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556B1 -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556B1
KR102478556B1 KR1020220052142A KR20220052142A KR102478556B1 KR 102478556 B1 KR102478556 B1 KR 102478556B1 KR 1020220052142 A KR1020220052142 A KR 1020220052142A KR 20220052142 A KR20220052142 A KR 20220052142A KR 102478556 B1 KR102478556 B1 KR 102478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line
triangular ruler
tri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국
Original Assignee
이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국 filed Critical 이성국
Priority to KR1020220052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556B1/ko
Priority to KR1020220155479A priority patent/KR20230152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combined with measuring of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2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027Plural non-adjustable straightedges fixed at right angles
    • B43L7/0275Tri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033Plural non-adjustable straightedges forming non-right ang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각자 및 그것을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삼각자로 프레임(200)에 절단될 지점을 표시하여 절단한 다음 절단된 지점에서 프레임(200)을 절곡할 수 있도록 하는 삼각자 및 그것을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Triangle and bending method of frame using it}
본 발명은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삼각자를 이용해 케이블 트레이에 사용되는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트레이는 일정한 길이를 이루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 사이에 널빤지나 봉을 설치하여서 형성되는 것으로, 대체로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되어서 케이블이나 배관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설치되는 지점에 따라 높낮이가 달라질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하여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트레이에서도 마찬가지인바, 벽의 형상에 맞게 트레이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을 절곡할 필요가 있게 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상기 프레임은 널빤지 형태의 판 상단과 하단이 같은 방향으로 꺾여서 단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프레임을 절곡하는 경우 절곡될 지점을 절단한 다음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꺾고 고정하는 방법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트레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기술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고 있는바, 꺾어주는 각도를 정확하게 맞추기가 쉽지 않고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1965-0000호(2008.9.24.공고)
본 발명은 프레임을 정확한 각도로 빠르게 절곡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삼각자와 그러한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의 일부를 정확히 재단하여 절단한 다음 절단된 부분을 절곡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간단한 도구만으로 프레임을 원하는 각도로 정확하고 빠르게 절곡하여 줄 수 있게 되는바, 신속하고 정확하게 프레임을 절곡할 수 있게 된다.
도 1, 2는 본 발명에 의한 삼각자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삼각자로 프레임에 경사선과 제1 구멍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삼각자로 프레임에 제2 구멍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절단하고 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절곡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삼각자로 프레임에 경사선과 제1 구멍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삼각자로 프레임에 제2 구멍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절단하고 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절곡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삼각자로 프레임에 경사선을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절단하고 절곡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을 정확한 각도로 빠르게 절곡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방법을 제안하는바,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삼각자와 그러한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의 일부를 정확히 재단하여 절단한 다음 절단된 부분을 절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는 본 발명에 의한 삼각자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삼각자(100)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이룬다. 다양한 규격으로 여러 개가 구비되어 하나의 세트를 이룰 수 있는데, 이 경우 밑변에서 꼭짓점까지의 높이는 같고 밑각의 크기가 다른 것들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밑변에서 꼭짓점까지의 높이가 달리 형성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삼각자(100)에는 표시구멍(120)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구멍(120)은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표시구멍(120)은 일 예로 삼각자(100)의 꼭지각 이등분선이 지나는 지점에 형성된다. 이때 표시구멍(120)은 삼각자 밑변에서 일정한 간격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밑변에서 꼭짓점까지의 길이 중 1/2을 넘지 않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꼭지각이 15도, 30도, 45도, 60도 인 경우 등 꼭지각이 대략 70~80도 이하로 형성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삼각자(100)에 형성되는 표시구멍은 다른 예로 밑변에서 일정한 간격 떨어지면서 꼭지각의 이등분선을 지나는 지점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좌/우측 표시구멍(120a)(120b)이 그것으로, 상기 꼭지각이 90도 이상인 경우에 적용된다.
