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971A -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 - Google Patents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2971A KR20170012971A KR1020150105703A KR20150105703A KR20170012971A KR 20170012971 A KR20170012971 A KR 20170012971A KR 1020150105703 A KR1020150105703 A KR 1020150105703A KR 20150105703 A KR20150105703 A KR 20150105703A KR 20170012971 A KR20170012971 A KR 201700129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battery
- battery cell
- electrode
- electrod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 H01M2/0287—
-
- H01M2/08—
-
- H01M2/1016—
-
- H01M2/30—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감싸도록 상호 결합되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케이스에는 전극조립체가 장착되는 전극조립체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가 전극조립체 수납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외주부가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케이스;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양극 탭 및 음극 탭과 결합하는 제 1 전극단자 및 제 2 전극단자;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전극단자는 전지케이스의 일측의 외주 실링부를 따라 절곡되어 있는 형상으로 전지케이스의 외주 실링부 내에 밀봉되어 있으며, 제 1 전극단자의 단부가 일 측면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과 전해액의 구성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그 중 전해액의 누액 가능성이 적으며, 제조가 용이한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의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되며,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로 이루어져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에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이 중, 전지의 고용량화로 인해 케이스의 대면적화 및 얇은 소재로의 가공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이에 따라,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20) 내부에,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30)가 그것의 양극 및 음극 탭들(31, 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전극리드(40, 4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지케이스(20)는 전극조립체(30)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23)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21)와 그러한 본체(21)에 일체로서 연결되어 있는 커버(22)로 이루어져 있다.
전지케이스(20)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외각을 이루는 외측 수지층(20A), 물질의 관통을 방지하는 차단성 금속층(20B), 및 밀봉을 위한 내측 수지층(20C)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택형 전극조립체(30)는 다수의 양극 탭들(31)과 다수의 음극 탭들(32)이 각각 융착되어 전극리드(40, 41)에 함께 결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21)의 상단부(24)와 커버(22)의 상단부가 열융착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열융착될 때 그러한 열융착기와 전극리드(40, 41)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극리드(40, 41)와 전지케이스(20)와의 밀봉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극리드(40, 41)의 상하면에 절연필름(50)이 부착된다.
이차전지는 각종 가연성 물질들이 내장되어 있어서, 과충전, 과전류, 기타 물리적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발열,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충전, 과전류 등의 비정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안전소자로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 보호회로 모듈(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등이 전지셀에 접속된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각종 무선 디바이스 및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어 사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각종 장치에 사용되기 위해 설계 자유도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지셀의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는 일측 또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극리드들의 위치 제한은 전지셀의 설계 자유도를 한정하여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우수한 수명 특성과 에너지 성능을 제공하는 이차전지를 다양한 장치에 적용 범위를 제한하는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셀의 전극단자들의 형성 위치가 제한되므로 설계 자유도가 한정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전극단자의 단부가 전지셀의 일 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전지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감싸도록 상호 결합되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케이스에는 전극조립체가 장착되는 전극조립체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가 전극조립체 수납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외주부가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케이스;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양극 탭 및 음극 탭과 결합하는 제 1 전극단자 및 제 2 전극단자;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전극단자는 전지케이스의 일측의 외주 실링부를 따라 절곡되어 있는 형상으로 전지케이스의 외주 실링부 내에 밀봉되어 있으며, 제 1 전극단자의 단부가 일 측면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은, 전극단자들의 형성 위치를 변경하여 전지셀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는 상호 분리된 개별 부재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는 공통변을 통해 상호 연결된 1 단위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공통변은 제 2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방향의 대향변 또는 제 1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변의 대향변인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케이스의 일측 외주부는 절곡된 형상의 제 1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외주 실링부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장 실링부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지케이스는 절곡된 형상의 제 1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외주 실링부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링부에 부착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단자는, 전지케이스의 상측 외주부에 위치하는 제 1 절곡부, 및 전지케이스의 측면 외주부에 위치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1 전극단자의 측면 방향 위치 범위는 전지케이스 길이의 10% 내지 70%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제 1 전극 단자는 제 2 전극 단자와 대향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의 길이가 상이한 구조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의 폭 크기는 상이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제 1 전극단자에서 절곡부들의 폭 크기는 전지케이스의 외주부 폭 크기의 30% 내지 95%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1 전극단자와 전지케이스의 외주부 사이에는 밀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극 탭 및 음극 탭과 결합하는 제 1 전극단자 및 제 2 전극단자의 결합 부위에는 전기적으로 절연을 위한 절연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제 1 전극단자 및 제 2 전극단자는 각각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은 전극리드들의 위치를 변경하여 전지셀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극리드의 위치를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에 사용되는 전극단자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전지셀의 일부 확대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에 연장 실링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에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에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에 사용되는 전극단자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전지셀의 일부 확대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에 연장 실링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에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에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지셀(100)은 전극조립체(110), 전지케이스(140), 및 제 1 전극단자(120)와 제 2 전극단자(1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극조립체(110)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고, 전극조립체(11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극 탭들(130, 132)에 전극단자들(120, 122)이 용접되어 있다. 전극단자들(120, 122)은 전극조립체(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양극 탭(130) 및 음극 탭(132)과 결합되어 있다.
