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981B1 -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981B1
KR102481981B1 KR1020220115143A KR20220115143A KR102481981B1 KR 102481981 B1 KR102481981 B1 KR 102481981B1 KR 1020220115143 A KR1020220115143 A KR 1020220115143A KR 20220115143 A KR20220115143 A KR 20220115143A KR 102481981 B1 KR102481981 B1 KR 10248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screw
sediment
solidifying agen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병철
정덕영
박나형
Original Assignee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filed Critical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Priority to KR102022011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2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involving in-situ ground wa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2101/00In situ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 토양을 정화 처리함에 있어 응집 침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침전물을 고형화 및 안정화시켜 개량 토양으로서 생산함으로써 폐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한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토양의 전처리 과정에서 선별 및 세척된 미세토사와 처리수가 유입되는 처리조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조에 응집제가 투입되어 미세토사로부터 침전 처리되는 응집침전물을 분리 및 수집하고 상기 처리조에 마련된 침전물배출라인을 통해 수집된 응집침전물을 배출하는 응집침전장치; 및 상기 응집침전장치에서 배출되는 응집침전물과 고화제가 유입되며 상기 응집침전물과 고화제를 이송하면서 교반하여 개량 토양으로 배출하는 고화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Solidification treatment system for recycling of coagulation sediment}
본 발명은 오염 토양을 정화 처리함에 있어 응집 침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침전물을 고형화 및 안정화시켜 개량 토양으로 생산함으로써, 폐기되는 자원이 토목용 및 산업용으로 재활용될 수 있게 한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인구증가 및 산업 발달로 발생되는 폐기물과 유해화학물질로 인하여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의 심각성이 고조되어 개발사업으로 영향 받게 되는 토양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토양 내 중금속은 분해가 되지 않고 물리화학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흡착 또는 고형화 되거나, 재용출 되어 오염이 확산되기도 한다.
토양에 축적되는 금속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식물이나 미생물의 효소활동을 방해하는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금속오염물이 지하수를 통해 유입되면 지하수를 이용하는 각종 생물체에 악영향을 끼침은 물론 식물조직에 흡수되면 먹이사슬을 통해 최종적으로 인간에게 위해를 준다.
이에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30314호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서는 정화대상 오염토양이 투입되고 투입된 오염토양을 분쇄 처리하여 토출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서 토출되는 오염토양이 유입되고 세척수가 분사되어 공급된 오염토양을 세척하면서 오염토양에서 제 1입경 크기 이하의 토사를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제 1습식선별장치; 상기 제 1습식선별장치에서 분리 배출되는 제 1입경 크기 이하의 토사가 유입되며, 제 1입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 2입경 크기 이하의 미세 토사를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제 1사이클론; 상기 제 1사이클론에서 분리 배출되는 미세 토사가 유입되며, 상기 미세 토사가 바닥으로 중력 침강되게 하고 침전되지 않은 부유 토사를 배출하는 침사조; 상기 침사조에서 배출되는 부유 토사가 유입되며, 응집제가 투입되어 부유 토사로부터 응집된 침전물이 바닥으로 침전되게 하는 응집침전조; 상기 침사조 및 응집침전조의 배출단에 연결되어 침사조 및 응집침전조에서 각각 침전 처리된 침전물이 유입되고, 이를 저류시켜 중력 분리된 농축 슬러지를 생성하며 생성된 농축 슬러지를 배출하는 농축조; 및 상기 농축조에서 배출되는 농축 슬러지가 유입되고, 농축 슬러지를 탈수 처리하여 탈수 케이크로 생성 및 배출하는 필터 프레스;를 포함하여 복합적으로 오염토양을 정화 처리하는 기술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오염토양을 복수의 선별 과정을 통해 입경 분리함과 더불어 응집 침전 과정을 통해 오염토양을 정화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배출되는 농축슬러지를 탈수 처리하여 탈수케이크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탈수케이크는 폐기물로 분류되어 별도의 후처리 과정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오염토양의 정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폐기물의 보관하기 위한 시설이 필요할 뿐 아니라 이를 유지 관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3031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오염토양의 정화를 위한 응집 침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침전물을 고형화 및 안정화시켜 재활용이 가능한 개량 토양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칭함)은, 오염토양의 