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485B1 - 다양한 전도 기능을 제공하는 유압전도식 수문 - Google Patents

다양한 전도 기능을 제공하는 유압전도식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485B1
KR102480485B1 KR1020220134181A KR20220134181A KR102480485B1 KR 102480485 B1 KR102480485 B1 KR 102480485B1 KR 1020220134181 A KR1020220134181 A KR 1020220134181A KR 20220134181 A KR20220134181 A KR 20220134181A KR 102480485 B1 KR102480485 B1 KR 102480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gate
flat
hydraulic cylinde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순
Original Assignee
(주) 연보
주식회사 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연보, 주식회사 오선 filed Critical (주) 연보
Priority to KR1020220134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다양한 전도 기능을 제공하는 유압전도식 수문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전도식 수문은 문비(100), 상기 문비(100)와 일체로 회동하는 가이드프레임(200), 유압실린더(300) 및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 전달하는 서포트프레임(400)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일측에는 가이드레일면(210)이 형성되고 상기 서프트레임(400)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면(210)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420)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면(210)은 상측에 배치된 제1 평면부(211), 하측에 배치된 제2 평면부(21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평면부(211, 212) 사이에 배치된 중간부(213)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부(213)는 상기 제1 평면부(211)에 이어지며 외측으로 볼록한 제1 곡면부(215) 및 상기 제2 평면부(212)에 이어지며 내측으로 오목한 제2 곡면부(21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양한 전도 기능을 제공하는 유압전도식 수문{A hydraulic upset type's floodgate providing several upset functions}
본 발명은 유압전도식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전도 기능을 제공하는 유압전도식 수문에 관한 것이다.
가동보는 수생태계 조성 및 용수 확보를 위해 강, 하천, 저수지 또는 댐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설비이다.
이러한 가동보에는 개폐식으로 작동하는 다수의 수문이 구비된다. 유압전도식 수문은 회전식으로 개폐되는 유형의 수문으로서, 유압실린더가 제공하는 유압에 의해 기립된 폐쇄상태를 유지하다가, 유압이 제거되면 수압 및 자중에 의해 전도되어 개방상태가 전환되는 수문이다.
가동보 개방 시에 하천 하류 측에서는 급격한 수위 상승과 빠른 유속으로 인해 하천 방류를 인지하더라도 위험상황에 대처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류 측에서 물놀이, 작업 중이던 사람들은 인사 사고의 위험에 처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동보 개방 전에 방류를 알리는 안내방송이 제공되나, 안내방송이 누락되거나 안내방송이 인지되지 못하는 경우 재해 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현장여건이나 기상상태로 인해 안내방송의 기능이 무력화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가동보 개방이 초기에 천천히 진행되도록 하는 초기방류지연 방식이 적용된다. 이러한 초기방류지연이 적용됨으로써, 적은 수량의 방류 상황에서 하류 측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하천 방류를 인지한 후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주어진다.
이러한 초기방류지연은 유압실린더에 대한 관리자의 수동제어 또는 전기적 자동제어를 통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관리자 수동제어 방식의 경우 관리자가 부재하거나 관리자 작동 미숙 내지 실수가 발생되는 경우 초기방류지연이 적절히 수행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존재하며, 전기적 자동제어 방식의 경우 정전 시의 경우 초기방류지연이 수행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발명으로서, 기계적 구조에 의해 초기방류지연이 수행되는 유압전도식 수문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문비(100), 상기 문비(100)와 일체로 회동하는 가이드프레임(200), 유압실린더(300) 및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 전달하는 서포트프레임(400)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일측에는 가이드레일면(210)이 형성되고 상기 서프트레임(400)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면(210)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420)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면(210)은 상측에 배치된 제1 평면부(211), 하측에 배치된 제2 평면부(21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평면부(211, 212) 사이에 배치된 중간부(213)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부(213)는 상기 제1 평면부(211)에 이어지며 외측으로 볼록한 제1 곡면부(215) 및 상기 제2 평면부(212)에 이어지며 내측으로 오목한 제2 곡면부(216)를 포함하는 유압전도식 수문을 제공한다.
