mortar composition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205A (ko
Inventor
정양호
Original Assignee
피티엘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티엘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티엘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293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 B28B1/04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93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directly acting on the material, e.g. by cores wholly or partly immersed in the material or elements ac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2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2Waste materials; Refuse from quarries, min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 모르타르와 천여석의 폐쇄석 또는 인공 골재를 사용한 인조석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열성이 약하고 제조비용이 고가이며 장기간의 내후성에 약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채석장 폐기물로서 천연석 쇄석을 마련하는 공정, 트리칼슘알루미네이트(3CaO·5Al2O3) 30∼50중량%, 트리칼슘실리케이트(3CaO·SiO2) 35∼45중량%,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4CaO·3Al2O3·SO3) 10∼15중량% 및 칼슘(철, 마그네슘)실리케이트((Ca, Fe, Mg)SiO3) 5∼15중량%로 이루어진 시멘트계 바인더 30∼45중량%, 세골재 45∼65중량%, 흄드 실리카, 플라이애쉬 또는 인조석 판재 재단 시에 발생하는 슬러지인 혼화재 5∼10중량%로 이루어지고, 그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동화제 0.05∼0.5중량부 및 무기질 안료 0.1∼3.0중량부를 첨가한 모르타르 조성물을 마련하는 공정, 소정 형상의 몰드내에 상기 쇄석을 투입한 후, 물을 첨가하여 스럼프가 조절된 모르타르 조성물을 주입하는 공정, 몰드내 주입된 쇄석의 공격내에 모르타르가 충진되도록 몰드를 진동시켜 다지는 공정, 소정의 기간동안 양생시켜 절단 및 가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인조석을 저렴하게 제조 가능하며, 천연석 판재의 대체품으로 내외장재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시멘트계 바인더, 인조석 모르타르, 방수성, 내동해성 내열성, 내백화성, 유동화제, 세골재, 쇄석

Description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Mortar compositions for artificial stone and a method for making of the artificial ston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제조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제조장치에 따른 인조석의 제조 과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제조 장치의 개념도.
[부호의 설명]
1, 10 : 몰드
2 : 천연석 쇄석
3 : 모르타르 조성물
4 : 진동자
5 : 진동자 프레임
20 : 진동판
23 : 모터부
본 발명은 시멘트계 바인더를 사용한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 모르타르와 천연석의 폐쇄석 또는 인공 골재를 사용한 인조석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 구조물의 고급 내부 마감재로서 사용되는 천연 대리석은 외관이 수려하여 건축물의 고급스러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 반면에 예를 들어 계단석의 윗면, 앞면, 측면 등을 천연 대리석으로 형성하는 경우 계단석의 두께 증가로 인해 가격이 고가로 되어 건축물의 시공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 천연 대리석의 계단석 윗면에 논슬립(non-slip)을 형성하는 작업시 크랙(crack)이 발생하여 불량품으로 처리되어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조 대리석이 제안되고 있다.
인조석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해 현재까지 알려진 공지 기술 가운데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234037호에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고 여기에 무기질 충진제나 착색제를 첨가하여 인조석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1-322855호, 동 2001-181002호 및 동 2000-146451에서는 메타아크릴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바인더로 사용하고 무기질 충진제로 수산화알루미나, 금속 칩, 광석 분말 또는 쇄석 분체 등을 골재로 혼합하여 인 조석을 제조하는 방법, 동 2000-203923호에서는 제철슬래그와 CaO의 탄산화 반응으로 생성되는 CaCO3를 바인더로 이용하는 방법, 동 2000-159578호는 화강암 쇄석을 용융시켜 주조, 압연, 플로법 등으로 인조석을 제조하였고,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060319호, 동 평9-255455호에서는 시멘트를 고화제로 사용하여 유리입자나 기타 무기질 골재를 사용하여 인조석을 제조하는 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4-57024호의 인조석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디칼슘 실리케이트(2CaO·SiO2), 트리칼슘실리케이트(3CaO·SiO2), 칼슘알루미나실리케이트(CaO·Al2O3·2SiO2) 및 석고(CaSO4)로 