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600B1 -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 Google Patents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600B1
KR102482600B1 KR1020200096532A KR20200096532A KR102482600B1 KR 102482600 B1 KR102482600 B1 KR 102482600B1 KR 1020200096532 A KR1020200096532 A KR 1020200096532A KR 20200096532 A KR20200096532 A KR 20200096532A KR 102482600 B1 KR102482600 B1 KR 102482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optical
assembly
field assembly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6533A (ko
Inventor
전건익
강필순
박찬설
Original Assignee
유씨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씨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6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600B1/ko
Priority to PCT/KR2021/006067 priority patent/WO2021246679A1/ko
Publication of KR2022001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량의 데이터를 단일의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로 전송받고, 이를 다수의 사용처에 다수의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를 통해 분기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 다수의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가 조립형 형태로 다수의 홈이 함몰형성된 케이스 내에 분할 및 구분되어 보관되어 있도록 함으로서, 광케이블 및 커넥터 설치가 필요한 현장에 휴대하여, 현장의 설치거리에 맞게 현장조립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의 설치거리와 사전조립된 완제품을 가져간 경우, 상호간의 길이가 맞지 않아 발생되는 여러문제가 사전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Field assembled fiber optic Breakout kit}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광섬유 분기 키트를 이용하여, 현장 조건에 맞게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조립설치할 수 있도록 한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정보화 사회에 있어 통신망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이 발달하고 음성이나 동영상 등과 같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정보의 처리량 및 처리속도의 증가가 요구되면서 통신망의 확장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의 동축케이블 대신 광케이블(Optical Cable)을 사용하게 되며, 광케이블의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광통신이란 굴절률이 큰 속 유리의 코어와 굴절률이 작은 겉 유리의 클래딩으로 이루어진 광섬유를 통해 빛 신호를 주고 받는 통신을 말한다. 광통신에 이용되는 광섬유는 외부의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나 혼선이 없어 도청이 힘들고, 소형 및 경량으로 굴곡에 강하며, 하나의 광섬유에 많은 통신회선을 수용할 수 있어 외부환경의 변화에도 강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광케이블은 이러한 광섬유를 여러 가닥으로 묶어서 케이블로 만든 것으로, 광케이블을 통해 동시에 많은 양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다채널 광 커넥터는 양끝단이 MPO(Multi-fiber Push On) 커넥터로 12개의 광섬유가 하나의 커넥터로 구성된 MPO 패치 코드와 양끝단 중 다른 한쪽단이 각 채널별로 나눠진 개별 커넥터 타입의 하이브리드 패치코드를 포함한다.
하지만, 기존에 이러한 완제품 형태의 다채널 광 커넥터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데이터 센터 등 광케이블 및 커넥터 설치 현장에서의 설치 전체 길이가, 현장으로 운송해간 완제품 광 커넥터의 총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설치 자체를 할 수가 없어 설치된 것을 회수해서 다른것으로 재설치를 해야 했고,
완제품 광 커넥터 어셈블리의 총 길이가 현장의 설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여장이 남기 때문에 완제품의 여장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장치를 설치하여야 했다.