전처리 과정에서 선별 및 세척된 미세토사와 처리수가 유입되는 처리조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조에 응집제가 투입되어 미세토사로부터 침전 처리되는 응집침전물을 분리 및 수집하고 상기 처리조에 마련된 침전물배출라인을 통해 수집된 응집침전물을 배출하는 응집침전장치; 및 상기 응집침전장치에서 배출되는 응집침전물과 고화제가 유입되며 상기 응집침전물과 고화제를 이송하면서 교반하여 개량 토양으로 배출하는 고화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고화처리장치는, 고화제가 수용되며 수용된 고화제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투입호퍼와, 상기 응집침전장치의 침전물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응집침전물과 상기 투입호퍼에서 배출되는 고화제가 각각 유입되며 유입된 응집침전물과 고화제를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공급스크류와, 상기 공급스크류에서 배출되는 응집침전물과 고화제가 유입되고 유입된 응집침전물과 고화제를 혼합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혼합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혼합이송스크류는, 스크류가 내재되며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일단의 하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 1몸체와, 상기 개구를 덮는 형상으로 일단의 상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2몸체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혼합이송스크류는, 상기 공급스크류에서 배출되는 응집침전물과 고화제가 유입되고 유입된 응집침전물과 고화제를 1차 혼합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제 1혼합이송스크류와, 상기 제 1혼합이송스크류의 배출측에 설치되어 제 1혼합이송스크류에서 배출되는 혼합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혼합물 2차 혼합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제 2혼합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혼합이송스크류 및 제 2혼합이송스크류는 유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하여 상향의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공급스크류의 배출구에 상기 제 1혼합이송스크류의 유입구가 대면하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1혼합이송크류의 배출구에 상기 제 2혼합이송스크류의 유입구가 대면하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2몸체에는,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진 하향유도판이 하나 이상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2몸체에는,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횡혼합봉과 상기 횡혼합봉에서 스크류의 날개 피치간에 위치하도록 돌출되는 종혼합봉으로 구성된 혼합구가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2혼합이송스크류의 배출구에는 내부에 하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며 끝단에서 하향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비산유도판이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비산유도판의 배면에는 비산흡착시트가 구성되는 비산방지관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면, 오염 토양을 정화 처리함에 있어 응집 침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침전물을 고화제의 투입과 혼합을 통해 고형화 및 안정화시켜 개량 토양으로 생산하여 폐기되는 자원을 토목용 및 산업용 등으로 재활용되게 함으로써 환경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화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화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혼합이송스크류의 분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혼합이송스크류의 작동상태도.
도 6은 혼합이송스크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혼합이송스크류의 정면도.
도 8은 제 2혼합이송스크류에 비산방지관이 구성된 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오염토양의 전처리 과정에서 선별 및 세척된 미세토사와 처리수가 유입되는 처리조가 구비되며, 상기 처리조에 응집제가 투입되어 미세토사로부터 침전 처리되는 응집침전물을 분리 및 수집하고 상기 처리조에 마련된 침전물배출라인을 통해 수집된 응집침전물을 배출하는 응집침전장치(1)와, 상기 응집침전장치(1)에서 배출되는 응집침전물과 고화제가 유입되며 상기 응집침전물과 고화제를 이송하면서 교반하여 개량 토양으로 배출하는 고화처리장치(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언급된 '오염토양의 전처리 과정'이라 함은, 미세토사의 응집 침전 처리 과정에 앞서 선행적으로 오염토양을 설정된 입경 이하의 미세토사로 선별하면서 습식 세척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전처리 과정은 자력분리기를 이용하여 오염토양에 포함될 수 있는 금속성 물질을 선별하는 과정, 분쇄기를 이용하여 오염토양을 일정 크기로 분쇄하는 과정, 분쇄된 오염토양을 입경별로 선별하면서 습식 세척을 실시하는 과정 및 습식 세척을 거친 토사에 대하여 다시 한번 비중차를 이용하여 미세 입경으로 선별 과정 등을 포함하게 되는 바, 이러한 전처리 과정을 통해 오염 토양이 상기 응집침전장치에 유입되기 이전 토사를 미세화시킴으로써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미세 토사에 흡착된 중금속 등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응집침전장치(1)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전처리 과정에서 배출되는 미세토사가 유입되는 토사유입라인과, 처리수가 유입되는 처리수유입라인 및 응집 과정에서 침전되는 응집침전물이 배출되는 침전물배출라인이 형성된 처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조에는 토사유입라인 및 처리수유입라인을 통해 각각 유입되는 미세토사와 처리수가 유입되어 이를 수용하면서 투입된 응집제와 반응하여 응집에 의한 응집침전물이 형성되게 한다. 