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191B1 -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191B1
KR101824191B1 KR1020160144474A KR20160144474A KR101824191B1 KR 101824191 B1 KR101824191 B1 KR 101824191B1 KR 1020160144474 A KR1020160144474 A KR 1020160144474A KR 20160144474 A KR20160144474 A KR 20160144474A KR 101824191 B1 KR101824191 B1 KR 101824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atellite image
angle
loss
scan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형
정대원
임현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44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191B1/ko
Priority to JP2017207340A priority patent/JP6545771B2/ja
Priority to US15/794,900 priority patent/US1063097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 G06T5/0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10Artificial satellites; Systems of such satellites; Interplanetary vehicles
    • B64G1/1021Earth observation satel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3Testing, monitoring, correcting or calibrating of receiver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07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interpolation, e.g. bilinear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은, 위성영상 데이터, 시간 정보 및 플래그(Flag) 값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Packet Data)와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캔 미러(Scan Mirror)의 각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패킷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손실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atellite Image Los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 패킷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기상탑재체 등에서 전송되는 위성영상에 일부 손실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BOA(Brightness Object Avoidance)는 기상탑재체 AMI(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의 센서를 보호하기 위해 태양과 일정 각도 안에 들어오면 관측하지 않고 회피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현재 AMI는 BOA 기능 발생 시 스와드(Swath) 전체 손실시에만 별도의 TM(Telemetry)으로 알려주며, 영상 일부 손실 시에는 별도 알람 기능이 없어 이를 파악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위성영상 중 일부가 손실된 경우 이를 판단할 수 있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은, 위성영상 데이터, 시간 정보 및 플래그(Flag) 값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Packet Data)와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캔 미러(Scan Mirror)의 각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패킷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손실 판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는 제1 내지 제n 스와드(Swath)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각각의 상기 스와드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범위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각도 데이터의 범위를 비교하고, 영상 손실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각도 데이터의 범위가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상기 플래그 값이 제1값 및 제2값인 시점에서의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상기 플래그 값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영상 손실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손실 판단부는 상기 플래그 값이 상기 제1값인 시점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의 시작 위치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손실 판단부는 상기 플래그 값이 상기 제2값인 시점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의 종료 위치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손실된 영상을 보간하는 영상 보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은, 복수의 청크(Chunk)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n 스와드(Swath)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성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스와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청크 데이터의 개수가 미리 예측된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영상 손실 판단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은, 위성영상 데이터, 시간 정보 및 플래그(flag) 값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Packet Data)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캔 미러(scan mirror)의 각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킷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수신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에서의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는 제1 내지 제n 스와드(Swath)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에서는 각각의 상기 스와드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범위와, 상기 각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각도 데이터의 범위를 비교하고,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된 각도 데이터의 범위가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플래그 값이 제1값 및 제2값인 시점에서의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상기 플래그 값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플래그 값이 상기 제1값인 시점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의 시작 위치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플래그 값이 상기 제2값인 시점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의 종료 위치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손실된 영상을 보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은, 복수의 청크(Chunk)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n 스와드(Swath)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성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스와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청크 데이터의 개수가 미리 예측된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성영상 중 일부가 손실된 경우 이를 판단할 수 있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위성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스와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위성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상영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스와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청크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100)은 데이터 수신부(110), 데이터 비교부(120), 및 영상 손실 판단부(1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110)는 위성영상 데이터, 시간 정보 및 플래그(Flag) 값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Packet Data)와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캔 미러(Scan Mirror)의 각도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수신부(110)가 수신하는 복수의 데이터들은 상기 스캔 미러를 이용하여 위성영상을 생성하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들은 크게 상기 패킷 데이터와 상기 각도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패킷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는 상기 위성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가 생성된 시점에 관한 정보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래그 값은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어지는 도면들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데이터 비교부(120)는 상기 패킷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각도 데이터를 비교한다. 