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171B1 -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171B1
KR102478171B1 KR1020200069671A KR20200069671A KR102478171B1 KR 102478171 B1 KR102478171 B1 KR 102478171B1 KR 1020200069671 A KR1020200069671 A KR 1020200069671A KR 20200069671 A KR20200069671 A KR 20200069671A KR 102478171 B1 KR102478171 B1 KR 10247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support surface
connecting device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472A (ko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ublication of KR20210034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472A/ko
Priority to KR1020220062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04B2001/4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는, 건축용 골조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골조 연결장치에 있어서,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평평한 면을 갖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일 측단에 부착되며,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골조를 종,횡방향으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골조를 조립할 수 있고, 벽체에 부착시켜 사용하거나 또한 모서리 부위에 설치가 용이하여 다양한 구조의 골조 조립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Construction Pipe Connector for Cattle Shed}
개시되는 내용은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을 수용하는 우리를 신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골조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축사는 소, 돼지, 말과 같은 가축을 수용하는 우리를 칭하는 것으로, 다수의 골조를 연결하여 기둥과, 보 등을 조립한 후 천장 및 벽에 판넬을 부착하여 우리가 완성될 수 있다.
종래 종,횡 골조를 연결하기 위해 골조 클램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선행기술은 주로 비닐하우스를 조립할 때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원통형 골조를 연결하려는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축사의 골조를 조립할 경우에는 적용되기 어려웠다.
축사의 골조는 강성이 비닐하우스 보다 더 강하게 요구되므로 대개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골조를 주로 사용하였고, 종,횡방향으로 사각골조를 연결시 용접에 의존해왔으나 조립 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작업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637031호에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장치"가 개시되 어 있다.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상호 체결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장치에 있어서; 제1파이프가 결합되는 제1파이프결합홈이 형성되도록 U형으로 형성된 바디부와; 제2파이프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파이프와 상호 점접촉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양측벽에 제1파이프와 직각으로 제2파이프가 결합되게 형성한 제2파이프결합홈 및 제2파이프결합홈이 개구된 반대쪽으로 개구되도록 양측벽에 형성된 핀구멍과; 상기 핀구멍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회동편을 중심으로 제1파이프와 접하는 아래쪽으로는 짧게 가압구가 형성되고, 위쪽으로는 지렛대 역할을 하도록 손잡이를 길게 형성한 구성으로, 제2파이프결합홈이 개구된 쪽으로 손잡이를 회동시킬 때 제1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구가 회동편을 중심으로 손잡이 반대쪽으로 형성된 파이프가압부재와; 제2파이프를 감싸도록 손잡이의 양쪽으로 하향 절곡 형성한 제2파이프 고정편 및 제1파이프의 양측으로 위치하도록 손잡이의 단부쪽 양쪽으로 하향 절곡 형성한 제1파이프고정편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축사와 같이 내구성이 요구되는 건축물에서 주로 사용하는 사각관체를 사용하기에는 구성이 복잡하고 강성이 부족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개시되는 내용은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골조를 종,횡방향으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골조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 실시예의 목적은, 건축용 골조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골조 연결장치에 있어서,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평평한 면을 갖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일 측단에 부착되며,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제1연결부; 플레이트의 외면 또는 제1연결부에 골조의 단부가 삽입되거나 각 지지면에 골조의 측면이 부착되는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2.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의 타 측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직각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플레이트의 외면 또는 제2연결부에 골조의 단부가 삽입되거나 각 지지면에 골조의 측면이 부착되는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3.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의 다른 타 측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연결부 또는 제2연결부와 직각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제3연결부;를 포함하고,상기 플레이트의 외면 또는 제3연결부에 골조의 단부가 삽입되거나 각 지지면에 골조의 측면이 부착되는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연결부 내지 제3연결부 각각은 지지면 또는 지지단부에 볼트 체결용 나사공이 형성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골조를 종,횡방향으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골조를 조립할 수 있고, 벽체에 부착시켜 사용하거나 또한 모서리 부위에 설치가 용이하여 다양한 구조의 골조 조립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제2-1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제2-1실시예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은 제2-2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6는 제2-2실시예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는 제3-1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8은 제3-1실시예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제3-2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9는 제3-2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제3-3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제3-3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제4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6은 제4실시예의 여러가지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A1)는, 건축용 골조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골조 연결장치에 있어서,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평평한 면을 갖는 플레이트(100); 플레이트(100)의 일 측단에 부착되며, 플레이트(100)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220)과, 상기 지지면(220)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240)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260)이 형성된 제1연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레이트(100)는 골조(500)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사각형의 금속판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플레이트(100)는 골조(500)의 단부에 부착되고, 대개 용접으로 부착된다.
