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347B1 - 지붕 구조물 체결용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 Google Patents

지붕 구조물 체결용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347B1
KR102479347B1 KR1020220038927A KR20220038927A KR102479347B1 KR 102479347 B1 KR102479347 B1 KR 102479347B1 KR 1020220038927 A KR1020220038927 A KR 1020220038927A KR 20220038927 A KR20220038927 A KR 20220038927A KR 102479347 B1 KR102479347 B1 KR 102479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lastic
fixing
suppor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Priority to KR102022003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04D3/351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40Slabs or sheets locally modified for auxiliary purposes, e.g. for resting on walls, for serving as guttering; El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ridg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conjunction with slabs o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Abstract

면진장치는 하부패널, 지지부, 탄성부, 받침부, 연결부 및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탄성부에 안착되는 연결안착부, 상기 연결안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연결후크부, 상기 연결후크부에서 상기 연결안착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연결폐쇄부 및 상기 연결폐쇄부의 단부에 함몰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연결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에 결합되는 고정본체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수용부에 삽입되는 고정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결부, 상기 탄성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호 지지되는 배치관계에 의해 설치 편의성은 유지되면서, 결합력 및 고정력이 극대화 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붕 구조물 체결용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Clip for fastening roof structure, roof structure including same, and solar panel roof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지붕구조물 체결용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패널 지붕에 관한 것이다.
공장이나 강당, 체육관, 휴게소, 공항 등 넓은 면적의 철 구조물의 상부는 흔히 단열 기능이 있는 지붕패널로 구성되거나, 태양광패널 지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붕패널이나 태양광패널 같은 조립식 지붕 구조물들은 다른 복잡한 구조의 지붕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공이 수월하나, 조립식 구조 특성상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에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위의 조립식 지붕구조물들의 주요부재로는 H 빔 등과 같은 철골구조인 보, 보와 수직하게 교차하는 중도리(purlin), 중도리 상측에 구비된 상하부 패널 및 단열층 등이 있으며, 해당 부재들은 클립이나 볼트 등의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때문에, 지진이나 강풍에 의해 건물에 진동이 전달될 경우, 각각의 부재들이 흔들리면서 연결부재에 응력을 가하게 되고, 이를 버티지 못한 연결부재들이 파손되면서 상기 부재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 면진 성능이 담보되며 지붕구조물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면진장치가 도입되고 있다. 또한, 지붕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통해 면진장치의 구성요소들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열교차단재도 도입되고 있다.
다만, 면진장치가 도입되어 기존보다 큰 외부의 충격을 더 효율적으로 견딜수는 있으나, 기존보다 큰 외부의 충격에 의해 면진장치가 지붕구조물에서 분리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지붕구조물에 면진장치를 설치하는데 있어, 결합력 및 고정력이 향상된 면진장치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면진장치의 결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의 체결부재나 접착제를 사용한다면, 면진장치의 설치편의가 감소되며, 면진장치의 수리가 어려운 단점이 다수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설치 편의성이 유지되면서, 강한 결합력 및 고정력을 가지는 면진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결부와 탄성부가 상호지지되어 지지력이 향상된 면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조적 강성이 증대되고, 결합력이 향상된 면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면진장치는 설치공정이 최소화되되, 지붕구조물에 강한 고정력과 결합력을 가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패널, 상기 하부패널의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고정되며, 상기 건축물을 커버하는 상부패널을 지지하는 받침부가 삽입되는 연결부 및 상기 탄성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탄성부에 안착되는 연결안착부, 상기 연결안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연결후크부, 상기 연결후크부에서 상기 연결안착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연결폐쇄부 및 상기 연결폐쇄부의 단부에 함몰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연결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에 결합되는 고정본체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수용부에 삽입되는 고정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용부는 상기 연결폐쇄부의 중앙에 위치되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할수록 함몰 깊이가 깊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정삽입부는 상기 연결수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폐쇄부의 양측에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비되는 연결수용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용보조부는 상기 연결수용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수용부로부터 외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연결후크부에 가까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결안착부가 안착되는 탄성안착부와 상기 탄성안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탄성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안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연결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고정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결부, 상기 연결체결부 및 상기 고정체결부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체결부는 상기 탄성체결부와 직경이 동일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체결부는 상기 연결체결부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체결부의 중심에서 상기 연결수용부 중심 사이의 거리(A6)는 상기 고정체결부의 중심에서 상기 고정삽입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A7)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탄성안착부의 양측부 각각에서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굴곡지게 연장되는 탄성연장부 및 상기 탄성연장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에 삽입 결합되는 탄성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안착부의 폭(W4)은 상기 고정본체부의 폭(W5)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안착부의 일부는 상기 연결안착부와 상기 연결폐쇄부 사이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본체부와 상기 고정삽입부는 상기 탄성안착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폐쇄부보다 두께가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안착부에서 상기 탄성부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받침부가 삽입되는 연결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삽입부는 받침부가 삽입되는 배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삽입부와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결부와 탄성부가 상호지지되어 지지력이 향상된 면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조적 강성이 증대되고, 결합력이 향상된 면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가 지지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탄성부, 연결부 및 고정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차단재가 연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열교차단재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패널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M)는 하부패널(H), 지지부(1), 탄성부(3), 연결부(5), 받침부(9), 열교차단재(8) 및 고정부(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패널(H)은 건축물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부패널(H)은 건축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H-Beam과 같은 골격물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붕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지붕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패널(H)은 유공판넬로 구비될 수 있고 지붕구조물의 배치공간을 제공하며, 골격물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지부(1)는 하부패널(H)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1)는 하부패널(H)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부패널(H)의 강성을 보충할 수 있으며, 하부패널(H)보다 강성이 강한 재질로 구비되어 더 효율적으로 강성을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는 하부패널(H)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부패널(H)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는 하부패널(H)의 하방으로 함몰된 하부패널결합부(H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부패널결합부(H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지지부(1)와 하부패널(H)의 접촉면적이 최대화되어 구조적 안전성이 더 증대될 수 있다.
