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507B1 -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 Google Patents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507B1
KR101379507B1 KR1020120157957A KR20120157957A KR101379507B1 KR 101379507 B1 KR101379507 B1 KR 101379507B1 KR 1020120157957 A KR1020120157957 A KR 1020120157957A KR 20120157957 A KR20120157957 A KR 20120157957A KR 101379507 B1 KR101379507 B1 KR 101379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igh frequency
amplifier
analog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인석
최수연
백홍배
Original Assignee
블루넷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주식회사 웨이브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넷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주식회사 웨이브컴 filed Critical 블루넷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85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interferenc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에 있어 중계 송신기 및 중계 수신기를 지상에 설치하고 극초단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용 케이블, 하행 선로 증폭기, 상행 선로 증폭기 및 송수신 안테나를 지하에 설치하여 지상의 무전기와 지하의 무전기 간에 무선 전화가 무전기 사용자의 이동중에도 원활하도록 해서 소방 무선 지령이 순조로워 지도록 하는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상의 무전기와 지하의 무전기 간에 무선 전화가 원활하도록 중계하는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으로서,
상기 지상의 무전기와 무선 접속되는 옥외 안테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1 대역통과 분배기(200)를 통해 분배받아 낮은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제1 저역 주파수 변환기(510);
상기 제1 저역 주파수 변환기(510)가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 제공하는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2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20)의 귀환신호를 제거해서 발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1 귀환 신호 제거기(53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해당 기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1 자동 이득 조절기(54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부터 상기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20)가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기(540)의 이득 조절에 따라 적절한 레벨로 출력하는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
상기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가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 높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기(540)의 이득 조절에 따라 적절한 레벨로 출력하는 제1 고역 주파수 변환기(560); 및
상기 제1 고역 주파수 변환기(560)의 출력을 고이득으로 증폭하는 고이득 증폭기(570);를 포함하는 중계 송신기(500)가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이득 증폭기(570)의 출력을 제2 대역통과 분배기(400) 및 지하에 설치된 극초단파 송신용 케이블(700)을 차례로 통해 받아 증폭하여 지하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의 무전기와 무선 접속되는 송신 안테나(800)를 통해 출력하는 하행 선로 증폭기(750); 및
지하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의 무전기와 무선 접속되는 수신 안테나(950)가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여 지하에 설치된 극초단파 수신용 케이블(850)을 통해 상기 제2 대역통과 분배기(400)로 제공하는 상행 선로 증폭기(900);는 지하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대역통과 분배기(4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상행 선로 증폭기(900)의 출력을 받아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2 저역 주파수 변환기(610);
상기 제2 저역 주파수 변환기(610)의 아날로그 출력을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 제공하는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2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20)의 귀환신호를 제거해서 발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2 귀환 신호 제거기(63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해당 기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2 자동 이득 조절기(64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부터 상기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20)가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자동 이득 조절기(640)의 이득 조절에 따라 적절한 레벨로 출력하는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 및
상기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가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높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자동 이득 조절기(640)의 이득 조절에 따라 적절한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제1 대역통과 분배기(200) 및 옥외 안테나(100)를 차례로 통해 공중으로 출력하는 제2 고역 주파수 변환기(660);를 포함하는 중계 수신기(600)가 지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Firefighting radio order system by using cable for ultrahigh frequency send and receive}
