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337B1 -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및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및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337B1
KR102479337B1 KR1020180001383A KR20180001383A KR102479337B1 KR 102479337 B1 KR102479337 B1 KR 102479337B1 KR 1020180001383 A KR1020180001383 A KR 1020180001383A KR 20180001383 A KR20180001383 A KR 20180001383A KR 102479337 B1 KR102479337 B1 KR 102479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virtual
information
vehicl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568A (ko
Inventor
송찬호
김영덕
김희강
손국진
손진환
정성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01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3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33Traffic data processing for classifying traffic si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Abstract

본 출원은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및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은, 도로 상의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된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공간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현장에 대응하는 가상 도로를 생성하는 가상도로 생성단계; 및 상기 가상 도로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차량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 도로 내에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관심영역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및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 {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reality inform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본 출원은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및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교통사고 발생시 탐색 및 구조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가상 도로를 생성할 수 있는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및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증가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 빈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다. 교통사고 등의 응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신고자의 제보를 받은 구급요원이 현장에 도착하여 상황을 수습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현재는 무선 또는 유선의 음성대화를 통한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에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현장 상황의 종류나 규모, 심각성 등에 대하여 구술로만 전달하게 되므로 정보의 취득과 전달에 많은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불충분한 정보를 토대로 한 현장 출동은 현장상황 통제 등에 있어서 여러가지 시행착오를 낳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응급상황을 보다 신속히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의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습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287190호(2013.07.17)
본 출원은, 교통사고 발생시 탐색 및 구조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가상 도로를 생성할 수 있는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및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은, 도로 상의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된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공간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현장에 대응하는 가상 도로를 생성하는 가상도로 생성단계; 및 상기 가상 도로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차량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 도로 내에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관심영역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또는 상기 교통사고현장 내에 전파를 송신한 후 반사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3차원 거리정보를 생성하는 레이더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도로의 위치 또는 종류에 대한 도로정보 및 상기 사고현장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차량들이 위치 또는 종류에 대한 차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도로 생성단계는, 상기 도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도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 도로 이미지 상에 각각의 차량들을 표시하여, 상기 가상 도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도로 생성단계는, 기 설정된 미터-픽셀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도로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은, 상기 관심영역을 각각의 차량에 대한 탐색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각각의 탐색영역을 소방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탐색정보재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는, 도로 상의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도로 상에 발생한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공간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센서;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현장에 대응하는 가상 도로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 도로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차량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 도로 내에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및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에 의하면, 교통사고가 발생한 도로에 대응하는 가상 도로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자 탐색 및 구조활동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및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에 의하면, 교통사고 발생시 각각의 차량별로 탐색영역을 설정하여 중복 탐색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도로의 생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도로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100)는 측정센서(110) 및 연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공간 정보 생성장치를 설명한다.
측정센서(110)는 도로(1) 상의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로(1) 상에 발생한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공간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로(1)는 고속도로, 국도, 터널, 교량 등 차량이 다니는 시설이면 어떠한 것도 포함될 수 있으며, 측정센서(110)는 도로변이나 도로 상의 아치 형상의 구조물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측정센서(110)는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곳이면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도로(1) 상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측정센서(110)를 상하, 좌우로 이동하거나 회전시켜, 측정센서(110)의 측정영역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로(1) 상에 교통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측정센서(110)의 측정영역을 변경하여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공간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측정센서(110)는 터널이나 교량과 같이 사고발생시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이나, 급커브 구간과 같이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측정센서(110)는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공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적용가능하며, 공간정보는 교통사고가 발생한 도로(1)와, 도로(1) 상에 위치하는 각각의 차량(c1, c2, c3)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간정보에는 도로정보와 차량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로정보는 교통사고가 발생한 도로(1)에 대한 정보로, 도로(1)의 위치나 종류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측정센서(110)가 설치된 위치가 터널, 교량, 일반도로, 고속도로, 급커브구간, 사고다발구간 등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거나, 편도 2차선, 왕복 6차선 등 도로(1)에 포함되는 차선의 개수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측정센서(110)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나, 3번 국도의 A 교차로, 경부고속도로 B 휴게소 상행방향 3km 지점 등 측정센서(110)의 설치시 설정한 측정센서(110)의 위치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정보는 교통사고현장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차량들의 위치 또는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고현장 내에 위치하는 차량이 승용차, 승합차, 버스, 화물차, 탱크로리 등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차량들이 왕복 6차선의 도로 중에서 어느 차선에 위치하는지, 1차선에 위치하는 차량들 사이의 거리는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위치는 각각의 차량들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특정하거나, 특정 기준점으로부터 각각의 차량들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특정할 수 있다.
