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459B1 - 직원의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직원의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459B1
KR102478459B1 KR1020220028814A KR20220028814A KR102478459B1 KR 102478459 B1 KR102478459 B1 KR 102478459B1 KR 1020220028814 A KR1020220028814 A KR 1020220028814A KR 20220028814 A KR20220028814 A KR 20220028814A KR 102478459 B1 KR102478459 B1 KR 102478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work schedule
attendance
schedule
employ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허 히
지에 리
카이지앙 리우
레밍 류
손호연
쳉메이 피아오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8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459B1/ko
Priority to PCT/KR2022/003270 priority patent/WO2023171830A1/ko
Priority to KR1020220173652A priority patent/KR20230131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459B1/ko
Priority to TW112107778A priority patent/TW202336659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7Benefits or employee welfare, e.g. insurance, holiday or retirement pack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7Task assign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직원의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근무 스케줄의 적용 대상이 되는 직원들의 근무 관련 정보를 근무 그룹 별로 획득하여, 직원들의 출근 목표치와 근무 규정 조건을 고려한 근무 스케줄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직원의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ELECTRONIC APPARATUS FOR MANAGING EMPLOYEE'S WORK SCHEDULE AND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직원의 휴무 조건을 반영하여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5일제로 대표되는 근로자의 근무 형태는 주말을 휴무일로 하고, 주중에 근무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근무의 종류에 따라서 일부 근로자에게는 이처럼 고정적으로 휴무일을 할당하는 것이 적절치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배송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경우, 주말에도 배송이 이루어져야 하는 업무의 특성상 휴무일을 보다 유동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모든 근로자가 각자 원하는 때에 휴무를 하게 된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일부 시점에 휴무가 편중되어 업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근로자가 선호하는 휴무일을 적극 반영하면서도 업무량, 근무 규정 등을 두루 고려하여 근로자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효율적인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JP2008-181289A 건이나 JP5125907B2 건 등의 선행문헌들을 참조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근무 그룹 별로 분류된 직원들에 대해 각 그룹 별 근무 및 인원에 관한 정보, 근무 규정 등을 반영하여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의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은,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예상 업무량 정보 및 상기 보충 인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출근 목표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근 목표치 및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근무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무 그룹은, 근무 시간대, 근무 지점, 업무 유형 및 업무 숙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무 시간대는, 주간 근무 시간대 및 야간 근무 시간대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유형은, 배송 업무 및 지점 내 물류 업무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숙련도는, 초보자(newbie) 상태 및 숙련자(normal)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예상 업무량 정보는, 각 근무 그룹 내 일별 예상 업무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충 인원 정보는, 각 근무 그룹 별로 임시 모집된 직원 외 일별 인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근 목표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상 업무량 정보 및 상기 보충 인원 정보에 따라 산출되는 최대 업무량을 소화할 수 있는 최소 출근 인원 또는 최소 출근 퍼센티지를 상기 출근 목표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최소 출근 퍼센티지는, 상기 근무 그룹 별 예상 가용 인원 대비 상기 최소 출근 인원의 비율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무 규정 조건은, 주당 최소 휴무 일수 조건, 최대 연속 근무 일수 조건 및 직원 별 선호 휴무일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당 최소 휴무 일수 조건은, 직원 별 휴무 일수는 주당 최소 2개 이상 부여될 것을 조건으로 하고, 상기 최대 연속 근무 일수 조건은, 직원 별 연속 근무 일수는 8일을 초과할 수 없는 것을 조건으로 하고, 상기 직원 별 선호 휴무일 조건은, 월별로 최소 1회는 직원 별 선호 휴무일이 반영될 것을 조건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무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근무 규정 조건을 충족하면서, 상기 근무 스케줄에 따른 상기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출근 예상치와 상기 출근 목표치 사이의 갭(Gap)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근무 스케줄을 최종 근무 스케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무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근무 규정 조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근무 그룹 별로 직원들의 휴무일을 설정하여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근무 그룹 별로, 상기 후보 근무 스케줄에 따른 직원들의 출근 예상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근무 그룹 별로, 상기 출근 목표치와 상기 출근 예상치 사이의 갭(Gap)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근무 그룹 별로, 기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근 예상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갭을 산출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상기 반복 수행의 결과 산출된 갭 중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에 대응하는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상기 최종 근무 스케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근 예상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근무 그룹 별 예상 출근 인원 또는 예상 출근 퍼센티지를 상기 출근 예상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예상 