상기 위성영상은 미리 설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에 의해 조정되는 상기 스캔 미러에 의해 생성되는데,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에 따라 생성되는 위성영상 데이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가 제1 각도인 경우에는 지구의 북반구를 촬영하고,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가 제2 각도인 경우에는 지구의 남반구를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성은 매일매일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지역을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패킷 데이터는 상기 위성이 특정한 지역을 촬영한 시간에 관한 정보인 상기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패킷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시간 정보를 분석하면 상기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가 어떤 지역을 촬영한 영상을 포함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촬영하는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가 지정되므로, 상기 시간 정보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상기 각도 데이터를 역으로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플래그 값은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의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위성이 촬영을 시작하는 위치와 종료하는 위치가 미리 결정되며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 또한 미리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래그 값으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상기 각도 데이터를 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비교부(120)는 상기 패킷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플래그 값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스캔 미러의 실제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두 종류 데이터 사이의 일치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데이터 비교부(120)의 비교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킷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플래그 값은 각각 그에 대응하는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매칭된다. 상기 위성은 상기 스캔 미러의 실제 각도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실제 각도 데이터와 상기 패킷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도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6시 14분에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가 제1 각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위성에서 전송되는 상기 스캔 미러의 실제 각도가 상기 제1 각도가 아니라면 16시 14분에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지역의 영상이 촬영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해당 부분의 영상이 손실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위성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스와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위성에서 제공되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는 제1 내지 제n 스와드(Swath)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지구를 촬영하는 정지궤도 위성에서 생성되는 위성영상을 나타내며, 상기 위성영상에 대응하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는 제1 스와드 데이터부터 제22 스와드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는 총 22개의 스와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으로 22개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스와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스와드 데이터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를 행으로 분할하는 영상 데이터로 이해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와드 데이터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상기 스와드 데이터는 길이가 서로 상이하고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스캔 미러를 통해 각각의 스와드 데이터를 획득할때의 각도 데이터 또한 각각의 스와드 데이터가 상이하다.
데이터 비교부(120)는 각각의 상기 스와드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범위와, 데이터 수신부(110)가 수신한 상기 각도 데이터의 범위를 비교하고,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상기 수신된 각도 데이터의 범위가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와드(Swath 1)에 대응하는 지역을 촬영하는 동안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범위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스캔 미러는 동서방향과 남북방향의 각도가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와드(Swath 1)에 대응하는 지역을 촬영하는 동안 상기 스캔 미러의 남북방향의 각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지 각도 범위를 따라 동서방향으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와드(Swath 1)를 획득하는 동안 상기 제1 스와드(Swath 1)의 왼쪽 시작 지점 부근에서 BOA(Brightness Object Avoidance)가 발생하면 상기 왼쪽 시작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는 촬영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위성영상 데이터가 생성된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스캔 미러의 동서방향 각도 범위는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와 다를 수 있으며,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범위는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상기 제1 스와드(Swath 1)에 영상 일부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각도 범위만을 비교하는 경우에는 영상에 일부 손실이 발생한 것을 판단할 수는 있으나, 어느 부분에 영상 손실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손실이 발생한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캔 미러의 촬영 시작 지점에서의 각도 데이터와 종료 지점에서의 각도 데이터를 미리 결정된 각도 데이터와 비교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도 3은 위성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상영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상영상기는 스캔 미러(Scan Mirror)를 포함하며 상기 기상영상기는 목표로 하는 관측영역을 지상명령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스캔 미러(Scan Mirror)가 해당 영역을 동, 서 및 남, 북 방향 두 개의 축을 이용하여 움직이면서 해당 영역을 스캔한다.
도 3에서 상기 스캔 미러는 관측영역을 종 방향으로 스캔하되, 좌에서 우 방향으로 또는 우에서 좌 방향으로 행 방향으로 스캔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의 스와드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스캔 방향은 스와드가 변경될 때마다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변경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각각의 스와드를 스캔할 때 상기 스캔 미러의 스캔 방향은 모두 좌에서 우 방향이거나 우에서 좌 방향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캔 미러의 스캔 방향은 사선 방향일 수도 있다.