여기서, 좌/우측 표시구멍(120a)(120b)은 삼각자(100)의 빗변을 밑변으로 하고 상기 꼭지각의 이등분선을 빗변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에서 꼭지각의 이등분선이 지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좌/우측 표시구멍(120a)(120b)은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밑변에서 꼭짓점까지의 길이 중 대략 1/2을 넘지 않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삼각자(100) 밑변에는 걸림턱(150)이 형성될 수 있다. 삼각자(100) 전면 또는 배면을 향해 꺾여서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90도 각도를 이루며 꺾이게 된다. 이러한 걸림턱(150)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삼각자(10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밑변이 되는 지점에 걸림턱(150)으로 형성될 이어지게 형성한 다음 걸림턱(150)으로 형성될 지점을 꺾어줌으로써 밑변 전체를 따라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삼각자(100)로 절곡하는 프레임(200)은 널빤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200)은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 끝단을 따라 서로 같은 방향으로 꺾여서 보강면(250)이 형성됨으로써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200)은 케이블 트레이와 같은 구조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삼각자(100)를 이용해 프레임(200)을 절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1에 삼각자(100) 만을 사용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기본적인 절곡 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삼각자(100)를 이용해 프레임(200)을 절곡하는 방법은, (S1) 널빤지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200)에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폭 방향으로 수직선(202)을 그어주는 단계, (S2) 상기 프레임(200)의 폭과 일치하는 높이를 이루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삼각자(100)를 구비하여 꼭지각 이등분선을 상기 수직선(202)에 일치시키고, 상기 삼각자(100)의 빗변을 따라 상기 프레임(200)에 경사선(204)을 그어주는 단계, (S3) 상기 경사선(204)의 상단 부분은 절단하지 않고 남긴 채로 상기 경사선(204)을 따라 상기 프레임(200)을 절단하는 단계, (S4) 상기 프레임(200)이 절단된 지점을 기준으로 일측을 타측 아래로 밀어 넣어 포개면서 상기 프레임(200)을 절곡하는 단계, (S5) 상기 상기 일측을 타측 아래로 밀어 넣음으로써 포개지게 되는 지점을 서로 결합시켜 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단계로 수행된다. 삼각자(100)를 프레임()에 대고 절단할 지점을 표시하여 절단한 다음 절단된 지점을 포개어 고정함으로써 프레임(200)을 소정의 각도로 절곡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 별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이 예는 프레임을 15도, 30도, 45도, 60도 등으로 절곡할 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삼각자로 프레임에 경사선과 제1 구멍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삼각자로 프레임에 제2 구멍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절단하고 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절곡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 단계에서는 수직선(202)은 자를 대고 그어주게 되는데,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그어주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 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삼각자(100)를 이용해 경사선(204)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삼각자(100)는 밑변에서 꼭짓점까지의 길이가 프레임(200)의 폭과 같거나 수 mm정도 작게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삼각자(100)를 수직선(202)이 그어진 지점에 대는데, 이때, 삼각자(100)의 꼭지각 이등분선이 수직선(202)에 일치되게 한다. 삼각자(100)의 밑변에 걸림턱(150)이 형성되어 있으면 걸림턱(150)을 프레임(200) 가장자리 끝단에 걸어준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시켜서 삼각자(100)의 꼭짓점을 수직선(202)에 일치시키게 되면 자연스럽게 삼각자(100)의 꼭지각 이등분선이 수직선(202)에 일치되게 된다.
상기에 따라 삼각자(100)의 꼭지각 이등분선이 수직선(202)에 일치되면 삼각자(100)의 빗변을 따라 줄을 그어 경사선(204)을 프레임(200)에 형성하게 된다. 이때 삼각자(100)의 두 빗변에 모두에 줄을 그어 경사선(204)을 두 개 형성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프레임(200)을 절곡하는 방향에 맞는 두 빗변 중 한쪽에만 그어 형성할 수 있다. 두 빗변 모두에 그어주게 되면 프레임(200)의 가장자리 끝단을 밑변으로 하고 두 개의 경사선(204)을 빗변으로 하여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이등변 삼각형이 형성되게 된다.
더불어 삼각자(100)에 형성된 표시구멍(120)을 따라 선을 그어 프레임(200)에 원을 그려주게 되는데, 이 원은 제1 구멍 위치(206)이고, 추후 해당 지점을 천공하게 된다. 이러한 제1 구멍 위치(206)는 표시구멍(120)이 삼각자(100)의 꼭지각 이등분선 상에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프레임(200)에서 자연스럽게 수직선(202) 상에 위치되게 된다.
