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160B1 -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160B1
KR102479160B1 KR1020200170217A KR20200170217A KR102479160B1 KR 102479160 B1 KR102479160 B1 KR 102479160B1 KR 1020200170217 A KR1020200170217 A KR 1020200170217A KR 20200170217 A KR20200170217 A KR 20200170217A KR 102479160 B1 KR102479160 B1 KR 102479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rifice
damper
magnetic core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0927A (ko
Inventor
이준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to KR102020017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1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1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in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16F9/535Magnetorheological [MR]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16F2224/045Fluids magnetorheolog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MR 유체가 충진되는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단부가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로드(10); 피스톤로드(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전기적 제어에 의해 자기장을 생성하는 마그네틱코어(20); 피스톤로드(10)가 관통하게 마그네틱코어(20)의 상부에 분해 조립 가능케 결합되고, MR 유체가 통과하는 상부오리피스(304)가 형성된 상부플레이트(30); 마그네틱코어(20)의 저면에 분해 조립 가능케 결합되고 MR 유체가 통과하는 하부오리피스(402)가 형성된 하부플레이트(40); 마그네틱코어(20)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부플레이트(30)와 하부플레이트(40) 간에 설치되는 플럭스링(5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피스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플럭스링(50)에 분해 조립 가능케 구성함으로써 플레이트를 이용한 오리피스의 면적 변화를 통해 MR 유체의 유동성을 조절하여 MR 댐퍼의 감쇠력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Piston assembly for MR damper}
본 발명은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리피스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플럭스링에 분해 조립 가능케 구성함으로써 플레이트를 이용한 오리피스의 면적 변화를 통해 MR 유체의 유동성을 조절하여 MR 댐퍼의 감쇠력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현가장치는 자동차의 구조장치로서 노면의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이다.
특히 차량에 사용되는 현가장치는 차량의 주행성능과 승차감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차량의 상품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자동차 제조사뿐만 아니라 자동차 부품 제조사에서는 차량의 주행성능과 승차감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한 현가장치의 개발에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반적인 현가장치는, 차량의 높이를 유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노면에서 받는 진동을 흡수해 승차감을 향상시키면서 스프링의 피로도를 줄이고 스프링이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하는 쇼크 업소버(또는 ‘댐퍼’라 함), 차체와 바퀴 간에 연결되어 바퀴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서스펜션 암이 주요 구성요소이며, 이러한 주요 구성요소의 특징에 따라 맥퍼슨 스트럿, 더블 위시본, 멀티 링크, 토션빔 등 다양한 방식의 현가장치가 개발되었으며, 가장 근래에는 전자제어식 현가장치가 개발되었다.
전자제어식 현가장치는 적재중량, 노면상황, 주행속도 등 여러 가지의 주행 상태에 대응하여,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하여 스프링 상수나 감쇠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장치로서, 차량의 주행성능과 승차감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게 되어 주로 고급 차량에 적용되다가 근래에는 고급 차량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전자제어식 현가장치 중에서, 댐퍼에 전류를 인가하여 유도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자기 유동성(MR: Magneto Rheological) 유체의 겉보기 점도를 순간적으로 변화시켜 댐퍼의 감쇠 성능을 조절하는 MR 댐퍼가 있다.
즉, MR 댐퍼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전자기장을 발생시켜 MR 유체의 점성 변화를 통해 감쇠력(댐핑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MR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로드와,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피스톤과,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자기장 발생부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피스톤은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고 코일이 권취되는 마그네틱코어와, 마그네틱코어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어 메인유로를 형성하는 플럭스링과, 플럭스링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바이패스 유로와 연통되도록 오리피스가 형성된 커버로 구성된다.
