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801B1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 Google Patents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801B1
KR102477801B1 KR1020180082703A KR20180082703A KR102477801B1 KR 102477801 B1 KR102477801 B1 KR 102477801B1 KR 1020180082703 A KR1020180082703 A KR 1020180082703A KR 20180082703 A KR20180082703 A KR 20180082703A KR 102477801 B1 KR102477801 B1 KR 102477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weight
parts
hair styl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714A (ko
Inventor
윤정애
최화춘
권수지
이인호
윤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82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8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일례에 따르면, 세팅된 헤어의 스타일 유지력이 우수하면서도, 비딩 현상이나 플레이킹 현상이 적고, 사용후에도 우수한 세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Hair styling composition}
본 출원은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헤어(두발) 스타일링과 관련하여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헤어 스프레이, 젤, 무스, 헤어용 토닉, 헤어 로션 등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에는 헤어에 접촉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디자인된 헤어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해주는 성분(조성물)이 포함되어 있다.
헤어 스프레이를 예로 들면,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에어졸)은 고압 가스 추진제, 용제 및 헤어 셋팅용 고분자, 가소제, 보습제, 및/또는 향 제공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소정의 분사 시스템 내에 보관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프레이 용기에 형성된 분사 버튼을 누르면, 고압 가스 추진제(예: LPG 등)에 의해 상기 조성물이 가스를 수반하는 미세 입자, 거품 또는 액상 형태로 헤어에 분사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조성물이 분사된 헤어를 원하는 형태로 디자인(또는 세팅)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구성 중 헤어 셋팅용 고분자는 조성물이 분사된 후 사용자에 의해 세팅된 헤어 부분에 대하여 소정 시간 동안 헤어 세팅 유지력(또는 보유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프레이 조성물이 헤어에 분사된 후에 용제(예: 에탄올이나 LPG와 같은 액화가스)가 증발하게 되면, 헤어 셋팅용 고분자는 헤어 표면에 필름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필름이 갖는 강도(hardness)에 의해서 세팅된 상태로 헤어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작용을 수행하는 헤어 세팅용 고분자로는 물이나 알코올에 가용성인 중합체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필로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크로톤산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이 헤어 세팅용 고분자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분자는 고분자 특유의 하드니스(hardness)에 의해, 헤어로 분사된 후 헤어에 대한 고정 효과를 쉽게 제공하지만, 다양한 첨가제와 함께 사용되는 특성상 지나치게 딱딱해 보이거나 거칠고 끈적이는 단점이 있다. 즉, 좋은 미감이나 촉감을 제공하지 못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고분자는 유연성(flexibility)이 떨어지는데, 그로 인해 분사 후 빗질이 이어지거나 고정된 헤어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코팅된 고분자 필름이 깨지면서 흰가루가 관찰된다(이하, 플레이킹(fliaking)이라 호칭한다).
한편, 최근에는 헤어 스타일링 제품 중에 실리콘 그라프팅된 유기 주쇄 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소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특허 공개 특1999-0067122, 특허 공개 특2001-0030417 및 특허 공개 특1991-002421는 실리콘 그라프팅된 중합체를 사용하여 헤어 스타일링 보유력과 개선된 헤어 감촉을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들은 통상 용기로부터 분사되는 입자가 거품을 형성하면서 헤어에 뿌려지기 때문에, 하얀 눈가루 또는 하얀 구슬과 같은 입자가 검은 헤어에 뿌려진 것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이하. 비딩(beading)이라 호칭한다).
본 출원의 일 목적은 플레이킹 현상과 비딩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미감과 촉감이 우수한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정성이 우수한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헤어스프레이용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목적 및 기타 그 밖의 목적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출원에 의해 모두 해결될 수 있다.
