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551B1 -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551B1
KR102478551B1 KR1020220080751A KR20220080751A KR102478551B1 KR 102478551 B1 KR102478551 B1 KR 102478551B1 KR 1020220080751 A KR1020220080751 A KR 1020220080751A KR 20220080751 A KR20220080751 A KR 20220080751A KR 102478551 B1 KR102478551 B1 KR 102478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weight
skin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김성효
노봉일
박종철
박이진
이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프메디컬
주식회사 지웨이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프메디컬, 주식회사 지웨이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프메디컬
Priority to KR1020220080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에는 부추씨, 수레국화꽃, 포도잎, 딸기잎, 고추잎의 혼합 추출물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피부 진정, 염증 개선, 상처 치유 및 재생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using human stem cell}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의 가장 큰 관심 분야 중 하나는 노화와 관련된 주름, 색소침착, 탄력감소, 피부건조화 및 탈모 또는 모 발의 윤기 부족 등이다. 피부는 노화를 통해 다양한 변화를 맞게 된다. 먼저 피부의 구성 성분인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의 두께가 얇아지고 피부에 탄력을 주는 ECM(Extracellular matrix) 성분이 변화하게 되는데 그 중 ECM 의 70~80%를 차지하는 콜라겐은 나이가 들면서 그 생성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주름생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고, 피부결합조직을 이루고 있는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프로티오글리칸(proteoglycans), 글 루코스아미노글리칸(glucosaminoglycan), 라미닌(laminin),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등은 산화되어 그 기능 을 잃어버림으로써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과도하게 형성되면서 노인성 피부로 변화되어 간다. ECM(Extracellular matrix)의 결합조직섬유에는 아교섬유(교원섬유, collagen fiber), 세망섬유(reticular fiber), 탄력섬유(탄성섬유, elastic fiber)가 있으며, 이 중 피부결합조직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콜라겐 은 피부의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대부분 형성된다. 나이가 들면서 피부 결합조직 내의 콜라겐 함량이 줄 어드는데 이는 콜라겐 합성의 저하와 분해의 촉진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콜라겐 생합성의 저하와 콜라겐 분해 촉진은 피부 주름 형성의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콜라겐 생합성 과정은 Transcription level과 Post- translation level에 관여하는 많은 Factor들에 의해 조절을 받아 변화를 일으키며, 콜라겐 분해는 자외선 등에 의해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겐네이즈(Collagenase)와 같은 Matrix metalloproteases(MMP)의 발현의 촉진으로 콜라겐 분해가 촉진되어 콜라겐 함량이 줄어든다. 아울러 외부 환경에 의해 콜라겐의 변형이 가속화되면서 피부 는 주름이 많아지고 깊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피부노화 현상은 세포의 비균질화, 엘라스틴의 소실, 콜라겐의 파괴, 콜라겐 합성의 감소 및 지연 등에 의해 나타난다. 따라서 피부노화 현상은 피부 표피에서도 일어나지만 이보다는 진피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피부는 노화가 진행되기 전에는 피부세포의 생리활성이 활발하여 진피(Dermis)에 있는 섬유아세포(fibroblast) 에서는 피부의 탄력 및 주름형성 억제에 중요한 콜라겐(collagen)의 합성과 신진대사가 왕성하며 또한 피부수분 유지에 필수적인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을 포함한 당단백질류인 GAGS(Glucosaminoglycans) 합성도 활발 하여 피부에 탄력성, 부드러움, 유연성 및 보습성을 부여한다. 또한 표피에서는 기저세포(basal layer cell)의 증식(proliferation)이 활발하고, 피부세포간의 결합을 강화시키는 라미닌, 인테그린, 데스모좀과 같은 결합단 백질(Adhesion protein)의 생성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져 피부 세포조직을 강화시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해 준다. 