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461B1 -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 Google Patents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461B1
KR102478461B1 KR1020220093127A KR20220093127A KR102478461B1 KR 102478461 B1 KR102478461 B1 KR 102478461B1 KR 1020220093127 A KR1020220093127 A KR 1020220093127A KR 20220093127 A KR20220093127 A KR 20220093127A KR 102478461 B1 KR102478461 B1 KR 102478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inspection
inspection door
inspection port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근한
Original Assignee
동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근한 filed Critical 동근한
Priority to KR102022009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수등 우기시 단일의 인양수문 기능에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중의 안전 자동수문을 시공하여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로가 형성된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에 출구가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구성된 권양기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인양수문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인양수문을 보호하고 이중의 안전구조로 재해예방과 긴급상황에 대처가 용이하고, 수밀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지수벽이 설치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지수벽에는 구조물의 내부로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는 지수벽에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어 청소 또는 비상점검상황시 손쉽게 구조물 내로 작업자가 투입될 수 있으며, 또한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발생시 필요에 따라 점검구를 개방하여 자연배수 및 역수방지의 효과뿐만 아니라 인양수문을 보호하고 이중의 안전구조로 재해예방과 긴급상황에 대처가 용이하고 수밀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Sluice squipment with automatic sluice and stagment water wall with inspection port}
본 발명은 홍수등 우기시 단일의 인양수문 기능에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중의 안전 자동수문을 시공하여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수벽은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조물과 인양수문을 보호하기 위해 시공되는 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철강재로 시공된다.
이러한 지수벽 관련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2006년 12월 05일자로 출원하여 2007년 06월 28일자로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0736028호에 등록된 배수로가 형성된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하부에 출구가 있고 상부에 구성된 권양장치(4)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인양수문(3)이 형성된 수문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의 전면부에는 구조물(1)을 보호하기 위해 배수높이의 1.3배가 되게 설치되며 인양수문(3)이 설치되는 기둥의 전·후측 상면을 정방형의 철강재질의 플레이트(6a)와 상기 플레이트(6a)의 뒤틀림방지 및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플레이트(6a)보다는 약간의 두께를 가진 가로와 세로로 엮인 보강재(6b)로 구성되고 후면부는 지수력을 높임과 동시에 역류하여 구조물(1)에 부딪히는 물의 높은 수압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구성된 지수벽(6)으로 감싸고, 상기 지수벽(6)의 전면부 하부측에는 정방형의 형태로서 강철재질의 전면부와 밀폐력과 수압에 대한 완충작용의 효과를 위한 고무재질의 후면부로 구성된 자동수문이 물의 흐름에 의해 전방측으로만 열리도록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부가 후방측으로 3∼5°정도 기울여져 전면부의 상부측은 지수벽(6)과 힌지부(8)에 의해 결합되어 전방측으로만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인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도 본 출원인이 2008년 04월 17일자로 출원하여 2011년 02월 25일자로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019795호에 배수로가 형성된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에 출구가 있고 상부에 구성된 권양기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인양수문이 형성된 수문장치에 있어서, 구조물(1, 100)을 보호하기 위해 배수높이의 1.3배가 되게 설치되며, 인양수문(3, 700)이 설치되는 기둥의 전·후방측으로 정방형의 철강재질의 플레이트(6a)와 상기 플레이트(6a)의 뒤틀림방지 및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플레이트(6a)보다는 약간의 두께를 가진 가로와 세로로 엮인 보강재(6a)로 구성된 전면부와, 지수력을 높임과 동시에 역류하여 구조물(1, 100)에 부딪히는 물의 수압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후면부로 구성된 지수벽(6)과; 상기 지수벽(6)의 전면부 하부측에는 정방형의 형태로서 강철재질의 전면부와, 밀폐력과 수압에 의한 완충작용의 효과를 위한 고무재질의 후면부로 구성되되, 물의 흐름에 의해 전방측으로만 열리도록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부가 후방측으로 3∼5°정도 기울여져 전면부의 상부측은 힌지부(8, 401)에 힌지결합에 의해 전방측으로만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자동수문(7, 400)과; 상기 자동수문(7, 400)을 인양시키는 인양수단(20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인양수단(2000)은 구조물(100)의 상부면에 설치된 권양기(200)에 의해 권양 되는 와이어(300)를 상부로 권양함에 자동수문(400)과 결합 된 사각 테두리형태의 프레임(600)이 구조물(100)의 출구(900)측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인(500)을 