본 출원에 관한 일례에서, 본 출원은 분사, 분무 또는 펌핑 시스템을 통해 헤어에 접촉하고, 헤어를 소정 형태로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소정 구성의 고분자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사용자에 의해 형성된 세팅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미감과 촉감을 제공하고, 비딩이나 플레이킹 현상을 개선하며, 사용후에는 우수한 세정성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위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한다. 하기 화학식 2의 양끝단에는 다른 체인이 연결될 수 있다. 하기 구성의 고분자는 사용자에 의해 세팅된 헤어 부분에 대하여 소정 시간 동안 헤어 세팅 유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용제에 대한 우수한 용해성, 헤어에 대한 고른 도포성, 및 사용후 헤어 세정시 우수한 세정성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화학식 2]
Figure 112018070233772-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X1, X2, 및 X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6인 알킬기이고,
R1 은 탄소수가 4 내지 20인 알킬기이고,
A1 및 A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6 인 알킬렌기이고,
n은 1 내지 50 사이의 정수이고,
R2 는 수소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6인 알킬기이고,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기 또는 벤질기이고,
Y- 는 F-, Cl-, Br-, 또는 I- 이고,
a, b, 및 c는 각 중합 단위의 평균 중합 수로서 0 보다 크고, a+b+c는 50 내지 1,000 사이의 값을 갖는다.
상기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임의적인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양이온성 아크릴계 고분자이다. 즉, 상기 화학식 2의 단위를 갖는 고분자에서, Y-는 고분자에 붙어 있지 않고 이온 밸런스(ionic balance)를 맞추면서 이동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중합도를 만족하는 경우, 평균 중합수가 a와 b인 단위는 비딩 현상 개선, 플레이킹 현상 개선, 세정성 개선, 및 고분자의 용제에 대한 용해성 개선에 기여하고, 평균 중합수가 c인 단위는 스타일링 제품 사용 후 헤어 세정시 물에 대한 용해도를 부여한다. 평균 중합수가 a인 단위와 b인 단위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하는 경우에는 상기 나열된 개선 효과가 균형있게 나타날 수 없다.
상기 R1은 탄소수가 6 내지 18, 8 내지 16 범위인 알킬기일 수 있다. 알킬기의 길이, 즉 탄소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세정성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본 출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고분자 내에서 적절한 친수성/소수성 밸런스가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A1 및 A2 의 탄소수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A1이 상기 탄소수를 초과하는 경우, 소수성이 지나치게 강해지기 때문에, 세정성이 저하된다. 예를 들어, 상기 A1 은 에틸렌기이거나 프로필렌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고려할 때, 에틸렌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A2 는 탄소수가 2 내지 6 범위 내인 알킬렌기일 수 있다. A2가 상기 탄소수를 초과하는 경우, 소수성이 지나치게 강해지기 때문에, 세정성이 저하된다. 예를 들어, 상기 A2는 에틸렌기일 수 있다.
상기 R2가 수소이거나 탄소수 1 내지 6을 만족하는 알킬기인 경우, 고분자의 용제에 대한 용해성 및 세정성을 적절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합수가 a, b, 및 c인 각 단위를 A, B 및 C 단위로 호칭할 때, 상기 각 단위를 제공할 수 있는 단량체(전구체 단량체라고 호칭한다)들을 공중합함으로써 상기 고분자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어세팅용 고분자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은 아래와 같다.