이루어진 포틀랜드 시멘트계 혼합물 약 85∼94중량%에 입자크기가 약 0.1㎛이하의 흄드 실리카 약 1∼5중량% 및 섬유상 광물질로서, 장축과 단축의 비가 1/20이하이며 장축의 길이가 약 100㎛이상인 울라스토나이트(CaSiO3) 약 5∼10중량%를 상온에서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 100중량%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며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가진 천연광석 혼합물 약 1∼5중량%를 첨가하여 고강도 및 속경성 인조석 조성물의 새롭고도 진보된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제조방법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 바인더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상기 종래 기술의 방법은 내열성이 약하고 제조비용이 고가이며 장기간의 내후성에 약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 상기 공지기술에 있어서는 석고 등을 사용하므로, 탄산화 반응이나 암석의 재 용융방법은 강도가 약하거나 제조비용이 고가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 편 시멘트를 바인더로 사용하는 방법이 비교적 제조비용이나 내열성 면에서 유리하나 일반 포트랜드 시멘트의 강도 및 양생기간 등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인조 대리석에 있어서는 천연 대리석과 다른 질감을 나타내는 문제가 있으며, 표면이 긁히는 경우 인조 대리석임이 표출되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인조석의 표면이 자연석의 색조를 띄고 강도, 방수성, 내열성, 내동해성 및 내백화성 등이 우수한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조석 모르타르를 단기간에 양생, 탈형하여 천연석의 형상 및 색조와 거의 동일한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트리칼슘알루미네이트(3CaO·5Al2O3), 트리칼슘실리케이트(3CaO·SiO2),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4CaO·3Al2O3·SO3), 및 칼슘(철, 마그네슘)실리케이트(Ca, Fe, Mg)SiO3로 이루어진 시멘트계 바인더 30∼45중량%, 세골재 45∼65중량%, 혼화재 5∼10중량%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모르타르 조 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동화제 0.05∼0.5중량부 및 무기질 안료 0.1∼3.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세골재는 입자크기가 5mm이하인 천연 석재 가공 시에 발생하는 분체 또는 강모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화재는 흄드 실리카, 플라이애쉬 또는 인조석 판재 재단 시에 발생하는 슬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착색재로 사용되는 무기질 안료는 적색 및 흑색안료의 주성분이 철산화물인 Fe2O3 또는 Fe3O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의 제조 방법은 채석장 폐기물을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채석장 폐기물로서 천연석 쇄석을 마련하는 공정, [b] 트리칼슘알루미네이트(3CaO·5Al2O3), 트리칼슘실리케이트(3CaO·SiO2),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4CaO·3Al2O3·SO3), 및 칼슘(철, 마그네슘)실리케이트(Ca, Fe, Mg)SiO3로 이루어진 시멘트계 바인더 30∼45중량%, 세골재 45∼65중량%, 혼화재 5∼10중량%로 이루어지고, 그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동화제 0.05∼0.5중량부 및 무기질 안료 0.1∼3.0중량부를 첨가한 모르타르 조성물을 마련하는 공정, [c] 소정 형상의 몰드내에 상기 쇄석을 투입한 후, 물을 첨가하여 스럼프가 조절된 상기 모르 타르 조성물을 주입하는 공정, [d] 상기 공정[c]에 의해 몰드내 주입된 상기 쇄석의 공격내에 상기 모르타르가 충진되도록 상기 몰드를 진동시켜 다지는 공정, [e] 상기 공정[d] 후, 소정의 기간동안 양생시켜 절단 및 가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럼프의 조절은 물/모르타르의 비가 0.2∼0.4인 상태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b]의 모르타르 조성물의 마련시 혼화재 또는 착색재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쇄석의 크기는 5∼20㎝이고, 상기 공정[c]에서 투입되는 쇄석의 공격율은 50∼7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쇄석과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은 상기 몰드내에 삽입된 진동자에 의해 다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쇄석과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은 상기 몰드 자체의 진동에 의해 다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계 바인더의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계 바인더의 조성물은 트리칼슘알루미네이트(3CaO· 5Al2O3), 트리칼슘실리케이트(3CaO·SiO2),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4CaO·3Al2O3·SO3), 및 칼슘(철, 마그네슘)실리케이트(Ca, Fe, Mg)SiO3 로 구성된 고강도 속경성 시멘트이다.
이 시멘트계 바인더의 화학분석치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시멘트계 바인더의 화학분석치
성분 (중량%) CaO Al2O3 SiO2 MgO Fe2O3 K2O Na2O TiO2 SO3 기타
시멘트 55.4 13.6 7.1 1.6 2.4 0.46 0.32 0.61 8.2 10.31
※ 표 1에서 기타는 결정수, 흡착수 및 기타 화학성분임.