본 발명은 극초단파(ultrahigh frequency)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에 있어 중계 송신기 및 중계 수신기를 지상에 설치하고 극초단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용 케이블, 하행 선로 증폭기, 상행 선로 증폭기 및 송수신 안테나를 지하에 설치하여 지상의 무전기와 지하의 무전기 간에 무선 전화가 무전기 사용자의 이동중에도 원활하도록 해서 소방 무선 지령이 순조로워 지도록 하는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대형 건축물의 지하 층이나 지하 주차장은 깊고 넓어 대형 건축물 내에서 지상의 무전기와 지하의 무전기 간에 무선 전화의 음질이 떨어지거나 통화가 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대형 건축물 내에서 지하 구간에 누설동축케이블을 포설하고 지상에 무전기 접속단자함을 설치하여 지상의 무전기와 지하의 무전기 간에 무선 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무전기 사용자가 지상에 설치된 무전기 접속단자함을 찾기 어렵고 찾았더라도 무전기의 안테나를 분리시키고 접속단자함의 해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선을 무전기의 안테나가 분리된 부분에 연결한 후 그 자리에서 이동하지 못하고 무전기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에 있어 중계 송신기 및 중계 수신기를 지상에 설치하고 극초단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용 케이블, 하행 선로 증폭기, 상행 선로 증폭기 및 송수신 안테나를 지하에 설치하여 지상의 무전기와 지하의 무전기 간에 무선 전화가 무전기 사용자의 이동중에도 원활하도록 해서 소방 무선 지령이 순조로워 지도록 하는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지상의 무전기와 지하의 무전기 간에 무선 전화가 원활하도록 중계하는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으로서,
상기 지상의 무전기와 무선 접속되는 옥외 안테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1 대역통과 분배기(200)를 통해 분배받아 낮은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제1 저역 주파수 변환기(510);
상기 제1 저역 주파수 변환기(510)가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 제공하는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2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20)의 귀환신호를 제거해서 발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1 귀환 신호 제거기(53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해당 기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1 자동 이득 조절기(54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부터 상기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20)가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기(540)의 이득 조절에 따라 적절한 레벨로 출력하는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
상기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가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 높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기(540)의 이득 조절에 따라 적절한 레벨로 출력하는 제1 고역 주파수 변환기(560); 및
상기 제1 고역 주파수 변환기(560)의 출력을 고이득으로 증폭하는 고이득 증폭기(570);를 포함하는 중계 송신기(500)가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이득 증폭기(570)의 출력을 제2 대역통과 분배기(400) 및 지하에 설치된 극초단파 송신용 케이블(700)을 차례로 통해 받아 증폭하여 지하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의 무전기와 무선 접속되는 송신 안테나(800)를 통해 출력하는 하행 선로 증폭기(750); 및
지하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의 무전기와 무선 접속되는 수신 안테나(950)가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여 지하에 설치된 극초단파 수신용 케이블(850)을 통해 상기 제2 대역통과 분배기(400)로 제공하는 상행 선로 증폭기(900);는 지하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대역통과 분배기(4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상행 선로 증폭기(900)의 출력을 받아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2 저역 주파수 변환기(610);
상기 제2 저역 주파수 변환기(610)의 아날로그 출력을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 제공하는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2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20)의 귀환신호를 제거해서 발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2 귀환 신호 제거기(63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해당 기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2 자동 이득 조절기(64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부터 상기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20)가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자동 이득 조절기(640)의 이득 조절에 따라 적절한 레벨로 출력하는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 및
상기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가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높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자동 이득 조절기(640)의 이득 조절에 따라 적절한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제1 대역통과 분배기(200) 및 옥외 안테나(100)를 차례로 통해 공중으로 출력하는 제2 고역 주파수 변환기(660);를 포함하는 중계 수신기(600)가 지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행 선로 증폭기(750)는,
상기 송신용 케이블(700)로부터 제공되는 송신용 신호에서 고주파를 감쇄시키는 송신용 고주파 감쇄기(752);
상기 송신용 고주파 감쇄기(752)의 고주파가 감쇄된 송신용 신호를 받아 고역과 저역으로 분리하는 제1 고역/저역 여파기(754);
상기 제1 고역/저역 여파기(754)로부터 제공되는 저역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저역 고주파 증폭기(756);
상기 제1 고역/저역 여파기(754)로부터 제공되는 고역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고역 고주파 증폭기(758);
상기 저역 고주파 증폭기(756)의 출력 및 고역 고주파 증폭기(758)의 출력을 받아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를 분리해내어 출력하는 제2 고역/저역 여파기(760);
