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691B1 -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 Google Patents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691B1
KR102418691B1 KR1020210130438A KR20210130438A KR102418691B1 KR 102418691 B1 KR102418691 B1 KR 102418691B1 KR 1020210130438 A KR1020210130438 A KR 1020210130438A KR 20210130438 A KR20210130438 A KR 20210130438A KR 102418691 B1 KR102418691 B1 KR 102418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adio
frequency
band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알에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알에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알에프티
Priority to KR1020210130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the phase or frequency detector using a sam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2Reducing interference from electric apparatus by means located at or near the interfer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91Circuits with frequency synthesizers, frequency converters or mod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 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그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은 무선통신 보조설비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중앙통제실의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소방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변조 및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메인장비(MU); 건물의 전파의 도달이 원활하지 않는 지하층 및 고층에 설치되어 있고, 건물의 지하층 또는 지상층에 있는 무선통신기기와 메인장비와 송수신 주파수를 달리하여 통신하는 복수의 리모트장비(RUs); 및 메인장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의 리모트 장비로 통신신호를 분배하고, 리모트 장비로부터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장비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포함하고, 메인장비는 리모트장비와 분배기를 통해 송수신할 때 송수신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변조하고 송수신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여 리모트장비와 통신하고, 메인장비와 리모트장비의 신호전송방법을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유선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Wireless communication auxiliary equipment system with frequency modulation and noise removal functions, and main equipment and remote equipment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방 등 재난 환경에서 다자간 무선통신을 위한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 시 소방관의 원활한 통신 지원을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은 무선통신보조설비를 화재안전기준 (NFSC 505)의 의해 의무적으로 지하 구간과 건물 내에 설치해야 한다. 무선통신보조설비는 화재시 소방대가 건물에 진입하여 소화 및 구조활동을 하면서 소방대 간에 또는 방재 센터나 관계자와 교신하기 위해 필요한 소화 활동 설비이다. 지하층의 경우 지하 구조물로 인하여 지상층과 달리 전파의 도달이 원활하지 않아 상호간 교신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무선통신보조설비가 도입되었다. 무선통신보조설비를 통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도 소방대가 지하 구조물이나 건물에 진입하여 안정적인 교신을 할 수 있다. 즉, 소방대가 지하에 진입한 경우 지상과 연락되지 않으면 곤란한 상황을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용도의 지하층이나 일정 면적 이상의 지하층에는 무선통신 보조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종래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통신 보조설비는 지상의 중앙통제실에서 지하와 통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현재 개정된 소방법에서는 지상 30층 이상의 건물은 의무적으로 소방용 무전 송수신 설비의 설치를 법제화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지상에 있는 지상접속 단자함(100)에 수동으로 접속하여 지하에 있는 소방대원의 무선통신기기와 통신한다. 지하의 무선통신기기와 통신하기 위해 지상접속 단자함(100)과 분배기(120) 간, 분배기(120)와 커넥터(connector, 130) 간에는 각각 동축케이블(110)로 연결되며, 커넥터(130)와 종단저항(160) 간에는 누설동축케이 블(150)으로 연결된다. 누설동축케이블(150)을 통해 지하의 무선통신기기(140)는 지상접속 단자함(100)에 수동 접속된 통신기기와 교신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통신 보조설비는 하나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신(Single Message Transmission) 통신 시스템으로 구성되고, 통화품질이 열악하고, 수동 접속에 따른 현장 사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층간 통신도 좋지 않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43404호 (2018.03.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지하와 고층 사이의 통신을 중계함은 물론, 중앙통제실과의 중계를 통해 층간 직접적인 무전기 신호 교환을 제공함으로써, 중앙통제실과의 교신 및 대원 간의 긴급상황 전달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앙통제실의 메인장비(MU)와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된 원격장비(RU)의 송수신 주파수를 다르게 변조하고 무선신호 송수신시 잡음 제거를 위한 디지털 필터를 구비하여 통신 품질을 높이는,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모트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시예에 의한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은 재난발생시 또는 긴급한 상황에서 전파의 도달이 원활하지 않는 지하층들을 구비한 건물의 지하층 간, 지하층과 지상층 간의 무선통신기기를 통한 층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보조설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보조설비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중앙통제실의 무선통신기기(관제실무전기)로부터 소방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변조 및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메인장비(MU); 상기 건물의 전파의 도달이 원활하지 않는 지하층 및 고층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건물의 지하층 또는 지상층에 있는 무선통신기기(대원무전기)와 상기 메인장비와 송수신 주파수를 달리하여 통신하는 복수의 리모트장비(RUs); 및 상기 메인장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리모트 장비로 통신신호를 분배하고, 상기 복수의 리모트 장비로부터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장비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장비는 상기 리모트장비와 상기 분배기를 통해 송수신할 때 송수신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변조하고 송수신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여 상기 리모트장비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장비는 상기 복수의 리모트 장비(RUs)로부터 입력된 제1주파수(f1) 대역의 신호를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소방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관제실무전기로 출력하고,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소방무선신호를 제2주파수(f2) 대역의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리모트 장비로 출력하고, 상기 리모트 장비로부터 수신한 제1주파수(f1) 대역의 신호 및 복수의 리모트 장비로 출력될 제2주파수(f2) 대역의 신호를 디지털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상기 리모트장비는 대원무전기(#1)로부터 수신된 제3주파수(f3) 대역의 소방무선신호를 제1주파수(f1) 대역의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분배기를 통해 상기 메인장비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장비로부터 수신된 제2주파수(f2) 대역의 통신 신호를 상기 제3주파수(f3) 대역의 소방무선신호로 변조하여 대원무전기(#2~#n)로 전송한다.
