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355B1 -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 Google Patents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355B1
KR102478355B1 KR1020220117239A KR20220117239A KR102478355B1 KR 102478355 B1 KR102478355 B1 KR 102478355B1 KR 1020220117239 A KR1020220117239 A KR 1020220117239A KR 20220117239 A KR20220117239 A KR 20220117239A KR 102478355 B1 KR102478355 B1 KR 102478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unit
planar heating
contact fixing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인선
Original Assignee
넥스트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트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스트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7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7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01M10/6571Resistive hea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에 면상발열부를 설치하여 겨울과 같이 영하의 온도로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 배터리를 가열하여 일정 온도로 상승시켜 줌으로써, 배터리가 최적의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플랙서블 소재의 필름을 이용하여 면상발열부가 배터리에 간접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면상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손실되지 않고 배터리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원 또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온도를 제어하게 되는 필름 형태의 면상발열부; 및 일면에 상기 면상발열부의 일면이 고정되며, 타면이 상기 배터리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부의 윤곽에 맞게 밀착되어 상기 면상발열부의 열기가 상기 배터리부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게 하도록 플랙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밀착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BATTERY FOR ELECTRIC VEHICLE USING FLEXIBLE PLANAR HEATING ELEMENT}
본 발명은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에 면상발열부를 설치하여 겨울과 같이 영하의 온도로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 배터리를 가열하여 일정 온도로 상승시켜 줌으로써, 배터리가 최적의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플랙서블 소재의 필름을 이용하여 면상발열부가 배터리에 간접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면상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손실되지 않고 배터리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며, 휴대폰, 노트 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전자 장 비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니켈-수소 전지보다 큰 용량을 가지며, 단위 중량당 에너 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그 활용 정도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제조과정에서 음극, 분리막 및 양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파우치 외장재 안에 넣고, 전해액을 주입한 후 가장자리를 실링한다. 그 다음, 몇 회의 충방전 사이클을 통해 전지를 활성화시킨다.
한편, 자전거, 킥보드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은 생활 스포츠에 사용하는 운동기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지의 근거리교통에도 매우 유익하게 사용하고 있는 교통수단이다.
교통체증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른 공해 방지에 효과적이어서 선진국에서는 자전거, 킥보드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의 이용을 적극 활성화하고 도심에는 자전거, 킥보드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전용도로를 만들어 환경 보호, 교통체증의 해소, 국민 건강에 매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자전거, 킥보드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자전거, 킥보드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대여소는 그 중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통신기술, 위성항법기술 등이 접목될 경우, 해당 자전거, 킥보드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에는 이러한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탑재해야 하며, 해당 자전거, 킥보드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에는 충전식 배터리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한다.
자전거, 킥보드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되는 충전식 배터리는 이차 전지를 배터리 팩의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되는데, 배터리 팩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배터리 셀은 최근 리튬 배터리가 주로 이용되며, 리튬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이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고체 폴리머를 이용하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가 있다.
전술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나 충전식 배터리(이하, '이차전지'라 함.)는 본질적인 전기 화학 또는 전기 물리적 특성은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으며, 이차전지가 노출되는 외부 환경에 따라 이차전지의 내재적인 전기 화학적 특성이 급변하기도 하며, 이에 따라 이차전지의 수명이나 안정성 또는 구동 성능 등도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이차전지가 사용되는 외부 환경 온도는 이차전지의 성능 및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즉, 동절기 영하의 온도에서는 이차전지의 성능 및 수명이 크게 단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차전지가 최적 사용 온도 조건에서 사용되는 경우, 이차전지의 효율도 우수하고 그 수명 또한 증가하게 되는데, 이차전지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이러한 최적 사용 온도 조건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야외 주차장에 주차하는 차량, 자전거, 킥보드 등은 동절기에 영하의 온도에 그대로 노출되어 이차전지의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즉, 동절기 차량, 자전거, 킥보드에 장착된 이차전지는 열악한 환경에 놓이게 되기 때문에 이차전지의 성능 