출근 퍼센티지는, 상기 근무 그룹 별 예상 가용 인원 대비 상기 예상 출근 인원의 비율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최종 근무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갭 각각에 대응하는 후보 근무 스케줄 중 직원 별 선호 휴무일의 반영 비율이 가장 높은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상기 최종 근무 스케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은, 직원 단말로부터 두 직원 사이의 휴무일 교환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무일 교환 신청이 유효한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휴무일 교환 신청이 유효한 경우, 상기 두 직원 사이의 휴무일을 교환하여 근무 스케줄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휴무일 교환 신청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무일 교환 신청을 전송한 직원 단말로 상기 두 직원 사이의 휴무일 교환이 불가함을 알리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근무 스케줄에 대한 조회 권한이 있는 관리자로부터 상기 근무 스케줄에 대한 수정 요청 사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근무 스케줄에 상기 수정 요청 사항을 반영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근무 스케줄에 대한 확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확정 명령에 따라 발생한 확정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근무 스케줄을 직원 관리 서버에 배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근무 스케줄이 생성된 시점에 기반하여 설정된 마감 일시까지 상기 근무 스케줄에 대한 확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근무 스케줄을 직원 관리 서버에 배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근무 스케줄이 배포된 이후, 상기 근무 스케줄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신규 직원이 입사한 경우, 상기 근무 규정 조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신규 직원의 휴무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라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는, 트랜시버,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예상 업무량 정보 및 상기 보충 인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출근 목표치를 설정하고, 상기 출근 목표치 및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근무 스케줄을 생성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근무 그룹 별 업무 및 인원에 관한 정보를 반영한 출근 목표치와 사전에 설정된 근무 규정을 두루 고려하여 근무 스케줄을 생성함으로써, 회사의 필요와 직원들의 선호를 적절히 반영하여 근무 스케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출근 목표치와 여러 근무 스케줄에 따른 출근 예상치 사이의 갭이 조건을 만족하도록 최종적인 근무 스케줄을 결정함으로써, 다양한 근무 스케줄 중에서 보다 높은 업무 효율을 담보하는 근무 스케줄을 선별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스케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계 S230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근무 스케줄 생성 이후, 일 실시예에 따라 근무 스케줄을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6은 각각 근무 스케줄 생성 이후, 일 실시예에 따라 근무 스케줄을 배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근무 스케줄 생성 이후, 일 실시예에 따라 신규 직원의 휴무일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와 달리 구체적 동작에 있어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메시지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메시지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메시지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메시지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메시지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스케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스케줄 관리 시스템(100)은 전자 장치(110), 직원 단말(120) 및 직원 관리 서버(130)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직원들의 근무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직원들의 휴무 조건을 반영하면서도 근무에 차질이 없도록 해당 직원들에게 적용될 근무 스케줄을 생성한다. 비록 도 1에서 전자 장치(110)는 생성된 근무 스케줄이 배포되는 직원 관리 서버(130)와 별도의 개체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10)는 직원 관리 서버(130)에 포함된 일 장치 또는 부품일 수도 있다.
직원 단말(120)은 직원에게 접근 권한이 부여된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근무 스케줄을 열람할 수 있고, 근무 스케줄 내에서 검색 조건을 설정하여 직원들의 일정 기간 동안의 휴무 조건을 포함한 근무 스케줄을 조회할 수 있다. 이때,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 접속된 직원의 계정에 따라 일부 직원들에 대한 근무 스케줄의 열람이 허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직원 단말(120)은 해당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근무 스케줄의 변경을 요청할 수도 있다. 예컨대, 직원 A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직원용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자신의 계정으로 접속한 후, 현재 설정된 자신의 휴무일을 다른 날짜로 변경 신청함으로써 근무 스케줄의 변경을 요청할 수도 있다.
직원 관리 서버(130)는 근무 스케줄 관리 플랫폼을 통해 직원들에게 근무 스케줄에 대한 열람, 변경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직원 관리 서버(130)는 상술한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직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직원 관리 서버(130)에 접속된 직원 단말(120)을 통해 근무 스케줄에 대한 열람, 변경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직원 관리 서버(130)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직원 단말(120)에 설치되어 상술한 서비스를 위한 연산 중 일부는 직원 단말(120)에서 처리하고, 나머지 일부는 직원 단말(120) 외부의 서버(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 또는 직원 관리 서버(130) 등)에서 처리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10), 직원 단말(120) 및 직원 관리 서버(130)는 네트워크(140) 내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14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관련하여, 이하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7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상술한 전자 장치(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근무 시간대, 근무 지점, 업무 유형 및 업무 숙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근무 그룹을 기준으로, 각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근무 그룹의 결정 요소 중 근무 시간대는 주간 근무 시간대 및 야간 근무 시간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3교대 유형의 근무의 경우, 근무 시간대는 