하나의 예시에서, A 단위의 전구체 단량체로는 탄소수가 4 내지 20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 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팔미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테아릴 (메타) 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2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A 단위의 전구체 단량체로 탄소수가 4 내지 20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세정성을 가지면서, 비딩 현상과 플레이킹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A 단위의 전구체 단량체로는, 탄소수가 9 내지 20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와 탄소수 4 내지 8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A 단위의 전구체 단량체는 상기 고분자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중량부 이상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상 또는 50 중량부 이상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 단위의 전구체 단량체는 85 중량부 이하, 80 중량부 이하, 75 중량부 이하, 70 중량부 이하, 65 중량부 이하 또는 60 중량부 이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보다 적은 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분자의 친수성이 지나치게 강해져서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이, 물에 대한 접촉각이 낮아지면서, 비딩 현상이 심화된다. 비딩 현상은 공기중으로 분사된 헤어 스프레이 입자가 헤어 표면에 고르게 퍼지지 못하고 둥글게 뭉치면서 시인되는 현상으로, 헤어 표면의 소수성이 높다는 것을 고려할 때, 고분자의 소수성이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경우에 개선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기 범위 보다 많은 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분자의 소수성이 지나치게 강해지면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지고, 따라서 제품 사용 후 세정시 물에 잘 씻기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B 단위의 전구체 단량체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히드록시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2-메톡시에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2-에톡시에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알킬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2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 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유지하면서, 고분자의 친수성/소수성 밸런스를 유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고려할 때, 히드록시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사용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B 단위의 전구체 단량체는 상기 고분자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이상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상, 또는 35 중량부 이상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단위의 전구체 단량체는 65 중량부 이하, 60 중량부 이하, 55 중량부 이하, 50 중량부 이하, 45 중량부 또는 40 중량부 이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보다 적은 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용제에 대한 용해도가 충분치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스프레이 형성용 조성물에 필요한 에어졸 제형 등에 적합하지 못하여 헤어스프레이의 노즐 막힘 현상을 심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헤어에 대한 고른 도포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범위 보다 많은 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물에 대한 접촉각이 낮아지기 때문에, 헤어 표면에 비딩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상기 C 단위의 전구체 단량체로는 소정 반응 후에 4급 암모늄염을 상기 고분자에 제공할 수 있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C 단위 형성에는 3급 아민과 알킬 할라이드가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의 반응에 의해 4급 암모늄염이 발생할 수 있고, Y-로는 할라이드가 발생할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3급 아민으로는 2-(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고, 알킬 할라이드로는 벤질 클로라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C 단위는 그 자체로서 4급 암모늄염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성 단량체(예: 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상기 A 단위 전구체 단량체 및 B 단위 전구체 단량체와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C 단위의 전구체 단량체는 상기 고분자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이상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상, 또는 30 중량부 이상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 단위의 전구체 단량체는 70 중량부 이하, 60 중량부 이하, 50 중량부 이하 또는 40 중량부 이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용제나 가스에 대한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에어졸 제형으로의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세정성을 제공할 수 없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5,000 내지 200,000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는 6,000 이상, 7,000 이상, 8,000 이상, 9,000 이상, 10,000 이상, 11,000 이상, 12,000 이상, 13,000 이상, 14,000 이상, 15,000 이상, 16,000 이상 또는 17,000 이상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는 180,000 이하, 150,000 이하, 120,000 이하, 90,000 이하, 60,000 이하 또는 30,000 이하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본 출원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를 사용하여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분자의 분자량 분포(PDI=Mw/Mn, Mw: 중량평균 분자량, Mn: 수평균분자량)는 1.0 내지 5.0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자량 분포는 1.1 이상, 1.2 이상, 1.3 이상, 1.4 이상 또는 1.