탄성부(3)는 지지부(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즉, 탄성부(3)는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면진장치(M)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는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일부가 굴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정이상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5)는 탄성부(3)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측에 구조물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부(5)는 탄성부(3)와 외부 구성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탄성부(3)에 전달하여 탄성부(3)와 함께 그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다.
받침부(9)는 연결부(5)에 결합되어 건축물을 커버하는 상부패널(U)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받침부(9)는 연결부(5)에 결합되어 상부패널(U)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9)는 상부패널(U)의 형상 및 설치장소 등을 고려하여 형상이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받침부(9)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두 개의 플레이트가 직교하는 형상인 'ㄱ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열교차단재(8)는 연결부(5)에 삽입될 수 있고, 연결부(5)와 받침부(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열교차단재(8)는 연결부(5)와 받침부(9) 사이에 열교환을 차단할 수 있고, 내측으로는 받침부(9)와 밀착되고, 외측으로는 연결부(5)와 밀착되어 받침부(9)와 연결부(5)에 더 강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부(7)는 탄성부(3)에 결합되어 연결부(5)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고정부(7)는 연결부(5)와 탄성부(3)만 결합되는 경우보다 결합력이 약할 수 있는 부분에 구비되어 결합력을 보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지지부의 상면도고, 도 4(b)는 지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는 지지안착부(11), 지지연장부(13), 지지수용부(15) 및 지지결합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안착부(11)는 하부패널(H)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지지안착부(11)는 전체가 하부패널(H)의 하부패널결합부(H1)에 안착될 수 있고, 지지력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패널결합부(H1)의 일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지지안착부(11)는 하부패널결합부(H1)의 일면과 대응되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안착되며 하부패널(H)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보충할 수 있다.
지지연장부(13)는 지지안착부(11)의 양측부 각각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지지연장부(13)는 하부패널(H)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부패널(H)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안착부(11)와 함께 하부패널(H)의 강성을 더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으며, 상부구조물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연장부(13)는 지지안착부(11)의 양장변부에서 지지안착부(11)와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지지연장부(13)는 지지안착부(11)와 이루는 각도가 120도 내지 130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연장부(13)는 지지안착부(11)와 함께 탄성부(3)의 충격흡수 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보조하며, 지지부(1) 자체의 구조적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연장부(13)는 제1지지연장부(13a)와 제2지지연장부(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연장부(13a)는 지지안착부(11)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고, 제2지지연장부(13b)는 지지안착부(11)의 타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나아가, 제1지지연장부(13a)와 제2지지연장부(13b)는 지지안착부(11)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지지연장부(13a)와 제2지지연장부(13b)는 단수로 구비되는 경우보다 하부패널(H)에 강성보강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지지수용부(15)는 지지연장부(13)의 단부에 구비되며, 탄성부(3)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지지수용부(15)는 내측에 수용공간(V1)이 형성되며, 탄성부(3)의 단부가 수용공간(V1)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수용부(15)는 지지수용본체부(151), 지지수용보조부(153) 및 지지수용차폐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수용본체부(151)는 지지연장부(13)로부터 하부패널(H)을 마주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지지수용보조부(153)는 지지수용본체부(151)로부터 하부패널(H)과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지지수용차폐부(155)는 지지수용보조부(153)로부터 지지수용본체부(151)를 마주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지지수용본체부(151), 지지수용보조부(153) 및 지지수용차폐부(155)는 일면이 개방된 공동형상을 형성하여, 탄성부(3)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V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수용본체부(151), 지지수용보조부(153) 및 지지수용차폐부(155)는 전체적인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일정 이상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수용부(15)는 제1지지수용부(15a)와 제2지지수용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수용부(15a)는 제1지지연장부(13a)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제2지지수용부(15b)는 제2지지연장부(13b)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제1지지수용부(15a)와 제2지지수용부(15b)는 지지안착부(11)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지지수용부(15a)와 제2지지수용부(15b)는 각각 지지수용본체부(151), 지지수용보조부(153) 및 지지수용차폐부(155)를 포함하여 형상은 동일하되 방향만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지지수용부(15a)와 제2지지수용부(15b)는 탄성부(3)의 더 많은 부분을 고정시켜 지지부(1)와 탄성부(3)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지지결합부(17)는 소정길이로 지지안착부(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결합부(17)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가 하부패널(H)의 결합공(H2)과 함께 관통하여 너트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결합부(17)는 전후방향(X-Y방향)의 길이가 폭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결합부(17)는 결합공(H2)의 위치제약에 벗어나 지지부(1)가 하부패널(H)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지지결합부(17)는 복수개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고, 결합편의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가 지지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탄성부의 상면도이고, 도 6(b)는 탄성부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는 탄성삽입부(31), 탄성연장부(33) 및 탄성안착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삽입부(31)는 지지수용부(15)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삽입부(31)는 평평한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고, 지지부(1)의 수용공간(V1)에 삽입되어 고정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탄성삽입부(31)는 단부가 지지부(1)의 지지수용보조부(153)와 이격되도록 수용공간(V1)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탄성삽입부(31)는 결합시 불필요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지지수용보조부(153)와 이격되도록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대응하여, 지지부(1)의 지지수용차폐부(155)는 지지부(1)의 지지수용본체부(151)와 연장길이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삽입부(31)에 강한 결합력을 제공하면서, 탄성삽입부(31)가 수용공간(V1) 삽입시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를 회전하여 지지부(1)에 결합하는 경우에 탄성삽입부(31)가 지지수용부(15)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탄성부(3)를 회전하여 지지부(1)에 결합하는 것은 자세히 후술하도로 한다.
