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020B1 -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020B1
KR102477020B1 KR1020210093520A KR20210093520A KR102477020B1 KR 102477020 B1 KR102477020 B1 KR 102477020B1 KR 1020210093520 A KR1020210093520 A KR 1020210093520A KR 20210093520 A KR20210093520 A KR 20210093520A KR 102477020 B1 KR102477020 B1 KR 102477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ther
broadcasting
data
broadcast
re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93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46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network directed to the server or the client
    • H04N21/64761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network directed to the server or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4776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network directed to the server or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for requesting retransmission, e.g. of data packets lost or corrupted during transmission from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4Wireless systems of satellit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1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9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기상 방송자료를 위성으로 업로딩하고, 상기 위성으로부터 다운로딩된 기상 방송자료를 수신하는 통신시스템; 상기 위성으로 업로딩한 기상 방송자료와 상기 위성으로부터 다운로딩된 기상 방송자료를 비교하여, 상기 다운로딩된 기상 방송자료에 손실된 손실 프레임이 있으면 상기 손실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부가자료 파일을 생성하는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 - 상기 부가자료 파일은 헤더에 재전송 유무 플래그, 재전송 손실 프레임 위치, 재전송 손실 프레임의 원래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재전송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재전송 정보를 헤더에 포함하고, 상기 손실 프레임을 데이터 필드에 포함하는 방송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방송파일을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변환한 기상 방송자료를 생성하는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Meteorological broad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기상 방송 서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패킷 손실을 복구할 수 있는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센서 기술의 발달로 위성에 탑재되는 관측카메라의 해상도와 관측채널이 계속 향상되고 있으며, 그 결과 생성되는 위성영상물의 크기도 커지는 추세이다. 고해상도의 대용량 위성영상물의 전달 시, 전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자료압축기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위성을 통한 기상방송서비스에서도 배포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신의 압축기법을 사용한다. 이때 압축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압축영상단위를 작게 하는 것보다는 큰 편이 좋으며, 자료 전달과정에서 자료 손실이 발생되고 FEC로 복구 가능한 범위가 넘을 경우에는 복구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래서 자료 손실이 소량 발생된 경우에도 압축단위의 영상물을 복구할 수 없게 된다.
위성영상물은 주로 유선망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전달되고 활용되는데, 전지구 기상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정지궤도기상위성의 경우에는 유선망뿐만 아니라 지상에서 처리된 위성영상물과 기상분석자료 등을 위성(무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배포하는 기상방송서비스를 수행한다. 2018년 12월에 발사된 정지궤도복합위성2A도 초기운영을 끝내고 7월부터 국내외 사용자들에게 10분마다 관측되는 전지구 영상물을 관측완료 3분 이내에 전달하는 기상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T 기술이 잘 발달된 나라에서는 유선망(인터넷)으로도 대용량 위성영상물과 기상자료를 실시간으로 확보할 수 있지만, 유선망 회선 환경이 좋지 않은 개발도상국이나 해상에 위치한 사용자들은 정지궤도관측위성이 제공하는 기상방송서비스에 주로 의존하게 된다.
기상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은 위성으로 업로딩하는 방송패킷과 위성에서 다운로딩되는 방송패킷을 수신·비교하여 위성(무선망)을 통해 전달되는 방송 링크를 모니터링한다. 업로딩된 자료와 다운로딩된 자료를 바이너리 레벨에서 비교하여, 다른 부분이 있다면 다운로딩 과정에서 자료 손실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기상방송서비스를 통해 자료 전달 과정에 손실이 발생되는 경우, 24시간 관측하는 정지궤도기상위성의 특성상 기상방송 스케줄이 TV 방송편성표처럼 연속적인 방송이 사전에 계획되어 있어서 손실된 부분을 파악하더라도 실시간으로 재전송할 수는 없다. 또한 스케줄을 조정하더라도 손실이 발생된 전체영상물을 재전송할 경우에는 많은 전송시간이 소요되므로 이후의 방송 스케줄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사용자들은 10분 주기로 관측된 전지구 영상물을 규칙적으로 실시간으로 받기 원하므로 재방송으로 인한 지연 발생은 피해야 한다. 손실이 발생된 전체영상물을 유선망을 통해 확보할 수도 있으나 개발도상국이나 해상에 위치한 사용자들에게는 전체가 아닌 손실될 부분만 재수신하여 전체를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상 방송 서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패킷 손실을 복구할 수 있는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기상 방송자료를 위성으로 업로딩하고, 상기 위성으로부터 다운로딩된 기상 방송자료를 수신하는 통신시스템; 상기 위성으로 업로딩한 기상 방송자료와 상기 위성으로부터 다운로딩된 기상 방송자료를 비교하여, 상기 다운로딩된 기상 방송자료에 손실된 손실 프레임이 있으면 상기 손실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부가자료 파일을 생성하는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 - 상기 부가자료 파일은 헤더에 재전송 유무 플래그, 재전송 손실 프레임 위치, 재전송 손실 프레임의 원래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재전송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재전송 정보를 헤더에 포함하고, 상기 손실 프레임을 데이터 필드에 포함하는 방송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방송파일을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변환한 기상 방송자료를 생성하는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 을 포함한다.
