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037B1 - 전지 팩 및 차량 - Google Patents
전지 팩 및 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8037B1 KR102478037B1 KR1020227015189A KR20227015189A KR102478037B1 KR 102478037 B1 KR102478037 B1 KR 102478037B1 KR 1020227015189 A KR1020227015189 A KR 1020227015189A KR 20227015189 A KR20227015189 A KR 20227015189A KR 102478037 B1 KR102478037 B1 KR 1024780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 battery pack
- battery module
- battery
- alo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전지 팩 및 차량을 제공한다. 전지 팩은 박스 하단벽과 박스 측벽을 포함하며, 박스 하단벽과 박스 측벽에 의해 수용부를 형성하는 박스; 수용부)내에 설치되고 복수의 전지 셀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로서, 전지 셀의 하우징 측벽은 제1 방향을 따라 대향하여 설치된 두 개의 제1 측벽과 제2 방향을 따라 대향하여 설치된 두 개의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제1 측벽의 면적은 제2 측벽의 면적보다 크고,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모두 박스 하단벽에 평행되고 또한 서로 수직되는 것인, 전지 모듈; 및 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전지 모듈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로서, 프레임 구조는 전지 모듈의 제1 방향에 따른 양단에 각각 위치한 제1 빔 및 제2 빔을 포함하고, 제1 빔과 제2 빔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제1 방향을 따라 제1 측벽과 대향하여 설치되며, 제1 빔은 박스에 탈착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빔은 박스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프레임 구조(20)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전지 팩은 안전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데 유리하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19 년 11 월 19 일에 제출된 "전지 팩 및 차량"이라는 발명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201911133282.1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모든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통합된다.
본 출원은 전지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지 팩 및 차량에 관한 것 이다.
관련 기술에서, 차량에 사용되는 전지 팩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지 모듈이 포함되며, 전지 모듈에는 여러 개의 전지 셀이 포함되며, 전지 셀은 일반적으로 이차 리튬 이온 전지이다. 전지 팩의 사용 과정은 이차 리튬 이온 전지의 여러 번 충방전 사이클 과정이다. 전지 셀의 충방전 사이클 과정에서, 전지 셀의 전극 어셈블리내에 있는 정극 시트와 부극 시트는 활성 물질의 구조 변화나 부반응으로 인해 전지 셀의 주기적인 팽창이 발생할 수 있다. 전지의 사용 주기가 길어질수록 주기적 팽창에 의해 발생하는 팽창력이 점차 커지는 추세를 보인다.
전지 팩에 사용되는 하드 케이스 전지 셀은 일반적으로 사각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전지 셀에는 하우징과 상단 커버가 포함된다. 하우징은 상단 커버에 대향하는 하우징 하단벽과 상단 커버와 하우징 하단벽 사이에 배치된 하우징 측벽을 포함한다. 하우징 측벽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대향하여 설치된 제1 측벽과 두 개의 제1 측벽 사이에 연결되고 대향하여 설치된 두 개의 제2 측벽을 포함하는 바, 제2 측벽의 면적은 제1 측벽의 면적보다 작다. 팽창력의 주요 방향은 제1 측벽에 수직인 방향이므로, 팽창력의 증가는 전지 셀의 제1 측벽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전지 모듈 군 형태의 전지 모듈의 경우, 팽창력은 전지 모듈 군의 엔드 플레이트에 더 큰 압력을 가한다. 팽창력의 증가에 견딜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일정한 구조 강도의 엔드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전지 셀의 과도한 팽창과 변형을 방지하고 사이클 과정에서 전지 셀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동시에 엔드 플레이트의 구조는 전지 셀에 너무 큰 압력을 가해서는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전지 셀은 충방전 사이클 과정에서 리튬 석출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 전지 셀의 사이클 수명을 감소시킨다.
본 출원의 제1 양태는 전지 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전지 팩은,
박스 하단벽과 박스 측벽을 포함하며, 박스 하단벽과 박스 측벽에 의해 수용부를 형성하는 박스;
수용부내에 설치되고 복수의 전지 셀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로서, 전지 셀의 하우징 측벽은 제1 방향을 따라 대향하여 설치된 두 개의 제1 측벽과 제2 방향을 따라 대향하여 설치된 두 개의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제1 측벽의 면적은 제2 측벽의 면적보다 크고,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모두 박스 하단벽에 평행되고 또한 서로 수직되는 것인, 전지 모듈; 및
수용부내에 설치되고, 전지 모듈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로서, 프레임 구조전지 모듈의 제1 방향에 따른 양단에 각각 위치한 제1 빔 및 제2 빔을 포함하고, 제1 빔과 제2 빔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제1 방향을 따라 제1 측벽과 대향하여 설치되며, 제1 빔은 박스에 탈착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빔은 박스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빔은 박스에 용접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빔은,
제1 빔 상단벽;
제1 빔 상단벽에서의 제1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박스 하단벽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빔 측벽; 및
제1 빔 측벽의 박스 하단벽에 가까운 일단으로부터 제1 빔 측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빔 장착 플랜지로서, 제1 빔은 제1 빔 장착 플랜지를 통해 박스 하단벽탈착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빔 장착 플랜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빔은 판형 빔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빔은 판재를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판재의 두께는 제2 빔의 판재 두께의 0.2~0.5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팩은,
제1 빔과 전지 모듈 사이에 설치된 제1절연판; 및/또는,
제2 빔과 전지 모듈 사이에 설치된 제2절연판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조는 전지 모듈의 제2 방향에 따른 양단에 각각 위치하며 또한 박스내에 고정된 제3 빔 및 제4 빔을 포함하고, 제3 빔과 제4 빔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제2 방향을 따라 제2 측벽에 대향하여 설치되며, 제2 빔의 제2 방향에서의 양단은 각각 제3 빔과 제4 빔의 제2 빔에 가까운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빔에 가까운 제3 빔의 단부에는 제3 빔 단부 노치가 설치되고,
제2 빔에 가까운 제4 빔의 단부에는 제4 빔 단부 노치가 설치되고,
제2 빔의 제2 방향에 따른 양단은 각각 제3 빔 단부 노치및 제4 빔 단부 노치내에 설치되고, 또한 각각 제3 빔 및 제4 빔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빔의 제2 방향에서의 중간 부분은 박스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조는 제2 빔의 제1 방향을 따라 전지 모듈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의 중간 부분에 고정 설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제2 빔의 중간 부분은 돌출부를 통해 박스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팩은 수용부내에 설치된 제5 빔을 포함하고, 제5 빔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제2 빔과 박스 측벽 사이에 위치하며, 제2 빔은 제5 빔과 전지 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제1 방향에서 제5 빔과 간극을 갖고 있으며, 제5 빔은 박스 하단벽에 고정 연결되고, 돌출부는 제5 빔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팩은 수용부내에 설치된 제5 빔을 포함하고, 제5 빔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전지 모듈의 제2 빔이 설치된 일단에 위치하며, 제2 빔은 제5 빔과 전지 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제1 방향에서 제5 빔과 간극을 갖고 있으며, 제5 빔은 박스 하단벽에 