측정센서(110)에는 카메라 또는 레이더 장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의 경우, 촬영영상 내에 도로(1)와 차량(c1, c2, c3)의 형상, 종류, 위치 등의 정보가 포함되므로, 촬영영상은 공간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촬영영상에 포함된 각각의 도로정보 및 차량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하여 촬영영상으로부터 도로와 차량을 구별할 수 있으며, 도로의 형상으로부터 교량, 터널, 일반도로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형상으로부터 차량의 종류를 구별하고 차량의 크기나 각각의 차량들 사이의 거리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프로세싱 등은 연산부(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레이더 장비는 측정영역 내에 전파를 송신한 후 반사된 전파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도로 및 차량의 위치나 형상 등에 대한 공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레이더 장비의 경우, 반사된 전파를 수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등의 방식을 활용하므로, 측정영역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객체들까지의 3차원 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객체들의 입체적 형상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객체들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레이더 장비가 적외선 등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야간이나 화재로 인한 연기에 의하여 시야가 방해받는 경우 등에도 정확한 공간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측정센서(110)에서 측정한 공간정보는 연산부(12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때 측정센서(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동축케이블 또는 광케이블을 이용하는 유선통신망이나, Wi-Fi 등의 무선랜을 활용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NFC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WCDMA, LTE 등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망을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로(1)에 설치된 복수의 측정센서(110)들을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산부(120)는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사고현장에 대응하는 가상 도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연산부(120)는 실제 사고현장을 가상공간 상에 가상 도로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가상 도로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 등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하여 가상 도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도2(a)의 도로(1)를 측정센서(110)로 촬영하여 공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연산부(120)는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도2(b)와 같이 실제 도로에 대응하는 가상도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c1, c2, c3)은 삼각형으로 단순화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차량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삼각형의 형상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화물차와 같이 차량의 길이가 긴 차량은 삼각형의 형상을 길게 표시할 수 있으며, 삼각형의 뾰족한 부분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차량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가상도로 상에 차량들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2(b)와 같이 특정의 기준지점을 설정하고, 기준지점으로부터 거리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도로를 통하여 각각의 차량들의 위치와 차량의 크기 등을 명확하게 구별하고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산부(120)는 수신한 공간정보 중에서 도로정보를 이용하여, 도로(1)에 대응하는 가상 도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로정보에 해당하는 도로(1)가 터널인 경우에는 가상 도로 이미지를 터널 형상으로 표시하고, 도로정보에 표시된 도로(1)가 왕복 3차선인 경우에는 가상 도로 이미지를 왕복 3차선에 대응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연산부(120)는 공간정보에 포함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도로 이미지 상에 각각의 차량들을 삼각형으로 표시하여 가상 도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차량정보에 나타난 각각의 차량들의 종류와 차량의 크기, 차량의 위치에 따라, 가상 도로 이미지 상에 삼각형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연산부(120)는 기 설정된 미터-픽셀(meter-pixel) 비율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가상도로는 실제 도로를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표시한 것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가상도로를 보다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실제 1m에 해당하는 거리를 가상도로 상에서는 100픽셀로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상 도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연산부(120)는 가상도로를 구분하여, 각각의 관심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2(b)와 같이, 각각의 차량별로 관심영역 A, B, C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영역은 차량의 크기와 차량의 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즉, 관심영역의 범위와 위치는 차량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각의 차량별로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산부(120)가 관심영역을 각각의 차량에 대한 탐색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탐색영역을 교통사고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탐색영역 등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해당 교통사고현장으로 출동하는 소방관, 경찰관 등은 교통사고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각자의 탐색영역을 확인하고, 현장에 도착하는 즉시 구조활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중복탐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구조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탐색영역 설정시 각각의 탐색영역에 대한 위험도 등을 더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화학물질 등을 운반하는 탱크로리 등의 차량은 고위험 군에 속하므로 탱크로리가 포함되는 탐색영역에 대하여는 주의 표시를 추가하여 교통사고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소방관 등에게 미리 경고하고 그에 대한 대비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탐색영역 설정시 각각의 탐색영역에 내 차량의 전복이나 화재 발생 여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화재진압이나 구조활동 등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교통사고관리시스템을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나 차량의 전복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장비나 인력을 준비하여 출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차량의 전복여부나 화재 발생 여부는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한편, 교통사고관리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가능한 시스템으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소방관제시스템 등 소방방재청이 운영하는 시스템이거나 그 하위 시스템일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은 측정단계(S10), 가상도로 생성단계(S20), 관심영역설정단계(S30), 탐색정보제공단계(S40) 및 탐색정보제공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단계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을 설명한다.