도 4는 스와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청크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스와드 데이터는 복수의 청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와드의 길이가 길수록 그에 대응하는 스와드 데이터에는 더 많은 수의 청크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시광 및 근적외선 대역에서 하나의 청크(내지는 청크 데이터)는 스캔 미러 약 244 μrad 에 대응하며, VIS06번 대역에서는 약 112 μrad, 적외선 대역에서는 약 448 μrad 에 대응한다.
따라서, 도 3에서 제1 스와드(Swath 1)와 제22 스와드(Swath 22)는 가장 적은 수의 청크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11 스와드와 제12 스와드가 가장 많은 수의 청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제1 내지 제n 스와드 데이터에 포함된 청크 데이터의 개수가 미리 예측된 개수보다 작은 경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와드(Swath 1)에 400개의 청크 데이터가 포함될 것으로 예측하는 경우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실제 위성영상 데이터의 상기 제1 스와드(Swath 1)에 400개보다 적은 수의 청크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상기 제1 스와드(Swath 1)에 영상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스와드 데이터에 몇 개의 청크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데이터 비교부(12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비교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손실 판단부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내지 제n 스와드 데이터가 각각 몇 개의 청크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n 스와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청크 데이터의 개수가 미리 예측된 개수보다 작은 경우, 예측된 수치보다 작은 개수의 청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와드 데이터에 영상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시간 정보, 플래그 값 및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에도 위성영상이 손실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100)은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 시간 정보 및 플래그 값과 각각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120) 또는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스캔 미러의 실제 각도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스와드 데이터와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제m 스와드(swath m)가 수신되고 제m+1 스와드(swath m+1)가 수신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위성으로부터 위성영상 데이터가 수신될 때에는 현재 수신되는 스와드가 몇 번째 스와드인지에 관한 정보가 함께 수신되며, 각각의 스와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청크 데이터 별로 해당 청크 데이터가 생성된 시간 정보와 플래그 값이 함께 수신된다. 또한, 앞선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스와드가 생성되는 동안의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가 함께 수신된다.
도 5(a)에서 제m 스와드(swath m) 수신이 완료되면 데이터 수신부(110)는 제m+1 스와드(swath m+1) 수신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하나의 스와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청크 데이터 중에서 상기 스와드의 시작 위치에 대응하는 청크 데이터는 플래그 값으로 제1값을 배정받고, 상기 스와드의 종료 위치에 대응하는 청크 데이터는 플래그 값으로 제2값를 배정받는다. 그리고 나머지 청크 데이터들은 플래그 값으로 제3값을 배정받는다. 따라서, 플래그 값으로 상기 제2값을 갖는 청크 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직후에 수신되는 청크 데이터는 플래그 값으로 상기 제1값을 가지고 있게 되고, 데이터 수신부(110)는 청크 데이터에 배정된 플래그 값을 통해 스와드의 시작과 종료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1값은 1, 상기 제2값은 2, 그리고 상기 제3값은 0인 경우를 상정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스와드에 대응하는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내지는 각도 범위)가 미리 결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m+1 스와드(swath m+1)의 수신이 시작되면 데이터 수신부(110)는 상기 제m+1 스와드(swath m+1)에 대응하는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를 함께 수신하게 된다.
