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859B1 - 선박블록의 자동용접을 통한 선체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선박블록의 자동용접을 통한 선체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859B1
KR102477859B1 KR1020210047699A KR20210047699A KR102477859B1 KR 102477859 B1 KR102477859 B1 KR 102477859B1 KR 1020210047699 A KR1020210047699 A KR 1020210047699A KR 20210047699 A KR20210047699 A KR 20210047699A KR 102477859 B1 KR102477859 B1 KR 102477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follower
welding
frame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1505A (ko
Inventor
윤영화
박성조
정동군
정일수
안홍훈
Original Assignee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7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8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bot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행홀이 형성된 선박블록의 접합부를 이동 캐리지를 이용해 자동용접해서 선체를 건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박블록을 이루는 베이스 부재를 지정 위치에 배열하는 베이스 부재 배열 단계;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입설되도록 통행홀이 형성된 거더 부재를 지정 위치에 배열하는 거더 부재 배열 단계; 상기 거더 부재가 배열 위치를 유지하도록 베이스 부재와 거더 부재 간의 접합부 일부를 용접하는 1차 가접 단계;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입설되며 거더 부재와 접하도록 통행홀이 형성된 플로워 부재를 지정 위치에 배열하는 플로워 부재 배열 단계; 상기 플로워 부재가 배열 위치를 유지하도록 베이스 부재와 플로워 부재, 또는 상기 거더 부재와 플로워 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 및 거더 부재와 플로워 부재 간의 접합부 일부를 용접하는 2차 가접 단계; 보드와, 상기 보드에서 통행홀과 일면에 설치되고 통행홀을 관통하여 가장자리를 그랩핑하도록 형성된 후크와, 상기 보드와 후크 사이에 삽입된 거더 부재 또는 플로워 부재에 단부가 밀착하도록 후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가압 볼트로 이루어진 지그를, 상기 거더 부재의 통행홀과 플로워 부재의 통행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덮도록 설치하는 지그 설치 단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부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며 베이스 부재와 거더 부재와 플로워 부재에 자력으로 접합하는 자성휠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접합부를 용접하도록 용접토치를 탑재하며 용접토치의 온오프를 조정하는 홀더와, 상기 거더 부재 및 플로워 부재와 프레임 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프레임의 측방으로 돌출된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이동 캐리지를 상기 베이스 부재 또는 거더 부재 또는 플로워 부재에 장착하는 이동 캐리지 장착 단계; 상기 이동 캐리지가 주행하며 용접토치가 접합부를 용접하도록 조정되는 자동용접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블록의 자동용접을 통한 선체 건조방법{METHOD FOR BUILDING SHIP BY AUTOMATIC WELD SHIP BLOCK}
본 발명은 통행홀이 형성된 선박블록의 접합부를 이동 캐리지를 이용해 자동용접해서 선체를 건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체는 수많은 선박블록을 설계에 따라 격자형태로 상호 접합해 건조한다. 이 과정에서 선박블록 간의 접합 부분은 용접을 통해 견고히 고정되고 부수적으로 방수 등의 보강 공정이 후속된다.