고정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조는 전지 모듈의 제2 방향에 따른 양단에 각각 위치하며 또한 박스내에 고정된 제3 빔 및 제4 빔을 포함하고, 제3 빔과 제4 빔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제2 방향을 따라 제2 측벽에 대향하여 설치되며, 제2 빔의 제2 방향에서의 양단은 각각 제3 빔과 제4 빔의 제2 빔에 가까운 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빔, 제2 빔, 제3 빔 및 제4 빔의 제3 방향에서의 치수는 제5 빔의 제3 방향에서의 치수 보다 크고, 제3 방향은 박스 하단벽에 수직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조는 전지 모듈의 제2 방향에 따른 양단에 각각 위치하며 또한 박스내에 고정된 제3 빔 및 제4 빔을 포함하고, 제3 빔과 제4 빔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제2 방향을 따라 제2 측벽에 대향하여 설치되며, 제2 빔의 제2 방향에서의 양단은 각각 제3 빔과 제4 빔의 제2 빔에 가까운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3 빔의 제2 빔에 가까운 단부와 제4 빔의 제2 빔에 가까운 단부는 각각 제 5 빔의 전지 모듈에 가까운 일측에 맞닿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빔의 박스 하단벽에 가까운 일측에는 제5 빔을 대피하는 제2 빔 측부 노치가 설치되어 있고, 간극은 제2 빔 측부 노치와 제5 빔 사이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팩은 간극 내에 설치되는 제3 절연판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2 양태는 차량을 제공하는 바 해당 차량은,
차량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원; 및
동력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본 출원의 제1 양태의 전지 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전지 팩에 의하면, 전지 팩의 박스 내부에서, 전지 모듈의 전지 셀의 제1 측벽에 수직인 제1 방향의 양단에 각각 탈착 불가능한 제1 빔과 탈착 가능한 제2 빔을 설치하여 구속한다. 제2 빔은 탈착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박스와의 구속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전지 모듈이 팽창할 때 그에 대해 효과적인 구속을 구현하는 동시에 전지 셀의 전극 어셈블리의 큰 면에 과도한 응력을 가하지 않으므로 전지 팩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지 팩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데 유리하다.
본 출원의 차량은 본 출원의 전지 팩을 포함하므로, 본 출원의 전지 팩과 동일한 장점을 갖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출원의 기타 특징과 그 장점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첨부된 도면은 본 출원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출원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출원에 대한 부적절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전지 팩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전지 팩(덮개 제외)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전지 팩의 전지 셀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도2의 부감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저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전지 팩의 박스 및 프레임 구조의 조합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부감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부분 확대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 부분 확대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전지 팩의 박스 및 프레임 구조(제2 빔 및 돌출부를 제외)의 조합 구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는 박스 및 프레임 구조(제2 빔 및 돌출부를 제외)의 조합 구조에 전지 모듈을 장착하는 과정에서의 도2에 도시된 전지 팩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3은 박스 및 프레임 구조(제2 빔 및 돌출부를 제외)의 조합 구조에 전지 모듈을 장착한 후의 도2에 도시된 전지 팩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박스 및 프레임 구조(제2 빔 및 돌출부를 제외)의 조합 구조에 전지 모듈을 장착한 후의 도2에 도시된 전지 팩의 구조 모식도인 바, 여기서, 제2 빔 및 돌출부는 프레임 구조의 제3 빔 및 제4 빔에 조립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전지 팩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전지 팩(덮개 제외)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전지 팩의 전지 셀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도2의 부감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저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전지 팩의 박스 및 프레임 구조의 조합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부감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부분 확대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 부분 확대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전지 팩의 박스 및 프레임 구조(제2 빔 및 돌출부를 제외)의 조합 구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는 박스 및 프레임 구조(제2 빔 및 돌출부를 제외)의 조합 구조에 전지 모듈을 장착하는 과정에서의 도2에 도시된 전지 팩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3은 박스 및 프레임 구조(제2 빔 및 돌출부를 제외)의 조합 구조에 전지 모듈을 장착한 후의 도2에 도시된 전지 팩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박스 및 프레임 구조(제2 빔 및 돌출부를 제외)의 조합 구조에 전지 모듈을 장착한 후의 도2에 도시된 전지 팩의 구조 모식도인 바, 여기서, 제2 빔 및 돌출부는 프레임 구조의 제3 빔 및 제4 빔에 조립된다.
이하, 본 출원 실시예의 첨부 도면과 함께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 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는 바,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가 아님은 명확한 것이다. 이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질적으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출원의 응용 또는 용도에 대하여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노력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및 단계의 상대적인 배열, 숫자 표현식 및 수치는,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동시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각 부분의 치수는 실제 비례 관계로 도시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기술,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을 수 있지만, 적절한 경우, 이러한 기술, 방법 및 장치는 등록된 명세서의 일부로 간주되어야 한다. 여기에 도시되고 논의된 모든 예에서, 임의의 특정 값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예는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한 부호 및 문자는 다음 도면에서 유사한 항목을 나타내므로, 하나의 도면에서 항목이 정의되면, 이후의 도면에서 더 이상 논의할 필요가 없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설명에 있어서,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것은 단지 해당 구성요소를 편리하게 구별하기 위한 것이며,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이러한 용어는 특별한 의미가 없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전, 후, 상, 하, 좌, 우", "가로, 세로, 수직, 수평" 및 "상단, 하단" 등과 같은 방향 용어가 나타내는 방위 및 위치 관계는 본 출원의 설명을 용의하게 하고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이러한 방향 용어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언급된 장치 또는 요소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거나 특정된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작동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지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내부, 외부"라는 방향 용어는 각 구성요소 자체의 윤곽에 대한 내부 및 외부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박스(10), 프레임 구조(20) 및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한다.