상기 제m+1 스와드(swath m+1)의 시작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planned angle)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각도(planned angle)의 크기와 실제로 수신된 각도(observed angle)를 비교하면 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작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planned angle)가 -17 degree 이고, 상기 수신된 각도(observed angle)가 -14 degree 인 경우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상기 제m+1 스와드(swath m+1)의 시작 위치에 영상 손실이 발생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5(b)의 예시에서는 스와드의 종료 위치에 영상 손실이 발생한 경우를 예로써 나타낸다. 도 5(b)에서 제l 스와드(swath l)의 종료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planned angle)와 실제로 수신된 각도(observed angle)를 비교하면 상기 종료 위치에서의 영상 손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l 스와드(swath l)의 종료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planned angle)가 17 degree 이고, 상기 수신된 각도(observed angle)가 14 degree 인 경우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상기 제l 스와드(swath l)의 시작 위치에 영상 손실이 발생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에서 점선은 지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정한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스와드의 시작 위치에서 BOA가 발생하여 일부 영상이 손실된 경우를 예로써 나타낸다.
BOA가 발생하면 일정 시간(Settle) 동안 스와드가 생성되지 않으며, 상기 일정 시간(Settle)이 경과한 이후에 스와드 생성이 시작되면 최초에 생성되는 청크 데이터 플래그(CF)는 1로 지정된다.
하나의 스와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청크 데이터 중에서 상기 스와드의 시작 위치에 대응하는 청크 데이터는 플래그 값으로 1을 배정받고, 상기 스와드의 종료 위치에 대응하는 청크 데이터는 플래그 값으로 2를 배정받는다. 그리고 나머지 청크 데이터들은 플래그 값으로 0을 배정받는다. 따라서, 플래그 값 2를 갖는 청크 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직후에 수신되는 청크 데이터는 플래그 값으로 1을 가지고 있게 되고, 데이터 수신부(110)는 청크 데이터에 배정된 플래그 값을 통해 스와드의 시작과 종료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120)는 상기 플래그 값이 1 및 2인 시점에서의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상기 플래그 값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고,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데이터 비교부(120)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a)에서 상기 청크 데이터 플래그(CF)가 1인 청크 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 비교부(120)는 플래그 값 1에 대응하는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청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캔 미러의 실제 각도를 비교한다.
도 6(a)의 경우 스와드의 시작 지점에서 BOA가 발생하여 영상 손실이 일어났으므로 플래그 값으로 0이 지정되어야 하는 위치의 청크 데이터에 플래그 값 1이 지정되어 있다. 또한, 본래 플래그 값으로 1을 갖는 청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도 데이터와 실제로 플래그 값 1을 갖는 청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도 데이터 사이에 차이가 있으므로,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상기 각도 데이터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해당 스와드의 시작 위치에 영상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상기 플래그 값이 1인 시점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위성영상의 시작 위치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는 BOA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예측된 데이터와 실측 데이터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고려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6(b)를 참조하면, 스와드의 종료 위치에서 BOA가 발생하여 일부 영상이 손실된 경우를 예로써 나타낸다. 도 6(b)에서 상기 청크 데이터 플래그(CF)가 2인 청크 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 비교부(120)는 플래그 값 2에 대응하는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청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캔 미러의 실제 각도를 비교한다.
도 6(b)의 경우 스와드의 종료 지점에서 BOA가 발생하여 영상 손실이 일어났으므로 플래그 값으로 0이 지정되어야 하는 위치의 청크 데이터에 플래그 값 2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본래 플래그 값으로 2를 갖는 청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도 데이터와 실제로 플래그 값 2를 갖는 청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도 데이터 사이에 차이가 있으므로,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상기 각도 데이터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해당 스와드의 종료 위치에 영상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 손실 판단부(130)는 상기 플래그 값이 2인 시점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위성영상의 종료 위치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200)은 데이터 수신부(210), 데이터 비교부(220), 영상 손실 판단부(230) 및 알람 출력부(2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210), 데이터 비교부(220) 및 영상 손실 판단부(230)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데이터 수신부(110), 데이터 비교부(120) 및 영상 손실 판단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한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알람 출력부(240)는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한다. 종래의 시스템은 하나의 스와드 전체가 손실되었을 경우에는 영상 손실을 판단할 수 있으나, 스와드의 일부가 손실된 경우에는 이를 감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알람 출력부(240)는 위성영상의 일부가 손실된 경우에도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일부가 손실된 스와드 및 해당 스와드의 영상 손실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알람을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알람은 몇 번째 스와드에서 영상 손실이 발생하였는지, 그리고 영상 손실이 발생한 위치가 몇 번째 청크에 해당하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300)은 데이터 수신부(310), 데이터 비교부(320), 영상 손실 판단부(330) 및 영상 보간부(3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310), 데이터 비교부(320) 및 영상 손실 판단부(330)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데이터 수신부(110), 데이터 비교부(120) 및 영상 손실 판단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한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영상 보간부(340)는 영상 손실 판단부(330)에서 판단된 손실된 영상을 보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선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위성영상에 일부 손실이 발생한 경우 어느 위치에서 영상 손실이 발생했는지 판단 가능하며, 손실된 영상은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 범위 또는 청크 데이터의 번호 등으로 표현 가능하다.