한편, MR 댐퍼의 제조 시 적용되는 차종에 따라 감쇠력을 다르게 제조하고자 할 때는, MR 유체의 물성(밀도와 점도-자성 파우더 입자량)이나 마그네틱코어를 변경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설계 변경에 따른 유동 특성의 변화가 커지기 때문에 그에 따른 오랜 테스트가 필요하여 즉각적인 적용과 생산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MR 유체의 누설로 인한 감쇠력 저하 등 MR 댐퍼의 고장 시, 부분 수리가 어려워 새 제품으로 교환해야 함으로써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큰 단점도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46785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리피스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플럭스링에 분해 조립 가능케 한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으로 오리피스의 면적 조절이 가능케 한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는,
MR 유체가 충진되는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단부가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로드(10);
상기 피스톤로드(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전기적 제어에 의해 자기장을 생성하는 마그네틱코어(20);
상기 피스톤로드(10)가 관통하게 마그네틱코어(20)의 상부에 분해 조립 가능케 결합되고, MR 유체가 통과하는 상부오리피스(304)가 형성된 상부플레이트(30);
상기 마그네틱코어(20)의 저면에 분해 조립 가능케 결합되고 MR 유체가 통과하는 하부오리피스(402)가 형성된 하부플레이트(40);
상기 마그네틱코어(20)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부플레이트(30)와 하부플레이트(40) 간에 설치되는 플럭스링(50); 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마그네틱코어(20)는,
보빈 형상으로 된 마그네틱코어(20)의 보디 둘레에 코일이 권선된 권선부(201);
마그네틱코어(2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어 피스톤로드(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01)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02);
마그네틱코어(20)의 저면에 다수가 형성되어 하부플레이트(40)를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볼트(401a)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2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0)는,
피스톤로드(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01)가 관통하게 상부플레이트(30)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중심공(301);
상부플레이트(30)의 중심부 상면에 형성되어, 그 내부에 제1기밀부재(302a)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302);
상부플레이트(30)의 중심부 저면에 형성되어, 그 내부에 제2기밀부재(303a)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303);
상부플레이트(3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의 호형 장공으로 형성되어 제1중심공(301)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상부오리피스(3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플레이트(40)는,
하부플레이트(4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으로 형성되어 마그네틱코어(20)에 하부플레이트(40)를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볼트(401a)가 투입되는 결합공(401);
하부플레이트(4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의 호형 장공으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된 하부오리피스(4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플럭스링(50)은,
플럭스링(50)의 상측 개구부에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30)가 삽입 설치되는 상부홈(501);
플럭스링(50)의 하측 개구부에 형성되어 하부플레이트(40)가 삽입 설치되는 하부홈(502);
플럭스링(5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제3기밀부재(503a)가 삽입되는 제3결합홈(5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0)의 하부에는 피스톤로드(10)에 고정되는 제1조절플레이트(305); 가 더 구비되어 상부플레이트(30)의 회전에 의해 상부오리피스(304)의 면적을 조절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조절플레이트(305)는,
제1조절플레이트(305)의 중심부에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피스톤로드(1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결합부(102)가 결합되는 제2중심공(305a);
제1조절플레이트(305)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의 호형 장공으로 형성되되, 제2중심공(305a)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30)에 형성된 상부오리피스(304)와 연통되는 제1오리피스(305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오리피스(305b)는 상부오리피스(30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플레이트(40)의 하부에는 회전 가능한 제2조절플레이트(403); 가 더 구비되어 제2조절플레이트(403)의 회전에 의해 하부오리피스(402)의 면적을 조절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조절플레이트(403)는,
제2조절플레이트(403)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제2조절플레이트(403)를 하부플레이트(40)의 하부에 결합하는 제2결합볼트(403b)가 투입되는 제3중심공(403a);
제2조절플레이트(403)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의 호형 장공으로 형성되어 제3중심공(403a)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2오리피스(403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오리피스(403c)의 단면 형상은, 하부오리피스(40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피스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플럭스링(50)에 분해 조립 가능케 구성함으로써 플레이트의 교체를 통한 오리피스의 면적 변화를 통해 MR 유체의 유동성을 조절하여 MR 댐퍼의 감쇠력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MR 댐퍼의 제조 및 오버홀이나 튜닝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차종에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절플레이트를 이용해 오리피스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플레이트의 교체 없이도 MR 댐퍼의 감쇠력을 수동으로 다양한 단계로 조절 가능케 됨으로써 운전자의 요구에 따른 차량의 주행성능과 승차감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린더 손상, MR 유체 누설 등 MR 댐퍼의 고장이 발생 시 부분 수리가 가능케 됨으로써 MR 댐퍼의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는, 오리피스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플럭스링(50)에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피스톤로드(10), 마그네틱코어(20), 상부플레이트(30), 하부플레이트(40), 플럭스링(50)을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로드(10)는 봉체로 되어 MR 유체가 충진되는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단부가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마그네틱코어(20)는 피스톤로드(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전기적 제어에 의해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권선부(201), 암나사부(202), 체결공(203)을 포함한다.