상기 제2 고역/저역 여파기(760)의 출력을 제1, 제2 출력으로 분배하여 제1 출력을 지하에 포설된 다음 단 송신용 케이블로 제공하는 분배기(762);
상기 분배기(762)로부터 제2 출력을 받아 저역 및 고역의 고주파를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800)를 통해 지하에 출력하여 지하의 무전기가 수신하도록 하는 저역/고역 고주파 증폭기(764);
상기 제2 고역/저역 여파기(760)가 출력하는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송신용 레벨 검출기(766);
상기 송신용 레벨 검출기(766)의 레벨 검출에 따라 상기 송신용 고주파 감쇄기(752)의 동작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기(768); 및
수집된 상기 하행 선로 증폭기(750)의 고장진단 알람신호, 상기 하행 선로 증폭기(750)가 송신하는 신호의 이상여부 알람신호 및 상기 하행 선로 증폭기(750)의 동작전압 이상여부 알람신호를 상기 송신 제어기(768)의 제어에 따라 FSK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하여 상기 송신용 케이블(700)로 제공해서 지하의 무전기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FSK 변조기(7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행 선로 증폭기(900)는,
상기 수신용 케이블(850)로부터 제공되는 수신용 신호에서 고주파를 감쇄시키는 제1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2);
상기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2)의 고주파가 감쇄된 수신용 신호를 받아 특정 수신대역의 신호만 분리시켜 통과시키는 제1 수신대역 통과 여파기(904);
상기 제1 수신대역 통과 여파기(904)의 통과된 신호를 고주파 증폭하는 제1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06);
상기 제1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06)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의 고주파를 감쇄시키는 제2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8);
상기 제1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06)가 출력하는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수신용 레벨 검출기(910);
상기 수신용 레벨 검출기(910)의 레벨 검출에 따라 상기 제2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8)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기(912);
수집된 상기 상행 선로 증폭기(900)의 고장진단 알람신호, 상기 상행 선로 증폭기(900)가 송신하는 신호의 이상여부 알람신호 및 상기 상행 선로 증폭기(900)의 동작전압 이상여부 알람신호를 상기 수신 제어기(912)의 제어에 따라 FSK 변조하는 FSK 변조기(914);
상기 수신 안테나(95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받아 특정 수신대역의 신호만 분리시켜 통과시키는 제2 수신대역 통과 여파기(916);
상기 제2 수신대역 통과 여파기(916)의 통과된 신호의 고주파를 감쇄시키는 제3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18);
상기 제3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18)의 고주파 감쇄된 신호를 고주파 증폭하는 제2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20); 및
상기 FSK 변조기(914)의 출력, 상기 제2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8)의 출력 및 상기 제2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20)의 출력을 결합하여 지하에 포설된 다음 단 수신용 케이블로 제공하는 결합기(9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에 있어 중계 송신기(500) 및 중계 수신기(600)를 지상에 설치하고 극초단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용 케이블(700, 850), 하행 선로 증폭기(750), 상행 선로 증폭기(900) 및 송수신 안테나(800, 950)를 지하에 설치하여 지상의 무전기와 지하의 무전기 간에 무선 전화가 무전기 사용자의 이동중에도 원활하도록 하기 때문에, 소방 무선 지령이 순조로워 지는 효과가 있다. 이때 이와 같은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은 평상시에는 일반 관리용으로 사용하여 지상의 관리용 무전기와 지하의 관리용 무전기 간에 무선 전화가 무전기 사용자의 이동중에도 원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행 선로 증폭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행 선로 증폭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옥외 안테나(100), 제1, 제2 대역통과 분배기(200, 400),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 중계 송신기(500), 중계 수신기(600), 송신용 케이블(700), 하행 선로 증폭기(750), 송신 안테나(800), 수신용 케이블(850), 상행 선로 증폭기(900) 및 수신 안테나(9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행 선로 증폭기(75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행 선로 증폭기(9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먼저 지상에 설치되는 중계 송신기(500) 내의 제1 저역 주파수 변환기(510)는 지상의 무전기와 무선 접속되는 옥외 안테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1 대역통과 분배기(200)를 통해 분배받아 낮은 주파수로 변환시킨다.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20)는 제1 저역 주파수 변환기(510)가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 제공한다.
제1 귀환 신호 제거기(53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20)의 귀환신호를 제거해서 발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제1 자동 이득 조절기(54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해당 기기의 이득을 조절한다.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부터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20)가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자동 이득 조절기(540)의 이득 조절에 따라 적절한 레벨로 출력한다.
제1 고역 주파수 변환기(560)는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가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 높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제1 자동 이득 조절기(540)의 이득 조절에 따라 적절한 레벨로 출력한다.
고이득 증폭기(570)는 제1 고역 주파수 변환기(560)의 출력을 고이득으로 증폭한다.