박스(10)는 박스 하단벽(11)과 박스 측벽(12)를 포함하며, 박스 하단벽(11)과 박스 측벽(12)은 수용부(V)를 형성한다.
전지 모듈은, 여러 개의 전지 셀(30)을 포함하며, 수용부(V) 내에 설치된다.
도 3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셀(30)은 하우징(31)과 상단 커버(top cover)(34)를 포함한다. 하우징(31)은 상단 커버(34)에 대향하는 하우징 하단벽, 및 상단 커버 (34)와 하우징 하단벽 사이에 설치된 하우징 측벽(311)을 포함한다. 하우징 측벽(311)은 제1 방향(X)를 따라 대향하여 설치된 두 개의 제1 측벽(311A), 및 제2 방향(Y)를 따라 대향하여 설치되고 또한 면적이 제1 측벽(311A) 보다 작은 제2 측벽(313B)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은 박스 하단벽(11)에 평행되고 제1 방향(X)은 제2 방향(Y)에 수직된다. 제3 방향(Z)은 박스 하단벽(11)에 수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은 전지 팩의 폭 방향이고, 제2 방향(Y)은 전지 팩의 길이 방향이고, 제3 방향(Z)은 전지 팩의 높이 방향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셀(30)은 하우징(31)과 상단 커버(34)로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한 전극 어셈블리(32)와 어댑터(3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전극 어셈블리(32)의 탭(tab)(321)은 정극 탭과 부극 탭을 포함하며, 정극 탭과 부극 탭은 각각 두 개의 어댑터(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두 개의 어댑터(33)는 각각 상단 커버(34)에 설치된 제1 전극 단자(35)와 제2 전극 단자(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전극 단자(35)와 제2 전극 단자(36)는 전지 셀(30)의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전송한다.
프레임 구조(20)는 수용부(V) 내에 설치되어 전지 모듈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프레임 구조(20)는 전지 모듈의 제1 방향(X)의 양단에 각각 위치한 제1 빔(21)과 제2 빔(22)를 포함한다. 제1 빔(21)과 제2 빔(22)는 제2 방향(Y)를 따라 연장되며 제1 방향(X)를 따라 제1 측벽(311A)과 대향하여 설치된다. 제1 빔(21)은 박스(10)과 탈착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빔(22)은 박스(10) 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 연결은 서로 연결된 두 연결부재 사이가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없는 연결 방식인 바, 구체적으로 탈착 가능한 연결과 탈착 불가능한 연결로 구분된다. 탈착 가능한 연결은 두 연결부재를 연결 상태에서 분리할 때 두 연결부재 자체의 구조가 손상되지 않는 연결 방식이다. 예를 들어, 나사 연결, 키 연결, 핀 연결 등이다. 탈착 불가능한 연결은 두 개의 연결부재를 연결 상태에서 분리할 때 두 연결부재 자체의 구조가 파괴되는 연결 방식이다. 예를 들어, 용접, 리벳 연결, 접합 또는 리벳 연결과 접합의 조합이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빔(21)은 박스(10)에 용접된다.
전지 셀(30)의 팽창력은 주로 하우징(31) 내부의 전극 어셈블리(32)의 팽창으로부터 발생하는 바, 전지 셀(30)의 제1 측벽(311A)의 면적이 가장 크고, 전극 어셈블리(32)가 전지 셀(30)의 제1 측벽(311A)에서의 투영 면적이 가장 크기 때문에, 전지 셀(30)의 제1 측벽(311A)가 받는 팽창력 또는 팽창 변형이 가장 크다. 전지 셀(30)의 제1 측벽(311A)에 수직되는 제1 방향(X)에서 적층되는 전지 셀(30)이 많을수록 누적된 팽창력이나 팽창 변형이 더 커진다. 전지 셀(30)은 충방전 사이클 과정에서 전극 어셈블리(32)가 팽창하기 때문에 구속하지 않으면 팽창 변형이 매우 커서 전지 셀(30)의 충방전 사이클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전지 셀(30)의 제1 측벽(311A)에 대한 구속이 너무 크면, 또한 전지 셀(30)에서 제1 측벽(311A)에 대응하는 전극 어셈블리(32)의 큰 면에 대한 응력이 커져, 리튬이 석출되기 쉬워, 전지 셀(30)의 사용 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전지 모듈 레벨에서 전지 셀(30)의 제1 측벽(311A)의 자유 팽창을 구속하기 위한 설계가 필요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지 팩의 박스(10) 내부의 전지 모듈의 제1 방향(X)의 양단에는, 각각 탈착 불가능한 제1 빔(21)과 탈착 가능한 제2 빔(22)를 각각 설치하여 구속한다. 제2 빔(22)은 탈착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박스(10)에 대한 구속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전지 모듈이 팽창할 때 그에 대해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동시에 전지 셀(30)의 전극 어셈블리의 큰 면에 과도한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전지 팩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지 팩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데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조(20)는 전지 모듈의 제2 방향(Y)에서의 양단에 위치하며 또한 박스(10) 내에 고정되어 있는 제3 빔(23)과 제4 빔(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빔(23)과 제4 빔(24)은 제1 방향(X)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제2 방향(Y)를 따라 제2 측벽(311B)과 대향하여 설치된다. 제2 빔(22)의 제2 방향(Y)에서의 양단은 각각 제3 빔(23)과 제4 빔(24)의 제2 빔(22)에 가까운 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 빔(23)과 제4 빔(24)을 설치하면 전지 모듈의 위치를 더 잘 제한할 수 있고 전지 팩의 전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지 셀(30)의 하우징 하단벽은 박스 하단벽(11)과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팩 내부의 전지 모듈은 모듈 군이 없는 설계를 채택하고, 수용부(V) 내부에 탈착 불가능한 제1 빔(21)을 설치하여 전지 모듈에서의 전지 셀(30)의 제1 측벽(311A)에 대응하는 일단(도 4에서는 전지 모듈의 오른쪽 단부)의 바깥측에서 전지 모듈을 구속하며, 탈착 가능한 제2 빔(22)를 사용하여 전지 모듈에서의 제1 빔(21)이 위치한 일단과 반대되는 일단(도 4에서는 전지 모듈의 왼쪽 단부)의 바깥측에서 전지 모듈을 구속한다. 제2 빔(22)를 분리한 후 전지 모듈은 제1 빔(21), 제3 빔(23) 및 제4 빔(24)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쉽게 드나들 수 있으므로 제2 빔(22)의 일측에서 전지 모듈을 쉽게 넣거나 뺄 수 있어, 설치 및 분리의 보수에 편리하다.
