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615B1 -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615B1
KR101781615B1 KR1020150110246A KR20150110246A KR101781615B1 KR 101781615 B1 KR101781615 B1 KR 101781615B1 KR 1020150110246 A KR1020150110246 A KR 1020150110246A KR 20150110246 A KR20150110246 A KR 20150110246A KR 101781615 B1 KR101781615 B1 KR 101781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rushing
screw
unit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755A (ko
Inventor
최재빈
Original Assignee
최재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빈 filed Critical 최재빈
Priority to KR1020150110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6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1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58Feed means of scre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1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65F3/143Means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the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devices from the tank of refus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1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65F3/2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with screw conveyors, rotary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6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9Shred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적재함(101)의 후방측 상부면에 형성되는 투입구(102)를 통해 내부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사이즈 이하로 분쇄하는 제1 분쇄부(10); 제1 분쇄부(10)로부터 분쇄되어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경사각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면서 압착되도록 하여 스크류 하우징(21)의 상단부에 형성한 복수의 배수홀(211)을 통해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1 이송부(20); 제1 이송부(20)로부터 강제적으로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맷돌원리에 의해 1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작은 사이즈로 분쇄하는 제2 분쇄부(30); 제1 분쇄부(10)에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함량과 염도에 따라 혼합되도록 제2 분쇄부(30)로 공급되는 첨가물의 공급량을 자동조절하는 첨가물 공급부(40); 제2 분쇄부(30)를 통해 분쇄되면서 첨가물과 혼합되어 공급되는 혼합물을 일정 경사각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면서 압착시키도록 하는 제2 이송부(50); 제2 이송부(50)를 통해 압축되어 연속해서 인출되는 혼합물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커팅 수단(54)에 의해 절단된 팰릿이 복층의 컨베이어(61)를 연속통과하면서 가열 건조되도록 하는 건조부(61)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Apparatus for solidification of food-wasted collecting vehicl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탈수되게 한 후 첨가물 혼합에 의해 일정한 점도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압축시키면서 일정한 사이즈로 절단되게 한 후 가열 건조에 의해 고형의 팰릿으로 재생되게 함으로서 퇴비 또는 사료나 연료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요식업소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로 분리 수거되도록 하여 소각 또는 매립하거나 사료나 퇴비로 재활용되도록 한다.
음식물 쓰레기는 생활폐기물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면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와 처리에도 한계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열풍 건조처리하거나 발효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안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97170호(2011.12.15.명칭:차량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연료화 장치)는 차량에 음식물 쓰레기를 1차 파쇄하는 수납대와, 수납대로부터 이송되는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스크린 타입의 벨트에 의해 탈수하는 탈수기와, 탈수 낙하하는 음폐수를 수용하는 폐수저장고와, 회전형 커터에 의해 2차 파쇄하면서 제트 기류와 원심력을 이용하여 파쇄/분쇄 및 건조하는 가공유닛과, 탈취기 및 건조 완료된 미분 형태의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저장고가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차량에 파쇄와 탈수와 폐수저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한다고 했을 뿐 이들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수납대의 구성만 예시되어 있고,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구성이 전혀 없고, 이들 구성들이 차량에 어떠한 식으로 장착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이 없으므로 실시가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97170호(2011.12.15.)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호퍼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해서 분쇄와 압축 및 첨가물 혼합 및 건조시켜 고형의 펠릿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점도와 염도에 따라 첨가물의 혼합량이 자동 조절되게 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고형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률을 극대화시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따른 환경적 문제와 함께 처리 비용을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적재함의 후방측 상부면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통해 내부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사이즈 이하로 분쇄하는 제1 분쇄부; 제1 분쇄부로부터 분쇄되어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경사각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면서 압착되도록 하여 스크류 하우징의 상단부에 형성한 복수의 배수홀을 통해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1 이송부; 제1 이송부로부터 강제적으로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맷돌원리에 의해 1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작은 사이즈로 분쇄하는 제2 분쇄부; 제1 분쇄부에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함량과 염도에 따라 제2 분쇄부로 공급되는 공급량이 자동조절되는 첨가물 공급부; 제2 분쇄부를 통해 분쇄되면서 첨가물과 혼합되어 공급되는 혼합물을 일정 경사각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면서 압착시키도록 하는 제2 이송부; 제2 이송부를 통해 압축되어 연속해서 인출되는 혼합물을 일정 크기로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커팅 수단에 의해 절단된 팰릿이 복층의 컨베이어를 연속통과하면서 가열 건조되도록 하는 건조부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를 통해 일정 크기의 팰릿으로 성형하도록 함으로써 즉각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처리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경제적 이점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따른 환경적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가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염도와 수분에 따른 첨가물의 공급량 조절에 의해 퇴비나 연료 등의 필요로 하는 용도로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차량 적재함 내부 구조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제1 분쇄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제1 이송부를 예시한 평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정량 조절 수단의 결합 구성을 예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플랜지판을 예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정량 조절 수단의 회전판을 예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제2 분쇄부를 예시한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제2 분쇄부의 제2 이송부와 연결관계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제2 이송부의 커팅 수단을 예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건조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 대한 실시예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차량 적재함 내부 구조를 예시한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크게 제1 분쇄부(10)와 제1 이송부(20)와 제2 분쇄부(30)와 첨가물 공급부(40)와 제2 이송부(50) 및 건조부(6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1 분쇄부(10)는 차량의 적재함(101) 후방측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제1 분쇄부(10)는 차량 적재함(101)의 내부에 고정되는 제1 호퍼(11)의 내부에 고정되어 그 상부의 투입구(102)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사이즈 이하로 절단하여 그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제1 분쇄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분쇄부(10)는 제1 호퍼(11)의 내부에서 외주연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날(12)과 이러한 고정날(12)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회전날(13)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고정날(12)에는 회전날(13)이 수직으로 관통 삽입되면서 회전날(12)의 양단부는 제1 호퍼(11)의 측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날(13)은 제1 호퍼(11)의 외측에서 스프로켓과 체인 또는 풀리와 벨트와 같은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동시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하며, 이들은 하나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 가능하도록 한다.