상기 메인장비는 리모트 장비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분배기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트 장비의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RU신호 수신부; 상기 RU신호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 및 상기 분배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리모트장비로 전송될 제2주파수(f2)대역 신호의 잡음(noise)을 제거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를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 신호로 변조하는 f3신호복조부; 상기 f3신호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신호를 관제실무전기로 전송하는 f3신호송수신부; 상기 f3신호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2주파수(f2) 대역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로 전달하는 f2신호변조부; 및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제2주파수(f2) 대역 신호를 상기 리모트 장비로 송신하기 위해 상기 분배기로 출력하는 RU신호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상기 제1주파수대역(f1) 신호를 제1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ADC; 상기 제2주파수대역(f2) 신호를 제2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ADC; 상기 제1디지털신호 및 상기 제2디지털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제1디지털 신호를 제1주파수대역(f1) 신호로 변환하는 제1DAC;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제2디지털 신호를 제2주파수대역(f2) 신호로 변환하는 제2DAC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메인장비(MU)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ADC 및 제2ADC로부터 출력되는 제1디지털신호 및 제2디지털신호를 가변 PLL(Phase-locked loop)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낮추어 필터링한 후, 상기 가변 PLL을 이용하여 다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모트장비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대원무전기의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로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를 증폭하고 대역통과 필터를 통해 불요파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소방신호 입출력부; 상기 소방신호 입출력부로부터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f3)의 소방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는 소방신호 변조부; 리모트장비정보에 대한 FSK 모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소방신호변조부로부터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FSK모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와 상기 FSK모뎀 신호를 결합하여 분배기를 통해 메인장비로 출력하고, 상기 분배기를 통해 메인장비로부터 제2주파수대역(f2) 신호와 변/복조에 필요한 기준신호와 다수의 리모트 장비와 시리얼(serial)통신을 위한 FSK 모뎀신호를 수신하는 디플렉서; 상기 디플렉서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대역(f2) 신호를 전달받아 불요파를 제거하고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f3)로 복조하여 상기 소방신호 입출력부로 출력하는 소방신호복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신호 변조부는 상기 디플렉스서로부터 변/복조에 필요한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준신호를 이용하여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f3)의 소방 무선신호를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플렉스서로부터 다수의 리모트 장비와 시리얼(serial)통신을 위한 FSK 모뎀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모드 명령을 통해 다른 리모트 장비와 시리얼 통신한다.
상기 소방신호입출력부는 대기모드와 수신모드 및 송신모드로 스위칭되는 동작모드 스위치; 상기 동작모드 스위치가 대기모드 상태에 있을 때, 소방무전기의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를 감지하는 f3신호 감지부; 동작스위치모드가 수신모드로 스위칭되면, 상기 감지된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신호로부터 불요파를 제거하는 대역통과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f3신호 감지부에 의해 상기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동작모드스위치는 수신모드로 변환된다.
상기 디플렉서는 상기 메인장비로부터 출력되는 FM라디오와 지상파 DMB 방송 신호를 상기 분배기를 통해 수신하고,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의 리모트 장비는 상기 디플렉서로부터 FM라디오와 지상파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 및 레벨 조정하여 상기 소방신호 입출력부로 출력하는 재난방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에서, 상기 메인장비와 상기 분배기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는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 장비와 무선 또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와 상기 대원무전기는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 장비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상기 분배기와 상기 대원무전기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 장비 간에는 무선 또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가 복수개 일 때, 상기 분배기 간에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장비는, 재난발생시 또는 긴급한 상황에서 전파의 도달이 원활하지 않는 지하층들을 구비한 건물의 지하층 간, 지하층과 지상층 간의 무선통신기기를 통한 층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보조설비 시스템이 메인장비 및 복수의 리모트 장비로 이루어질 때, 상기 복수의 리모트 장비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분배기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트 장비의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RU신호 수신부; 상기 RU신호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 및 상기 리모트장비로 전송될 제2주파수(f2)대역 신호의 잡음(noise)을 제거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를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 신호로 변조하는 f1변조부; 상기 f1변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신호를 관제실무전기로 전송하는 관제실 소방무선신호 송신부; 상기 f1변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2주파수(f2) 대역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로 전달하는 f2변조부; 및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제2주파수(f2) 대역 신호를 상기 리모트 장비로 송신하기 위해 상기 분배기로 출력하는 RU신호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모트장비는, 재난발생시 또는 긴급한 상황에서 전파의 도달이 원활하지 않는 지하층들을 구비한 건물의 지하층 간, 지하층과 지상층 간의 무선통신기기를 통한 층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보조설비 시스템이 메인장비 및 복수의 리모트 장비로 이루어질 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대원무전기의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로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를 증폭하고 대역통과 필터를 통해 불요파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소방신호 입출력부; 상기 소방신호 입출력부로부터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f3)의 소방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는 소방신호 변조부; 리모트장비정보에 대한 FSK 모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소방신호변조부로부터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FSK모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와 