따라서, 영상 보간부(340)는 손실된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이전에 정상적으로 수신된 위성영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손실된 청크 데이터의 위치에 이전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청크 데이터를 삽입함으로써 영상 보간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계획된 스캔 미러의 각도 범위 중 손실된 영상에 대응하는 각도 범위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이전에 정상적으로 수신된 위성영상 데이터에서 해당 각도 범위에 대응하는 영상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은, 패킷 데이터 수신 단계(S110), 각도 데이터 수신 단계(S120), 데이터 비교 단계(S130) 및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140)를 포함한다.
패킷 데이터 수신 단계(S110)에서는 위성영상 데이터, 시간 정보 및 플래그(Flag) 값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Packet Data)를 수신한다. 상기 패킷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는 상기 위성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가 생성된 시점에 관한 정보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래그 값은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값을 의미한다.
각도 데이터 수신 단계(S120)에서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캔 미러(Scan Mirror)의 각도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패킷 데이터 수신 단계(S110) 및 상기 각도 데이터 수신 단계(S120)에서 수신되는 상기 패킷 데이터와 상기 각도 데이터는 상기 스캔 미러를 이용하여 위성영상을 생성하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 단계(S130)에서는 상기 패킷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수신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를 비교한다.
상기 위성영상은 미리 설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에 의해 조정되는 상기 스캔 미러에 의해 생성되는데,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에 따라 생성되는 위성영상 데이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가 제1 각도인 경우에는 지구의 북반구를 촬영하고,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가 제2 각도인 경우에는 지구의 남반구를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성은 매일매일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지역을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패킷 데이터는 상기 위성이 특정한 지역을 촬영한 시간에 관한 정보인 상기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패킷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시간 정보를 분석하면 상기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가 어떤 지역을 촬영한 영상을 포함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촬영하는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가 지정되므로, 상기 시간 정보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상기 각도 데이터를 역으로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플래그 값은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의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위성이 촬영을 시작하는 위치와 종료하는 위치가 미리 결정되며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 또한 미리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래그 값으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상기 각도 데이터를 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비교 단계(S130)는 상기 패킷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플래그 값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스캔 미러의 실제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두 종류 데이터 사이의 일치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140)에서는 상기 데이터 비교 단계(S130)에서의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킷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플래그 값은 각각 그에 대응하는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매칭된다. 상기 위성은 상기 스캔 미러의 실제 각도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실제 각도 데이터와 상기 패킷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도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140)는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6시 14분에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가 제1 각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위성에서 전송되는 상기 스캔 미러의 실제 각도가 상기 제1 각도가 아니라면 16시 14분에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지역의 영상이 촬영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위성영상 손실 판단 단계(S140)는 해당 부분의 영상이 손실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는 제1 내지 제n 스와드(Swath)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S130)에서는 각각의 상기 스와드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범위와, 상기 각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20)에서 수신된 상기 각도 데이터의 범위를 비교하고,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에서는 상기 수신된 각도 데이터의 범위가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n 스와드 데이터는 각각 복수의 청크(Chunk)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n 스와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청크 데이터의 개수가 미리 예측된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은, 상기 각도 데이터 수신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비교 단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킷 데이터 수신 단계에서는 복수의 청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n 스와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성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n 스와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청크 데이터의 개수가 미리 예측된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시간 정보, 플래그 값 및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에도 위성영상이 손실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스와드 데이터는 길이가 서로 상이하고,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상기 스캔 미러를 통해 각각의 스와드 데이터를 획득할때의 각도 데이터 또한 각각의 스와드 데이터가 상이하다.
