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165B1 - 태양광 발전용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용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165B1
KR101259165B1 KR1020120136519A KR20120136519A KR101259165B1 KR 101259165 B1 KR101259165 B1 KR 101259165B1 KR 1020120136519 A KR1020120136519 A KR 1020120136519A KR 20120136519 A KR20120136519 A KR 20120136519A KR 101259165 B1 KR101259165 B1 KR 101259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upport
power generation
spring
coil
photovoltaic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욱
염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136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1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to the ground or to building structures
    • F24S25/617Elements driven into the ground, e.g. anchor-piles; Foundations for supporting elements; Connectors for connecting supporting structures to the ground or to flat horizontal surfa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1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extending in directions away from a supporting surfa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용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면에 복수의 태양광전지판(10)들이 배열되는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의 저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기둥(30); 상기 기둥(30)의 하단부가 체결되며, 일정 반경에는 상향 돌출되게 스프링 홈(41)을 복수 개로서 형성하고, 외측으로 수평 절곡시킨 플랜지면(42)으로는 수직의 볼트홀(43)이 형성되도록 하는 캡형상의 상부 지지구(40); 콘크리트 기초(80)에 플랜지면(52)이 앵커볼트(53)에 축지지되어 너트(5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앵커볼트(53)는 상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구(40)의 볼트홀(43)을 관통하여 볼트체결에 의해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 지지구(40)의 내경보다 일정 폭만큼 작은 직경으로 측벽(51)을 형성하는 팬형상의 하부 고정구(50); 상기 하부 고정구(50)의 바닥면에 하단부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면서 상부는 상기 상부 지지구(40)의 스프링 홈(41)에 삽입되는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 상기 하부 고정구(50)의 측벽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마주보는 상기 상부 지지구(40)의 내주면을 향해 탄설되는 제2 코일형 완충 스프링(70)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지진 등의 진동 충격으로부터 태양광전지판(10) 또는 이를 지지하는 시설물들이 안전하게 유지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용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MODULE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EMPLOYING I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용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기초에 고정되도록 한 구조물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코일 스프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 개선에 의해 보다 저렴하게 시행이 가능토록 하면서 지진 등의 진동 충격에 대해서도 태양광전지판과 설치 시설물들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용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연료의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등의 방출에 의한 지구의 온난화, 원자력 발전소의 사고 및 핵폐기물에 의한 방사능 오염 등과 같은 심각한 문제로 인해, 차세대 청정에너지 개발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 태양 에너지는, 지구의 기후에 힘을 주고 생명을 지탱시켜 주는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열과 빛 형태의 복사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이나 전력을 얻는 에너지로서,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전지가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태양광을 흡수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광기전력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방식을 태양광 발전(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이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광전 변환 소자를 태양전지(PV : Photovoltaic)라고 한다.
태양전지는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빛을 반도체에 조사하면 반도체 원자에서 +전자핵(electron hole)과 -자유전자(electron)가 생기고, P-N 접합을 통해 자유전자가 외부 회로에 도달하게 된다. P-N 접합이란, ‘P형 반도체(+극성)’와 ‘N형 반도체(-극성)’를 붙여서 만든 것으로 전자들은 극성의 성질에 따라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로 나뉘어 쌓이게 되며, 특히 -자유전자들은 P형 반도체 쪽으로 끌려 넘어가게 되어 접합 부분에 전기장이 생성되고, P형 반도체 쪽에 계속 쌓인 전자는 반도체에 연결된 전기선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며, 이렇게 전기선을 따라 전자가 흐르게 되면서 전기를 얻게 되는 것이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복수의 태양전지를 투광성 패널 사이에 접착되도록 한 태양광전지판으로부터 생산된 전류를 인버터를 통해 교류로 변환시켜 축전지에 저장하거나 방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설치는 지중에 형성한 콘크리트기초에 앵커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기둥이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기둥 상단에 프레임이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한 후 이 프레임의 상면에 복수의 태양광전지판들이 배열 설치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지중에서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지진파의 진동에 의해 충격을 받아 심한 경우에는 태양광전지판이 파손되면서 심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지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시키기 위해서 이미 특허공개번호 제2012-29293호(2012.03.26. 명칭:내진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를 통해 내진장치를 적용시킨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특허에서는 지진에 의해 기초가 흔들리게 되면 완충부재에 의해 기둥 하부만이 움직이게 된다고 하였으나, 기둥은 결국 그 상부의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하고 있어 비록 기둥과 프레임 사이에도 내진장치를 구비한다 하더라도 프레임 및 태양광전지판으로의 진동 충격 전달은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태양광전지판의 손상도 발생되는 폐단이 있다.