한편, 지하에 설치되는 하행 선로 증폭기(750)는 고이득 증폭기(570)의 출력을 제2 대역통과 분배기(400) 및 지하에 설치된 극초단파 송신용 케이블(700)을 차례로 통해 받아 증폭하여 지하에 설치되어 지하의 무전기와 무선 접속되는 송신 안테나(800)를 통해 출력한다.
지하에 설치되는 상행 선로 증폭기(900)는 지하에 설치되어 지하의 무전기와 무선 접속되는 수신 안테나(950)가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여 지하에 설치된 극초단파 수신용 케이블(850)을 통해 제2 대역통과 분배기(400)로 제공한다.
지상에 설치되는 중계 수신기(600) 내의 제2 저역 주파수 변환기(610)는 제2 대역통과 분배기(400)로부터 제공되는 상행 선로 증폭기(900)의 출력을 받아 낮은 주파수로 변환한다.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20)는 제2 저역 주파수 변환기(610)의 아날로그 출력을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 제공한다.
제2 귀환 신호 제거기(63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20)의 귀환신호를 제거해서 발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제2 자동 이득 조절기(64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해당 기기의 이득을 조절한다.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부터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20)가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자동 이득 조절기(640)의 이득 조절에 따라 적절한 레벨로 출력한다.
제2 고역 주파수 변환기(660)는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가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높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제2 자동 이득 조절기(640)의 이득 조절에 따라 적절한 레벨로 증폭하여 제1 대역통과 분배기(200) 및 옥외 안테나(100)를 차례로 통해 공중으로 출력한다.
전술된 하행 선로 증폭기(750) 내의 송신용 고주파 감쇄기(752)는 송신용 케이블(700)로부터 제공되는 송신용 신호에서 고주파를 감쇄시킨다.
제1 고역/저역 여파기(754)는 송신용 고주파 감쇄기(752)의 고주파가 감쇄된 송신용 신호를 받아 고역과 저역으로 분리한다.
저역 고주파 증폭기(756)는 제1 고역/저역 여파기(754)로부터 제공되는 저역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한다.
고역 고주파 증폭기(758)는 제1 고역/저역 여파기(754)로부터 제공되는 고역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한다.
제2 고역/저역 여파기(760)는 저역 고주파 증폭기(756)의 출력 및 고역 고주파 증폭기(758)의 출력을 받아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를 분리해내어 출력한다.
분배기(762)는 제2 고역/저역 여파기(760)의 출력을 제1, 제2 출력으로 분배하여 제1 출력을 지하에 포설된 다음 단 송신용 케이블로 제공한다.
저역/고역 고주파 증폭기(764)는 분배기(762)로부터 제2 출력을 받아 저역 및 고역의 고주파를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800)를 통해 지하에 출력하여 지하의 무전기가 수신하도록 한다.
송신용 레벨 검출기(766)는 제2 고역/저역 여파기(760)가 출력하는 신호의 레벨을 검출한다.
송신 제어기(768)는 송신용 레벨 검출기(766)의 레벨 검출에 따라 송신용 고주파 감쇄기(752)의 동작을 제어한다.
FSK 변조기(770)는 수집된 하행 선로 증폭기(750)의 고장진단 알람신호, 하행 선로 증폭기(750)가 송신하는 신호의 이상여부 알람신호 및 하행 선로 증폭기(750)의 동작전압 이상여부 알람신호를 송신 제어기(768)의 제어에 따라 FSK 변조하여 송신용 케이블(700)로 제공해서 지하의 무전기에게 전송되도록 한다.
전술된 상행 선로 증폭기(900) 내의 제1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2)는 수신용 케이블(850)로부터 제공되는 수신용 신호에서 고주파를 감쇄시킨다.
제1 수신대역 통과 여파기(904)는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2)의 고주파가 감쇄된 수신용 신호를 받아 특정 수신대역의 신호만 분리시켜 통과시킨다.
제1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06)는 제1 수신대역 통과 여파기(904)의 통과된 신호를 고주파 증폭한다.
제2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8)는 제1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06)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의 고주파를 감쇄시킨다.
수신용 레벨 검출기(910)는 제1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06)가 출력하는 신호의 레벨을 검출한다.