상기 FSK모뎀 신호를 결합하여 분배기를 통해 메인장비로 출력하고, 상기 분배기를 통해 메인장비로부터 제2주파수대역(f2) 신호와 변/복조에 필요한 기준신호와 다수의 리모트 장비와 시리얼(serial)통신을 위한 FSK 모뎀신호를 수신하는 디플렉서; 상기 디플렉서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대역(f2) 신호를 전달받아 불요파를 제거하고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f3)로 복조하여 상기 소방신호 입출력부로 출력하는 소방신호복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신호 변조부는 상기 디플렉서로부터 변/복조에 필요한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준신호를 이용하여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f3)의 소방 무선신호를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플렉서로부터 다수의 리모트 장비와 시리얼(serial)통신을 위한 FSK 모뎀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모드 명령을 통해 다른 리모트 장비와 시리얼 통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장비에 의하면,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지하와 고층 사이의 통신을 중계함은 물론, 중앙통제실과의 중계를 통해 층간 직접적인 무전기 신호 교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실과의 교신 및 대원 간의 긴급상황 전달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통제실의 메인장비(MU)와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된 원격장비(RU)의 송수신 주파수를 다르게 변조하고 무선신호 송수신시 잡음 제거를 위한 디지털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층간 직접적인 무전기 통신 및 중앙통제실의 무전기와 대원의 무전기 간의 통시시에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구분할 수가 있고, 하울링(Howling), 발진 등의 현상으로 인한 통신 장애를 해소할 수 있어 통신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장비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장비(MU)의 구현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a 및 도4b의 메인장비를 구성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에서 사용되는 클럭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4a 및 도 4b의 메인장비(MU)를 구성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의 일 예에 대한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모트장비(RU)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모트장비(RU)의 구현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모트장비(RU)의 구현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리모트장비(RU)의 소방신호 입출력부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은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 단신을 사용하는 소방무선통신의 원활한 층간 통신을 위해 메인장비(MAIN UNIT, MU)와 리모트장비(REMOTE UNIT, RU)가 연결되는 주파수를 각각 다르게 변조하여 연결되는 부분에서 주파수의 송수신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은 재난발생시 또는 긴급한 상황에서 전파의 도달이 원활하지 않는 지하층들을 구비한 건물의 지하층 간, 지하층과 지상층 간의 무선통신기기를 통한 층간 통신을 지원하며, 메인장비(MU, 210), 복수의 리모트장비(RUs, 230, 232, 234, 236, 238) 및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220, 2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장비(MU, 210)는 상기 무선통신 보조설비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중앙통제실의 무선통신기기(관제실무전기, 242)로부터 소방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변조 및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한다. 메인장비(210)는 리모트장비(230, 232, 234, 236, 238)와 분배기(220, 225)를 통해 송수신할 때 송수신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변조하고 송수신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여 리모트장비(230, 232, 234, 236, 238)와 통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장비(210)는 복수의 리모트 장비(RUs, 230, 232, 234, 236, 238)로부터 입력된 제1주파수(f1) 대역의 신호를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소방무선신호로 변조하여 관제실무전기(242)로 출력하고,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소방무선신호를 제2주파수(f2) 대역의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리모트 장비(230, 232, 234, 236, 238)로 출력하고, 리모트 장비(230, 232, 234, 236, 238)로부터 수신한 제1주파수(f1) 대역의 신호 및 복수의 리모트 장비(230, 232, 234, 236, 238)로 출력될 제2주파수(f2) 대역의 신호를 디지털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복수의 리모트장비(RUs, 230, 232, 234, 236, 238)는 건물의 전파의 도달이 원활하지 않는 지하층 및 고층에 설치되어 있고, 건물의 지하층 또는 지상층에 있는 무선통신기기(대원무전기, 252, 254, 256, 258, 259)와 메인장비(210)와 송수신 주파수를 달리하여 통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모트장비(230, 232, 234, 236, 238)는 대원무전기(252, 254, 256, 258, 259)로부터 수신된 소방무선신호를 제1주파수(f1) 대역의 신호로 변조하여 분배기(220, 225)를 통해 메인장비(210)로 출력하고, 메인장비(210)로부터 수신된 제2주파수(f2) 대역의 통신 신호를 상기 제3주파수(f3) 대역의 소방무선신호로 변조하여 대원무전기(252, 254, 256, 258, 259)로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220, 225)는 메인장비(2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의 리모트 장비(RUs, 230, 232, 234, 236, 238)로 통신신호를 분배하고, 복수의 리모트 장비(RUs, 230, 232, 234, 236, 238)로부터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장비(210)로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나의 리모트장비(238)가 안테나를 통해 무선통신기기(대원무전기, 259)의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 소방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수신한 리모트장비(238)는 수신모드로서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소방무선신호를 f1대역의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FSK Modem 신호와 같이 메인장비(210)로 출력하고, 신호를 받은 메인장비(210)는 f1대역의 무선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필터링(filtering)한 다음 중앙통제실의 무선기기(242)와 상호 통신을 위해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소방무선신호로 복조를 하고, 다시 주파수 차이를 주기 위해 f2대역의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FSK Modem 신호와 같이 리모트장비(230, 232, 234, 236, 238)로 출력한다. f2대역의 무선신호를 수신한 리모트장비(230, 232, 234, 236)는 f2대역의 무선신호를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소방무선신호로 복조하여 위치가 다른 무선통신 기기(252, 254, 256, 258)로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도 2의 메인장비(210)는 중앙통제실의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소방무선신호와 리모트장비(230, 232, 234, 236)로부터 입력된 f1대역의 신호를 f2대역으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동축케이블을 통해 분배기(220, 225)를 거쳐 리모트 장비(230, 232, 234, 236, 238)에 전달된 f2대역의 신호는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소방무선신호로 복조하여 중계하고, 리모트장비(230, 232, 234, 236)로부터 입력된 f1대역의 신호를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소방무선신호로 복조하여 중앙통제실의 무선기기(242)에 중계한다.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통신 신호들은 적어도 UHF 대역의 소방무선신호와, FM 및 지상파 DMB 대역의 재난방송 신호를 포함한다.