상기 유압전도식 수문은 상기 제1 및 제2 평면부(211, 212)가 오프셋 간격(d)을 두고 서로 평행한 배치를 가지며, 상기 오프셋 간격(d)이 상기 롤러(420)의 반지름을 초과하는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압전도식 수문은 상기 제1 평면부(211)의 하측단과 상기 제2 평면부(212)의 상측단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가상연결평면(V)이 상기 중간부(213)와 교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압전도식 수문은 상기 제1 곡면부(215)와 상기 제2 곡면부(216)를 연결하는 평탄부(217)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연결평면(V)이 상기 중간부(213)의 상기 평탄부(217)와 교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압전도식 수문은 저수지용 가동보에 적용 시 상기 유압전도식 수문의 전도 방지 기능이 보다 강화되도록, 상기 가상연결평면(V)이 상기 중간부(213)의 상기 제1 곡면부(215)와 교차하며, 상기 제2 곡면부(216)가 상기 제2 평면부(212)보다 더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압전도식 수문은 상기 유압실린더(300)에 공급되는 유압유가 수용되는 유압탱크, 상기 유압탱크와 상기 유압실린더(300) 사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유압라인(530), 상기 바이패스 유압라인(530)를 개폐시키는 셧-오프 밸브 및 상기 셧-오프 밸브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정전 시 위험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문비(100)가 전도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유압라인(530)이 개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00) 내의 유압유가 상기 바이패스 유압라인(530)을 통해 상기 유압탱크로 회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압전도식 수문은 상기 문비(100)에 작용하는 하중과 상기 서포트프레임(400)의 응력이 대응되게 유지됨으로써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지지 응력이 최소화되어 상기 유입실린더(300)의 좌굴이 방지되고 피로도에 대한 내구성이 높게 확보되도록, 상기 롤러(420)의 중심과 가이드프레임 회전지지축(110)을 연결하는 직선(10)과 상기 롤러(420)의 중심과 서포트프레임 회전지지축(410)을 연결하는 직선(20) 사이의 각도(α)가 수문 완전 기립 시에 45°이상이 되도록 설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압전도식 수문은 상기 문비(100) 작동 시 발생하는 수압과 자중이 분산됨으로써 상기 유압실린더(300)에 가해지는 외압이 최소화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400)과 유압실린더(300)가 트러스 구조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전도식 수문의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전도식 수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서포트프레임의 지지각(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프레임의 세 가지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A)이 적용된 경우 수문의 초기전도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B)이 적용된 경우 수문의 초기전도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이 적용된 경우 전도 곡선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전도식 수문의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전도식 수문은 문비(100), 가이드프레임(200), 유압실린더(300), 서포트프레임(400), 유압장치(500), 문틀(600) 및 수위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문비(100)는 기립자세와 전도자세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문비(100)가 기립자세에 있을 때 가동보는 폐문상태가 되며, 문비(100)가 전도자세에 있을 때 가동보는 개문상태가 된다. 하천 방류 시에 일방향 회전에 따른 개문 동작에 의해 문비(100)는 기립자세로부터 전도자세로 전환되며, 반대방향 회전에 따른 폐문 동작에 의해 문비(100)는 전도자세로부터 기립자세로 전환된다.
문비(100)의 동작은 수위감지부(미도시)의 센서들에 의해 전기식으로 자동 제어될 수 있다. 수위감지부(미도시)에는 고수위 센서, 저수위 센서 및 위험수위 센서가 구비된다. 평소, 고수위 센서에 의해 고수위가 감지되면 문비(100)는 기립자세로부터 전도자세로 전환되고, 저수위 센서에 의해 저수위가 감지되면 문비(100)는 전도자세로부터 기립자세로 전환된다. 정전 시의 경우, 위험수위 센서에 의해 고수위 위의 위험수위가 감지되는 경우에도 문비(100)는 기립자세로부터 전도자세로 전환된다. 위험수위 센서가 정전 시에도 작동될 수 있도록 위험수위 센서는 비상전원(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문비(100)의 동작은 관리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공급장치(500)의 간단 조작으로 관리자가 문비의 수동 개폐를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200)은 문비(100)와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조적으로 구속되어 있으며 문비(100)와 회전지지축(110)을 공유한다. 그리하여 가이드프레임(200)과 문비(100)는 일체화된 회전 움직임을 갖는다.