이에, 작업자는 사전에 알려진 현장의 설치 길이보다 전반적으로 더 긴 길이의 광케이블을 준비하지만, 결국 사용하지 않아도 될 여장의 부분까지 사용하게 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95043호(2018.08.29.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센터 등 각종 현장에서 광케이블을 설치함에 있어서, 리본형 다심 광커넥터,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 단심과 다심 광커넥터를 상호간 연결하기 위한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가 조립형 형태로 단일의 분기 키트 내에 모두 구비되어 있도록 함으로서, 기존에 사전조립된 광커넥터 완제품을 사용할시 발생되었던 문제(현장에서의 설치길이가 더 길거나 또는 짧을 경우) 없이, 작업자가 현장에서 곧바로 현장의 광케이블 설치거리에 맞게 정확하고 손쉽게 광케이블 및 커넥터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리가 짧아 운송했던 광커넥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거나, 또는 길이가 너무 길어 현장에서 여장처리하는 작업이 필요없이 현장에서 광케이블을 설치한 후 정확한 길이를 커팅하여 사용함으로써 낭비되는 잔여 케이블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착탈가능한 커버가 구비되며, 지면과 이격되도록 상부로 돌출된 돌출면(21)을 상부에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20);
상기 돌출면(21)에 함몰 형성되어, 리본타입의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가 장착삽입되되, 상기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를 조립하기 위한 구성품들이 보관된 보조 키트(31)가 장착되는 제 1장착부(30);
상기 돌출면(21)에 함몰 형성되어,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를 조립할 수 있는 구성품이 개별적으로 또는 상호간 조립되어 장착삽입되는 제 2장착부(40);
상기 돌출면(21)에 링 형태로 함몰되되,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와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를 양단에 각각 연결하여, 대량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광케이블 및 장비의 부피를 감소시키면서 단일의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로 전달받되,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처에 분기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가 장착되는 제 3장착부(50); 로 구성되어,
광케이블 설치가 필요한 현장에 휴대되어 현장조립되는 것으로, 현장에서 광케이블 설치가 필요한 설치길이만큼 광케이블의 길이를 절단하고, 그 일단에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를 융착조립하고 타단에는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를 조립한 후,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를 융착하여 조립사용함으로써, 기존에 사전조립된 완제품을 사용시 현장의 설치길이와 광케이블의 길이가 상이하여,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사용이 불가능한 광케이블의 여분이 남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장에서 광케이블과 커넥터를 휴대하여 조립설치할 수 있으며, 현장의 설치거리에 맞게 정확하고 손쉽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의 설치거리와 사용하고자 하는 완제품의 전체길이가 상이한 경우,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사용못하고 버리는 잔여 케이블이 발생하는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고 이송 및 운반이 손쉬우며, 투명재질을 통해 내부 구성품의 잔여 개수 및 내용물의 파악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의 케이스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도 1의 케이스에 각 부품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 및 팬아웃 커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5,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사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는 하부 케이스(20), 제 1장착부(30), 제 2장착부(40), 제 3장착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20)는 지면과 이격되도록 상부로 돌출된 돌출면(21)을 상부에 형성하는 케이스이며, 후술될 제 1, 2, 3장착부(30, 40, 50)를 돌출면(21)에 함몰형성하여, 광케이블 및 광커넥터 설치에 필요한 여러 구성품들이 상호간 구획으로 분할되어 보관 및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하부 케이스(20)의 상부에는 착탈가능한 커버(미도시)가 구비되며, 이러한 커버는 돌출면(21)에 대응되도록, 돌출면(21)이 대응되며 끼워지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 자 단면을 가진다.
이러한 하부 케이스(20) 및 커버는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의 구성품을 외부에서 바로 식별가능토록 할 수 있지만, 이는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제 1장착부(30)는 전술된 하부 케이스(20)의 돌출면(21)에 저면까지 함몰 형성되어, 리본타입의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MPO(Multi Path Push On Connector), 다채널 광커넥터) 가 장착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제 1장착부(30)는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가 장착되는 것이되, 정확히는 상기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를 조립하기 위한 구성품들이 보관된 보조 키트(31)가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제 2장착부(40)는 돌출면(21)에 함몰 형성되어,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LC, Lucent Connector)를 조립할 수 있는 구성품이 개별적으로 장착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 2장착부(40)는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를 조립하기 위한 다수의 구성품(조립품)들이 각기 구별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며, 제 1, 2, 3, 4, 5홈(41, 42, 43, 51, 52)을 돌출면(21) 상, 하단 테두리 측에 함몰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 1홈(41)은 다수의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Sub Ass'y)가 장착되는 것으로 다수의 홈이 횡과 종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며 다수 파여져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는 일단에 광섬유가 보호필름에 보호되어 돌출되고, 타단에는 별도의 보호캡이 씌워진 채로 장착되어, 사용시에는 보호필름을 일부제거하고, 보호캡은 탈거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 1홈(41)에 장착되는 상기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의 경우,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가 바로 제 1홈(41)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패키지부(90)에 사전장착되어 고정된 이후에 이러한 패키지부(90)가 제 1홈(41)에 장착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패키지부(90)는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가 부동되도록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와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91)이 함몰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91)에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가 삽입장착된 이후에는 상면에 보호 테이프(92)가 덮여지는 형태이다.