이렇게 침전된 응집침전물은 상기 처리조 내부에 분리 및 수집될 수 있으며 상기 침전물배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응집침전장치(1)는 상기 미세토사가 처리수와 함께 유입됨과 더불어 외부로부터 응집제가 투입되며, 기설정한 시간동안 체류시켜 미세토사로부터 응집제에 의해 응집되는 응집침전물이 바닥으로 침전되도록 하고, 침전되지 않는 이물질 등의 부유물은 처리조에서 별도로 수집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응집제는 액체 속에 현탁되어 있는 고체입자가 서로 응집되도록 하여 침강시키는 물질로서 무기전해질 또는 유기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응집제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침전물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응집침전물은 수분을 함유한 슬러지 형태일 수 있는 바, 이하에서 설명하는 고화처리장치(2)로 유입되기 전에 탈수 처리를 거쳐 함수율을 저감시킨 상태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화처리장치(2)는 상기 응집침전장치(1)의 처리조에서 배출되는 응집침전물과 고화제가 유입되고, 상기 응집침전물과 고화제를 이송하면서 교반하여 개량 토양으로 배출함으로써 개량 토양이 성토, 매립시설 복토재, 되메우기, 성토용 등 다양한 기능성 건설토사로 재활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화처리장치(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호퍼(70)와, 공급스크류(80) 및 혼합이송스크류(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호퍼(70)는 고화제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고화제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전자식 개폐밸브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응집침전물의 투입량 및 개량 토양의 사용 목적에 따른 고화 정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수용된 고화제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입호퍼(70)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고화제를 교반하면서 상기 공급스크류(80)로 투입되게 하는 이송스크류(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71)는 일단이 상기 투입호퍼(70)의 배출구와 연통되어 배출되는 고화제가 유입되고 타단이 상기 공급스크류(80)의 선택된 위치에 연통되어 입자간 응집된 일부 고화제를 교반하여 분산시켜, 고화제의 입자가 균일한 상태로 상기 공급스크류(80)에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공급스크류(80)는 상기 응집침전장치(1)의 처리조에서 배출되는 응집침전물과 상기 투입호퍼(70)에서 배출되는 고화제가 각각 유입되며, 유입된 응집침전물과 고화제 간이 일부 혼합되게 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한다.
상기 혼합이송스크류(90)는 상기 공급스크류(80)에서 배출되는 응집침전물과 고화제가 유입되고, 유입된 응집침전물과 고화제를 혼합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한다. 이러한 혼합이송스크류(90)는 응집침전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고화제가 완전히 혼합되게 하여 상기 응집침전물을 고형화 및 안정화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재활용이 가능한 개량 토양으로서 생산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혼합이송스크류(90)는 상기 응집침전물이 개량 토양으로 안정화되기까지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혼합이송스크류(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스크류(80)에서 배출되는 응집침전물과 고화제가 유입되고 유입된 응집침전물과 고화제를 1차 혼합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제 1혼합이송스크류(91)와, 상기 제 1혼합이송스크류(91)의 배출측에 설치되어 제 1혼합이송스크류(91)에서 배출되는 혼합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혼합물 2차 혼합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제 2혼합이송스크류(9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고화처리장치(2)는 상기 혼합이송스크류(90)가 적어도 둘 이상이 연계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고화제와의 반응으로 혼합물이 고형화 및 안정화될때까지 충분한 이동 시간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혼합이송스크류(91) 및 제 2혼합이송스크류(9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유입구(912-2, 922-2) 및 배출구(911-2, 921-2)만이 개구되어 혼합 및 이송되는 혼합물들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 1혼합이송스크류(91) 및 제 2혼합이송스크류(91)는 유입구(912-2, 922-2)에서 배출구(911-2, 921-2)를 향하여 상향의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혼합물의 이동 시간을 최대한 지연시킴으로써 고형화 및 안정화가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스크류(80)의 배출구(801)에 상기 제 1혼합이송스크류(91)의 유입구(912-2)가 대면하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1혼합이송크류(91)의 배출구(911-2)에 상기 제 2혼합이송스크류(92)의 유입구(922-2)가 대면하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공급스크류(80)와, 제 1혼합이송스크류(91) 및 제 2혼합이송스크류(92)는 "ㄷ"자 배치 구조를 갖도록 상호 연결되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바, 직선형 연계 배치 구조와 비교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 1 및 제 2혼합이송스크류(91, 92)는, 스크류(913)가 내재되며 상면에 개구(911-1, 921-1)가 