유압실린더(300)는 유압장치(500)가 제공하는 유압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서포트프레임(400)에 전달한다. 유압실린더(300)는 유압을 공급받는 실린더부(310)와,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부(320)를 포함한다.
서포트프레임(400)은 유압실린더(300)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가이드프레임(200)에 전달하여 문비(100)를 기립 및 전도시킨다. 서포트프레임(400)은 그 하단의 회전지지축(41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서포트프레임(400)의 상단부에 유압실린더(300)의 피스톤부 선단이 연결되어 있어서, 유압실린더(300) 작동 시에 서프트프레임(400)의 회전이 진행된다.
또한 서프트프레임(400)의 상단부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러(420)가 구비된다. 전술한 가이드프레임(200)에는 롤러(420)의 구름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면이 제공된다. 서포트프레임(400)이 회전할 때 롤러(420)는 이러한 가이드레일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서포트프레임(400)의 회전력이 가이드프레임(200)에 전달되어 수문(100)의 기립 및 전도가 진행된다.
서포트프레임(400)과 유압실린더(300)는 트러스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문비 작동 시 발생하는 수압과 자중이 분산되어 유압실린더(300)에 가해지는 외압이 최소화됨으로써 유압실린더(30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유압장치(500)는 유압실린더(300)에 대한 유압 공급 및 회수를 담당하는 구성이다. 유압장치(500)는 유압탱크, 모터펌프, 솔레노이드밸브, 제1 유압라인(510) 및 제2 유압라인(520)을 포함한다. 제1 유압라인(510)은 실린더부(31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제2 유압라인(520)은 실린더부(310)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모터펌프 가동에 의해 유압탱크로부터 유압실린더(300)에 유압유가 공급된다. 솔레노이드밸브 제어를 통해, 피스톤 전진 동작 시에 유압유가 제1 유압라인(510)을 통해 유압실린더(300)에 공급되며, 피스톤 후진 동작 시에는 유압유가 제2 유압라인(520)을 통해 유압실린더(300)에 공급된다.
또한, 유압장치(500)는 바이패스 유압라인(530), 셧-오프 밸브(shut-off valve) 및 배터리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은 정전 시 위험수위에 도달할 때 문비(100)를 전도시켜 신속 방류를 진행하여 가동보 상류 측의 제방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위험수위가 감지되면 셧-오프 밸브가 개방상태로 전환되고 그에 따라 바이패스 유압라인(530)을 통해 실린더부(310)의 하단 측으로부터 유압유가 회수되며, 이에 연동하여 피스톤부(320)의 후진 운동이 진행되고 그에 따라 문비(100)의 전도가 수행된다. 이와 같이 정전 시에도 바이패스 유압라인(530)을 통해 유압실린더(320)가 작동될 수 있도록, 바이패스 유압라인(530)의 개폐를 담당하는 셧-오프 밸브는 배터리로 이루어진 비상전원으로 작동한다.
문틀(600)은 가동보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전술한 문비(100), 가이드프레임(200), 유압실린더(300) 및 서포트프레임(400)은 문틀(600) 위에 설치되어 지지된다. 문틀(600)은 콘크리트 보강을 통해 튼튼하게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전도식 수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완전 기립 시에 수문(100)은 최고 높이를 유지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유압실린더(300)의 피스톤 후진 동작이 시작되어 서포트프레임(400)의 시계방향 회전이 일어나고 그에 연동하여 가이프레임(200) 및 문비(100)의 시계방향 회전이 일어남으로써 수문 개방이 진행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유압실린더(300)의 피스톤 후진 동작이 추가로 진행됨에 따라 서포트프레임(400), 가이드프레임(200) 및 문비(100)의 시계방향 회전이 추가로 진행되어 수문이 완전히 전도된 상태가 된다.
반대로, 수문 폐쇄 시에는 유압실린더(300)의 피스톤 전진 동작이 진행되고 그에 따른 서포트프레임(400), 가이드프레임(200) 및 문비(100)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진행됨으로써 수문이 도 2-(a)의 완전 기립 상태로 복귀된다.