전지 팩에는 덮개(40)가 더 포함되는 바, 덮개(40)는 프레임 구조(20)와 전지 모듈을 수용부(V)에 밀봉하기 위해 박스(10)에 덮어 진다.
도2, 도4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조(20)는 전지 모듈 주위를 둘러싸서 설치된 제1 빔(21), 제2 빔(22), 제3 빔(23) 및 제4 빔(24)을 포함한다. 제1 빔(21)과 제2 빔(22)는 제2 방향(Y)를 따라 연장되며 각각 전지 모듈의 제1 방향(X)를 따른 양단에 위치하여 있다. 제3 빔(23)과 제4 빔(24)은 제1 방향(X)를 따라 연장되며 전지 각각 모듈의 제2 방향(Y)를 따른 양단에 위치하여 있다. 제1 빔(21), 제3 빔(23) 및 제4 빔(24)는 박스(10)에 고정 연결된다. 제2 빔(22)는 박스(10) 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빔(21), 제3 빔(23) 및 제4 빔(24)은 박스(10)에 용접된다. 제2 빔은 제3 빔(23)과 제4 빔(24)에 나사로 연결될 수도 있고, 박스(10)에 연결되거나, 또는 제3 빔(23), 제4 빔(24) 및 박스(10)에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전지 셀(30)의 제1 측벽(311A)가 전지 팩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면 전지 셀(30)이 전지 팩의 폭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전지 셀(30)은 제1 측벽(311A)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적층된 개수가 제1 측벽(311A)이 전지 팩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의 전지 셀(30)의 적층 개수보다 적다. 따라서,전지 셀(30)의 제1 측벽(311A)의 배치 방향이 전지 팩의 길이 방향을 따르면, 전지 팩의 누적 팽창력의 방향이 주로 전지 팩의 폭 방향을 따르므로, 전지 모듈의 전체 팽창 변형 및 팽창력이 비교적 작아 전지 셀(30)의 팽창력 또는 팽창 변형을 구속하는 프레임의 강도에 대한 요구가 더 낮아진다.
일반적으로 전지 팩의 길이 방향은 차량의 주행 방향과 일치하며, 차량의 주행 방향이 제2 방향(Y)일 때, 제1 빔(21)과 제2 빔(22)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따라 설치된 세로 빔이며, 제1 빔(21)과 제2 빔(22)은 평행되게 간극을 두고 전지 모듈의 양단에 설치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방향(X)가 전지 팩의 길이 방향이고, 제2 방향(Y)가 전지 팩의 폭 방향이고, 제3 방향(Z)가 전지 팩의 방향일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빔(21)은 제1 빔 상단벽(211), 제1 빔 상단벽(211)에서의 제1 방향(X)의 양단으로부터 박스 하단벽(11)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빔 측벽(212) 및 제1 빔 측벽(212)의 박스 하단벽(11)에 가까운 일단으로부터 제1 빔 측벽(2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빔 장착 플랜지(213)를 포함한다. 제1 빔(21)은 제1 빔 장착 플랜지(213)을 통해 박스 하단벽(11)에 탈착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빔 장착 플랜지(213)는 박스 하단벽(11)에 용접된다. 제1 빔 장착 플랜지(213)와 박스 하단벽(11)을 용접하여 연결함으로써, 제1 빔(21)의 전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빔(21)은 박스 하단벽(11)과 밀봉된 기하학적 구조를 형성하는 바, 이는 제1 빔(21)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빔(22)은 판형 빔이다. 제1 빔(21)은 판재를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판재의 두께는 상기 제2 빔(22)의 판재 두께의 0.2~0.5배이다. 여기서 제1 빔(21)을 제조하는 판재 재료는 제2 빔(22)를 제조하는 판재 재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모두 금속 재료이다.
제1 빔(21)의 구조 및 제1 빔(21)을 형성하는 판재의 두께와 제2 빔(22)의 판재 두께를 적절하게 설정하면, 설치 후의 제1 빔(21)과 제2 빔(22)의 강성 차이가 너무 큰 것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고, 각 전지 셀(30)의 균일한 팽창에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빔(21)의 판재는 금속판재로서 그 두께는 1.5mm이고, 제2 빔(22)은 금속 판형 빔으로서 금속 판형 빔의 두께는 5mm이다. 제1 빔(21)의 금속 판재 두께의 설정과 금속 판형 빔의 두께의 설정은 전지 모듈을 더 잘 구속하는 데 유리하며, 이에 기초하여, 전지 모듈의 제1 방향(X)을 따라 대향하는 양단에서 받는 구속력의 크기가 거의 일치하도록 하여 국부 전지 셀(30)가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리튬 석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지 셀(30)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유리하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빔(22)의 제2 방향(Y)에 따른 양단은 각각 제3 빔(23)과 제4 빔(24)의 제2 빔(22)에 가까운 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빔(22)은 제3 빔(23)과 제4 빔(24)에 각각 연결되어 프레임 구조(20)의 전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빔(23)의 제2 빔(22)에 가까운 단부에는 제3 빔 단부 노치(232)가 설치되어 있다. 제4 빔(24)의 제2 빔(22)에 가까운 단부에는 제4 빔 단부 노치(242)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빔(22)의 제2 방향(Y)에 따른 양단은 각각 제3 빔 단부 노치(232) 및 제4 빔 단부 노치(242)내에 설치되고, 또한 각각 제3 빔(23) 및 제4 빔(24)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설치는 제2 빔(22)과 제4 빔(24) 및 제3 빔(23) 사이의 정확한 위치 결정에 유리하므로 전지 모듈에 대한 프레임 구조(20)의 정확한 위치 제한에 유리하고, 제2 빔(22)과 제4 빔(24) 및 제3 빔(23) 사이에서 신속하게 탈착 가능한 연결을 구현하는 데 유리하다.