및 효율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01545호(2019.07.1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에 면상발열부를 설치하여 겨울과 같이 영하의 온도로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 배터리를 가열하여 일정 온도로 상승시켜 줌으로써, 배터리가 최적의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플랙서블 소재의 필름을 이용하여 면상발열부가 배터리에 간접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면상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손실되지 않고 배터리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원 또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온도를 제어하게 되는 필름 형태의 면상발열부; 일면에 상기 면상발열부의 일면이 고정되며, 타면이 상기 배터리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부의 윤곽에 맞게 밀착되어 상기 면상발열부의 열기가 상기 배터리부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게 하도록 플랙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밀착고정부; 상기 면상발열부의 타면에 고정되며, 상기 밀착고정부를 매개로 상기 배터리부에 고정되는 면상발열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부가 밀착고정부; 상기 부가 밀착고정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밀착고정부가 상기 밀착고정부를 매개로 상기 배터리부에 고정된 면상발열부의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탄성재질의 철심으로 형성되는 형상유지부; 상기 부가 밀착고정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부가 밀착고정부를 가압하여 상기 밀착고정부 및 면상발열부의 들뜸현상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가압핑거; 상기 가압핑거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장유닛; 및 상기 연장유닛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부가 밀착고정부를 가압하는 가압편을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밀착고정부 및 상기 부가 밀착고정부는 PI(Polyimide)필름 또는 PET(Polyester)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는, 배터리에 면상발열부를 설치하여 겨울과 같이 영하의 온도로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 배터리를 가열하여 일정 온도로 상승시켜 줌으로써, 배터리가 최적의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플랙서블 소재의 필름을 이용하여 면상발열부가 배터리에 간접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면상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손실되지 않고 배터리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에 가압수단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에 가압수단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는, 겨울과 같이 영하의 온도로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 배터리를 가열하여 일정 온도로 상승시켜 줌으로써, 배터리가 최적의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셰에 따른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는, 배터리부(10)와, 면상발열부(20)와, 밀착고정부(30) 및 부가 밀착고정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10)는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통상의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부(10)는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는 셀 본체 및 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배터리부(10)는 복수개의 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배터리부(10)가 전기 자동차용 이차전지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배터리부(10)는 킥보드와 같은 이동수단용 충전식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다.
충전식 배터리의 경우 상부와 하부에 (+)전극과 (-)전극을 갖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터리 셀들이 상호 인접하게 설치되어 구성되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배터리 셀은 충전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배터리 셀은 리튬이온전지, 리튬폴리머전지, 또는 리튬이온폴리머전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셀은 비수성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은 리튬염을 함유하는 고체 폴리머이거나, 리튬염이 유기 용매에서 해리된 액상 폴리머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배터리부(10)는 전기자동차 분야에서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면상발열부(20)는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면상발열부(20)는 후술되는 밀착고정부(30)에 양면테이프를 통해 부착 고정 될 수 있다.
면상발열부(20)는 (+) 전극과 (-) 전극이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면 열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면상발열부(20)는 내열의 강화유리판 및 강화유리판의 표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전발열막을 포함할 수 있다.
강화유리판은 도전발열막이 고르게 분포되어 적층될 수 있게 하며, 도전발열막은 열매체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는 열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도전발열막은 통상의 증착 또는 분사 등의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전발열막층은 고투과성을 갖는 투명도전성 전극재료가 사용되는데, 투명도전성 재료로서 안티몬을 함유하는 산화주석(Antimony Tin Oxide; ATO)이나, 인듐을 함유하는 산화주석(Indium Tin Oxide; 이하 'ITO'라 함)등을 이용한다.
이 중에서도 특히 비저항의 낮음 등의 이유로 ITO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내열성, 내화학성 및 내마모성이 높으며, 고온, 고전압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저항 및 고투과율을 갖는 불소를 함유하는 산화주석(Fluorine doped Tin Oxide; FTO)을 이용할 수 있다.
도전발열막은 전기를 이용해 열을 발생하는 층으로 상술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도전발열막의 형성은 통상 종래의 알려진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면상발열부(20)는 밀착고정부(30)에 부착되면서 배터리부(10)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면상발열부(20)는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터리부(10)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배터리부(10)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게 된다.