상기 제 2홈(42)은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의 일단에 체결되는 프레임(72)(Frame)이 보관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 3홈(43)은 프레임(72)의 일단에 대응체결되는 스크류 캡 서브 어셈블리(76)가 보관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스크류 캡 서브 어셈블리(76)는 상기 프레임(72)의 일단에 대응체결되는 스크류 캡(73)(Screw Cap), 상기 스크류 캡(73)의 일단에 대응되며 끼움체결되는 부트(74)(Boot), 상기 부트(74)의 내부에 일단이 끼워지면서,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의 광섬유와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의 광섬유 융착부분을 보호하는 보호 튜브(75)(Protection tube)로 이루어진다.
즉,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의 일단에 전술된 프레임(72), 스크류 캡(73), 부트(74), 보호 튜브(75)가 연속으로 체결되어 조립됨으로서, 단일의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가 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크류 캡 서브 어셈블리(76)가 결합되지 않고 각각 분리된 형태인 스크류캡(73), 부트(74), 보호튜브(75)로 구성될 수도 있음이다.)
물론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가 다수개이므로, 프레임(72), 스크류 캡(73), 부트(74), 보호 튜브(75)로 이루어지는 스크류 캡 서브 어셈블리(76) 또한 다수개여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광섬유 가닥(ex: 8, 12 등)에 대응되는 개수가 보관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제 3장착부(50)는 돌출면(21)에 링 형태로 함몰되되,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와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를 양단에 각각 연결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광케이블의 설치부피를 감소시키면서 단일의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로 전달받되,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처에 분기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Fanout Plug Ass'y)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는 광섬유선인 다수의 선으로 이루어진 코드(82)과 상기 코드(82) 일단에 다수의 각 코드(82)를 개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홀이 형성되면서, 다수의 코드(82)를 일체로 묶어주는 플러그(81) 부분으로 구성된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제 3장착부(50)는 지면까지 전술된 바와 같이 링 형태로 함몰형성되어,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가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되, 상기 제 1장착부(30)가 제 3장착부(50) 상부측 일부와 국부적으로 겹쳐지면서, 상기 제 3장착부(5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깊이로 함몰형성되어 있도록 배치할 수 있음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와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의 연결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품 보관용 제 4홈(51), 제 5홈(52)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 4홈(51)은 전술된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의 코드선(61)의 광섬유는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의 플러그(81) 부분에 대응되며 끼워지고, 상기 다수의 광섬유(85) 각각에 끼움장착되는 다수의 슬리브(84)가 보관되는 홈이다.
상기 제 5홈(52)은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와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의 플러그(81)의 연결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팬아웃 커버(83) 구성품들이 보관되는 홈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링 형태로 함몰된 제 3장착부(50) 중앙에 형성된 돌출면(21)에 상기 제 5홈(52)이 형성되어,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에 바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 5홈(52)을 제 3장착부(50) 근처에 형성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는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 각각의 조립을 위한 구성품이 분할되어 정리된 상태로 보관되는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이다.
