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686B1 -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686B1
KR100753686B1 KR1020070042212A KR20070042212A KR100753686B1 KR 100753686 B1 KR100753686 B1 KR 100753686B1 KR 1020070042212 A KR1020070042212 A KR 1020070042212A KR 20070042212 A KR20070042212 A KR 20070042212A KR 100753686 B1 KR100753686 B1 KR 100753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reactor
sludge
liquid separator
sludg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승열
Original Assignee
도원환경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원환경기계(주) filed Critical 도원환경기계(주)
Priority to KR102007004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8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 처리시설에서 탈수 과정을 거쳐 배출되는 하수 슬러지와 생석회를 함유한 첨가제를 함께 유입 받아 상호 혼합되게 교반하면서 이송관을 통해 송출할 수 있도록 된 교반송출부와,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슬러지 혼합물을 이송궤도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교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혼화기와, 혼화기에서 슬러지 혼합물의 발열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기체를 인입 받아 내부의 제1냉각부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응축된 물과 가스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1차 기액분리기와, 1차 기액분리기에서 배출되는 가스와 혼화기에서 혼화과정을 거친 슬러지 혼합물을 유입 받아 이송궤도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혼합 및 교반하여 배출하는 반응기와, 반응기에서 슬러지 혼합물로부터 발생되는 기체를 인입 받아 내부의 제2냉각부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응축된 물과 가스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2차 기액분리기와, 이송관, 혼화기, 반응기, 1차 및 2차 기액분리기에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매체를 공급 및 회수하는 냉각제어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에 의하면, 하수 슬러지를 재활용하기 위해 투입된 첨가제와의 반응을 안정화시키면서도 반응과정에서 발생되는 기체 내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회수하여 처리토에 함유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sewerage sludge treatmen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의 상세 구조도 이고,
도 3은 도 2의 혼화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혼화기의 하부 하우징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교반부 130: 혼화기
150: 1차 기액분리기 170: 냉각제어기
230: 반응기 250: 2차 기액분리기
300: 후부숙기 400: 탈취기
본 발명은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수 슬러지를 안정화 및 고화처리하여 매립장의 복토제, 매립토, 토양 개량 재 및 퇴비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처리장, 인분 처리장, 가축 사육장 등에서 생성되는 슬러지류의 폐기물(이하 하수 슬러지라 한다)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소각, 발효에 의한 퇴비화와 같은 처리 및 매립 등의 방법이 있으나, 가장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매립 방법의 경우 하수 슬러지로부터 발생되는 침출수가 수질을 악화시키고, 매립장 주변에 2차 환경오염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수 처리시설로부터 탈수 과정을 거쳐 케이크 형태로 배출되는 하수 슬러지에 생석회류의 첨가제로 발열반응시킨 후 고화제를 첨가하여 생성된 처리토를 복토제, 매립토, 토양개량제 또는 퇴비로 이용할 수 있는 첨가제가 국내 공개 특허 제1998-015384호, 국내 공개 특허 제2006-0088610호, 국내 등록 특허 제0704735호 등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하수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해 종래에는 단일 반응조에 첨가제와 하수 슬러지를 투입하고 교반 및 혼합함으로써 발열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기체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기체 내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회수하여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밀폐구조의 반응조를 적용할 경우 발열반응시 발생되는 발열온도가 90도 이상으로 지나치게 상승되는 경우 폭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특히, 하수 슬러지를 토양과 비슷한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응 및 안정시 적절한 온도제어가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안정성을 높이고, 반응과정에서 발생되는 기체 내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회수하여 처리토에 함유될 수 있게 하는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는 하수 처리시설에서 탈수 과정을 거쳐 배출되는 하수 슬러지와 생석회를 함유한 첨가제를 함께 유입 받아 상호 혼합되게 교반하면서 이송관을 통해 송출할 수 있도록 된 교반송출부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슬러지 혼합물을 이송궤도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교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혼화기와; 상기 혼화기에서 상기 슬러지 혼합물의 발열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기체를 인입 받아 내부의 제1냉각부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응축된 물과 가스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1차 기액분리기와; 상기 1차 기액분리기에서 배출되는 가스와 상기 혼화기에서 혼화과정을 거친 슬러지 혼합물을 유입 받아 이송궤도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혼합 및 교반하여 배출하는 반응기와; 상기 반응기에서 상기 슬러지 혼합물로부터 발생되는 기체를 인입 받아 내부의 제2냉각부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응축된 물과 가스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2차 기액분리기와; 상기 이송관, 상기 혼화기, 상기 반응기 및 상기 1차 및 2차 기액분리기는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냉각매체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관, 상기 혼화기, 상기 반응기 및 상기 1차 및 2차 기액 분리 기로 상기 냉각매체를 공급 및 회수하는 냉각제어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화기는 반원형 제1 및 제2 통로가 격벽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형성된 내부공간을 갖되 상기 슬러지 혼합물이 낙하될 있게 상기 제1통로의 일단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 맞은 편에는 상기 제1 및 제2 통로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의 상기 제1통로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가압상태로 이송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의 투입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상부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제1 및 제2 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 샤프트에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이격되게 형성된 이송교반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하우징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게 이송 스크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교반송출부는 투입된 상기 하수 슬러지와 첨가제를 분쇄하면서 하방의 토출구로 배출하는 제1분쇄기와; 상기 제1분쇄기의 토출구를 통해 낙하되는 슬러지 혼합물을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하는 모노펌프;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기는 상기 혼화기와 동일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혼화기와 상기 반응기의 하우징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기;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의 상세 구조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100)는 교반송출부(110), 혼화기(130), 1차 기액분리기(150), 냉각제어기(170) 및 반응기 (230), 2차 기액분리기(250), 후부숙기(300) 및 탈취기(400)를 구비한다.