상기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에서 생성된 기상 방송자료를 손실 프레임을 재전송하기 위해 방송 스케줄에 미리 배정해놓은 재전송 스케줄에 맞추어 상기 위성으로 업로딩하여 재전송시킨다.
재전송된 상기 기상 방송자료를 수신하여 방송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방송파일에 포함된 재전송 정보를 이용하여 손실 프레임이 발생한 기상 방송자료를 복구하는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은, 재전송된 기상 방송자료임을 표출하고, 재전송된 상기 기상 방송자료를 이용하여 손실 프레임이 발생한 기상 방송자료 복구를 선택받을 수 있다.
상기 재전송 스케줄은, 기상 위성이 기상 관측을 하지 않아서 실시간 기상 방송을 하지 않는 시간대로 방송 스케줄에 사전 배정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상 방송 서비스 방법은, 통신시스템에서, 기상 방송자료를 위성으로 업로드한 후 상기 위성에서 상기 기상 방송자료를 다운로딩하면 수신하는 단계;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위성으로 업로딩한 기상 방송자료와 상기 위성으로부터 다운로딩된 기상 방송자료를 비교하여 상기 다운로딩된 기상 방송자료에 손실된 손실 프레임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손실 프레임을 포함하는 부가자료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부가자료 파일은 헤더에 재전송 유무 플래그, 재전송 손실 프레임 위치, 재전송 손실 프레임의 원래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재전송 정보를 포함함 - ;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에서, 상기 재전송 정보를 헤더에 포함하고, 상기 손실 프레임을 데이터 필드에 포함하는 방송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방송파일을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변환한 기상 방송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시스템에서, 손실 프레임을 재전송하기 위해 방송 스케줄에 미리 배정해놓은 재전송 스케줄에 맞추어 상기 위성으로 상기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에서 생성된 기상 방송자료를 업로딩하여 재전송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에서, 재전송된 상기 기상 방송자료를 수신하여 방송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방송파일에 포함된 재전송 정보를 이용하여 손실 프레임이 발생한 기상 방송자료를 복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에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실 프레임을 재전송하기 위한 재전송 스케줄을 방송 스케줄에 미리 배정해놓고, 재전송이 필요한 손실 프레임들을 재전송 스케줄에 따라 다시 방송함으로써, 기존에 예정되어 있던 방송 스케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상 방송자료 전체를 재전송하지 않고도 전송과정에서 발생한 손실 프레임만 최소한으로 재전송하여 전체 기상 방송자료를 복구할 수 있다. 특히 재전송 스케줄은 위성 자세 유지를 위해 관측을 하지 않는 시간 등의 위성 이벤트에 따라 사전에 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방송자료 생성을 위한 자료처리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자료 전송 및 손실 프레임 전송에서 자료처리를 비교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에서 기상 방송자료를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에서 기상 방송자료 복구 처리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방송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방송자료 생성을 위한 자료처리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자료 전송 및 손실 프레임 전송에서 자료처리를 비교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은 위성(200)을 통해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에 기상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성(200)은 위성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지궤도위성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위성(200)은 지상으로부터 업로딩된 기상 방송자료를 지상으로 다운로딩하는 배포 기능을 수행한다.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은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110),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120), 통신시스템(130), 기상분석자료 생성 시스템(140), 기타 자료 생성 시스템(150) 및 기상 영상 전처리 시스템(16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상 방송을 통해 서비스되는 데이터 종류는 크게 기상 탑재체의 전처리 영상물과 부가자료로 나누어진다.
