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406B1 -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406B1
KR102479406B1 KR1020210045414A KR20210045414A KR102479406B1 KR 102479406 B1 KR102479406 B1 KR 102479406B1 KR 1020210045414 A KR1020210045414 A KR 1020210045414A KR 20210045414 A KR20210045414 A KR 20210045414A KR 102479406 B1 KR102479406 B1 KR 102479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ignal
radio signal
downlink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145A (ko
Inventor
조학래
이창현
정휴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너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to KR1020210045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406B1/ko
Priority to US17/411,239 priority patent/US11502709B2/en
Publication of KR2022013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신호 부스팅 장치는 도너 안테나측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하향/상향 주파수 변환한 후 고출력으로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측으로 전달하고 서비스 안테나측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하향/상향 주파수 변환한 후 고출력으로 증폭하여 도너 안테나측으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대역을 동시에 서비스하여 통신용량을 확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채널의 등급과 주파수 및 대역폭을 가변하여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 현장의 조건에 맞춰 최적화된 통신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DUAL BAND SIGNAL BOOSTER FOR PUBLIC SAFETY RADIO NETWORK}
본 발명은 무선통신이 어려운 건물 내에서 외부와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신호 부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나 지하철 내부는 외부의 무선신호가 직접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무선통신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무선통신이 어려운 건물 내에서 화재 등이 발생할 경우에 외부의 재난통제센터와 통신하기 위한 공공안전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공공안전무선망(Public Safety Radio Network) 혹은 재난안전통신망은 대형건물이나 구조물, 지하철, 선박 등에서 화재와 같은 재난이 발생할 경우 인명을 보호하고 구조하기 위한 비상통신망으로서, 미국의 경우 건축주가 건물내에ERRCS(Emergency Radio Responder Communication System)를 의무적으로 구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공공안전무선망에 사용되는 신호 부스터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높은 신뢰성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시 기능을 개선하고,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으며 채널의 대역폭과 주파수를 현장 여건에 따라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는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는, 도너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제1 대역 무선(RF)신호와 제2 대역 무선(RF)신호를 수신측으로 분리하여 전달하고, 제1 대역과 제2 대역이 합성된 무선(RF)신호를 도너 안테나측으로 전달하는 도너측 트리플렉서와, 상기 도너측 트리플렉서로부터 수신된 제1 대역 무선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하는 제1 대역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도너측 트리플렉서로부터 수신된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하는 제2 대역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1 대역 저잡음증폭기로부터 입력된 제1 대역 무선신호의 아날로그 레벨을 제한하는 제1 대역 입력레벨 제한수단과, 상기 제2 대역 저잡음증폭기로부터 입력된 제2 대역 무선신호의 아날로그 레벨을 제한하는 제2 대역 입력레벨 제한수단과, 상기 제1 대역 입력레벨 제한수단의 제1 대역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중간주파(IF)신호로 변환하는 제1 대역 하향변환기와, 상기 제2 대역 입력레벨 제한수단의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중간주파(IF)신호로 변환하는 제2 대역 하향변환기와, 상기 제1 대역 하향변환기의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등급의 채널로 디지털 필터링하는 제1 디지털 필터링부와, 상기 제2 대역 하향변환기의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등급의 채널로 디지털 필터링하는 제2 디지털 필터링부와, 필터링된 중간주파(IF)신호를 제1 대역 무선(RF)신호로 변환하는 제1 대역 상향변환기와, 필터링된 중간주파(IF)신호를 제2 대역 무선(RF)신호로 변환하는 제2 대역 상향변환기와, 상향 변환된 제1 대역 무선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하는 제1 대역 고출력증폭기와, 상향 변환된 제2 대역 무선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하는 제2 대역 고출력증폭기와, 고출력증폭기로부터 입력된 제1 대역 무선신호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서비스 안테나측으로 전달하고, 제1 대역과 제2 대역이 합성된 무선신호를 서비스 안테나측부터 수신하는 서비스측 트리플렉서와, 서비스측 트리플렉서로부터 수신된 합성 무선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하는 공통 저잡음 증폭기와, 저잡음 증폭된 합성 무선신호를 제1 대역 무선신호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분리하는 업링크 분배기와, 분배된 제1 대역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제1 대역 하향변환기와, 분배된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제2 대역 하향변환기와, 상기 제1 대역 하향변환기의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등급의 채널로 디지털 필터링하는 제3 디지털 필터링부와, 