전극 탭들(130, 132)과 결합하는 제 1 전극단자(120) 및 제 2 전극단자(122)의 결합 부위에는 전지케이스(140)와의 밀봉도를 높이고 동시에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하기 위하여 절연 테이프들(124, 126, 127)이 부착되어 있다.
전지케이스(140)는 길이(L)와 폭(W)을 가지고 있고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전지케이스(140)는 제 1 케이스(141) 및 제 2 케이스(142)가 공통변(143)을 통해 상호 연결된 1 단위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공통변(143)은 제 1 전극단자(120)가 위치하는 방향의 대향변의 단부이다.
A-A'선에 따른 단면에서, 전지케이스(140)에는 전극조립체(110)가 장착되는 전극조립체 수납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전지케이스(140)에서 상부 및 하부 외주부(151)와 측면 외주부(152)로 구성되어 있는 외주부(150)가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즉, 전지케이스(140)의 전극조립체 수납부(160)에 전극조립체(110)를 삽입한 후에 제 1 전지케이스(141)와 제 2 전지케이스(142)의 외주부(150)를 고온의 실링 툴로 압착하여 융점이 낮은 수지층을 용융 및 상호 접착시켜 밀봉한다.
제 1 전극단자(120)는 제 1 절곡부(120a) 및 제 2 절곡부(120b)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단자(120)는 전지케이스(140)의 일측의 외주 실링부(153)를 따라 절곡되어 있는 형상으로 외주 실링부(153) 내에 실링되어 있다.
제 1 전극단자(120)는 제 2 전극단자(122)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의 대향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제 1 전극단자(120)의 단부가 전지케이스(140)의 측면에서 좌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에 사용되는 전극단자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전극단자(120)는 전지케이스(도 2: 140)의 상측 외주부에 위치하는 제 1 절곡부(120a), 및 전지케이스(도 2: 140)의 측면 외주부(도 2: 152)에 위치하는 제 2 절곡부(120b)를 포함하며, 제 1 절곡부(120a)와 제 2 절곡부(120b)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전극단자(120)는 전극 탭들(도 2: 132)과 결합되는 부분과 단부에 절연 테이프들(126, 127)이 부착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2에 따른 전지셀의 일부 확대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전극단자(120)의 측면 방향 위치는 전지케이스(140) 길이(도 2: L)의 10% 내지 70% 범위 중에서 상단으로부터 60% 길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절곡부(120a) 및 제 2 절곡부(120b)는 동일한 폭이며, 제 1 전극단자(120)에서 절곡부들(120a, 120b)의 폭(W2) 크기는 전지케이스(140)의 외주부 폭(W1) 크기의 40% 크기이다.
