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409B1 - 게이트 휴지장치 - Google Patents

게이트 휴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409B1
KR102463409B1 KR1020220095767A KR20220095767A KR102463409B1 KR 102463409 B1 KR102463409 B1 KR 102463409B1 KR 1020220095767 A KR1020220095767 A KR 1020220095767A KR 20220095767 A KR20220095767 A KR 20220095767A KR 102463409 B1 KR102463409 B1 KR 102463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hook rod
electric cylinder
coupl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춘
김보옥
진창호
Original Assignee
(주)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닉스 filed Critical (주)엠닉스
Priority to KR102022009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 휴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방 구조물에 설치되어 권양기에서 감김되거나 풀림되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게이트를 휴지시키는 게이트 휴지장치로서, 게이트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방향으로는 걸림공이 형성돼 있는 고정브라켓; 고정브라켓 상부의 제방 구조물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팅브라켓; 마운팅브라켓에 결합되어 구속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되면서 고정브라켓의 걸림공에 걸림되거나 해제되는 휴지해머를 갖는 후크로드;를 포함하는 게이트 휴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게이트 휴지장치{Dogging devices for gate}
본 발명은 게이트 휴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댐이나 대형 담수 설비, 발전 설비 등에 설치되는 수문을 들어 올린 상태로 고정하는 게이트 휴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수지, 댐 등은 하천 연안에 있는 호수 또는 평지나 넓은 하도(河道) 안에 일시적으로 홍수량의 일부를 저수하는 곳으로, 하천을 완전히 제방으로 둘러 쌓아 물을 저수하고, 저수한 물은 하천의 물이 감수함에 따라 제방의 일부에 형성되는 수문 등에 의하여 하천으로 보내진다.
이러한 수문을 개폐 작동은 중대형 수문이나 수압이 강하게 작용하는 수문에서는 와이어식 권양기가 사용되고, 이와 더불어 수문을 장기간 열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휴지장치(休止裝置, Dogging Device)도 더 설치되어 구비된다.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0369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서 '게이트 자동 휴지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1에는 인양장치에 의하여 권상되는 게이트를 휴지시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게이트를 고정시키는 후크 걸림쇠와, 상기 후크 걸림쇠에 끼워져 게이트를 고정하는 휴지용 후크 및 상기 휴지용 후크를 힌지를 중심으로 요동시켜 후크 걸림쇠에 결합시키는 실린더로 이루어진 게이트 자동 휴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종래의 게이트 자동 휴지장치는, 휴지용 후크와 후크 걸림쇠의 결합이 견고하지 않아, 휴지(休止) 중에 게이트의 낙하로 인한 사고가 우려될 뿐만 아니라, 휴지용 후크를 요동시키는 실린더의 추가 제작 등으로 인하여 초기 설치비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8-111217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 개시된 게이트 자동 휴지장치는, 수문의 비체(6)에 고정되고, 슬릿(13)이 개구된 인괘부재(5), 기대(11)에 설치되어 회전부재(12)에 의해 적하로드(1)를 회전시키는 외통(15), 회전에 의해 화살촉부(1b)가 인괘부재(5)에 걸리거나 또는 해제 되도록 구성되는 적하로드(1)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종래의 게이트 자동 휴지장치는, 적하로드(1)가 캠형의 회전부재(12)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뿐만 아니라 승하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어서, 즉 2개 동작(회전 및 승하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어서, 수문의 비체(6) 및 적하로드(1)가 중량체임을 감안할 때 적하로드(1)를 회전시키는 동력이 많이 소요되고, 회전부재(12)에 많은 부하가 걸려 성능 저하 및 내구성 등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0369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8-11121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문을 들어올려 고정한 장기간 휴지상태에서도 수문의 유동을 견고히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우려를 해소한 게이트 휴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는, 제방 구조물에 설치되어 권양기에서 감김되거나 풀림되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게이트를 휴지시키는 게이트 휴지장치로서, 게이트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방향으로는 걸림공이 형성돼 있는 고정브라켓; 고정브라켓 상부의 제방 구조물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팅브라켓; 마운팅브라켓에 결합되어 구속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90도 제자리 회전되면서 고정브라켓의 걸림공에 