나아가, 탄성삽입부(31)는 제1지지수용부(15a)에 삽입되는 제1탄성삽입부(31a)와 제2지지수용부(15b)에 삽입되는 제2탄성삽입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삽입부(31a)와 제2탄성삽입부(31b)는 후술할 탄성안착부(35)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탄성삽입부(31a)와 제2탄성삽입부(31b)는 단수로 구비되는 경우보다 탄성부(3)와 지지부(1) 사이에 더 강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연장부(33)는 탄성삽입부(31)에서 지지수용부(15)와 멀어지며,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탄성연장부(33)는 탄성부(3)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탄성연장부(33)는 중앙에 변곡점이 위치될 수 있고, 변곡점을 기준으로 모양이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연장부(33)는 변곡점을 기준으로 일측이 아래로 볼록하며 타측은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타측이 위로 볼록하며 일측이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연장부(33)는 외부의 충격을 더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나아가, 탄성연장부(33)는 제1탄성연장부(33a)와 제2탄성연장부(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연장부(33a)는 제1탄성삽입부(31a)에서 연장될 수 있고, 제2탄성연장부(33b)는 제2탄성삽입부(31b)에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탄성연장부(33a)는 제1탄성삽입부(31a)에서 제2탄성삽입부(31b)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제2탄성연장부(33b)는 제2탄성삽입부(31b)에서 제1탄성삽입부(31a)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탄성연장부(33a)와 제2탄성연장부(33b)는 탄성안착부(35)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형상은 동일하되 방향이 반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탄성연장부(33a)와 제2탄성연장부(33b)는 단수로 구비되는 경우보다 탄성부(3)의 전체적인 구조적 균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을 더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정리하면, 탄성부(3)는 탄성안착부(35)를 기준으로 탄성안착부(35)의 양측에서 제1탄성연장부(33a)와 제2탄성연장부(33b)가 연장될 수 있다. 즉, 탄성안착부(35)는 일측이 제1탄성연장부(33a)와 연결되며, 타측이 제2탄성연장부(33b)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탄성연장부(33a)로부터 탄성안착부(35)와 멀어지도록 제1탄성삽입부가 연장될 수 있고, 제2탄성연장부(33b)로부터 탄성안착부(35)와 멀어지도록 제2탄성삽입부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탄성부(3)는 탄성필렛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필렛부(37)는 지지부(1)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탄성필렛부(37)는 탄성삽입부(31)의 단부와 탄성연장부(33)의 단부에 라운드지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필렛부(37)는 탄성삽입부(31)와 탄성연장부(33)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 구비될 수 있고, 탄성삽입부(31)에서 탄성연장부(33)까지 연속된 곡선을 이룰 수 있다. 즉, 탄성필렛부(37)는 공학적으로 탄성부(3)의 모서리부 일부를 모깎이 또는 모따기한것으로 볼수 있으며, 외측으로 일정이상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필렛부(37)는 탄성부(3)가 지지부(1)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탄성필렛부(37)는 탄성부(3)가 지지부(1)에 회전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3)는 지지부(1)의 지지안착부(11)의 상측에 탄성안착부(35)의 단변이 전후방향(X-Y방향)으로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탄성부(3)는 지지부(1)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그 후, 탄성부(3)를 시계방향(C1) 또는 반시계방향(C2)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3)의 제1탄성삽입부(31a)는 지지안착부(11)의 상측에 위치되어 있다 제1지지수용부(15a)에 삽입될 수 있고, 탄성부(3)의 제2탄성삽입부(31b)는 지지안착부(11)의 상측에 위치되어 있다 제2지지수용부(15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탄성부(3)는 지지부(1)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탄성안착부(35), 탄성연장부(33) 및 탄성삽입부(31)는 모두 단변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후에 회전에 의하여 장변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탄성필렛부(37)는 탄성부(3)가 지지부(1)에 결합되는 위치에 자유성을 제공할 수 있고, 결합이 더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탄성부(3)의 불필요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필렛부(37)는 탄성삽입부(31)와 탄성연장부(33)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지지수용부(15)의 수용공간(V1)의 크기 등의 사정에 따라 탄성삽입부(31)의 단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필렛부(37)는 제1탄성필렛부(37a)와 제2탄성필렛부(3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필렛부(37a)는 제1탄성삽입부(31a)와 제1탄성연장부(33a)에 구비될 수 있고, 제2탄성필렛부(37b)는 제2탄성삽입부(31b)와 제2탄성연장부(33b)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탄성필렛부(37a)와 제2탄성필렛부(37b)는 탄성안착부(35)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탄성필렛부(37a)는 제2탄성필렛부(37b)와 함께 탄성부(3)가 시계방향(C1) 또는 반시계방향(C2)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든 지지부(1)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탄성필렛부(37a)와 상기 제2탄성필렛부(37b) 중 어느 하나는 전방에 구비되며, 다른 하나는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탄성부(3)를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탄성필렛부(37a)와 제2탄성필렛부(37b)는 대각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탄성필렛부(37a)와 제2탄성필렛부(37b)는 탄성부(3)가 시계방향(C1) 또는 반시계방향(C2)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든 제1지지수용부(15a)와 제2지지수용부(15b)를 먼저 마주할 수 있어, 결합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탄성필렛부(37)가 제1탄성필렛부(37a)와 제2탄성필렛부(37b)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탄성부(3)의 크기에 따라 탄성필렛부(37)는 탄성부(3)의 모서리 각각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탄성필렛부(37)의 개수가 더 늘어난다면, 탄성부(3)를 지지부(1)에 결합시키는 것이 더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제1지지수용부(15a)의 외측단부와 제2지지수용부(15b)의 외측단부 사이의 거리(A1)는 제1탄성삽입부(31a)의 외측단부와 제2탄성삽입부(31b)의 외측단부 사이의 거리(A2)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지지수용부(15a)는 제1지지수용본체부(151a), 제1지지수용보조부(153a) 및 제1지지수용차폐부(155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지지수용부(15b)는 제2지지수용본체부(151b), 제2지지수용보조부(153b) 및 제2지지수용차폐부(15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수용보조부(153a)의 내주면과 제2지지수용보조부(153b)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A1)는 탄성부(3)의 장변 길이(A2)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3)의 