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793B1 -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 - Google Patents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793B1
KR102476793B1 KR1020210158095A KR20210158095A KR102476793B1 KR 102476793 B1 KR102476793 B1 KR 102476793B1 KR 1020210158095 A KR1020210158095 A KR 1020210158095A KR 20210158095 A KR20210158095 A KR 20210158095A KR 102476793 B1 KR102476793 B1 KR 102476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centrate
hwangchil
plant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현
Original Assignee
이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현 filed Critical 이양현
Priority to KR102021015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무게비를 기준으로 황칠나무, 칡뿌리, 천궁뿌리, 조릿대, 작약, 참당귀, 헛개나무줄기 및 동출뿌리줄기를 원료로서 고형분 18~60% 이상의 15~50 Brix 농도로 농축하여 획득된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기타 다른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METHOD FOR MANUFACTURING A HANGOVER CURES DRINK, AND THE HANGOVER CURES DRINK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무게비를 기준으로 황칠나무, 칡뿌리, 천궁뿌리, 조릿대, 작약, 참당귀, 헛개나무줄기 및 동출뿌리줄기를 원료로서 고형분 18~60% 이상의 15~50 Brix 농도로 농축하여 획득된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기타 다른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1세기에 이르면서, 현대인의 건강 증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고, 그에 따라 건강 증진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플로보노이드, 폴리페놀의 함량에 대한 연구, 항산화 소거능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근래 현대인의 주력한 병적요인으로 취급되는 음주와 흡연에 대한 감소능의 연구를 위하여 알콜 분해 효소와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소에 대한 연구도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에 사용되는 조성물의 범위도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가는 추세인데, 특히 음주 후 효과가 알려져 있는 칡이나 헛개나무가 그 예일 수 있다.
헛개나무는, 갈매나무과의 잎지는 넓은잎 큰키나무로 줄기가 곧으면서도 조금 굽어져서 키 10~17m 정도로 자라는 나무로서, 간기능 향상 및 간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고 간경화 지방간 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체내 알콜분해 및 해독, 그리고 간손상 방지효과로 인해 숙취해소 및 황달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로부터 알려져 있고, 피로회복은 물론 체력증진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체내에 유해물질을 배출하도록 돕고, 소화기능 향상과 변비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칡뿌리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덩굴식물인 칡의 뿌리로서, 갈근이라고도 칭해진다.
이러한 칡뿌리는, 카테킨 성분을 함유하여 당질이 천천히 소화되게끔 도움으로써 혈당이 오르는 속도를 늦춰 주고, 혈관에 쌓여 있는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을 배출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위 카테킨 성분의 경우, 칡이 간 보호, 술로 인한 독을 해독시키는데에도 도움을 주어, 숙취해소에도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천궁뿌리는 한국의 한랭한 산간지방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30 ~ 60cm 정도이며 속이 비여 있고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질은 두꺼우며 연녹색으로 2, 3회의 날개깃 모양의 복엽을 가지는 천궁의 뿌리로서, 이러한 천궁뿌리는 피로와 불면증을 해소시키는 작용이 있고, 혈액을 맑게하고 보혈과 강장의 효과를 발휘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한다.
조릿대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대나무로서, 당뇨, 고혈압, 위염, 위궤양에 효과가 있고, 정상세포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암세포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알칼리성이 강하여 산성체질을 알칼리성으로 바꾸는데 도움을 주어 체질개선식품으로 활용되기도 하며, 비타민 B군과 비타민 K칼슘과 칼륨이 풍부해서 혈압을 조절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고, 혈액을 맑게 해주는 성분들이 있다.
또한, 소염과 진정, 진통, 위의 산도를 높이고, 혈압과 혈당을 낮추기도 한다.
참당귀는 비교적 습한 땅에 나는 두해살이 또는 세해살이풀로서, 데커신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여 피를 맑게 해주고, 체내의 나쁜 독소와 노폐물을 제거해주기 때문에 피가 깨끗해지고 혈액순환도 원활하게 한다. 따라서 어혈이나 악혈 등 나쁜 피를 제거하는데 효과를 가진다.