걸림되거나 해제되는 휴지해머를 갖는 후크로드;를 포함하되, 후크로드는 그 상부가 베이스프레임을 관통한 상태로 구비되고, 베이스프레임을 상방으로 관통한 후크로드에는 복수의 너트로 이루어진 로크너트가 체결되어 베이스프레임에서 후크로드가 이탈됨을 방지하게 되고, 후크로드에는 이에 고정되는 회전레버가 구비되고, 회전레버에는 이를 회전시키는 전동실린더가 각각 구비되는 한편, 전동실린더는 그 일단부가 마운팅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회전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로드가 전동실린더에서 출입되게 구비되고, 전동실린더는 일측이 베이스프레임에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작동로드가 출몰하면서 회전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운팅브라켓의 범위를 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베이스프레임에서 와이어드럼 구동축과 직교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회전레버가 90도 각도로 정회전됨과 동시에 후크로드 역시도 90도 정회전되면서 휴지해머의 걸림돌부가 수문의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림된 상태가 되므로 수문은 그 상태로 그대로 고정되어 휴지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브라켓은 한쌍의 사다리꼴 형상의 측판과 그 측판이 놓인 장방형의 밑판과 양측판 사이에서 밑판에 놓인 상태로 결합되는 장방형의 연결판 및 측판 외측에서 밑판에 놓인 상태로 측판에 결합되는 한쌍의 사다리꼴 형상의 보강판을 구비하는 한편, 밑판에는 측판 외측으로 다수의 연결공이 형성되어 수문과 볼트를 통해 탈부착할 수 있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게이트 휴지장치에 따르면, 수문을 장기간 들어올려 고정한 상태의 휴지상태에서도 수문의 유동을 방지한 채로 견고히 고정함으로써 수문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고, 권양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가 적용된 수문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가 적용된 수문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가 적용된 수문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 및 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방 구조물(1)에 설치되어 권양기(20)에서 감김되거나 풀림되는 와이어로프(22)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게이트 즉 수문(10)을 고정된 상태로 휴지시키는 휴지장치(100)를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휴지장치(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휴지장치(100)가 적용된 수문(1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수문(10)은 제방 구조물(1)의 일측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제방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수문(10)의 양측편에는 제방 구조물(1)에 접한 상태로 구름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11)가 구비되어 수문(10)의 상하 이동을 원활히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수문(10)의 개폐는 제방 구조물(1)에 고정 설치되는 권양기(20)에 의해 이루어게 된다. 여기서 권양기는 단수(1모터 1드럼) 또는 복수 (1모터 2드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권양기(2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복수의 권양기(20)는 제방 구조물(1)의 상면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24)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복수의 권양기(20)는 제방 구조물(1) 상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양 권양기(20)는 각각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되게 구비되는 와이어드럼(21)과, 와이어드럼(21)에 권취되어 감김되거나 풀림되고 수문(10)의 시브(23)에 걸림되어 수문(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와이어로프(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와이어로프(22)는 그 단부가 와이어로프(22)에서 인출되어 수문(10)의 시브(23)에 걸림된 후, 와이어로프(22)의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장치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한편, 장력 검출장치와 이격된 베이스프레임(24)의 일측에는 권양기(2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 수문(10)을 이동된 상태로 그대로 고정시켜 휴지시키는 복수의 휴지장치(100)가 수문(10)의 양 고정브라켓(200)에 각각 걸림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휴지장치(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10)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수직하게 세워진 복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200)과, 베이스프레임(24)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팅브라켓(110)과, 마운팅브라켓(110)에 결합되어 구속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되는 후크로드(120)를 포함한다.
고정브라켓(200)을 이루는 서로 마주하는 양 플레이트, 즉 측판(210)에는 천공된 걸림공(201)이 형성되고, 양 걸림공(201)에는 후술될 후크로드(120)의 휴지해머(123)가 걸림되게 구비된다.