장변 길이(A2)는 제1지지수용보조부(153a)의 내주면과 제2지지수용보조부(153b)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A1)의 0.94 내지 0.96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3)는 지지부(1)에 회전하여 결합 시 접촉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으며, 탄성부(3)의 탄성삽입부(31)는 지지부(1)의 지지수용부(15)에 의해 최대한의 고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1지지수용부(15a)의 내측단부와 제2지지수용부(15b)의 내측단부 사이의 거리(A3)는 탄성안착부(35)의 장변 길이(A4)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지지수용차폐부(155a)의 내주면과 제2지지수용차폐부(155b)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A3)는 탄성부(3)의 단변 길이(A4)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보구체적으로, 탄성부(3)의 단변 길이(A4)는 제1지지수용차폐부(155a)의 내주면과 제2지지수용차폐부(155b)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A3)의 0.87 내지 0.9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3)는 탄성부(3) 자체의 구조적 강성이 확보되며, 지지부(1)의 설치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탄성부(3)가 움직이는 경우에 탄성부(3)가 용이롭게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탄성필렛부(37)는 반경(R1)이 탄성안착부(35)의 장변 길이(A4)의 절반 이내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필렛부(37)는 반경(R1)이 탄성안착부(35)의 장변 길이(A4)의 0.42 내지 0.46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탄성필렛부(37)는 탄성부(3)의 일부가 절삭되거나 제거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탄성필렛부(37)의 반경이 커질수록 탄성부(3)와 지지부(1)의 결합은 더 용이해질 수 있으나, 탄성부(3)와 지지부(1)의 결합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필렛부(37)는 반경이 탄성부(3)의 단변 길이(A4)의 소정비율로 구비되어, 결합의 용이성이 확보되며 탄성부(3)와 지지부(1)의 결합력도 확보될 수 있다.
한편, 탄성연장부(33)는 탄성삽입부(31)보다 폭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연장부(33)는 굴곡진 형상으로 외부의 충격을 직접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한정된 탄성부(3)의 폭에 있어 탄성삽입부(31)보다 폭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연장부(33)의 폭(W1)은 탄성삽입부(31)의 폭(W2)의 1.5 내지 1.8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삽입부(31)가 지지수용부(15)에 삽입되어 일정이상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고, 탄성연장부(33)는 외부의 충격을 더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연결부의 정면도이고, 도 9(b)는 연결부의 측면도이며, 도 9(c)는 연결부의 바닥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는 연결안착부(51), 연결후크부(53), 연결폐쇄부(55) 및 연결수용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안착부(51)는 탄성부(3)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안착부(51)는 탄성안착부(35)에 안착될 수 있으며, 탄성안착부(35)가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된다면 대응되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안착부(51)는 탄성안착부(35)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으며,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연결후크부(53)는 연결안착부(51)에서 연장되며, 탄성부(3)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후크부(53)는 탄성안착부(35)의 전방측 단부 또는 후방측 단부에 후크 결합되어 연결부(5)가 탄성부(3)에 결합되는데 1차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결후크부(53)는 외측과 내측이 라운드지게 구비되어 제작이 용이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을 일부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연결폐쇄부(55)는 연결후크부(53)에서 연결안착부(51)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연결폐쇄부(55)는 연결후크부(53)와의 사이에 삽입공간(V2)이 형성되고, 탄성부(3)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연결폐쇄부(55)는 연장길이가 연결안착부(51)보다 짧게 구비되어 연결안착부(51)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연결안착부(51)의 하면에 후술할 고정부(7)가 접촉되며 결합될 수 있다.
연결수용부(57)는 연결폐쇄부(55)의 단부에 함몰 구비되어 고정부(7)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연결수용부(57)는 연결폐쇄부(55)의 후단부의 일부가 관통되며 후방면이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후방면을 통해 고정부(7)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연결부(5)는 연결안착부(51)의 하면, 연결후크부(53)의 내주면 및 연결폐쇄부(55)의 상면이 탄성부(3)의 탄성안착부(35)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연결부(5)와 탄성부(3)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7)는 탄성안착부(35)의 하면에 결합되며, 단부가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5), 탄성부(3) 및 고정부(7)는 상호간 결합관계를 통해 고정력 및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으며, 별도의 결합부재를 최소화하며, 배치관계에 의한 결합을 통해 사용자의 설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는 고정부의 상면도이고, 도 11(b)는 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7)는 고정본체부(71) 및 고정삽입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본체부(71)는 탄성부(3)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본체부(71)는 탄성부(3)의 탄성안착부(35)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본체부(71)는 탄성안착부(35)의 하면에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탄성안착부(35)가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된다면 대응되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결합 편의성 및 지지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고정삽입부(73)는 고정본체부(71)에서 연장되며,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삽입부(73)는 고정본체부(71)의 단부에 돌출 구비될 수 있고, 폭은 고정본체부(71)의 폭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삽입부(73)는 더 용이하게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삽입부(73)는 상면 및 하면이 각각 고정본체부(71)의 상면 및 하면과 연속된 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삽입부(73)는 상면이 탄성안착부(35)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어, 고정본체부(71)와 함께 더 큰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부(7)가 탄성부(3) 및 연결부(5)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면, 먼저 고정부(7)의 단변이 전후방향(X-Y)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즉, 고정삽입부(73)가 연결수용부(57)와 마주하지 않고 직교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 후, 고정삽입부(73)가 연결수용부(57)를 향하도록 