고정날(12)과 회전날(13)은 회전날(13)이 회전하면서 단부간 서로 겹쳐지면서 통과하는 부위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잘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의 회전날(13) 사이의 고정날(12)은 도면에서와 같이 회전날(13) 사이의 폭 중간 부위가 상향 만곡지게 함으로써 상부로부터 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가 고정날(12)과 회전날(13) 사이로 안정되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날(13)이 배치되는 방향의 제1 호퍼(11)의 내주면과 접하는 판면은 회전날(13)측 단부로부터 제1 호퍼(11)의 내주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함으로써 제1 호퍼(11)의 내주면을 타고 내려오는 음식물 쓰레기가 고정날(12)과 회전날(13)의 접촉 부위로 안정되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호퍼(11)를 통해 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는 고정날(12)과 회전날(13)로서 이루어지는 제1 분쇄부(10)로 유도되어 일정 사이즈로 분쇄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1 분쇄부(10)를 통과하여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1 이동부(20)로 유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제1 이송부를 예시한 평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20)는 일단이 제1 분쇄부(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타단은 전방측의 적재함 상부로 위치되게 함으로써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한다.
이러한 제1 이동부(20)는 관형상의 스크류 하우징(21)에 길이 방향으로 이송 스크류(22)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하고, 하단부에서 이송 스크류(22)는 스크류 구동수단(23)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크류 하우징(21)의 하부에는 상측의 외주면 일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0)를 형성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제1 이동부(20)는 제1 분쇄부(10)의 하부에서 차량의 전방으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구성으로, 스크류 하우징(21)과 이송 스크류(22) 및 스크류 구동수단(23)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제1 분쇄부(10)의 하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도록 하는 관형상의 스크류 하우징(21)은 적재함(101) 내부에서 별도의 브라켓트(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이 스크류 하우징(21)의 하부측 상부면은 일부 절개되게 하여 제1 분쇄부(10)의 제1 호퍼(11)의 하단부와 연결되게 함으로써 제1 호퍼(11)를 통해 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가 스크류 하우징(21)의 내부로 안정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이동부(20)의 스크류 하우징(21)에는 이송 스크류(22)가 스크류 하우징(21)의 전체 길이에 걸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하며, 다만 이송 스크류(22)는 스크류 날(220)간 간격이 상부로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송 스크류(22)는 하단부가 스크류 하우징(21)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스크류 구동수단(23)에 연결되며, 이송 스크류(22)는 상부의 일정 높이가 스크류 샤프트(221)의 직경이 상단부로 점차 확장되도록 하고, 스크류 샤프트(221)의 직경이 확장되는 부위의 스크류 하우징(21)에서 상부의 하측 외주면으로 복수의 배수홀(211)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이송 스크류(22)의 상단부 일부를 스크류 샤프트(221)가 확장되도록 하면 스크류 샤프트(221)와 스크류 하우징(21)간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한다.
한편, 배수홀(211)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는 그 하부의 오수 저장 탱크(24)에 수집되고, 오수 저장 탱크(24)의 내부에 채워지는 오수는 드레인 밸브(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송 스크류(22)의 배수홀(211)을 통해 탈수가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는 정량 조절 수단(25)을 통하여 제2 분쇄부(30)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정량 조절 수단의 결합 구성을 예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정량 조절 수단(25)은 제1 이송부(20)에서 스크류 하우징(21)의 상단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플랜지판(212)에 일정 각도를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판(250)이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스크류 하우징(21)의 상단부에 용접 결합되는 플랜지판(212)은 중앙으로 이송 스크류(22)가 베어링 결합되면서 관통하도록 하고, 베어링 결합부의 스크류 하우징(21)의 내경에 위치되는 외주연부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장공의 배출홀(213)이 복수로 구비되며,, 스크류 하우징(21)의 외경보다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한 판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체결홀(214)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정량 조절 수단(25)의 회전판(250)은 플랜지판(212)과 동일한 형상으로 도 6에서와 같이 중앙에는 이송 스크류(22)와 베어링 결합되면서 관통되도록 하고, 그 외측으로는 배출홀(213)과 동일한 반경에 장공의 조절홀(251)이 형성되도록 한다.