상기 권선부(201)는 보빈 형상으로 된 마그네틱코어(20)의 보디 둘레에 코일이 권선되어 형성되며, 상기 코일의 말단은 마그네틱코어(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는 피스톤로드(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통과하는 리드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그네틱코어(20)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암나사부(202)는 마그네틱코어(2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어 피스톤로드(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01)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체결공(203)은 마그네틱코어(20)의 저면에 다수가 형성되어 하부플레이트(40)를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볼트(401a)가 나사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마그네틱코어(20)는 전원 및 제어 신호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MR 유체의 점성을 조절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0)는, 비자성체로 되어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제1중심공(301), 제1결합홈(302), 제2결합홈(303), 상부오리피스(30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중심공(301)은 상부플레이트(3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그 제1중심공(301)으로 피스톤로드(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01)가 관통한다.
상기 제1결합홈(302)은 상부플레이트(30)의 중심부 상면에 형성되어, 그 내부에 제1기밀부재(302a)가 삽입된다.
이때, 제1기밀부재(302a)는 통상의 오링, 테프론링, 와셔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MR 유체의 누유가 방지된다.
상기 제2결합홈(303)은 상부플레이트(30)의 중심부 저면에 형성되어, 그 내부에 제2기밀부재(303a)가 삽입된다.
이때, 제2기밀부재(303a)는 통상의 오링, 테프론링, 와셔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MR 유체의 누유가 방지된다.
상기 상부오리피스(304)는 상부플레이트(3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의 호형 장공으로 형성되어 제1중심공(301)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부오리피스(304)의 직경이 작아지면, 실린더 내부에 충진되어 상부오리피스(304)를 통과하는 MR 유체의 흐름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감쇠력도 증가하게 된다.
반면, 상부오리피스(304)의 직경이 커지면, 실린더 내부에 충진되어 상부오리피스(304)를 통과하는 MR 유체의 흐름 저항이 감소함에 따라 감쇠력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오리피스(304)의 직경이 다른 상부플레이트(30)의 교환을 통해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40)는 비자성체로 되어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결합공(401), 하부오리피스(402)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공(401)은 하부플레이트(4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으로 형성되어 마그네틱코어(20)에 하부플레이트(40)를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볼트(401a)가 투입된다.
상기 하부오리피스(402)는 하부플레이트(4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의 호형 장공으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하부오리피스(402)의 직경이 작아지면, 실린더 내부에 충진되어 하부오리피스(402)를 통과하는 MR 유체의 흐름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감쇠력도 증가하게 된다.
반면, 하부오리피스(402)의 직경이 커지면, 실린더 내부에 충진되어 하부오리피스(402)를 통과하는 MR 유체의 흐름 저항이 감소함에 따라 감쇠력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오리피스(402)의 직경이 다른 하부플레이트(40)의 교환을 통해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럭스링(50)은 마그네틱코어(20)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비자성체로 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부홈(501), 하부홈(502), 제3결합홈(503)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홈(501)은 플럭스링(50)의 상측 개구부에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3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하부홈(502)은 플럭스링(50)의 하측 개구부에 형성되어 하부플레이트(40)가 삽입 설치된다.