한편, 프레임(200)에 보강면(250)이 형성된 경우 경사선(204) 하단에서부터 보강면(250)에 선을 그어준다. 보강면(250)의 폭 방향으로 수직하게 선을 그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보강면(250)에 그어지는 선은 삼각자(100)를 이용해 그어줄 수 있다. 즉, 삼각자(100)의 밑변에 걸림턱(150)이 형성된 것을 구비하되, 걸림턱(150)의 가장자리가 빗변과 이어지며 보강면(250)의 폭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것을 구비하여 걸림턱(150) 가장자리를 따라 선을 그어주면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 단계에서는 경사선(204)을 형성한 후 앞서 사용한 삼각자(100)의 빗변을 경사선(204)에 대어준다. 경사선(204)과 삼각자(100)의 빗변을 서로 일치시키는 것으로, 경사선(204)의 상단과 하단이 삼각자(100)의 꼭짓점 및 밑변 일측 끝단과 일치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삼각자(100)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구멍(120)을 따라 선을 그어 프레임(200) 위에 원을 제2 구멍 위치(208)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제2 구멍 위치(208)는 당연하게도 프레임(200)에 형성되어 있는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을 동심원으로 하는 원호상에 형성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 단계에서는 앞서에 따라 표시된 제1 구멍 위치(206) 및 제2 구멍 위치(208)를 드릴로 천공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200)에 같은 크기로 두 개의 구멍, 즉 제1 구멍(226)과 제2 구멍(228)이 형성되는데, 제1 구멍(226)과 제2 구멍(228)의 크기는 천공하는 과정에서 드릴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후 경사선(204)을 따라 프레임(200)을 절단하여 준다. 경사선(204)의 하단에서부터 상단을 향해 절단하여 줄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경사선(204)의 상단 부분은 절단하지 않고 일부를 남기게 된다. 프레임(200)을 완전히 둘로 절단하지 않고 상단이 연결된 상태로 일부만을 절단하여 주는 것으로 절단하지 않고 남기는 부분은 보강면(250)의 형성 여부나 프레임(200)을 형성하는 판의 두께 등에 따라 결정하게 되고, 대략 2mm정도 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경사선(204)을 따라 절단하는 과정에서 경사선(204) 안쪽(제1 구멍 위치(206) 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경사선(204)을 표시하기 위해 펜을 사용하는 경우 경사선(204) 자체의 두께로 인해 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절단되는 지점이 삼각자(100)와 정확히 일치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구멍 위치(206) 및 제2 구멍 위치(208)의 천공 및 경사선(204) 절단 과정은 필요에 따라 순서를 상기 설명된 바와 달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00)에 보강면(250)이 형성되고 보강면(250)에 수직 방향으로 선을 그어진 경우 보강면(250)도 상기 선을 따라 절단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 단계에서는 프레임(200)을 절곡한다. 프레임(200)이 경사선(204)을 따라 절단됨으로써 그 지점이 두 부분으로 나뉘게 되는데, 상기 절단된 지점을 기준으로 프레임(200)을 꺾어주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두 부분 중 일측을 타측 아래로 밀어 넣어 포개게 되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프레임(200)이 절곡된다. 이때, 프레임(200)을 절곡하여 제1 구멍(226)과 제2 구멍(228)이 일치되게 한다. 이 과정에서 프레임(200)에 보강면(250)이 형성되고 보강면(250)도 절단된 경우에는 프레임(200)을 최대한 꺾어주게 되면 보강면(250)이 절단된 지점에 아래로 포개지는 보강면(250)이 접하면서 더는 접히지 않는 상태가 되는데, 그 상태에서 제1 구멍(226)과 제2 구멍(228)이 자연스럽게 일치되게 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5) 단계에서는 제1 구멍(226)과 제2 구멍(228)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1 구멍(226)과 제2 구멍(228)을 관통하여 볼트를 체결하게 된다. 그 결과 프레임(200)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실시예 2]
이 예는 프레임을 90도로 절곡할 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 예에서 삼각자(100)는 밑변에서 일정한 간격 떨어지면서 꼭지각의 이등분선을 지나는 지점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좌/우측 표시구멍(120a)(120b)이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삼각자로 프레임에 경사선과 제1 구멍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삼각자로 프레임에 제2 구멍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절단하고 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절곡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 단계에서는 수직선(202)은 자를 대고 그어주게 되는데,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그어주게 된다. 