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622B1 - 순차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순차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622B1
KR102479622B1 KR1020220075797A KR20220075797A KR102479622B1 KR 102479622 B1 KR102479622 B1 KR 102479622B1 KR 1020220075797 A KR1020220075797 A KR 1020220075797A KR 20220075797 A KR20220075797 A KR 20220075797A KR 102479622 B1 KR102479622 B1 KR 102479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space
piston
working fluid
outlet
wheel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용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이규용
이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용, 이동우 filed Critical 이규용
Priority to KR102022007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622B1/ko
Priority to PCT/KR2023/002012 priority patent/WO20232491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62L3/023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acting on fluid pressur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8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braking more than one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Abstract

순차 제동 장치가 개시된다. 순차 제동 장치는 작동 유체로 채워진 제1내부 공간과 제2내부 공간, 그리고 상기 제1내부 공간과 상기 제2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내부 공간에 형성된 제1유출구와 후륜 브레이크 모듈을 연결하는 후륜 브레이크 라인; 상기 제2내부 공간에 형성된 제2유출구와 전륜 브레이크 모듈을 연결하는 전륜 브레이크 라인; 상기 제1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며, 브레이크 레버의 작동으로 상기 제1내부공간에서 이동가능한 제1피스톤; 상기 제2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내부 공간에서 유입되는 상기 작동 유체에 의해 이동가능한 제2피스톤; 상기 제1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는 제1탄성 스프링; 및 상기 제2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는 제2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레버 작동 시, 상기 제1피스톤이 상기 제1유출구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내부 공간에 채워진 상기 작동 유체 중 일부가 상기 후륜 브레이크 라인으로 유입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제2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2피스톤을 상기 제2유출구 측으로 밀어줄 수 있다.

Description

순차 제동장치{Sequential braking device}
본 발명은 순차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동력이 후륜에 먼저 발생한 후 순차적으로 전륜에 발생할 수 있는 순차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륜차의 제동은, 운전자가 핸들의 양측에 장착된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면 그 브레이크 레버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가 당겨지거나 유압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 또는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하고, 그 마찰력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진다.
이륜차의 제동에 있어 전륜 브레이크 레버만 잡게 되면 운전자의 체중이 전방으로 쏠리면서 원심력에 의해 전륜을 축으로 하는 회전운동이 일어나 전복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크다.
이러한 전복 사고를 방지하는 브레이크의 올바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동이 필요한 순간 먼저 후륜 브레이크를 사용해 후륜과 지면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관성을 감소시킨 후, 순차적으로 전륜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이 경우 무게 중심이 급격히 앞으로 쏠리는 현상을 억제해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전륜과 후륜의 마찰력을 모두 사용함으로써 제동력을 높일 수 있다. 즉, 후륜 브레이크와 전륜 브레이크를 순차적으로 사용하면 앞 전복 사고를 방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는 전/후륜 브레이크의 선택적 작동이 오로지 운전자의 판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운전자의 부주의 또는 갑작스러운 상황에서 전륜 브레이크만 작동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쉽게 전복되어 운전자를 비롯한 주변 사람과 다른 물적 피해를 야기하는 경우가 흔히 있었다.
따라서, 운전자의 부주의 또는 급박한 상황에서 어느 브레이크 레버만 작동시키더라도, 후륜 브레이크가 먼저 제동되고 뒤 이어 전륜 브레이크가 제동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오판에 의하여 일어나는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을 보장하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제동력이 후륜에 먼저 발생한 후 순차적으로 전륜에 발생할 수 있는 순차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차 제동 장치는 작동 유체로 채워진 제1내부 공간과 제2내부 공간, 그리고 상기 제1내부 공간과 상기 제2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내부 공간에 형성된 제1유출구와 후륜 브레이크 모듈을 연결하는 후륜 브레이크 라인; 상기 제2내부 공간에 형성된 제2유출구와 전륜 브레이크 모듈을 연결하는 전륜 브레이크 라인; 상기 제1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며, 브레이크 레버의 작동으로 상기 제1내부공간에서 이동가능한 제1피스톤; 상기 제2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내부 공간에서 유입되는 상기 작동 유체에 의해 이동가능한 제2피스톤; 상기 제1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는 제1탄성 스프링; 및 상기 제2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는 제2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레버 작동 시, 상기 제1피스톤이 상기 제1유출구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내부 공간에 채워진 상기 작동 유체 중 일부가 상기 후륜 브레이크 라인으로 유입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제2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2피스톤을 상기 제2유출구 측으로 밀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내부 공간은 상기 제2내부 공간보다 큰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작동 유체로 채워지는 제3내부 공간과, 상기 제3내부 공간과 상기 제1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2연결 유로, 그리고 상기 제3내부 공간과 상기 제2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3연결 유로가 더 형성되되, 상기 제3내부 공간의 중심 축은 상기 제1내부 공간 및 상기 제2내부 공간의 중심축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 유로의 일 단은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1피스톤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제1내부 공간과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제2피스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유출구와 반대 측에서 상기 제2내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레버 작동 시 제동력이 후륜 측에 먼저 전달되고, 순차적으로 전륜 측에 전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차 제동 장치가 장착된 이륜차의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순차 제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순자 제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브레이크 레버의 작동에 따른 순차 제동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차 제동 장치가 장착된 이륜차의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순차 제동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순자 제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순차 제동 장치(100)는 이륜차의 핸들(10)에 장착되며, 브레이크 레버(20)의 작동으로 후륜을 먼저 제동하고, 순차적으로 전륜을 제동한다. 이륜차는 자전거, 전기 자전거, 스쿠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다.