제1연결부(200)는 그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직의 지지면(220)과, 이 지지면(220)의 양단에 각기 형성되는 지지단부(240)를 포함하고, 일측방 및 지지면(220)에 대향되는 전방은 골조를 삽입하기 편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렇게 형성된 제1연결부(200)는 골조(500)의 외면에 결합되어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볼트 체결 또는 스폿용접으로 부착된다.
상기 제1연결부(200)는 다수의 나사공(270)이 형성된다. 이들 다수의 나사공(270)에 볼트(280)가 체결되어 골조(5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0)를 수직기둥골조(520)의 단부에 얹은 후 가장자리를 용접시켜 부착시킨다.
이후 제1연결부(200)에 수평골조(54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후 볼트(280)를 체결하고, 아울러 스폿용접으로 고정시킨다.
첨부된 도 3은 제2-1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제2-1실시예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A2-1)는,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220)과, 지지면(220)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240)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260)이 형성된 제1연결부(200);
상기 제1연결부(200)와 직각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면(220)에 직각이면서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320)과, 상기 지지면(320)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340)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360)이 형성된 제2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금속판재를 직각되게 절곡시켜 제1연결부(200)와 제2연결부(300)가 형성된다. 이후 각 제1연결부(200) 또는 제2연결부(300)의 상,하부를 직각으로 절곡시켜 각기 지지단부(240,340)를 각기 형성시킨다.
이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200) 및 제2연결부(300)에 각기 수직기둥골조(520)의 측면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한 후 지지면(220,320)에 각기 볼트(280)를 체결하여 수직기둥골조(520)와 결합시킨다.
또한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직기둥골조(520)와 지지면(220,320) 간의 접촉부위에 대한 스폿용접 또는 볼트체결로 고정시킨다.
이후 제1연결부(200) 또는 제2연결부(300)의 각 삽입홈(260,360)에 각기 수평골조(54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후 볼트(280)를 체결하고, 아울러 스폿용접 또는 볼트체결로 고정시킨다.
한편 도 5은 제2-2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6는 제2-2실시예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2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A2-2)는,
평평한 면을 갖는 플레이트(100);
플레이트(100)의 일 측단에 부착되며, 플레이트(100)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220)과, 지지면(220)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240)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260)이 형성된 제1연결부(200);
플레이트(100)의 타 측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연결부(200)와 직각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100)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320)과, 상기 지지면(320)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340)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360)이 형성된 제2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레이트(10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직각으로 접하는 외주면 양측에 각기 제1연결부(200)와 제2연결부(300)가 형성된다.
제1연결부(200) 또는 제2연결부(300)에 각기 수평골조(540)의 단부가 삽입되거나 각 지지면(320)에 수직기둥골조(520)의 측면이 부착된다.
이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0)를 수직기둥골조(520)의 단부에 얹은 후 가장자리를 용접시켜 부착시킨다.