다만, 정량 조절 수단(25)의 회전판(250)에는 플랜지판(212)의 외주연부에 형성되는 체결홀(214)과 동일한 반경에 장공의 연결홀(252)이 형성되도록 하고, 회전판(250)의 외주연 단면에는 링기어(253)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축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정량 조절 수단(25)의 회전판(250)은 플랜지판(212)과 마찬가지로 이송 스크류(22)가 베어링 결합되도록 하면서 체결홀(214)과는 연결홀(252)을 통해 볼팅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호 밀착시켜 회전 가능하도록 하되 스크류 하우징(21)에 고정되는 플랜지판(212)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호 마주보는 면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장공의 배출홀(213)과 조절홀(251)의 외측에는 판면간 오링(미도시)에 의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회전판(250)의 링기어(253)에는 모터(255)에 축고정되는 웜기어(254)가 기어 결합되며, 웜기어(254)를 축고정하는 구동축은 플랜지판(212)을 상부로 일정 높이가 연장되도록 한 판면에 베어링 축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웜기어(254)를 통해 감속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판(250)이 조절홀(251)의 형성 각도 범위 내에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회전판(250)의 회전량에 따라 플랜지판(212)의 배출홀(213)이 개방되는 량이 조절되게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압축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제1 이송부(20)와 정량 조절 수단(25)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의 물기가 제거되도록 한 후 제1 연결관(256)을 통하여 제2 분쇄부(30)로 공급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제1 이송부(20)는 차량 적재함(101)의 일측면으로 편심 구비되게 함으로써 제1 이송부(20)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 저장 탱크(24)의 용량이 극대화되도록 하고 있고, 제2 분쇄부(30)는 차량 적재함(101)의 폭간 중간에 위치되므로 제1 이송부(20)의 상단과 제2 분쇄부(30)의 상단부간 상호 이격된 거리는 제1 연결관(256)을 통해서 연결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제2 분쇄부를 예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분쇄부(30)는 제1 분쇄부(10)를 통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좀더 작은 입자로 분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한 제2 분쇄부(30)는 제2 호퍼(31)와 그라인더(32) 및 그라인더 구동수단(33)으로서 구비한다.
제2 분쇄부(30)에서 제2 호퍼(31)는 상부가 제1 이송부(20)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다 하부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면서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한다.
제2 호퍼(31)에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그라인더(32)가 수용되도록 하되 제2 호퍼(31)의 직경이 축소되는 경계부에서 그라인더(32)의 가장 큰 외경을 이루는 부위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그라인더(32)의 하부측 경사각은 제2 호퍼(31)의 하부면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l
또한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제2 호퍼(31)의 하부면과 그라인더(32)의 하부면에는 각각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들 요철면 사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잘게 분쇄되도록 한다.
하부와 달리 그라인더(32)의 상부측 직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하면 제2 호퍼(31)의 내주면 공간이 상부로 더욱 확장되는 형상이 되어 그라인더(32)의 경사면을 타고 음식물 쓰레기가 하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의 그라인더(32)는 상부에서 그라인더 구동수단(33)에 의해 회전 및 승강하도록 한다.
그라인더 구동수단(33)은 그라인더(32)의 상부로 돌출되게 축고정되는 회전축(320)의 외주면으로 일정 높이에 스프라인 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회전축(320)은 적재함(101) 상부면에 고정되도록 한 승강 실린더(330)에 연결되어 일정 높이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전축(320)은 스프라인 홈이 형성되는 부위에 수평의 베벨기어(331)가 스프라인 결합되도록 하며, 수평의 베벨기어(331)는 기어 박스(334)의 바닥에 고정한 베어링 홀더(335)에 베어링 결합된다.
이때 수평의 베벨기어(331)에는 일측에서 수직의 베벨기어(332)가 기어결합되고, 수직의 베벨기어(332)는 변속기를 통해 모터(333)에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모터(333)의 구동에 의해 변속기를 거쳐 수직의 베벨기어(332)가 회전하도록 하면 수평의 베벨기어(331)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수평의 베벨기어(331)와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320)을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그라인더(32)를 회전시킬 수가 있게 된다.
다만 수평의 베벨기어(331)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회전축(320)은 상부의 승강 실린더(330)에 의해 수평의 베벨기어(331)의 스플라인 면을 따라 일정 높이를 승강할 수가 있으므로 그라인더(32)와 제2 호퍼(31)의 간극을 조절할 수가 있다.