리모트장비(230, 232, 234, 236, 238)는 전파의 도달이 원활하지 않는 지하나 고층건물에 설치되며, 지하나 고층건물에 있는 무선통신 기기들(대원무전기, 252, 254, 256, 258, 259)로부터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무선통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면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소방무선신호를 f1대역으로 변조하여 동축케이블(215)과 분배기(220, 225)를 통해 메인장비(210)로 송신하고 동축케이블(215)과 분배기(220, 225)를 통해 메인장비(210)로부터 변조된 f2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면 전파의 도달이 원활하지 않는 지하나 고층건물에 있는 무선통신 기기들(252, 254, 256, 258, 259)과 통신할 수 있는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무선통신 신호로 복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장비(310)와 분배기(320)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분배기(320, 325)는 리모트 장비(330, 331, 335, 336)와 동축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비기(320)는 리모트 장비(334)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분배기(320, 325)와 대원무전기(350, 352, 354, 356, 358)는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 장비(330, 331, 332, 333, 334, 335, 3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분배기(320, 325)와 대원무전기(350, 352, 354, 356, 358)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 장비(330와 332, 331와 333) 간에는 무선 또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배기가 복수개 일 때, 분배기(320, 325) 간에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메인장비(310)와 리모트장비(330, 331, 335, 336)는 동축케이블을 사용하여 유선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 되어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고, 리미트장비도 다른 리모드장비와 동축케이블로 연결하거나 무선으로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장비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장비(MU)의 구현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메인장비(210, 31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장비(210, 310)는 RU신호 수신부(410), 디지털신호처리부(420), f3신호복조부(430), f3신호송수신부(440), f2신호변조부(450) 및 RU신호 송신부(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U신호 수신부(410)는 복수의 리모트 장비(232, 330, …)로부터 출력되어 분배기(220, 320)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트 장비의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를 수신한다.
디지털신호처리부(420)는 RU신호 수신부(410)로부터 수신된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 및 리모트장비(232, 330, …)로 전송될 제2주파수(f2)대역 신호의 잡음(noise)을 제거한다. f3신호복조부(430)는 디지털신호처리부(420)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를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 신호로 변조한다.
f3신호송수신부(440)는 f3신호복조부(430)로부터 출력되는,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신호를 관제실무전기(242, 342)로 전송한다. f2신호변조부(450)는 f3신호복조부(430)로부터 출력되는,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2주파수(f2) 대역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420)로 전달한다.
RU신호 송신부(460)는 디지털신호처리부(420)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제2주파수(f2) 대역 신호를 리모트 장비(232, 330, …)로 송신하기 위해 분배기(220, 320)로 출력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리모트장비(RU)에서 전달된 f1대역의 신호는 입력단 증폭회로인 RU신호수신부(410)의 대역통과필터(BPF)에서 불요파가 제거되고 Low Noise Amp에서 증폭되어 디지털 신호처리부(420)로 전달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420)는 f1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그램되어 있는(programmed) 디지털 로직 필터(Digital Logic Filter)를 통해 Noise가 제거하고 레벨을 조정한다.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소방신호로 복조하는 f3신호 복조부(430)에 전달한다. f3신호 복조부(430)는 f1대역의 신호를 PLL(Phase Locked Loop) Module을 사용하여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소방무선 신호로 복조한다. 복조된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소방무선 신호는 f3신호 송수신부(440)를 통해 안테나로 중앙통제실의 무선기기(242, 342)에 송신이 가능하고, 중앙통제실의 무선기기로부터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소방무선신호를 수신한다. f3신호복조부(430) 또는 f3신호 송수신부(440)를 통해 전달된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소방무선신호는 f2신호 변조부(450)에서 PLL(Phase Locked Loop) Module을 사용하여 f2대역의 신호로 변조하고 대역통과필터(BPF)에서 불요파를 제거한 다음 다시 디지털신호처리부(420)로 전달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420)는 f2대역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program되어 있는 Digital Logic Filter를 통해 Noise가 제거되고 레벨을 조정해서 다시 Analog 신호로 변환하여 RU신호송신부(460)에 전달한다. RU신호송신부(460)는 f2대역의 무선신호와 변/복조에 필요한 Referance신호와 다수의 리모트장비(RU)와 시리얼통신을 위한 FSK Modem신호를 리모트장비로 출력한다.