선체를 이루는 대부분의 선박블록은 건조 선박의 경량화는 물론 역학적으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통행홀이 형성된다. 또한, 패널 형태의 선박블록 중심부에 천공 형성된 상기 통행홀은 전술한 기능 이외에도 건조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게 하므로, 작업자는 선박블록이 위치한 지점으로 쉽게 이동해서 선박블록 간의 접합을 위한 용접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선박블록의 통행홀은 비교적 넓은 범위에 형성되므로 자동용접을 위한 이동 캐리지의 이동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따라서 선박블록 간의 종래 용접은 작업자가 직접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대형 선박일수록 선체는 대형화될 수밖에 없고, 선체를 구성하는 선박블록의 개수 역시 증가할 수밖에 었었다. 결국, 용접 대상이 증가하면서 작업자의 작업량이 증가하고 이는 곧 선박 건조 기간을 증가시키는 원인 중 하나였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125226호(2014.10.28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선체 건조를 위한 선박블록 간의 용접 작업을 통행홀의 유무에 상관 없이 자동화해서 작업 효율을 개선하고 작업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선박블록의 자동용접을 통한 선체 건조방법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블록을 이루는 베이스 부재를 지정 위치에 배열하는 베이스 부재 배열 단계;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입설되도록 통행홀이 형성된 거더 부재를 지정 위치에 배열하는 거더 부재 배열 단계;
상기 거더 부재가 배열 위치를 유지하도록 베이스 부재와 거더 부재 간의 접합부 일부를 용접하는 1차 가접 단계;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입설되며 거더 부재와 접하도록 통행홀이 형성된 플로워 부재를 지정 위치에 배열하는 플로워 부재 배열 단계;
상기 플로워 부재가 배열 위치를 유지하도록 베이스 부재와 플로워 부재, 또는 상기 거더 부재와 플로워 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 및 거더 부재와 플로워 부재 간의 접합부 일부를 용접하는 2차 가접 단계;
보드와, 상기 보드에서 통행홀과 일면에 설치되고 통행홀을 관통하여 가장자리를 그랩핑하도록 형성된 후크와, 상기 보드와 후크 사이에 삽입된 거더 부재 또는 플로워 부재에 단부가 밀착하도록 후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가압 볼트로 이루어진 지그를, 상기 거더 부재의 통행홀과 플로워 부재의 통행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덮도록 설치하는 지그 설치 단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부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며 베이스 부재와 거더 부재와 플로워 부재에 자력으로 접합하는 자성휠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접합부를 용접하도록 용접토치를 탑재하며 용접토치의 온오프를 조정하는 홀더와, 상기 거더 부재 및 플로워 부재와 프레임 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프레임의 측방으로 돌출된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이동 캐리지를 상기 베이스 부재 또는 거더 부재 또는 플로워 부재에 장착하는 이동 캐리지 장착 단계; 및
상기 이동 캐리지가 주행하며 용접토치가 접합부를 용접하도록 조정되는 자동용접 단계;
를 포함하는 선박블록의 자동용접을 통한 선체 건조방법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선체 건조를 위한 선박블록 간의 용접 작업을 통행홀의 유무에 상관 없이 자동화해서 작업 효율을 개선하고 작업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작업자의 용접 자세에 비교적 간섭이 심한 블록형 선체 용접이라는 현장의 특수성에 의한 수작업 용접 불편을 획기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건조방법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블록의 설치 과정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블록의 자동용접을 위한 지그 설치 과정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지그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선박블록에 대한 상기 지그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건조방법에서 이동 캐리지가 지그를 통해 통행로를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이도 캐리지의 일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건조방법에서 이동 캐리지가 지그를 통해 통행로를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건조방법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블록의 설치 과정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블록의 자동용접을 위한 지그 설치 과정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체 건조방법은,