아침 근무 시간대, 저녁 근무 시간대 및 야간 근무 시간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근무 시간대는 하루를 구성하는 24시간을 임의의 기준으로 분류함으로써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8시까지의 야간조를 Wave1으로, 오전 8시부터 당일 오후 10시까지의 주간조를 Wave2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근무 그룹의 결정 요소 중 근무 지점은 근무지가 위치한 행정구역 상의 지역을 단위로 하거나, 실제 근무가 이루어지는 개별 근무지를 단위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송될 제품이 입고되어 분류 후 출고되는 물류 센터의 경우, 각 물류 센터에 할당된 센터 식별 코드가 근무 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하여 근무 그룹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근무 그룹의 결정 요소 중 업무 유형은 배송 업무 및 지점 내 물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업무 유형에는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업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업무 유형에는 각기 다른 종류의 배송 업무로서 일반 배송, 새벽 시간대의 배송, 자차를 이용한 배송 등이 나뉘어 포함될 수도 있으며, 지점 내 물류 업무로서 지게차 운전 업무, 제품 분류 업무, 팔레트(pallet) 검수 업무 등이 나뉘어 포함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배송 업무, 지점 내 물류 업무 외에도 추가적인 유형의 업무(예컨대, 외근 업무, 감염병 방역 업무, 안전 교육 업무 등)가 근무 그룹의 결정 요소인 업무 유형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근무 그룹의 결정 요소 중 업무 숙련도는 초보자(newbie) 상태 및 숙련자(normal)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초보자 상태 및 숙련자 상태에 더하여 중간(Lite) 상태가 근무 그룹의 결정 요소인 업무 숙련도로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업무 숙련도에는 이외에도 다양한 단계의 상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몇 단계의 상태가 아닌 N점 만점 기준 하의 점수로 계산될 수도 있다(이때, N은 자연수).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각 근무 그룹 내 일별 예상 업무량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10)는 배송 업무에 해당하는 근무 그룹이 각각 배송해야 할 일별 배송 건수를 예상 업무량 정보로서 획득할 수도 있고, 지점 내 물류 업무에 해당하는 근무 그룹이 각각 처리해야 할 일별 제품 수를 예상 업무량 정보로서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보충 인원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각 근무 그룹 별로 임시 모집된 직원 외 일별 인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10)는 각 근무 그룹에 속한 계약직 직원, 정규직 직원 외에 일별로 임시 모집된 직원의 일별 인원 수를 보충 인원 정보로서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를 직원 관리 서버(130)로부터 수신, 획득할 수도 있으나, 관리자로부터 직접 정보를 입력 받거나, 관리자가 전자 장치(110)에 관련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방식으로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에 기반하여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출근 목표치를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에 따라 산출되는 최대 업무량을 소화할 수 있는 최소 출근 인원 또는 최소 출근 퍼센티지를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출근 목표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예시적으로, '최대 업무량을 소화할 수 있는 최소 출근 인원 또는 최소 출근 퍼센티지'는 업무량-출근 인원 또는 업무량-출근 퍼센티지의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계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최대 업무량을 소화할 수 있는 최소 출근 인원 또는 최소 출근 퍼센티지'는 업무량을 독립 변수로, 출근 인원 또는 출근 퍼센티지를 종속 변수(결과값)로 하는 함수에 기반하여 계산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소 출근 퍼센티지는 근무 그룹 별 예상 가용 인원 대비 최소 출근 인원의 비율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최소 출근 퍼센티지는 근무 그룹 별 최소 출근 인원을 근무 그룹 별 예상 가용 인원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상술한 최소 출근 인원에 기 설정된 여유 인원수를 합산한 인원을 출근 목표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여유 인원수는 근무 시간대, 근무 지점, 업무 유형 및 업무 숙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상술한 최소 출근 퍼센티지에 기 설정된 마진(margin) 퍼센티지를 합산한 퍼센티지를 출근 목표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마진 퍼센티지는 근무 시간대, 근무 지점, 업무 유형 및 업무 숙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전자 장치(110)는 출근 목표치 및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에 기반하여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근무 스케줄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근무 스케줄 생성을 위해 근무 규정 조건을 고려함에 있어서, 주당 최소 휴무 일수 조건, 최대 연속 근무 일수 조건 및 직원 별 선호 휴무일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무 규정 조건에 기반하여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근무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주당 최소 휴무 일수 조건은 직원 별 휴무 일수는 주당 최소 2개 이상 부여될 것을 조건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10)는 각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근무 스케줄을 생성함에 있어서, 각 근무 그룹에 속한 직원들 모두가 주당 최소 2개 이상의 휴무일을 갖도록 근무 스케줄을 생성해야 하는 제약을 갖는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최대 연속 근무 일수 조건은 직원 별 연속 근무 일수는 8일을 초과할 수 없는 것을 조건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10)는 각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근무 스케줄을 생성함에 있어서, 각 근무 그룹에 속한 직원들 모두가 최대 7일까지만 연속하여 근무 가능하도록 근무 스케줄을 생성해야 하는 제약을 갖는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직원 별 선호 휴무일 조건은, 월별로 최소 1회는 직원 별 선호 휴무일이 반영될 것을 조건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10)는 각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근무 스케줄을 생성함에 있어서, 각 근무 그룹에 속한 직원들 모두가 월 1회는 각자의 선호 휴무일에 쉴 수 있도록 근무 스케줄을 생성해야 하는 제약을 갖는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출근 목표치 및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에 기반하여 근무 스케줄을 생성하되, 모든 근무 규정 조건을 충족하는 근무 스케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근무 규정 조건을 구성하는 세부 조건들 사이의 기 설정된 우선 순위, 동일한 근무 그룹에 속한 직원들 사이의 기 설정된 우선 순위 등을 고려하여 후순위의 세부 조건부터 고려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식으로 근무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는 모든 근무 규정 조건을 충족하는 근무 스케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당 