도 2,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3 빔(23)의 제2 빔(22)에 가까운 단부에서, 박스 하단벽(11)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이 박스 하단벽(11)에 가까운 일측에 비해 안으로 파여들어 제3 빔 단부 노치(232)를 형성한다. 제4 빔(24)의 제2 빔(22)에 가까운 단부에서, 박스 하단벽(11)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이 박스 하단벽(11)에 가까운 일측에 비해 안으로 파여들어 제4 빔 단부 노치(242)를 형성한다. 제2 빔(22)의 제2 방향(Y)에 따른 양단의 각 단부에서, 박스 하단벽(11)에 가까운 일측이 박스 하단벽(11)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에 비해 안으로 파여들어 제2 빔 단부 노치(222)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3 빔 단부 노치(232)의 끝 벽과 제4 빔 단부 노치(242)의 끝 벽은 각각 제2 빔(22)의 양단의 박스 하단벽(11)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빔(23)과 제4 빔(24)의 제2 빔(22)에 가까운 단부의 박스 하단벽(11)에 가까운 일측은, 각각 제2 빔(22) 양단의 제2 빔 단부 노치(222) 모양과 대응된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빔(23)의 제3 빔 단부 노치(232)의 끝 벽에는 제3 방향(Z)를 따라 두 개의 나사 홀(231)이 배치된다. 제4 빔(24)의 제4 빔 단부 노치(242)의 끝 벽에는 제3 방향(Z)를 따라 두 개의 나사 홀(241)이 배치된다. 제2 빔(22)의 양단에는 각각 제3 방향(Z)를 따라 배치된 두 개의 관통 홀(22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관통 홀 및 각 나사 홀에 대응되는 4개의 나사를 통해 제2 빔(22)을 제3 빔(23) 및 제4 빔(24)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빔(22)의 제2 방향(Y)에서의 중간 부분은 박스(10)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빔(22)의 중간 부분에 박스(10)와의 연결점을 추가하면 제2 빔(22)와 제1 빔(21)의 강성을 균형시켜, 전지 모듈의 제1 방향(X)에 따라 양단에 있는 전지 셀(30)이 충방전 사이클 과정에서 균일하게 힘을 받도록 하여, 전지 셀(30)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유리하다.
프레임 구조(20)는 제2 빔(22)의 전지 모듈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의 중간 부분에 고정 연결된 돌출부(25)를 포함하고, 제2 빔(22)의 중간 부분은 돌출부(25)를 통해 박스(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돌출부(25)를 설치하면 제2 빔(22)와 박스(10) 사이에 탈착 가능한 연결을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팩은 수용부(V) 내에 설치된 제5 빔(50)을 포함한다. 제5 빔(50)은 제2 방향(Y)를 따라 연장되며 전지 모듈의 제2 빔(22)이 설치된 일단에 위치한다. 제2 빔(22)은 제5 빔(50)과 전지 모듈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방향(X)에서 제5 빔(50)과 간극을 가지고 있다. 제5 빔(50)은 박스 하단벽(11)에 고정 연결된다.
제5 빔(50)의 설치는, 한편으로는, 박스 하단벽(11)의 제2 빔(22)을 설치하는 위치의 강성을 높여 박스 하단벽(11)과 박스(10)의 모양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전지 모듈을 보호하는 데 유리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5 빔(50)의 설치는 정상적인 경우에는 전지 모듈에 대한 제2 빔(22)의 위치 제한 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제2 빔(22)이 전지 모듈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으로 크게 변형하는 것을 제한하여, 전지 팩의 전체적인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는 데 유리하다.
돌출부(25)는 제5 빔(50)과 탈착 가능하에 연결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5)는 제2 빔(22)의 제1 방향(X)을 따라 전지 모듈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의 중간 부분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돌출부(25)의 중간 부분에는 축이 제3 방향(Z)를 따라 연장되는 관통 홀(251)이 설치된다. 제5 빔(50)의 상단 중간 부분에는 나사 홀(501)이 대응되게 설치되고, 제2 빔(22)이 제3 빔(23) 및 제4 빔(24)의 위치와 정렬되면 관통 홀(251)도 나사 홀(501)과 정렬되며, 하나의 나사로 관통 홀(251)을 통과하여 나사 홀(501)과 나사결합하여, 돌출부(25)와 제5 빔(50)의 탈착 가능한 연결을 구현할 수 있어, 제2 빔(22)과 박스(10)의 탈착 가능한 연결을 구현한다.
도 2, 도 4 내지 도 7,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빔(21), 제2 빔(22), 제3 빔(23) 및 제4 빔(24)의 제3 방향(Z) 에서의 치수는 제5 빔(50)의 제3 방향(Z) 에서의 치수보다 크다. 이러한 설정은 전지 모듈의 장착 및 제거에 유리하다.
도 2, 도 7,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3 빔(23)의 제2 빔(22)에 가까운 단부와 제4 빔(24)의 제2 빔(22)에 가까운 단부는 각각 제5 빔(50)의 전지 모듈에 가까운 측면에 맞닿는다. 이러한 설치는 제2 빔(22)과 제5 빔(50) 사이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설치하는 유리하고, 프레임 구조(20)의 전체 강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도 10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빔(22)의 박스 하단벽(11)에 가까운 일측에는 제5 빔(50)을 대피하는 제2 빔 측부 노치(223)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구조는 제5 빔(50)이 전지 모듈에 더 가까울 수 있도록 하여, 제5 빔(50)이 전지 모듈의 부하를 더 잘 감당할 수 있도록 하고, 전지 모듈에 대한 박스(10)와 프레임 구조(20)의 결합 구조의 지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팩에는 제1 절연판(61) 및/또는 제2 절연판(62)가 더 포함된다. 제1 절연판(61)은 제1 빔(21)과 전지 모듈 사이에 설치된다. 제2 절연판(62)은 제2 빔(22)과 전지 모듈 사이에 설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빔(22)의 박스 하단벽(11)에 가까운 일측에는 제5 빔(50)을 대피하는 제2 빔 측부 노치(223)가 설치되어 있고, 제2 빔(22)과 제5 빔(50) 사이의 간극은 제2 빔 측부 노치(223)와 제5 빔(50)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전지 팩은 제2 빔(22)과 제5 빔(50) 사이의 간극에 설치된 제3 절연판(63)을 더 포함한다.