또, 본 발명에 따른 속경성 시멘트 조성물의 구성비율은 대체로 트리칼슘알루미네이트(3CaO·5Al2O3)가 30∼50중량%, 트리칼슘실리케이트(3CaO·SiO2) 35∼45중량%,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4CaO·3Al2O3·SO3) 10∼15중량%, 칼슘(철, 마그네슘) 실리케이트((Ca, Fe, Mg)SiO3) 5∼15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시멘트계 바인더를 사용한 인조석 모르타르의 조성물은 시멘트계 바인더 30∼45중량%, 세골재 45∼65중량%, 혼화재 5∼10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 모르타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동화제(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 상품명 시카멘트 2500F) 0.05∼0.5중량부, 무기질 안료 0.1∼3.0중량부를 첨가하고 물/모르타르 비가 약 0.2∼0.4되게 물을 첨가하여 인조석 모르타르를 제조하였다. 상기한 유동화제는 모르타르의 슬럼프 조절은 물론 시멘트 수 화경화물의 내부의 수밀성을 증가시켜 제품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인조석 모르타르 조성물의 구성성분 중 시멘트계 바인더의 구성비를 30∼45중량%로 한정한 것은 30%이하 조성에서는 인조석의 충분한 강도를 얻기가 어렵고 45%이상 첨가 시에는 급격한 속경성과 과다한 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다. 혼화재의 첨가량은 5%이하의 첨가 시는 강도 증가 등의 효과가 적고 10%이상의 과잉 첨가는 비용 증가와 필요 이상의 물성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골재의 조성은 상기한 시멘트계 바인더 및 혼화재의 구성비와 밸런스를 맞춘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계 바인더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조성물에 있어서 세골재는 입자크기 5mm이하인 현무암 또는 화강암 등 석재 가공 시에 발생하는 분체 또는 강모래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계 바인더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조성물에 있어서 혼화재로 사용되는 재료는 흄드 실리카, 플라이애쉬 및 본 발명의 인조석 판재 재단 시에 발생하는 슬러지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계 바인더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조성물에 있어서 착색재로 사용되는 무기질 안료는 적색 및 흑색안료의 주성분이 철산화물인 Fe2O3 및 Fe3O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계 바인더를 사용한 인조석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1 및 도 2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제조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조 장치에 따른 인조석의 제조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가공하기 위해 소정의 형상으로 제작된 몰드이다. 즉, 몰드(1)은 인조석의 형상에 특정되어 제작된 것으로서 그 크기 및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2)는 일반 채석장 등에서 채석 후 폐기물로 발생되는 현무암, 화강암 등의 다양한 형태의 천연석 쇄석이고, (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인조석용 모르타르의 조성물이다.
(4)는 몰드(1)내에 다수개 마련된 진동자이고, (5)는 진동자(4)가 고정된 진동자 프레임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진동수단에 의해 다수개의 진동자(4)가 일체로 전후 좌우 또는 상하로 진동함과 동시에 이동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현무암 화강암 등의 채석장 폐기물로서 크기가 약 5∼20㎝인 천연석 쇄석(2)을 마련한다(스텝S10). 이 천연석 쇄석(2)을 2400㎜(길이)×1200㎜(폭)×500㎜(높이)로 마련된 장방형의 몰드(1)에 투입한다. 이 때, 투입되는 천연석 쇄석(2)의 공격율은 약 50∼70%되게 장입한다(스텝S20).
다음에, 장방형의 몰드(1)내에 장입된 천연석 쇄석(2)의 공격내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계 바인더 모르타르의 조성물(3)(첨가제 및 물 포함)을 주입한다(스텝S30). 이 때, 물/모르타르의 비를 0.2∼0.4로 하여 모르타르 의 스럼프를 조절한 후 주입한다.
그 후, 진동자(4)가 장착된 진동자 프레임(5)을 몰드(1)의 상부로 이동시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진동자(4)가 천연석 쇄석(2)과 모르타르 조성물(3) 사이에 위치하도록, 진동자(4)를 몰드(1)내에 삽입한다(스텝S40).
그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진동 수단을 가동시켜 진동자 프레임(5)이 작동하고, 이에 따라 진동자(4)의 진동이 개시된다. 진동자(4)는 약 5∼10분간 가동하며, 모르타르 조성물(3)이 천연석 쇄석(2) 사이의 빈 공격에 최대충진 상태로 되도록 치밀하게 다진다(스텝S50).
천연석 쇄석(2)의 공격내에 모르타르 조성물(3)이 치밀하게 다져지면, 3일 내지 7일 동안 1차 양생 과정을 거친 후 몰드(1)를 탈형한다(스텝S60).
그 후, 고강도로 양생된 인조석을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예를들어 1200㎜(길이)×600㎜(폭)×30㎜(두께)로 판재 형상으로 절단한다(스텝S70).