교반송출부(110)는 하수 처리시설에서 탈수 과정을 거쳐 배출되는 하수 슬러지와 생석회를 함유한 첨가제를 함께 유입 받아 상호 혼합되게 교반하면서 이송관(120)을 통해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첨가제는 하수슬러지 100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송출부(110)는 제1분쇄기(112), 모노펌프(116) 및 이송관(118)을 갖는다.
제1분쇄기(112)는 하수 슬러지 유입관(101)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 슬러지와 첨가제 공급부(103)에서 공급되는 첨가제를 유입받을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투입조 내에 다수의 분쇄용 블레이드가 샤프트에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1분쇄기(112)는 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블레이드가 회전됨으로써 케이크상태로 투입되는 하수 슬러지를 분쇄함과 아울러 하부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시킨다.
여기서 첨가제 공급부(103)에서 공급되는 첨가제는 하수 슬러지와의 발열반응에 의해 함수율을 낮출 수 있는 생석회를 함유한 것이 적용되고, 앞서 언급된 특 허공보에 개시된 조성물을 적용하여도 된다.
모노펌프(116)는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제1분쇄기(112)의 투입조를 통해 투입된 첨가제와 하수 슬러지의 혼합물(이하 슬러지 혼합물)을 압송시켜 이송관(118)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송관(118)은 2중관 구조로 되어 있고, 내관(118a)은 하수 슬러지가 이송되며, 외관(118b)은 내관(118a)을 통해 이송되는 물질의 온도를 열교환에 의해 낮출 수 있게 냉각매체가 유통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송관(118)의 외관(118b)은 냉각제어기(17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매체를 유입 받아 순환과정을 거친 후 냉각 제어기(170)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이송관(118)은 냉각매체의 공급에 의해 슬러지 혼합물의 이송과정에서의 발열 반응에 의한 내부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혼화기(130)는 이송관(118)을 통해 이송된 슬러지 혼합물을 이송궤도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교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혼화기(130)는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혼화기(130)는 하우징(131), 이송교반기(137), 이송 스크류(139)를 구비한다.
하우징(131)은 상부 하우징(133)과 하부하우징(132)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2)은 반원형 제1 및 제2 통로(132a)(132b)가 격벽(132c)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형성된 내부공간을 갖되 슬러지 혼합물이 낙하될 있게 제1통로(132a)의 일단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134)쪽과 투입 구(134) 맞은 편에는 제1 및 제2 통로(132a)(132b)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132)의 제2통로(132b)의 종단에는 유입된 슬러지 혼합물을 임시 체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체류실(136)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가스배출구(138)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132)은 공기 공급부(192)와 연결된 공기 공급관(192)을 통해 내부에 공기를 유입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격벽(132c)에 공기 공급관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194)를 갖는 구조가 적용되었다.
이송교반기(137)는 하부 하우징(132)의 제1 및 제2 통로(132a)(132b)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 샤프트(137a)(137b)에 복수개의 블레이드(137c)가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133)은 하부 하우징(132)의 상부의 제1통로(132a)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관(118)을 통해 이송된 슬러지 혼합물을 가압상태로 이송하여 하부 하우징(132)의 투입구(134)로 배출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이송스크류(139)는 상부 하우징(133)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도시된 예에서는 두 개의 이송스크류(139)가 상호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러지 혼합물을 이송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었다.