특허문헌 특허공개번호 제2012-29293호(2012.03.26. 명칭:내진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 구조물과 그 상부의 지지물간을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지진 등의 격한 진동으로 인한 충격이 대폭적으로 완충되면서 상부측 지지물로의 전달이 최소화되게 하여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용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 개선에 의해 손쉽게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시설물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가 있는 태양광 발전용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면에 복수의 태양광전지판들이 배열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하단부가 상부면에 체결되며, 일정 반경에는 저면으로부터 일정 직경과 높이로서 상향 돌출되도록 하면서 일정 각도를 이격하여 스프링 홈을 복수 개로서 형성하고, 외주연 하단부를 외측으로 수평 절곡시킨 플랜지면으로는 수직의 볼트 홀이 일정 각도로 복수 개가 형성되도록 하는 캡형상의 상부 지지구;
지면에 매설한 콘크리트 기초에 외주연 하단부의 플랜지면이 앵커볼트에 고정되고, 상기 앵커볼트는 상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구의 볼트홀을 관통하여 볼트체결에 의해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 지지구의 내경보다 일정 폭 작은 직경의 측벽을 형성하는 팬형상의 하부 고정구;
상기 하부 고정구의 상기 상부 지지구에 형성한 스프링 홈과 동일 수직선상의 바닥면에 하단부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면서 상부는 상기 상부 지지구의 스프링 홈에 삽입되는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
상기 하부 고정구의 측벽 외주면에서 상기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과 어긋난 각도에 수평 방향으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마주보는 상기 상부 지지구의 내주면을 향해 탄설되는 제2 코일형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용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의해 지진에 의해 지면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더라도 코일형 완충 스프링들을 통해 완충되도록 하여 태양광전지판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별도의 구조물을 구비하여 기존의 시설에도 적용할 수 있게 하므로써 태양광전지판과 그 지지 구조물의 안전한 관리를 제공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설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고정구를 콘크리트 기초에 결합시키는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하부 고정구의 상부로 상부 지지구가 조립되는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지진 발생으로 인한 작동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둥이 지중에 고정되도록 한 타입이나 태양광을 추적하도록 회전하는 타입에서나 공히 적용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태양광전지판(10)과 프레임(20)과 기둥(30)과 상부 지지구(40)와 하부 고정구(50)와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과 제2 코일형 완충 스프링(7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태양광전지판(10)은 복수의 태양전지를 복수 개가 배열되도록 하여 양측에서 광투과성 패널에 의해 접착되게 하여 태양광을 이용해서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구성이다.
프레임(20)은 격자 형상으로 일정한 사이즈의 태양광지지판(10)들이 지지되도록 하는 틀이다.
즉, 프레임(20)은 상부면으로 복수의 태양광지지판(10)들이 일정하게 배열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기둥(30)은 프레임(20)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기둥(30)은 도면에서와 같이 프레임(20)의 저면 중앙을 지지하는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2 이상으로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기둥(30)은 상단부에 태양광지지판(10)이 결합된 프레임(20)의 저면이 연결되면서 프레임(20)이 일정한 각도로서 지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부 지지구(40)는 내부가 비고 하향 개방되는 캡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상부 지지구(40)의 상부면에는 기둥(30)의 하단부가 결합되게 하면서 외주연 하단부는 외측으로 일정 폭이 수평 절곡되도록 한다.
상부 지지구(40)의 내부에서 상부면으로는 일정 반경에 저면으로부터 일정 직경과 높이로서 복수 개의 스프링 홈(41)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한다.
스프링 홈(41)들은 일정 각도를 이격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외주연 하단부를 수평 절곡되도록 한 플랜지면(42)으로는 수직으로 관통되게 볼트홀(43)이 일정 각도를 이격하여 복수 개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부의 상부 지지구(40)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하부 고정구(50)는 상기 상부 지지구(40)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측벽(51)을 형성하는 내부가 비고 상향 개방되도록 한 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측벽(51)의 하단부는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도록 하여 플랜지면(52)을 형성하고, 이 플랜지면(52)에는 앵커볼트(53)가 체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기초에 앵커볼트(53)의 하부가 매립되면서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앵커볼트(53)는 플랜지면(52)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도록 하며, 앵커볼트(53)의 상부는 상부 지지구(40)의 외주연 하단부를 수평 연장한 플랜지면(42)에 형성한 볼트홀(43)을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향 돌출된 앵커볼트(53)의 상단부로는 너트(54)가 체결되도록 한다.