최소 휴무 일수 조건을 1순위, 최대 연속 근무 일수 조건을 2순위, 직원 별 선호 휴무일 조건을 3순위로 고려하여 근무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근무 스케줄을 생성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을 충족하면서, 근무 스케줄에 따른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출근 예상치와 설정된 출근 목표치 사이의 갭(Gap)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의 근무 스케줄을 최종 근무 스케줄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의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단계 S230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310에서, 전자 장치(110)는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을 충족하도록 근무 그룹 별로 직원들의 휴무일을 설정하여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복수의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으나, 만일 생성된 후보 근무 스케줄이 유일할 경우에는 해당 후보 근무 스케줄을 곧바로 후술할 최종 근무 스케줄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로, 생성된 후보 근무 스케줄에 따른 직원들의 출근 예상치를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생성된 후보 근무 스케줄을 적용했을 시,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예상 출근 인원 또는 예상 출근 퍼센티지를 직원들의 출근 예상치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예상 가용 인원 대비 각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예상 출근 인원의 비율에 기반하여 직원들의 예상 출근 퍼센티지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로 근무 스케줄에 따른 직원들의 휴무일을 반영하여 각 일자 별로 출근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원들의 인원 수를 직원들의 예상 출근 인원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로, 설정된 출근 목표치와 산출된 출근 예상치 사이의 갭(Gap)을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출근 목표치에서 출근 예상치를 차감하여 갭을 산출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출근 예상치와 출근 목표치 사이의 차이에 절대값을 취하여 갭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출근 예상치가 출근 목표치보다 큰 경우, 출근 목표치와 출근 예상치 사이의 갭을 0으로 계산하고 곧바로 후술할 단계 S340 및 단계 S350의 수행을 생략하여 해당 출근 예상치에 대응하는 후보 근무 스케줄을 최종 근무 스케줄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전자 장치(110)는 단계 S310 내지 S330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행되었는지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340의 판단 대상이 되는 반복 수행 횟수는 사전에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배치 수(batch number)'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10)는 단계 S310을 통해 사전에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배치 수만큼의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술한 단계 S320의 수행에 따른 출근 예상치의 산출 및 단계 S330의 수행에 따른 갭의 산출 역시 배치 수만큼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사전에 배치 수가 100으로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규정 조건을 충족하도록 직원들의 휴무일을 임의 설정하여 총 100개의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생성 가능한 후보 근무 스케줄의 개수가 사전 설정된 배치 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전자 장치(110)는 생성 가능한 개수만큼의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10)는 자체 구비된 출력부 또는 연동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설정된 배치 수에 미치지 않으나 생성 가능한 개수만큼의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생성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메시지는 새로운 페이지, 팝업 창, SMS, SNS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단계 S310 내지 S330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수행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자 장치(110)는 반복 수행의 결과 산출된 갭 중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한편, 단계 S310 내지 S330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자 장치(110)는 상술한 단계 S310 내지 S330을 재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350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10)는 반복 수행의 결과 산출된 갭 중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의 값을 갖는 갭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350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10)는 반복 수행의 결과 산출된 갭 중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의 값을 갖는 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임계 값 이하의 값을 갖는 갭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갭 중 최소 값을 갖는 갭을 '조건을 충족하는 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350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10)는 반복 수행의 결과 산출된 갭 중 최소 값을 갖는 갭을 '조건을 충족하는 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반복 수행의 결과 산출된 갭 중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10)는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에 대응하는 후보 근무 스케줄을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최종 근무 스케줄로 결정한다.
한편, 단계 S310 내지 S330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수행되었으나, 그 반복 수행의 결과 산출된 갭 중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10)는 상술한 단계 S310 내지 S330을 재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반복 수행의 결과 산출된 갭 중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갭 각각에 대응하는 후보 근무 스케줄 중 직원 별 선호 휴무일의 반영 비율이 가장 높은 후보 근무 스케줄을 최종 근무 스케줄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근무 스케줄 생성 이후, 일 실시예에 따라 근무 스케줄을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410에서,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420에서,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에 기반하여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출근 목표치를 설정한다.
단계 S430에서, 전자 장치(110)는 출근 목표치 및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에 기반하여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근무 스케줄을 생성한다.