이송스크류(139)의 선단에는 이송관(118)을 통해 송출된 슬러지 혼합물의 이송을 원할하기 위해 제2분쇄기(142)가 설치되어 있고, 이송스크류(139)의 종단에는 이송된 슬러지 혼합물의 하부 하우징내로의 낙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제3분쇄기(143)가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분쇄기(142) 상부에는 보조적으로 첨가제를 투입할 수 있는 첨가제 투입기(107)가 설치되어 있다. 제2분쇄기(142)에 첨가제 투입기(107)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전체 첨가제 투입량을 제1분쇄기(112)에서 일부를 투입하고, 나머지는 제2분쇄기(142)의 첨가제 투입기(107)에서 투입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1분쇄기(112)의 첨가제 투입기(103)는 생략되고 제2분쇄기(142)의 첨가제 투입기(107)에서만 첨가제를 투입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혼화기(130)의 하우징(131) 외측에는 냉각 제어기(170)로부터 공급된 냉각매체가 채워져 순환될 수 있는 냉각실(130a)이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혼화기(130) 내에서의 슬러지 혼합물은 함수율이 40 내지 60%가 범위가 되면 반응기(230)로 이송시킨다. 또한,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혼화기(130)의 내부온도는 90 내지 15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기액분리기(150)는 혼화기(130)에서 슬러지 혼합물의 발열반응에 의해 발생되어 가스 배출구(138)를 통해 배출된 기체를 인입 받아 내부의 제1 냉각부(152)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냉각매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응축된 물과 유효 가스를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1차 기액분리기(150)에서 응축된 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냉각과정을 거친 이후에도 잔류하는 기체는 반응기(230)의 하우징 내로 재투입된다.
1차 기액분리기(150)의 제1 냉각부(152)는 냉각매체가 이송될 수 있는 냉각 관이 적용되었고, 도시된 예와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1차 기액 분리기(150)는 혼화기(130)로부터 유입된 기체 중 수증기는 응축된 후 액상의 물로 하부로 배출되고, 타 기체는 배출관(154)을 통해 반응기(230)의 하부 하우징(232)내로 공급된다.
한편, 1차 기액분리기(150)로 이송되는 기체에 함유된 열을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108)가 구비될 수 있고, 열교환기(180)는 1차 기액분리기(150)로 이어지는 관로 외측에 설치되어 유입관(108a)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열교환 후 배출관(108b)을 통해 송출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108)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는 혼화기(130) 및 반응기(230)로 공급되도록 구축될 수 있고, 이 경우 공기 공급기(190)는 생략될 수 있다.
반응기(230)는 1차 기액분리기(150)에서 배출되는 유효 가스와 혼화기(130)에서 혼화 과정을 거친 슬러지 혼합물을 유입받아 이송궤도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2차로 혼합 및 교반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응기(230)의 하부하우징(232)은 1차 기액분리기(150)로부터 송출된 가스를 유입받을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고, 반응기(230)의 나머지 구조는 혼화기(130)와 동일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기(230)상에 형성된 제4분쇄기상에는 고화제를 투입할 수 있는 고화제 투입기(109)가 설치되어 있다. 고화제는 슬러지 혼합물의 반응과정에서 결정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실리카계열의 소재 또는 제강과정에서 발생되는 제강전로 슬러그를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고화제는 혼화기(130)로부터 배출되어 반응기(230)로 이송되는 슬러지 혼합물에 투입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고화제 투입기(109)를 이용하여 제강전로 슬러그를 반응기(230) 내로 투입하도록 하는 경우 슬러지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고화제를 10 내지 30 중량부의 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160은 혼화기(130)의 체류실(136)로 유입된 슬러지 혼합물을 반응기(23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스크류이고, 참조부호 260은 반응기(230)의 체류실(236)에 유입된 슬러지 혼합물을 후부숙조(30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스크류이다.
반응기(230)에서는 함수율이 20 내지 40%가 될 때까지 순환시킨 후 배출한 다.
또한, 반응기(230)의 내부온도는 결정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50 내지 60℃로 유지하고, PH는 적용되는 고화제를 조절하여 9 내지 12가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기(230)는 공기 공급기(19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는 다르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반응기(230)는 열교환기(108)에서 열교환된 고온의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게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차 기액 분리기(250)는 반응기(230)로부터 유입된 기체 중 수증기는 응축된 후 액상의 물로 하부로 배출되고, 타 기체는 탈취기(400)로 송출하여 탈취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2차 기액분리기(250)의 제2 냉각부(252)는 냉각매체가 이송될 수 있는 냉각관이 적용되었다.