앞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 단계에서는 좌/우측 표시구멍(120a)(120b)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선을 그어 상기 꼭지각의 이등분선 좌측 또는 우측에서 제1 구멍 위치(206)를 프레임(200)에 표시한다. 제1 구멍 위치(206)를 좌/우측 표시구멍(120a)(120b) 모두에 선을 그어 두 개 형성 한 다음 하나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 단계에서 경사선(204)은 상기 삼각자(100)의 좌측과 우측 빗변을 따라 그어주고, 제1 구멍 위치(206)가 상기 꼭지각의 이등분선 좌측에 형성된 경우 우측에 그어진 경사선(204)에 삼각자(100)의 빗변을 대고 좌측 표시구멍(120a)을 따라 선을 그어 프레임(200)에 제2 구멍 위치(208)를 표시한다. 반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구멍 위치(206)가 상기 꼭지각의 이등분선 우측에 형성된 경우 좌측에 그어진 경사선(204)에 삼각자(100)의 빗변을 대고 우측 표시구멍(120b)을 따라 선을 그어 제2 구멍 위치(208)를 프레임(200)에 표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 단계에서는 제1 구멍 위치(206)와 제2 구멍 위치(280)를 천공하여 제1 구멍(226)과 제2 구멍(228)을 형성한다. 드릴로 천공하면 되채 고, 이에 따라 프레임(200)에 같은 크기로 두 개의 구멍, 즉 제1 구멍(226)과 제2 구멍(228)이 형성되는데, 제1 구멍(226)과 제2 구멍(228)의 크기는 천공하는 과정에서 드릴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후 경사선(204)을 따라 프레임(200)을 절단하여 준다. 경사선(204)의 하단에서부터 상단을 향해 절단하여 줄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경사선(204)의 상단 부분은 절단하지 않고 일부를 남기게 된다. 프레임(200)을 완전히 둘로 절단하지 않고 상단이 연결된 상태로 일부만을 절단하여 주는 것으로 절단하지 않고 남기는 부분은 보강면(250)의 형성 여부나 프레임(200)을 형성하는 판의 두께 등에 따라 결정하게 되고, 대략 2mm정도 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경사선(204)을 따라 절단하는 과정에서 경사선(204) 안쪽(제1 구멍 위치(206) 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경사선(204)을 표시하기 위해 펜을 사용하는 경우 경사선(204) 자체의 두께로 인해 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절단되는 지점이 삼각자(100)와 정확히 일치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다.
상기와 같이 경사선(204)를 절단함과 아울러 수직선(202)을 따라 프레임(200)을 절단한다. 수직선(202)의 상단 부분은 절단하지 않고 남긴 채로 남겨두되, 경사선(204)를 따라 절단된 지점과 상단이 닿도록 하면서 절단을 하게 된다. 이로써 경사선(204)과 수직선(240)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이 절단되어 제거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 단계에서는 프레임(200)을 절곡한다. 상기 절단된 지점을 기준으로 프레임(200)을 꺾어주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절단된 지점 일측이 타측 아래로 들어가면서 포개게 된다.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프레임(200)이 90도 각도로 절곡된다. 이때, 프레임(200)을 절곡하여 제1 구멍(226)과 제2 구멍(228)이 일치되게 한다.
(S5) 단계에서는 제1 구멍(226)과 제2 구멍(228)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1 구멍(226)과 제2 구멍(228)을 관통하여 볼트를 체결하게 된다. 그 결과 프레임(200)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삼각자(100)를 기본으로 하고, 직선자(300)를 추가로 사용하여 프레임(200)을 절곡하는 방법을 도 12와 도 1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
이 예는 프레임(200)의 폭이 삼각자(100)의 높이보다 현저하게 높아 삼각자(100) 만으로는 경사선(204)을 그어줄 수 없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삼각자로 프레임에 경사선을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을 절단하고 절곡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 예에서 사용되는 삼각자(100)는 표시구멍(120)이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널빤지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200)에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폭 방향으로 수직선(202)을 그어준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그어줄 수 있다.
이후, 프레임(200)의 폭에 비해 낮은 높이를 이루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삼각자(100)와 직선자(300)를 구비하여 삼각자(100)의 밑변을 프레임(200)의 폭 방향 하단에 일치시킨다. 직선자(300)를 상기 삼각자(100)의 빗변에 대어주고 직선자(300)를 따라 수직선(202) 상단에서부터 상기 프레임(200)의 폭 방향 하단까지 경사선(204)을 그어주는 것이다.
이후, 경사선(204)의 상단 부분은 절단하지 않고 남긴 채로 경사선(204)을 따라 상기 프레임(200)을 절단한다. 이러한 경사선의 절단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 들과 동일한 방법 및 구조로 수행하게 된다.
이후, 프레임(200)이 절단된 지점을 기준으로 일측을 타측 아래로 밀어 넣어 포개면서 프레임(200)을 절곡한다.