측정단계(S10)에서는, 도로 상의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된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공간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센서에는 카메라 또는 레이더 장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공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적용가능하다. 공간정보에는 교통사고가 발생한 도로의 위치나 종류 등에 대한 도로정보와, 교통사고현장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차량들의 위치 또는 종류에 대한 차량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의 경우, 촬영영상 내에 도로와 차량의 형상, 종류, 위치 등의 정보가 포함되므로, 촬영영상이 공간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촬영영상에 포함된 각각의 도로정보 및 차량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레이더 장비는 측정영역 내에 전파를 송신한 후 반사된 전파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도로 및 차량의 위치나 형상 등에 대한 공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레이더 장비의 경우, 각각의 객체들의 입체적 형상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객체들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상도로 생성단계(S20)에서는,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사고현장에 대응하는 가상 도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실제 사고현장을 가상공간 상에 가상 도로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가상 도로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 등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도로를 통하여 각각의 차량들의 위치와 차량의 크기 등을 명확하게 구별하고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한 공간정보 중에서 도로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에 대응하는 가상 도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로정보에 해당하는 도로(1)가 터널인 경우에는 가상 도로 이미지를 터널 형상으로 표시하고, 도로정보에 표시된 도로(1)가 왕복 3차선인 경우에는 가상 도로 이미지를 왕복 3차선에 대응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후, 공간정보에 포함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도로 이미지 상에 각각의 차량들을 삼각형 등으로 표시하여 가상 도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차량정보에 나타난 각각의 차량들의 종류와 차량의 크기, 차량의 위치에 따라, 가상 도로 이미지 상에 삼각형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미터-픽셀(meter-pixel) 비율을 이용하여 가상 도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가상도로는 실제 도로를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표시한 것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가상도로를 보다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관심영역설정단계(30)에서는, 가상 도로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차량을 기준으로, 가상 도로 내에 관심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영역은 차량의 크기와 차량의 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즉, 관심영역의 범위와 위치는 차량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각의 차량별로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탐색정보제공단계(S40)에서는, 관심영역을 각각의 차량에 대한 탐삭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탐색영역을 교통사고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탐색영역 등이 미리 설정되므로, 해당 교통사고현장으로 출동하는 소방관, 경찰관 등은 교통사고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각자의 탐색영역을 확인하고, 현장에 도착하는 즉시 구조활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탐색영역에 의하여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중복탐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구조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탐색영역 설정시 각각의 탐색영역에 대한 위험도 등을 표시하거나, 탐색영역 내 차량의 전복이나 화재 발생 여부 등을 추가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110: 측정센서
120: 연산부
S10: 측정단계 S20: 가상도로 생성단계
S30: 관심영역설정단계 S40: 탐색정보제공단계

Claims (7)

  1. 도로 상의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공간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현장에 대응하는 가상 도로를 생성하는 가상도로 생성단계;
    상기 가상 도로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차량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 도로 내에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관심영역설정단계; 및
    상기 관심영역을 각각의 차량에 대한 탐색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각각의 탐색영역을 교통사고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탐색정보제공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측정센서는, 상기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및 교통사고현장 내에 전파를 송신한 후 반사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3차원 거리정보를 생성하는 레이더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영상 및 상기 3차원 거리정보로부터 차량의 위치, 입체적 형상 및 차량간의 거리를 포함하는 상기 공간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탐색영역은 위험도, 차량 전복 여부 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포함하는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도로의 위치 또는 종류에 대한 도로정보 및 상기 사고현장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차량들이 위치 또는 종류에 대한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도로 생성단계는
    상기 도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도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 도로 이미지 상에 각각의 차량들을 표시하여, 상기 가상 도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도로 생성단계는
    기 설정된 미터-픽셀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도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