도 5는 도 4a 및 도4b의 메인장비를 구성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420)에서 사용되는 클럭을 나타낸 것으로서, 소방신호 f1대역과 f2대역이 상호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디지털 보드(digital board)에 사용하는 클럭을 사용한다. 도 6은 도 4a 및 도 4b의 메인장비(MU)를 구성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420)의 일 예에 대한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신호처리부(420)는 제1ADC(610), 제2ADC(615), 필터부(600), 제1DAC(650) 및 제2DAC(6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ADC(610)는 제1주파수대역(f1) 신호를 제1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제2ADC(615)는 제2주파수대역(f2) 신호를 제2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필터부(600)는 상기 제1디지털신호 및 상기 제2디지털 신호를 필터링한다. 필터부(600)는 메인장비(MU)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제1ADC(610) 및 제2ADC(615)로부터 출력되는 제1디지털신호 및 제2디지털신호를 가변 PLL(Phase-locked loop)(660)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낮추어 필터링한 후, 가변 PLL(660)을 이용하여 다시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필터부(600)는 제1복조부(620), 제2복조부(625), 제1필터(630), 제2필터(635), 제1변조부(640), 제2변조부(645) 및 가변 PLL(6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DAC(650)는 필터부(600)에 의해 필터링된 제1디지털 신호를 제1주파수대역(f1) 신호로 변환한다. 제2DAC(655)는 필터부(600)에 의해 필터링된 제2디지털 신호를 제2주파수대역(f2) 신호로 변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f1 대역의 신호를 제1ADC(610)를 사용하여 Analog 신호를 Digital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Digital 신호는 제1복조부(620)에 의해 베이스밴드로 신호로 낮추어 진다. 베이스밴드로 변경되는 주파수는 입력되는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특정주파수로 설정된다. 이때 위치 정보는 GPS에 의해서 자동으로 설정 될 수도 있고 수동으로 입력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에 입력된 정보가 서울지역인 경우(예, 449MHz)라고 하면 가변 PLL을 449MHz에 맞게 설정하고, 위치 정보가 부산지역인 경우(예, 444MHz)에는 부산지역에 맞도록 가변 PLL을 444MHz에 맞게 설정하는 방식이다. 이는 소방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443~451MHz로 지역 마다 다른 주파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역 설정기능을 구현하였다. 베이스밴드로 낮춰진 신호는 제1필터(630)를 사용하여 원하는 신호만 통과시킨 후 제1변조부(640)로 전송된다. 제1변조부(640)는 제1복조부(620)에서 사용된 주파수를 사용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를 다시 Digital 신호로 변환하고 Digital 신호는 제1DAC(650)에 의해 Analog 신호로 변환된다. f2 대역의 신호도 상술한 f1 대역의 신호와 동일한 과정으로 동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모트장비(RU)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모트장비(RU)의 구현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모트장비(RU)의 구현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리모트장비(230, 330)는 소방신호 입출력부(710), 소방신호 변조부(720), 제어부(730), 디플렉서(740) 및 소방신호복조부(7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소방신호 입출력부(7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대원무전기(705)의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로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를 증폭하고 대역통과 필터를 통해 불요파를 제거하여 소방신호 변조부(720)로 출력한다. 또한 소방신호 입출력부(710)는 소방신호 복조부(750)로부터 소방신호로 복조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필요에 따라 불요파를 제거하여 대원무전기(705)로 출력한다.
도 8은 리모트장비(RU)의 소방신호 입출력부(710)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소방신호 입출력부(710)는 동작모드 스위치(715), 안테나(712), f3신호 감지부(714), 증폭기(716) 및 대역통과필터(718)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모드 스위치(715)는 소방신호 입출력부(710)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대기모드와 수신모드 및 송신모드로 스위칭된다. 안테나(712)는 동작모드 스위치(715)가 대기모드 상태에 있을 때, 소방무전기의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f3신호감지부(714)는 안테나(712)를 통해 입력된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f3신호 감지부(714)에 의해 상기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가 감지되면, 동작모드스위치(715)는 수신모드로 변환된다.
증폭기(716)는 동작스위치모드(715)가 수신모드로 스위칭되면, 상기 감지된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를 증폭한다. 대역통과필터(718)는 증폭기(716)에 의해 증폭된 신호로부터 불요파를 제거한다.
소방신호 변조부(720)는 소방신호 입출력부(710)로부터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f3)의 소방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한다.
제어부(750)는 리모트장비정보에 대한 FSK 모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디플렉서(730)는 상기 소방신호변조부로부터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FSK모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와 상기 FSK모뎀 신호를 결합하여 분배기를 통해 메인장비로 출력하고, 분배기(220, 320)를 통해 메인장비로부터 제2주파수대역(f2) 신호와 변/복조에 필요한 기준신호와 다수의 리모트 장비와 시리얼(serial)통신을 위한 FSK 모뎀신호를 수신한다.
다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소방신호복조부(750)는 디플렉스서(730)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대역(f2) 신호를 전달받아 불요파를 제거하고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f3)로 복조하여 상기 소방신호 입출력부(710)로 출력한다.
소방신호 변조부(720)는 디플렉서(740)로부터 변/복조에 필요한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준신호를 이용하여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f3)의 소방 무선신호를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로 변조한다.
제어부(730)는 디플렉서(740)로부터 다수의 리모트 장비와 시리얼(serial)통신을 위한 FSK 모뎀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모드 명령을 통해 다른 리모트 장비와 시리얼 통신을 한다.