탈취기(400)는 악취 및 오염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것이 적용되면 된다.
냉각 제어기(170)는 내부에 냉각매체를 냉각하는 냉각기(미도시)와,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냉각매체를 해당 공급경로 즉, 이송관(118), 혼화기(130), 1차 및 2차 기액분리기(150)(250), 반응기(230)로 이어지는 공급관을 통해 이송하기 위한 복수개의 펌프(P) 및 회수관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100)는 점도가 매우 높은 하수 슬러지의 이송을 원할하게 하면서도, 혼화기(130)에서 제1통로(130a)로부터 제2통로(130b)로 이어지는 내부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면서 교반 및 혼합되기 때문에 안정된 발열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슬러지 혼합물의 이송 및 교반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열에 의해 생성되는 기체 중 수분은 1차 기액분리기(150)에 의해 재수집되고, 유효가스 성분은 반응기(230)에 재투입되어 슬러리 혼합물에 함유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반응기(230)를 거쳐 생성되는 슬러리 혼합물 즉, 처리토의 유효 성분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후부숙조(300)로 이송된 처리토는 적절한 후숙처리과정을 거친 후 토지개량제, 매립토, 복토제 또는 퇴비로 사용하면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에 의하면, 하수 슬러지를 재활용하기 위해 투입된 첨가제와의 반응을 안 정화 시키면서도 반응과정에서 발생되는 기체 내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회수하여 처리토에 함유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4)

  1. 하수 처리시설에서 탈수 과정을 거쳐 배출되는 하수 슬러지와 생석회를 함유한 첨가제를 함께 유입 받아 상호 혼합되게 교반하면서 이송관을 통해 송출할 수 있도록 된 교반송출부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슬러지 혼합물을 이송궤도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교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혼화기와;
    상기 혼화기에서 상기 슬러지 혼합물의 발열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기체를 인입 받아 내부의 제1냉각부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응축된 물과 가스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1차 기액분리기와;
    상기 1차 기액분리기에서 배출되는 가스와 상기 혼화기에서 혼화과정을 거친 슬러지 혼합물을 유입 받아 이송궤도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혼합 및 교반하여 배출하는 반응기와;
    상기 반응기에서 상기 슬러지 혼합물로부터 발생되는 기체를 인입 받아 내부의 제2냉각부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응축된 물과 가스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2차 기액분리기와;
    상기 이송관, 상기 혼화기, 상기 반응기 및 상기 1차 및 2차 기액분리기는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냉각매체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관, 상기 혼화기, 상기 반응기 및 상기 1차 및 2차 기액 분리기로 상기 냉각매체를 공급 및 회수하는 냉각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화기는
    반원형 제1 및 제2 통로가 격벽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형성된 내부공간을 갖되 상기 슬러지 혼합물이 낙하될 있게 상기 제1통로의 일단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 맞은 편에는 상기 제1 및 제2 통로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의 상기 제1통로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가압상태로 이송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의 투입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상부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제1 및 제2 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 샤프트에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이격되게 형성된 이송교반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하우징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게 이송 스크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송출부는 투입된 상기 하수 슬러지와 첨가제를 분쇄하면서 하방의 토출구로 배출하는 제1분쇄기와;
    상기 제1분쇄기의 토출구를 통해 낙하되는 슬러지 혼합물을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하는 모노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상기 혼화기와 동일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혼화기와 상기 반응기의 하우징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
KR1020070042212A 2007-04-30 2007-04-30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 KR100753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212A KR100753686B1 (ko) 2007-04-30 2007-04-30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212A KR100753686B1 (ko) 2007-04-30 2007-04-30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686B1 true KR100753686B1 (ko) 2007-08-31