즉, 플럭스링(50)의 상부홈(501)에는 피스톤로드(10)가 관통하게 마그네틱코어(2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플레이트(30)의 하단부가 삽입 설치되고, 하부홈(502)에는 마그네틱코어(20)의 저면에 결합된 하부플레이트(40)의 상단부가 삽입 설치됨으로써 마그네틱코어(20)와 하부플레이트(40)의 결합력에 의해 플럭스링(50)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부플레이트(30)와 하부플레이트(40) 간에 설치되는 플럭스링(50)의 내주면은, 플럭스링(50)의 내부에 위치하는 마그네틱코어(20)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내부에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MR 댐퍼의 실린더 내부에 충진된 MR 유체가 상부플레이트(30)의 상부오리피스(304)와, 플럭스링(50) 내부의 유로와, 하부플레이트(40)의 하부오리피스(402)를 통해 이동하면서 감쇠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3결합홈(503)은, 플럭스링(5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제3기밀부재(503a)가 삽입된다.
이때, 제3기밀부재(503a)는 통상의 오링, 테프론링, 와셔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MR 유체의 누유가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는, MR 댐퍼에서 MR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게 설치됨으로써 외부 진동에 의해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실린더 내부의 MR 유체가 유로를 통과할 때, 마그네틱코어(2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유로를 통과하는 MR 유체의 점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짐에 따라 MR 댐퍼의 감쇠력을 전자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MR 댐퍼의 제조 및 유지, 보수 과정에서 상부오리피스(304) 및 하부오리피스(402)의 직경이 다른 상부플레이트(30) 및 하부플레이트(40)의 교체를 통해 MR 댐퍼의 감쇠력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종에 따라 또는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감쇠력이 조절된 MR 댐퍼의 제조 및 오버홀이나 튜닝이 용이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0)의 하부에는 피스톤로드(10)에 고정되는 제1조절플레이트(305)가 더 구비되어 상부플레이트(30)의 회전에 의해 상부오리피스(304)의 면적을 조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플레이트(305)는 비자성체로 되어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제2중심공(305a), 제1오리피스(305b)를 포함한다.
상기 제2중심공(305a)은 제1조절플레이트(305)의 중심부에 다각형 또는 톱니형으로 형성되어 그 제2중심공(305a)으로 피스톤로드(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01)가 관통한다.
이때, 피스톤로드(10)의 하부에는 제2중심공(305a)의 형상과 대응되는 고정결합부(10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피스톤로드(10)에 결합된 제1조절플레이트(305)는 공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제1오리피스(305b)는 제1조절플레이트(305)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의 호형 장공으로 형성되어 제2중심공(305a)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오리피스(305b)의 단면 형상은, 상부플레이트(30)에 형성된 상부오리피스(304)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상부플레이트(30)는 피스톤로드(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케 되고, 상부플레이트(30)의 하부에 구비된 제1조절플레이트(305)는 피스톤로드(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됨으로써 상부플레이트(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플레이트(30)에 형성된 상부오리피스(304)와 제1조절플레이트(305)에 형성된 제1오리피스(305b)가 연통되는 공간의 면적이 조절됨으로써 상부오리피스(304)와 제1오리피스(305b)를 통과하는 MR 유체의 흐름 저항을 수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MR 댐퍼의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플레이트(40)의 하부에는 회전 가능한 제2조절플레이트(403)가 더 구비되어 제2조절플레이트(403)의 회전에 의해 하부오리피스(402)의 면적을 조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플레이트(403)는 비자성체로 되어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제3중심공(403a), 제2오리피스(403c)를 포함한다.
상기 제3중심공(403a)은 제2조절플레이트(403)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제2조절플레이트(403)를 하부플레이트(40)의 하부에 결합하는 제2결합볼트(403b)가 투입된다.