그러나 현대인의 피부는 외부의 각종 유해 환경 및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다양한 손상을 받고 있고, 나이가 들면 서 피부의 생리활성이 저하되고 손상된 피부의 회복속도가 느려지면서 피부는 탄력저하, 건조, 주름형성, 색소 침착, 검버섯, 칙칙함 등의 다양한 피부노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화장료의 가장 큰 목표는 이런 노화증세 를 개선하는데 있고, 이를 위한 다양한 화장료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탄력 감소, 피부주름, 색소침착 등의 피부노화현상은 콜라겐의 파괴, 콜라겐 합성의 감소, 엘 라스틴의 소실 및 피부생리 저하에 따른 멜라닌 색소침착 등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으로서, 피부 표피와 진피에 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 피부 노화방지에 대한 피부 생리학적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으며, 실제로 화장료에 있어서 피부주름방지를 위해 자외선 차단제, 항산화제, 세포활성촉진제 등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콜라겐 합성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의 발전을 기반으 로 하여 우리 생체 내에 존재하는 성장인자와 같은 소량의 신호물질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생체 의 노화이론이 재정립되고 있는 중이다. 또한 이 신호물질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생체 내에서 감소하게 되는 데 바로 이 성장인자의 감소가 우리의 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성장인자들은 각 조직의 기저에 존재하고 있는 줄기세포에서 다량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인체 유래 줄기세포의 배양추출물을 활용하여 피부 주름 개선 등의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어 왔다.
관련 문헌으로는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54282호, 특허문헌 1),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히아루론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7562호, 특허문헌 2) 등이 공개되어 있다.
KR 10-2354282 (2022.01.18) KR 10-1627562 (2016.05.31)
본 발명의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같은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원료의 수급이 용이한 원료를 활용하여 피부 진정, 염증 개선, 상처의 치유 재생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에는 부추씨, 수레국화꽃, 포도잎, 딸기잎, 고추잎의 혼합 추출물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건조된 부추씨 20 ~ 23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수레국화꽃 3 ~ 5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포도잎 32 ~ 35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딸기잎 7 ~10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고추잎 27 ~ 38중량%를 혼합한 다음, 혼합물을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 처리한 후 여과된 추출액을 10 ~ 45℃의 조건에서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상기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혼합추출물이 1 : 1.5 ~2.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의 0.75 ~ 10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피부 진정, 염증 개선, 상처 치유 및 재생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은 표 4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표 6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의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은 지방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얻을 수 있는 배양액 및 배양한 지방줄기세포를 파쇄하여 얻을 수 있는 모든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인체 지방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를 제외한 성체로부터 얻어지는 줄기세포를 의미하며, 골수, 제대혈, 말초혈액을 포함하는 혈액 및 지방조직의 기저에엇 기원되는 줄기세포를 모두 포함되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의 유효성분은 주로 세포의 성장을 조절하는 펩타이드와 단백질로써, 예를 들면 PDGF(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Basic FGF(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KGF(각질세포 성장인자), TGF- β1(형질변환성장인자), HGF(간세포 성장인자), VEGF(혈관내피 성장인자), 콜라겐, 파이브로넥틴, SOD(항산화 효소)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은 상기한 성장인자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 구성세포인 섬유아세포 이동 촉진, 활성화 효과, 피부 재생 및 항노화 효과, 콜라겐합성 증가, 티로시나제의 활성 억제 효과, 멜라닌 합성 억제, 모발 성장 및 축소된 모낭 복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은 시중에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공지되어 있는 문헌의 제조 방법을 통해 수득할 수도 있다.
일예로 미국특허 제6,153,432호(2000.11.28)에는, 지방 흡입술을 통해 얻어진 지방조직으로부터 지방줄기세포를 분리하고, 이를 기질 배지에 현탁 시켜 배양 용기에 접종한 후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지방줄기세포가 배양용기 바닥에 붙으면 기질 배지를 제거하고 분화배지(DIFFERENTIATION MEDIA)를 넣고, 이를 3일 동안 배양한 후 지방세포 배지(adipocyte media)를 넣고 지방세포로 분화시킨다.