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익 분자량 분포는 4.9 이하, 4.8 이하, 4.7 이하, 4.6 이하, 4.5 이하, 4.4 이하, 4.3 이하, 4.2 이하, 4.1 이하, 4.0 이하, 3.9 이하, 3.8 이하, 3.7 이하, 3.6 이하, 3.5 이하, 3.4 이하, 3.3 이하, 3.2 이하, 3.1 이하 또는 3.0 이하 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전체 함량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상기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P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2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R1 등이 서로 상이한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P11) 및 고분자(P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P1)는 전체 조성물 전체 함량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은 2 종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P1)를 포함하는 것 외에 구성이 상이한 이종의 고분자(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성이 상이한 이종의 고분자(P2)는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PVP/VA copolymer), 폴리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PVP/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opolymer)와 같은 비이온성 고분자를 고분자(P2)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성물은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Methacryloylethylbetaine/methacrylate copolymer), 및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Octylacrylamide/acrylates/butylaminoethylmethacrylatecopolymer)와 같은 양쪽성 고분자(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나열된 고분자(P2) 중에서 2 이상의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조성물이 고분자(P1) 및 고분자(P2)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고분자(P1)와 고분자(P2)의 중량비율(P1 : P2)은 1 : 99 내지 99: 1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분자(P1)는 고분자(P2) 보다 소량 사용될 수 있고, 고분자(P1)와 고분자(P2)의 중량비율(P1 : P2)은 5 : 95 내지 30 : 70 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분자(P1)는 고분자(P2) 보다 과량 사용될 수 있고, 고분자(P1)와 고분자(P2)의 중량비율(P1 : P2)은 95 : 5 내지 70 : 30 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분자(P1)과 고분자(P2)는 동량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성물 내에 사용되는 고분자의 총 함량은 조성물 전체 함량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30 중량부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분자(P1)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코팅면, 즉 조성물이 도포된 막에 대한 물방울의 접촉각이 90 내지 120 °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각은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접촉각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스프레이 조성물의 헤어에 대한 도포 특성이 악화되어 비딩 현상이 증가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분자의 딱딱한 특성이 증가한 것으로 플레이킹 현상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되듯이, 접촉각이 지나치게 낮은 친수성 성질의 고분자는 물에 대한 용해성이 높기 때문에 젤 제품이나 로션 제품과 같이 물에 용해하여 제품화하는데, 모발에 사용시 대기중의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하드니스가 낮다. 한편, 접촉각이 높은 소수성 고분자는 물에 대한 용해성이 낮기 때문에 젤 제품이나 로션 제품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물이 아닌 에탄올이나 LPG에 용해되어 헤어스프레이로 제품화되며, 상기 친수성 고분자와는 다르게 가장 헤어 제품 중 가장 높은 하드니스를 갖는다. 강한 소수성은 세정력을 저하시키고, 지나치게 높은 하드니스는 플레이킹 현상을 쉽게 유발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용제로는, 예를 들어, 에탄올이나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이 용제로 사용될 수 있다. 물과 알코올이 혼합 사용되는 경우, 전체 용제 성분 대비 물의 함량은 1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고분자 성분(P1 및/또는 P2) 100 중량부 대비 100 내지 2,000 중량부 범위의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은 가스상으로 분무되는 에어졸 스프레이 조성물일 수 있다. 즉, 상기 조성물은 에어졸을 분사할 수 있는 고압 가스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추진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프로판, n-부탄, 이소부탄, 및 디메틸에테르(DM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고분자 성분(P1 및/또는 P2) 100 중량부 대비 100 내지 1,500 중량부 범위의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은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소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화합물 또는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 등과 같이, 공지된 가소제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은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습제의 종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과 같은 공지된 재료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조성물은 헤어에 대한 보습, 컨디셔닝 및/또는 향을 제공할 수 있는 첨가제(pH 조정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례에 따르면, 세팅된 헤어의 스타일 유지력이 우수하면서도, 비딩 현상이나 플레이킹 현상이 적은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헤어 스타일링 제품 사용후에도 우수한 세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의 보호범위가 하기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성 측정방법>