상기 제2 대역 하향변환기의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등급의 채널로 디지털 필터링하는 제4 디지털 필터링부와, 필터링된 중간주파신호를 제1 대역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제1 대역 상향변환기와, 필터링된 중간주파신호를 제2 대역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제2 대역 상향변환기와, 상기 상향 변환된 제1 대역 무선신호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합성하는 업링크 합성기와, 상기 업링크 합성기에서 합성된 무선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하는 공통 고출력증폭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시 인명 구조를 위한 공공안전망에 사용되는 신호 부스팅 장치가 무신호시 해당 채널을 오프시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검출레벨에 따라 도너 안테나 오동작, 도너 안테나 연결차단 등으로 경보를 세분화함으로써 장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공안전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대역을 동시에 서비스하여 통신용량을 확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채널의 등급과 주파수 및 대역폭을 가변하여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 현장의 조건에 맞춰 최적화된 통신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공공안전통신망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부스팅 장치의 구성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운링크 하향변환기의 세부 구성 블럭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다운링크 상향변환기의 세부 구성 블럭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업링크 하향변환기의 세부 구성 블럭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업링크 상향변환기의 세부 구성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부스팅 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부스팅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동작 검출 레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공공안전통신망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공공안전통신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B)의 외부에 있는 제1 응답자 안테나(First responder antenna)를 포함하는 지역 공공안전 타워(10)와, 건물(B)의 지붕이나 옥상 등에 설치되어 공공안전 타워측으로 지향성을 갖는 도너 안테나(20), 본 발명에 따른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100), RF 분배기(30), 건물의 각 층에 분산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서비스 안테나(40-1~40-N)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너 안테나(20)는 건물의 지붕 등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공안전 타워(10)와 통신할 수 있는 지향성 안테나이고,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100)는 도너 안테나(20)측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하향/상향 주파수 변환한 후 고출력으로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40-1~40-N)측으로 전달하고 서비스 안테나(40-1~40-N)측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하향/상향 주파수 변환한 후 고출력으로 증폭하여 도너 안테나(20)측으로 전달한다. RF 분배기(30)는 신호 부스팅 장치(100)의 무선신호를 서비스 안테나(40-1~40-N)측으로 분배하고, 서비스 안테나(40-1~40-N)측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합성하여 신호 부스팅 장치(100)측으로 전달한다. 서비스 안테나(40-1~40-N)는 건물(B)의 각 층에 분산 설치되어 있는 전방향 안테나들로 이루어진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 Distributed Antenna System)으로서, 건물(B)의 내부에 있는 무선 단말(50-2)과 무선링크를 형성하여 건물 외부의 공공안전 타워(10)를 통해 재난통제센터나 재난통제관의 단말(50-1)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너 안테나(20)측으로부터 서비스 안테나(40-1~40-N)측으로 전송경로를 다운링크(DL: Down Link)라 하고, 서비스 안테나(40-1~40-N)로부터 도너 안테나(20)측으로의 전송경로를 업링크(UL:Up Link)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부스팅 장치(100)는 서로 다른 두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는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장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대역(A)은 700MHz 대역이고, 제2 대역(B)은 800MHz 대역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대역(A)의 다운링크 주파수는 758~776MHz이고, 업링크 주파수는 788~806MHz이며, 제2 대역(B)의 다운링크 주파수는 851~869MHz이고, 업링크 주파수는 806~824MHz이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은 이해의 편의를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은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부스팅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 안테나측 트리플렉서(102D), 제1 대역 다운링크(DL-A), 제2 대역 다운링크(DL-B), 서비스 안테나측 트리플렉서(102S), 업링크 공통 저잡음증폭기(104U), 업링크 분배부(150), 제1 대역 업링크(UL-A), 제2 대역 업링크(UL-B), 업링크 합성부(190), 업링크 공통 고출력증폭기(106U)로 이루어진다.
제1 대역 다운링크(DL-A)는 제1 대역 다운링크 저잡음증폭기(104DA), 제1 대역 다운링크 입력 ALC(110DA), 제1 대역 다운링크 하향변환기(120DA), 제1 디지털 필터링부(130DA), 제1 대역 다운링크 상향변환기(140DA), 제1 대역 다운링크 고출력 증폭기(106DA)로 구성되고, 제2 대역 다운링크(DL-B)는 제2 대역 다운링크 저잡음증폭기(104DB), 제2 대역 다운링크 입력 ALC(110DB), 제2 대역 다운링크 하향변환기(120DB), 제2 디지털 필터링부(130DB), 제2 대역 다운링크 상향변환기(140DB), 제2 대역 다운링크 고출력증폭기(106DB)로 구성된다.