후크로드(120)는 그 상부가 베이스프레임(24)을 관통한 상태로 구비되고, 베이스프레임(24)을 상방으로 관통한 후크로드(120)에는 복수의 너트로 이루어진 로크너트(122)가 체결되어 베이스프레임(24)에서 후크로드(120)가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로크너트(122) 상부의 후크로드(120) 상단부에는 회전레버(121)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로크너트(122)와 베이스프레임(24) 사이의 후크로드(120)에는 로크너트(122)의 풀림을 더욱 견고히 방지하기 위한 와셔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크로드(120)의 하단부에는 수문(10)의 고정브라켓(200)에 형성된 걸림공(201)에 걸림되거나 해제되는 휴지해머(123)가 구비되고, 휴지해머(123)는 그 양측부가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고정브라켓(200)의 걸림공(201)에 걸림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후크로드(120)는 마운팅브라켓(110)에서 전후 방향으로 90도 제자리 회전되게 구비되고, 중량체인 후크로드(120)의 용이한 회전을 위해 각 회전레버(121)에는 전동실린더(130)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고정브라켓(200)은 한쌍의 사다리꼴 형상의 측판(210)과 그 측판이 놓인 장방형의 밑판(220)과 양측판 사이에서 밑판에 놓인 상태로 결합되는 장방형의 연결판(230) 및 측판 외측에서 밑판에 놓인 상태로 측판에 결합되는 한쌍의 사다리꼴 형상의 보강판(240)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한쌍의 사다리꼴 형상의 측판(210)은 짤은변이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됨에 따라 후크로드(120)의 휴지해머(123)가 걸림공(201)에 걸린 상태, 즉 휴지 상태에서도 고정브라켓(200)이 변형 없이 수문의 중량을 견딜 수 있게 된다.
한편, 밑판(220)에는 측판 외측으로 다수의 연결공(221)이 형성되어 수문(10)과 볼트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이로서, 고정브라켓(200)을 수문과 탈부착할 수 있게 되어 게이트 휴지장치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전동실린더(130)는 유압실린더로서, 그 일단부가 마운팅브라켓(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회전레버(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로드(131)가 전동실린더(130)에서 출입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에 양 전동실린더(130)는 유압 또는 스크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되게 구비된다.
특히, 전동실린더(130)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각 회전레버(121)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동실린더(130)는 일측이 베이스프레임(24)에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대(25)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작동로드(131)가 출몰하면서 회전레버(121)를 회전시키루 수있도록 마운팅브라켓(110)의 범위를 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전동실린더(130)는 베이스프레임(24)에서 와이어드럼 구동축(26)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전동실린더(130)의 작동 전에는 양 휴지장치(100)의 회전레버(121)가 각각 도 6의 상부 도면에서와 같이 5시 30분 및 7시 30분 방향의 45도 각도로 기울어져 위치돼 있다가 전동실린더(130)에서 작동로드(131)가 인출되면 양 회전레버(121)는 도 6의 가운데 도면에서와 같이 3시 방향 및 9시 방향의 일직선상을 지나 도 6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1시 30분 및 10시 30분 방향의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위치된다.
따라서, 양 회전레버(121)가 90도 각도로 정회전됨과 동시에 후크로드(120) 역시도 90도 정회전되면서 휴지해머(123)의 걸림돌부(123a)가 수문(10)의 고정브라켓(200)에 형성된 걸림공(201)에 삽입되어 걸림된 상태가 되므로 수문(10)은 그 상태로 그대로 고정되어 휴지된 상태가 된다.
이후, 전동실린더(130)에서 인출된 작동로드(131)가 다시 인입되면, 양 회전레버(121)는 90도 각도로 역회전되어 원위치되고, 각 회전레버(121)와 함께 후크로드(120)가 역회전되면서 고정브라켓(200)의 걸림공(201)에 삽입돼 있던 휴지해머(123)의 걸림돌부(123a)가 빠져나와 양 걸림공(201) 사이에 나란히 위치되어 수문(10)의 휴지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휴지장치(100)는 도 7에서와 같이, 양 후크로드(120)에 각각 회전레버(121)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양 회전레버(121) 중 일측의 회전레버(121)에는 양 회전레버(121)를 함께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실린더(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회전레버(121)에는 제1,2 링크(140)(141)의 일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링크(140)의 타단부에는 제1 링크(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40a)이 구비되며, 제2 링크(141)의 타단부에는 제1 링크(140)의 슬라이드홈(140a)에 이동되게 결합되는 이동블록(141a)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제1 링크(140)의 슬라이드홈(140a)은 사각의 홈 또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록(141a)은 그 양측부가 슬라이드홈(140a)의 양 내주면에 가이드되어 이동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전동실린더(130)의 작동 전에는 양 휴지장치(100)의 회전레버(121)가 각각 도 7의 상부 도면에서와 같이 10시 30분 및 1시 30분 방향의 45도 각도로 기울어져 위치되고, 각 회전레버(121)에 연결된 제1,2 링크(140)(141)가 "∨"자 형상을 이룬 상태로 수문(10)의 전면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전동실린더(130)에서 인출돼 있던 작동로드(131)가 인입되면, 양 회전레버(121)는 도 7의 가운데 도면에서와 같이 9시 및 3시 방향의 일직선상을 지나 도 7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7시 30분 및 4시 30분 방향의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위치된다.