제1 절연판(61), 제2 절연판(62) 또는 제3 절연판(63)을 설치하는 것은 전지 팩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빔(23), 제4 빔(24) 및 제5 빔(50)의 구조는 제1 빔(21)의 구조와 유사하다.
제3 빔(23)은 제3 빔 상단벽, 제3 빔 상단벽에서의 제2 방향(Y)의 양단으로부터 박스 하단벽(11)을 향해 연장되는 제3 빔 측벽 및 제3 빔 측벽의 박스 하단벽(11)에 가까운 일단으로부터 제3 빔 측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빔 장착 플랜지를 포함하며, 제3 빔(23)은 제3 빔 장착 플랜지를 통해 박스 하단벽(11)에 고정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3 빔 장착 플랜지는 박스 하단벽(11)에 용접된다.
제4 빔(24)은 제4 빔 상단벽, 제4 빔 상단벽에서의 제2 방향(Y)의 양단으로부터 박스 하단벽(11)을 향해 연장되는 제4 빔 측벽 및 제4 빔 측벽의 박스 하단벽(11)에 가까운 일단으로부터 제4 빔 측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빔 장착 플랜지를 포함하며, 제4 빔(24)은 제4 빔 장착 플랜지를 통해 박스 하단벽(11)에 고정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4 빔 장착 플랜지는 박스 하단벽(11)에 용접된다.
제5 빔(50)은 제5 빔 상단벽, 제5 빔 상단벽에서의 제1 방향(X)의 양단으로부터 박스 하단벽(11)을 향해 연장되는 제5 빔 측벽 및 제5 빔 측벽의 박스 하단벽(11)에 가까운 일단으로부터 제5 빔 측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빔 장착 플랜지를 포함하며, 제5 빔 (50)은 제5 빔 장착 플랜지를 통해 박스 하단벽(11)에 고정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5 빔 장착 플랜지는 박스 하단벽(11)에 용접된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4와 결합하여, 본 출원 실시예의 전지 팩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전지 모듈을 도 11에 도시된 전지 팩의 박스(10)와 프레임 구조의 조합 구조에 조합하는 바, 여기서 프레임 구조는 제2 빔(22)와 돌출부(25)를 포함하지 않는다. 여기서, 전지 모듈의 전지 셀(30)의 하우징 하단벽을 박스 하단벽(11)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박스(10)에 고정할 수 있다. 전지 모듈이 도 11에 도시된 조합 구조에 장착되어 조합하는 과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전지 모듈을 박스(10)와 도 11에 도시된 조합 구조에 장착한 후의 조합 구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2 빔(22)은 제3 빔(23) 및 제4 빔(24)과 나사 결합되고, 제2 빔(22)에 고정 설치된 돌출부(25)는 제5 빔(50)과 나사 결합된다. 제2 빔(22) 및 돌출부(25)를 도13에 도시된 구조에 조합시키는 과정에서의 구조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제2 빔(22) 및 돌출부(25)가 도13에 도시된 구조와 조합한 후의 구조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 절연판(61)이 설치된 경우, 전지 모듈을 도11에 도시된 조합 구조에 조합하기 전 또는 조합하는 과정에서, 제1 절연판(61)을 제1 빔(21)과 전지 셀(30) 사이에 설치한다.
제2 절연판(62) 또는 제3 절연판(63)이 설치된 경우, 전지 모듈을 도11에 도시된 조합 구조에 조합한 후, 및 제2 빔(22)과 돌출부(25)를 도 13에 도시된 조합 구조와 조합 완료되기 전에, 제2 절연판(62)을 전지 모듈과 제2 빔(22) 사이에 배치하거나 제3 절연판(63)을 제2 빔(22)와 제5 빔(50) 사이에 배치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지 팩에서 프레임 구조(20)는 전지 모듈의 전지 셀(30)의 팽창력을 전지 모듈의 제1 방향(X)의 양단으로 균일하게 방출하여 전지 셀(30)의 사이클 수명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설명해야 할 것은, 위의 실시예는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출원의 특정 실시형태에 대해 수정, 또는 일부 기술적 특징에 대해 동등한 대체를 실행할수 있는 바 이는 모두 본 출원에서 주장하는 기술적 해결 방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7)
- 전지 팩에 있어서,
박스 하단벽(11)과 박스 측벽(12)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 하단벽(11)과 상기 박스 측벽(12)에 의해 수용부(V)를 형성하는 박스(10);
상기 수용부(V)내에 설치되고 복수의 전지 셀(30)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로서, 상기 전지 셀(30)의 하우징 측벽(311)은 제1 방향(X)을 따라 대향하여 설치된 두 개의 제1 측벽(311A)과 제2 방향(Y)을 따라 대향하여 설치된 두 개의 제2 측벽(311B)이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311A)의 면적은 제2 측벽(311B)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방향(X)과 상기 제2 방향(Y)은 모두 박스 하단벽(11)에 평행되고 또한 서로 수직되는 것 인, 전지 모듈; 및
상기 수용부(V)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지 모듈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20)로서, 상기 프레임 구조(20)는 상기 전지 모듈의 상기 제1 방향(X)에 따른 양단에 각각 위치한 제1 빔(21) 및 제2 빔(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빔(21)과 상기 제2 빔(22)은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제1 측벽(311A)과 대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 빔(21)은 상기 박스(10)에 탈착 불가능하게 연결된. 프레임 구조(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구조(20)는 상기 제2 빔(22)의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상기 전지 모듈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의 중간 부분에 고정 설치된 돌출부(25)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빔(22)의 중간 부분은 상기 돌출부(25)를 통해 상기 박스(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인, 전지 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21)은 상기 박스(10)에 용접되는 것인, 전지 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21)은,
제1 빔 상단벽(211);
상기 제1 빔 상단벽(211)에서의 상기 제1 방향(X)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박스 하단벽(11)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빔 측벽(212); 및
상기 제1 빔 측벽(212)의 상기 박스 하단벽(11)에 가까운 일단으로부터 제1 빔 측벽(2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빔 장착 플랜지(213)로서, 상기 제1 빔(21)은 상기 제1 빔 장착 플랜지(213)를 통해 상기 박스 하단벽(11)에 탈착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빔 장착 플랜지(213)를 포함하는, 전지 팩.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22)은 판형 빔인 것인, 전지 팩.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21)은 판재를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두께는 상기 제2 빔(22)의 판재 두께의 0.2~0.5배인 것인, 전지 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팩은,
상기 제1 빔(21)과 상기 전지 모듈 사이에 설치된 제1절연판(61); 및/또는,
상기 제2 빔(22)과 상기 전지 모듈 사이에 설치된 제2절연판(62)을 더 포함하는, 전지 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팩은,