제1연결부(200) 또는 제2연결부(300)의 각 삽입홈(260,360)에 각기 수평골조(54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후 볼트(280)를 체결하고, 아울러 스폿용접 또는 볼트체결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2개의 수평골조(540)가 직각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주로 구조물(P)의 가장자리 모서리 부분에 많이 사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 7는 제3-1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8은 제3-1실시예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제3-2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1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A3-1)는,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220)과, 지지면(220)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240)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260)이 형성된 제1연결부(200);
상기 제1연결부(200)의 일측에 직각되게 형성되며,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320)과, 상기 지지면(320)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340)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360)이 형성된 제2연결부(300);
상기 제1연결부(200)의 타측에 직각되게 형성되며,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420)과, 상기 지지면(420)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440)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460)이 형성된 제3연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1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1연결부(200), 제2연결부(300), 제3연결부(400)에 형성된 각각의 삽입홈(260,360,460)에 3개 수평골조(540)의 단부가 각기 삽입되거나 또는 각 지지면(220,320,420)에 수직기둥골조(520)의 측면이 부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1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A3-1)는,
상기 제1연결부(200), 제2연결부(300), 제3연결부(400)에 형성된 각각의 삽입홈(260,360,460)에 3개 수평골조(540)의 단부가 각기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이후 수직기둥골조(520)에 제1연결부(200), 제2연결부(300), 제3연결부(400)의 각 지지면(220,320,420)이 밀착된 후 볼트 체결 또는 용접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구조물(P)의 가장자리 중간 부분에 많이 사용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인 제3-3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는,
제1연결부(200)는 측면에 막음판(230)이 형성되어 삽입홈(260)의 일측이 막혀지도록 하고,
상,하 지지단부(240)의 일부분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절개홈(2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절개홈(242)을 통해 볼트(미도시)를 체결하거나 또는 공구가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 10는 제3-2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1은 제3-2실시예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2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A3-2)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평평한 면을 갖는 플레이트(100);
플레이트(100)의 일 측단에 부착되며, 플레이트(100)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220)과, 지지면(220)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240)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260)이 형성된 제1연결부(200);
플레이트(100)의 타 측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연결부(200)와 직각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100)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320)과, 상기 지지면(320)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340)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360)이 형성된 제2연결부(300);
플레이트(100)의 다른 타 측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연결부(200) 또는 제2연결부(300)와 직각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100)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420)과, 상기 지지면(420)의 양단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부(440)가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460)이 형성된 제3연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00)의 외면 또는 제3연결부(400)에 골조(500)의 단부가 삽입되거나 각 지지면(420)에 골조(500)의 측면이 부착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A3)는 수직기둥골조(520)에 플레이트(100)가 부착되고, 플레이트(100)의 3면에 각기 형성된 제1연결부(200), 제2연결부(300), 제3연결부(400)에 각기 수평골조(540)가 결합된다.
따라서 구조물(P)의 가장자리 중간 부분에 많이 사용된다.
도 12은 제4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A4)는, 건축용 골조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골조 연결장치에 있어서,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수직이면서 평평한 마감면(570);
마감면(570)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제4측벽(521)이 형성되고, 제4측벽(521)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부에 형성되는 마감벽(541)으로 구성되고,
하부에 제1개구부(561)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제1개구부(561)와 통하는 제2개구부(562)가 형성되며, 내부에 제4삽입홈(560)이 형성된 제4연결부(501);
마감면(570)의 타측에 형성되되 마감벽(541)과 대칭되게 제5측벽(585)이 상부에 형성되고, 양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제5삽입홈(586)이 형성된 제5연결부(5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감벽(541)은 제4측벽(521)을 상부를 절곡시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양측 마감벽(541)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고, 양측 마감벽(541)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마감벽(541)이 제4측벽(521)에 이어져서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제4삽입홈(560)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직각 방향으로 제1,2개구부(561,562)가 형성되어 각기 골조(T2,T2')를 수직 또는 수평하게 끼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마감면(57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5측벽(585)에 의해 제5삽입홈(586)이 형성될 수 있다.