다음에, 판재형상으로 가공된 인조석을 28일 양생기간을 갖도록 나머지 21일 내지 25일간 2차 양생 및 자연 건조시켰다(스텝S8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인조석 판재에 대해 강도, 내열성, 내동해성, 내약품성 등의 여러 가지 물성의 조사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인조석 판재의 물성
시험항목 측정결과
인장강도 90㎏/㎠
휨강도 130㎏/㎠
압축강도 300㎏/㎠
흡수율 0.5%
내동해성 이상없음
내약품성 이상없음(5%황산용액)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 인조석의 조성물은 고강도와 속경화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종류의 인조석에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라 인조석을 제조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석용 모르타르의 조성물의 제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에 있어서,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드이고, (11)은 몰드(10)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된 저항돌기이다.
(20)은 몰드(10)의 크기에 대응하여 마련된 진동판이며, (21)은 진동판(20)상에 그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마련되고, 몰드(10)의 진동시 몰드(10)의 하부에 마련된 저항돌기(11)의 범위내에서 몰드(10)의 전후의 진동범위를 한정시키는 돌출부이다.
또, 도 3의 실시예는 생략되었지만, 몰드(10)의 좌우로의 이동범위를 한정시키기 위해 진동판(21)의 좌우 방향에 제한 부재를 마련해도 좋다.
(22)는 진동판(20)의 전후 좌우의 진동을 실행시키기 위해 진동판(20)의 하부에 장착된 결합부재이고, (23)은 결합부재(22)에 결합되어 진동판(20)을 전후 또는 좌우로 진동시키는 모터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진동 수단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인조석의 제조공정은 도 1에 도시한 장치에 의한 공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실행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조석의 종류로서 평석 또는 평판을 제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용도에 따라 인조석 타일, 경계석, 논슬립형 인조석, 공원용 의자 및 탁자, 방화문, 주두, 기둥, 좌대, 몰링, 장식석, 브라켓, 난간동자 등의 제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유기 바인더인 수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조석을 저렴하게 제조 가능하며, 천연석 판재의 대체품으로 내외장재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은 무기질 시멘트계 바인더, 천연석 골재 및 안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므로, 강도, 방수성, 내열성, 내동해성 및 내백화성이 우수하게 된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Claims (11)

  1. 트리칼슘알루미네이트(3CaO·5Al2O3) 30∼50중량%, 트리칼슘실리케이트(3CaO·SiO2) 35∼45중량%,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4CaO·3Al2O3·SO3) 10∼15중량% 및 칼슘(철, 마그네슘)실리케이트((Ca, Fe, Mg)SiO3) 5∼15중량%로 이루어진 시멘트계 바인더 30∼45중량%, 세골재 45∼65중량%, 흄드 실리카, 플라이애쉬 또는 인조석 판재 재단 시에 발생하는 슬러지인 혼화재 5∼10중량%를 포함하는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동화제 0.05∼0.5중량부 및 무기질 안료 0.1∼3.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골재는 입자크기가 5mm이하인 천연 석재 가공 시에 발생하는 분체 또는 강모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재로 사용되는 무기질 안료는 적색 및 흑색안료의 주성분이 철산화물인 Fe2O3 또는 Fe3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6. 채석장 폐기물을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채석장 폐기물로서 천연석 쇄석을 마련하는 공정,
    [b] 트리칼슘알루미네이트(3CaO·5Al2O3) 30∼50중량%, 트리칼슘실리케이트(3CaO·SiO2) 35∼45중량%,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4CaO·3Al2O3·SO3) 10∼15중량% 및 칼슘(철, 마그네슘)실리케이트((Ca, Fe, Mg)SiO3) 5∼15중량%로 이루어진 시멘트계 바인더 30∼45중량%, 세골재 45∼65중량%, 흄드 실리카, 플라이애쉬 또는 인조석 판재 재단 시에 발생하는 슬러지인 혼화재 5∼10중량%로 이루어지고, 그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동화제 0.05∼0.5중량부 및 무기질 안료 0.1∼3.0중량부를 첨가한 모르타르 조성물을 마련하는 공정,
    [c] 소정 형상의 몰드내에 상기 쇄석을 투입한 후, 물을 첨가하여 스럼프가 조절된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을 주입하는 공정,
    [d] 상기 공정[c]에 의해 몰드내 주입된 상기 쇄석의 공격내에 상기 모르타르가 충진되도록 상기 몰드를 진동시켜 다지는 공정,
    [e] 상기 공정[d] 후, 소정의 기간동안 양생시켜 절단 및 가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럼프의 조절은 물/모르타르의 비가 0.2∼0.4인 상태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b]의 모르타르 조성물의 마련시 혼화재 또는 착색재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의 크기는 5∼20㎝이고,
    상기 공정[c]에서 투입되는 쇄석의 공격율은 5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의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과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은 상기 몰드내에 삽입된 진동자에 의해 다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의 제조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과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은 상기 몰드 자체의 진동에 의해 다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의 제조 방법.