형성되고 일단의 하면에 배출구(911-2, 921-2)가 형성되는 제 1몸체(911, 912)와, 상기 개구(911-1, 921-1)를 덮는 형상으로 일단의 상면에 유입구(912-2, 922-2)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912-1, 922-1)가 형성되어 상,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2몸체(912, 9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혼합이송스크류(91, 92)는 동일한 구조 및 작동기작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혼합이송스크류(9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1혼합이송스크류(91)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몸체(911) 및 제 2몸체(912)로 구성되는 바, 상기 제 1몸체(911)는 스크류(913)가 내재되며 상면에 개구(911-1)가 형성되고 일단의 하면에 배출구(91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몸체(91)에 개구(911-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가압에 의해 혼합물이 강하게 응집되어 배출구(911-2)에서 혼합물이 배출되지 않고 스크류(913)가 헛도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스크류(913)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던 혼합물이 개구(911-1)에서 압력이 해제되면서 배출구(911-2)에서 혼합물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2몸체(912)는 상기 개구(911-1)를 덮는 형상으로 일단의 상면에 유입구(912-2)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912-1)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912-2)에서 유입된 혼합물은 상기 제 1몸체(911)로 낙하되어 스크류(913)의 회전에 의해 타단으로 유동케 되는데, 계속적으로 혼합물이 유입되면서 상기 공간부(912-1)에도 혼합물이 충진되어 진다.
이렇게 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몸체(91)에서는 배출구(911-2) 방향으로 혼합물이 유동이 생기며 제 2몸체(912)에서는 제 1몸체(911)에서 혼합물이 유동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혼합물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유동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강하는 유동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향의 경사구배의 형성에 따라 반시계방향의 유동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제 1몸체(911)에서 유동하는 혼합물은 압력이 느슨해진 공간부(912-1)로 개구(911-1)를 통해 상향하는 유동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 2몸체(912)가 형성됨에 따라 혼합물의 상,하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작동기작에 의해 제 1혼합이송스크류(91)에서는 동일한 길이에서 충분한 혼합시간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과 같이 제 1혼합이송스크류(91)에 제 1몸체(911)만이 구성된다면 스크류(913)에 있어 어느 피치간에 내재되는 혼합물은 그 혼합물 그대로 유동하면서 배출구(911-2)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충분한 혼합효율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 1몸체(911)에 제 2몸체(912)가 상호 연통하도록 더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혼합물 간에 상,하 연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응집침전물과 고화제의 혼합효율을 더욱 높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혼합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한 실시예가 도 6 및 도 7에서 제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몸체(912)에는,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진 하향유도판(914)이 하나 이상 구성되는 예가 제시된다.
제 1몸체(911)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크류(913)의 회전에 의해 혼합물이 배출구(911-2) 방향으로 유동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유동에 의해 제 2몸체(912)에서도 혼합물이 배출구(911-2) 방향으로 어느 정도 유동이 형성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하향유도판(914)은 탄성에 의해 절곡이 이루어지고,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동과정에서 제 2몸체(912)의 혼합물이 제 1몸체(911) 방향으로 하향의 유동이 형성될 시에 상기 하향유도판(914)에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복원력이 생겨 제 2몸체(912)에서 혼합물의 하향으로 유동하는 힘에 복원력이 부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혼합효율을 더욱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하향유도판(914)의 이러한 탄성 및 복원력에 의한 거동은 제 2몸체(912)에서 혼합물을 교란시켜 제 1몸체(911)의 혼합물과 제 2몸체(912)의 혼합물 간 상,하 혼합효율을 높여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향유도판(914)은 탄성복원력을 갖는데, 재질자체로 탄성복원력을 가진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무 등 탄성복원력이 있는 재질을 가지며 제 2몸체(12)에 부착된 체결부에 평활면의 판부 일단이 부착되도록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몸체(912)에는,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횡혼합봉(915-1)과 상기 횡혼합봉(915-1)에서 스크류(913)의 날개(913-2) 피치간에 위치하도록 돌출되는 종혼합봉(915-2)으로 구성된 혼합구(915)가 더 구성된 예를 제시한다.