* 접촉각의 측정
접촉각 측정기기(Attension Theta Lite, Biolin Scientific社)를 사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배합된 각 조성물 1g을, 가로 6 cm, 세로 4 cm, 높이 0.3 cm 의 아크릴판 상에 균일한 두께(120 ㎛)로 코팅하였다. 코팅 표면에 4 mg 물방울을 떨어뜨린 직후부터 1 분 동안 1 초 간격으로 코팅 표면과 물방울의 접촉각을 측정하고, 평균값을 구하였다. 코팅 표면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면서 상기와 같은 계산을 3 회 반복하고, 평균값을 구하였다. 접촉각은 고체(polymer 코팅 표면), 액체(물방울), 및 기체(공기) 3상의 접점에서 액체의 접선과 고체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접촉각에 따라 폴리머 코팅 표면의 특성을 아래와 같이 판단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 50 ° 미만: 친수성으로서 하드니스가 약한 고분자이고, 물에 대한 용해성이 강함
- 50 이상 90 ° 미만: 약한 소수성으로서 보통 수준의 하드니스를 갖고, 물에 대한 용해성이 보통임
- 90 이상 120 ° 미만: 소수성을 갖고, 높은 하드니스를 갖고, 물에 대한 용해성이 크지 않음
- 120 ° 이상: 강한 소수성을 갖고, 매우 높은 하드니스를 가지며, 헤어 제품에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음
* 비딩 평가
헤어 스프레이 제품을 실제로 사용하는 200명의 평가자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배합된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을 사용하게 하였다. 관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사시 분사 입자(Beading)가 없는 경우를 10점으로 평가하고, 구슬 형태의 분사 입자(Beading)가 매우 많은 경우를 1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그 평균 점수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 7~10점(양호): 비딩 없음
- 4~6점(보통): 비딩이 발생하지만 그 정도가 약함
- 1~3점(불량): 비딩이 심하게 발생함
* 플레이킹 평가
헤어 스프레이 제품을 실제로 사용하는 200명의 평가자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배합된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을 사용하게 하였다. 관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헤어에 흰가루(Flaking)가 시인되지 않는 경우를 10점으로 평가하고, 흰가루(Flaking)가 과도하게 시인되는 경우를 1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그 평균 점수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 7~10점(양호): 플레이킹 없음
- 4~6점(보통): 플레이킹이 발생하지만 그 정도가 약함
- 1~3점(불량): 플레이킹이 심하게 발생함
< 실시예 비교예 >
고분자의 제조
제조예 1
고분자(A1)의 제조: 상기 화학식 2에 대응하는 고분자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1L 크기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lauryl methacrylate (LMA) 50g, 2-hydroxyethylmethacrylate(HEMA) 20g, 2-(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DMAEMA) 30g 및 에탄올 400 g을 넣고 플라스크를 씰링한 후, 30분간 교반과 함께 질소 버블링하였다. 플라스크를 70 ℃ 오일 배쓰에 담그고, azobis(isobutyronitrile) (AIBN) 2g을 투입하고, 24 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제조된 고분자의 분자량은 Mw가 1.8만이고, Mw/Mn는 1.62임). 여기에 benzyl chloride 24g을 투입하고, 50 ℃에서 24 시간 추가 반응시켜, 상기 고분자 중에 암모늄염기를 생성하였다.
제조예 2
고분자(A2)의 제조: 상기 화학식 2에 대응하는 고분자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1L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lauryl methacrylate (LMA) 50g, poly(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methacrylate (mPEGMA, Mw 500) 20g, 2-(N,N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DMAEMA) 30 및 에탄올 400 g을 넣고 플라스 크를 씰링한 후, 30분간 교반과 함께 질소 버블링하였다. 플라스크를 70 ℃ 오일배쓰에 담그고 azobis(isobutyronitrile) (AIBN) 2g을 투입하고 2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제조된 고분자의 분자량은 Mw가 1.8만이고, Mw/Mn는 1.57임). 여기에 benzyl chloride 24g을 투입하고 50 ℃ 에서 24 시간 추가 반응시켜 상기 고분자 중에 암모늄염기를 생성하였다.
제조예 3
고분자(B1): 양쪽 이온성 이온성 고분자이고, Octylacrylamide, Acrylate 및 Butylaminoethyl Methacrylate의 공중합체인 상품명 Amphomer(AkzoNobel社)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4
고분자(B2): 실시예와 달리 실시예 고분자의 b 단위를 갖지 않는 음이온성 고분자로서, AMP-Acrylates Copolymer인 상품명 Mihapol PAH-50 (Miwon Commercial Co.)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5
고분자(B3): 비이온성 고분자이고, Hydroxyethyl acrylate, Methoxyethyl Acrylate, 및 Butyl Acrylate의 공중합체인 상품명 Plascize L-301(GOO Chemical社)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율로 각 성분을 배합하고, 에어졸 헤어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8070233772-pat00003
[표 2]
Figure 112018070233772-pat00004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와 같이 소정의 고분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조성물은 고분자 코팅에 대한 물방울의 접촉각이 90 내지 120 °를 만족하고, 그에 따라 스프레이 조성물의 헤어에 대한 도포 특성이 우수하여 비딩 현상이 양호하며, 고분자의 하드니스(hardness)가 적정 수준을 갖기 때문에 플레이킹 현상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들은 비딩 현상과 플레이킹 현상을 개선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P1); 및 용제를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2에서 중합수가 a,b 및 c인 각 단위를 A,B 및 C단위로 호칭할 때, 상기 고분자(P1)을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 단위의 전구체 단량체가 20 중량부 이상 내지 8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며, C 단위의 전구체 단량체가 5 중량부 이상 내지 7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22078908213-pat00007