지방줄기세포의 분화 단계는 분화 초기에 세포질 내 작은 지질 방울의 형성이 시작되는 단계, 작은 지질 방울의 수가 점차 증가하는 단계, 그리고 작은 지질 방울들이 점점 합쳐져 큰 지질 방울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성숙하고, 완전히 성숙하면 한 개의 지질 방울이 세포질 전체를 차지하게 되며 성숙과정 동안 세포의 크기도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지방유래 세포를 얻는 단계에서, 배양 배지를 무혈청 DMEM 배지로,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및/또는 표피세포 성장 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를 각각 0.1∼100 ng/㎖ 농도로 더욱 포함하는 DMEM 배지로 배양하여 얻어진 배양액을 분리 정제하여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 외에 부추씨, 수레국화꽃, 포도잎, 딸기잎, 고추잎의 혼합 추출물을 더 포함한다.
부추씨는 한방에서 구자라고 불기디고 하며 신장을 따뜻하게 하고 정이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해 정력을 강하게 하며, 유뇨, 유정, 양위, 백탁, 몽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부추씨를 화장료 조성물에 활용한 기술로는 당귀, 지황, 가시오가피, 하수오, 맥문동, 옥죽, 구기자, 대두, 행인, 오약, 과루근, 녹용, 감국, 복령 등의 매우 많은 원료와 혼합 추출한 성분에 대해 항산화, 멜라닌 생합성 억제, 주름 개선, 피부 보습 개선 등에 효과가 있다는 내용이 등록특허 제10-2338399호에 공개되어 있으나, 매우 많은 원료를 배합 및 혼합하여 활용하므로 제조 방법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수레국화(Centaurea cyanus)는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식물로서, 그 꽃은 유럽 동부와 남부가 원산지인 식물로 치유의 꽃으로 알려져 있다.
수레국화꽃 추출물에는 탄닌, 쿠마린 및 안토시아닌 성분이 있어 염증 치유, 상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레국화꽃을 활용한 기술로 수레국화꽃 추출물과 당아욱꽃 추출물을 특정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자극 와노하, 보습,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하는 기술이 한국 공개특허 10-2022-0064641호에 공개된 바 있기도 한다.
고추는 캡사이신(capsacin) 성분을 함유하여 매운 맛을 내고, 색소성분인 카로틴(carotene)이 들어 있어 푸른 고추가 성숙되면서 지방산과 결합하게 되어 캡산틴(capsanthin)으로 산화되어 짙은 적색을 나타내는 붉은 고추가 된다. 캡사이신을 적당히 섭취하면 식용증진, 보온, 장내 살균작용 등에 효과가 있으며, 더운 나라사람들은 더위를 먹지 않기 위한 활력원으로서, 추운 나라 사람들은 몸을 따뜻하게 할 목적으로 각각 고추를 먹고 있다. 고추의 캡사이신(capsaicin)이 부교감신경계의 원심성 활동을 항진시켜 카테콜아민류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이러한 카테콜아민은 간장이나 지방 조직 등의 표적 장기 중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혈중 글루코스나 유리지방산을 이용하는 에너지 대사를 항진시켜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034178호에는 고춧잎 건조 분말에 저급 알콜을 첨가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이를 동결건조한 다음 물을 첨가하여 플라즈마 처리한 성분이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다고 소개되어 있기도 하다.
더하여, 딸기 잎의 건조 분말에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을 첨가하여 수출한 다음 여과, 농축하고 용매를 제거한 성분이 미백 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5388호에 소개되어 있기도 하다.