순차 제동 장치(100)는 이륜차의 한쪽 핸들(10)에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순차 제동 장치(100)는 이륜차의 양쪽 핸들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순차 제동 장치(100)는 하우징(110), 후륜 브레이크 라인(120), 전륜 브레이크 라인(130), 제1피스톤(140), 제2피스톤(150), 제1탄성 스프링(160), 그리고 제2탄성 스프링(17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소정 형상을 가지며, 결합 수단에 의해 이륜차의 핸들(10)과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1내부 공간(111), 제2내부 공간(112), 제3내부 공간(113), 제1유출구(114), 제2유출구(115), 연결 유로(116), 제1작동 유체 공급 유로(117), 그리고 제2작동 유체 공급 유로(118)가 형성된다.
제1내부 공간(111)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전단에서 후단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제1내부 공간(111)은 제1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제1부피의 공간으로 제공된다.
제2내부 공간(112)은 제1내부 공간(111)과 분리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전단에서 후단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제2내부 공간(112)은 제2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제2부피의 공간으로 제공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2직경은 제1직경보다 작고, 제2부피는 제1부피보다 작을 수 있다.
제3내부 공간(113)은 제1 및 제2내부 공간(111, 112)과 분리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제3내부 공간(113)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공간으로, 제1 및 제2내부 공간(111, 112)보다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3내부 공간(113)의 중심축(C3)은 제1 및 제2내부 공간(111, 112)의 중심축(C1, C2)보다 높게 위치한다.
상술한 제1 내지 제3내부 공간(111, 112, 113)에는 작동 유체가 채워진다. 작동 유체는 유압 오일일 수 있다.
제1유출구(114)는 제1내부 공간(111)의 전단에 형성되며, 제1내부 공간(114)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후륜 브레이크 라인(120)으로 유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제2유출구(115)는 제2내부 공간(112)의 후단에 형성되며, 제2내부 공간(112)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전륜 브레이크 라인(130)으로 유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연결 유로(116)는 제1내부 공간(111)과 제2내부 공간(112)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연결 유로(116)는 일단이 제1유출구(114)에 인접한 제1내부 공간(111)의 전방 영역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내부 공간(112)의 전방 영역과 연결된다. 연결 유로(116)의 타단은 제2유출구(115)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연결 유로(116)는 제1내부 공간(111)과 제2내부 공간(112) 간에 작동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제1작동 유체 공급 유로(117)는 제1내부 공간(111)과 제3내부 공간(113)을 연결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1작동 유체 공급 유로(117)는 제1내부 공간(111)의 중앙 영역과 제3내부 공간(113)의 중앙 영역을 연결한다. 제1작동 유체 공급 유로(117)는 제3내부 공간(113)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제1내부 공간(111)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제1내부 공간(111) 내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어 제1내부 공간(111) 내의 작동 유체 유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제3내부 공간(113)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제1작동 유체 공급 유로(117)를 통해 제1내부 공간(111)으로 유입된다. 제3내부 공간(113)의 중심축(C3)이 제1내부 공간(111)의 중심축(C1) 보다 높게 위치하므로, 작동 유체는 자중에 의해 제1내부 공간(1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작동 유체 공급 유로(118)는 제2내부 공간(112)과 제3내부 공간(113)을 연결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2작동 유체 공급 유로(118)는 제2내부 공간(112)의 중앙 영역과 제3내부 공간(113)의 중앙 영역을 연결된다. 제2작동 유체 공급 유로(112)는 제3내부 공간(113)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제2내부 공간(112)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제2내부 공간(112) 내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어 제2내부 공간(112) 내의 작동 유체 유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제3내부 공간(113)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제2작동 유체 공간 유로(118)를 통해 제2내부 공간(112)으로 유입된다. 제3내부 공간(113)의 중심축(C3)이 제2내부 공간(112)의 중심축(C2) 보다 높게 위치하므로, 작동 유체는 자중에 의해 제2내부 공간(1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후륜 브레이크 라인(120)은 제1유출구(114)와 후륜 브레이크 모듈(미도시)을 연결한다. 후륜 브레이크 라인(120)의 내부는 작동 유체로 채워지며, 브레이크 레버(20)에서 전달되는 힘을 후륜 브레이크 모듈에 전달한다.