    상기 화학식 2에서,
    X1, X2, 및 X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6인 알킬기이고,
    R1 은 탄소수가 8 내지 16인 알킬기이고,
    A1 및 A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6 인 알킬렌기이고,
    n은 1 내지 50 사이의 정수이고,
    R2 는 수소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6인 알킬기이고,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기 또는 벤질기이고,
    Y- 는 F-, Cl-, Br-, 또는 I- 이고,
    a, b, 및 c는 각 중합 단위의 평균 중합 수로서 0 보다 크고, a+b+c는 50 내지 1,000 사이의 값을 갖는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P1)는 5,000 내지 200,000 범위 내의 중량평균분자량(Mw) 및 1.0 내지 5.0 범위 내의 분자량 분포(PDI)를 갖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함량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상기 고분자(P1)를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P1)과 상이한 고분자(P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P2)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고분자; 및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쪽성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P1) 및 고분자(P2)의 중량비율은 1 : 99 내지 99: 1 범위인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함량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상기 고분자(P1 및 P2)를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알코올을 포함하거나,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100 중량부 대비 100 내지 2,000 중량부 범위의 용제를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12.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가스상으로 분무되는 에어졸 스프레이 조성물이고, 상기 조성물은 프로판, n-부탄, 이소부탄, 및 디메틸에테르(DM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진제로서 더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100 중량부 대비 100 내지 1,500 중량부 범위의 추진제를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도포된 막에 대한 물방울의 접촉각이 90 내지 120 ° 범위를 만족하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KR1020180082703A 2018-07-17 2018-07-17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KR102477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03A KR102477801B1 (ko) 2018-07-17 2018-07-17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03A KR102477801B1 (ko) 2018-07-17 2018-07-17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714A KR20200008714A (ko) 2020-01-29
KR102477801B1 true KR102477801B1 (ko) 2022-12-15

Family

ID=6932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703A KR102477801B1 (ko) 2018-07-17 2018-07-17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8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580B1 (ko) * 2020-11-24 2023-03-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양이온 폴리머를 함유하는 헤어 컨디셔닝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7923A9 (en) * 2001-12-20 2004-03-25 Isabelle Rollat Reshapable hair styling rinse composition comprising (meth)acrylic copoly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714A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8963B2 (en) Cosmetic agent
EP0865273B1 (en) Hair spray composition having 80 % or less voc and advantageous physical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US8828360B2 (en) Hair styl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clarity and humidity resistance
AU746140B2 (en) Hairstyling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with particular characteristics and a non-ionic polymer
JPH0670104B2 (ja) 被膜形成樹脂及びそれを含有する毛髪化粧料
US20110110878A1 (en) Smooth Styling Agents
US20080223395A1 (en) Hair-Styling Foil and Method For Preparing Hair-Fixing Products in Foil Form
WO2011126978A1 (en) Sprayable composition comprising high molecular weight charged polymer
ES2710213T3 (es) Un polímero adecuado para su uso en acondicionamiento del cabello
US8815223B2 (en) Hair styling composition
DE60120878T2 (de) Frisierschaum mit lang anhaltender Festigungswirkung
JPH04359912A (ja) 新規共重合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US20140093469A1 (en) Shine-producing hair-styling product with a strong hold, providing hair with a pleasant feel
US5972329A (en) Fixative polymers
KR102477801B1 (ko)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JP7123449B2 (ja) ヘアスタイリング組成物及びスプレーシステム
JP2000204025A (ja) 泡沫状整髪料
KR20210003693A (ko)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프레이 분사 시스템
JP3878889B2 (ja) 毛髪用の化粧料
JP7163724B2 (ja) 毛髪化粧料
KR20190121572A (ko) 헤어 스프레이용 고정제
JPH0696505B2 (ja) 泡沫状頭髪化粧料
JP2007016051A (ja) 毛髪化粧料
CA2472033A1 (en) Fixative agents for 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