수신 제어기(912)는 수신용 레벨 검출기(910)의 레벨 검출에 따라 제2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8)의 동작을 제어한다.
FSK 변조기(914)는 수집된 상행 선로 증폭기(900)의 고장진단 알람신호, 상행 선로 증폭기(900)가 송신하는 신호의 이상여부 알람신호 및 상행 선로 증폭기(900)의 동작전압 이상여부 알람신호를 수신 제어기(912)의 제어에 따라 FSK 변조한다.
제2 수신대역 통과 여파기(916)는 수신 안테나(95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받아 특정 수신대역의 신호만 분리시켜 통과시킨다.
제3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18)는 제2 수신대역 통과 여파기(916)의 통과된 신호의 고주파를 감쇄시킨다.
제2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20)는 제3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18)의 고주파 감쇄된 신호를 고주파 증폭한다.
결합기(922)는 FSK 변조기(914)의 출력, 제2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8)의 출력 및 제2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20)의 출력을 결합하여 지하에 포설된 다음 단 수신용 케이블로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에 있어 중계 송신기(500) 및 중계 수신기(600)를 지상에 설치하고 극초단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용 케이블(700, 850), 하행 선로 증폭기(750), 상행 선로 증폭기(900) 및 송수신 안테나(800, 950)를 지하에 설치하여 지상의 무전기와 지하의 무전기 간에 무선 전화가 무전기 사용자의 이동중에도 원활하도록 하기 때문에, 소방 무선 지령이 순조로워 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상과 지하 간에 원활한 무전기 전화통화를 위해 중계 송수신기(500, 600)와 하행, 상행 선로 증폭기(750, 900)를 디지털화하여 실시간 모니터링도 가능하도록 하고 각 신호 출력에 대한 증폭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및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옥외 안테나
200, 400: 제1, 제2 대역통과 분배기
300: 디지털 신호 처리기
500: 중계 송신기
600: 중계 수신기
700: 송신용 케이블
750: 하행 선로 증폭기
800: 송신 안테나
850: 수신용 케이블
900: 상행 선로 증폭기
950: 수신 안테나

Claims (3)

  1. 지상의 무전기와 지하의 무전기 간에 무선 전화가 원활하도록 중계하는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으로서,
    상기 지상의 무전기와 무선 접속되는 옥외 안테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1 대역통과 분배기(200)를 통해 분배받아 낮은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제1 저역 주파수 변환기(510);
    상기 제1 저역 주파수 변환기(510)가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 제공하는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2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20)의 귀환신호를 제거해서 발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1 귀환 신호 제거기(53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해당 기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1 자동 이득 조절기(54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부터 상기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20)가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기(540)의 이득 조절에 따른 레벨로 출력하는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
    상기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가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 높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자동 이득 조절기(540)의 이득 조절에 따른 레벨로 출력하는 제1 고역 주파수 변환기(560); 및
    상기 제1 고역 주파수 변환기(560)의 출력을 고이득으로 증폭하는 고이득 증폭기(570);를 포함하는 중계 송신기(500)가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이득 증폭기(570)의 출력을 제2 대역통과 분배기(400) 및 지하에 설치된 극초단파 송신용 케이블(700)을 차례로 통해 받아 증폭하여 지하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의 무전기와 무선 접속되는 송신 안테나(800)를 통해 출력하는 하행 선로 증폭기(750); 및
    지하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의 무전기와 무선 접속되는 수신 안테나(950)가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여 지하에 설치된 극초단파 수신용 케이블(850)을 통해 상기 제2 대역통과 분배기(400)로 제공하는 상행 선로 증폭기(900);는 지하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대역통과 분배기(4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상행 선로 증폭기(900)의 출력을 받아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2 저역 주파수 변환기(610);
    상기 제2 저역 주파수 변환기(610)의 아날로그 출력을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 제공하는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2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20)의 귀환신호를 제거해서 발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2 귀환 신호 제거기(63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의 제어에 따라 해당 기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2 자동 이득 조절기(64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00)로부터 상기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20)가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자동 이득 조절기(640)의 이득 조절에 따른 레벨로 출력하는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 및