절곡부들(120a, 120b)의 폭(W2) 이외의 전지케이스(140)의 외주부들(L1, L2)은 다른 폭을 가지고 있다. 절곡부들(120a, 120b)의 폭(W2)과 외주부(150)의 폭(W1)에 따라 외주부들(L1, L2)의 폭이 달라질 수 있는 구조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에 연장 실링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지셀(200)은 전지케이스(240)의 절곡된 형상의 제 1 전극단자(220)가 위치하는 외주 실링부(253)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장 실링부(255)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전극단자(220)는 제 1 절곡부(220a)와 제 2 절곡부(220b)를 포함하고 있다. 연장 실링부(255)는 제 1 전극단자(220)가 전지케이스(240)의 외주부(250)에 밀봉되면 외주 실링부(253)를 더 감싸서 밀봉력을 향상시킨다.
전지셀(200)은 연장 실링부(255)의 구조가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2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에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지셀(300)의 전지케이스(340)는 절곡된 형상의 제 1 전극단자(320)가 위치하는 외주 실링부(353)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주부(350)에 보강 부재(370)가 장착되는 구조이다.
E-E'선에 따른 단면에서, 전지케이스(340)는 제 1 케이스(341) 및 제 2 케이스(342)로 구성되어 있다. 전지케이스(340)에 제 1 전극단자(320)와 제 2 전극단자(322)가 형성되어 있고, 전극조립체(310)가 장착되는 전극조립체 수납부(360)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단자(320)는 절곡된 형상이며 전지케이스(340)의 외주부(350) 내에 밀봉되어 제 1 전극단자(320)의 단부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강 부재(370)는 제 1 전극단자(320)의 절곡된 길이에 대응하는 형상과 길이를 가진다. 제 1 전극단자(320)가 밀봉되어 있는 외주부(350)에 보강 부재(370)를 화살표 방향으로 장착하고, E-E'선에 따른 단면도에서 외주부(350)의 상면과 하면을 감싸는 구조이다.
보강 부재(370)는 제 1 전극단자(320)의 측면을 덮는 구조이다.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보강 부재(371)는, 제 1 전극단자(320)를 내부에 밀봉하고 있는 외주부(350)의 측면과 상면을 덮게 되어 외주부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지셀(300)은 보강 부재(370)를 장착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2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에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전극단자(420)와 전지케이스(440)의 외주부(450) 사이에는 밀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접착 테이프(470)를 포함하고 있다.
접착 테이프(470)는 제 1 전극단자(420)와 전지케이스(44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구조이다. 양면 접착 테이프(470)를 사용하는 경우에 제 1 전극단자(420)와 전지케이스(440) 사이에 접착 테이프(470)가 각각 개재되어 밀봉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전지셀(400)은 접착 테이프(470)를 부착하는 구조가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2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9)
-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감싸도록 상호 결합되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케이스에는 전극조립체가 장착되는 전극조립체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가 전극조립체 수납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외주부가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케이스;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양극 탭 및 음극 탭과 결합하는 제 1 전극단자 및 제 2 전극단자;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전극단자는 전지케이스의 일측의 외주 실링부를 따라 절곡되어 있는 형상으로 전지케이스의 외주 실링부 내에 밀봉되어 있으며, 제 1 전극단자의 단부가 일 측면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는 상호 분리된 개별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는 공통변을 통해 상호 연결된 1 단위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공통변은 제 2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방향의 대향변 또는 제 1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변의 대향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의 일측 외주부는 절곡된 형상의 제 1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외주 실링부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장 실링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절곡된 형상의 제 1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외주 실링부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링부에 부착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단자는, 전지케이스의 상측 외주부에 위치하는 제 1 절곡부, 및 전지케이스의 측면 외주부에 위치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단자의 측면 방향 위치 범위는 전지케이스 길이의 10% 내지 7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의 길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의 폭 크기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단자에서 절곡부들의 폭 크기는 전지케이스의 외주부 폭 크기의 30% 내지 9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단자와 전지케이스의 외주부 사이에는 밀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탭 및 음극 탭과 결합하는 제 1 전극단자 및 제 2 전극단자의 결합 부위에는 전기적으로 절연을 위한 절연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단자 및 제 2 전극단자는 각각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8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5703A KR102074995B1 (ko) | 2015-07-27 | 2015-07-27 |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5703A KR102074995B1 (ko) | 2015-07-27 | 2015-07-27 |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2971A true KR20170012971A (ko) | 2017-02-06 |