이때, 제1,2 링크(140)(141)는 제2 링크(141)의 이동블록(141a)이 도 7의 가운데 도면에서와 같이 제1 링크(140)의 슬라이드홈(140a)의 말단부에서 선단부 측으로 이동되었다가 도 7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다시 슬라이드홈(140a)의 말단부로 원위치되면서 제1,2 링크(140)(141)가 "∧"자 형상을 이룬 상태로 수문(10)의 후면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면서 양 회전레버(121)를 동기화시켜 일체로 회전되게 한다.
따라서, 양 회전레버(121)는 90도 정회전된 상태이고, 후크로드(120) 역시도 90도 정회전된 상태로서, 휴지해머(123)의 걸림돌부(123a)가 수문(10)의 고정브라켓(200)에 형성된 걸림공(201)에 삽입되어 걸림된 상태가 되므로 수문(10)은 그 상태로 그대로 고정되어 휴지된 상태가 된다.
이후, 전동실린더(130)에 인입된 작동로드(131)가 다시 인출되면, 양 회전레버(121)는 동시에 90도 각도로 역회전되어 원위치되고, 각 회전레버(121)와 함께 후크로드(120)가 역회전되면서 고정브라켓(200)의 걸림공(201)에 삽입돼 있던 휴지해머(123)의 걸림돌부(123a)가 빠져나와 양 걸림공(201) 사이에 나란히 위치되어 휴지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휴지장치(100)는 도 8에서와 같이, 양 후크로드(120)에 회전레버(121)가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고, 양 회전레버(121) 중 일측의 회전레버(121)에는 양 회전레버(121)를 함께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실린더(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회전레버(121)에는 제1,2 링크(150)(151)의 일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2 링크(150)(151)의 타단부에는 양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링크(152)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링크(152)는 그 중앙부가 마운팅브라켓(110)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부(152a)를 축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이때, 제1 링크(150)는 제방 구조물(1)의 후면 측에서 수문(10)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2 링크(151)는 제방 구조물(1)의 전면 측에서 수문(10)과 평행하게 위치되며, 제1,2 링크(150)(151)를 연결하는 연결링크(152)는 사선 방향으로 위치되어 구비된 상태로서, 이 상태는 전동실린더(130)의 작동 전 상태이다.
즉, 전동실린더(130)에 작동로드(131)가 인입된 작동 전 상태에서는 양 휴지장치(100)의 회전레버(121)와 연결링크(152)가 각각 도 8의 상부 도면에서와 같이 10시 30분 방향에서 5시 30분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되고, 각 회전레버(121)에 연결된 제1,2 링크(150)(151)가 각각 수문(10)과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전동실린더(130)에 인입돼 있던 작동로드(131)가 인출되면, 양 회전레버(121)와 연결링크(152)는 도 8의 가운데 도면에서와 같이 수문(10)과 직교되는 방향의 위치를 지나 도 8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1시 30분 방향에서 7시 30분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90도 각도로 정회전되는 양 회전레버(121)와 연결링크(152)는 이에 연결된 제1,2 링크(150)(151)가 수문(10)과 평행한 상태에서 좌우 측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동기화되어 일체로 회전된다.
따라서, 양 회전레버(121)와 연결링크(152)는 90도 정회전된 상태이고, 이에 따라 후크로드(120) 역시도 90도 정회전된 상태로서, 휴지해머(123)의 걸림돌부(123a)가 수문(10)의 고정브라켓(200)에 형성된 걸림공(201)에 삽입되어 걸림된 상태가 되므로 수문(10)은 그 상태로 그대로 고정되어 휴지된 상태가 된다.