시계방향(C1) 또는 반시계방향(C2)로 고정본체부(7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고정삽입부(73)는 고정본체부(71)의 회전에 의해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부(7)를 탄성부(3)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부(7)를 탄성부(3)에 느슨하게 결합시키고, 고정본체부(71)를 회전시켜 고정삽입부(73)를 연결수용부(57)에 삽입시킨 후에 강하게 결합시키는 방식으로도 고정부(7), 탄성부(3) 및 연결부(5)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최소한의 결합부재 체결, 고정부(7)의 단순 회전 등을 통해 고정부(7), 탄성부(3) 및 연결부(5)를 체결시킬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7), 탄성부(3) 및 연결부(5)는 상호 지지되어 지지력이 증대되며, 외부의 충격을 더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7)는 고정삽입돌기부(7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삽입돌기부(731)는 고정삽입부(73)의 외주면에 복수 개 돌출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삽입돌기부(731)는 고정삽입부(73)보다 마찰계수가 더 큰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삽입돌기부(731)는 고정부(7)가 회전하여 결합될 때, 연결부(5)와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되어서는 상대적으로 큰 마찰계수로 인해 외부의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고정삽입부(73)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수용부(57)는 연결폐쇄부(55)의 중앙에 위치되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할수록 함몰 깊이라 깊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수용부(57)는 반원형상으로 구비되어 연결폐쇄부(55)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대응하여, 고정삽입부(73)는 연결수용부(5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삽입부(73)는 고정본체부(71)의 중앙에 배치되며, 반원형상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7)는 시계방향(C1) 또는 반시계방향(C2)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연결수용부(57)의 최내측이 가장 함몰깊이가 깊게 구비되어, 고정삽입부(73)가 회전함에 따라 부드럽게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수용부(57)의 반경(R2)은 연결폐쇄부(55)의 길이(A5)의 0.4 내지 0.5로 구비될 수 있고, 연결폐쇄부(55)의 폭(W3)의 0.1 내지 0.2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연결수용부(57)는 고정삽입부(73)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연결부(5) 전체의 구조적 강성 및 지지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는 연결수용보조부(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수용보조부(58)는 연결폐쇄부의 양측에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수용보조부(58)는 고정삽입부(73)가 회전하여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될 때, 고정삽입부(73)가 연결부(5)에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고정삽입부(7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수용보조부(58)는 연결폐쇄부의 양측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어, 고정삽입부(73)가 연결부(5)에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고정부(7)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고정삽입부(73)가 연결수용부(57)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테이퍼진 형상이란 고정삽입부(7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고정삽입부(73)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는 직선형태로 연결수용보조부(58)가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연결수용보조부(58)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삽입부(73)와 접촉이 방지되는 형상이면 모두 채택 가능하다.
나아가, 연결수용보조부(58)는 연결수용부(57)와 연결되며, 연결수용부(57)로부터 외측으로 향할수록 연결후크부(53)에 가까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하측에서 연결폐쇄부(55)를 바라보면, 연결수용부(57)의 양측 단부가 연결폐쇄부(55)의 최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삽입부(73)는 연결수용부(57) 삽입 전 최대한 연결부(5)와 접촉이 방지될 수 있으며, 고정삽입부(73)가 연결수용부(57)가 삽입되어 있을 때 외부의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연결수용부(57) 단부에 걸려 외부로 이탈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수용보조부(58)는 연결수용부(57)와 소정거리 이격 구비될수도 있다. 즉, 연결수용보조부(58)는 연결수용부(57)의 양측 단부가 일정이상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연결수용부(57)의 구조적 강성이 증대될 수 있어 연결수용부(57)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고정삽입부(73)와의 충돌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수용보조부(58)와 연결수용부(57)의 양단측과의 이격거리는 연결부(5)의 재질 연결수용부(57)의 반경, 연결수용부(57)의 형상, 고정부(7)의 재질, 고정삽입부(73)의 크기 및 고정삽입부(73)의 형상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탄성부, 연결부 및 고정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6, 도 9,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는 탄성체결부(39)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5)는 연결체결부(59)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부(7)는 고정체결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체결부(39)는 탄성안착부(35)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연결체결부(59)는 연결안착부(5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탄성체결부(39)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고정체결부(75)는 고정본체부(7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연결체결부(59)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결부(39), 연결체결부(59) 및 고정체결부(75)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즉, 탄성부(3), 연결부(5) 및 고정부(7)는 탄성체결부(39), 연결체결부(59) 및 고정체결부(75)가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별도의 체결부재가 연결체결부(59), 탄성체결부(39) 및 고정체결부(75) 순서로 관통하여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별도의 체결부재는 볼트로 구비될 수 있고, 체결부재의 하측 똔느 상측에 너트가 체결될 수 있다. 