KR1020050017811A 2005-03-03 2005-03-03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KR100645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811A KR100645293B1 (ko) 2005-03-03 2005-03-03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811A KR100645293B1 (ko) 2005-03-03 2005-03-03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205A KR20060096205A (ko) 2006-09-11
KR100645293B1 true KR100645293B1 (ko) 2006-11-14

Family

ID=3762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811A KR100645293B1 (ko) 2005-03-03 2005-03-03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2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340A (ko) * 2018-12-19 2020-06-29 (주)에이씨엠텍 저탄소 저온 소성형 시멘트 클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331136B1 (ko) 2021-05-27 2021-11-25 윤영식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및 화산석을 포함하는 인조석 판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708B1 (ko) * 2010-12-09 2011-08-12 주식회사 웅진석재건설 인조현무암 블럭의 제조방법
KR102081985B1 (ko) * 2016-04-12 2020-02-27 (주)엘지하우시스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991588A (zh) * 2021-10-18 2023-04-21 庄继昌 以废矿渣制造的人造石及其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625A (ja) * 1993-06-25 1995-01-13 Central Glass Co Ltd セメントモルタル調製物
KR20010028551A (ko) * 1999-09-21 2001-04-06 명호근 초미립자 시멘트를 사용한 연속섬유보강 시멘트
KR20040069154A (ko) * 2003-01-28 2004-08-04 칭 다오 피티엘 켐 리미티드 고강도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널의 제조방법
KR20040069521A (ko) * 2003-01-29 2004-08-06 칭 다오 피티엘 켐 리미티드 흙 고화재 및 이를 이용한 흙의 고화방법
KR20050073239A (ko) * 2004-01-09 2005-07-13 칭 다오 피티엘 켐 리미티드 고강도 바닥 패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625A (ja) * 1993-06-25 1995-01-13 Central Glass Co Ltd セメントモルタル調製物
KR20010028551A (ko) * 1999-09-21 2001-04-06 명호근 초미립자 시멘트를 사용한 연속섬유보강 시멘트
KR20040069154A (ko) * 2003-01-28 2004-08-04 칭 다오 피티엘 켐 리미티드 고강도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널의 제조방법
KR20040069521A (ko) * 2003-01-29 2004-08-06 칭 다오 피티엘 켐 리미티드 흙 고화재 및 이를 이용한 흙의 고화방법
KR20050073239A (ko) * 2004-01-09 2005-07-13 칭 다오 피티엘 켐 리미티드 고강도 바닥 패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340A (ko) * 2018-12-19 2020-06-29 (주)에이씨엠텍 저탄소 저온 소성형 시멘트 클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134470B1 (ko) 2018-12-19 2020-07-16 (주)에이씨엠텍 저탄소 저온 소성형 시멘트 클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331136B1 (ko) 2021-05-27 2021-11-25 윤영식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및 화산석을 포함하는 인조석 판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205A (ko) 2006-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655B2 (en) Slag concrete manufactured aggregate
US6913645B2 (en) Cementitious material
US6610224B2 (en) Processes for producing monolithic architectural cementitious structures having decorative aggregate-containing cementitious surfaces
US20060042505A1 (en) Pigment paste for concret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695560B1 (en) Strong, lower density composite concrete building material with foam glass aggregate
EP0692464A1 (en) Cement type kneaded molded article having high bending strength and compressive strength,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US20050103234A1 (en) Cementitious composition
KR100645293B1 (ko) 인조석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US5478390A (en) Cuttable concrete, its process of manufacture and its process of molding
KR100230022B1 (ko) 토양고화제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KR100967077B1 (ko) 암석 노출 콘크리트 건자재의 제조방법
JP2002285667A (ja) 埋設型枠用ボード
EP0749404A1 (en) Mortar composition
KR100538373B1 (ko) 인조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074144C1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химически стойкого кремнебетона автоклавного твердения
JP3242623B2 (ja) 壁構造
RU2147017C1 (ru) Бетонная смесь,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бетонной смеси, форма для бетонной смеси
JPH07172894A (ja) 人造石及びその製造方法
JP2832417B2 (ja) 装飾性を有する遠心成形製品の製造方法
JP2003095724A (ja) 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及び固化体
RU213231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цветной брусчатки
RU2238251C2 (ru)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магнезиального вяжущего
JP2002201060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73272A1 (en) Concrete composition
JPH01249639A (ja) 板状施釉コンクリートまたはモルタル硬化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