도 3 및 도 4는 서포트프레임의 지지각(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표시된 α는 수문 완전 기립 시 서포트프레임의 지지각을 의미한다. 서포트프레임의 지지각(α)은 롤러(420)의 중심과 가이드프레임 회전지지축(110)을 연결하는 직선(10)과 롤러(420)의 중심과 서포트프레임 회전지지축(410)을 연결하는 직선(20) 사이의 각도로 정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문 완전 기립 시에 서포트프레임의 지지각(α)은 45°이상으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문비(100)에 작용하는 하중(수압, 자중)과 서포트프레임(400)의 응력이 대응하게 유지됨으로써 유압실린더(300)의 지지 응력이 최소화되어 유입실린더(300)의 좌굴이 방지되고 피로도에 대한 높은 내구성이 확보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프레임의 세 가지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는 제1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A)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가이드프레임(200A)의 일측에는 가이드레일면(210)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면(210)은 수문 개폐시에 그에 접촉된 롤러(420)의 구름운동을 가이드하는 면이다.
가이드레일면(210)은 상측에 배치된 제1 평면부(211), 하측에 배치된 제2 평면부(212) 및 두 평면부(211, 212) 사이에 배치된 중간부(213)로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평면부(211, 212)는 오프셋 간격(d)을 두고 서로 평행한 배치를 갖는다. 오프셋 간격(d)은 롤러(420)의 반지름을 초과하도록 설정되며, 이는 초기방류지연 기능 확보를 위해 본 발명이 제시하는 설계적 요건 중 하나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레일면(210)의 중간부(213)는 제1 평면부(211)에 이어지며 외측으로 볼록한 제1 곡면부(215)와, 제2 평면부(212)에 이어지며 내측으로 오목한 제2 곡면부(21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중간부(213)에 두 개의 곡면부(215, 216)를 구비하는 것은 초기방류지연 기능 확보를 위해 본 발명이 제시하는 설계적 요건 중 하나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간부(213)는 제1 곡면부(215)와 제2 곡면부(216)를 연결하는 평탄부(217)를 또한 포함한다. 도 6에 표시된 V는 제1 평면부(211)와 제2 평면부(212)를 가상으로 연결하는 가상연결평면이다. 제1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A)에서 가상연결평면(V)은 중간부(213)와 교차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평탄부(217)와 교차한다.
도 5 및 도 7에는 제2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B)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A)과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B)의 가이드레일면(210)은 제1 평면부(211), 제2 평면부(212) 및 중간부(213)로 구성되며, 중간부(213)는 제1 곡면부(215), 제2 곡면부(216) 및 평탄부(217)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B)은 제1 실시예에 비해 오프셋 간격(d)이 더 크고 평탄부(217)가 보다 더 연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의해,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해 초기방류지연의 기능이 보다 더 강화된다.
도 5 및 도 8에는 제3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C)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C)와 마찬가지로, 제3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C)의 가이드레일면(210)은 제1 평면부(211), 제2 평면부(212) 및 중간부(213)로 구성되며, 중간부(213)는 제1 곡면부(215) 및 제2 곡면부(216)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3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C)은 중간부(213)에 평탄부(217)가 없고 제1 곡면부(215)와 제2 곡면부(216)가 바로 연결되며 가상연결평면(V)이 제1 곡면부(215)와 교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3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C)은 제2 곡면부(216)가 하측의 제2 평면부(212)보다 더 깊이 들어가게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폐문 시에 롤러(420)는 제2 곡면부(216)와 접촉한 상태로 가이드프레임(200)를 지지하게 되는데, 제2 평면부(212)보다 더 들어가게 제2 곡면부(216)가 형성된 구조에 의해 수문의 비정상 전도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전도식 수문이 저수지에 설치되는 가동보에 적용되는 경우 보다 강화된 수문 전도 방지 기능을 발휘할 것이 요구되는데, 제3 실시예에 제시된 상술한 구조의 가이드프레임(200C)은 저수지용 가동보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A)이 적용된 경우 수문의 초기전도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10은 제2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B)이 적용된 경우 수문의 초기전도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수문 전도가 진행되면서 롤러(420)는 가이드레일면(210)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게 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A)이 적용된 경우, 롤러(420)가 가이드레일면(210)의 중간부(213)를 이탈하기 직전 수문(100)은 완전 기립 시보다 대략 100 mm 낮아진 높이를 가지며 이때까지 소요된 전도시간(초기전도 지연시간)은 대략 2분 정도가 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200B)이 적용된 경우에는, 롤러(420)가 가이드레일면(210)의 중간부(213)를 이탈하기 직전 수문(100)은 완전 기립 시보다 대략 100 mm 낮아진 높이를 가지며 이때까지 소요된 전도시간(초기전도 지연시간)은 대략 3분 정도가 된다.