이후, 전동실린더(130)에서 인출된 작동로드(131)가 다시 인입되면, 양 회전레버(121)와 연결링크(152)는 제1,2 링크(150)(151)에 의해 일체로 90도 각도로 역회전되어 원위치되고, 각 회전레버(121)와 함께 후크로드(120)가 역회전되면서 고정브라켓(200)의 걸림공(201)에 삽입돼 있던 휴지해머(123)의 걸림돌부(123a)가 빠져나와 양 걸림공(201) 사이에 나란히 위치되어 수문(10)의 휴지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휴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휴지장치(100)는 도 9에서와 같이, 양 후크로드(120)에 회전레버(121)가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고, 양 회전레버(121) 중 일측의 회전레버(121)에는 양 회전레버(121)를 함께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실린더(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양 회전레버(121) 사이에는 양 회전레버(12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크(160)가 구비되고, 연결링크(160)는 일측 회전레버(121)의 후단부와 타측 회전레버(121)의 선단부를 연결하도록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된다.
이로써, 전동실린더(130)의 작동 전 즉 작동로드(131)가 인입된 상태에서는 양 회전레버(121) 중 일측(좌측) 회전레버(121)는 도 9의 상부 도면에서와 같이 10시 30분에서 5시 30분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되고, 타측(우측) 회전레버(121)는 7시 30분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전동실린더(130)에 인입돼 있던 작동로드(131)가 인출되면, 양 회전레버(121)는 연결링크(160)에 의해 도 9의 가운데 도면에서와 같이 수문(10)과 직교되는 방향의 위치를 지나 도 9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좌측 회전레버(121)는 1시 30분 방향에서 7시 30분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되고, 우측 회전레버(121)는 5시 30분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양 회전레버(121)는 이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지만, 이는 후크로드(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든 90도 회전된 상태에서는 휴지해머(123)의 걸림돌부(123a)가 고정브라켓(200)의 걸림공(201)에 위치되기 때문에, 양 회전레버(121)의 회전 방향이 서로 달라도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양 회전레버(121)는 연결링크(160)에 의해 동시에 90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이고, 이에 따라 후크로드(120) 역시도 90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서, 휴지해머(123)의 걸림돌부(123a)가 수문(10)의 고정브라켓(200)에 형성된 걸림공(201)에 삽입되어 걸림된 상태가 되므로 수문(10)은 그 상태로 그대로 고정되어 휴지된 상태가 된다.
이후, 전동실린더(130)에서 인출된 작동로드(131)가 다시 인입되면, 양 회전레버(121)는 연결링크(160)에 의해 각각 90도 각도로 역회전되어 원위치되고, 각 회전레버(121)와 함께 후크로드(120)가 역회전되면서 고정브라켓(200)의 걸림공(201)에 삽입돼 있던 휴지해머(123)의 걸림돌부(123a)가 빠져나와 양 걸림공(201) 사이에 나란히 위치되어 수문(10)의 휴지상태가 해제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제방 구조물 10 : 수문
11 : 가이드롤러 20 : 권양기
21 : 와이어드럼 22 : 와이어로프
23 : 시브(sheave) 24 : 베이스프레임
100 : 휴지장치 110 : 마운팅브라켓
120 : 후크로드 121 : 회전레버
122 : 로크너트 123 : 휴지해머
123a : 걸림돌부 130 : 전동실린더
131 : 작동로드 140 : 제1 링크
140a : 슬라이드홈 141 : 제2 링크
141a : 이동블록 150 : 제1 링크
151 : 제2 링크 152 : 연결링크
152a : 힌지부 160 : 연결링크
200 : 고정브라켓 201 : 걸림공

Claims (6)

  1. 제방 구조물에 설치되어 권양기에서 감김되거나 풀림되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게이트를 휴지시키는 게이트 휴지장치로서,
    게이트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방향으로는 걸림공이 형성돼 있는 고정브라켓;
    고정브라켓 상부의 제방 구조물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팅브라켓;
    마운팅브라켓에 결합되어 구속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90도 제자리 회전되면서 고정브라켓의 걸림공에 걸림되거나 해제되는 휴지해머를 갖는 후크로드;를 포함하되,
    후크로드는 그 상부가 베이스프레임을 관통한 상태로 구비되고, 베이스프레임을 상방으로 관통한 후크로드에는 복수의 너트로 이루어진 로크너트가 체결되어 베이스프레임에서 후크로드가 이탈됨을 방지하게 되고,
    후크로드에는 이에 고정되는 회전레버가 구비되고, 회전레버에는 이를 회전시키는 전동실린더가 각각 구비되는 한편,
    전동실린더는 그 일단부가 마운팅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회전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로드가 전동실린더에서 출입되게 구비되고,