한편, 등록특허 제10-1170501호에는 포도잎 추출물에 다량의 폴리페놀계 기능성 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음이 소개되어 있기도 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건조된 부추씨 20 ~ 23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수레국화꽃 3 ~ 5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포도잎 32 ~ 35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딸기잎 7 ~10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고추잎 27 ~ 38중량%를 혼합하여 100 중량%의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 처리한 후 여과된 추출액을 10 ~ 45℃의 조건에서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수득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유효성분은 상기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혼합추출물이 1 : 1.5 ~2.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의 0.1 ~ 10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인체 유래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의 제조
지방 흡입술을 통해 얻어진 지방조직으로부터 지방줄기세포를 분리하고, 이를 기질 배지에 현탁 시켜 배양 용기에 접종한 후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지방줄기세포가 배양용기 바닥에 붙으면 기질 배지를 제거하고 분화배지(DIFFERENTIATION MEDIA)를 넣고, 이를 3일 동안 배양한 후 지방세포 배지(adipocyte media)를 넣고 지방세포로 분화시킨다.
지방줄기세포의 분화 단계는 분화 초기에 세포질 내 작은 지질 방울의 형성이 시작되는 단계, 작은 지질 방울의 수가 점차 증가하는 단계, 그리고 작은 지질 방울들이 점점 합쳐져 큰 지질 방울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성숙하고, 완전히 성숙하면 한 개의 지질 방울이 세포질 전체를 차지하게 되며 성숙과정 동안 세포의 크기도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지방유래 세포를 얻는 단계에서, 배양 배지를 무혈청 DMEM 배지로,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및/또는 표피세포 성장 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를 각각 0.1∼100 ng/㎖ 농도로 더욱 포함하는 DMEM 배지로 배양하여 얻어진 배양액을 분리 정제하여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내지 22> 혼합추출물의 제조
아래 표 1과 같은 배합으로 천연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원물을 제조한 후, 혼합원물을 계량하여 100g 준비한 후, 계량된 혼합원물을 70%(V/V) 에탄올 1리터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다음, 와트만 (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10 ~ 45℃의 조건에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 건조하여 부추씨, 수레국화꽃, 포도잎, 딸기잎, 고추잎이 혼합된 혼합물의 추출물(이하, 혼합추출물이라 침함) 27.3g을 수득하였다.
 구분 혼합추출물의 배합(중량%) 
부추씨 수레국화꽃 포도잎 딸기잎 고추잎
실시예2 19 3 32 8 38
실시예3 20 3 32 7 38
실시예4 23 5 34 10 28
실시예5 24 5 34 10 27
실시예6 23 2 35 10 30
실시예7 23 3 35 10 29
실시예8 20 5 35 10 30
실시예9 20 6 35 10 29
실시예10 23 5 31 10 31
실시예11 23 5 32 10 30
실시예12 20 3 35 7 35
실시예13 20 3 36 7 34
실시예14 23 5 35 6 31
실시예15 23 5 35 7 30
실시예16 20 3 32 10 35
실시예17 20 3 32 11 34
실시예18 23 5 35 11 26
실시예19 23 5 35 10 27
실시예20 20 3 32 7 38
실시예21 20 3 32 6 39
실시예22 22 4 33 8 33
<실험예 1> 피부 개선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1의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실시예 2 내지 22들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아래 표 2 및 표 3과 같이 배합하여 크림 형태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원료 조성(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