제1 대역 업링크(UL-A)는 제1 대역 업링크 입력 ALC(160UA), 제1 대역 업링크 하향변환기(170UA), 제3 디지털 필터링부(130UA), 제1 대역 업링크 상향변환기(180UA)로 구성되고, 제2 대역 업링크(UL-B)는 제2 대역 업링크 입력 ALC(160UB), 제2 대역 업링크 하향변환기(170UB), 제4 디지털 필터링부(130UB), 제2 대역 업링크 상향변환기(180UB)로 구성된다.
업링크 분배부(150)는 분배기(151), 제1 및 제2 격리기(152A,152B)로 구성되고, 업링크 합성부(190)는 합성기(191)와 공통 증폭기(192)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너측 트리플렉서(102D)는 도너 안테나(20)로부터 수신된 제1 대역 무선(RF)신호와 제2 대역 무선(RF)신호를 제1 대역 다운링크 저잡음 증폭기(104DA)와 제2 대역 다운링크 저잡음 증폭기(104DB)로 분리하여 전달하고, 제1 대역과 제2 대역이 합성된 무선신호를 공통 고출력증폭기(106U)로부터 입력받아 도너 안테나(20)로 전송한다.
제1 대역 다운링크 저잡음 증폭기(104DA)는 도너측 트리플렉서(102D)로부터 수신된 제1 대역 무선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하고, 제2 대역 다운링크 저잡음 증폭기(104DB)는 도너측 트리플렉서(102D)로부터 수신된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한다.
제1 대역 다운링크 입력레벨 제한기(ALC;110DA)는 제1 대역 다운링크 저잡음 증폭기(104DA)로부터 입력된 제1 대역 무선신호의 아날로그 레벨을 제한하고, 제2 대역 다운링크 입력레벨 제한기(ALC;110DB)는 제2 대역 다운링크 저잡음 증폭기(104DB)로부터 입력된 제2 대역 무선신호의 아날로그 레벨을 제한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입력을 정해진 레벨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한다.
제1 대역 다운링크 하향변환기(120DA)는 제1 대역 다운링크 입력레벨 제한기(110DA)의 제1 대역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중간주파(IF)신호로 변환하고, 제2 대역 다운링크 하향변환기(120DB)는 제2 대역 다운링크 입력레벨 제한기(110DB)의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중간주파(IF)신호로 변환한다.
제1 디지털 필터링부(130DA)는 제1 대역 다운링크 하향변환기(120DA)의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등급의 채널로 디지털 필터링하고, 제2 디지털 필터링부(130DB)는 제2 대역 다운링크 하향변환기(120DB)의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등급의 채널로 디지털 필터링한다.
제1 대역 다운링크 상향변환기(140DA)는 필터링된 중간주파신호를 제1 대역 무선신호로 변환하고, 제2 대역 다운링크 상향변환기(140DB)는 필터링된 중간주파신호를 제2 대역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제1 대역 다운링크 고출력증폭기(106DA)는 상향 변환된 제1 대역 무선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하고, 제2 대역 다운링크 고출력증폭기(106DB)는 상향 변환된 제2 대역 무선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한다.
서비스측 트리플렉서(102S)는 고출력 증폭기(106DA, 106DB)로부터 입력된 제1 대역 무선신호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서비스 안테나측으로 각각 전달하고, 제1 대역과 제2 대역이 합성된 무선신호를 서비스 안테나측부터 수신하여 공통 저잡음증폭기(104U)로 전달한다.
공통 저잡음 증폭기(104U)는 서비스 트리플렉서(102S)로부터 수신된 합성 무선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하고, 업링크 분배기(150)는 저잡음 증폭된 합성 무선신호를 제1 대역 무선신호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분리한다.
제1 대역 업링크 입력레벨 제한기(ALC;160UA)는 업링크 분배기(150)로부터 입력된 제1 대역 무선신호의 아날로그 레벨을 제한하고, 제2 대역 업링크 입력레벨 제한기(ALC;160UB)는 업링크 분배기(150)로부터 입력된 제2 대역 무선신호의 아날로그 레벨을 제한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입력을 정해진 레벨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한다.
제1 대역 업링크 하향변환기(170UA)는 분배된 제1 대역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하향 변환하고, 제2 대역 업링크 하향변환기(170UB)는 분배된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제3 디지털 필터링부(130UA)는 제1 대역 업링크 하향변환기(170UA)의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등급의 채널로 디지털 필터링하고, 제4 디지털 필터링부(130UB)는 제2 대역 업링크 하향변환기의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등급의 채널로 디지털 필터링한다.