한편, 제2 호퍼(31)의 하부측 내주면과 상호 마주보게 구비되는 그라인더(32)의 하부측 외주면에는 각각 요철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이들 사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 분쇄부(30)의 제2 호퍼(31)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일정 주기로 그라인더(32)는 승강 실린더(330)에 의해 승강하면서 요철이 형성된 제2 호퍼(31)와 그라인더(32)의 마주보는 면간 간격이 커졌다 작아지게 함으로써 이들 사이로 음식물 쓰레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어 그라인더(32)의 회전에 의해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 호퍼(31)와 그라인더(32) 사이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그 하부의 제2 호퍼(31) 하단부를 통해 제2 이송부(40)에 공급된다.
이때 제2 분쇄부(30)에서는 제1 이송부(20)를 통해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의 점도나 가연성이 조절되도록 첨가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즉 제2 분쇄부(30)의 제2 호퍼(31) 상부에는 별도의 첨가물 공급부(4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제2 분쇄부(30)에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일정한 점도와 염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첨가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첨가물 공급부(40)는 일정량의 첨가물을 수용하는 첨가물 저장고(41)가 구비되고, 이 첨가물 저장고(41)로부터 일정량의 첨가물이 제2 분쇄부(30)의 제2 호퍼(31)에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첨가물 저장고(41)과 제2 분쇄부(30)의 제2 호퍼(31) 사이에는 공급량 조절밸브(42)가 구비되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염도와 수분에 따라 개폐량이 자동 조절되도록 한다.
첨가물 공급량 조절을 위해 제1 이송부(20)의 유입구(220)측 제1 호퍼(11)의 하단부로는 음식물 쓰레기의 염도와 수분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분량 감지센서와 염도 감지센서가 각각 구비되도록 하고, 이들 수분량 감지센서와 염도 감지센서를 통해 체크되는 정보에 의해 공급량 조절 밸브(42)의 개방량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첨가물의 공급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며, 이와 함께 수분량 감지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정보는 정량 조절 수단(25)의 작동을 제어하기도 한다.
한편, 첨가물 공급부(40)에 저장되는 첨가물로는 톱밥이나 폐지 또는 옥수수대, 볏집 등을 분쇄시켜 각각을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하나 이상의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첨가물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분쇄부(30)를 통해 하향 낙하하면서 음식물 쓰레기와 첨가물이 혼합된 혼합물은 제2 이송부(50)에 공급되어 재차 압착되면서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차량 적재함(101)의 폭 중간에 위치하는 제2 분쇄부(30)에서 일측면으로 편심의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이송부(50)와의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있으므로 이들 사이는 도 8에서와 같이 제2 연결관(34)으로서 연결되도록 하고, 제2 연결관(34)에는 공급 단속 수단(35)과 함께 소형 스크류(36)가 구비되도록 한다.
공급 단속 수단(35)은 제2 이송부(50)의 제2 호퍼(3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제2 호퍼(31)의 하단부를 일정 높이 하향 연장되도록 한 제2 연결관(34)의 상부에서 베인(350)이 90°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제2 연결관(34)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와 첨가물이 교반과 분쇄된 혼합물의 이동이 단속되도록 한다.
이때 베인(350)은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정역회되게 함으로써 제2 분쇄부(30)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첨가물이 교반과 분쇄되는 과정에는 하향 배출이 중단되도록 하고, 충분한 교반과 분쇄가 이루어지면 하향 개방되도록 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배출되는 혼합물은 수평 또는 완만한 경사각으로 이루어지는 제2 연결관(34)의 내부로 구비되는 소형 스크류(36)에 의해서 제2 이송부(50)까지 이송되도록 한다.
제2 이송부(50)는 제1 이송부(20)와 마찬가지로 이송 스크류(51)와 스크류 하우징(52) 및 스크류 구동수단(53)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차량 적재함(101)의 일측에서 제1 이송부(20)와 동일직선상에 구비되며, 일단은 제2 분쇄부(30)의 하부에서 제2 연결관(34)과 연결되고, 타단은 차량의 전방측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일정 각도로서 경사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2 이송부(50)는 스크류 하우징(51)의 내부로 이송 스크류(52)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스크류 하우징(51)의 제2 분쇄부(30) 하부의 상부측 외주면은 일부 개방되도록 하여 제2 분쇄부(30)로부터 낙하하는 혼합물이 스크류 하우징(51)의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스크류 하우징(51)의 내부에 수용되는 이송 스크류(52)는 하단부가 스크류 구동수단(5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며, 이송 스크류(51)는 스크류 샤프트(521)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크류 날(520)간 간격이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한다.
특히, 스크류 하우징(51)의 상단부는 이송 스크류(52)의 스크류 샤프트(521) 상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 결합되게 하면서 주연부에는 일정 크기의 혼합물 배출홀(513)을 복수로 형성되도록 한 하우징 캡(512)이 결합되도록 하며, 이들 혼합물 배출홀(513)을 통하여 혼합물이 일정한 직경으로 연속해서 압출되도록 한다.