상기 제1 빔(21)과 상기 전지 모듈 사이에 설치된 제1절연판(61); 또는,
상기 제2 빔(22)과 상기 전지 모듈 사이에 설치된 제2절연판(62)을 더 포함하는, 전지 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20)는 상기 전지 모듈의 상기 제 2 방향(Y)에 따른 양단에 각각 위치하며 또한 상기 박스(10) 내에 고정된 제3 빔(23) 및 제4 빔(24)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빔(23)과 상기 제4 빔(24)은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상기 제2 측벽(311B)에 대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 빔(22)의 상기 제2 방향(Y)에서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3 빔(23)과 상기 제4 빔(24)의 상기 제2 빔(22)에 가까운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인, 전지 팩.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22)에 가까운 상기 제3 빔(23)의 단부에는 제3 빔 단부 노치(232)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빔(22)에 가까운 상기 제4 빔(24)의 단부에는 제4 빔 단부 노치(242)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빔(22)의 상기 제2 방향(Y)에 따른 양단은 각각 상기 제3 빔 단부 노치(232) 및 상기 제4 빔 단부 노치(242)내에 설치되고, 또한 각각 상기 제3 빔(23) 및 상기 제4 빔(24)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인, 전지 팩.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팩은 상기 수용부(V) 내에 설치된 제5 빔(50)을 포함하고,
상기 제5 빔(50)은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2 빔(22)과 상기 박스 측벽(1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빔(22)은 상기 제5 빔(50)과 상기 전지 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X)에서 상기 제5 빔(50)과 간극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5 빔(50)은 상기 박스 하단벽(11)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25)는 상기 제5 빔(5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인, 전지 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팩은 상기 수용부(V) 내에 설치된 제5 빔(50)을 포함하고,
상기 제5 빔(50)은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전지 모듈의 상기 제2 빔(22)이 설치된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빔(22)은 상기 제5 빔(50)과 상기 전지 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X)에서 상기 제5 빔(50)과 간극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5 빔(50)은 상기 박스 하단벽(11)에 고정 연결되는 것인, 전지 팩.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20)는 상기 전지 모듈의 상기 제2 방향(Y)에 따른 양단에 각각 위치하며 또한 상기 박스(10) 내에 고정된 제3 빔(23) 및 제4 빔(24)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빔(23)과 상기 제4 빔(24)은 상기 제1 방향(X)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2 방향(Y)를 따라 상기 제2 측벽(311B)에 대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 빔(22)의 상기 제2 방향(Y)에서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3 빔(23)과 상기 제4 빔(24)의 상기 제2 빔(22)에 가까운 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빔(21), 상기 제2 빔(22), 상기 제3 빔(23) 및 상기 제4 빔(24)의 제3 방향(Z)에서의 치수는 상기 제5 빔(50)의 상기 제3 방향(Z)에서의 치수 보다 크고, 상기 제3 방향(Z)은 상기 박스 하단벽(11)에 수직되는 것인, 전지 팩.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20)는 상기 전지 모듈의 상기 제2 방향(Y)에 따른 양단에 각각 위치하며 또한 상기 박스(10) 내에 고정된 제3 빔(23) 및 제4 빔(24)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빔(23)과 상기 제4 빔(24)은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상기 제2 측벽(311B)에 대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 빔(22)의 상기 제2 방향(Y)에서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3 빔(23)과 상기 제4 빔(24)의 상기 제2 빔(22)에 가까운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빔(23)의 상기 제2 빔(22)에 가까운 단부와 상기 제4 빔(24)의 상기 제2 빔(22)에 가까운 단부는 각각 상기 제 5 빔(50)의 상기 전지 모듈에 가까운 일측에 맞닿는 것인, 전지 팩.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22)의 상기 박스 하단벽(11)에 가까운 일측에는 상기 제5 빔(50)을 대피하는 제2 빔 측부 노치(2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간극은 상기 제2 빔 측부 노치(223)와 상기 제5 빔(50) 사이에 형성된 것인, 전지 팩.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팩은 상기 간극 내에 설치되는 제3 절연판(63)을 더 포함하는, 전지 팩. -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원; 및
상기 동력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지 팩을 포함하는, 차량.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911133282.1 | 2019-11-19 | ||
CN201911133282.1A CN112331982A (zh) | 2019-11-19 | 2019-11-19 | 电池包和车辆 |
PCT/CN2020/125816 WO2021098495A1 (zh) | 2019-11-19 | 2020-11-02 | 电池包和车辆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6513A KR20220076513A (ko) | 2022-06-08 |
KR102478037B1 true KR102478037B1 (ko) | 2022-12-15 |
Family
ID=7431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15189A KR102478037B1 (ko) | 2019-11-19 | 2020-11-02 | 전지 팩 및 차량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329347B2 (ko) |
EP (1) | EP3852187B1 (ko) |
JP (1) | JP7258238B2 (ko) |
KR (1) | KR102478037B1 (ko) |
CN (2) | CN112331982A (ko) |
WO (1) | WO2021098495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04587B2 (ja) * | 2014-03-06 | 2018-04-04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動車両用の電池パック |
CN207800720U (zh) * | 2018-02-22 | 2018-08-31 | 张荣岩 | 一种电池组安装、限位及散热的箱体结构 |
JP2019125443A (ja) * | 2018-01-12 | 2019-07-2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蓄電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93181B2 (ja) * | 2009-01-30 | 2014-01-22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密閉式角形電池および密閉式角形電池の組立方法 |