선박블록을 이루는 베이스 부재(10)를 지정 위치에 배열하는 베이스 부재 배열 단계(S10); 베이스 부재(10) 상에 입설되도록 통행홀(A1)이 형성된 거더 부재(20)를 지정 위치에 배열하는 거더 부재 배열 단계(S20); 거더 부재(20)가 배열 위치를 유지하도록 베이스 부재(10)와 거더 부재(20) 간의 접합부 일부(W)를 용접하는 1차 가접 단계(S30); 베이스 부재(10) 상에 입설되며 거더 부재(20)와 접하도록 통행홀(A2)이 형성된 플로워 부재(30)를 지정 위치에 배열하는 플로워 부재 배열 단계(S40); 플로워 부재(30)가 배열 위치를 유지하도록 베이스 부재(10)와 플로워 부재(30), 또는 거더 부재(20)와 플로워 부재(30), 또는 베이스 부재(10) 및 거더 부재(20)와 플로워 부재(30) 간의 접합부 일부(W)를 용접하는 2차 가접 단계(S50); 보드(110)와, 통행홀(A1, A2)과 마주하는 보드(110)의 일면에 설치되고 통행홀(A1, A2)을 관통하여 가장자리를 그랩핑하도록 형성된 후크(120)와, 보드(110)와 후크(120) 사이에 삽입된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에 단부가 밀착하도록 후크(12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가압 볼트(130)로 이루어진 지그(100)를, 거더 부재(20)의 통행홀(A1)과 플로워 부재(20)의 통행홀(A2)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덮도록 설치하는 지그 설치 단계(S60);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에 설치되는 구동부(220)와, 프레임(210)에 설치되고 구동부(22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며 베이스 부재(10)와 거더 부재(20)와 플로워 부재(30)에 자력으로 접합하는 자성휠(230)과, 프레임(210)에 설치되고 접합부를 용접하도록 용접토치(T)를 탑재하며 용접토치(T)의 온오프를 조정하는 홀더(240)와, 거더 부재(20) 및 플로워 부재(30)와 프레임(210) 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프레임(210)의 측방으로 돌출된 스페이서(250, 250')로 이루어진 이동 캐리지(200)를 베이스 부재(10) 또는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에 장착하는 이동 캐리지 장착 단계(S70); 이동 캐리지(200)가 주행하며 용접토치(T)가 접합부를 용접하도록 조정되는 자동용접 단계(S80);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체는 다수의 선박블록을 격자형태로 설치하며 건조되고, 상기 선박블록은 바닥과 측벽 및 천장을 이루는 패널을 상호 접합함으로써 제작된다. 이를 위해 도 2의 (a)도면과 같이 선박블록의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 부재(10)를 설계에 따라 배열한다. 베이스 부재(10)는 대형 패널을 연결하며 이루어진다(S10).
베이스 부재(10)가 지정 범위로 배열되면, 베이스 부재(10) 상에 선박블록의 측벽 중 일부를 이루는 거더 부재(20)를 배열해 설치한다. 거더 부재(20)는 일반적으로 선박블록 단위로 개별 제작된다(S20).
거더 부재(20)이 베이스 부재(10)에 배열되면, 작업자는 거더 부재(20)와 베이스 부재(10)가 접하는 접합부 일부를 용접해서 거더 부재(20)가 제 위치를 유지하게 한다. 거더 부재(20)와 베이스 부재(10)는 서로 독립된 부재이므로, 배열 후 현 자세와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가접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가접은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S30).
베이스 부재(10) 및 거더 부재(20)가 지정 범위로 배열되면, 베이스 부재(10) 상에 선박블록의 측벽 중 일부를 이루는 플로워 부재(30)를 배열해 설치한다. 플로워 부재(30)는 일반적으로 선박블록 단위로 개별 제작된다(S40).
전술한 바와 같이 거더 부재(20)와 플로워 부재(30)는 역학적 안정성과 선박의 경량화를 위해 통행로(A1, A2)가 형성되고, 베이스 부재(10)는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로워 부재(30)이 베이스 부재(10)에 배열되면, 작업자는 베이스 부재(10)와 플로워 부재(30), 또는 거더 부재(20)와 플로워 부재(30), 또는 베이스 부재(10) 및 거더 부재(20)와 플로워 부재(30) 간의 접합부 일부를 용접해서 플로워 부재(30)가 제 위치를 유지하게 한다. 거더 부재(20) 및 베이스 부재(10)와 같이 플로워 부재(30) 역시 독립된 부재이므로, 배열 후 현 자세와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가접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가접은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S50).