도 7b를 참조하여, 지상용 리모트 장비(230)의 동작을 설명한다. 리모트 장비(230)는 스위칭 방식으로 동작하며 대기모드와 수신모드, 송신모드로 동작한다. 대기모드 상태에서 소방 무선기기의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무선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면 소방신호 입출력부(710)가 신호를 감지해서 스위치가 수신모드로 변환되어 Low Noise Amp에서 증폭되고 대역통과필터(BPF)에서 불요파가 제거되어 소방신호 변조부(720)로 전달된다. 소방신호 변조부(720)는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소방 무선신호를 PLL(Phase Locked Loop) Module을 사용하여 f1대역의 신호로 변조하고 증폭 및 필터링하여 디플렉서(740)에 전달한다. 디플렉서(740)은 f1대역의 무선신호와 제어부(730)의 장비 정보에 대한 FSK Modem신호를 같이 출력하여 동축케이블을 통해 메인장비로 보낸다.
메인장비에서 출력된 신호는 리모트장비(230)의 디플렉서(740)로 f2대역의 무선신호와 변/복조에 필요한 Referance신호와 다수의 리모트장비와 시리얼통신을 위한 FSK Modem신호가 입력된다.
변/복조에 필요한 Referance신호는 소방신호 변조부(720), 소방신호복조부(750)의 PLL(Phase Locked Loop) Module에 입력이 되고 FSK Modem신호는 제어부(730)에서 출력모드 명령을 받아 동작한다. f2대역의 무선신호는 송신모드로 변환된 리모트장비(230)의 소방신호 복조부(750)에 의해 불요파가 제거되고 PLL(Phase Locked Loop) Module을 사용하여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의 소방무선신호로 복조되어 소방신호입출력부(710)로 출력하여 안테나를 통해 소방무선기기(대원무전기)에 전달된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모트장비(RU)의 구현에 대한 다른 예로서 지하용 리모트장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은 재난방송부(7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지하용 리모트장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디플렉서(740)가 메인장비로부터 출력되는 FM라디오와 지상파 DMB 방송 신호를 상기 분배기를 통해 수신하면, 재난방송부(760)는 디플렉서(740)로부터 FM라디오와 지상파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 및 레벨 조정하여 상기 소방신호 입출력부(710)로 출력한다. 재난방송은 FM라디오와 지상파 DMB 방송으로 중앙통제실의 메인장비에서 동축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달받는다. 신호는 디플레서(740)으로 입력되어 재난방송부(760)으로 전달되고 재난방송부(760)가 신호를 증폭하고 적정레벨로 조정하여 소방신호입출력부(710)로 출력하여 안테나를 통해 지하에 서비스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의 연결 구조로 메인장비(MU, 910)는 동축케이블(950)과 분배기(920)를 사용하여 리모트장비(RU, 930, 935)와 연결되고, 리모트장비(930, 935)는 전원을 전원공급기(940, 945)에서 공급받는다. 전원공급기(940, 945)는 AC220V를 입력 받아서 DC12V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용 배터리(BATTERY)를 내장하여 AC220V의 입력이 없을 경우 출력전압을 비상용 배터리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되는 전원은 리모트장비(930, 935)에 전원 케이블을 통해 공급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0 : 메인장비(MU)
220, 225 : 분배기
230, 232, 234, 236, 238 : 리모트장비
242 : 중앙통제실의 무선기기(관제실 무전기)
252, 254, 256, 258, 259 : 무선통신기기(대원무전기)
310 : 메인장비(MU)
320, 325 : 분배기
330, 331, 332, 333, 334, 335, 336 : 리모트장비
342 : 중앙통제실의 무선기기(관제실 무전기)
350, 352, 354, 356, 358 : 무선통신기기(대원무전기)
410 : RU신호수신부
420 : 디지털신호 처리부
430 : f3신호 복조부
440 : f3신호 송수신부
450 : f2신호 변조부
600 : 필터부
705 : 무선통신기기(대원무전기)
710 : 소방신호 입출력부
712 : 안테나
714 : f3신호 감지부
715 : 동작모드스위치
716 : 증폭기
718 : 대역통과 필터
720 : 소방신호 변조부
730 : 제어부
740 : 디플렉서
750 : 소방신호 복조부

Claims (10)

  1. 재난발생시 또는 긴급한 상황에서 전파의 도달이 원활하지 않는 지하층들을 구비한 건물의 지하층 간, 지하층과 지상층 간의 무선통신기기를 통한 층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보조설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보조설비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중앙통제실의 무선통신기기(관제실무전기)로부터 소방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변조 및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메인장비(MU);
    상기 건물의 전파의 도달이 원활하지 않는 지하층 및 고층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건물의 지하층 또는 지상층에 있는 무선통신기기(대원무전기)와 상기 메인장비와 송수신 주파수를 달리하여 통신하는 복수의 리모트장비(RUs); 및
    상기 메인장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리모트 장비로 통신신호를 분배하고, 상기 복수의 리모트 장비로부터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장비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장비는
    상기 리모트장비와 상기 분배기를 통해 송수신할 때 상기 복수의 리모트 장비(RUs)로부터 입력된 제1주파수(f1) 대역의 신호를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소방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관제실무전기로 출력하고, 소방무선통신 주파수인 제3주파수(f3) 대역의 소방무선신호를 제2주파수(f2) 대역의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리모트 장비로 출력하되,
    상기 리모트 장비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분배기를 통해 수신되는 제1주파수(f1) 대역의 신호 및 상기 분배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리모트 장비로 전송될 제2주파수(f2) 대역의 신호를 디지털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상기 제1주파수대역(f1) 신호를 제1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ADC;
    상기 제2주파수대역(f2) 신호를 제2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ADC;
    상기 메인장비(MU)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로 설정된 가변 PLL(Phase-locked loop)을 이용하여 상기 제1ADC 및 제2ADC로부터 출력되는 제1디지털신호 및 제2디지털신호를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신호로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제1디지털 신호를 제1주파수대역(f1) 신호로 변환하는 제1DAC;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제2디지털 신호를 제2주파수대역(f2) 신호로 변환하는 제2DAC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기기(대원무전기)들 간의 통신은 제1무선통신기기와 연결되는 제1리모트 장비 상기 제1리모트장비와 연결되는 메인장비, 상기 메인장비와 연결되는 제2리모트 장비를 통해 상기 제2리모트 장비와 연결되는 제2무선통신기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장비와, 상기 제1리모트 장비 및 상기 제2리모트 장비를 포함한 복수의 리모트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장비는
    대원무전기로부터 수신된 제3주파수(f3) 대역의 소방무선신호를 제1주파수(f1) 대역의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분배기를 통해 상기 메인장비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장비로부터 수신된 제2주파수(f2) 대역의 통신 신호를 상기 제3주파수(f3) 대역의 소방무선신호로 변조하여 대원무전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장비는