    상기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가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높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자동 이득 조절기(640)의 이득 조절에 따른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제1 대역통과 분배기(200) 및 옥외 안테나(100)를 차례로 통해 공중으로 출력하는 제2 고역 주파수 변환기(660);를 포함하는 중계 수신기(600)가 지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행 선로 증폭기(750)는,
    상기 송신용 케이블(700)로부터 제공되는 송신용 신호에서 고주파를 감쇄시키는 송신용 고주파 감쇄기(752);
    상기 송신용 고주파 감쇄기(752)의 고주파가 감쇄된 송신용 신호를 받아 고역과 저역으로 분리하는 제1 고역/저역 여파기(754);
    상기 제1 고역/저역 여파기(754)로부터 제공되는 저역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저역 고주파 증폭기(756);
    상기 제1 고역/저역 여파기(754)로부터 제공되는 고역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고역 고주파 증폭기(758);
    상기 저역 고주파 증폭기(756)의 출력 및 고역 고주파 증폭기(758)의 출력을 받아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를 분리해내어 출력하는 제2 고역/저역 여파기(760);
    상기 제2 고역/저역 여파기(760)의 출력을 제1, 제2 출력으로 분배하여 제1 출력을 지하에 포설된 다음 단 송신용 케이블로 제공하는 분배기(762);
    상기 분배기(762)로부터 제2 출력을 받아 저역 및 고역의 고주파를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800)를 통해 지하에 출력하여 지하의 무전기가 수신하도록 하는 저역/고역 고주파 증폭기(764);
    상기 제2 고역/저역 여파기(760)가 출력하는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송신용 레벨 검출기(766);
    상기 송신용 레벨 검출기(766)의 레벨 검출에 따라 상기 송신용 고주파 감쇄기(752)의 동작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기(768); 및
    수집된 상기 하행 선로 증폭기(750)의 고장진단 알람신호, 상기 하행 선로 증폭기(750)가 송신하는 신호의 이상여부 알람신호 및 상기 하행 선로 증폭기(750)의 동작전압 이상여부 알람신호를 상기 송신 제어기(768)의 제어에 따라 FSK 변조하여 상기 송신용 케이블(700)로 제공해서 지하의 무전기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FSK 변조기(7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행 선로 증폭기(900)는,
    상기 수신용 케이블(850)로부터 제공되는 수신용 신호에서 고주파를 감쇄시키는 제1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2);
    상기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2)의 고주파가 감쇄된 수신용 신호를 받아 특정 수신대역의 신호만 분리시켜 통과시키는 제1 수신대역 통과 여파기(904);
    상기 제1 수신대역 통과 여파기(904)의 통과된 신호를 고주파 증폭하는 제1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06);
    상기 제1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06)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의 고주파를 감쇄시키는 제2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8);
    상기 제1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06)가 출력하는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수신용 레벨 검출기(910);
    상기 수신용 레벨 검출기(910)의 레벨 검출에 따라 상기 제2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8)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기(912);
    수집된 상기 상행 선로 증폭기(900)의 고장진단 알람신호, 상기 상행 선로 증폭기(900)가 송신하는 신호의 이상여부 알람신호 및 상기 상행 선로 증폭기(900)의 동작전압 이상여부 알람신호를 상기 수신 제어기(912)의 제어에 따라 FSK 변조하는 FSK 변조기(914);
    상기 수신 안테나(95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받아 특정 수신대역의 신호만 분리시켜 통과시키는 제2 수신대역 통과 여파기(916);
    상기 제2 수신대역 통과 여파기(916)의 통과된 신호의 고주파를 감쇄시키는 제3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18);
    상기 제3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18)의 고주파 감쇄된 신호를 고주파 증폭하는 제2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20); 및
    상기 FSK 변조기(914)의 출력, 상기 제2 수신용 고주파 감쇄기(908)의 출력 및 상기 제2 수신용 고주파 증폭기(920)의 출력을 결합하여 지하에 포설된 다음 단 수신용 케이블로 제공하는 결합기(9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KR1020120157957A 2012-12-31 2012-12-31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KR101379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957A KR101379507B1 (ko) 2012-12-31 2012-12-31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957A KR101379507B1 (ko) 2012-12-31 2012-12-31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507B1 true KR101379507B1 (ko) 2014-04-29