제5삽입홈(586)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과 전후방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골조(T1,T2)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6는 복수의 골조(T2,T2')를 연결하기 위해 제4실시예에 따른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A4)가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골조(T2,T2') 각각의 단부가 제4삽입홈(560) 및 제5삽입홈(586)에 결합되어 연결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T2')의 단부가 제4삽입홈(560)에 결합된 후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고, 제5삽입홈(586)에는 골조(T2)의 측면부가 삽입되어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골조(T2)와 골조(T2')가 상호 직각된 상태가 되도록 연결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T1)의 상단이 제4삽입홈(560)에 결합된 후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고, 그에 대해 직각방향이 되게 골조(T2)의 단부가 제5삽입홈(586)에 결합된 후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며, 골조(T1)와 골조(T2)는 직각 상태로 연결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플레이트 200 : 제1연결부
220 : 지지면 240 : 지지단부
260 : 삽입홈 300 : 제2연결부
320 : 지지면 340 : 지지단부
360 : 삽입홈 400 : 제3연결부
420 : 지지면 440 : 지지단부
460 : 삽입홈 500 : 골조
520 : 수직기둥골조 540 : 수평골조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수직하고 평평한 마감면(570);
    상기 마감면(570)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제4측벽(521)이 형성되고, 제4측벽(521)에 연결되며 상부에 형성되는 마감벽(541)으로 구성되고,
    하부에 제1개구부(561)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제1개구부(561)와 통하는 제2개구부(562)가 형성되며, 내부에 제4삽입홈(560)이 형성된 제4연결부(501);
    상기 마감면(570)의 타측에 형성되되 마감벽(541)과 대칭되게 제5측벽(585)이 상부에 형성되고, 양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제5삽입홈(586)이 형성된 제5연결부(5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벽(541)은 제4측벽(521)을 상부를 절곡시켜 형성되며, 양측 마감벽(541)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고, 양측 마감벽(541)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
KR1020200069671A 2019-09-20 2020-06-09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 KR102478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770A KR102529223B1 (ko) 2019-09-20 2022-05-23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213 2019-09-20
KR20190116213 2019-09-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770A Division KR102529223B1 (ko) 2019-09-20 2022-05-23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472A KR20210034472A (ko) 2021-03-30
KR102478171B1 true KR102478171B1 (ko) 2022-12-16

Family

ID=752650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671A KR102478171B1 (ko) 2019-09-20 2020-06-09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
KR1020220062770A KR102529223B1 (ko) 2019-09-20 2022-05-23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770A KR102529223B1 (ko) 2019-09-20 2022-05-23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8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11957A (zh) * 2021-12-28 2022-04-29 浩伦建工有限公司 一种土木工程抗震效果好的房建框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8000B2 (ja) * 1995-12-19 2000-01-11 株式会社シェルター 建築部材用継手装置
KR101680035B1 (ko) * 2014-04-25 2016-11-28 안혜연 조립식 구조물용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101637031B1 (ko) 2015-03-04 2016-07-11 이흥창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223B1 (ko) 2023-05-04
KR20210034472A (ko) 2021-03-30
KR20220074834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9223B1 (ko)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
JP7278618B2 (ja) 2つのワークピースのためのコネクタ
KR101456359B1 (ko) 비정형 그리드 쉘 구조물의 4웨이 테넌 조인트 프레임
US6449786B1 (en) Connecting device
JP3940621B2 (ja) 床構造、床パネル及びユニット建物
KR101423244B1 (ko) 조립식 옷장
KR102251617B1 (ko) 축사 건축용 파이프 연결장치
KR102268635B1 (ko) 축사 건축용 파이프 연결장치
KR102459395B1 (ko) 조립식 트러스용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US20210153652A1 (en) Planar exterior pipe rack system, and planar exterior forming square rack pipe and rack pipe connecting square joint which constitute planar exterior pipe rack system
KR20110086316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120369B1 (ko) 조립식 건물의 지붕 구조물
JP2008306960A (ja) シート止め材のt形ジョイント
KR101874266B1 (ko) 목재데크 시스템
KR102358861B1 (ko) 비닐하우스용 서까래 결속시스템
JP2005344371A (ja) 床構造体及びテラスデッキ
KR102321471B1 (ko) 비닐고정패드 일체형 비닐하우스용 서까래
KR20190002922U (ko) 산업용 랙 시스템용 사각 알루미늄 프로파일, 랙 조인트 및 수직 연결 부재
CN219089158U (zh) 支架梁、基站、扫地机和清洁装置
KR101289994B1 (ko) 각재 연결부재
KR101632927B1 (ko) 판넬 조립식 구조물 구축용 연결부재
JP2736595B2 (ja) 組立式の下地材
KR200373363Y1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의 구조
KR102543329B1 (ko) 양방향 무용접 고정브라켓
KR200156121Y1 (ko) 꺽임천정용 바 결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