바람직하게 제1 내지 제4 디지털 필터링부(130DA,130DB,130UA,130UB)는 아날로그입력을 지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와 디지털신호처리기(DSP),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지털신호처리기(DSP)는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내부 버스를 통해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대역 업링크 상향변환기(180UA)는 필터링된 중간주파신호를 제1 대역 무선신호로 변환하고, 제2 대역 업링크 상향변환기(180UB)는 필터링된 중간주파신호를 제2 대역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업링크 합성기(190)는 상향 변환된 제1 대역 무선신호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합성하여 증폭하고, 공통 고출력증폭기(106U)는 업링크 합성기(190)에서 합성된 무선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 ALC(110DA,110DB,160UA,160UB)는 증폭기와 증폭기의 전/후단에 설치된 가변 감쇠기로 이루어진 아날로그 레벨 제어부로서, 입력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과도한 입력신호를 제한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입력을 정해진 레벨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한다. 즉, 입력 ALC(110DA, 110DB, 160UA, 160UB)는 과 입력신호로부터 ADC와 디지털 필터링부를 구현하는 DSP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서 각 고출력 증폭기(106DA, 106DB, 106U)의 출력은 검출부(203, 204, 207)에 의해 커플링되어 검출된 후 MCU(도 7의 200)로 전송되어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운링크 하향변환기의 세부 구성 블럭도이다.
다운링크 하향변환기(120:DN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증폭기(121), RF 대역통과필터(122), 믹서(123), 저역통과필터(124), IF 증폭기(125), IF 대역통과필터(126), IF 증폭기(127), IF 검출부(201 또는 202)로 구성되어 높은 주파수대역의 입력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보다 낮은 중간주파수 대역의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RF 증폭기(121)는 수신된 제1 대역이나 제2 대역의 무선신호를 증폭하고, RF 대역통과필터(122)는 증폭된 제1 대역 무선신호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대역통과필터링(BPF)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믹서(123)는 도시 생략된 국부 발진기(Local Osc)의 발진신호를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믹싱하여 상측대와 하측대로 이동된 신호를 출력하고, 저역통과필터(124)는 하측대의 중간주파(IF)신호만 통과시킨다.
IF 증폭기(125)는 저역 필터링된 중간주파신호를 1차 증폭하고, IF 대역통과필터(126)는 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한 후, IF 증폭기(127)에서 대역필터링된 중간주파신호를 2차 증폭한다. IF 검출부(201 또는 202)는 2차 증폭된 중간주파신호를 커플링 및 검출하여 마이크로컨트롤유닛(200)으로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운링크 상향변환기의 세부 구성 블럭도이다.
다운링크 상향변환기(140:UP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F 증폭기(141), 대역통과필터(142), IF 증폭기(143), 믹서(144), 대역통과필터(145), 감쇠기(146), RF 증폭기(147), 감쇠기(148), 대역통과필터(149), RF 증폭기(147-1)로 구성되어 디지털 필터링부에서 신호처리된 IF신호를 고주파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IF 증폭기(141)는 필터링된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 중간주파신호를 1차 증폭하고, 대역통과필터(142)는 증폭된 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며, IF 증폭기(143)는 필터링된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 중간주파신호를 2차 증폭한다.
믹서(144)는 도시 생략된 국부 발진기(Local Osc)의 발진신호를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 중간주파(IF)신호를 믹싱하여 상측대와 하측대로 이동된 신호를 출력하고, 대역통과필터(145)는 상측대의 무선신호를 통과시키고 하측대는 차단하여 제1 대역 무선신호 혹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출력한다. 감쇠기(146)는 필터링된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의 무선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고, RF 증폭기(147)는 레벨 조절된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1차 증폭하며, 감쇠기(148)는 1차 증폭된 무선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고, 대역통과필터(149)는 레벨이 조정된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링하며, RF 증폭기(147-1)는 대역필터링된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2차 증폭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업링크 하향변환기의 세부 구성 블럭도이다.