부가자료는 기상분석자료, 태풍자료, 방송 스케줄, 해양영상자료, NWP(Numerical Weather Prediction), 방송운영안내 메세지 등 기상 방송 서비스 기관이 배포하고자 하는 자료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110)은 위성(200)을 통해 방송될 기상 방송자료를 생성한다.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110)은 기상 탑재체의 전처리 영상물을 기상 영상 전처리 시스템(160)으로부터 제공받아 기상 방송자료를 생성하여 통신시스템(1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110)은 부가자료에 해당하는 기상 방송자료를 생성하여 통신시스템(1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110)은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120)은 부가자료 파일을 제공받아 기상 방송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120)은 기상분석자료 생성 시스템(140) 및 기타 자료 생성 시스템(150)으로부터 방송대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부가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분석자료, 태풍자료 등은 기상분석자료 생성 시스템(140)에서 제공받고, 방송 스케줄, 해양영상자료, NWP(Numerical Weather Prediction), 방송운영안내 메세지 등은 기타 자료 생성 시스템(150)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기상분석자료만 기상분석자료 생성 시스템(140)에서 제공받고, 태풍자료는 기타 자료 생성 시스템(150)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방송 스케줄은 배포 순번 및 배포 순번에 대응하는 방송 시간(배포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손실 프레임을 재전송하기 위한 재전송 스케줄을 방송 스케줄에 미리 배정해놓을 수 있다. 재전송이 필요한 손실 프레임들을 재전송 스케줄에 따라 다시 방송함으로써, 기존에 예정되어 있던 방송 스케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상 방송자료 전체를 재전송하지 않고도 전송과정에서 발생한 손실 프레임만 최소한으로 재전송하여 전체 기상 방송자료를 복구할 수 있다.
특히 재전송 스케줄은 기상 위성이 기상 관측을 하지 않아서 실시간 기상 방송을 하지 않는 시간대(예컨대 위성 위치 조정 등의 위성 이벤트 시간대)로 방송 스케줄에 사전 배정될 수 있다.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120)은 부가자료를 제공받아 부가자료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부가자료의 경우,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110)으로 입력되기 이전에, 방송 감시 및 제어 시스템(110)에서 부가자료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 ID, 배포스케줄에 해당하는 배포 순번, 자료 크기, 재전송 유무 플래그(flag), 재전송 손실 프레임 위치(재전송 아닐 경우 0), 재전송 손실 프레임의 원래 방송 시간(재전송 아닐 경우 0), 분할 데이터 순번(분할이 아닐 경우 0), 분할 데이터 전체 순번(분할이 아닐 경우 0) 등의 헤더 정보를 포함시켜 도 2(a)에서와 같은 부가자료 파일이 만들어진다. 부가자료 대신에 손실 프레임으로 부가자료 파일을 생성할 경우는 도 2(b)에 예시한 것과 같다.
기상탑재체의 전처리 영상물처럼 실시간 배포가 중요시 되는 배포 자료에는 전처리 영상물 헤더에는 부가자료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 ID, 배포스케줄에 해당하는 배포 순번, 자료 크기 등의 정보가 있기 때문에 방송 감시 및 제어 시스템(110)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기상 방송자료를 생성하기 위해 기상 방송자료는 위성(200)을 통해 방송되기 위해서는 미리 정해진 포맷에 따라 생성되며, 앞서 도 2와 같은 자료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110)은, 방송 감시 및 제어 시스템(110)을 통해 부가자료 파일을 수신한 후, 이로부터 방송파일을 생성하고 배포시간이 도래하면 이를 무선 통신에 적합한 프레임 형태로 나눈 기상 방송자료로 변환하여 통신시스템(130)으로 전달한다.