즉, 한쌍의 볼트와 너트로 연결부(5), 탄성부(3) 및 고정부(7)가 고정될 수 있어, 체결부재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연결체결부(59)는 탄성체결부(39)와 직경이 동일하게 구비되며, 고정체결부(75)는 연결체결부(59)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체결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체결부재의 직경은 연결체결부(59)와 동일하거나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부(7)는 연결부(5)에 결합될 때 고정삽입부(73)가 연결폐쇄부(55)를 가압하면서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됨에 따라, 별도의 체결부재가 연결체결부(59)와 탄성체결부(39) 사이의 공간에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삽입부(73)가 연결수용부(57)에 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다시말하자면, 연결부(5)와 탄성부(3)는 별도의 회전결합이 아닌 연결후크부(53)와 탄성안착부(35)의 후크결합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연결체결부(59)와 탄성체결부(39)의 직경이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고, 고정부(7)는 연결부(5)에 회전결합을 통해 고정삽입부(73)가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되기 때문에 연결체결부(59)와 탄성체결부(39)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체결부(75)는 직경이 연결체결부(59)와 탄성체결부(39)의 직경의 0.87 내지 0.91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체결부(75)의 직경이 일정비율 이상 작게 구비되면, 체결부재에 의한 결합력이 상실될 수 있고, 고정체결부(75)의 직경이 일정비율 이상 크게 구비되면, 고정삽입부(73)가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되는 것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연결체결부(59)의 중심에서 연결수용부(57) 중심 사이의 거리(A6)는 고정체결부(75)의 중심에서 고정삽입부(73)의 중심 사이의 거리(A7)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부(5), 탄성부(3) 및 고정부(7)가 고정되면서, 고정부(7)가 회전하여 고정삽입부(73)가 연결부(5)의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될 때, 고정체결부(75)의 중심에서 고정삽입부(73)의 중심 사이의 거리(A7)가 연결체결부(59)의 중심에서 연결수용부(57) 중심 사이의 거리(A6)와 동일하게 고정삽입부(73)가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한 연결부(5), 탄성부(3) 및 고정부(7)의 고정과 고정삽입부(73)의 연결수용부(57) 삽입에 따른 고정부(7)와 연결부(5)의 결합이 구조적으로 일치되어 강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삽입부(73)의 반경(R3)은 연결수용부(57)의 반경(R2)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체결부재를 통한 연결부(5), 탄성부(3) 및 고정부(7)의 제작공차 및 결합공차와 고정삽입부(73)와 연결수용부(57)의 제작공차 등을 고려하여 일정이상 결합력을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설치 편의성을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고정삽입부(73)의 반경(R3)은 연결수용부(57)의 반경(R2)의 0.87 내지 0.91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삽입부(73)의 반경(R3)이 연결수용부(57)의 반경(R2)의 0.87보다 작게 구비된다면, 고정삽입부(73)의 연결수용부(57)의 삽입결합의 결합력이 충분이 확보될 수 없으며, 고정삽입부(73)의 반경(R3)이 연결수용부(57)의 반경(R2)의 0.91보다 크게 구비된다면, 여러 공차들에 의해 고정삽입부(73)가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체결부(75)가 연결체결부(59) 및 탄성체결부(39)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되어 고정부(7)의 회전결합 시 부여된 결합의 자유도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고정삽입부(73)의 반경(R3)이 연결수용부(57)의 반경(R2)보다 일정비율로 작게 구비되어 결합의 자유도를 더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성부(3)에 대하여 다시 한번 설명하면, 탄성부(3)는 연결안착부(51)가 안착되는 탄성안착부(35), 탄성안착부(35)의 양측부 각각에서 지지부(1)를 향하여 굴곡지게 연장되는 탄성연장부(33) 및 탄성연장부(33)에서 지지부(1)를 향하여 연장되어 지지부(1)에 삽입결합되는 탄성삽입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안착부(35)의 폭(W4)은 고정본체부(71)의 폭(W5)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탄성안착부(35)의 폭(W4)보다 고정본체부(71)의 폭(W5)이 더 작게 구비되어 고정본체부(71)가 회전하여 고정삽입부(73)가 연결수용부(57)에 삽입 결합 시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고정본체부(71)가 탄성연장부(33)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외부의 흔들림이나 설치시 불필요한 접촉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본체부(71)의 폭(W5)은 탄성안착부(35)의 폭(W4)의 0.96 내지 0.98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본체부(71)의 폭(W5)이 탄성안착부(35)의 폭(W4)의 0.96 미만으로 구비된다면 고정본체부(71)와 탄성안착부(35)의 상호간 지지면적이 불필요하게 감소될 수 있고, 고정본체부(71)의 폭(W5)이 탄성안착부(35)의 폭(W4)의 0.98 초과로 구비된다면 결합이 어렵거나 탄성연장부(33)와 고정본체부(71)의 불필요한 접촉이 발생될 수 있다.
나아가, 탄성안착부(35)의 폭(W4)은 연결안착부(51), 연결후크부(53) 및 연결폐쇄부(55)의 폭(W3)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부(5)는 탄성안착부(35)에 후크결합되고, 고정부(7)에 의해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폭이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호간 지지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7)는 두께가 연결폐쇄부(55)의 두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본체부(71)와 고정삽입부(73)는 탄성안착부(35)의 하면에 결합되고, 연결폐쇄부(55)보다 두께가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7)는 탄성부(3)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때, 탄성부(3)의 하측을 강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탄성부(3)와 함께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5)는 연결안착부(51)와 연결폐쇄부(55)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일정두께 이상 확보되는 것이 제약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연결후크부(53)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고정삽입부(73)와 고정본체부(71)는 연결폐쇄부(55)보다 두께가 크게 구비되어 연결후크부(53)에 걸리는 응력을 연결폐쇄부(55)의 뒤쪽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본체부(71)와 고정삽입부(73)의 두께는 연결폐쇄부(55)의 두께의 1.3 내지 1.5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본체부(71)와 고정삽입부(73)의 두께가 연결폐쇄부(55)의 1.3 이내로 구비된다면 충분한 지지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수 있고, 고정본체부(71)와 고정삽입부(73)의 두께가 연결폐쇄부(55)의 1.5 초과로 구비된다면, 고정부(7)의 회전을 통해 고정삽입부(73)가 연결수용부(57)에 삽입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차단재가 연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는 연결삽입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삽입부(52)는 연결안착부(51)에서 탄성부(3)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받침부(9)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연결삽입부(52)는 연결안착부(51)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받침부(9)와 열교차단재(8)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연결삽입부(52)는 받침부(9), 열교차단재(8)와 함께 별도의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삽입부(52)는 전방삽입부(521)와 후방삽입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삽입부(521)는 전방에 위치되며 후방삽입부(523)는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전방삽입부(521)와 후방삽입부(523) 사이에 받침부(9)가 삽입되는 배치공간(V3)이 형성될 수 있다. 배치공간(V3)에는 열교차단재(8)도 배치될 수 있다.