베타글루칸 5
카보머 0.1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2
스쿠알란 4
세테아릴 알코올 6
폴리옥시에틸렌알콜에스테르 3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
유효성분 표 3
프로필렌글리콜 5
합계 100
구분 유효성분(중량%)
실시예1 혼합추출물 합계 혼합추출물명
제조예1 2 3 5 실시예2
제조예2 2 3 5 실시예3
제조예3 2 3 5 실시예4
제조예4 2 3 5 실시예5
제조예5 2 3 5 실시예6
제조예6 2 3 5 실시예7
제조예7 2 3 5 실시예8
제조예8 2 3 5 실시예9
제조예9 2 3 5 실시예10
제조예10 2 3 5 실시예11
제조예11 2 3 5 실시예12
제조예12 2 3 5 실시예13
제조예13 2 3 5 실시예14
제조예14 2 3 5 실시예15
제조예15 2 3 5 실시예16
제조예16 2 3 5 실시예17
제조예17 2 3 5 실시예18
제조예18 2 3 5 실시예19
제조예19 2 3 5 실시예20
제조예20 2 3 5 실시예21
제조예21 0.3 0.44 0.74 실시예22
제조예22 0.3 0.45 0.75 실시예22
제조예23 0.3 0.75 1.05 실시예22
제조예24 0.3 0.76 1.06 실시예22
제조예25 2.8 4.1 6.9 실시예22
제조예26 2.8 4.2 7.0 실시예22
제조예27 2.8 7 9.8 실시예22
제조예28 2.8 7.3 10.1 실시예22
그런 다음 제조예의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의 피부 재생 및 상처의 치유 개선 정도를 비롯하여 피부 보습, 미백 효과, 피부 진정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시술 또는 박피 시술을 받은 대상자를 대상으로 제조예 1 내지 28의 화장료를 각각 5명씩 일주일 동안(1일 2번(아침, 저녁으로)) 사용하도록 한 후, 10점 척도법(1: 대단히 나쁘다 --> 10:대단히 좋다)으로 평가한 다음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와 같은 성적을 얻었다.
구분 피부 재생 상처 치유
(항염효과)
피부 보습 미백 효과 피부 진정 효과
제조예1 6.6 7 5.8 6.2 5.8
제조예2 8.6 8.7 8.4 9.1 8.5
제조예3 8.1 8.5 8.8 8.7 9.1
제조예4 6.7 7.1 6.1 6.6 5.2
제조예5 6.7 7 6.2 6.3 5.8
제조예6 8.2 8.4 8.1 8.1 9.2
제조예7 8.4 8.4 8.2 8.1 8.9
제조예8 7.1 5.1 6.2 6.6 5.7
제조예9 6.7 5.6 5.7 6.2 5.6
제조예10 8.4 8.3 8.3 7.9 9
제조예11 8.6 8.3 8.2 8.2 8.9
제조예12 7.2 5.5 7 6.3 5.8
제조예13 6.6 5.6 6.6 6.2 5.8
제조예14 8.1 8.2 8.5 8.3 8.2
제조예15 8.2 8.1 8.2 8.3 8.1
제조예16 7.4 7.1 7 6.5 5.8
제조예17 7.2 7 6.7 6.6 5.9
제조예18 8.2 8.7 8.2 8.3 9.3
제조예19 8.1 8.2 8 8.2 7.9
제조예20 7.1 6.7 6.7 6.1 5.2
제조예21 7.2 6.7 6.8 6.8 5.9
제조예22 9.4 9.3 8.5 8.1 8.1
제조예23 8.2 8.1 8.4 8.3 8.3
제조예24 6.9 6.5 6.7 6.2 5.1
제조예25 7.1 5.1 5.4 6.6 5.6
제조예26 9.2 9.5 9.2 9.6 9.4
제조예27 8.4 8.7 8.2 8.4 8.3
제조예28 5.1 6.6 6.6 6.5 5.7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유래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 및 혼합추출물을 원료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전반적으로 피부 재생, 상처 치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부 보습, 미백, 피부 진정 효과를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조된 부추씨 20 ~ 23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수레국화꽃 3 ~ 5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포도잎 32 ~ 35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딸기잎 7 ~10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고추잎 27 ~ 38중량%로 배합된 제조예 2, 3, 6, 7, 10, 11, 14, 15, 18, 19, 22의 경우 다른 제조예들에 비해 피부 재생, 상처 치유, 피부 보습, 미백, 피부 진정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유효성분에서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혼합추출물의 혼합비가 1 : 1.5 ~2.5의 중량비를 갖는 제조예 22, 23, 26, 27이 이 비율을 벗어난 제조예에 비해 피부 재생, 상처 치유, 피부 보습, 미백, 피부 진정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하여,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면서 유효성분의 합이 0.75 ~ 10 중량% 함유되어 있는 제조예 22, 27이 제조예 21, 28에 비해 피부 재생, 상처 치유, 피부 보습, 미백, 피부 진정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피부 자극 시험