Family

ID=3861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212A KR100753686B1 (ko) 2007-04-30 2007-04-30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68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668B1 (ko) 2009-07-09 2010-05-26 손순배 생석회의 수화반응열을 이용한 농업용 보일러
CN101269905B (zh) * 2008-05-08 2011-07-20 苏州工业园区格瑞特泥科学与应用技术研究院有限公司 自动化污、淤泥凝固强化处理方法及装置
KR101132719B1 (ko) 2010-05-04 2012-04-06 손순배 전기생산용 스팀을 제공함과 동시 알카리 비료를 얻는 다용도 보일러
KR101142954B1 (ko) 2012-02-23 2012-05-08 이문석 하수슬러지 복토화 장치
KR101240521B1 (ko) * 2012-07-20 2013-03-25 하림 엔지니어링(주) 슬러지 안정화 장치
KR102481981B1 (ko) * 2022-09-13 2022-12-29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KR102573143B1 (ko) * 2022-09-13 2023-08-31 (주)대양디앤씨 고자력분리기가 구비된 복합 오염토양 정화 및 자원화 시스템
KR102600279B1 (ko) * 2022-09-13 2023-11-09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이 복합 오염토양 정화 및 자원화 처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48Y1 (ko) 2000-04-24 2000-09-01 이창규 유기성 폐기물의 안정화장치
JP2004511346A (ja) * 2000-10-18 2004-04-15 アールスリー マネジメント リミテッド 下水または下水汚泥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37871A (ko) * 2002-10-30 2004-05-08 김응호 생석회와 전로 슬래그를 이용한 미소화 슬러지의 안정화및 고화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48Y1 (ko) 2000-04-24 2000-09-01 이창규 유기성 폐기물의 안정화장치
JP2004511346A (ja) * 2000-10-18 2004-04-15 アールスリー マネジメント リミテッド 下水または下水汚泥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37871A (ko) * 2002-10-30 2004-05-08 김응호 생석회와 전로 슬래그를 이용한 미소화 슬러지의 안정화및 고화 처리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69905B (zh) * 2008-05-08 2011-07-20 苏州工业园区格瑞特泥科学与应用技术研究院有限公司 自动化污、淤泥凝固强化处理方法及装置
KR100959668B1 (ko) 2009-07-09 2010-05-26 손순배 생석회의 수화반응열을 이용한 농업용 보일러
KR101132719B1 (ko) 2010-05-04 2012-04-06 손순배 전기생산용 스팀을 제공함과 동시 알카리 비료를 얻는 다용도 보일러
KR101142954B1 (ko) 2012-02-23 2012-05-08 이문석 하수슬러지 복토화 장치
KR101240521B1 (ko) * 2012-07-20 2013-03-25 하림 엔지니어링(주) 슬러지 안정화 장치
KR102481981B1 (ko) * 2022-09-13 2022-12-29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KR102573143B1 (ko) * 2022-09-13 2023-08-31 (주)대양디앤씨 고자력분리기가 구비된 복합 오염토양 정화 및 자원화 시스템
KR102600279B1 (ko) * 2022-09-13 2023-11-09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이 복합 오염토양 정화 및 자원화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686B1 (ko) 하수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장치
CN106391663B (zh) 一种飞灰无害化处理资源化再生利用装置及处理方法
US200901272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 remediation
EP0879215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liquid sludge stabilization
KR101616323B1 (ko) 가축분뇨 및 음식물의 바이오메스를 통한 전기, 액비 및 퇴비의 제조시스템
JPH05285499A (ja) 汚水スラッジ循環分解装置
KR100392831B1 (ko) 농축된폐수의처리방법및처리장치
DE4308920A1 (de)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Bioabfällen oder dergleichen
KR10091560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106007171A (zh) 一体式污泥减量资源化及n2o减排污水处理装置及其运行方法
KR100540014B1 (ko) 고농도 폐수처리를 위한 전처리 장치 및 방법
CN103338906B (zh) 制造用于修复废弃采石场的水泥土的装置及方法
KR200195548Y1 (ko) 유기성 폐기물의 안정화장치
JP2009112904A (ja) 廃棄物のメタン発酵処理システム
KR20170038912A (ko) 메탄 발효 방법 및 메탄 발효 시스템
KR101916120B1 (ko) 탈수 전 슬러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95096B1 (ko) 슬러지 감량을 위한 슬러지 개질 방법 및 그 장치
KR101031862B1 (ko) 고농도 유기 폐수의 처리장치
CN110204363B (zh) 一种环境友好型污泥氧化处理余热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CN219024123U (zh) 一种高温固体物料急冷制浆装置
KR100257927B1 (ko) 음식물찌꺼기의 냉각장치
CA1085976A (en) Treatment of aqueous sludges
CN108455812A (zh) 剩余污泥中有机物的处理方法
KR19990064830A (ko) 축산분뇨의 처리방법 및 장치
JPS62279893A (ja) メタン発酵における酸生成リアクタ−のpH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