전륜 브레이크 라인(130)은 제2유출구(115)와 전륜 브레이크 모듈(미도시)을 연결한다. 전륜 브레이크 라인(130)의 내부는 작동 유체로 채워지며, 브레이크 레버(20)에서 전달되는 힘을 전륜 브레이크 모듈에 전달한다.
제1피스톤(140)은 제1내부 공간(111)에 위치한다. 제1피스톤(140)은 제1내부 공간(111)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제1내부 공간(111)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제1피스톤(140)의 후단에는 작동 로드(145)가 결합한다. 작동 로드(145)는 소정 길이로 제공되며, 일단이 제1피스톤(140)과 결합하고, 하우징(110)의 후단에 형성된 통로(119)를 거쳐 제1내부 공간(111)의 외부로 돌출된다. 작동 로드(145)의 타단은 브레이크 레버(20)와 결합한다. 브레이크 레버(20)의 작동으로, 작동 로드(145)가 전방으로 밀리고 제1피스톤(140)이 제1내부 공간(111) 내에서 전방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브레이크 레버(2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제1피스톤(140)은 제1내부 공간(111)의 후방 영역에 위치한다. 이 때 제1피스톤(140)의 선단은 제1작동 유체 공급 유로(117)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후방에 위치한다.
제2피스톤(150)은 제2내부 공간(112)에 위치한다. 제2피스톤(150)은 제2내부 공간(112)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제2내부 공간(112)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제2피스톤(150)은 제1내부 공간(111)에서 제2내부 공간(112)으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힘에 의해 제2내부 공간(112)의 후방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유체의 힘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 제2피스톤(150)은 그 후단이 제2작동 유체 공급 유로(118)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제2작동 유체 공급 유로(118)의 전방에 위치한다.
하우징(110)에는 작동 유체 공급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작동 유체 공급구(121)는 제3내부 공간(113)과 연결되며, 작동 유체를 보충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작동 유체 공급구(121)는 밸브(12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1탄성 스프링(160)은 제1피스톤(140)과 제1유출구(114) 사이 구간에서 제1내부 공간(111)에 위치한다. 제1탄성 스프링(160)은 브레이크 레버(20)의 동작으로 제1피스톤(14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되고, 브레이크 레버(20)의 힘이 해제되는 경우 복원력을 제1피스톤(140)에 전달하여 제1피스톤(14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제2탄성 스프링(170)은 제2피스톤(150)과 제2유출구(115) 사이 구간에서 제2내부 공간(112)에 위치한다. 제2탄성 스프링(170)은 작동 유체의 힘에 의해 제2피스톤(15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되고, 작동 유체의 힘이 해제되는 경우 복원력을 제2피스톤(150)에 전달하여 제2피스톤(15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탄성 스프링(17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 조절 나사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순차 제동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브레이크 레버의 작동에 따른 순차 제동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륜차의 탑승자가 브레이크 레버(20)를 당기면, 브레이크 레버(20)는 결합 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연결 로드(145)를 전방으로 밀어준다. 이로 인해, 제1피스톤(140)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1탄성 스프링(160)이 압축된다. 제1피스톤(14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내부 공간(111) 내의 작동 유체 중 일부는 제1유출구(114)를 통해 후륜 브레이크 라인(120)으로 유입되고, 다른 일부는 연결 유로(116)를 통해 제2내부 공간(112)으로 유입된다. 후륜 브레이크 라인(120)으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힘에 의해, 후륜 브레이크 모듈이 작동하여 이륜차의 후륜이 먼저 제동된다. 후륜 브레이크 라인(120) 내의 작동 유체의 힘이 최대가 될 때까지 제동력이 후륜에 작용한다. 후륜 브레이크 라인(120) 내 작동 유체의 힘이 최대가 되면, 제1내부 공간(111) 내의 작동 유체에 작용하는 힘이 연결 유로(116)를 통해 제2내부 공간(112) 내의 작동 유체에 전달된다.