너트(54) 체결에 의해 앵커볼트(53)에 축지지되는 상부 지지구(40)는 단순히 상부로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부 지지구(40)의 플랜지면(42)에 형성되는 볼트홀(43)은 앵커볼트(53)의 측방 유동이 가능하도록 좀더 여유있는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부 고정구(50)의 내부 바닥면에는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의 일단이 용접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은 상부 지지구(40)와 함께 그 상부에 구비되는 기둥(30)과 프레임(20) 및 태양광전지판(10)을 지지하면서 상부 지지구(40)에 사람이 올라가더라도 그 정도의 하중에 의해서는 수축되지 않는 정도의 탄성을 갖도록 한다.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의 상단부는 상부 지지구(40)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한 스프링 홈(41)으로 삽입되어 상부 지지구(40)가 일정 높이에서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 지지구(40)와 하부 고정구(50)는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에 의해서 일정 높이를 유지하게 되며, 다만 외주연측의 앵커볼트(53) 상단부에 체결한 너트(54)에 의해서는 상부 지지구(40)의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코일형 완충 스프링(70)은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과 마찬가지로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다만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에 비해 사이즈가 대폭 축소되도록 한 형상이다.
제2 코일형 완충 스프링(70)은 일단이 하부 고정구(50)의 측벽(51) 외주면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도록 하되 접합 위치는 하부 고정구(50)의 내부에 구비한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과는 어긋난 각도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의 일단이 하부 고정구(50)의 측벽(51) 외주면에 고정되게 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면 결국 타단은 마주보는 상부 지지구(40)의 내주면을 향하게 된다.
다만,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의 타단은 상부 지지구(40)의 내주면과 접촉되게 할 수도 있으나, 미세하게 이격시킨 구성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하부 고정구(50)에 상부 지지구(40)를 조립하는데 한층 유리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의한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설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고정구를 콘크리트 기초에 결합시키는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우선 지중에 일정 두께와 면적으로 콘크리트 기초(80)가 매설되도록 하면서 이 콘크리트 기초(80)의 일정 반경에 복수 개의 앵커볼트(53)가 일부 매립되게 한다.
콘크리트 기초(80)에 매립되는 앵커볼트(53)의 위치는 하부 고정구(50)의 플랜지면(52)에 형성한 앵커볼트 체결홀(520)의 위치와 동일하다,
앵커볼트(53)와 동일 수직선상에 앵커볼트 체결홀(520)이 위치되게 하면서 하부 고정구(50)를 상부로부터 콘크리트 기초(80)에 안치시킨 다음 앵커볼트 체결홀(520)을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는 앵커볼트(53)의 상부로부터는 너트(54)가 체결되도록 하여 하부 고정구(50)가 콘크리트 기초(80)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콘크리트 기초(80)에 고정한 하부 고정구(50)에는 이미 내부 바닥면에는 복수의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 하단부가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제2 코일형 완충 스프링(70) 일단이 고정되어 있게 된다.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과 제2 코일형 완충 스프링(70)은 본 발명의 설치 시공 전에 미리 하부 고정구(50)에 용접에 의해 고정시킨 상태로 설치 현장에서는 단순히 조립만 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으나, 설치 현장에서 용접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하부 고정구의 상부로 상부 지지구가 조립되는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고정구(50)가 조립되면 외측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는 앵커볼트(53)로 볼트홀(43)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상부 지지구(40)가 하향 조립되도록 한다.
상부 지지구(40)를 조립 시 볼트홀(43)이 앵커볼트(53)와 동일 수직선상에 오게 되는 순간 하부 고정구(50)에 고정시킨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은 상부 지지구(40)의 스프링 홈(41)으로 마춤 삽입된다.
상부 지지구(40)는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의 상단부에 스프링 홈(41)의 상단면이 얹혀지게만 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스프링 홈(41)에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이 삽입되면 하부 고정구(50)의 측벽(51) 외측으로 상부 지지구(40)의 내주면이 일부 면간 마주보는 상태가 되고, 이들 사이에는 이미 하부 고정구(50)의 측벽(51)에 고정시킨 제2 코일형 완충 스프링(70)이 개재되는 상태가 되면서 상부 지지구(40)는 하부 고정구(50)에서 회전을 한다거나 측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가 된다.
상부 지지구(40)를 단순히 얹힌 상태에서 플랜지면(42)의 볼트홀(43)을 수직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는 앵커볼트(53)에는 상부로부터 너트(54)가 체결되게 하여 상부 지지구(40)의 상향 이탈이 방지되게 한다.