업링크 하향변환기(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증폭기(161), RF 대역통과필터(162), 믹서(163), 저역통과필터(164), IF 증폭기(165), IF 대역통과필터(166), IF 증폭기(167), IF 검출부(205 또는 206)로 구성되어 서비스 안테나측으로부터 수신된 높은 주파수대역의 입력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보다 낮은 중간주파수 대역의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RF 증폭기(161)는 수신된 제1 대역이나 제2 대역의 무선신호를 증폭하고, RF 대역통과필터(162)는 증폭된 제1 대역 무선신호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대역통과필터링(BPF)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믹서(163)는 도시 생략된 국부 발진기(Local Osc)의 발진신호를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믹싱하여 상측대와 하측대로 이동된 신호를 출력하고, 저역통과필터(164)는 하측대의 중간주파(IF)신호만 통과시킨다.
IF 증폭기(165)는 저역 필터링된 중간주파신호를 1차 증폭하고, IF 대역통과필터(166)는 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한 후, IF 증폭기(167)에서 대역필터링된 중간주파신호를 2차 증폭한다. IF 검출부(205 또는 206)는 2차 증폭된 중간주파신호를 커플링 및 검출하여 마이크로컨트롤유닛(200)으로 전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업링크 상향변환기의 세부 구성 블럭도이다.
업링크 상향변환기(1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IF 증폭기(181), 대역통과필터(182), IF 증폭기(183), 믹서(184), 대역통과필터(185), 감쇠기(186), RF 증폭기(187), 감쇠기(188), 대역통과필터(189)로 구성되어 디지털 필터링부에서 신호처리된 업링크 IF신호를 고주파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IF 증폭기(181)는 필터링된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 중간주파신호를 1차 증폭하고, 대역통과필터(182)는 증폭된 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며, IF 증폭기(183)는 필터링된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 중간주파신호를 2차 증폭한다.
믹서(184)는 도시 생략된 국부 발진기(Local Osc)의 발진신호를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 중간주파(IF)신호를 믹싱하여 상측대와 하측대로 이동된 신호를 출력하고, 대역통과필터(185)는 상측대의 무선신호를 통과시키고 하측대는 차단하여 제1 대역 무선신호 혹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출력한다. 감쇠기(186)는 필터링된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의 무선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고, RF 증폭기(187)는 레벨 조절된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증폭하며, 감쇠기(188)는 1차 증폭된 무선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고, 대역통과필터(189)는 레벨이 조정된 제1 대역 혹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링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부스팅 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부스팅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컨트롤유닛(200)이 내부 버스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디지털신호처리기(130)와 연결되고, 통신포트(230)를 통해 외부 호스트 디바이스의 GUI와 연결되어 디지털 채널 필터 특성과 경보레벨 등을 설정할 수가 있으며, 설정이 완료되면 정상운영 중에 제1 내지 제7 검출부(201~207), 배터리 감시부(210), 주파수감시부(220)의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표시부(240)에 표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검출부(201)는 제1 대역 다운링크 하향변환기(120DA)에 설치되어 제1 대역 다운링크의 중간주파신호(IF DLA)를 검출하고, 제2 검출부(202)는 제2 대역 다운링크 하향변환기(120DB)에 설치되어 제2 대역 다운링크의 중간주파신호(IF DLB)를 검출한다.
제3 검출부(203)는 제1 대역 다운링크 고출력증폭기(106DA)의 고주파 무선출력(RF DLA)을 검출하고, 제4 검출부(204)는 제2 대역 다운링크 고출력증폭기(106DB)의 고주파 무선출력(RF DLB)을 검출한다.
제5 검출부(205)는 제1 대역 업링크 하향변환기(170UA)에 설치되어 제1 대역 업링크의 중간주파신호(IF ULA)를 검출하고, 제6 검출부(206)는 제2 대역 업링크 하향변환기(170UB)에 설치되어 제2 대역 업링크의 중간주파신호(IF ULB)를 검출하며, 제7 검출부(207)는 공통 고출력증폭기(106U)의 합성 대역 업링크 무선출력(RF UL)을 검출한다.
배터리 감시부(210)는 배터리 모듈의 전압을 감시하여 배터리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고, 주파수 감시부(220)는 발진주파수 등의 주파수를 감시하며, 표시부(240)는 다수의 LED로 구현되어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부스팅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동작 검출 레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부스팅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후 GUI를 연결하여 디지털 필터 채널과 경보 레벨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설치 후 통신포트(230)를 통해 운용 프로그램이 탑재된 노트북 등을 연결하여 GUI를 실행한다(S101).
GUI를 통해 채널 설정을 선택하면, 대역 선택, 채널 모드를 선택한 후 해당 디지털 필터 채널의 주파수와 대역폭을 설정한다(S102~S105).