단계 S440에서, 전자 장치(110)는 직원 단말(120)로부터 두 직원 사이의 휴무일 교환 신청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휴무일 교환 신청을 수신함에 있어서, 휴무일 교환의 주체가 되는 두 직원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휴무일 교환 대상 일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휴무일 교환 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휴무일 교환 대상 일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순위가 부여된 복수의 대상 일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A직원과 B직원의 휴무일 교환 신청에 있어, 전자 장치(110)는 A직원이 교환을 희망하는 휴무일 a, b, c에 대한 리스트 정보와 B직원이 교환을 희망하는 휴무일 d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장치(110)는 A직원이 교환을 희망하는 휴무일 a, b에 대한 리스트 정보와 B직원이 교환을 희망하는 휴무일 c, d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즉, 두 직원 중 한 직원만이 교환을 희망하는 일자가 복수일 수도 있고, 두 직원 모두가 교환을 희망하는 일자가 복수일 수도 있다.
단계 S450에서, 전자 장치(110)는 수신한 휴무일 교환 신청이 유효한지 확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수신한 휴무일 교환 신청에 따라 갱신되는 근무 스케줄이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을 충족할 경우 휴무일 교환 신청을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휴무일 교환 신청을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수신한 휴무일 교환 신청에 따라 갱신되는 근무 스케줄을 적용할 시의 직원들의 출근 예상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출근 예상치와 설정된 출근 목표치 사이의 갭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할 경우 휴무일 교환 신청을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휴무일 교환 신청을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수신한 휴무일 교환 신청에 따라 휴무일 교환의 주체로 특정되는 두 직원 중 어느 한 직원이라도 휴무일 교환이 불가한 직원에 해당되거나, 휴무일 교환 대상 일자 중 어느 한 일자라도 휴무일이 아닌 경우, 휴무일 교환 신청을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수신한 휴무일 교환 신청에 따라 휴무일 교환의 주체로 특정되는 두 직원이 상이한 근무 그룹에 속하는 경우, 휴무일 교환 신청을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휴무일 교환 신청이 유효한 경우, 전자 장치(110)는 휴무일 교환의 대상이 되는 두 직원 사이의 휴무일을 교환하여 근무 스케줄을 갱신한다.
한편 단계 S470에서, 휴무일 교환 신청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10)는 휴무일 교환 신청을 전송한 직원 단말(120)로 두 직원 사이의 휴무일 교환이 불가함을 알리는 신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팝업 창 또는 배너 형태의 푸시 알림을 전송하거나, 진동, 사운드 등의 형태의 기타 알림을 전송함으로써 휴무일 교환이 불가함을 알리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휴무일 교환이 불가함을 알리는 신호를 휴무일 교환 신청을 전송한 직원 단말(120)에 더하여, 휴무일 교환의 대상이 되는 나머지 직원의 단말에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 및 6은 각각 근무 스케줄 생성 이후, 일 실시예에 따라 근무 스케줄을 배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5는 근무 스케줄 생성 이후, 관리자의 승인에 따라 근무 스케줄을 배포하는 실시예에 관한 흐름도이다.
단계 S510에서,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520에서,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에 기반하여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출근 목표치를 설정한다.
단계 S530에서, 전자 장치(110)는 출근 목표치 및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에 기반하여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근무 스케줄을 생성한다.
단계 S540에서, 전자 장치(110)는 근무 스케줄에 대한 조회 권한이 있는 관리자로부터 생성된 근무 스케줄에 대한 수정 요청 사항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무 스케줄에 대한 수정 요청 사항은 근무 스케줄 내 포함된 직원 별 휴무일의 일자 변경, 시간 변경, 삭제, 추가, 근무 스케줄 내 직원들의 근무 시간대, 근무 지점, 업무 유형, 업무 숙련도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관리자로부터 전자 장치(110)가 인식 가능한 포맷의 파일을 업로드 받거나, 전자 장치(110)에 구비된 입력부 또는 전자 장치(110)와 연동된 입력 장치를 통해 일련의 명령을 입력 받음으로써 근무 스케줄에 대한 수정 요청 사항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전자 장치(110)는 생성된 근무 스케줄에 수신한 수정 요청 사항을 반영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후술할 단계 S560에서의 확정 명령이 수신되기 전에는, 상술한 단계 S540 및 단계 S550을 통해 복수 차례로 수정 요청 사항을 수신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근무 스케줄에 반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후술할 단계 S560에서의 확정 명령이 수신되기 전까지, 상술한 단계 S540 및 단계 S550을 통해 복수 차례로 수정 요청 사항을 수신한 경우, 마지막에 수신한 수정 요청 사항만을 근무 스케줄에 반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마지막 수정 요청 사항 이전에 수신했던 수정 요청 사항에 따라 근무 스케줄에 반영된 정보는 마지막 수정 요청 사항이 반영됨과 함께 초기화될 수 있다.