한편, 스크류 하우징(51)의 상단부에는 하우징 캡(512)의 배출홀(513)을 통해 압출되는 혼합물을 일정 길이에서 절단되도록 하는 커팅 수단(54)이 구비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에서 제2 이송부의 커팅 수단을 예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커팅 수단(54)은 하우징 캡(512)이 결합되는 스크류 하우징(51)의 상단부에서 모터 또는 실린더 구동에 의해 구동하는 커터(미도시)에 의해서 하우징 캡(512)의 혼합물 배출홀(513)을 통해 연속 압출되는 혼합물을 일정 크기로 절단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면에서는 모터(540)에 커터(541)가 편심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커팅 수단(54)에 의해 절단된 혼합물은 팰릿의 형상으로 건조부(60)에 공급되며, 건조부(60)는 컨베이어(61)와 이 컨베이어(61)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열 램프(62)로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컨베이어(61)는 일정 높이차를 두고 복수 층으로 구비되도록 하되 상부측 컨베이어(61)보다 하부측 컨베이어(61)가 좀더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하고, 격층으로 동일 수직선상에 컨베이어(61)들이 구비되도록 한다.
따라서 커팅 수단(54)에 의해 절단되어 낙하하는 팰릿은 도 10에서와 같이 가장 상부에 위치되는 컨베이어(61)의 일단에 얹혀져 전방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고, 전방으로 이동한 팰릿이 하부로 떨어지게 하면 하부에 구비되는 또 다른 컨베이어(61)에 얹혀지게 되며, 이 컨베이어(61)에 의해서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 층의 컨베이어(61)에 의해 팰릿은 지그재그식으로 점차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각 컨베이어(61) 사이에는 가열 램프(62)가 구비되도록 하여 이동 중 팰릿이 가열 건조되도록 한다.
한편, 건조부(60)의 상부에서 차량 적재함(101)의 상부면에는 팰릿의 건조 시 발생되는 냄새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환기 수단(70)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환기 수단(70)은 팰릿의 가열 건조 시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외부의 공기 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필터에 의해 여과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 층의 컨베이어(61)와 가열 램프(62)로 이루어지는 건조부(60) 또한 차량 적재함(101)의 일측에 편심되게 형성되는 제2 이송부(50)와 동일 직선상에 구비되도록 한다.
따라서 편심형성되는 제2 이송부(50)와 가열부(60)를 제외한 차량 적재함(101)의 나머지 내부 공간은 하단부측 컨베이어(61)로부터 낙하하는 팰릿을 담아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업실(80)을 이루게 되며, 이러한 작업실(80)은 건조부(60)와는 격리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1 이송부(20)와 제2 이송부(50)와 건조부(60)는 도 11에서와 같이 차량 적재함(101)의 양측으로 구비되도록 하고, 중앙에는 한 쌍의 제2 분쇄부(30)가 구비되게 하는 구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적재함(101)에는 적어도 일측면으로 절첩이 가능하게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적재판(103)이 구비되고, 이 용기 적재판(103)에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내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금속물탐지센서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00은 차량 바디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 바디(100)의 콘테이너 박스형의 적재함(101)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적재함(101) 후방의 상부면에 형성한 투입구((102))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도록 하여 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분쇄와 건조에 의해 고형의 팰릿형상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적재함(101)의 상부면 후방측으로 구비되는 투입구(102)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게 되면 투입구(102)로부터 제1 호퍼(11)를 통해 제1 분쇄부(10)로 음식물 쓰레기가 유도된다.
제1 호퍼(11)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1 분쇄부(10)에 유도되며, 이때 회전날(13)을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날(12)과의 교차되는 부위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잘게 절단된다.
제1 분쇄부(10)에 의해서 음식물 쓰레기는 일정 사이즈 이하로 절단되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는 일정 경사각으로 구비되는 제1 이송부(20)의 스크류 하우징(21)에 형성한 유입구(210)를 통해 스크류 하우징(21)의 내부로 공급된다.
제1 이송부(20)의 스크류 하우징(21) 내부로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 스크류(22)의 회전에 의해서 제1 이송부(2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 스크류(22)의 스크류 날(220)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스크류 날(220)간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하면서 상부측 스크류 샤프트(221)는 상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확대되도록 하고 있어 스크류 샤프트(221)의 외경과 스크류 하우징(21)의 내경간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스크류 하우징(21)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압착이 된다.
제1 이송부(20)를 통해 이동하면서 압착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스크류 하우징(21)의 상단부측 일정 높이의 외주면에 형성한 복수의 배수홀(211)을 통해 압착되면서 발생되는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며, 배수홀(211)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는 그 하부의 오수 저장 탱크(24)에 모아지도록 한다.
즉 음식물 쓰레기는 제1 이송부(20)를 지나면서 압축에 의해 결국 탈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스크류 하우징(21) 상단부의 정량 조절 수단(25)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정량 조절 수단(25)은 제1 이송부(20)를 통해 압축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압축 정도를 조절하도록 제1 이송부(20)의 플랜지판(212)에 형성한 배출홀(213)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정량 조절 수단(25)의 구동은 제1 이송부(20)의 하부측 유입구(210)에 구비되는 수분량 감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체크하여 자동 조절되도록 한다.