모든 채널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이득과 경보레벨을 설정하고,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통신포트(230)에서 노트북 연결을 제거하고, 신호 부스팅 장치(100)를 정상적으로 운용한다(S106~S110).
정상운용 중에는 검출부(201~207)와 감시부(210,220) 등을 통해 검출레벨, 주파수, 전압 등을 모니터링하다가 경보레벨에 도달하게 되면 경보를 발생하여 표시부(240)에 표시한다(S111~S11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지털 필터 채널은 제1 대역과 제2 대역으로 대역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고, 각 대역에서 채널 설정모드는 등급 A(Class A)와 등급 B(Class B)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1 대역의 Class A 모드는 'First NET' 1 채널(1 Channel)과 32 채널의 협대역(Narrowband 32 Channel)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First NET' 채널은 대역폭(Bandwidth)이 10MHz로 고정되고, 설정 주파수도 고정된다.
협대역 채널은 1 ~ 32개의 채널(Channel)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채널(Channel) 별로 대역폭(Bandwidth)을 다음과 같이 가변할 수 있다. 즉, 협대역 채널의 대역폭(Bandwidth)은 12.5KHz, 25KHz, 50KHz, 75KHz, 100KHz, 150KHz로 설정할 수 있고, 각각의 채널(Channel)은 서로 다른 대역폭(Bandwidth)과 서로 다른 주파수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제1 대역의 Class B 모드는 'First NET' 1 채널(1 Channel)과 광대역(Wideband) 3채널(3 Channel)로 설정할 수 있으며, Class B 모드에서는 First NET 채널의 대역폭(Bandwidth)도 250KHz, 500KHz, 1MHz, 2MHz, 3MHz, 7MHz, 10MHz로 가변하여 설정할 수 있고 주파수도 설정 가능하다.
광대역(Wideband) 채널은 1 ~ 3개의 채널(Channel)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고, 각 Channel의 대역폭(Bandwidth)은 250KHz, 500KHz, 1MHz, 2MHz, 3MHz, 7MHz 로 가변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광대역 채널은 각각의 채널(Channel)을 서로 다른 대역폭(Bandwidth)과 서로 다른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대역의 Class A 모드는 협대역(Narrowband) 32 채널(Channel)을 설정하는 것으로, 1 ~ 32개의 채널(Channel)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고, 각 채널의 대역폭(Bandwidth)은 12.5KHz, 25KHz, 50KHz, 75KHz, 100KHz, 150KHz로 가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채널(Channel)은 서로 다른 대역폭(Bandwidth)과 서로 다른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대역의 Class B 모드는 광대역(Wideband) 4 채널(Channel)을 설정하는 것으로, 채널 1(Channel 1)의 대역폭(Bandwidth)은 250KHz, 500KHz, 1MHz, 2MHz, 3MHz, 7MHz, 10MHz로 가변하여 설정할 수 있고, 주파수도 설정 가능하다.
채널2 내지 채널4(Channel 2 ~ 4)는 1 ~ 3개의 채널(Channel)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고, 각 채널(Channel) 별로 대역폭(Bandwidth)을 250KHz, 500KHz, 1MHz, 2MHz, 3MHz, 7MHz로 가변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채널(Channel)은 서로 다른 대역폭(Bandwidth)과 서로 다른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채널 설정이 완료되면 게인과 경보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경보 레벨 설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쾰치 문턱치(Squelch Threshold setting) 설정이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최소 전력검출감도(Minimum Power Detection Sensitivity)로부터 감도 마진(Sensitivity Margin) 구간(TBD DB)을 설정하여 검출 레벨이 이 범위에 속하면 도너 안테나 연결차단(Donor Antenna Disconnect)으로 판단한다. 스쾰치 문턱치(Squelch Threshold setting)로부터 10 DB 구간을 가경보 헤드룸(False Failure Headroom) 구간으로 정의하고, 검출 레벨이 감도 마진 구간과 가경보 헤드룸(False Failure Headroom) 구간 사이에 있으면 도너 안테나 오동작(Donor Antenna Malfunction)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Squelch 기능은 신호 부스팅 장치에 입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필터(digital filter)의 채널(32 channel)별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서 설정 레벨(-60 ~ -90dBm) 이하의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채널(Channel)을 OFF 시키고, 설정 레벨 이상이 될 때만 ON시키는 기능이다. 이와 같이 입력이 없는 채널(Channel)을 OFF 시킴으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일종의 파워 세이빙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오동작(Malfunction) 기능은 입력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서 통신선로가 끊어지거나 신호 부스팅 장치 고장 등으로 인해 입력 레벨이 설정 레벨 이하가 되면 경보(Alarm)를 전송하는 기능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20: 도너 안테나 30: RF 분배기
40-1~40-N: 서비스 안테나 50-1,50-2: 무선 단말