즉, 후방삽입부(523)는 연결안착부(51)에서 연장될 수 있고, 전방삽입부(521)는 연결안착부(51)와 이격되어 후방삽입부(523)에서 연장되어 후방삽입부(52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삽입부(521), 후방삽입부(523), 받침부(9) 및 열교차단재(8)는 상호 지지되어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하나의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어 설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후방삽입부(523)에는 방열홀(525)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방열홀(525)은 열교차단재(8)로 전달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방열홀(525)은 후방삽입부(523)의 구조적 강성이 일정이상 확보된다면 복수 개로 구비되어 방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후방삽입부(523)의 폭은 전방삽입부(521)의 폭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전방삽입부(521)의 폭은 연결안착부(51)의 폭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방삽입부(521)는 배치공간(V3)을 형성하기 위해 굴곡지게 구비될 수 있고, 후방삽입부(523)는 전방삽입부(521)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외부의 충격을 전방삽입부(521)보다 더 흡수하도록 폭이 전방삽입부(521)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방삽입부(523)는 전방삽입부(521)와 연결안착부(51) 모두에 연결됨에 따라, 폭이 가장 크게 구비되어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연결안착부(51)는 폭이 후방삽입부(523)와 전방삽입부(521)보다 폭이 작게 구비되더라도 고정부(7)와 탄성부(3)에 의해 지지력을 일정이상 제공받을 수 있어 연결부(5) 전체의 구조적 강성이 일정이상 확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삽입부(521)의 폭은 후방삽입부(523) 폭의 0.6 내지 0.65로 구비될 수 있고, 연결안착부(51)의 폭은 후방삽입부(523) 폭의 0.35 내지 0.4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열교차단재(8)는 전방차단재(81)와 후방차단재(8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차단재(81)는 전방삽입부(521)와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후방차단재(83)는 연결부(5)의 전방삽입부(521)와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방차단재(81)와 후방차단재(83) 사이에는 방열공간(V4)이 형성되어 받침부(9)가 삽입될 수 있다. 즉, 받침부(9)가 방열공간(V4)에 삽입되고, 전방차단재(81)와 후방차단재(83)에 의해 외부로 부터 전달되는 받침부(9)의 열이 연결부(5)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교차단재(8), 받침부(9) 및 연결부(5)는 상호간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차단재(8)는 연결부(5), 고정부(7) 및 탄성부(3) 등에 열전달을 최소화하여 연결부(5), 고정부(7) 및 탄성부(3) 등의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일정 이상의 지지력을 제공하여 구조적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후방차단재(83)는 전방차단재(81)보다 폭이 더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후방삽입부(523)가 전방삽입부(521)보다 폭이 더 넓게 구비되는 것에 대응하여 후방차단재(83)와 전방차단재(81)의 폭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부(9)를 통해 후방삽입부(523)와 전방삽입부(521)로 전달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며, 후방차단재(83)와 전방차단재(81)가 후방삽입부(523)와 전방삽입부(521)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열교차단재(8)는 후방걸림부(87)와 전방걸림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걸림부(87)는 후방차단재(83)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후방삽입부(523)의 단부에 걸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걸림부(85)는 전방차단재(81)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방삽입부(521)의 단부에 걸치되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걸림부(87)와 전방걸림부(85)는 열교차단재(8)가 연결삽입부(52)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받침부(9)로부터 연결삽입부(52)로 전달되는 열을 더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후방걸림부(87)는 후단부가 후방삽입부(523)의 후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전방걸림부(85)는 전단부가 전방삽입부(521)의 전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후방걸림부(87)는 후방삽입부(523) 보다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부분이 없고, 전방걸림부(85)는 전방삽입부(521) 보다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부분이 없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열교차단재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9)는 열교차단재(8)의 전방차단재(81)와 후방차단재(83)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9)는 상부패널(U)이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받침부(9)는 일측이 열교차단재(8)에 결합되며, 타측에 상부패널(U)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부(9)는 열교차단재(8)에 삽입되는 받침삽입부(91)와 받침삽입부(91)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부패널(U)이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받침결합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9)는 상부패널(U)과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받침결합부(93)와 상부패널(U)이 일체로 구비되어 제작 및 설치를 간소화할수도 있다. 받침부(9)와 상부패널(U)의 별도 제작여부는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결저오딜 수 있다.
또한, 받침부(9)는 받침차단재(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차단재(95)는 받침삽입부(91)와 받침결합부(93)의 내측에 받침삽입부(91) 및 받침결합부(93)와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받침차단재(95)는 흡열물질로 구비되어 외부로부터의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차단재(95)는 받침삽입부(91)를 통해 연결부(5), 탄성부(3) 및 고정부(7)로 전달되는 열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즉, 받침차단재(95)는 열교차단재(8)와 함께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패널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패널(U)은 기능성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패널(U)은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패널돌출부(U1)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돌출부(U1)는 미관을 위한 별도의 미관성 구성물이 부착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패널돌출부(U1) 사이로 강설이나 강우에 의한 물이 지붕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상부패널(U)의 기능은 상술한 기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장소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받침결합부(93)에 다양한 기능의 상부패널(U)을 용이하게 결합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9)에는 태양광패널(E)이 부착될 수 있다.