방송파일의 포맷은 방송파일 헤더와 데이터 필드로 구성된다. 방송파일 헤더는 주 헤더와 여러 개의 부 헤더로 구성될 수 있다. 방송파일 헤더는 목적에 따른 헤더 타입별 번호, 헤더 크기 등의 정보로 구성되어 있어 서비스 기관의 정책에 따라 추가/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헤더 구성 정보는 서비스 기관이 사전에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에 문서로 전달한다. 방송파일 헤더는 데이터 필드에 실린 데이터의 크기/구조, 품질 정보, 배포시간, 관측시간, 암호키, 데이터 부가정보를 포함한다. 재전송 프레임(손실 프레임)을 데이터 필드에 포함하는 방송파일 헤더의 데이터 부가정보 헤더(방송파일 헤더의 부 헤더에 해당함)에는 재전송 유무 플래그(flag), 재전송 손실 프레임 위치(재전송 아닐 경우 0), 재전송 손실 프레임의 원래 방송 시간(재전송 아닐 경우 0) 등의 재전송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방송파일은 손실 없는 전송을 위해 무선 통신에 적합한 형태인 프레임 단위로 나뉘어 프레임의 데이터 필드에 실리게 된다. 즉 방송파일의 크기가 하나의 프레임에 실을 수 있는 경우 하나의 방송 프레임에 해당하는 기상 방송자료가 생성되고, 방송파일의 크기가 하나의 프레임에 실을 수 없는 경우는 여러 개의 프레임으로 분할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하나의 방송파일 단위에 해당하는 프레임 묶음을 기상 방송자료라고 정의하며, 손실 판단을 위한 비교 단위가 된다.
하나의 방송파일이 여러 프레임으로 분할되어 기상 방송자료가 생성된 경우, 프레임 위치 정보는 해당 프레임 묶음에서 다른 프레임과 구분할 수 있는 프레임 번호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존 부가자료 전송에서 하나의 방송파일이 n개의 프레임 #1, 프레임 #2, …, 프레임 #n으로 변환되어 전송된 예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만일 프레임 #2가 손실 프레임으로 재전송하게 된 경우,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120)에서 부가자료 파일로 생성되고, 이후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110)에서 방송파일 포맷 및 기상 방송자료 포맷으로 처리되게 된다.
통신시스템(130)은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110)에서 생성된 기상 방송자료를 전달받아, 전송 채널 환경에서 발생하는 신호 손실, 각종 잡음 및 신호 간 간섭에 대응하기 위한 채널 코딩 등의 처리를 수행한 방송 신호를 RF/안테나 장비를 이용하여 위성(200)에 업로딩하여 지상으로 방송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성(200)에서 다운로딩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지상에서 위성(200)으로, 위성(200)에서 지상으로 무선통신을 통해 업/다운로딩하는 기술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120)은 위성(200)으로 업로드한 기상 방송자료와 위성(200)에서 다운로딩한 기상 방송자료를 비교하여 손실 유무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120)은 위성(200)을 통한 방송 링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120)은 위성(200)으로 업로딩된 기상 방송자료와 위성(200)으로부터 다운로딩된 기상 방송자료를 통신시스템(130)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120)은 위성(200)에서 통신시스템(130)을 통해 다운로딩한 기상 방송자료에 손실된 프레임이 있으면, 손실 프레임을 포함한 부가자료를 생성하여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110)으로 전달한다. 사용되는 부가자료 포맷은 도 2에 예시한 것과 같이 기존 부가자료의 것과 동일하며, 부가자료 헤더의 재전송 플래그(flag)가 유효값으로 변경되며, 재전송 손실 프레임 위치 정보 및 손실 프레임의 원래 방송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방송 스케줄 정보는 현재의 스케줄을 조정하지 않고 미리 계획된 재방송용 방송 스케줄을 따른다. 사전에 재전송 손실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방송 시간이 사전에 방송 스케줄에 정해져 있다.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은 위성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획득한 전처리 영상물과 부가자료를 화면에 표출시킬 수 있는 위성방송용 소형 수신 안테나와 디스플레이 장비 및 처리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을 통해 기상 방송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에서 기상 방송자료를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은 여러 프레임의 묶음으로 수신된 기상 방송자료로부터 방송파일을 획득하고, 이로부터 부가자료인 기상분석자료를 획득하게 된다.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은 방송파일 헤더에 포함된 재전송 유무 정보를 이용하여 재전송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은 재전송된 기상 방송자료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획득한 방송파일의 헤더 정보와 데이터 필드에 실린 손실 프레임을 참조하여 손실 프레임이 발생한 기상 방송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방송파일의 포맷은 평소의 부가자료를 싣는 방송파일 포맷과 동일하다.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은 재전송된 기상 방송자료임을 화면에 표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재전송된 기상 방송자료를 이용하여 손실 프레임이 발생한 기상 방송자료 복구 여부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은 손실 프레임이 발생한 기상 방송자료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은 사용자로부터 복구가 선택되면, 손실 프레임이 발생한 기상 방송자료를 재전송된 기상 방송자료에 포함된 손실 프레임 파일을 이용하여 복구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에서 기상 방송자료 복구 처리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은 방송파일 헤더에 포함된 재전송유무, 손실 프레임의 원래 방송 시간 및 프레임 위치 정보(프레임 번호 #)을 이용하여 어느 방송 시간의 방송자료에서 손실된 프레임인지 확인하고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송파일 헤더에는 손실프레임의 방송시간 정보 및 프레임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방송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먼저 통신시스템(130)은 기상 방송자료를 위성(200)으로 업로드한 후, 위성(200)에서 해당 기상 방송자료를 다운로딩하면 수신한다(S600).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110)은 통신시스템(130)에서 위성(200)으로 업로드한 기상 방송자료와, 통신시스템(130)이 위성(200)으로부터 다운로딩한 기상 방송자료를 비교하여 손실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610).