도 11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가이드프레임이 적용된 경우 전도 곡선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수문이 완전 기립 상태에서 완전 전도 상태로 전환되기까지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경우 공통적으로 10분 소요된다.
하지만, 제1 내지 제3 실시예는 전도 초기에 수문(100)의 높이가 100 mm 낮아질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즉, 초기전도 지연시간 면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도 11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경우 초기전도 지연시간이 대략 2분, 제2 실시예의 경우 초기전도 지연시간이 대략 3분, 제3 실시예의 경우 초기전도 지연시간이 대략 4분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최소 2분의 초기전도 지연시간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2분 이상의 초기전도 지연시간이 확보됨으로써 수문 개방 초기에 가동보 하류 측의 급격한 수위 상승이 억제될 수 있고 하류 측에 위치한 사람들에 대피하기에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공하는 초기지연방류 기능은 기계적 구조 설계를 통해 도출되는 것이므로, 전기적 자동제어가 불가한 정전 시의 경우나, 수문 관리 조작에 실수나 미숙함이 있는 경우에도 수문 개방 시에 초기지연방류 기능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100 : 문비
110 : 회전지지축
200 : 가이드프레임
200A : 가이드프레임(제1 실시예)
200B : 가이드프레임(제2 실시예)
200C : 가이드프레임(제3 실시예)
210 : 가이드레일면
211 : 제1 평면부
212 : 제2 평면부
213 : 중간부
215 : 제1 곡면부
216 : 제2 곡면부
217 : 평탄부
300 : 유압실린더
310 : 실린더부
320 : 피스톤부
400 : 서포트프레임
410 : 회전지지축
420 : 롤러
500 : 유압장치
510 : 제1 유압라인
520 : 제2 유압라인
530 : 바이패스 유압라인
600 : 문틀
V : 가상연결평면

Claims (8)

  1. 문비(100), 상기 문비(100)와 일체로 회동하는 가이드프레임(200), 유압실린더(300) 및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 전달하는 서포트프레임(400)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일측에는 가이드레일면(210)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프레임(400)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면(210)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420)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면(210)은 상측에 배치된 제1 평면부(211), 하측에 배치된 제2 평면부(21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평면부(211, 212) 사이에 배치된 중간부(213)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부(213)는 상기 제1 평면부(211)에 이어지며 외측으로 볼록한 제1 곡면부(215) 및 상기 제2 평면부(212)에 이어지며 내측으로 오목한 제2 곡면부(216)를 포함하는 유압전도식 수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평면부(211, 212)는 오프셋 간격(d)을 두고 서로 평행한 배치를 가지며, 상기 오프셋 간격(d)은 상기 롤러(420)의 반지름을 초과하는 크기를 갖는 유압전도식 수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부(211)의 하측단과 상기 제2 평면부(212)의 상측단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가상연결평면(V)은 상기 중간부(213)와 교차하는 유압전도식 수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부(215)와 상기 제2 곡면부(216)를 연결하는 평탄부(217)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연결평면(V)은 상기 중간부(213)의 상기 평탄부(217)와 교차하는 유압전도식 수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압전도식 수문이 저수지용 가동보에 적용 시 상기 유압전도식 수문의 전도 방지 기능이 보다 강화되도록, 상기 가상연결평면(V)은 상기 중간부(213)의 상기 제1 곡면부(215)와 교차하며, 상기 제2 곡면부(216)는 상기 제2 평면부(212)보다 더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유압전도식 수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00)에 공급되는 유압유가 수용되는 유압탱크, 상기 유압탱크와 상기 유압실린더(300) 사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유압라인(530), 상기 바이패스 유압라인(530)를 개폐시키는 셧-오프 밸브 및 상기 셧-오프 밸브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정전 시 위험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문비(100)가 전도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유압라인(530)이 개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00) 내의 유압유가 상기 바이패스 유압라인(530)을 통해 상기 유압탱크로 회수되는 유압전도식 수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비(100)에 작용하는 하중과 상기 서포트프레임(400)의 응력이 대응되게 유지됨으로써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지지 응력이 최소화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좌굴이 방지되고 피로도에 대한 내구성이 높게 확보되도록, 상기 롤러(420)의 중심과 가이드프레임 회전지지축(110)을 연결하는 직선(10)과 상기 롤러(420)의 중심과 서포트프레임 회전지지축(410)을 연결하는 직선(20) 사이의 각도(α)는 수문 완전 기립 시에 45°이상이 되도록 설계된 유압전도식 수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비(100) 작동 시 발생하는 수압과 자중이 분산됨으로써 상기 유압실린더(300)에 가해지는 외압이 최소화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400)과 유압실린더(300)는 트러스 구조를 이루는 유압전도식 수문.