상부 지지구(40)가 조립되면 상부 지지구(40)의 상부에는 기둥(30)의 하단부가 연결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둥(30)은 타입에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로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2개 이상이거나 원형의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기도 하므로 이들을 공히 연결할 수가 있다.
기둥(30)과 태양광전지판(10)을 결합한 프레임(20)의 결합은 종전과 동일한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결합시키도록 한다.
전체적으로 조립이 완료되면 상부 지지구(40)에 일정 하중이 얹혀지게 되고, 그로인해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에 압축하중이 얹혀지게 되므로 하중이 얹혀진 상태에서 외주연 단부의 앵커볼트(53)에 체결된 너트(54)를 보다 더 조여 상부 지지구(40)의 승강 유동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조립에 의해서 설치 작업을 할 수가 있어 별도의 설치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기존의 설치 구조물에도 저렴하게 적용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지진 발생 시 콘크리트 기초(80)와는 하부 고정구(50)만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을 뿐 하부 고정구(50)는 태양광전지판(10)을 결합한 프레임(20)과 기둥(30)을 결합한 상부 지지구(40)와 단순히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과 제2 코일형 완충 스프링(7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있어 지진 충격이 상부 지지구(40)로 거의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도 7에서와 같이 지진에 의해서 콘크리트 기초(80)와 함께 하부 고정구(50)가 횡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면 상부 지지구(40)와는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이 휘어지고, 제2 코일형 완충 스프링(70)은 흔들리는 방향으로 압축이 이루어지게 될 뿐 이들 스프링(60,70)들에 의해 지진 충격이 대폭적으로 완충되면서 상부 지지구(40)에는 지진 충격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우리나라도 지진으로부터 결코 안전하지 못한 상황에서 손쉽고 저렴하게 내진 구조가 적용되게 할 수가 있게 되므로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시설물의 안전한 유지 관리가 가능해지게 된다.
10 : 태양광전지판 20 : 프레임
30 : 기둥 40 : 상부 지지구
41 : 스프링 홈 42 : 플랜지면
43 : 볼트홀 50 : 하부 고정구
51 : 측벽 52 : 플랜지면
53 : 앵커볼트 520 : 너트
60 :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 70 : 제2 코일형 완충 스프링
80 : 콘크리트 기초

Claims (1)

  1. 상부면에 복수의 태양광전지판(10)들이 배열되는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20)의 저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기둥(30);
    상기 기둥(30)의 하단부가 상부면에 체결되며, 일정 반경에는 저면으로부터 일정 직경과 높이로서 상향 돌출되도록 하면서 일정 각도를 이격하여 스프링 홈(41)을 복수 개로서 형성하고, 외주연 하단부를 외측으로 수평 절곡시킨 플랜지면(42)으로는 수직의 볼트홀(43)이 일정 각도로 복수 개가 형성되도록 하는 캡형상의 상부 지지구(40);
    지면에 매설한 콘크리트 기초(80)에 외주연 하단부의 플랜지면(52)이 앵커볼트(53)에 축지지되어 너트(5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앵커볼트(53)는 상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구(40)의 볼트홀(43)을 관통하여 볼트체결에 의해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 지지구(40)의 내경보다 일정 폭만큼 작은 직경으로 측벽(51)을 형성하는 팬형상의 하부 고정구(50);
    상기 하부 고정구(50)의 상기 상부 지지구(40)에 형성한 스프링 홈(41)과 동일 수직선상의 바닥면에 하단부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면서 상부는 상기 상부 지지구(40)의 스프링 홈(41)에 삽입되는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
    상기 하부 고정구(50)의 측벽 외주면에서 상기 제1 코일형 완충 스프링(60)과 어긋난 각도에 수평 방향으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마주보는 상기 상부 지지구(40)의 내주면을 향해 탄설되는 제2 코일형 완충 스프링(7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용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0120136519A 2012-11-28 2012-11-28 태양광 발전용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259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519A KR101259165B1 (ko) 2012-11-28 2012-11-28 태양광 발전용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519A KR101259165B1 (ko) 2012-11-28 2012-11-28 태양광 발전용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165B1 true KR101259165B1 (ko) 2013-04-30

Family

ID=4844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519A KR101259165B1 (ko) 2012-11-28 2012-11-28 태양광 발전용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16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1090A (zh) * 2014-01-13 2014-04-16 于彦坚 光伏发电系统
KR101725677B1 (ko) * 2015-11-16 2017-04-26 정희봉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34139B1 (ko) 2016-10-27 2017-05-11 김남훈 충격방지용 스프링 플레이트