따라 수직으로 인양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자동수문(400)은 상기 프레임(600)의 전면부에서 힌지부(401)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부(40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전방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사각 테두리형태의 프레임(600)은 양 측벽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600)이 상기 가이드레인(500) 내에서 원활히 상하인양 및 전후이동 되도록 하는 베어링(601)과, 상기 프레임(600)이 상기 가이드레인(500) 내로 삽입되는 측의 전후면 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패킹부재(602)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자동수문을 인양하는 수단을 가지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는 지수력이 높아 구조물을 보호하기에는 탁월하지만 구조물 내의 배수로 통로에 물이 차 있는 경우 점검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지수벽을 해체한 후 구조물 내로 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수벽에 점검구를 형성하여 청소 또는 비상점검상황시 손쉽게 구조물 내로 작업자가 투입할 수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는 배수로가 형성된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에 출구가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구성된 권양기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인양수문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지수벽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지수벽에는 구조물의 내부로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는 지수벽에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어 청소 또는 비상점검상황시 손쉽게 구조물 내로 작업자가 투입될 수 있으며, 또한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발생시 필요에 따라 점검구를 개방하여 자연배수 및 역수방지의 효과뿐만 아니라 인양수문을 보호하고 이중의 안전구조로 재해예방과 긴급상황에 대처가 용이하고 수밀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에서의 점검구가 개방된 상태의 측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에서의 점검구가 닫혀 있는 상태의 측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에서의 점검구가 닫혀 있는 상태의 정면 개요도.
본 발명 배수로가 형성된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하부에 출구가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1)의 상부에 구성된 권양기(4)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인양수문(3)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을 보호하기 위한 지수벽(6)이 설치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는 상기 지수벽(6)에 구조물(1)의 내부로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점검구(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점검구(61)에는 점검구(61)를 개폐하는 점검도어(62)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점검도어(62)는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점검구(61)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점검구(61)의 상부측 지수벽(6)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난간(66)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66)의 상면에는 와이어(64)가 감겨져 있는 권양기(63)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권양기(63)에 감겨 있는 와이어(64)의 일단은 점검도어(62)의 하단에 설치된 힌지에 연결되어 있어 권양기(63)의 구동에 의해 점검도어(62)는 전방으로 회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난간(66)의 끝단부에는 도르래(6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64)는 도르래(65)를 거쳐 점검도어(62)에 연결되어 있어 권양기(63)의 구동에 의해 점검도어(62)의 회동이 용이하여 권양기(63)에 발생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에서의 점검구가 개방된 상태의 측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에서의 점검구가 닫혀 있는 상태의 측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에서의 점검구가 닫혀 있는 상태의 정면 개요도이다.
참고로 정면 개요도에는 설명의 편의상 난간(66)과 권양기(63) 등의 구성은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수로가 형성된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하부에 출구가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1)의 상부에 구성된 권양기(4)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인양수문(3)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을 보호하기 위한 지수벽(6)이 설치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은 배경기술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 출원하여 등록된 문헌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기에 이를 참조하기 바란다.
지수벽(6)은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에 구조물과 인양수문을 보호하기 위해 시공되는 구조물로서, 본 발명에서의 지수벽(6)은 철강재로 시공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지수벽(6)의 시공시의 단점을 보완하여 인양수문(3)이 설치되는 기둥의 전·후측 상면을 정방형의 철강재질의 플레이트(6a)와 상기 플레이트(6a)의 전면에 뒤틀림방지 및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플레이트(6a)보다는 얇은 두께의 보강재(6b)가 가로와 세로로 역이도록 구성하였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플레이트(6a)의 두께는 10∼12t정도로 제작하고, 보강재(6b)의 두께는 6∼8t정도로 제작하도록 한다.