이후, 마지막으로 상기 일측을 타측 아래로 밀어 넣음으로써 포개지게 되는 지점을 서로 결합시켜 펴지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는데, 구멍을 뚫어 볼트를 체결하는 방법등을 사용하여 결합시켜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프레임(200)을 사용하되, 프레임(200)을 절곡할 필요가 있는 케이블 트레이와 같은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는바, 절곡될 각도를 세밀하게 계산하는 등이 과정 없이 삼각자(100)로 절곡 각도를 쉽게 결정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절곡하여 줄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속도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00 : 삼각자, 120, 120a, 120b : 표시구멍,
150 : 걸림턱,
200 : 프레임, 202 : 수직선,
204 : 경사선, 206 : 제1 구멍 위치,
208 : 제2 구멍 위치, 226 : 제1 구멍,
228 : 제2 구멍, 250 : 보강면.

Claims (6)

  1. (S1) 널빤지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200)에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폭 방향으로 수직선(202)을 그어주는 단계;
    (S2) 상기 프레임(200)의 폭과 일치하는 높이를 이루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삼각자(100)를 구비하여 꼭지각 이등분선을 상기 수직선(202)에 일치시키고, 상기 삼각자(100)의 빗변을 따라 상기 프레임(200)에 경사선(204)을 그어주는 단계;
    (S3) 상기 경사선(204)의 상단 부분은 절단하지 않고 남긴 채로 상기 경사선(204)을 따라 상기 프레임(200)을 절단하는 단계;
    (S4) 상기 프레임(200)이 절단된 지점을 기준으로 일측을 타측 아래로 밀어 넣어 포개면서 상기 프레임(200)을 절곡하는 단계;
    (S5) 상기 일측을 타측 아래로 밀어 넣음으로써 포개지게 되는 지점을 서로 결합시켜 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소정의 각도로 절곡하게 되는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자(100)는 밑변에서 일정한 간격 떨어지면서 꼭지각의 이등분선을 지나는 지점에 상기 프레임(200)을 천공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구멍(120)이 형성된 것이되,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표시구멍(120)을 따라 선을 그어 상기 프레임(200)에 제1 구멍 위치(206)를 표시한 다음, 상기 경사선(204)에 상기 삼각자(100)의 빗변을 대고 상기 표시구멍(120)을 따라 선을 그어 상기 프레임(200)에 제2 구멍 위치(208)를 표시하고,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제1 구멍 위치(206)와 상기 제2 구멍 위치(280)를 천공하여 제1 구멍(226)과 제2 구멍(228)을 형성하고,
    상기 (S4) 단계에서 상기 제1 구멍(226)과 상기 제2 구멍(228)이 일치되게 한 다음,
    상기 (S5) 단계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상기 일측을 타측 아래로 밀어 넣음으로써 포개지게 되는 지점을 서로 결합하게 되는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자(100)는 밑변에서 일정한 간격 떨어지면서 꼭지각의 이등분선을 지나는 지점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상기 프레임(200)을 천공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좌/우측 표시구멍(120a)(120b)이 형성된 것이되,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좌/우측 표시구멍(120a)(120b)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선을 그어 상기 꼭지각의 이등분선 좌측 또는 우측에서 상기 프레임(200)에 제1 구멍 위치(206)를 표시하는 한편,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경사선(204)은 상기 삼각자(100)의 좌측과 우측 빗변을 따라 그어주고, 상기 제1 구멍 위치(206)가 상기 꼭지각의 이등분선 좌측에 형성된 경우 우측에 그어진 경사선(204)에 상기 삼각자(100)의 빗변을 대고 좌측 표시구멍(120a)을 따라 선을 그어 상기 프레임(200)에 제2 구멍 위치(208)를 표시하는 반면, 상기 제1 구멍 위치(206)가 상기 꼭지각의 이등분선 우측에 형성된 경우 좌측에 그어진 경사선(204)에 상기 삼각자(100)의 빗변을 대고 우측 표시구멍(120b)을 따라 선을 그어 상기 프레임(200)에 제2 구멍 위치(208)를 표시하고,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수직선(202)을 따라 상기 프레임(200)을 절단하되 상단 부분은 절단하지 않고 남긴 채로 남겨둠과 아울러, 상기 제1 구멍 위치(206)와 상기 제2 구멍 위치(280)를 천공하여 제1 구멍(226)과 제2 구멍(228)을 형성하고,
    상기 (S4) 단계에서 상기 제1 구멍(226)과 상기 제2 구멍이 일치되게 한 다음,
    상기 (S5) 단계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일측을 타측 아래로 밀어 넣음으로써 포개지게 되는 지점을 서로 결합하게 되는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
  4. 널빤지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200)에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폭 방향으로 수직선(202)을 그어주는 단계;
    상기 프레임(200)의 폭에 비해 낮은 높이를 이루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삼각자(100)와 직선자(300)를 구비하여 상기 삼각자(100)의 밑변을 상기 프레임(200)의 폭 방향 하단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직선자(300)를 상기 삼각자(100)의 빗변에 대어주고 상기 직선자(300)를 따라 상기 수직선(202) 상단에서부터 상기 프레임(200)의 폭 방향 하단까지 경사선(204)을 그어주는 단계;