제1 이송부(20)를 통해 탈수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2 분쇄부(30)의 제2 호퍼(31) 상부로 공급된다.
제2 분쇄부(30)에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2 분쇄부(30)의 제2 호퍼(31) 내부로 구비되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그라인더(32)의 회전에 의해 더욱 작은 사이즈로서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라인더(32)는 상부가 상부로 점차 외경이 작아지도록 하고 있고, 제2 호퍼(31)의 내주면과 사이 공간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점차 좁아지도록 하고 있어 제2 호퍼(31)의 상부로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안정적으로 하부로 이동할 수가 있도록 한다.
특히 그라인더(32)는 상부에서 그라인더 구동수단(33)에 의해 회전하는 동시에 일정 높이를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마주보는 면으로 각각 요철을 형성한 그라인더(32)의 하부측 외주면과 제2 호퍼(31)의 하부측 내주면 사이로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지도록 하여 더욱 작은 사이즈로 분쇄되도록 한다.
즉, 회전하는 그라인더(32)를 그라인더 구동수단(33)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게 되면 하부측의 그라인더(32)와 제2 호퍼(31)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고, 이 부위로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지게 되면 그라인더(32)를 하강시켜 마주보는 요철면에 의해서 음식물 쓰레기가 더욱 잘게 분쇄되도록 한다.
다만, 그라인더(32)와 제2 호퍼(31)에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2 호퍼(31)의 상부에서 제1 이송부(20)가 연결되는 부위와 다른 부위로 첨가물 공급부(40)가 연결되도록 하여 제2 호퍼(31)에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점도 상태에 따라 혼합용 첨가물이 동시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의 첨가물은 최종 생산되는 고형의 팰릿을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첨가물을 적정량 제2 호퍼(31)에 공급되도록 하면 제1 이송부(20)에 의해 탈수되어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혼합되면서 필요로 하는 점도와 염도를 갖는 혼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제2 분쇄부(30)에서 첨가물과 혼합된 혼합물은 그 하부의 공급 단속 수단(35)에서 베인(350)의 구동에 의해 혼합물 공급이 단속되도록 한다.
즉 제2 분쇄부(30)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첨가물간 충분한 교반과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베인(350)에 의해 혼합물 이동이 중단되도록 하고, 충분한 교반과 혼합이 이루어지게 되면 혼합물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공급 단속 수단(35)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물은 소형 스크류(36)에 의해 제2 연결관(34)을 통하여 제2 이송부(50)에 공급된다.
제2 이동부(50)에 공급되는 혼합물은 스크류 하우징(51)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이송 스크류(52)를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의 이송 스크류(52)에서도 스크류 날(520)간 간격이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혼합물은 상부로 갈수록 압착력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상부로 갈수록 혼합물간 결합이 더욱 강해지도록 하면 제2 이동부(50) 상단에서 하우징 캡(512)의 혼합물 배출홀(513)을 통해 혼합물은 일정 직경으로 연속 압출된다.
혼합물 배출홀(513)을 통해 압출되는 혼합물은 커팅 수단(54)에 의해 일정 크기로 절단되도록 하며, 절단된 혼합물은 팰릿 형태로 건조부(60)의 가장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컨베이어(61)에 얹혀지게 된다.
컨베이어(61)에 얹혀진 팰릿은 상부의 가열 램프(62)에 의해 건조되면서 일정 길이를 이동하여 선단에서 하향 자연 낙하되고, 낙하한 팰릿은 다시 그 하부의 컨베이어(61)에 얹혀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상부의 가열 램프(62)에 의해 다시 가열 건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61)와 가열 램프(62)를 지나면서 팰릿이 충분히 가열 건조되게 함으로써 견고하게 고형화되도록 한다.