데이터 비교 단계(S130)에서는 각각의 상기 스와드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범위와, 패킷 데이터 수신 단계(S110) 및 각도 데이터 수신 단계(S120)에서 수신한 상기 각도 데이터의 범위를 비교하고,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140)에서는 상기 수신된 각도 데이터의 범위가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와드(Swath 1)에 대응하는 지역을 촬영하는 동안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범위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스캔 미러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동서방향과 남북방향의 각도가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와드(Swath 1)에 대응하는 지역을 촬영하는 동안 상기 스캔 미러의 남북방향의 각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지 각도 범위를 따라 동서방향으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와드(Swath 1)를 획득하는 동안 상기 제1 스와드(Swath 1)의 왼쪽 시작 지점 부근에서 BOA(Brightness Object Avoidance)가 발생하면 상기 왼쪽 시작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는 촬영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위성영상 데이터가 생성된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스캔 미러의 동서방향 각도 범위는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와 다를 수 있으며,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범위는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140)에서는 상기 제1 스와드(Swath 1)에 영상 일부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각도 범위만을 비교하는 경우에는 영상에 일부 손실이 발생한 것을 판단할 수는 있으나, 어느 부분에 영상 손실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손실이 발생한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캔 미러의 촬영 시작 지점에서의 각도 데이터와 종료 지점에서의 각도 데이터를 미리 결정된 각도 데이터와 비교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한편,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140)에서는 제1 내지 제n 스와드 데이터에 포함된 청크 데이터의 개수가 미리 예측된 개수보다 작은 경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와드(Swath 1)에 400개의 청크 데이터가 포함될 것으로 예측하는 경우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실제 위성영상 데이터의 상기 제1 스와드(Swath 1)에 400개보다 적은 수의 청크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140)에서는 상기 제1 스와드(Swath 1)에 영상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140)에서는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스와드 데이터에 몇 개의 청크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데이터 비교 단계(S13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비교 단계(S130)에서는 상기 플래그 값이 1 및 2인 시점에서의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상기 플래그 값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140)에서는 상기 데이터 비교 단계(S130)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140)에서는 상기 플래그 값이 1인 시점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의 시작 위치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래그 값이 2인 시점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의 종료 위치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나의 스와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청크 데이터 중에서 상기 스와드의 시작 위치에 대응하는 청크 데이터는 플래그 값으로 1을 배정받고, 상기 스와드의 종료 위치에 대응하는 청크 데이터는 플래그 값으로 2를 배정받는다. 그리고 나머지 청크 데이터들은 플래그 값으로 0을 배정받는다. 따라서, 플래그 값 2를 갖는 청크 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직후에 수신되는 청크 데이터는 플래그 값으로 1을 가지고 있게 되고, 패킷 데이터 수신 단계(S110)에서는 청크 데이터에 배정된 플래그 값을 통해 스와드의 시작과 종료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은, 패킷 데이터 수신 단계(S210), 각도 데이터 수신 단계(S220), 데이터 비교 단계(S230),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240) 및 알람 출력 단계(S250)를 포함한다.