KR1020220134181A 2022-10-18 2022-10-18 다양한 전도 기능을 제공하는 유압전도식 수문 KR102480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181A KR102480485B1 (ko) 2022-10-18 2022-10-18 다양한 전도 기능을 제공하는 유압전도식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181A KR102480485B1 (ko) 2022-10-18 2022-10-18 다양한 전도 기능을 제공하는 유압전도식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485B1 true KR102480485B1 (ko) 2022-12-22

Family

ID=8457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181A KR102480485B1 (ko) 2022-10-18 2022-10-18 다양한 전도 기능을 제공하는 유압전도식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221U (ja) * 1992-01-24 1993-08-13 建設省九州地方建設局長 転倒ゲート駆動装置
JPH09195250A (ja) * 1996-01-22 1997-07-29 Hokoku Kogyo Co Ltd 流量応答ゲート
KR200401266Y1 (ko) * 2005-08-18 2005-11-15 청옥산업 주식회사 밀폐구조를 갖춘 유압식 수문
KR20120005221A (ko) * 2010-07-08 2012-01-16 청옥산업 주식회사 장스판 전도식 수문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221U (ja) * 1992-01-24 1993-08-13 建設省九州地方建設局長 転倒ゲート駆動装置
JPH09195250A (ja) * 1996-01-22 1997-07-29 Hokoku Kogyo Co Ltd 流量応答ゲート
KR200401266Y1 (ko) * 2005-08-18 2005-11-15 청옥산업 주식회사 밀폐구조를 갖춘 유압식 수문
KR20120005221A (ko) * 2010-07-08 2012-01-16 청옥산업 주식회사 장스판 전도식 수문 개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1315B2 (en) A water control gate
KR101421226B1 (ko) 수밀부재 보호기능을 구비한 수문
KR200401338Y1 (ko) 받침틀식 가동보
KR102480485B1 (ko) 다양한 전도 기능을 제공하는 유압전도식 수문
KR101557744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수문
US7726907B2 (en) Automatic trip gate
JP2014136885A (ja) 引上げ式フラップインゲート
WO2019131212A1 (ja) 油圧制御装置
CN104358239B (zh) 液压平开立转式防护密闭兼防淹门
KR102166164B1 (ko) 수문 하강방지 기능을 갖는 전도식 가동보
KR100838201B1 (ko) 장애물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수문
JPH11269857A (ja) フロート式フラップゲート
JP4073195B2 (ja) 水圧駆動式の防水装置
KR100432521B1 (ko)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JP6405006B1 (ja) 津波用および高潮用フラップゲート
JP6469630B2 (ja) 扉体昇降機構を有するフラップゲート
KR100996972B1 (ko) 무전원 전도 수문
JP4550233B2 (ja) 可動防水装置
CN107938607A (zh) 防淤旋转挡水闸门
KR101968692B1 (ko) 전도방지장치를 갖춘 가동보
KR101922437B1 (ko)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KR100770035B1 (ko) 수압식 수문장치
KR100698235B1 (ko) 수로 자동 개폐장치
KR200320067Y1 (ko) 다단형 수문장치
JP3657169B2 (ja) 水門扉直吊型油圧シリンダの油圧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