면상발열부(20)는 겨울철과 같이 영하의 온도로 내려가는 경우 발열되어 배터리부(10)를 일정 온도로 상승시킴에 따라, 배터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터리가 최적의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온에 상관 없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면상발열부(20)를 밀착고정부(30)에 고정시키는 양면테이프는 50~110마이크로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면테이프의 두께가 110마이크로 보다 두꺼우면, 면상발열부(20)에서 발생되는 열이 배터리부(10)로 전달되는 효율이 떨어지고, 50마이크로 보다 얇으면 면상발열부(20)에서 발열되는 열에 의해 영면테이프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양면테이프는 100℃의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면테이프는 면상발명부에서 발열되는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밀착고정부(30)는 그 일면에 면상발열부(20)의 일면이 양면테이프를 통해 고정된다.
그리고, 밀착고정부(30)는 타면이 양면테이프를 통해 배터리부(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밀착고정부(30)는 배터리부(10)의 윤곽에 맞게 밀착되어 면상발열부(20)의 열기가 배터리부(10)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게 하도록 유연한 플랙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예로, 밀착고정부(30)는 PI(Polyimide)필름 또는 PET(Polyester)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부(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면상발열부(20)는 탄성력을 갖는다.
이러한 면상발열부(20)를 직접 배터리부(10)에 둘러싸는 형태로 부착할 경우, 면상발열부(20)의 전체 영역 중 배터리부(10)의 면에 부착되는 영역은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면상발열부(20)의 전체 영역 중 배터리부(10)의 모서리나 테두리를 감싸는 각각의 영역은 꺾여져 절곡영역(20a)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면상발열부(20)의 자체 탄성력과 절곡영역(20a)에 의해서, 면상발열부(20)가 배터리부(10)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상발열부(20)를 6조각으로 나누어 배터리부(10)의 각각의 면에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그러나, 플랙서블 재질의 밀착고정부(30)에 면상발열부(20)를 부착한 다음, 밀착고정부(30)를 배터리부(10)에 부착하면, 플랙서블 재질의 밀착고정부(30)에 의해 면상발열부(20)가 배터리부(10)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는 하나의 면상발열부(20)(밀착고정부(30)에 부착된 상태임)로 배터리부(10)의 4개의 면을 한번에 둘러싸는 형태로 부착하더라도 면상발열부(20)가 배터리부(10)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밀착고정부(30)를 통해 탄성소재의 면상발열부(20)를 배터리부(10)의 윤곽에 맞게 밀착시켜 들뜸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면상발열부(20)의 열기가 손실되지 않고 배터리부(10)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부가 밀착고정부(40)는 면상발열부(20)의 타면에 고정되며, 밀착고정부(30)를 매개로 배터리부(10)에 고정되는 면상발열부(2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구성이다.
즉, 필름 형태의 밀착고정부(30) 상층에 면상발열부(20)가 부착되고, 면상발열부(20)의 상층에 필름 형태의 부가 밀착고정부(40)가 부착되는 것이다.
부가 밀착고정부(40)는 PI(Polyimide)필름 또는 PET(Polyester)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밀착고정부(40) 역시 유연한 플랙서블 재질로 형성되고, 면상발열부(20)를 덮는 형태로 부착되기 때문에 면상발열부(20)의 탄성력을 보다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면상발열부(20)가 배터리부(10) 상에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부가 밀착고정부(4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상유지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형상유지부(50)는 부가 밀착고정부(40)의 외측면, 부가 밀착고정부(40)의 내측면(면상발열부(20)와 마주하는 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형상유지부(50)는 부가 밀착고정부(40)의 내부에 매립될 수도 있다.
형상유지부(50)는 면상발열부(20)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철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형상유지부(50)는 직사각형 띠 형상 또는 원형 단면의 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유지부(50)를 통해 면상발열부(20)가 배터리부(10)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어, 면상발열부(20)의 열기가 배터리부(10)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부가 밀착고정부(4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가압수단(60)이 설치될 수 있다.
가압수단(60)은 중심부(61)와, 가압핑거(62)와, 연장유닛(63) 및 가압편(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61)는 부가 밀착고정부(40)에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가압핑거(62)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중심부(61)의 둘레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핑거(62)의 끝단은 부가 밀착고정부(40)를 가압하여, 밀착고정부(30) 및 면상발열부(20)의 들뜸현상을 억제하게 된다.
연장유닛(63)은 복수개로 적용되어 가압핑거(62)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연장유닛(63)은 가압핑거(62)에서 부가 밀착고정부(40)를 향해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가압핑거(62)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연장유닛(63)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중심부(61)와 가장 가까운 연장유닛(63)에서부터 중심부(61)와 가장 먼 연장유닛(63)으로 갈수록 그 길이가 점진적으로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편(64)은 연장유닛(63)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부가 밀착고정부(40)를 각각 가압한다.