패킷 데이터 수신 단계(S210), 각도 데이터 수신 단계(S220), 데이터 비교 단계(S230) 및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240)에서는 도 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패킷 데이터 수신 단계(S110), 각도 데이터 수신 단계(S120), 데이터 비교 단계(S130) 및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140)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이 수행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한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알람 출력 단계(S250)에서는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알람을 출력한다. 종래의 시스템은 하나의 스와드 전체가 손실되었을 경우에는 영상 손실을 판단할 수 있으나, 스와드의 일부가 손실된 경우에는 이를 감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알람 출력 단계(S250)에서는 위성영상의 일부가 손실된 경우에도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일부가 손실된 스와드 및 해당 스와드의 영상 손실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알람을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알람은 몇 번째 스와드에서 영상 손실이 발생하였는지, 그리고 영상 손실이 발생한 위치가 몇 번째 청크에 해당하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은, 패킷 데이터 수신 단계(S310), 각도 데이터 수신 단계(S320), 데이터 비교 단계(S330),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340) 및 영상 보간 단계(S350)를 포함한다.
패킷 데이터 수신 단계(S310), 각도 데이터 수신 단계(S320), 데이터 비교 단계(S330) 및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340)에서는 도 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패킷 데이터 수신 단계(S110), 각도 데이터 수신 단계(S120), 데이터 비교 단계(S130) 및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140)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이 수행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한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영상 보간 단계(S350)에서는 손실된 영상을 보간한다. 영상 보간 단계(S350)는 위성영상 손실 여부 판단 단계(S340)에서 판단된 손실된 영상을 보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선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위성영상에 일부 손실이 발생한 경우 어느 위치에서 영상 손실이 발생했는지 판단 가능하며, 손실된 영상은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 범위 또는 청크 데이터의 번호 등으로 표현 가능하다.
따라서, 영상 보간 단계(S350)에서는 손실된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이전에 정상적으로 수신된 위성영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손실된 청크 데이터의 위치에 이전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청크 데이터를 삽입함으로써 영상 보간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계획된 스캔 미러의 각도 범위 중 손실된 영상에 대응하는 각도 범위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이전에 정상적으로 수신된 위성영상 데이터에서 해당 각도 범위에 대응하는 영상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110, 210, 310: 데이터 수신부
120, 220, 320: 데이터 비교부
130, 230, 330: 영상 손실 판단부
240: 알람 출력부
340: 영상 보간부

Claims (17)

  1. 위성영상 데이터, 시간 정보 및 플래그(Flag) 값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Packet Data)와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캔 미러(Scan Mirror)의 각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패킷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손실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상기 플래그 값이 제1값 및 제2값인 시점에서의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상기 플래그 값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영상 손실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는 제1 내지 제n 스와드(Swath)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각각의 상기 스와드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범위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각도 데이터의 범위를 비교하고,
    영상 손실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각도 데이터의 범위가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손실 판단부는 상기 플래그 값이 상기 제1값인 시점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의 시작 위치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손실 판단부는 상기 플래그 값이 상기 제2값인 시점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의 종료 위치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손실된 영상을 보간하는 영상 보간부를 더 포함하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8. 삭제
  9. 위성영상 데이터, 시간 정보 및 플래그(Flag) 값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Packet Data)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캔 미러(Scan Mirror)의 각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킷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수신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에서의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플래그 값이 제1값 및 제2값인 시점에서의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와 상기 플래그 값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영상 데이터는 제1 내지 제n 스와드(Swath)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에서는 각각의 상기 스와드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스캔 미러의 각도 범위와, 상기 각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각도 데이터의 범위를 비교하고,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된 각도 데이터의 범위가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스와드 데이터는 각각 복수의 청크(Chunk)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n 스와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청크 데이터의 개수가 미리 예측된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플래그 값이 상기 제1값인 시점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의 시작 위치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영상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플래그 값이 상기 제2값인 시점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위성영상의 종료 위치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영상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손실된 영상을 보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