도 4는 상기 지그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선박블록에 대한 상기 지그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10)에 거더 부재(20)와 플로워 부재(30)가 가접을 통해 모두 설치되면, 자동 용접을 위한 지그(100)를 설치한다. 여기서 지그(100)는, 보드(110)와, 보드(110)에서 통행홀(A1, A2)과 마주하는 일면에 설치되고 통행홀(A1, A2)을 관통하여 가장자리를 그랩핑하도록 형성된 후크(120)와, 보드(110)와 후크(120) 사이에 삽입된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에 단부가 밀착하도록 후크(12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가압 볼트(130)로 이루어진다. 즉, 자동 용접을 위한 이동 캐리지(200)가 통행홀(A1, A2)에 상관 없이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을 주행할 수 있도록, 평판 형태의 보드(110)로 통행홀(A1, A2)을 덮는 것이다. 이를 위해 'ㄱ' 형상의 후크(120)를 통행홀(A1, A2)의 가장자리에 걸어서 보드(110)의 설치 위치를 잡고, 후크(120)에 형성된 너트홀(121)을 관통한 가압 볼트(130)를 나사 결합으로 회전시켜서 단부가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를 가압하게 한다. 즉, 가압 볼트(130)를 이용해 거더 부재(20)와 플로워 부재(30)를 조이며 후크(120)를 밀착시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후크(120)는 보드(110)에서 제 위치를 유지하며 설치된다.
보드(110)는 이동 캐리지(200)의 주행로에 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두께를 가능한 얇게 형성하고, 후크(120)가 연결된 부분이 보드(110)에 장착된 이동 캐리지(200)의 하중에 의해 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이동 캐리지(200)는 보드(110)에 자력으로 장착되어 주행하므로, 보드(110) 역시 자력에 반응할 수 있는 자화 재질인 철 등의 금속재인 것이 바람직하다(S6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건조방법에서 이동 캐리지가 지그를 통해 통행로를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이도 캐리지의 일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건조방법에서 이동 캐리지가 지그를 통해 통행로를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캐리지(200)의 주행을 위한 지그(100)가 설치되면, 용접토치(T)가 장착된 이동 캐리지(200)를 베이스 부재(10) 또는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에 장착한다(S70).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캐리지(200)는 자력에 의해 베이스 부재(10) 또는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와 부착해 이동 가능하고, 지그(100)의 보드(110)를 타고 주행할 때도 보드(110)에 부착해 이동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캐리지(200)는,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에 설치되는 구동부(220)와, 프레임(210)에 설치되고 구동부(22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며 베이스 부재(10)와 거더 부재(20)와 플로워 부재(30)에 자력으로 접합하는 자성휠(230)과, 프레임(210)에 설치되고 접합부를 용접하도록 용접토치(T)를 탑재하며 용접토치(T)의 온오프를 조정하는 홀더(240)와, 거더 부재(20) 및 플로워 부재(30)와 프레임(210) 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프레임(210)의 측방으로 돌출된 스페이서(250, 25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3개 또는 4개 이상의 자성휠(230)은 프레임(210)이 자세를 유지하며 베이스 부재(10) 또는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에 장착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4개의 자성휠(230)은 사각 형상의 프레임(210)의 코너부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자성휠(230)는 자체 자력으로 베이스 부재(10) 또는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에 부착하고, 자성휠(230)이 구동부(22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프레임(210)를 이동시킨다.
구동부(220)는, 컨트롤러(26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가 구동하도록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는 자성휠(230)의 회전축에 직접 또는 기어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모터의 동력을 받는 자성휠(230)는 회전하면서 이동 캐리지(200)를 주행시킨다.
홀더(240)는 용접토치(T)를 탑재하며 제어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용접토치(T)는 고열이 방출되는 노즐을 모재들이 경계하는 접합부에 근접시켜서 모재를 용접하는 기구이다. 따라서 홀더(240)는 용접토치(T)의 노즐이 베이스 부재(10)와 거더 부재(20), 또는 베이스 부재(10)와 플로워 부재(30), 또는 거더 부재(20)와 플로워 부재(30) 간의 접합부를 조준하며 근접하도록 용접토치(T)를 탑재한다. 이를 위해 홀더(240)는 긴 막대 형상의 용접토치(T)를 잡아 거는 행거(241)를 구성한다. 또한 홀더(240)는 용접토치(T)의 온오프 스위치인 트리거를 컨트롤러(260)의 제어에 따라 조정하도록 연결된다.