상기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는 다수의 광섬유를 하나의 커넥터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다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광케이블 부피를 감소시켜 전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광커넥터이고, 상기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는 단일의 광섬유를 하나의 커넥터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광커넥터이며, 상기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는 일단에 형성된 플러그(81)(Plug)의 일면에 상기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의 다수 광섬유가 개별조립되며 융착되어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81)의 타단에는 연결된 광섬유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분기되는 코드(82)가 연장형성되어, 각 코드(82)마다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가 개별로 융착되면서 연결되어, 단일의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로 전달받고, 이를 사용처에 분기하여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광섬유가 융착되는 부분은, 별도의 휴대가 가능한 융착장치 또는 다양한 융착수단을 통해 이러한 연결이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는 광케이블 설치가 필요한 현장에 휴대되어 현장조립되는 것으로, 현장에서 광케이블 설치가 필요한 설치길이만큼 광케이블의 길이를 절단하고, 그 일단에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를 융착조립하고 타단에는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를 조립한 후,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를 융착하여 조립사용함으로써, 기존에 사전조립된 완제품을 사용시 현장의 설치길이와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 또는 광케이블의 길이가 상이하여,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사용이 불가능한 광케이블의 여분이 남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에서는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 또는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가 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하부 케이스 21: 돌출면
30: 제 1장착부 31: 보조 키트
40: 제 2장착부 41: 제 1홈
42: 제 2홈 43: 제 3홈
50: 제 3장착부 51: 제 4홈
52: 제 5홈 60: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
61: 코드선 70: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
71:단심형 서브어셈블리 72: 프레임
73: 스크류 캡 74: 부트
75: 보호튜브 76: 스크류 캡 서브 어셈블리
81: 플러그 82: 코드
83: 팬아웃 커버 84: 슬리브
85: 광섬유

Claims (10)

  1. 착탈가능한 커버가 구비되며, 지면과 이격되도록 상부로 돌출된 돌출면(21)을 상부에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20);
    상기 돌출면(21)에 함몰 형성되어, 리본타입의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가 장착삽입되되, 상기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를 조립하기 위한 구성품들이 보관된 보조 키트(31)가 장착되는 제 1장착부(30);
    상기 돌출면(21)에 함몰 형성되어,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를 조립할 수 있는 구성품이 개별적으로 또는 상호간 조립되어 장착삽입되는 제 2장착부(40);
    상기 돌출면(21)에 링 형태로 함몰되되,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와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를 양단에 각각 연결하여, 대량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광케이블 및 장비의 부피를 감소시키면서 단일의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로 전달받되,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처에 분기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가 장착되는 제 3장착부(50); 로 구성되어,
    광케이블 설치가 필요한 현장에 휴대되어 현장조립되는 것으로, 현장에서 광케이블 설치가 필요한 설치길이만큼 광케이블의 길이를 절단하고, 그 일단에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를 융착조립하고 타단에는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를 조립한 후,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를 융착하여 조립사용함으로써, 기존에 사전조립된 완제품을 사용시 현장의 설치길이와 광케이블의 길이가 상이하여,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사용이 불가능한 광케이블의 여분이 남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의 코드선(61)의 광섬유는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의 플러그(81) 부분에 대응되며 끼워지고, 상기 다수의 광섬유(85) 각각에 끼움장착되는 다수의 슬리브(84)가 보관되는 제 4홈(51);
    상기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와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의 플러그(81) 연결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팬아웃 커버(83) 구성품들이 보관되는 제 5홈(5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장착부(40)는
    다수의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가 장착되는 다수의 제 1홈(41);
    상기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의 일단에 체결되는 프레임(72)이 보관되는 제 2홈(42);
    상기 프레임(72)의 일단에 대응체결되는 스크류 캡 서브 어셈블리(76)가 보관되는 제 3홈(43);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캡 서브 어셈블리(76)는
    상기 프레임(72)의 일단에 대응체결되는 스크류 캡(73);
    상기 스크류 캡(73)의 일단에 대응되며 끼움체결되는 부트(74);
    상기 부트(74)의 내부에 일단이 끼워지면서,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의 광섬유와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의 광섬유 융착부분을 보호하는 보호 튜브(7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는
    상기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가 부동되도록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와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91)을 형성하고, 고정홈(91)에 단심형 서브어셈블리(71)가 삽입장착된 이후에는 상면에 보호 테이프(92)가 덮여지는 패키지부(90)에 사전장착된 후, 상기 패키지부(90)가 제 1홈(41)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장착부(50)는 지면까지 링 형태로 함몰형성되어,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가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고, 상기 제 1장착부(30)는 제 3장착부(50) 일부와 국부적으로 겹쳐지면서, 상기 제 3장착부(5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깊이로 함몰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는