CN202178305U (zh) | 2011-07-19 | 2012-03-28 | 惠州比亚迪电池有限公司 | 一种电动汽车电源模块 |
FR3011776B1 (fr) * | 2013-10-16 | 2017-04-14 | Blue Solutions | Ensemble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et procede d'assemblage d'un tel ensemble |
JP2017054693A (ja) * | 2015-09-09 | 2017-03-16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電池パック |
DE102016103841A1 (de) | 2016-03-03 | 2017-09-07 | Johnson Controls Advanced Power Solutions Gmbh | Befestigung von elektrochemischen Zellen in einem Gehäuse eines Batteriemoduls |
CN206332083U (zh) * | 2016-12-30 | 2017-07-14 | 芜湖天量电池系统有限公司 | 一种动力电池箱机构 |
CN107068934A (zh) * | 2017-05-04 | 2017-08-18 | 沃太能源南通有限公司 | 一种双模组高电压储能电池系统结构 |
CN110998906B (zh) * | 2017-08-21 | 2022-12-16 | 三洋电机株式会社 | 电池模块和装备该电池模块的车辆 |
CN109585705A (zh) * | 2017-09-29 | 2019-04-05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电池包 |
JP6859933B2 (ja) * | 2017-11-17 | 2021-04-1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電池ケ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
DE102018201608A1 (de) | 2018-02-02 | 2019-08-08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Isoliersystem für ein Batteriesystem sowie Verfahren zum Steuern eines solchen Isoliersystems |
WO2019196877A1 (zh) * | 2018-04-13 | 2019-10-17 | 爱驰汽车有限公司 | 电池包及其电池箱体 |
CN208422982U (zh) * | 2018-05-10 | 2019-01-22 | 威睿电动汽车技术(苏州)有限公司 | 动力电池包 |
CN208433446U (zh) * | 2018-08-23 | 2019-01-25 | 昆山巨石新能源科技有限公司 | 新能源汽车电池包 |
CN209150177U (zh) | 2018-10-26 | 2019-07-23 |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 电池模组容纳单元、电池包和车辆 |
CN209344162U (zh) * | 2018-12-07 | 2019-09-03 |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 电池包和车辆 |
CN109742281B (zh) | 2018-12-27 | 2021-05-28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电池箱 |
EP4329058A2 (en) * | 2019-01-09 | 2024-02-28 | BYD Company Limited | Power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
CN209447950U (zh) * | 2019-03-08 | 2019-09-27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电池模组 |
CN110137401A (zh) * | 2019-04-26 | 2019-08-16 | 浙江新创能源有限公司 | 一种锂电池包 |
-
2019
- 2019-11-19 CN CN201911133282.1A patent/CN112331982A/zh active Pending
- 2019-11-19 CN CN202211287001.XA patent/CN115513583A/zh active Pending
-
2020
- 2020-11-02 EP EP20873377.4A patent/EP3852187B1/en active Active
- 2020-11-02 JP JP2022526274A patent/JP7258238B2/ja active Active
- 2020-11-02 KR KR1020227015189A patent/KR10247803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11-02 WO PCT/CN2020/125816 patent/WO2021098495A1/zh unknown
-
2021
- 2021-04-16 US US17/232,202 patent/US1132934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04587B2 (ja) * | 2014-03-06 | 2018-04-04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動車両用の電池パック |
JP2019125443A (ja) * | 2018-01-12 | 2019-07-2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蓄電装置 |
CN207800720U (zh) * | 2018-02-22 | 2018-08-31 | 张荣岩 | 一种电池组安装、限位及散热的箱体结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513583A (zh) | 2022-12-23 |
EP3852187B1 (en) | 2023-08-30 |
KR20220076513A (ko) | 2022-06-08 |
JP7258238B2 (ja) | 2023-04-14 |
EP3852187A1 (en) | 2021-07-21 |
US20210234227A1 (en) | 2021-07-29 |
CN112331982A (zh) | 2021-02-05 |
US11329347B2 (en) | 2022-05-10 |
EP3852187A4 (en) | 2022-01-05 |
JP2022547746A (ja) | 2022-11-15 |
WO2021098495A1 (zh) | 2021-05-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126666A1 (en) | Power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 |
EP3288098B1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automobile including battery pack | |
KR101217072B1 (ko) | 전지 팩 | |
EP3629396A1 (en) | Battery module having initial pressing force strengthening structure for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JP2023503628A (ja) | 電池モジュール、電池パック及び二次電池を使用する装置 | |
EP3748720A1 (en) | Battery box body and battery box | |
KR101799565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 |
EP4175035A1 (en) | Large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 |
US9660233B2 (en) | Base plate of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 |
US20200136108A1 (en) | Energy storage apparatus | |
KR20120048260A (ko) | 전지 모듈 | |
KR20230031943A (ko) | 차량 및 차량의 배터리 팩 | |
EP3916888A1 (en) | Battery pack including connection plate, electronic device, and automobile | |
KR102478037B1 (ko) | 전지 팩 및 차량 | |
KR100649211B1 (ko) | 이차 전지 모듈 | |
KR100649562B1 (ko) | 전지 모듈 | |
EP4383410A1 (en) | Battery, electric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battery | |
US20120276425A1 (en) | Battery | |
CN217009329U (zh) | 一种电动车用动力电池箱体 | |
CN216213798U (zh) | 电池箱体及电池包 | |
CN221805779U (zh) | 电池单体、电池和用电装置 | |
CN220774587U (zh) | 防护板组件、电池和用电装置 | |
CN219600903U (zh) | 电池箱体、底盘、电池和车辆 | |
CN117157811A (zh) | 电池、用电设备、制备电池的方法和设备 | |
JP2024504888A (ja) | 電池、電気設備、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