100: 신호 부스팅 장치 102D,102S: 트리플렉서
104DA,104DB,104U: 저잡음증폭기 106DA,106DB,106U: 고출력 증폭기
110DA,110DB,160UA,160UB: 입력 ALC 120DA,120DB,170UA,170UB: 하향변환기
140DA,140DB,180UA,180UB: 상향변환기
130DA,130DB,130UA,130UB: 디지털 필터링부 201~207: 검출부

Claims (5)

  1. 도너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제1 대역 무선(RF)신호와 제2 대역 무선(RF)신호를 수신측으로 분리하여 전달하고, 제1 대역과 제2 대역이 합성된 무선(RF)신호를 도너 안테나측으로 전송하는 도너측 트리플렉서;
    상기 도너측 트리플렉서로부터 수신된 제1 대역 무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하향/상향 주파수 변환한 후 고출력으로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측으로 전송하는 제1 대역 다운링크;
    상기 도너측 트리플렉서로부터 수신된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하향/상향 주파수 변환한 후 고출력으로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측으로 전송하는 제2 대역 다운링크;
    상기 제1 대역 다운링크로부터 입력된 제1 대역 무선신호와 상기 제2 대역 다운링크로부터 입력된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서비스 안테나측으로 전송하고, 제1 대역과 제2 대역이 합성된 무선신호를 서비스 안테나측부터 수신하는 서비스측 트리플렉서;
    상기 서비스측 트리플렉서로부터 수신된 합성 무선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하는 공통 저잡음 증폭기;
    저잡음 증폭된 합성 무선신호를 제1 대역 무선신호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분리하는 업링크 분배기;
    분배된 제1 대역 무선신호를 하향 및 상향 주파수 변환하는 제1 대역 업링크;
    분배된 제2 대역 무선신호를 하향 및 상향 주파수 변환하는 제2 대역 업링크;
    상기 상향 변환된 제1 대역 무선신호와 제2 대역 무선신호를 합성하는 업링크 합성기; 및
    상기 업링크 합성기에서 합성된 무선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하여 상기 도너측 트리플렉서로 전송하는 공통 고출력증폭기를 포함하는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장치로서,
    상기 제1 대역 다운링크는
    상기 도너측 트리플렉서로부터 수신된 제1 대역 무선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하는 제1 대역 다운링크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1 대역 다운링크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입력된 제1 대역 무선신호의 아날로그 레벨을 제한하는 제1 대역 다운링크 입력레벨 제한수단과,
    상기 제1 대역 다운링크 입력레벨 제한수단의 제1 대역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는 제1 대역 다운링크 하향변환기와,
    상기 제1 대역 다운링크 하향변환기의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등급의 채널로 디지털 필터링하는 제1 디지털 필터링부와,
    필터링된 중간주파신호를 제1 대역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제1 대역 다운링크 상향변환기와,
    상향 변환된 제1 대역 무선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하는 제1 대역 다운링크 고출력증폭기를 포함하는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 다운링크의 어느 한 위치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입력 레벨이 설정 레벨 이하가 되면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 다운링크는
    상기 도너측 트리플렉서로부터 수신된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하는 제2 대역 다운링크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2 대역 다운링크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입력된 제2 대역 무선신호의 아날로그 레벨을 제한하는 제2 대역 다운링크 입력레벨 제한수단과,
    상기 제2 대역 다운링크 입력레벨 제한수단의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는 제2 대역 다운링크 하향변환기와,
    상기 제2 대역 다운링크 하향변환기의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등급의 채널로 디지털 필터링하는 제2 디지털 필터링부와,
    필터링된 중간주파신호를 제2 대역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제2 대역 다운링크 상향변환기와,
    상향 변환된 제2 대역 무선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하는 제2 대역 다운링크 고출력증폭기를 포함하는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 업링크는
    분배된 제1 대역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제1 대역 업링크 하향변환기와,
    상기 제1 대역 업링크 하향변환기의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등급의 채널로 디지털 필터링하는 제3 디지털 필터링부와,
    필터링된 중간주파신호를 제1 대역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제1 대역 업링크 상향변환기를 포함하는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 업링크는
    분배된 제2 대역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제2 대역 업링크 하향변환기와,
    상기 제2 대역 업링크 하향변환기의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등급의 채널로 디지털 필터링하는 제4 디지털 필터링부와,
    필터링된 중간주파신호를 제2 대역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제2 대역 업링크 상향변환기를 포함하는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