단계 S560에서, 전자 장치(110)는 수정 요청 사항을 입력한 관리자로부터 근무 스케줄에 대한 확정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S570에서, 전자 장치(110)는 확정 명령에 따라 발생한 확정 이벤트에 대응하여, 수정 요청 사항이 반영된 근무 스케줄을 직원 관리 서버(130)에 배포한다.
한편, 도 6은 근무 스케줄 생성 이후, 관리자의 승인 부재 시 자동으로 근무 스케줄을 배포하는 실시예에 관한 흐름도이다.
단계 S610에서,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620에서,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에 기반하여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출근 목표치를 설정한다.
단계 S630에서, 전자 장치(110)는 출근 목표치 및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에 기반하여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근무 스케줄을 생성한다.
단계 S640에서, 전자 장치(110)는 근무 스케줄이 생성된 시점에 기반하여 설정된 마감 일시까지 근무 스케줄에 대한 확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생성된 근무 스케줄을 직원 관리 서버(130)에 배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근무 스케줄이 생성된 일자로부터 기 설정된 일수를 더한 마감일이 경과할 때까지 근무 스케줄에 대한 확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생성된 근무 스케줄을 직원 관리 서버(130)에 배포할 수 있다. 예컨대, 근무 스케줄이 2022년 3월 1일에 생성된 것으로 가정할 경우, 기 설정된 3일을 더한 마감일(2022년 3월 4일)이 경과할 때까지(즉, 3월 4일에서 3월 5일로 넘어가는 오전 0시를 기준으로 하여) 근무 스케줄에 대한 확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생성된 근무 스케줄을 직원 관리 서버(130)에 배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근무 스케줄이 생성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근무 스케줄에 대한 확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생성된 근무 스케줄을 직원 관리 서버(130)에 배포할 수 있다. 예컨대, 근무 스케줄이 2022년 3월 1일 오후 1:00에 생성된 것으로 가정할 경우, 기 설정된 24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즉, 2022년 3월 2일 오후 1:00를 기준으로 하여) 근무 스케줄에 대한 확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생성된 근무 스케줄을 직원 관리 서버(130)에 배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110)는 관리자로부터 근무 스케줄에 대한 확정 명령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도, 확정 이벤트가 발생할 것을 기약없이 대기함으로써 발생하는 비효율을 경감시키고, 신속히 근무 스케줄을 배포하여 직원들로 하여금 확정된 근무 스케줄을 숙지하게끔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근무 스케줄 생성 이후, 일 실시예에 따라 신규 직원의 휴무일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710에서,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720에서, 전자 장치(110)는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에 기반하여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출근 목표치를 설정한다.
단계 S730에서, 전자 장치(110)는 출근 목표치 및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에 기반하여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근무 스케줄을 생성한다.
단계 S740에서, 전자 장치(110)는 생성된 근무 스케줄이 배포된 이후, 근무 스케줄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신규 직원이 입사한 경우,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을 충족하도록 입사한 신규 직원의 휴무일을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입사한 신규 직원에 대하여, 주당 최소 휴무 일수 조건, 최대 연속 근무 일수 조건 및 신규 직원의 선호 휴무일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반영되도록 신규 직원의 휴무일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입사한 신규 직원에 대하여, 근무 규정 조건 내 모든 세부 조건을 충족하도록 신규 직원의 휴무일을 설정할 수 없는 경우, 세부 조건 사이에서 사전에 부여된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후순위의 세부 조건부터 차례로 제외하면서 신규 직원의 휴무일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흐름도 도 2 내지 도 7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10)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트랜시버(111), 프로세서(113) 및 메모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10)는 트랜시버(111)를 통하여 직원 단말(120) 및 직원 관리 서버(130) 등과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13)는 도 1 내지 도 7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15)는 도 1 내지 도 7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5)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113)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3)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115)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13)는 트랜시버(111) 및 메모리(115)와 연결되어,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를 획득하고,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에 기반하여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출근 목표치를 설정하고, 출근 목표치 및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에 기반하여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근무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전자 장치(110)의 관리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110)는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메시지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9)

  1. 전자 장치에서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예상 업무량 정보 및 상기 보충 인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출근 목표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근 목표치 및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근무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근무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근무 규정 조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근무 그룹 별로 직원들의 휴무일을 설정하여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근무 그룹 별로, 상기 후보 근무 스케줄에 따른 직원들의 출근 예상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근무 그룹 별로, 상기 출근 목표치와 상기 출근 예상치 사이의 갭(Gap)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근무 그룹 별로, 기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근 예상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갭을 산출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상기 반복 수행의 결과 산출된 갭 중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에 대응하는 후보 근무 스케줄을 최종 근무 스케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최종 근무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갭 각각에 대응하는 후보 근무 스케줄 중 직원 별 선호 휴무일의 반영 비율이 가장 높은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상기 최종 근무 스케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 그룹은,