    다수의 광섬유를 하나의 커넥터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다량의 데이터를 부피를 감소시켜 전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본타입의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
    단일의 광섬유를 하나의 커넥터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
    일단에 형성된 플러그(81)의 일면에 상기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의 다수 광섬유가 개별조립되며 융착되어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81)의 타단에는 연결된 광섬유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분기되는 코드(82)가 연장형성되어, 각 코드(82)마다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가 개별로 융착되면서 연결되어, 대량의 데이터 전송시 광케이블의 부피 및 장비의 부피를 감소시켜 단일의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로 전달받고, 이를 사용처에 분기하여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
    가 보관되어 운반이송 및 휴대가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는
    상기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와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로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는
    상기 단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70)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다심형 현장조립 광커넥터(60)와 팬아웃 플러그 어셈블리(80)로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캡 서브 어셈블리(76)가 결합되지 않고 각각 분리된 형태인 스크류캡(73), 부트(74), 보호튜브(7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10. 삭제
KR1020200096532A 2020-06-04 2020-08-03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KR102482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532A KR102482600B1 (ko) 2020-08-03 2020-08-03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PCT/KR2021/006067 WO2021246679A1 (ko) 2020-06-04 2021-05-14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키트와 다심 광섬유 코드 보호용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한 분기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532A KR102482600B1 (ko) 2020-08-03 2020-08-03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533A KR20220016533A (ko) 2022-02-10
KR102482600B1 true KR102482600B1 (ko) 2022-12-29

Family

ID=8025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532A KR102482600B1 (ko) 2020-06-04 2020-08-03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6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7225A (ja) 2007-04-17 2008-11-27 Seikoh Giken Co Ltd 光コネクタキット
JP2009069607A (ja) * 2007-09-14 2009-04-02 Seikoh Giken Co Ltd 光コネクタキット
JP2011185975A (ja) 2010-03-04 2011-09-22 Seikoh Giken Co Ltd 光コネクタキット
US20120273377A1 (en) 2011-04-28 2012-11-01 Andrew Gary Amatrudo Blow-Molded Tool Kit
KR102224183B1 (ko) 2020-06-04 2021-03-08 유씨엘 주식회사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043B1 (ko) 2016-12-29 2018-09-04 (주)옵토네스트 일체화된 광 스플리터를 구비한 mpo타입 광분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7225A (ja) 2007-04-17 2008-11-27 Seikoh Giken Co Ltd 光コネクタキット
JP2009069607A (ja) * 2007-09-14 2009-04-02 Seikoh Giken Co Ltd 光コネクタキット
JP2011185975A (ja) 2010-03-04 2011-09-22 Seikoh Giken Co Ltd 光コネクタキット
US20120273377A1 (en) 2011-04-28 2012-11-01 Andrew Gary Amatrudo Blow-Molded Tool Kit
KR102224183B1 (ko) 2020-06-04 2021-03-08 유씨엘 주식회사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533A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4207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integrating wireless technology into a fiber optic network
US7272283B2 (en) Distribution fiber optic cables for fiber to the subscriber applications
US9297974B2 (en) Strain relief for pigtail module
AU2016201458B2 (en) Composite cable breakout assembly
CA2616851C (en) Fiber optic cables and assemblies for fiber to the subscriber applications
US7590321B2 (en) Mid-span breakout with helical fiber routing
US8794852B2 (en) Hybrid fiber optic pigtail assembly
JP5050209B2 (ja) 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20120328258A1 (en) Fiber optic cassette
US7630610B2 (en) Loop back plug with protective dust cap
KR102224183B1 (ko)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US20090034916A1 (en) Fiber optic cable with in-line fiber optic splice
KR102305131B1 (ko) 다심 광섬유 코드 보호용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한 분기키트
KR102482600B1 (ko) 현장조립형 광섬유 분기 키트
KR102480322B1 (ko) 현장조립형 광섬유 팬아웃 조립방법
US20090087152A1 (en) Optical Cable,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Multiplicity of Optical Waveguid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Cable
JP6015172B2 (ja) 多心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多心光コネクタ
US20180011257A1 (en) Hybrid connection system using factory connectorized pigtail
US20230176307A1 (en) Optical fiber cable and case for optical fiber cable
JP2012088391A (ja) 光ケーブルの分岐方法及び分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