  16. 삭제
  17.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위성영상 손실 인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144474A 2016-11-01 2016-11-01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824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474A KR101824191B1 (ko) 2016-11-01 2016-11-01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17207340A JP6545771B2 (ja) 2016-11-01 2017-10-26 衛星映像損失認識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該コンピュータ判読可能な記録媒体
US15/794,900 US10630970B2 (en) 2016-11-01 2017-10-26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atellite image los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474A KR101824191B1 (ko) 2016-11-01 2016-11-01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191B1 true KR101824191B1 (ko) 2018-01-31

Family

ID=6108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474A KR101824191B1 (ko) 2016-11-01 2016-11-01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30970B2 (ko)
JP (1) JP6545771B2 (ko)
KR (1) KR101824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020B1 (ko) * 2021-07-16 2022-12-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4286B (zh) * 2019-07-22 2021-10-01 北京空间机电研究所 一种遥感卫星相机光轴微振动测量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594A (ja) * 1998-11-05 2000-05-23 Nec Corp 人工衛星の高帯域姿勢制御方法及び高帯域姿勢制御装置
JP2001165694A (ja) * 1999-12-10 2001-06-22 Nec Corp 人工衛星の姿勢角センサ較正装置
KR101303730B1 (ko) * 2013-03-28 2013-09-09 대한민국 광학 위성 영상 보정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5519A1 (ja) * 2005-03-07 2006-09-14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光透過性パネルの透視歪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DE102005017642B4 (de) * 2005-04-15 2010-04-08 Vistec Semiconductor Systems Jena Gmbh Verfahren zur Inspektion eines Wafers
FR2917204B1 (fr) * 2007-06-05 2011-07-01 Airbus France Procede et dispositif d'acquisition, enregistrement et exploitation de donnees captees dans un aeronef
KR20090078186A (ko) 2008-01-14 2009-07-17 한국전력공사 자가 진단이 가능한 감시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417236B (zh) * 2008-11-24 2016-01-13 霍罗吉克公司 控制用于体层合成和乳房x射线照相术成像的x射线焦斑特性的方法和系统
KR101282718B1 (ko) * 2012-12-28 2013-07-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형배열 영상센서와 자세제어 센서 간의 절대 오정렬 보정방법
US9671499B2 (en) 2013-10-30 2017-06-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gh-sensitivity GPS device with directional antenn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594A (ja) * 1998-11-05 2000-05-23 Nec Corp 人工衛星の高帯域姿勢制御方法及び高帯域姿勢制御装置
JP2001165694A (ja) * 1999-12-10 2001-06-22 Nec Corp 人工衛星の姿勢角センサ較正装置
KR101303730B1 (ko) * 2013-03-28 2013-09-09 대한민국 광학 위성 영상 보정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020B1 (ko) * 2021-07-16 2022-12-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24388A1 (en) 2018-05-03
JP2018074582A (ja) 2018-05-10
JP6545771B2 (ja) 2019-07-17
US10630970B2 (en)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861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itching panoramaic video
US8472667B2 (en)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US10841558B2 (en) Aligning two images by matching their feature points
US9124812B2 (en) Object image capture apparatus and method
CN107005655B (zh) 图像处理方法
CN109427076A (zh) 相对于固定摄像机校准ptz摄像机方向的方法和系统
US20060125920A1 (en) Matching un-synchronized image portions
US9842259B2 (en) Captured image recognition device, captured image recognition system, and captured image recognition method
JP574442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61988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824191B1 (ko) 위성영상 손실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EP2579569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integrated circuit, and program
CN110428372B (zh) 深度数据与2d激光数据融合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11037327B2 (en) Camera control method, camera control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541070B2 (ja) 3次元情報復元装置及び3次元情報復元方法
US9571801B2 (en) Photographing plan creation device and program and method for the same
US20190387153A1 (en) Imaging resolution and transmission system
JP6584237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203840A1 (en) Data compression apparatus, model generation apparatus, data compression method, model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1426417B1 (ko) 영상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62094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20180048804A1 (en) Image-captur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captur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for the same
JP5997988B2 (ja) 画像伝送システムおよび画像伝送方法
US20160300098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20220222834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