    전동실린더는 일측이 베이스프레임에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작동로드가 출몰하면서 회전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운팅브라켓의 범위를 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베이스프레임에서 와이어드럼 구동축과 직교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회전레버가 90도 각도로 정회전됨과 동시에 후크로드 역시도 90도 정회전되면서 휴지해머의 걸림돌부가 수문의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림된 상태가 되므로 수문은 그 상태로 그대로 고정되어 휴지된 상태가 되는 게이트 휴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브라켓은 한쌍의 사다리꼴 형상의 측판과 그 측판이 놓인 장방형의 밑판과 양측판 사이에서 밑판에 놓인 상태로 결합되는 장방형의 연결판 및 측판 외측에서 밑판에 놓인 상태로 측판에 결합되는 한쌍의 사다리꼴 형상의 보강판을 구비하는 한편,
    밑판에는 측판 외측으로 다수의 연결공이 형성되어 수문과 볼트를 통해 탈부착할 수 있게 결합되는 게이트 휴지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95767A 2022-08-02 2022-08-02 게이트 휴지장치 KR102463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767A KR102463409B1 (ko) 2022-08-02 2022-08-02 게이트 휴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767A KR102463409B1 (ko) 2022-08-02 2022-08-02 게이트 휴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409B1 true KR102463409B1 (ko) 2022-11-09

Family

ID=8404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767A KR102463409B1 (ko) 2022-08-02 2022-08-02 게이트 휴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846B1 (ko) 2023-03-21 2023-08-18 박수호 비상 구동이 가능한 수문 개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1217A (ja) 1981-12-24 1983-07-02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ボタン型複合接点の製造方法
KR20040100369A (ko) 2003-05-22 2004-12-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게이트 자동 휴지장치
KR20110034962A (ko) * 2009-09-29 2011-04-06 우일산업 주식회사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수문낙하 방지장치
KR102080024B1 (ko) * 2019-10-07 2020-02-21 주식회사 신정기공 저층수 배출기능을 갖춘 가동보
KR102336761B1 (ko) * 2021-08-12 2021-12-08 거성이엔지 주식회사 처짐방지락킹부를 갖는 드럼권양기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1217A (ja) 1981-12-24 1983-07-02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ボタン型複合接点の製造方法
KR20040100369A (ko) 2003-05-22 2004-12-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게이트 자동 휴지장치
KR20110034962A (ko) * 2009-09-29 2011-04-06 우일산업 주식회사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수문낙하 방지장치
KR102080024B1 (ko) * 2019-10-07 2020-02-21 주식회사 신정기공 저층수 배출기능을 갖춘 가동보
KR102336761B1 (ko) * 2021-08-12 2021-12-08 거성이엔지 주식회사 처짐방지락킹부를 갖는 드럼권양기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846B1 (ko) 2023-03-21 2023-08-18 박수호 비상 구동이 가능한 수문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3409B1 (ko) 게이트 휴지장치
KR100685863B1 (ko)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수문 권양장치
US6123376A (en) Load clamping and lifting apparatus
JP5106515B2 (ja) 取水装置及び取水装置において用いられる補助ゲート装置
KR101475730B1 (ko)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100832126B1 (ko)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
JP5926152B2 (ja) 親子式フラップゲート
CN106869298B (zh) 一种溢流口快开门结构
KR101046404B1 (ko) 유압식 수문의 권양 장치
JP2003336454A (ja) 昇降式防水扉装置
KR100891175B1 (ko) 수문의 개폐장치
CN214003893U (zh) 一种建筑工地用卷扬机
KR102271253B1 (ko) 수문용 권양기
KR101831394B1 (ko) 와이어 로프 인양용 수문
KR100752305B1 (ko) 가동수문의 유압 권양기
CN218145561U (zh) 一种智能抓斗起重机卷筒防脱绳器
DE1481879A1 (de) Hubvorrichtung mit Zusatzgeraet
KR102478461B1 (ko)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RU87391U1 (ru) Аварийно-техническ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сетей трамваев и троллейбусов
KR100941329B1 (ko) 댐 수문 정비용 스톱 로그 탈부착용 크레인 지그장치
CN215562419U (zh) 溢洪闸门启闭机
KR102446847B1 (ko) 와이어로프의 장력 검출장치
RU219089U1 (ru) Механизм перемещения полотна шлюз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локализующей системы безопасности аэс с байонетным зацеплением полотен
US2216070A (en) Dipper stick for power shovels or the like
CN220376297U (zh) 用于竖井灌浆的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