가압편(64)은 연장유닛(63)보다 큰 직경이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부가 밀착고정부(40)를 효율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수단(60)을 통해서도 면상발열부(20)가 배터리부(10)를 안정적으로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면상발열부(20)의 열기가 배터리부(10)에 더욱더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배터리부 20 : 면상발열부
20a : 절곡영역 30 : 밀착고정부
40 : 부가 밀착고정부 50 : 형상유지부
60 : 가압수단 61 : 중심부
62 : 가압핑거 63 : 연장유닛
64 : 가압편

Claims (3)

  1.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원 또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온도를 제어하게 되는 필름 형태의 면상발열부;
    일면에 상기 면상발열부의 일면이 고정되며, 타면이 상기 배터리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부의 윤곽에 맞게 밀착되어 상기 면상발열부의 열기가 상기 배터리부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게 하도록 플랙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밀착고정부;
    상기 면상발열부의 타면에 고정되며, 상기 밀착고정부를 매개로 상기 배터리부에 고정되는 면상발열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부가 밀착고정부;
    상기 부가 밀착고정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밀착고정부가 상기 밀착고정부를 매개로 상기 배터리부에 고정된 면상발열부의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탄성재질의 철심으로 형성되는 형상유지부;
    상기 부가 밀착고정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부가 밀착고정부를 가압하여 상기 밀착고정부 및 면상발열부의 들뜸현상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가압핑거;
    상기 가압핑거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장유닛; 및
    상기 연장유닛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부가 밀착고정부를 가압하는 가압편을 포함하는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고정부 및 상기 부가 밀착고정부는 PI(Polyimide)필름 또는 PET(Polyester)필름으로 형성되는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KR1020220117239A 2022-09-16 2022-09-16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KR102478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239A KR102478355B1 (ko) 2022-09-16 2022-09-16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239A KR102478355B1 (ko) 2022-09-16 2022-09-16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355B1 true KR102478355B1 (ko) 2022-12-19

Family

ID=8453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239A KR102478355B1 (ko) 2022-09-16 2022-09-16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3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45A (ko) 2000-10-05 2001-01-05 유태경 펌핑 층이 집적된 다 파장 AlGaInN계 반도체LED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0760B1 (ko) * 2014-11-18 2021-11-23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전극 구성체 고정용 양면 테이프 및 이차전지
KR102348683B1 (ko) * 2021-09-07 2022-01-07 노진호 이차전지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45A (ko) 2000-10-05 2001-01-05 유태경 펌핑 층이 집적된 다 파장 AlGaInN계 반도체LED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0760B1 (ko) * 2014-11-18 2021-11-23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전극 구성체 고정용 양면 테이프 및 이차전지
KR102348683B1 (ko) * 2021-09-07 2022-01-07 노진호 이차전지 배터리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8682B2 (ja) 電池部ユニット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2次電池
KR101623110B1 (ko)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TWI591875B (zh) 用於薄膜電池之電芯
US9077027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7062181B2 (ja) パウチ型二次電池
US20120301777A1 (en) Secondary battery
KR102152143B1 (ko) 전극판의 경계 부위에 절연 보강부가 형성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JP7055427B2 (ja) パウチ型二次電池
EP2827406B1 (en) Rechargeable battery
EP3486967B1 (en)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lead facing outer surface of electrode assembly
TW200527738A (en) Battery pack
JP7130122B2 (ja) リチウム金属を負極に使用する全固体電池
JP2013247024A (ja) 電源装置
KR101772416B1 (ko) 그래핀 코팅층을 가진 집전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78355B1 (ko) 플랙시블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KR20170007876A (ko) 저융점 합금을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및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20140050182A (ko) 전지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JP4617704B2 (ja) バイポーラ電池、組電池、および、これらを搭載した車両
KR102498952B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000066876A (ko) 리튬이차전지
KR101420060B1 (ko) 파우치 외장재 실링용 실링툴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US20140377593A1 (en) Battery pack
KR20170012971A (ko)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
KR20160019172A (ko) 분리막 층이 개재된 전지케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JP2000223085A (ja) 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