한편, 홀더(240)에 탑재된 용접토치(T)는 이동 캐리지(200)가 주행하는 중에도 배치 자세는 물론 접합부와의 거리가 초기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캐리지(200)는 이동 캐리지(200)는 거더 부재(20) 및 플로워 부재(30)와 프레임(210) 간의 거리를 항시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210은 측방에 스페이서(250, 250')를 돌출시켜서 스페이서(250, 250')의 단부가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와 접하게 한다. 따라서 이동 캐리지(200)는 스페이서(250, 250')의 길이 이내로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에 근접할 수 없다. 본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250, 250')는 프레임(210)의 측면에 2개 이상을 일렬로 배치시켜서 이동 캐리지(200)의 주행 방향이 초기 상태를 유지하며 안정하게 지속되도록 한다. 또한 스페이서(250, 250')는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와 접하는 단부에 롤러를 장착해서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에 대한 스페이서(250, 250')의 마찰력을 줄인다.
한편, 이동 캐리지(200)가 스페이서(250, 250')가 접하는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를 향해 주행하도록 도 8과 같이 기울어지게 조향한다. 따라서 이동 캐리지(200)는 스페이서(250, 250')가 미장착된 경우엔 측방에 위치한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를 향하게 된다. 그런데 스페이서(250, 250')는 상기 조향 방향으로의 주행을 강제 저지하므로, 상기 조향에도 불구하고 이동 캐리지(200)는 거더 부재(20) 또는 플로워 부재(30)와 일정 거리를 유지한다. 또한 스페이서(250, 250')는 이동 캐리지(200)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에 각각 구성되고, 전방에 위치한 스페이서(250)는 후방에 위치한 스페이서(25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므로, 이동 캐리지(200)는 다소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하며 직진 주행을 유지한다. 참고로, 자성휠(230)은 베이스 부재(10)와 거더 부재(20)와 플로워 부재(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상기 조향에도 이동 캐리지(200)의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시키며 주행을 지속할 수 있다.
구동부(220)와 홀더(2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60)는 작업자가 소지한 리모컨트롤러(미도시함)에 의해 조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원격에서 이동 캐리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베이스 부재 20; 거더 부재 30; 플로워 부재
100; 지그 110; 보드 120; 후크
130; 가압 볼트 200; 이동 캐리지 210; 프레임
220; 구동부 230; 자성휠 240; 홀더
241; 행거 250, 250'; 스페이서 260; 컨트롤러
A1, A2; 통행홀 T; 용접토치

Claims (2)

  1. 선박블록을 이루는 베이스 부재를 지정 위치에 배열하는 베이스 부재 배열 단계;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입설되도록 통행홀이 형성된 거더 부재를 지정 위치에 배열하는 거더 부재 배열 단계;
    상기 거더 부재가 배열 위치를 유지하도록 베이스 부재와 거더 부재 간의 접합부 일부를 용접하는 1차 가접 단계;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입설되며 거더 부재와 접하도록 통행홀이 형성된 플로워 부재를 지정 위치에 배열하는 플로워 부재 배열 단계;
    상기 플로워 부재가 배열 위치를 유지하도록 베이스 부재와 플로워 부재, 또는 상기 거더 부재와 플로워 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 및 거더 부재와 플로워 부재 간의 접합부 일부를 용접하는 2차 가접 단계;
    보드와, 상기 보드에서 통행홀과 일면에 설치되고 통행홀을 관통하여 가장자리를 그랩핑하도록 형성된 후크와, 상기 보드와 후크 사이에 삽입된 거더 부재 또는 플로워 부재에 단부가 밀착하도록 후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가압 볼트로 이루어진 지그를, 상기 거더 부재의 통행홀과 플로워 부재의 통행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덮도록 설치하는 지그 설치 단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부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며 베이스 부재와 거더 부재와 플로워 부재에 자력으로 접합하는 자성휠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접합부를 용접하도록 용접토치를 탑재하며 용접토치의 온오프를 조정하는 홀더와, 상기 거더 부재 및 플로워 부재와 프레임 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프레임의 측방으로 돌출된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이동 캐리지를 상기 베이스 부재 또는 거더 부재 또는 플로워 부재에 장착하는 이동 캐리지 장착 단계; 및
    상기 이동 캐리지가 주행하며 용접토치가 접합부를 용접하도록 조정되는 자동용접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의 자동용접을 통한 선체 건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캐리지 장착 단계는,
    상기 스페이서는 프레임의 측면에 2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이동 캐리지가 스페이서가 접하는 거더 부재 또는 플로워 부재를 향해 주행하도록 기울어지게 조향하고, 전방에 위치한 스페이서가 후방에 위치한 스페이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의 자동용접을 통한 선체 건조방법.