상기 제조예의 화장료에 대한 피부 자극 시험을 조사하기 위해 피부 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는 15~30세의 시험 부위에 피부 질환이 없는 사람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15명에게 실시하였다. 첩포부위인 상박부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후, 제품을 01g씩 가하여 인체 상박부에 24시간 첩포하고, 첩포 제거 후 1시간 이내에 피부 반응을 검사하고, 다음날(48시간 후) 다시 검사하였다. 피부 반응 판정은 하기 검사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피부 첩포 시험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 피부 반응 검사기준
- 반응 없음
± 미약한 양성 반응 (홍반)
+ 양성 반응 (홍반)
++ 강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 심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수포)
구분 - ± + ++ +++
제조예1 13 1 1 0 0
제조예2 15 0 0 0 0
제조예3 15 0 0 0 0
제조예4 12 1 2 0 0
제조예5 12 1 1 1 0
제조예6 15 0 0 0 0
제조예7 15 0 0 0 0
제조예8 13 2 0 0 0
제조예9 12 2 1 0 0
제조예10 15 0 0 0 0
제조예11 15 0 0 0 0
제조예12 11 2 2 0 0
제조예13 15 0 0 0 0
제조예14 15 0 0 0 0
제조예15 15 0 0 0 0
제조예16 12 2 1 0 0
제조예17 12 1 1 1 0
제조예18 15 0 0 0 0
제조예19 15 0 0 0 0
제조예20 13 2 0 0 0
제조예21 15 0 0 0 0
제조예22 15 0 0 0 0
제조예23 15 0 0 0 0
제조예24 15 0 0 0 0
제조예25 15 0 0 0 0
제조예26 15 0 0 0 0
제조예27 15 0 0 0 0
제조예28 15 0 0 0 0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제조예 2, 3, 6, 7, 10, 11, 14, 15, 18, 19, 21 내지 28의 경우 다른 제조예들에 비해 피부 자극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염증유발관련 효소 (hyaluronidase) 활성 억제효과 측정
제조예 1 내지 20의 유효성분(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혼합추출물의 혼합물)만을 준비하여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염증유발효소인 히아루로니디아제 (hyaluronidase) 활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히아루로니디아제 (hyaluronidase)는 히아루론산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염증 유발하는 효소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히아루로니디아제 (hyaluronid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항염증효과를 측정하는 방법 (Kakegawa Y: Japanese J. of Inflammation, 4, 437-438, 1984)을 응용해 항염증 효과를 판정하였다.
시료 100㎕와 히아루로니디아제 용액 (type Ⅳ-S, Sigma, 400U/㎖) 50㎕를 넣고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효소활성화용액 (compound 48/80 CaCl2ㆍ2H2O, Sigma, 0.1㎎/㎖)을 100㎕를 첨가하고 다시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히아루론산 (hyaluronic acid) 용액(0.4㎎/㎖)을 250㎕ 넣고 37℃에서 40분간 반응시키고, 0.4N NaOH 100㎕를 넣어 반응을 종결시켰다. 포타슘보레이트 용액을 100㎕ 첨가하여 95℃에서 3분간 반응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ρ-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용액을 3㎖ 넣고 다시 20분간 37℃에서 반응시킨 후 발색시켰다. 58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히아루로니디아제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히아루로니디아제의 활성 저해율(%)은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IC50 값은 히아루로니디아제 효소 활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이다.