특히 건조부(60)의 상부로는 팰릿의 건조 시 발생되는 악취 등의 냄새를 강제 흡입하도록 환기 수단(63)이 구비되고, 이 환기 수단(63)에는 필터가 장착되도록 하여 악취를 제거한 청정한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건조부(60)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되는 컨베이어(61)로부터 하향 낙하하는 펠릿은 작업자에 의해 일정 용량의 포대에 담겨지도록 하고, 정량이 채워진 포대는 작업 공간 내에서 적재되도록 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동시에 연속적인 1차 분쇄와 탈수와 2차 분쇄와 혼합과 압출 및 커팅과 건조에 의해 일정 사이즈의 팰릿으로 재생되도록 하여 동물 또는 식물 사료나 연소용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이동하는 수거차량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이상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과 장소가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주위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10 : 제1 분쇄부 11 : 제1 호퍼
12 : 고정날 13 : 회전날
20 : 제1 이송부 21 : 스크류 하우징
22 : 이송 스크류 30 : 제2 분쇄부
31 : 제2 호퍼 32 : 그라인더
33 : 그라인더 구동수단 40 : 첨가물 공급부
50 : 제2 이송부 51 : 스크류 하우징
52 : 이송 스크류 54 : 커팅 수단
60 : 건조부 61 : 컨베이어
62 : 가열 램프 70 : 환기 수단
80 : 작업실 101 : 적재함

Claims (13)

  1. 차량 적재함(101) 후방측에 고정되는 제1 호퍼(11)와, 상기 제1 호퍼(11)의 내부에서 외주연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날(12)과, 상기 고정날(12)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복수의 회전날(13)과, 상기 제1 호퍼(11)의 외측에서 스프로켓과 체인 또는 풀리와 벨트와 같은 구동수단을 통해 동시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모터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호퍼(11)의 투입구(102)를 통해 내부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사이즈 이하로 분쇄하는 제1 분쇄부(10);
    제1 분쇄부(10)로부터 분쇄되어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경사각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면서 압착되도록 하여 스크류 하우징(21)의 상단부에 형성한 복수의 배수홀(211)을 통해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1 이송부(20);
    제1 이송부(20)로부터 강제적으로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맷돌원리에 의해 1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작은 사이즈로 분쇄하는 제2 분쇄부(30);
    제1 분쇄부(10)에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함량과 염도에 따라 혼합되도록 제2 분쇄부(30)로 공급되는 첨가물의 공급량을 자동조절하는 첨가물 공급부(40);
    제2 분쇄부(30)를 통해 분쇄되면서 첨가물과 혼합되어 공급되는 혼합물을 일정 경사각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면서 압착시키도록 하는 제2 이송부(50);
    제2 이송부(50)를 통해 압축되어 연속해서 인출되는 혼합물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커팅 수단(54)에 의해 절단된 팰릿이 복층의 컨베이어(61)를 연속통과하면서 가열 건조되도록 하는 건조부(60);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13) 사이의 고정날(12)은 폭 중간 부위가 상향 만곡지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20)는
    상기 적재함(101) 내부에서 별도의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하부측 상부면은 일부 절개되게 하여 상기 제1 호퍼(11)의 하단부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호퍼(11)를 통해 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가 내부로 안정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 하우징(21)과,
    상기 스크류 하우징(21)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스크류 날(220)간 간격이 상부로 점차 좁아지도록 하고, 상부의 일정 높이는 스크류 샤프트(221)의 직경이 상단부로 점차 확장되도록 하는 이송 스크류(22)와,
    상기 스크류 하우징(21)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22)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전달되는 스크류 구동수단(23)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221)의 직경이 확장되는 부위의 스크류 하우징(21)에는 상부의 하측 외주면으로 복수의 배수홀(211)이 형성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하우징(21)의 배수홀(211)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는 그 하부의 오수 저장 탱크(24)에 수집되고, 오수 저장 탱크(24)의 내부에 채워지는 오수는 드레인 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20)의 스크류 하우징(21) 상단부에 용접 결합되고, 중앙으로 이송 스크류(22)가 베어링 결합되면서 관통하며, 스크류 하우징(21)의 내경에 위치되는 외주연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장공의 배출홀(213)이 복수로 구비되고, 스크류 하우징(21)의 외경보다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한 판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체결홀(214)이 형성되는 플랜지판(212)에는 정량 조절 수단(25)이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정량 조절 수단(25)은
    중앙에는 이송 스크류(22)가 베어링 결합되면서 관통되도록 하고, 플랜지판(212)의 배출홀(213)과 동일한 반경에 장공의 조절홀(251)을 형성하며, 플랜지판(212)의 체결홀(214)과는 동일한 반경에 형성한 장공의 연결홀(252)과 볼팅체결되고, 외주연 단면에는 링기어(253)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플랜지판(212)과는 조절홀(251)의 외측에서 판면간 오링에 의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판(250)과,
    회전판(250)의 링기어(253)와 일측에서 기어결합되는 웜기어(254)와,
    웜기어(254)가 축결합되고, 플랜지판(212)을 상부로 일정 높이가 연장되도록 한 판면에 베어링 결합에 의해 축고정되는 구동축이 연결되는 모터(255)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쇄부(30)는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다 하부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면서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제1 이송부(20)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호퍼(31)와,
    상기 제2 호퍼(31)에서 직경이 축소되는 경계부에 가장 큰 외경을 이루는 부위가 위치되도록 하는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호퍼(31)의 경사진 하부면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하면서 상호 마주보는 면간으로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는 그라인더(32)와,
    상기 그라인더(32)의 상부로 돌출되게 축고정되는 회전축(320)의 외주면으로 일정 높이에 스프라인 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회전축(320)은 적재함(101) 상부면에 고정되도록 한 승강 실린더(330)에 연결되어 일정 높이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320)에 스프라인 홈이 형성되는 부위에는 수평의 베벨기어(331)가 스프라인 결합되도록 하고, 수평의 베벨기어(331)는 기어 박스(334)의 바닥에 고정한 베어링 홀더(335)에 고정한 베어링과의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수평의 베벨기어(331)에는 일측에서 수직의 베벨기어(332)가 기어결합되고, 수직의 베벨기어(332)는 변속기를 통해 모터(333)에 연결되는 그라인더 구동수단(33)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 공급부(40)는