이때, 하부플레이트(40)의 중심부에는 제2결합볼트(403b)가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부(202)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제2결합볼트(403b)를 풀면 체결력이 약해지면서 제2결합볼트(403b)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2조절플레이트(403)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제2결합볼트(403b)를 조이면 체결력이 강해지면서 제2조절플레이트(403)의 회전이 억제된다.
상기 제2오리피스(403c)는 제2조절플레이트(403)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의 호형 장공으로 형성되어 제3중심공(403a)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오리피스(403c)의 단면 형상은, 하부오리피스(402)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제2조절플레이트(403)를 회전시킴에 따라 하부플레이이트에 형성된 하부오리피스(402)와, 제2조절플레이트(403)에 형성된 제2오리피스(403c)가 연통되는 공간의 면적이 조절됨으로써 하부오리피스(402)와 제2오리피스(403c)를 통과하는 MR 유체의 흐름 저항을 수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MR 댐퍼의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일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S: 실린더 10: 피스톤로드
101: 수나사부 102: 고정결합부
20: 마그네틱코어 201: 권선부
202: 암나사부 203: 체결공
30: 상부플레이트 301: 제1중심공
302: 제1결합홈 302a: 제1기밀부재
303: 제2결합홈 303a: 제2기밀부재
304: 상부오리피스 305: 제1조절플레이트
305a: 제2중심공 305b: 제1오리피스
40: 하부플레이트 401: 결합공
401a: 제1결합볼트 402: 하부오리피스
403: 제2조절플레이트 403a: 제3중심공
403b: 제2결합볼트 403c: 제2오리피스
50: 플럭스링 501: 상부홈
502: 하부홈 503: 제3결합홈
503a: 제3기밀부재

Claims (5)

  1. MR 유체가 충진되는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단부가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로드(10);
    상기 피스톤로드(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전기적 제어에 의해 자기장을 생성하는 마그네틱코어(20);
    상기 피스톤로드(10)가 관통하게 마그네틱코어(20)의 상부에 분해 조립 가능케 결합되고, MR 유체가 통과하는 상부오리피스(304)가 형성된 상부플레이트(30);
    상기 마그네틱코어(20)의 저면에 분해 조립 가능케 결합되고 MR 유체가 통과하는 하부오리피스(402)가 형성된 하부플레이트(40);
    상기 마그네틱코어(20)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부플레이트(30)와 하부플레이트(40) 간에 설치되는 플럭스링(50);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30)의 하부에는 피스톤로드(10)에 고정되는 제1조절플레이트(305); 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1조절플레이트(305)는,
    제1조절플레이트(305)의 중심부에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피스톤로드(1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결합부(102)가 결합되는 제2중심공(305a);
    제1조절플레이트(305)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의 호형 장공으로 형성되되, 제2중심공(305a)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30)에 형성된 상부오리피스(304)와 연통되는 제1오리피스(305b); 를 포함하여 상부플레이트(30)의 수동 회전 각도에 따라 상부오리피스(304)와 제1오리피스(305b)가 연통되는 단면적이 조절되면서 상부오리피스(304)와 제1오리피스(305b)가 연통되는 유로를 통과하는 MR 유체의 흐름 저항이 조절되어 MR 댐퍼의 감쇠력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40)의 하부에는 회전 가능한 제2조절플레이트(403); 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조절플레이트(403)는,
    제2조절플레이트(403)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제2조절플레이트(403)를 하부플레이트(40)의 하부에 결합하는 제2결합볼트(403b)가 투입되는 제3중심공(403a);
    제2조절플레이트(403)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의 호형 장공으로 형성되어 제3중심공(403a)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2오리피스(403c); 를 포함하여 제2조절플레이트(403)의 수동 회전 각도에 따라 하부오리피스(402)와 제2오리피스(403c)가 연통되는 단면적이 조절되면서 하부오리피스(402)와 제2오리피스(403c)가 연통되는 유로를 통과하는 MR 유체의 흐름 저항이 조절되어 MR 댐퍼의 감쇠력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0)는,
    피스톤로드(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01)가 관통하게 상부플레이트(30)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중심공(301);
    상부플레이트(30)의 중심부 상면에 형성되어, 그 내부에 제1기밀부재(302a)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302);