또한, 자동수문(7)은 기존의 3∼5°정도 기울여져 설치되는 것을 3∼6°정도 기울여지도록 설치하였다.
자동수문(7)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수벽(6)의 하부에 상단이 구조물(1) 또는 문틀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있어 인양수문(3)을 통과한 물의 압력에 의해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물의 압력에 의해 전방측으로만 열리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지수벽(6)에는 구조물(1)의 내부로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점검구(6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청소 또는 비상점검상황시 손쉽게 구조물 내로 작업자가 투입될 수 있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검구(61)에는 점검구(61)를 개폐하는 점검도어(62)가 설치된다.
상기 점검도어(62)는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점검구(61)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점검구(61)의 상부측 지수벽(6)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난간(66)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66)의 상면에는 와이어(64)가 감겨져 있는 권양기(6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난간(66)에는 사다리와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드나들기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권양기(63)에 감겨 있는 와이어(64)의 일단은 점검도어(62)의 하단에 설치된 인양용 힌지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권양기(63)의 구동에 의해 점검도어(62)는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권양기(63)는 핸들(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하거나, 모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 중 택일하거나, 핸들과 모터가 모두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난간(66)의 끝단부에는 도르래(65)가 설치되어 있고, 와이어(64)는 도르래(65)를 거쳐 점검도어(62)에 힌지연결되어 있기에 권양기(63)의 구동에 의해 점검도어(62)의 회동이 용이하여 권양기(63)에 발생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자동수문(7)도 필요에 따라 개방하여야 하나 자동수문(7)의 무게는 800㎏ 정도이기에 작업자의 힘만으로는 개방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종래에는 자동수문(7)에 또 다른 권양기(10)를 구조물(1)의 상부에 설치하여 자동수문(7)을 개방하였다.
상세한 구성 및 작동 그리고 도면부호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9795호 참조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자동수문(7)과 또 다른 권양기(10) 간에 와이어(11)를 연결하게 되면 점검도어(62)의 개방시 점검도어(62)의 회동에 간섭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64)의 끝단에 걸고리(도면부호 미도시)를 장착하고, 점검도어(62)의 하단과 자동수문(7)의 하단에 각각 걸고리와 체결가능한 구조의 걸림부(도면부호 미도시)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걸고리를 점검도어(62)의 걸림부에 체결하거나 자동수문(7)의 걸림부에 체결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도 2에서는 설명을 이해하기 위하여 점검도어(62)와 자동수문(7)에 모두 와이어(64)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난간(66)에 설치되는 하나의 권양기(63)만으로도 점검도어(62)와 자동수문(7)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되어 복수 개의 권양기가 설치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비용에 비해 설치비용 뿐만아니라 각각의 권양기를 유지보수하는 시간과 노력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는 지수벽에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어 청소 또는 비상점검상황시 손쉽게 구조물 내로 작업자가 투입될 수 있으며, 또한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발생시 필요에 따라 점검구를 개방하여 자연배수 및 역수방지의 효과뿐만 아니라 인양수문을 보호하고 이중의 안전구조로 재해예방과 긴급상황에 대처가 용이하고 수밀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구조물 3. 인양수문 4. 권양기
6. 지수벽 6a. 플레이트 6b. 보강재
7. 자동수문
61. 점검구 62. 점검도어 63. 권양기
64. 와이어 65. 도르래 66. 난간

Claims (4)

  1. 배수로가 형성된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하부에 출구가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1)의 상부에 구성된 권양기(4)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인양수문(3)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을 보호하기 위한 지수벽(6)이 설치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수벽(6)에는 구조물(1)의 내부로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점검구(61)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점검구(61)에는 점검구(61)를 개폐하는 점검도어(62)가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점검구(61)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점검구(61)의 