    상기 리모트 장비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분배기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트 장비의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RU신호 수신부;
    상기 RU신호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 및 상기 분배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리모트장비로 전송될 제2주파수(f2)대역 신호의 잡음(noise)을 제거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를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 신호로 변조하는 f3신호복조부;
    상기 f3신호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신호를 관제실무전기로 전송하는 f3신호송수신부;
    상기 f3신호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2주파수(f2) 대역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로 전달하는 f2신호변조부; 및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제2주파수(f2) 대역 신호를 상기 리모트 장비로 송신하기 위해 상기 분배기로 출력하는 RU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는,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장비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대원무전기의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로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를 증폭하고 대역통과 필터를 통해 불요파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소방신호 입출력부;
    상기 소방신호 입출력부로부터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f3)의 소방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는 소방신호 변조부;
    리모트장비정보에 대한 FSK 모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소방신호변조부로부터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FSK모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와 상기 FSK모뎀 신호를 결합하여 분배기를 통해 메인장비로 출력하고, 상기 분배기를 통해 메인장비로부터 제2주파수대역(f2) 신호와 변/복조에 필요한 기준신호와 다수의 리모트 장비와 시리얼(serial)통신을 위한 FSK 모뎀신호를 수신하는 디플렉서;
    상기 디플렉서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대역(f2) 신호를 전달받아 불요파를 제거하고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f3)로 복조하여 상기 소방신호 입출력부로 출력하는 소방신호복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신호 변조부는 상기 디플렉스서로부터 변/복조에 필요한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준신호를 이용하여 소방무선통신 주파수대역(f3)의 소방 무선신호를 제1주파수대역(f1)의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플렉스서로부터 다수의 리모트 장비와 시리얼(serial)통신을 위한 FSK 모뎀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모드 명령을 통해 다른 리모트 장비와 시리얼 통신을 하는,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신호입출력부는
    대기모드와 수신모드 및 송신모드로 스위칭되는 동작모드 스위치;
    상기 동작모드 스위치가 대기모드 상태에 있을 때, 소방무전기의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를 감지하는 f3신호 감지부;
    동작스위치모드가 수신모드로 스위칭되면, 상기 감지된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신호로부터 불요파를 제거하는 대역통과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f3신호 감지부에 의해 상기 소방무선통신 주파수 대역(f3)의 무선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동작모드스위치는 수신모드로 변환되는,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서는 상기 메인장비로부터 출력되는 FM라디오와 지상파 DMB 방송 신호를 상기 분배기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디플렉서로부터 FM라디오와 지상파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 및 레벨 조정하여 상기 소방신호 입출력부로 출력하는 재난방송부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장비와 상기 분배기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는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 장비와 무선 또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와 상기 대원무전기는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 장비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상기 분배기와 상기 대원무전기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 장비 간에는 무선 또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가 복수개 일 때, 상기 분배기 간에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
  9. 재난발생시 또는 긴급한 상황에서 전파의 도달이 원활하지 않는 지하층들을 구비한 건물의 지하층 간, 지하층과 지상층 간의 무선통신기기를 통한 층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보조설비 시스템이 메인장비 및 복수의 리모트 장비로 이루어질 때, 상기 메인장비는
    상기 복수의 리모트 장비로부터 출력되어 분배기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트 장비의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RU신호 수신부;
    상기 RU신호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 및 상기 리모트장비로 전송될 제2주파수(f2)대역 신호의 잡음(noise)을 제거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제1주파수(f1) 대역 신호를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 신호로 변조하는 f1변조부;
    상기 f1변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신호를 관제실무전기로 전송하는 관제실 소방무선신호 송신부;
    상기 f1변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방무선통신 주파수(f3)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2주파수(f2) 대역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로 전달하는 f2변조부; 및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제2주파수(f2) 대역 신호를 상기 리모트 장비로 송신하기 위해 상기 분배기로 출력하는 RU신호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상기 제1주파수대역(f1)의 아날로그 신호를 제1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ADC;
    상기 제2주파수대역(f2)의 아날로그 신호를 제2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ADC;
    상기 메인장비(MU)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로 설정된 가변 PLL(Phase-locked loop)을 이용하여 상기 제1ADC 및 제2ADC로부터 출력되는 제1디지털신호 및 제2디지털신호를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신호로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제1디지털 신호를 제1주파수대역(f1)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1DAC; 및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제2디지털 신호를 제2주파수대역(f2)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2DA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의 메인장비.