    상부플레이트(30)의 중심부 저면에 형성되어, 그 내부에 제2기밀부재(303a)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303);
    상부플레이트(3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의 호형 장공으로 형성되어 제1중심공(301)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상부오리피스(3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40)는,
    하부플레이트(4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으로 형성되어 마그네틱코어(20)에 하부플레이트(40)를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볼트(401a)가 투입되는 결합공(401);
    하부플레이트(4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소정 직경의 호형 장공으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된 하부오리피스(4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KR1020200170217A 2020-12-08 2020-12-08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 KR102479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217A KR102479160B1 (ko) 2020-12-08 2020-12-08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217A KR102479160B1 (ko) 2020-12-08 2020-12-08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927A KR20220080927A (ko) 2022-06-15
KR102479160B1 true KR102479160B1 (ko) 2022-12-20

Family

ID=81987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217A KR102479160B1 (ko) 2020-12-08 2020-12-08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1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3674A (ja) * 2008-03-12 2009-10-22 Honda Motor Co Ltd 可変減衰力ダンパ
CN110242696A (zh) * 2019-06-18 2019-09-17 天津大学 一种多级可控变阻尼减振器的变阻尼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168B1 (ko) * 2006-09-29 2008-05-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댐핑 보조구가 장착된 자기유동성 댐퍼
KR101846785B1 (ko) 2017-07-12 2018-04-09 주식회사 썬 프레인 코 Mr유체댐퍼용 피스톤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3674A (ja) * 2008-03-12 2009-10-22 Honda Motor Co Ltd 可変減衰力ダンパ
CN110242696A (zh) * 2019-06-18 2019-09-17 天津大学 一种多级可控变阻尼减振器的变阻尼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927A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8979B2 (en) Variable damper
CN102121509B (zh) 同时具有圆环形和圆盘形液流阻力通道的磁流变阻尼器
EP1818250B1 (de) Geregeltes aktives-passives Schwingungsabsorbtionsgerät mit Energierückgewinnung für Zweiräder
CN112283281B (zh) 一种减振器用阻尼调节阀及方法
EP2732181B1 (en) A magnetorheological fluid-based mount apparatus including rate dip track passage
US11215261B2 (en) Variable stiffness vibration damping device
US11465483B2 (en) Variable stiffness vibration damping device
CN206904139U (zh) 一种具有多路况振动控制的磁流变阻尼器
CN110486406A (zh) 液压阻尼器
US7950508B2 (en) Piston valve assembly of continuous damping control damper
US6273224B1 (en) Shock absorber mounted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damper valve
CN108331877A (zh) 基于四极磁芯与泡沫金属内衬的剪切式磁流变液阻尼器
KR102479160B1 (ko) Mr 댐퍼용 피스톤 어셈블리
JPH0262739B2 (ko)
KR100867367B1 (ko) 제어가능형 er/mr 유체 댐퍼
CN106594160A (zh) 具有宽可调范围的折叠流动式磁流变阻尼器
KR100511629B1 (ko) 자기유동성 유체를 이용한 댐퍼의 피스톤밸브장치
KR102473566B1 (ko) 필로우볼을 구비한 마그네틱 서스펜션
CN114838082B (zh) 一种基于磁流变材料的多级变阻尼变刚度减振器
KR20190049104A (ko) 항공기용 엠알유체 댐퍼를 포함하는 착륙장치
GB2287770A (en) Adjustable damper, eg for vehicles, with a piston post
KR100511627B1 (ko) 자기유동성 유체를 이용한 댐퍼의 피스톤밸브장치
KR100212798B1 (ko) 자동차용 쇽 업소우버 구조
JPH07139572A (ja) シリンダ装置
CN220890916U (zh) 汽车减震器用自锁型电磁阀、节流电磁阀组件及连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