상부측 지수벽(6)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난간(66)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66)의 상면에는 와이어(64)가 감겨져 있는 권양기(63)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권양기(63)에 감겨 있는 와이어(64)의 일단은 점검도어(62)의 하단에 설치된 힌지에 연결되어 있어 권양기(63)의 구동에 의해 점검도어(62)는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난간(66)의 끝단부에는 도르래(65)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64)가 도르래(65)를 거쳐 점검도어(62)에 연결되어 있어 권양기(63)의 구동에 의해 점검도어(62)의 회동이 용이하여 권양기(63)에 발생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64)의 끝단에 걸고리를 장착하고, 점검도어(62)의 하단과 자동수문(7)의 하단에 각각 걸고리와 체결가능한 구조의 걸림부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걸고리를 점검도어(62)의 걸림부에 체결하거나 자동수문(7)의 걸림부에 체결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지수벽(6)은 시공시의 단점을 보완하여 인양수문(3)이 설치되는 기둥의 전·후측 상면을 정방형의 철강재질의 플레이트(6a)와 상기 플레이트(6a)의 전면에 뒤틀림방지 및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플레이트(6a)보다는 얇은 두께의 보강재(6b)가 가로와 세로로 역이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플레이트(6a)의 두께는 10∼12t정도로 제작하고, 보강재(6b)의 두께는 6∼8t정도로 제작되며,
    상기 자동수문(7)은 기존의 3∼5°정도 기울여져 설치되 있는 것에 비해 3∼6°정도 기울여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93127A 2022-07-27 2022-07-27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KR102478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127A KR102478461B1 (ko) 2022-07-27 2022-07-27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127A KR102478461B1 (ko) 2022-07-27 2022-07-27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461B1 true KR102478461B1 (ko) 2022-12-15

Family

ID=8443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127A KR102478461B1 (ko) 2022-07-27 2022-07-27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4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229A (ko) * 2005-01-26 2006-07-31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통로암거 비상게이트의 설치구조
KR20090109938A (ko) * 2008-04-17 2009-10-21 동근한 자동수문을 인양하는 수단을 가지는 지수벽 일체형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KR101083577B1 (ko) * 2011-03-10 2011-11-14 태경개발(주) 수중 구조물에 2이상의 대향면이 개방된 보수작업용 원통형 블랙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229A (ko) * 2005-01-26 2006-07-31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통로암거 비상게이트의 설치구조
KR20090109938A (ko) * 2008-04-17 2009-10-21 동근한 자동수문을 인양하는 수단을 가지는 지수벽 일체형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KR101083577B1 (ko) * 2011-03-10 2011-11-14 태경개발(주) 수중 구조물에 2이상의 대향면이 개방된 보수작업용 원통형 블랙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795B1 (ko) 자동수문을 인양하는 수단을 가지는 지수벽 일체형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KR100768082B1 (ko)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101421226B1 (ko) 수밀부재 보호기능을 구비한 수문
KR102478461B1 (ko)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KR101220424B1 (ko) 인양식 수문
CN2764938Y (zh) 矿井防水闸门关闭装置
JP5066659B2 (ja) 非常用防護装置
JP6386731B2 (ja) 止水装置
KR100634415B1 (ko) 통로암거 비상게이트의 설치구조
KR200426008Y1 (ko)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JP3955235B2 (ja) 昇降式防水扉装置
KR102463409B1 (ko) 게이트 휴지장치
CN106869298B (zh) 一种溢流口快开门结构
JP4073195B2 (ja) 水圧駆動式の防水装置
KR102021334B1 (ko)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
US4877537A (en) Pumping system for gates
KR20160013363A (ko) 인양식 수문장치의 문틀 플레이트
KR102566704B1 (ko) 횡형 게이트
KR100736028B1 (ko)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KR101252186B1 (ko) 방조제에서 이용할 수 있는 동기식 인양 방수문
JP4486765B2 (ja) 排水路の排水設備
JP6490473B2 (ja) 引上げ式フラップインゲート設置工法
JP3742776B2 (ja) 制水扉付きゲートポンプ設備
JP5091830B2 (ja) 可動堰
KR102198358B1 (ko) 고정핀을 이용한 스크린 및 수문 훼손방지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