  6. 삭제
  7. 도로 상의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도로 상에 발생한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공간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센서;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현장에 대응하는 가상 도로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 도로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차량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 도로 내에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교통사고현장에 대한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및 교통사고현장 내에 전파를 송신한 후 반사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3차원 거리정보를 생성하는 레이더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촬영영상 및 상기 3차원 거리정보로부터 차량의 위치, 입체적 형상 및 차량간의 거리를 포함하는 상기 공간정보를 측정하고, 및
    상기 연산부는, 상기 관심영역을 각각의 차량에 대한 탐색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상기 탐색영역은 위험도, 차량 전복 여부 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포함시켜 각각의 탐색영역을 교통사고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KR1020180001383A 2018-01-04 2018-01-04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및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 KR102479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83A KR102479337B1 (ko) 2018-01-04 2018-01-04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및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83A KR102479337B1 (ko) 2018-01-04 2018-01-04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및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568A KR20190083568A (ko) 2019-07-12
KR102479337B1 true KR102479337B1 (ko) 2022-12-19

Family

ID=6725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383A KR102479337B1 (ko) 2018-01-04 2018-01-04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및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3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544A (ja) * 2002-09-06 2004-04-02 Sumitomo Electric Ind Ltd 交通状況表示方法及び交通状況表示装置
KR100987177B1 (ko) 2009-06-03 2010-10-11 메타빌드주식회사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관제 방법 및 그 장치
KR101287190B1 (ko) * 2012-06-04 2013-07-17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영상감시장치의 촬영 위치 자동 추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591A (ko) * 2011-04-07 2012-10-1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가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KR20170033985A (ko) * 2015-09-18 2017-03-28 박중제 고속도로 2차 사고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544A (ja) * 2002-09-06 2004-04-02 Sumitomo Electric Ind Ltd 交通状況表示方法及び交通状況表示装置
KR100987177B1 (ko) 2009-06-03 2010-10-11 메타빌드주식회사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관제 방법 및 그 장치
KR101287190B1 (ko) * 2012-06-04 2013-07-17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영상감시장치의 촬영 위치 자동 추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568A (ko) 201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43569B (zh) 自动驾驶辅助系统
US115082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certaining particular pieces of status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geographical position with the aid of autonomous or semi-autonomous vehicles
CN104192174B (zh) 列车预警系统和列车预警方法
JP6290009B2 (ja) 障害物情報管理装置
CN112712244A (zh) 公路施工预警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介质
CN103927904A (zh) 利用智能手机的行人防碰撞预警系统及其预警方法
KR101661163B1 (ko) 영상 분석을 통한 운전자 안전 운전 보조와 지도 db의 실시간 갱신을 처리하기 위한 안전 운전 시스템
DE102016117365A1 (de) Fahrtenprotokoll-parkbegrenzerwarnung
CN105469617A (zh) 一种行车安全辅助方法和装置
KR102075832B1 (ko) 고속도로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전방 차량사고 네비게이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913677A (zh) 一种公路交通灾害导航系统
CN109035837B (zh) 一种基于无人机的智能交通系统测试方法
Thielen et al. A feasibility study on a cooperative safety application for cyclists crossing intersections
DE102013009543A1 (de) Geisterfahrererkennung
KR102479337B1 (ko) 가상공간정보 생성장치 및 가상공간정보 생성방법
US11900803B2 (en) Road-side detection and alert system and method
Ruß et al. V2X-based cooperative protection system for vulnerable road users and its impact on traffic
KR20180057280A (ko) 공사정보 수집 기능이 포함된 도로정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CN108986484B (zh) 一种基于无人机的智能交通控制系统
CN110942603B (zh) 车辆碰撞报警方法、装置、车辆和服务器
Chen et al. Demo abstract: A video-based metropolitan positioning system with centimeter-grade localization for VANETs
US11893658B2 (en) Augmented vehicle testing environment
WO2023047888A1 (ja) 危険情報通知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危険情報通知方法
Murata et al. “Cyber Parallel Traffic World” Cloud Service in 5G Mobile Networks
CN106056947A (zh) 一种路况警示系统及路况警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