한편, 후륜 브레이크 라인(120) 내의 작동 유체의 힘이 최대가 되기 전까지, 제2내부 공간(112) 내의 작동 유체에 작용하는 힘은 제2탄성 스프링(170)의 탄성력보다 작거나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제2피스톤(150)이 이동하지 않는다. 이후 제2내부 공간(112) 내의 작동 유체에 전달되는 힘이 증가하면서, 작동 유체의 힘이 제2탄성 스프링(170)의 탄성력보다 커진다. 이로 인해, 제2피스톤(150)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2탄성 스프링(170)이 압축된다. 제2피스톤(150)의 이동으로 제2내부 공간(112)에 채워진 작동 유체의 일부가 제2유출구(115)를 통해 전륜 브레이크 라인(130)으로 유입된다. 전륜 브레이크 라인(130)으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힘에 의해, 전륜 브레이크 모듈이 작동하여 이륜차의 전륜이 순차 제동된다.
제1피스톤(14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피스톤(140)에 의해 제1작동 유체 공급 유로(117)가 차단된다. 이로 인해, 제1내부 공간(111)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제3내부 공간(113) 측으로 유입되지 않아, 제1내부 공간(111) 내 작동 유체의 손실이 예방된다. 그리고 제2피스톤(15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피스톤(150)에 의해 제2작동 유체 공급 유로(118)가 차단된다. 이로 인해, 제2내부 공간(112)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제3내부 공간(113) 측으로 유입되지 않아, 제2내부 공간(112) 내 작동 유체의 손실이 예방된다.
탑승자가 브레이크 레버(20)를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제1탄성 스프링(160)의 복원력에 의해 제1피스톤(140)이 후방으로 밀려난다. 이 과정에서 후륜 브레이크 라인(120) 내의 작동 유체의 압력이 낮아지고, 작동 유체 일부가 제1유출구(114)를 통해 제1내부 공간(111)으로 유입되면서 후륜의 제동이 해제된다. 그리고 제1내부 공간(111)과 제2내부 공간(112) 내의 작동 유체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제2피스톤(150)를 후방으로 미는 작동 유체의 힘이 해제된다. 제2피스톤(150)은 제2탄성 스프링(170)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제2내부 공간(112) 내의 작동 유체 일부가 연결 유로(116)를 통해 제1내부 공간(111)으로 유입되고, 전륜 브레이크 라인(130)으로부터 작동 유체 일부가 제2유출구(115)를 통해 제2내부 공간(112)으로 유입되면서 전륜의 제동이 해제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순차 제동 장치
110: 하우징
120: 후륜 브레이크 라인
130: 전륜 브레이크 라인
140: 제1피스톤
150: 제2피스톤
160: 제1탄성 스프링
170: 제2탄성 스프링

Claims (4)

  1. 작동 유체로 채워진 제1내부 공간과 제2내부 공간, 그리고 상기 제1내부 공간과 상기 제2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1연결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내부 공간에 형성된 제1유출구와 후륜 브레이크 모듈을 연결하는 후륜 브레이크 라인;
    상기 제2내부 공간에 형성된 제2유출구와 전륜 브레이크 모듈을 연결하는 전륜 브레이크 라인;
    상기 제1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며, 후단에 형성된 작동 로드의 타단이 브레이크 레버와 결합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의 작동으로 상기 제1내부공간에서 이동가능한 제1피스톤;
    상기 제2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내부 공간에서 유입되는 상기 작동 유체에 의해 이동가능한 제2피스톤;
    상기 제1내부 공간 내에서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제1유출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는 제1탄성 스프링; 및
    상기 제2내부 공간 내에서 상기 제2피스톤과 상기 제2유출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는 제2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레버 작동 시, 상기 제1피스톤이 상기 제1유출구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내부 공간에 채워진 상기 작동 유체 중 일부가 상기 후륜 브레이크 라인으로 유입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제1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제2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2피스톤을 상기 제2유출구 측으로 밀어주는 순차 제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공간은 상기 제2내부 공간보다 큰 부피를 갖는 순차 제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작동 유체로 채워지는 제3내부 공간과, 상기 제3내부 공간과 상기 제1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2연결 유로, 그리고 상기 제3내부 공간과 상기 제2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3연결 유로가 더 형성되되,
    상기 제3내부 공간의 중심 축은 상기 제1내부 공간 및 상기 제2내부 공간의 중심축보다 높게 위치하는 순차 제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유로의 일 단은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1피스톤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제1내부 공간과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제2피스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유출구와 반대 측에서 상기 제2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순차 제동 장치.