다음으로 방송 감시 및 제어 시스템(110)은 위성(200)에서 다운로딩한 기상 방송자료에 손실된 프레임이 있으면(S610-Y), 손실 프레임이 포함된 부가자료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620). S610과 S620의 과정은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110)은 방송 감시 제어시스템(120)으로부터 부가자료 파일을 전달받아 방송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630). 다음으로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110)은 단계(S630)에서 생성된 방송 파일의 방송 스케줄에 맞추어 방송파일이 포함된 기상 방송자료를 생성하여 통신 시스템(130)에 전달할 수 있다(S640).
그리고 통신시스템(130)은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110)으로부터 전달된 기상 방송자료를 위성(200)에 업로드하여 지상으로 위성망을 통해 재전송되게 할 수 있다(S650).
이후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은 재전송된 기상 방송자료를 수신 처리하여 방송파일을 획득한다(S660).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은 방송파일의 헤더 및 데이터 필드 정보를 참조하여 재전송유무, 손실 프레임의 원래 방송 시간 및 프레임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재전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670).
다음으로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은 재전송된 기상 방송자료임을 화면에 표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재전송된 기상 방송자료를 이용하여 손실 프레임이 발생한 기상 방송자료 복구 여부를 선택받을 수 있다(S680).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300)은 사용자로부터 복구가 선택되면(S680-Y), 손실 프레임이 발생한 기상 방송자료를 재전송된 기상 방송자료에 포함된 손실 프레임 파일을 이용하여 복구처리할 수 있다(S690).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기상 방송자료를 위성으로 업로딩하고, 상기 위성으로부터 다운로딩된 기상 방송자료를 수신하는 통신시스템;
    상기 위성으로 업로딩한 기상 방송자료와 상기 위성으로부터 다운로딩된 기상 방송자료를 비교하여, 상기 다운로딩된 기상 방송자료에 손실된 손실 프레임이 있으면 상기 손실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부가자료 파일을 생성하는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 - 상기 부가자료 파일은 헤더에 재전송 유무 플래그, 재전송 손실 프레임 위치, 재전송 손실 프레임의 원래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재전송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재전송 정보를 헤더에 포함하고, 상기 손실 프레임을 데이터 필드에 포함하는 방송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방송파일을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변환한 기상 방송자료를 생성하는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에서 생성된 기상 방송자료를 손실 프레임을 재전송하기 위해 방송 스케줄에 미리 배정해놓은 재전송 스케줄에 맞추어 상기 위성으로 업로딩하여 재전송시키는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서,
    재전송된 상기 기상 방송자료를 수신하여 방송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방송파일에 포함된 재전송 정보를 이용하여 손실 프레임이 발생한 기상 방송자료를 복구하는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
    을 더 포함하는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서,
    상기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은,
    재전송된 기상 방송자료임을 표출하고, 재전송된 상기 기상 방송자료를 이용하여 손실 프레임이 발생한 기상 방송자료 복구를 선택받는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서,
    상기 재전송 스케줄은,
    기상 위성이 기상 관측을 하지 않아서 실시간 기상 방송을 하지 않는 시간대로 방송 스케줄에 사전 배정되는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5. 통신시스템에서, 기상 방송자료를 위성으로 업로드한 후 상기 위성에서 상기 기상 방송자료를 다운로딩하면 수신하는 단계;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위성으로 업로딩한 기상 방송자료와 상기 위성으로부터 다운로딩된 기상 방송자료를 비교하여 상기 다운로딩된 기상 방송자료에 손실된 손실 프레임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방송 감시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손실 프레임을 포함하는 부가자료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부가자료 파일은 헤더에 재전송 유무 플래그, 재전송 손실 프레임 위치, 재전송 손실 프레임의 원래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재전송 정보를 포함함 - ; 및,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에서, 상기 재전송 정보를 헤더에 포함하고, 상기 손실 프레임을 데이터 필드에 포함하는 방송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방송파일을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변환한 기상 방송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시스템에서, 손실 프레임을 재전송하기 위해 방송 스케줄에 미리 배정해놓은 재전송 스케줄에 맞추어 상기 위성으로 상기 방송 자료 생성 시스템에서 생성된 기상 방송자료를 업로딩하여 재전송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상 방송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서,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에서, 재전송된 상기 기상 방송자료를 수신하여 방송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방송파일에 포함된 재전송 정보를 이용하여 손실 프레임이 발생한 기상 방송자료를 복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기상 방송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서,