상기 혼합구(915)는 "T"자 형상으로 상기 제 2몸체(912)의 양측벽 간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횡혼합봉(915-1)과 상기 제 2혼합봉(915-1)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스크류(913)의 날개(913-2) 피치간에 위치하는 종혼합봉(915-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횡혼합봉(915-1)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2몸체(912)의 공간부(912-1)에서 유동하는 혼합물을 상,하로 교란시키도록 하여 제 2몸체(912)에서 혼합물의 혼합효율을 높이는 구성이고, 상기 종혼합봉(915-2)은 스크류(913)의 날개(913-2) 피치간에 위치토록 하여 스크류(913)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913)의 날개(913-2) 피치간에 형성되는 혼합물의 유동을 제어토록 함으로써 제 1몸체(911)에서 혼합물의 혼합효율을 높이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종혼합봉(915-2)의 구성에 의해 스크류(913)의 날개(913-2) 피치간에 침적되어 낌을 유발할 수 있는 강하게 응집된 혼합물이 상기 종혼합봉(915-2)에 타격되면서 깨지도록 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혼합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혼합이송스크류(92)의 배출구(921-2)에서 개량토를 배출시 비산이 방지되도록 하는 실시예가 더 제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혼합이송스크류(92)의 배출구(921-2)에 비산방지관(93)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비산방지관(93)은 내부에 하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며 끝단에서 하향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유로(934)가 형성되도록 하는 비산유도판(931)이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비산유도판(931)의 배면에는 비산흡착시트(932)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비산유도판(931)은 각각 하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지그재그로 구성되어 배출구(921-2)로부터 배출되는 개량토(S1)가 상기 비산유도판(931)을 타고 하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유로(934)를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비산유도판(931)으로 낙하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비산유도판(931)의 구성에 의해 개량토(S1)가 낙하하여 비산유도판(931)에 타격되고 슬라이드 되면서 하향하는데 이 과정에서 비산(S2)이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비산(S2)은 상부에 위치하는 비산유도판(931)의 배면부분에 포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비산유도판(931)의 배면부분에 포집된 비산(S2)은 비산유도판(931)의 배면에 구성되는 비산흡착시트(932)에 흡착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기작에 의해 개량토에 혼입된 비산이 제거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개량토가 공급되고 외부로 비산이 토출되어 오염을 야기시키는 것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비산흡착시트(932)는 다양한 공지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로 부직포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응집침전조 2 : 고화처리장치
70 : 투입호퍼 80 : 공급스크류
90 : 혼합이송스크류 91 : 제 1혼합이송스크류
92 : 제 2혼합이송스크류

Claims (9)

  1. 오염토양의 전처리 과정에서 선별 및 세척된 미세토사와 처리수가 유입되는 처리조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조에 응집제가 투입되어 미세토사로부터 침전 처리되는 응집침전물을 분리 및 수집하고 상기 처리조에 마련된 침전물배출라인을 통해 수집된 응집침전물을 배출하는 응집침전장치; 및
    상기 응집침전장치에서 배출되는 응집침전물과 고화제가 유입되며 상기 응집침전물과 고화제를 이송하면서 교반하여 개량 토양으로 배출하는 고화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화처리장치는,
    고화제가 수용되며 수용된 고화제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투입호퍼와, 상기 응집침전장치의 침전물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응집침전물과 상기 투입호퍼에서 배출되는 고화제가 각각 유입되며 유입된 응집침전물과 고화제를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공급스크류와, 상기 공급스크류에서 배출되는 응집침전물과 고화제가 유입되고 유입된 응집침전물과 고화제를 혼합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혼합이송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이송스크류는,
    스크류가 내재되며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일단의 하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 1몸체와, 상기 개구를 덮는 형상으로 일단의 상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2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제 2몸체에는,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진 하향유도판이 하나 이상 구성되고,
    상기 혼합이송스크류는,