    일정량의 첨가물을 수용하는 첨가물 저장고(41)과,
    상기 제1 이송부(20)의 유입구(220)측 제1 호퍼(11)의 하단부로는 음식물 쓰레기의 염도와 수분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구비되는 수분량 감지센서와 염도 감지센서를 통해 체크되는 정보에 의해 상기 첨가물 저장고(41)로부터 제2 분쇄부(30)의 제2 호퍼(31)로 공급되는 첨가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공급량 조절밸브(42)로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톱밥이나 폐지 또는 옥수수대, 볏집을 분쇄시켜 각각을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들 하나 이상의 성분을 혼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50)는
    일단은 제2 분쇄부(30)의 하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차량의 전방측으로 일정 각도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크류 하우징(51)과,
    상기 스크류 하우징(51)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2 분쇄부(30)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와 첨가물을 혼합한 혼합물이 스크류 하우징(51)의 상부로 이송되도록 하며, 스크류 샤프트(521)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크류 날(520)간 간격이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하는 이송 스크류(52)와,
    스크류 하우징(51)의 내부에 수용되는 이송 스크류(52)의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스크류 구동수단(53)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60)는
    상기 커팅 수단(54)에 의해 절단되어 낙하하는 팰릿을 전후방으로 연속해서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일정 높이를 이격시켜 다단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컨베이어(61)와,
    상기 컨베이어(61)들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컨베이어(61)를 따라 이송되는 팰릿을 가열 건조하는 가열 램프(62)의 결합으로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60) 상부의 적재함(101) 상부면에는 팰릿의 건조 시 발생되는 냄새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필터를 통해 정화시키도록 하는 환기 수단(70)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KR1020150110246A 2015-08-04 2015-08-04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KR101781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46A KR101781615B1 (ko) 2015-08-04 2015-08-04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46A KR101781615B1 (ko) 2015-08-04 2015-08-04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755A KR20170016755A (ko) 2017-02-14
KR101781615B1 true KR101781615B1 (ko) 2017-10-23

Family

ID=5812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246A KR101781615B1 (ko) 2015-08-04 2015-08-04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6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439B1 (ko) 2018-04-25 2018-10-26 (주) 세종이엠씨 유기성폐기물 수거차량
KR102481981B1 (ko) * 2022-09-13 2022-12-29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KR102485243B1 (ko) * 2022-09-13 2023-01-09 (주)신대양 이동식 고화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48B1 (ko) * 2017-11-30 2018-07-06 김대웅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2012635B1 (ko) * 2018-02-09 2019-08-21 (주)휴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2340311A (zh) * 2020-11-10 2021-02-09 湖南林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废水收集功能的垃圾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322B1 (ko) * 2007-07-31 2008-01-11 강명숙 음식물쓰레기의 압착분쇄기
KR101253844B1 (ko) * 2010-12-03 2013-04-12 한태희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
KR101337393B1 (ko) * 2013-07-08 2013-12-06 신화산업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장치용 반응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322B1 (ko) * 2007-07-31 2008-01-11 강명숙 음식물쓰레기의 압착분쇄기
KR101253844B1 (ko) * 2010-12-03 2013-04-12 한태희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
KR101337393B1 (ko) * 2013-07-08 2013-12-06 신화산업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장치용 반응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439B1 (ko) 2018-04-25 2018-10-26 (주) 세종이엠씨 유기성폐기물 수거차량
KR102481981B1 (ko) * 2022-09-13 2022-12-29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응집 침전물의 자원화를 위한 고화 처리 시스템
KR102485243B1 (ko) * 2022-09-13 2023-01-09 (주)신대양 이동식 고화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755A (ko)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615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 고형화장치
US7410583B2 (en) Process of treating organic waste for anaerobic digestion
MXPA04010911A (es) Tratamiento de desechos solidos municipales.
CN107282597B (zh) 一种用于厨余垃圾的处理系统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676729B1 (ko)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287790B1 (ko) 일반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 시스템
KR101146230B1 (ko) 스크린드럼형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조절장치
CN208896307U (zh) 一种废弃轮胎回收炼油生产线
KR101455028B1 (ko) 이동식 축분 펠릿 제조시스템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9664715U (zh) 餐厨垃圾资源化处理清运车
KR101737068B1 (ko)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39377B1 (ko) 음식쓰레기 배출량 감소장치
KR102142584B1 (ko) 폐스티로폴 감용화 장치
CN214133290U (zh) 集成式垃圾处理装置
CN206139633U (zh) 一种将餐厨垃圾用于昆虫饲养的垃圾预处理系统
KR102203422B1 (ko)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123420B1 (ko) 재활용폐기물을 이용한 파쇄건조 일체형 고형연료 제조장치
KR0153704B1 (ko) 음식물찌꺼기 퇴비화 처리장치
KR2001002761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827625B1 (ko) 폐수 처리용 전처리 장치
KR20150057682A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악취제거방법 및 그 장치
CN117046877B (zh) 一种尾菜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