KR102074995B1 KR102074995B1 (ko) | 2020-02-07 |
Family
ID=5810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5703A KR102074995B1 (ko) | 2015-07-27 | 2015-07-27 |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499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03595A (ko) * | 2017-03-10 | 2018-09-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조립체 |
KR20190087744A (ko) * | 2018-01-17 | 2019-07-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방열 및 연쇄발화 방지 구조를 구비한 멀티 레이어 원통형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US11114700B2 (en) | 2017-03-28 | 2021-09-07 | Lg Chem, Ltd. | Pouch-shaped secondary battery having structure in which bidirectional cell is changed to unidirectional cel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77038A (ja) * | 1998-08-31 | 2000-03-14 | Asahi Chem Ind Co Ltd | 樹脂被膜で密閉された電池 |
KR20070104688A (ko) * | 2006-04-24 | 2007-10-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외부 입출력 단자가 전지셀의 측부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소형 전지팩 |
KR100933843B1 (ko) * | 2008-03-28 | 2009-12-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전지 |
JP2012089338A (ja) * | 2010-10-19 | 2012-05-10 | Nissan Motor Co Ltd | 積層型電池 |
-
2015
- 2015-07-27 KR KR1020150105703A patent/KR1020749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77038A (ja) * | 1998-08-31 | 2000-03-14 | Asahi Chem Ind Co Ltd | 樹脂被膜で密閉された電池 |
KR20070104688A (ko) * | 2006-04-24 | 2007-10-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외부 입출력 단자가 전지셀의 측부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소형 전지팩 |
KR100933843B1 (ko) * | 2008-03-28 | 2009-12-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전지 |
JP2012089338A (ja) * | 2010-10-19 | 2012-05-10 | Nissan Motor Co Ltd | 積層型電池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03595A (ko) * | 2017-03-10 | 2018-09-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조립체 |
US11114700B2 (en) | 2017-03-28 | 2021-09-07 | Lg Chem, Ltd. | Pouch-shaped secondary battery having structure in which bidirectional cell is changed to unidirectional cell |
KR20190087744A (ko) * | 2018-01-17 | 2019-07-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방열 및 연쇄발화 방지 구조를 구비한 멀티 레이어 원통형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4995B1 (ko) | 2020-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37683B2 (en) | Battery cell of venting structure using taping | |
KR100496305B1 (ko) |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 |
KR100894409B1 (ko) | 전지케이스에 분리막을 고정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킨이차전지 | |
KR101666418B1 (ko) | 전극리드-전극 탭 결합부 보호용 필름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
EP3486967B1 (en) |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lead facing outer surface of electrode assembly | |
KR102211174B1 (ko) | 이차전지 | |
EP2560230A1 (en) |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 |
KR102179687B1 (ko) |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80067323A (ko) |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 |
KR102074995B1 (ko) |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 | |
KR101797694B1 (ko) | 보호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 |
KR102060679B1 (ko) | 시트 구조의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
KR102263483B1 (ko) | 내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 | |
KR101846486B1 (ko) | 일체형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20150072236A (ko) | 테라스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의 패키징 구조 및 그 방법 | |
KR101969387B1 (ko) | 외부 입출력 양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각형 전지팩 | |
KR20150013014A (ko) | 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
EP2854195B1 (en) | Batterypack with protective circuit module | |
KR102104966B1 (ko) | 전극단자들 사이에 열융착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 |
KR101717184B1 (ko) | 고에너지밀도의 전지팩 | |
KR20190112582A (ko) | 균일 면압 전지셀 카트리지 | |
KR102696175B1 (ko) |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
KR20170138305A (ko) | 외주변 부위가 접착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 |
KR20220168363A (ko) | 이차 전지 | |
KR101735805B1 (ko) | 열융착 부위가 절곡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