즉, 태양광패널(E)은 받침결합부(93)에 상측에 결합되거나 받침결합부(93)와 일체로 결합되어 빛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패널(E)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받침결합부(93)에 결합될 수 있어 설치 면적에 따라 그 개수를 설정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가정에서 여러 보조금으로 인해 태양광발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9)는 태양광패널(E)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으며, 태양광패널(E)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도 편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들에 따르면 고정부(7)가 지붕구조물 체결용 클립으로 구비되는 면진장치(M)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이 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패널(U)은 받침부(9)에 안착되는 상부패널안착부(미도시) 및 상부패널안착부와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어 외부와 맞닿는 상부패널기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들에 따르면 고정부(7)가 지붕구조물 체결용 클립으로 구비되는 면진장치(M)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지붕이 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패널(U)은 태양광패널(E)로 구비되며, 태양광패널(E)은 받침부(9)에 안착되는 태양광패널안착부(미도시) 및 상기 태양광패널안착부와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어 외부와 맞닿으며, 외부의 빛으로부터 태양광 발전을 하는 태양광패널기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지지부 3: 탄성부
5: 연결부 7: 고정부

Claims (12)

  1. 건축물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패널;
    상기 하부패널의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고정되며, 상기 건축물을 커버하는 상부패널을 지지하는 받침부가 삽입되는 연결부; 및
    상기 탄성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탄성부에 안착되는 연결안착부;
    상기 연결안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연결후크부;
    상기 연결후크부에서 상기 연결안착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연결폐쇄부; 및
    상기 연결폐쇄부의 단부에 함몰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연결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에 결합되는 고정본체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수용부에 삽입되는 고정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용부는 상기 연결폐쇄부의 중앙에 위치되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할수록 함몰 깊이가 깊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정삽입부는 상기 연결수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폐쇄부의 양측에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비되는 연결수용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용보조부는
    상기 연결수용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수용부로부터 외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연결후크부에 가까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결안착부가 안착되는 탄성안착부와 상기 탄성안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탄성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안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연결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고정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결부, 상기 연결체결부 및 상기 고정체결부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결부는 상기 탄성체결부와 직경이 동일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체결부는 상기 연결체결부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결부의 중심에서 상기 연결수용부 중심 사이의 거리(A6)는 상기 고정체결부의 중심에서 상기 고정삽입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A7)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탄성안착부의 양측부 각각에서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굴곡지게 연장되는 탄성연장부; 및
    상기 탄성연장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에 삽입 결합되는 탄성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안착부의 폭(W4)은 상기 고정본체부의 폭(W5)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안착부의 일부는 상기 연결안착부와 상기 연결폐쇄부 사이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본체부와 상기 고정삽입부는 상기 탄성안착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폐쇄부보다 두께가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안착부에서 상기 탄성부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받침부가 삽입되는 연결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삽입부는 받침부가 삽입되는 배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삽입부와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
  11. 제1항의 고정부가 지붕구조물 체결용 클립으로 구비되는 면진장치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는 상부패널안착부; 및
    상기 상부패널안착부와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어 외부와 맞닿는 상부패널기능부;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12. 제1항의 고정부가 지붕구조물 체결용 클립으로 구비되는 면진장치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지붕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태양광패널로 구비되며,
    상기 태양광패널은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는 태양광패널안착부; 및
    상기 태양광패널안착부와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어 외부와 맞닿으며, 외부의 빛으로부터 태양광 발전을 하는 태양광패널기능부;를 포함하는 태양광패널지붕.
KR1020220038927A 2022-03-29 2022-03-29 지붕 구조물 체결용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KR10247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927A KR102479347B1 (ko) 2022-03-29 2022-03-29 지붕 구조물 체결용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927A KR102479347B1 (ko) 2022-03-29 2022-03-29 지붕 구조물 체결용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347B1 true KR102479347B1 (ko) 2022-12-20

Family

ID=8453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927A KR102479347B1 (ko) 2022-03-29 2022-03-29 지붕 구조물 체결용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3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934B1 (ko) * 2020-07-27 2021-01-18 주식회사 건기 이중개스킷 거멀결합으로 우수한 방수성능과 결합성능을 겸비하는 금속패널 지붕
KR102353448B1 (ko) * 2020-08-28 2022-01-20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판스프링형 탄성체를 구비한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934B1 (ko) * 2020-07-27 2021-01-18 주식회사 건기 이중개스킷 거멀결합으로 우수한 방수성능과 결합성능을 겸비하는 금속패널 지붕
KR102353448B1 (ko) * 2020-08-28 2022-01-20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판스프링형 탄성체를 구비한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511B1 (ko) 내진 기능을 가진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및 그 시공 방법
JP463723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架台
KR102487697B1 (ko) 면진장치의 판스프링형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패널 지붕
KR101259165B1 (ko) 태양광 발전용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009708B1 (ko) 경사굴곡 지형 설치용 태양광 어레이 시공 시스템
KR102360951B1 (ko) 배터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102115516B1 (ko) 케이블 고정식 태양광 패널 지지 구조
WO2014010026A1 (ja) 太陽電池パネル用架台
JP2018508669A (ja) 光起電力モジュール取り付け具
KR102479347B1 (ko) 지붕 구조물 체결용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JP3218008U (ja) 太陽電池パネル支持金具及び架台構造
JP5294127B2 (ja) ブレースダンパー
KR102428517B1 (ko) 공기단축, 경제성, 및 내진성을 갖춘 Z-bar clip식 외벽형 BIPV 시스템
JP200416555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に備わる支持構造体
KR101421808B1 (ko) 태양광 모듈 설치를 위한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모듈 설치 구조
KR102464285B1 (ko) 면진기능이 있는 태양광패널 지붕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패널 지붕
TWM609547U (zh) 太陽能模組支撐結構裝置
KR102600895B1 (ko) 지붕일체형 태양광 발전용 클램프
KR102382589B1 (ko) 태양광 패널 지붕 설치용 중도리 일체형 지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KR102387103B1 (ko) 중도리 일체형 지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KR102381381B1 (ko) 방패연 패턴과 라이트웨이트 구조가 적용된 태양광 집광장치
CN219261364U (zh) 一种建筑结构防震节点
JPH08288533A (ja) 太陽電池の屋根上設置用アンカーボルト
CN216586982U (zh) 一种装配式抗震节点
KR102382595B1 (ko) 회전식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태양광 패널 지붕용 단열모듈 및 이의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