KR101753089B1 (ko) * 2015-12-11 2017-07-11 금원전기솔라텍(주) 태양광발전장치
KR101771553B1 (ko) * 2015-12-29 2017-08-29 주식회사 에너솔라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76072B1 (ko) * 2017-02-17 2017-09-07 김남훈 내진과 내풍 방지용 지지대 플레이트
KR101838248B1 (ko) * 2017-05-22 2018-03-13 김태진 내진형 태양광 모듈 어레이
CN108226994A (zh) * 2018-01-05 2018-06-29 成都点点通科技有限公司 复杂山地地震预测系统
CN108711745A (zh) * 2018-08-06 2018-10-26 人民电器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带有防护装置的固定式高压出线柜
CN109067312A (zh) * 2018-09-07 2018-12-21 安徽普生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太阳能板光伏储能系统的电力输送基座
KR101971726B1 (ko) * 2018-05-30 2019-04-24 김태진 외력에 의한 난간 파손 방지용 보강부 구비형 옥상 설치 태양광 모듈 어레이 설치 시스템
KR102138303B1 (ko) 2020-02-19 2020-07-27 안광수 태양광 패널 지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5765A (ja) 1997-08-22 1999-05-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追尾型太陽光発電装置及び太陽光追尾装置
KR20120004314A (ko) * 2010-07-06 2012-01-12 에코쏠라(주) 태양광 발전설비의 내진장치
KR20120029293A (ko) * 2010-09-16 2012-03-26 에코쏠라(주) 내진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5765A (ja) 1997-08-22 1999-05-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追尾型太陽光発電装置及び太陽光追尾装置
KR20120004314A (ko) * 2010-07-06 2012-01-12 에코쏠라(주) 태양광 발전설비의 내진장치
KR20120029293A (ko) * 2010-09-16 2012-03-26 에코쏠라(주) 내진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1090A (zh) * 2014-01-13 2014-04-16 于彦坚 光伏发电系统
KR101725677B1 (ko) * 2015-11-16 2017-04-26 정희봉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53089B1 (ko) * 2015-12-11 2017-07-11 금원전기솔라텍(주) 태양광발전장치
KR101771553B1 (ko) * 2015-12-29 2017-08-29 주식회사 에너솔라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34139B1 (ko) 2016-10-27 2017-05-11 김남훈 충격방지용 스프링 플레이트
KR101776072B1 (ko) * 2017-02-17 2017-09-07 김남훈 내진과 내풍 방지용 지지대 플레이트
KR101838248B1 (ko) * 2017-05-22 2018-03-13 김태진 내진형 태양광 모듈 어레이
CN108226994A (zh) * 2018-01-05 2018-06-29 成都点点通科技有限公司 复杂山地地震预测系统
KR101971726B1 (ko) * 2018-05-30 2019-04-24 김태진 외력에 의한 난간 파손 방지용 보강부 구비형 옥상 설치 태양광 모듈 어레이 설치 시스템
CN108711745A (zh) * 2018-08-06 2018-10-26 人民电器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带有防护装置的固定式高压出线柜
CN109067312A (zh) * 2018-09-07 2018-12-21 安徽普生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太阳能板光伏储能系统的电力输送基座
KR102138303B1 (ko) 2020-02-19 2020-07-27 안광수 태양광 패널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165B1 (ko) 태양광 발전용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722040B1 (ko) 태양광모듈 설치용 내진장치
KR101734139B1 (ko) 충격방지용 스프링 플레이트
KR101776072B1 (ko) 내진과 내풍 방지용 지지대 플레이트
KR20120004314A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내진장치
KR101902964B1 (ko)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
KR101420981B1 (ko) 링크형 풍력발전기의 내진장치
KR101426204B1 (ko) 볼조인트를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내진장치
KR101578680B1 (ko)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
KR101348734B1 (ko) 태양광 발전 모듈용 지지 구조물
KR101771553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20120029293A (ko) 내진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009708B1 (ko) 경사굴곡 지형 설치용 태양광 어레이 시공 시스템
KR101326379B1 (ko) 풍력발전기의 내진장치
KR101730008B1 (ko) 태양광 모듈 설치 프레임 구조
KR101753641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602207B1 (ko) 태양광 발전장치
US20110067747A1 (en) Photovoltaic device and power module
KR102354602B1 (ko) 다방향 내진 기능을 갖는 내진 유닛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KR20190111599A (ko) 단위 구조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 설비
KR102138303B1 (ko) 태양광 패널 지지 장치
KR102115993B1 (ko) 풍력저감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353950B1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내진 구조물
KR101405534B1 (ko) 태양전지 모듈 지지 구조물
KR101716662B1 (ko) 프레임리스 태양광 모듈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