    근무 시간대, 근무 지점, 업무 유형 및 업무 숙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 시간대는,
    주간 근무 시간대 및 야간 근무 시간대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유형은,
    배송 업무 및 지점 내 물류 업무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숙련도는,
    1단계 상태 및 상기 1단계 상태에 비해 상기 업무 숙련도가 높은 2단계 상태를 포함하는,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업무량 정보는,
    각 근무 그룹 내 일별 예상 업무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충 인원 정보는,
    각 근무 그룹 별로 임시 모집된 직원 외 일별 인원 정보를 포함하는,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근 목표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상 업무량 정보 및 상기 보충 인원 정보에 따라 산출되는 최대 업무량을 소화할 수 있는 최소 출근 인원 또는 최소 출근 퍼센티지를 상기 출근 목표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최소 출근 퍼센티지는,
    상기 근무 그룹 별 예상 가용 인원 대비 상기 최소 출근 인원의 비율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 규정 조건은,
    주당 최소 휴무 일수 조건, 최대 연속 근무 일수 조건 및 직원 별 선호 휴무일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당 최소 휴무 일수 조건은,
    직원 별 휴무 일수는 주당 최소 2개 이상 부여될 것을 조건으로 하고,
    상기 최대 연속 근무 일수 조건은,
    직원 별 연속 근무 일수는 8일을 초과할 수 없는 것을 조건으로 하고,
    상기 직원 별 선호 휴무일 조건은,
    월별로 최소 1회는 직원 별 선호 휴무일이 반영될 것을 조건으로 하는,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근 예상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근무 그룹 별 예상 출근 인원 또는 예상 출근 퍼센티지를 상기 출근 예상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예상 출근 퍼센티지는,
    상기 근무 그룹 별 예상 가용 인원 대비 상기 예상 출근 인원의 비율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은,
    직원 단말로부터 두 직원 사이의 휴무일 교환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무일 교환 신청이 유효한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휴무일 교환 신청이 유효한 경우, 상기 두 직원 사이의 휴무일을 교환하여 근무 스케줄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휴무일 교환 신청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무일 교환 신청을 전송한 직원 단말로 상기 두 직원 사이의 휴무일 교환이 불가함을 알리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근무 스케줄에 대한 조회 권한이 있는 관리자로부터 상기 근무 스케줄에 대한 수정 요청 사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근무 스케줄에 상기 수정 요청 사항을 반영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근무 스케줄에 대한 확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확정 명령에 따라 발생한 확정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근무 스케줄을 직원 관리 서버에 배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근무 스케줄이 생성된 시점에 기반하여 설정된 마감 일시까지 상기 근무 스케줄에 대한 확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근무 스케줄을 직원 관리 서버에 배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근무 스케줄이 배포된 이후, 상기 근무 스케줄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신규 직원이 입사한 경우, 상기 근무 규정 조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신규 직원의 휴무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무 스케줄 관리 방법.
  18. 제1항 내지 제7항,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19.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로서,
    트랜시버,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근무 그룹 별 예상 업무량 정보 및 보충 인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예상 업무량 정보 및 상기 보충 인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출근 목표치를 설정하고,
    상기 출근 목표치 및 기 설정된 근무 규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근무 그룹 별 직원들의 근무 스케줄을 생성하되,
    상기 근무 스케줄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근무 규정 조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근무 그룹 별로 직원들의 휴무일을 설정하여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생성하고,
    상기 근무 그룹 별로, 상기 후보 근무 스케줄에 따른 직원들의 출근 예상치를 산출하고,
    상기 근무 그룹 별로, 상기 출근 목표치와 상기 출근 예상치 사이의 갭(Gap)을 산출하고,
    상기 근무 그룹 별로, 기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근 예상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갭을 산출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상기 반복 수행의 결과 산출된 갭 중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에 대응하는 후보 근무 스케줄을 최종 근무 스케줄로 결정하며,
    상기 최종 근무 스케줄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갭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갭 각각에 대응하는 후보 근무 스케줄 중 직원 별 선호 휴무일의 반영 비율이 가장 높은 후보 근무 스케줄을 상기 최종 근무 스케줄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KR1020220028814A 2022-03-07 2022-03-07 직원의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78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814A KR102478459B1 (ko) 2022-03-07 2022-03-07 직원의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PCT/KR2022/003270 WO2023171830A1 (ko) 2022-03-07 2022-03-08 직원의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173652A KR20230131763A (ko) 2022-03-07 2022-12-13 직원의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TW112107778A TW202336659A (zh) 2022-03-07 2023-03-03 用於管理員工工作時間表之電子設備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814A KR102478459B1 (ko) 2022-03-07 2022-03-07 직원의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652A Division KR20230131763A (ko) 2022-03-07 2022-12-13 직원의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459B1 true KR102478459B1 (ko) 2022-12-19