    상기 공급스크류에서 배출되는 응집침전물과 고화제가 유입되고 유입된 응집침전물과 고화제를 1차 혼합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제 1혼합이송스크류와, 상기 제 1혼합이송스크류의 배출측에 설치되어 제 1혼합이송스크류에서 배출되는 혼합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혼합물 2차 혼합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제 2혼합이송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제 1혼합이송스크류 및 제 2혼합이송스크류는 유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하여 상향의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스크류의 배출구에 상기 제 1혼합이송스크류의 유입구가 대면하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1혼합이송크류의 배출구에 상기 제 2혼합이송스크류의 유입구가 대면하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몸체에는,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횡혼합봉과 상기 횡혼합봉에서 스크류의 날개 피치간에 위치하도록 돌출되는 종혼합봉으로 구성된 혼합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혼합이송스크류의 배출구에는 내부에 하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며 끝단에서 하향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비산유도판이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비산유도판의 배면에는 비산흡착시트가 구성되는 비산방지관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KR1020220115143A 2022-09-13 2022-09-13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KR10248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143A KR102481981B1 (ko) 2022-09-13 2022-09-13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143A KR102481981B1 (ko) 2022-09-13 2022-09-13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981B1 true KR102481981B1 (ko) 2022-12-29

Family

ID=8453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143A KR102481981B1 (ko) 2022-09-13 2022-09-13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9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86B1 (ko) * 2007-04-30 2007-08-31 도원환경기계(주)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
KR101034569B1 (ko) * 2011-01-05 2011-05-12 장대식 슬러지 고화처리장치
KR101781615B1 (ko) * 2015-08-04 2017-10-23 최재빈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KR102023080B1 (ko) * 2019-02-15 2019-09-19 이종원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장치
KR102330314B1 (ko) 2021-04-22 2021-11-24 (주)신대양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KR20220122819A (ko) * 2021-02-26 2022-09-05 주식회사 엘림글로벌 방사성 오염토 제염방법 및 제염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86B1 (ko) * 2007-04-30 2007-08-31 도원환경기계(주)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
KR101034569B1 (ko) * 2011-01-05 2011-05-12 장대식 슬러지 고화처리장치
KR101781615B1 (ko) * 2015-08-04 2017-10-23 최재빈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KR102023080B1 (ko) * 2019-02-15 2019-09-19 이종원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장치
KR20220122819A (ko) * 2021-02-26 2022-09-05 주식회사 엘림글로벌 방사성 오염토 제염방법 및 제염시스템
KR102330314B1 (ko) 2021-04-22 2021-11-24 (주)신대양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5267B1 (en) Plant and process for the recycling of sweepings, water purifier wastes and the like
KR101033023B1 (ko) 준설토 재활용 확대를 위한 오염 퇴적토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
US6082548A (en) Mobile soi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0952752B1 (ko) 미세토양 세척장치 및 방법
KR102099047B1 (ko)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US20170113952A1 (en) Recycled Water and Solids Management System
US5599137A (en) Mobile soi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1782615B1 (ko) 복합 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534067B1 (ko) 오염 토양의 복원과 선별 처리를 위한 토양 세척 방법과장치
WO20182324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SOLID WASTE
KR101995214B1 (ko) 오염토양 선별세척 및 폐수처리정화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58523B1 (ko) 오염토양 선별 및 세척처리 정화시스템
KR102068941B1 (ko)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JP2008018316A (ja) 浚渫土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2388288B1 (ko) 효율적인 중금속 처리를 위한 고자력 결합 시스템
KR102481981B1 (ko)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US20220001394A1 (en) Washing treatment system and washing treatment method for contaminated soil
JP4123510B2 (ja) 汚染土壌の処理システム
KR102573143B1 (ko) 고자력분리기가 구비된 복합 오염토양 정화 및 자원화 시스템
KR102510843B1 (ko) 스마트 자동화 고화처리시스템
KR102485243B1 (ko) 이동식 고화 처리 장치
KR101929272B1 (ko) 복합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JP2010089016A (ja) 浚渫土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2600279B1 (ko) 복합 오염토양 정화 및 자원화 처리 시스템
KR102208394B1 (ko) 굴삭기 버킷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