<수학식 1>
히아로로니다아제의 활성 저해율(%) = [(A-B)/A] ×100
A: 시료(제조예 1 내지 20의 유효성분)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효소활성
B: 시료(제조예 1 내지 20의 유효성분)를 첨가한 웰의 효소활성
시료명 히아루로니디아제 활성 저해효과 (IC50)
(단위 : %)
제조예1 0.24
제조예2 0.36
제조예3 0.37
제조예4 0.25
제조예5 0.24
제조예6 0.35
제조예7 0.35
제조예8 0.27
제조예9 0.26
제조예10 0.36
제조예11 0.35
제조예12 0.25
제조예13 0.24
제조예14 0.36
제조예15 0.35
제조예16 0.26
제조예17 0.25
제조예18 0.37
제조예19 0.35
제조예20 0.26
히아루로니디아제 (hyaluronidase)의 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표 6), 제조예 2, 3, 6, 7, 10, 11, 14, 15, 18, 19의 유효성분 IC50값이 0.3%를 넘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제조예들에 비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상기 유효성분에는 부추씨, 수레국화꽃, 포도잎, 딸기잎 및 고추잎의 혼합 추출물이 더 포함되어 있되,
    상기 혼합추출물은,
    건조된 부추씨 20 ~ 23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수레국화꽃 3 ~ 5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포도잎 32 ~ 35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딸기잎 7 ~10 중량%와, 세절하여 음건한 고추잎 27 ~ 38중량%를 혼합하여 100 중량%의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 처리한 후 여과된 추출액을 10 ~ 45℃의 조건에서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상기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혼합추출물이 1 : 1.5 ~2.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의 0.75 ~ 10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80751A 2022-06-30 2022-06-30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478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751A KR102478551B1 (ko) 2022-06-30 2022-06-30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751A KR102478551B1 (ko) 2022-06-30 2022-06-30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551B1 true KR102478551B1 (ko) 2022-12-19

Family

ID=8453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751A KR102478551B1 (ko) 2022-06-30 2022-06-30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5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562B1 (ko) 2014-07-31 2016-06-07 주식회사 휴메딕스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히아루론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3739B1 (ko) * 2018-03-30 2019-11-12 (주)웰메이드코엔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피디알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1002B1 (ko) * 2021-04-22 2021-12-20 (주)루카스앤에스 더블 리포좀 내부에 포집된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4282B1 (ko) 2017-05-17 2022-01-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562B1 (ko) 2014-07-31 2016-06-07 주식회사 휴메딕스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히아루론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4282B1 (ko) 2017-05-17 2022-01-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3739B1 (ko) * 2018-03-30 2019-11-12 (주)웰메이드코엔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피디알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1002B1 (ko) * 2021-04-22 2021-12-20 (주)루카스앤에스 더블 리포좀 내부에 포집된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ales site, "Charmzone Broadcasting HIT Sun Stick / Pore Control UV Shield Stick 20g 1+1", https://tv.ssg.com/item/itemView.ssg?itemId=1000033604744)* *
판매사이트,"참존 방송HIT 선스틱 / 포어 콘트롤 UV쉴드 스틱 20g 1+1" (인터넷 URL:https://tv.ssg.com/item/itemView.ssg?itemId=100003360474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761B1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2293081B1 (ko) 모란뿌리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KR101716680B1 (ko) 자운고 발효 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98408B (zh) 一种美白精华液
KR102043739B1 (ko)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피디알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8557795B2 (en) Composition containing Chamaecyparis obtusa polysaccharides to be externally applied to the skin
CN109330954B (zh) 美白亮肤水及其制备方法和酪氨酸酶抑制剂
KR20040043192A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KR100828107B1 (ko) 저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5571A (ko)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히아루론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4793B1 (ko) 천연물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개선 및 다크서클완화용 항산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8464B1 (ko) 광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6356B1 (ko)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8632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2478551B1 (ko) 인체 유래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5244A (ko) 애기동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3451B1 (ko) 펩타이드 복합체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10096669A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0429590B1 (ko) 감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020084429A (ko)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100434898B1 (ko)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약용 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 화장료조성물
KR20180052151A (ko) 꽃송이 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24728B1 (ko) 빈랑자 추출물과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