  10. 삭제
KR1020210130438A 2021-09-30 2021-09-30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KR102418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438A KR102418691B1 (ko) 2021-09-30 2021-09-30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438A KR102418691B1 (ko) 2021-09-30 2021-09-30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691B1 true KR102418691B1 (ko) 2022-07-08

Family

ID=8240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438A KR102418691B1 (ko) 2021-09-30 2021-09-30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6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241Y1 (ko) * 2023-02-07 2023-09-08 주식회사 젠알에프티 방송 공동수신설비에서 전송선로설비의 동 단자함 또는 세대 단자함을 이용하여 재난방송을 송출하는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리모트 장비
KR102651995B1 (ko) * 2023-03-21 2024-04-01 주식회사 세진테크 재난 안전 통신망을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 통신 보조 설비의 분산 중계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507B1 (ko) * 2012-12-31 2014-04-29 블루넷테크놀러지 주식회사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KR101682623B1 (ko) * 2016-05-13 2016-12-05 홍영래 무전기 통신 중계 모듈 및 시스템
KR101730967B1 (ko) * 2016-12-27 2017-05-11 (주)캐스트윈 무선통신 보조시스템
KR20180018952A (ko) * 2016-08-12 2018-02-22 주식회사 엘파코리아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
KR101843404B1 (ko) 2017-11-10 2018-03-29 김홍삼 무전기용 무선통신 보조설비
KR101935258B1 (ko) * 2018-08-13 2019-01-04 삼성넥스텍(주) 소방용 무전통신 보조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무전통신 중계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507B1 (ko) * 2012-12-31 2014-04-29 블루넷테크놀러지 주식회사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KR101682623B1 (ko) * 2016-05-13 2016-12-05 홍영래 무전기 통신 중계 모듈 및 시스템
KR20180018952A (ko) * 2016-08-12 2018-02-22 주식회사 엘파코리아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
KR101730967B1 (ko) * 2016-12-27 2017-05-11 (주)캐스트윈 무선통신 보조시스템
KR101843404B1 (ko) 2017-11-10 2018-03-29 김홍삼 무전기용 무선통신 보조설비
KR101935258B1 (ko) * 2018-08-13 2019-01-04 삼성넥스텍(주) 소방용 무전통신 보조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무전통신 중계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241Y1 (ko) * 2023-02-07 2023-09-08 주식회사 젠알에프티 방송 공동수신설비에서 전송선로설비의 동 단자함 또는 세대 단자함을 이용하여 재난방송을 송출하는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리모트 장비
KR102651995B1 (ko) * 2023-03-21 2024-04-01 주식회사 세진테크 재난 안전 통신망을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 통신 보조 설비의 분산 중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691B1 (ko)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US5969837A (en) Communications system
AU695358B2 (en) Cellular radio system, repeater and base station
US6151480A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RF signals over power lines within a substantially closed environment
US7706744B2 (en) Wireless repeater implementing low-level oscillation detection and protection for a duplex communication system
US5204970A (en)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adjusting transmit power of a subscriber unit
KR101682623B1 (ko) 무전기 통신 중계 모듈 및 시스템
JP2001506826A (ja) 無線通信ステーションおよびシステム
KR101730967B1 (ko) 무선통신 보조시스템
KR101379507B1 (ko)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KR20180018952A (ko)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
KR101515762B1 (ko) 무전기 통신 시스템
KR101843404B1 (ko) 무전기용 무선통신 보조설비
US4139735A (en) Carrier current communications system
KR100285086B1 (ko) 지하무선망종합중계장치
KR102418627B1 (ko) Catv 시스템을 활용한 소방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KR102309634B1 (ko) 지하 공동구 무선통신 시스템
KR200497241Y1 (ko) 방송 공동수신설비에서 전송선로설비의 동 단자함 또는 세대 단자함을 이용하여 재난방송을 송출하는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리모트 장비
KR101935258B1 (ko) 소방용 무전통신 보조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무전통신 중계시스템
KR101729016B1 (ko) 소방 및 업무용 무전기를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KR970000161B1 (ko) 지하통합무선중계장치
KR102213937B1 (ko)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KR102424253B1 (ko) 건축물 내의 무선통신 자동 주파수 제어 시스템
KR102131343B1 (ko) 디지털 복조신호의 노이즈 리덕션 기능을 구현하여 전파음영지역의 방송품질을 개선한 재난방송 무선중계시스템
KR102651995B1 (ko) 재난 안전 통신망을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 통신 보조 설비의 분산 중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