KR1020220075797A 2022-06-21 2022-06-21 순차 제동장치 KR102479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797A KR102479622B1 (ko) 2022-06-21 2022-06-21 순차 제동장치
PCT/KR2023/002012 WO2023249194A1 (ko) 2022-06-21 2023-02-10 순차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797A KR102479622B1 (ko) 2022-06-21 2022-06-21 순차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622B1 true KR102479622B1 (ko) 2022-12-23

Family

ID=8453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797A KR102479622B1 (ko) 2022-06-21 2022-06-21 순차 제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9622B1 (ko)
WO (1) WO20232491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194A1 (ko) * 2022-06-21 2023-12-28 이규용 순차 제동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6374A (ja) * 1992-03-06 1993-09-24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制動装置
JPH09240557A (ja) * 1996-03-13 1997-09-16 Nissin Kogyo Kk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016124486A (ja) * 2015-01-07 2016-07-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ーハンドル車両の連動ブレーキ装置
CN105775021A (zh) * 2014-12-22 2016-07-20 郭美菁 时差压力分配输出装置
KR101647591B1 (ko) * 2015-03-27 2016-08-10 박희범 자전거의 순차 제동 브레이크 시스템
KR20180132087A (ko) * 2016-05-04 2018-12-11 진다 뉴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유압식 시간차 제동장치 및 그 어셈블리
KR20190021371A (ko) * 2016-08-03 2019-03-05 진다 뉴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유압식 시간차 제동장치
KR101988224B1 (ko) * 2017-12-19 2019-06-13 이규용 순차 제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622B1 (ko) * 2022-06-21 2022-12-23 이규용 순차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6374A (ja) * 1992-03-06 1993-09-24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制動装置
JPH09240557A (ja) * 1996-03-13 1997-09-16 Nissin Kogyo Kk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CN105775021A (zh) * 2014-12-22 2016-07-20 郭美菁 时差压力分配输出装置
JP2016124486A (ja) * 2015-01-07 2016-07-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ーハンドル車両の連動ブレーキ装置
KR101647591B1 (ko) * 2015-03-27 2016-08-10 박희범 자전거의 순차 제동 브레이크 시스템
KR20180132087A (ko) * 2016-05-04 2018-12-11 진다 뉴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유압식 시간차 제동장치 및 그 어셈블리
KR20190021371A (ko) * 2016-08-03 2019-03-05 진다 뉴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유압식 시간차 제동장치
KR101988224B1 (ko) * 2017-12-19 2019-06-13 이규용 순차 제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194A1 (ko) * 2022-06-21 2023-12-28 이규용 순차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9194A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622B1 (ko) 순차 제동장치
WO1998004454A1 (en) Single-handled vehicle brake
EP3495254B1 (en) Hydraulic time difference-based braking device
EP1055578B1 (en) Vehicle braking system
TWI645996B (zh) 具防止前傾翻覆功能的煞車系統
CN100368253C (zh) 小型车辆用联动制动装置
US20020070084A1 (en) Bicycle brake assembly with an anti-dead-lock device
EP1520763B1 (en) Hydraulic vehicle brake system
JPS6345335B2 (ko)
KR970065265A (ko)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장치
JP6159554B2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20080008032A (ko) 자동차용 에어 브레이크시스템
JP4717792B2 (ja) ブレーキ装置
KR101988224B1 (ko) 순차 제동장치
KR102355279B1 (ko) 유압 브레이크의 순차 제동장치
EP2896554B1 (en) Auxiliary device for hydraulic brake assembly
EP1757504A1 (en) Vehicle disk brake system
CN201136496Y (zh) 双轮动力车防抱死刹车装置
JPH11504299A (ja) 自動車用流体ブレーキ装置
CN216070368U (zh) 双轮机动车辆前后轮刹车连动控制装置
US9227693B2 (en) Auxiliary device for hydraulic brake assembly
CN216994728U (zh) 压力控制阀及刹车系统
TWM621491U (zh) 雙輪機動車輛前後輪剎車連動控制裝置
WO2009024982A2 (en) Antilock and antiskid hydraulic torque disk brake system and methods thereof
TWI755703B (zh) 用於自行車之剎車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