KR1020210047699A 2021-04-13 2021-04-13 선박블록의 자동용접을 통한 선체 건조방법 KR102477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99A KR102477859B1 (ko) 2021-04-13 2021-04-13 선박블록의 자동용접을 통한 선체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99A KR102477859B1 (ko) 2021-04-13 2021-04-13 선박블록의 자동용접을 통한 선체 건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505A KR20220141505A (ko) 2022-10-20
KR102477859B1 true KR102477859B1 (ko) 2022-12-15

Family

ID=83804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699A KR102477859B1 (ko) 2021-04-13 2021-04-13 선박블록의 자동용접을 통한 선체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8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552A (ko) * 1999-06-24 2001-01-15 권상문 맞대기 이음용 자동 용접장치
KR20100089690A (ko) * 2009-02-04 2010-08-12 주식회사 조브테크 선박조립용 이동식 용접장치
KR20110040431A (ko) * 2009-10-14 2011-04-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칼라플레이트의 용접장치 및 용접방법
KR101205316B1 (ko) * 2011-02-17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캐리지 가이드장치
KR101491662B1 (ko) 2013-04-18 2015-0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블록 간격 조절 치구 및 그를 이용한 선박의 용접 방법
KR101973114B1 (ko) * 2016-12-02 2019-04-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거더 내부 용접용 용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505A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739B1 (ko) 자동 용접 로봇 이동 장치
JPH02117600A (ja) 壁材運搬取付装置
JPH084272A (ja) 天井及び壁内装施工装置及びその付属装置
JP2007210076A (ja) H型鉄骨の下フランジ接続用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用治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方法。
KR102477859B1 (ko) 선박블록의 자동용접을 통한 선체 건조방법
US3937918A (en) Beam carriage type automatic arc welding apparatus with welding head tracking mechanism
KR20120074000A (ko) 회전형 용접장치
CN101909811B (zh) 焊接用台架
JP6937098B2 (ja) 建材パネルの目地幅調整治具
CN114888494A (zh) 一种高空钢梁焊接机器人、焊头调节机构及焊接方法
JPH05318120A (ja) 自動溶接ポジショナ装置
KR20150100132A (ko) 하이브리드 용접기
KR200398455Y1 (ko) 선박 용접작업용 오토캐리지
KR101186114B1 (ko) 핸드 필렛 용접용 캐리지
JP2001334364A (ja) 多関節型溶接ロボットによる鉄骨柱の溶接方法
JP4657832B2 (ja) 溶接ワイヤ送給装置
JP2002239723A (ja) 溶接方法、この方法に用いる溶接装置、その方法により製作される溶接継手および溶接構造物
CN213053515U (zh) 一种便于进行定位的焊接装置
KR200493608Y1 (ko) 용접캐리지용 가이드 장치
CN217799723U (zh) 一种轨道交通用司机室钢板拼焊工装
CN220971742U (zh) 一种多功能建筑施工机器人及多功能建筑施工系统
CN220050662U (zh) 一种钢结构焊接夹具
KR200459485Y1 (ko) 자동용접장치
JPH0640732Y2 (ja) 建物用壁板支持部材の取り付け板
KR102577542B1 (ko) T바 용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