    상기 사용자수신처리시스템은,
    재전송된 기상 방송자료임을 표출하고, 재전송된 상기 기상 방송자료를 이용하여 손실 프레임이 발생한 기상 방송자료 복구를 선택받는 기상 방송 서비스 방법.
  8. 제 5 항에서,
    상기 재전송 스케줄은,
    기상 위성이 기상 관측을 하지 않아서 실시간 기상 방송을 하지 않는 시간대로 방송 스케줄에 사전 배정되는 기상 방송 서비스 방법.
  9. 컴퓨터에 상기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093520A 2021-07-16 2021-07-16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77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520A KR102477020B1 (ko) 2021-07-16 2021-07-16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520A KR102477020B1 (ko) 2021-07-16 2021-07-16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020B1 true KR102477020B1 (ko) 2022-12-12

Family

ID=8439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520A KR102477020B1 (ko) 2021-07-16 2021-07-16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0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2896A (ja) * 1993-02-26 1994-09-09 Nri & Ncc Co Ltd 通信衛星を利用したデータ配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132054A (ja) * 2011-12-20 2013-07-04 Thales 衛星通信目的のメッセージの最適化された再送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6170617A1 (ja) * 2015-04-22 2016-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衛星通信システムおよび衛星通信地上装置
KR101824191B1 (ko) * 2016-11-01 2018-01-3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2896A (ja) * 1993-02-26 1994-09-09 Nri & Ncc Co Ltd 通信衛星を利用したデータ配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132054A (ja) * 2011-12-20 2013-07-04 Thales 衛星通信目的のメッセージの最適化された再送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6170617A1 (ja) * 2015-04-22 2016-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衛星通信システムおよび衛星通信地上装置
KR101824191B1 (ko) * 2016-11-01 2018-01-3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208B2 (en) Carousel proxy
US8036592B2 (en) Device and method to improve integrated presentation of existing radio services and advanced multimedia services
US6728966B1 (en)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data naming system and method
US73342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marking received television content
US5860056A (en) Satellite information update system
US70653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y high data rate satellite transmission
US79260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 countdown clock channel output
KR20020090899A (ko) 데이터 전송장치
KR20160132831A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US9554159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rich media electronic program guides
KR102477020B1 (ko)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40585B1 (ko) 위성 영상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83321A1 (en) Control message feedback in a satellite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JP4329758B2 (ja) 受信装置
JP4339415B2 (ja) 送信装置
JP4979362B2 (ja) 再送信装置、再送信方法、及び再送信プログラム
KR101701997B1 (ko) 방송 프로그램 제공 장치 및 방법
WO1993000774A1 (en) Broadcast relay transmission system
JP6245425B2 (ja) エリア放送システム
JPH1022950A (ja) 情報配送装置
JP4427880B2 (ja)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並びに記録媒体
McNitt Overview of NOAA NESDIS Direct Readout Services
JP3780563B2 (ja) 有料放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放送受信端末および方法、ならびに、視聴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186976B2 (ja) 放送受信方法
JP5053126B2 (ja) デジタル放送信号再送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