Family

ID=5065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957A KR101379507B1 (ko) 2012-12-31 2012-12-31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50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762B1 (ko) * 2014-11-04 2015-04-28 (주)캐스트윈 무전기 통신 시스템
KR20160112917A (ko) * 2015-03-18 2016-09-28 블루넷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m, 지상파 dmb 및 소방용 무선통신 하이브리드 선로 증폭장치
KR101711001B1 (ko) * 2015-09-21 2017-03-03 케이디테크(주) 소방용 무전기 통신 시스템
KR101729016B1 (ko) * 2016-02-05 2017-04-21 채인석 소방 및 업무용 무전기를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KR20180039203A (ko) * 2016-10-07 2018-04-18 주식회사 엘파코리아 층간 통신을 위한 소방용 무선통신 시스템
KR20210151667A (ko) * 2020-06-04 2021-12-14 주식회사 더이레 첨단 무선 가스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첨단 무선 가스모니터링 시스템
KR102418691B1 (ko) * 2021-09-30 2022-07-08 주식회사 젠알에프티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248A (ko) * 1991-01-16 1992-08-26 남인근 디지탈화한 센서의 감지신호 무선전송씨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248A (ko) * 1991-01-16 1992-08-26 남인근 디지탈화한 센서의 감지신호 무선전송씨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762B1 (ko) * 2014-11-04 2015-04-28 (주)캐스트윈 무전기 통신 시스템
KR20160112917A (ko) * 2015-03-18 2016-09-28 블루넷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m, 지상파 dmb 및 소방용 무선통신 하이브리드 선로 증폭장치
KR101687354B1 (ko) * 2015-03-18 2016-12-16 블루넷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m, 지상파 dmb 및 소방용 무선통신 하이브리드 선로 증폭장치
KR101711001B1 (ko) * 2015-09-21 2017-03-03 케이디테크(주) 소방용 무전기 통신 시스템
KR101729016B1 (ko) * 2016-02-05 2017-04-21 채인석 소방 및 업무용 무전기를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KR20180039203A (ko) * 2016-10-07 2018-04-18 주식회사 엘파코리아 층간 통신을 위한 소방용 무선통신 시스템
KR20210151667A (ko) * 2020-06-04 2021-12-14 주식회사 더이레 첨단 무선 가스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첨단 무선 가스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7727B1 (ko) * 2020-06-04 2022-06-16 주식회사 더이레 첨단 무선 가스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첨단 무선 가스모니터링 시스템
KR102418691B1 (ko) * 2021-09-30 2022-07-08 주식회사 젠알에프티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507B1 (ko)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US100090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esensitization of a base station transceiver for mobile wireless repeater systems
JP2008131623A (ja) アンテナを内蔵したフィードーバック干渉信号除去無線中継装置
KR20000074988A (ko) 인빌딩용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08572B1 (ko)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KR100878998B1 (ko) 종합무선 중계장치의 원격제어 시스템
KR100807820B1 (ko) 1 주파 2 라인 안테나 방식을 이용한 무전기 통신시스템
KR102418691B1 (ko)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KR101711001B1 (ko) 소방용 무전기 통신 시스템
JP3875599B2 (ja) 共同受信システム
KR101515762B1 (ko) 무전기 통신 시스템
KR101729016B1 (ko) 소방 및 업무용 무전기를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KR100285086B1 (ko) 지하무선망종합중계장치
KR101161549B1 (ko) 다중섹터 안테나 기반 이동통신 중계장치
JP2006295309A (ja) 光多段中継システム
KR102295341B1 (ko) 철도용 스마트 양방향 증폭 중계 장치
KR100635340B1 (ko) 디지탈 방식의 지하 재방송 중계 장치
US8462830B2 (en) Radio frequency distribution with spreading
US20230292253A1 (en) Gain autotune
KR101716412B1 (ko) 철도용 2주파 단신 중계 장치
KR102418627B1 (ko) Catv 시스템을 활용한 소방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KR200497241Y1 (ko) 방송 공동수신설비에서 전송선로설비의 동 단자함 또는 세대 단자함을 이용하여 재난방송을 송출하는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리모트 장비
KR102175384B1 (ko) 광역 서비스를 위한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175386B1 (ko) 광역 서비스를 위한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424253B1 (ko) 건축물 내의 무선통신 자동 주파수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