    상기 경사선(204)의 상단 부분은 절단하지 않고 남긴 채로 상기 경사선(204)을 따라 상기 프레임(200)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200)이 절단된 지점을 기준으로 일측을 타측 아래로 밀어 넣어 포개면서 상기 프레임(200)을 절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소정의 각도로 절곡하게 되는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220052142A 2022-04-27 2022-04-27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 KR102478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142A KR102478556B1 (ko) 2022-04-27 2022-04-27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
KR1020220155479A KR20230152543A (ko) 2022-04-27 2022-11-18 프레임 절곡 작업에 사용되는 삼각자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142A KR102478556B1 (ko) 2022-04-27 2022-04-27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5479A Division KR20230152543A (ko) 2022-04-27 2022-11-18 프레임 절곡 작업에 사용되는 삼각자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556B1 true KR102478556B1 (ko) 2022-12-16

Family

ID=845351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142A KR102478556B1 (ko) 2022-04-27 2022-04-27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
KR1020220155479A KR20230152543A (ko) 2022-04-27 2022-11-18 프레임 절곡 작업에 사용되는 삼각자 세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5479A KR20230152543A (ko) 2022-04-27 2022-11-18 프레임 절곡 작업에 사용되는 삼각자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85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410Y1 (ko) * 2001-02-16 2001-09-25 (주)신성엔지니어링 구배측정기
JP2006051784A (ja) * 2004-08-11 2006-02-23 Katsuichi Koizumi スケールワン
KR200441965Y1 (ko) 2008-01-03 2008-09-24 (주)대성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163709B1 (ko) * 2020-06-04 2020-10-12 유창수 목공용 삼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410Y1 (ko) * 2001-02-16 2001-09-25 (주)신성엔지니어링 구배측정기
JP2006051784A (ja) * 2004-08-11 2006-02-23 Katsuichi Koizumi スケールワン
KR200441965Y1 (ko) 2008-01-03 2008-09-24 (주)대성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163709B1 (ko) * 2020-06-04 2020-10-12 유창수 목공용 삼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543A (ko)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4152B2 (en) Conduit racking device
TWI482923B (zh) 定位裝置及定位方法
US20100287785A1 (en) Electricians square
TW201518577A (zh) 吊架桿
US6886268B1 (en) Siding installation tool and method of installing siding
KR102478556B1 (ko)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
US5295644A (en) Bracket for mounting an electrical outlet box
CN107849844A (zh) 分度支撑杆
US11384536B1 (en) Ceiling grid hanger holes
JP2019085722A (ja) 仕上面材切断位置罫書具及びそれを用いた仕上面材の施工方法
KR20020015328A (ko) 원통형 부재의 연속 스트레치의 제조방법, 툴, 툴의 사용및 소정길이의 파이프 및 파이프 부품
JP2008163563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位置合わせ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組み立て方法
JP6085464B2 (ja) 手摺装置取付補助具
JP2018144909A (ja) エスカレーターの保護板位置決め具、及びエスカレーターの保護板位置決め方法
JP6286266B2 (ja) 足場構築体におけるコーナー用朝顔の設置工法及びコーナー用朝顔装置
JP2012026175A (ja) 建設用部材の芯線に平行な仮想線の設定方法、及びこの仮想線を設定するための一対の仮想線設定用治具、並びに直線性計測装置を建設用部材に設置する設置方法
CN207127865U (zh) 一种便携式电缆桥架弯头划线模具
CN104802149B (zh) 板件的返线器及返线方法
US20160255971A1 (en) Device for positioning hanging items
JP6283543B2 (ja) デッキの製造方法
KR200496963Y1 (ko) 먹줄작업용 수평수직자
JP4040710B2 (ja) 乗客コンベアの本体枠の加工方法
US6708417B1 (en) Large panel sheathing square
JP2024054688A (ja) 杭頭接合部用部材
JP2003105941A (ja) 屋根勾配に対応する屋根瓦の切断線設定定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