Family

ID=845355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814A KR102478459B1 (ko) 2022-03-07 2022-03-07 직원의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173652A KR20230131763A (ko) 2022-03-07 2022-12-13 직원의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652A KR20230131763A (ko) 2022-03-07 2022-12-13 직원의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478459B1 (ko)
TW (1) TW202336659A (ko)
WO (1) WO2023171830A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5385A (ja) * 2004-12-28 2006-07-13 Max Co Ltd 勤務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およびその管理装置
JP2007172549A (ja) * 2005-12-26 2007-07-05 Ibm Japan Ltd 勤務計画を調整する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JP2013101448A (ja) * 2011-11-08 2013-05-23 Takao Suguro 勤務計画作成システム及び勤務計画作成プログラム
JP2019053479A (ja) * 2017-09-14 2019-04-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セキスイシステムズ 勤務管理状況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勤務管理状況表示装置
KR20210004483A (ko) *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업무 시간 관리 방법 및 업무 시간 관리 프로그램, 그리고 이를 구현한 사용자 단말 및 업무 관리 서버
KR102254763B1 (ko) * 2019-11-21 2021-05-25 쿠팡 주식회사 컴퓨터화된 균형을 맞춘 배송 루트 할당 및 인센티브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1912A (ko) * 2019-11-15 2021-06-16 쿠팡 주식회사 자동화된 모바일-디바이스 기반의 작업 주기 트레이딩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2021092939A (ja) * 2019-12-10 2021-06-17 宮内 明 勤務スケジュール作成プログラム
KR20210075814A (ko) * 2019-12-13 2021-06-23 쿠팡 주식회사 자동화된 배달원 스케줄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11296B1 (ko) * 2021-04-01 2021-10-14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인공지능을 이용한 콜센터 업무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5385A (ja) * 2004-12-28 2006-07-13 Max Co Ltd 勤務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およびその管理装置
JP2007172549A (ja) * 2005-12-26 2007-07-05 Ibm Japan Ltd 勤務計画を調整する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JP2013101448A (ja) * 2011-11-08 2013-05-23 Takao Suguro 勤務計画作成システム及び勤務計画作成プログラム
JP2019053479A (ja) * 2017-09-14 2019-04-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セキスイシステムズ 勤務管理状況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勤務管理状況表示装置
KR20210004483A (ko) *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업무 시간 관리 방법 및 업무 시간 관리 프로그램, 그리고 이를 구현한 사용자 단말 및 업무 관리 서버
KR20210071912A (ko) * 2019-11-15 2021-06-16 쿠팡 주식회사 자동화된 모바일-디바이스 기반의 작업 주기 트레이딩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254763B1 (ko) * 2019-11-21 2021-05-25 쿠팡 주식회사 컴퓨터화된 균형을 맞춘 배송 루트 할당 및 인센티브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21092939A (ja) * 2019-12-10 2021-06-17 宮内 明 勤務スケジュール作成プログラム
KR20210075814A (ko) * 2019-12-13 2021-06-23 쿠팡 주식회사 자동화된 배달원 스케줄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11296B1 (ko) * 2021-04-01 2021-10-14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인공지능을 이용한 콜센터 업무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36659A (zh) 2023-09-16
KR20230131763A (ko) 2023-09-14
WO2023171830A1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8338B2 (en) Task map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176647B1 (ko) 컴퓨터-사용가능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서의계층적인 프로젝트들
US200802559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e notification
US201402889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oject, process, and meeting tasks over a network
US8271314B2 (en) System and method of real-time homebuilding scheduling
US8566438B2 (en) Communication tagging
US10338796B2 (en) Event services modeling framework for computer systems
US20090083105A1 (en) Meeting Coordination System with Dependency Rules for Alternate Meeting Processing
CN101197021A (zh) 用于对未处理事件的事件调度冲突管理和解决的方法和系统
US20170147950A1 (en) Dynamically delaying reservations for limited resources using courtesy scores
KR101993279B1 (ko)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CN101438317A (zh) 项目资源计划
CN101426023A (zh) 用于促进基于位置的分布式待执行列表的方法和装置
US20070168212A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adjusting work schedules
US20170061386A1 (en) Automated Negotiator for Scheduling
US20180089633A1 (en) Cost based auto-negotiation of suitable meeting times
KR102478459B1 (ko) 직원의 근무 스케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20190139001A1 (en) An online system for employment of temporary employees
JP2015170032A (ja) スケジュール調整プログラム、スケジュール調整方法、及びスケジュール調整装置
KR102394101B1 (ko) 업무객체 기반의 업무평가조회 장치 및 방법
US20210125708A1 (en) Patient scheduling system
JP6711028B2 (ja) 情報処理装置、予定調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80374056A1 (en) Smart reminders for responding to emails
US20210216946A1 (en) Schedule optimization system
AU2018101006A4 (en) An online system for employment of temporary employe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