KR1020210045414A 2021-04-07 2021-04-07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 KR102479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414A KR102479406B1 (ko) 2021-04-07 2021-04-07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
US17/411,239 US11502709B2 (en) 2021-04-07 2021-08-25 Dual-band signal booster for public safety radio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414A KR102479406B1 (ko) 2021-04-07 2021-04-07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145A KR20220139145A (ko) 2022-10-14
KR102479406B1 true KR102479406B1 (ko) 2022-12-20

Family

ID=8351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414A KR102479406B1 (ko) 2021-04-07 2021-04-07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02709B2 (ko)
KR (1) KR1024794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576B1 (ko) * 2011-09-06 2018-12-18 인텔 코포레이션 다중 대역 능동-수동 기지국 안테나
KR102130914B1 (ko) * 2019-04-26 2020-08-05 주식회사 씨에스 5g nsa 네트워크에서 이중 접속 이중화 무선 중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730A (ko) * 2017-05-16 2018-11-26 (주)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 디지털 필터를 적용한 다중 대역 고출력 rf 중계 장치 및 방법
US11038542B2 (en) * 2018-12-31 2021-06-15 Wilson Electronics, Llc Active multiplexer repeater accessory
US11233492B2 (en) * 2019-06-05 2022-01-25 Wilson Electronics, Llc Power amplifier (PA)-filter output power tuning
US11265075B2 (en) * 2019-06-07 2022-03-01 Cellphone-Mate, Inc.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serving as outdoor infrastructure in high frequency cellular networks
US11349556B2 (en) * 2019-06-20 2022-05-31 Cellphone-Mate, Inc.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for providing indoor coverage of high frequency cellular networks
US11418251B2 (en) * 2020-05-22 2022-08-16 Wilson Electronics, Llc Signal booster for spectrally adjacent ban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576B1 (ko) * 2011-09-06 2018-12-18 인텔 코포레이션 다중 대역 능동-수동 기지국 안테나
KR102130914B1 (ko) * 2019-04-26 2020-08-05 주식회사 씨에스 5g nsa 네트워크에서 이중 접속 이중화 무선 중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29272A1 (en) 2022-10-13
KR20220139145A (ko) 2022-10-14
US11502709B2 (en)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7599B1 (en) Booster, monitoring, apparatus,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US7706744B2 (en) Wireless repeater implementing low-level oscillation detection and protection for a duplex communication system
KR101493541B1 (ko) 다중 섹터, 옴니-기지국 구성과 다중 섹터 기지국 구성 사이의 변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011721B (zh) 卫星通信系统中的功放设备及功放系统
US10735084B2 (en) Redunda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to ensure radio service quality under abnormal conditions
KR101687354B1 (ko) Fm, 지상파 dmb 및 소방용 무선통신 하이브리드 선로 증폭장치
KR101736244B1 (ko) 긴급 재난 통신 시스템
JP2001196967A (ja) 移動通信基地局のrfブロック
JP2001168778A (ja) 無線通信基地局
KR102479406B1 (ko) 공공안전망용 듀얼밴드 신호 부스팅 장치
KR102418691B1 (ko)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JP3742372B2 (ja) 逆方向リンクの干渉を抑制する建物内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434411B1 (ko) 디지털 신호처리(dsp)에 의한 무선방송신호 중계 시스템
KR101729016B1 (ko) 소방 및 업무용 무전기를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KR20000045268A (ko) 무선 중계기의 상태 감시장치
KR102516567B1 (ko) 소방용 무선통신 및 재난방송 통합 전송 시스템
JP2004214939A (ja) Tv受信用増幅装置
WO2006126344A1 (ja) 無線中継装置
KR100299092B1 (ko) 기지국의 고주파 처리장치
JP4478515B2 (ja) 通信中継装置
JP2009159036A (ja) 中継放送局装置
KR101969017B1 (ko) 재난 시 사용 가능한 저전력 위성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4234A (ko) Mimo 중계장치
KR200243476Y1 (ko) 알에프 시스템에서의 스퓨리어스 검출 및 경고장치
KR20060019633A (ko) 발진 방지기능 및 무가입자시 역방향 출력 자동 차단기능을 갖는 중계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