황칠나무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서, 비타민 C와 타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아울러 칼슘 성분과 사포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뇌 건강, 당뇨 예방 및 개선, 그리고 면연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
또한, 간수치를 낮추는데 효과적이고 간세포의 손상을 방지해준다. 때문에, 지방간과 간경화, 간염 등의 질환을 완화하고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동출뿌리줄기에 대하여, 동출은 선출, 상출, 삽주 등으로도 불리우며, 생약명으로 백출, 창출의 생약명을 가진다. 이러한 동출은 비타민 A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밤눈이 어둡거나 천식이 심하고 기침과 가래가 끓을 때, 소변이 잘 안 나올 때, 식은땀이 날 때, 변이 잘 안나올 때, 당뇨 혹은 위에 가스가 찰 때, 더위를 먹었을 때, 감기로 인해 오한이 오고 열이 날 때, 설사나 구토, 관절통의 문제가 있을 때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다양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혹은 그를 이용하는 식품에 관련하여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59903호에는 마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마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칡 추출액에 마, 마카 등의 각종 농축액과 쌀조청 등을 혼합하여 칡 혼합 농축액으로 제조함으로써 섭취가 용이하고 제품의 전반적인 기호도를 개선할 수 있는 마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기술에 따른 마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은 (1) 세척한 칡을 일정 크기로 절단한 후 분쇄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분쇄한 칡과 물을 압착기에 투입한 후 압착시켜 칡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칡 추출액에 마 농축액, 마카 농축액, 헛개나무 열매 농축액, 쌀눈 추출 농축액, 보리순 추출 농축액 및 쌀조청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농축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의 농축시킨 농축액을 여과한 후 저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13815호에는 엄나무와 헛개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엄나무와 헛개나무를 세척하여 잘게 썰어서 중량비 1: 1로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 100중량부를 물이 담긴 용기에 넣어 가열기를 이용하여 85~170℃로 1~8시간 가열하여 물의 양이 최초의 양보다 2/3~1/4이 될 때까지 끓인다음 고형물을 걸러내고 농축액만을 제조하는 제 1공정과, 엄나무잎 또는 헛개나무잎, 이들이 혼합된 잎을 분쇄하여 잎분말을 제조하는 제2공정과, 엄나무, 헛개나무, 천마, 엉겅퀴, 산죽나무, 뽕나무, 측백나무, 개똥쑥, 한련초, 대마씨, 정향, 백선, 여로, 비단풀, 어성초, 자소엽, 녹차, 당귀, 조릿대 중 어느 하나의 성분 또는 이들 중 선택된 둘 이상의 성분이 혼합된 것을 설탕과 중량비로 1:1로 섞어 3~6개월 숙성시켜 끈적끈적한 상태의 숙성액을 제조하는 제 3공정과, 상기 제 1공정, 제 2공정, 제 3공정에서 얻어진 농축액과 잎분말과 숙성액을 중량비 1 : 2 : 0.1~0.3로 혼합하여 환을 제조하는 제 4공정으로 이루어진 엄나무와 헛개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59903호(2021.05.26.) 등록특허공보 제10-1813815호(2017.12.29.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게비를 기준으로 황칠나무 48중량%, 칡뿌리 7중량%, 천궁뿌리 10중량%, 조릿대 10중량%, 작약 5중량%, 참당귀 5중량%, 헛개나무줄기 10중량% 및 동출뿌리줄기 5중량%를 원료로서 고형분 60% 이상의 50 Brix 농도로 농축하여 획득된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기타 다른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는, 원료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준비된 원료 중 식물 혼합 농축액용 원료를 정제수를 이용하여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추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추출이 완료된 추출물을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고형분 60% 이상이 될 때까지 감압농축을 수행하며, 그 농도가 Brix 50이 되도록 조절하여 식물 혼합 농축액을 획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를 통해 획득된 식물 혼합 농축액에, 덱스트린, 아연, 대두추출물 분말 및 비타민 C를 혼합한 후, 상기 감압농축단계의 감압농축을 통해 재농축하여 최종적으로 숙취해소음료를 제조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료는, 식물 혼합 농축액용 원료; 덱스트린; 아연; 대두추출물 분말; 및 비타민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료는, 식물 혼합 농축액용 원료 50중량%와; 덱스트린 48중량%와; 아연 0.5중량%와; 대두추출물 분말 1중량%; 비타민C 0.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에 의하면, 황칠나무를 주요 성분으로 하는 식물 혼합 농축액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숙취해소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는, 숙취해소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무게비를 기준으로 황칠나무, 칡뿌리, 천궁뿌리, 조릿대, 작약, 참당귀, 헛개나무줄기 및 동출뿌리줄기를 원료로서 고형분 18~60% 이상의 15~50 Brix 농도로 농축하여 획득된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기타 다른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부연하면, 무게비를 기준으로 황칠나무 48중량%, 칡뿌리 7중량%, 천궁뿌리 10중량%, 조릿대 10중량%, 작약 5중량%, 참당귀 5중량%, 헛개나무줄기 10중량% 및 동출뿌리줄기 5중량%를 원료로서 고형분 60% 이상의 50 Brix 농도로 농축하여 획득된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기타 다른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만, 상술된 함량은 고형분 60%의 50 Brix 농도에 맞춰진 함량이고, 상술된 고형분의 값과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최대 30%까지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형분 18% 이상의 15 Brix 농도로 조절하는 것이다.
이 경우, 30% 저하된 기준을 충족하기 위하여 상술된 조성물의 함량은 무게비를 기준으로 황칠나무 14.3중량%, 칡뿌리 2.1중량%, 천궁뿌리 7중량%, 조릿대 3중량%, 작약 1.5중량%, 참당귀 1.5중량%, 헛개나무줄기 3중량% 및 동출뿌리줄기 1.5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100중량%를 기준으로 부족한 나머지 함량은 물(정제수)의 함량이다.
또한, 상술된 일예는 고형분 60%의 50 Brix 농도를 기준으로 30% 저하되도록 조절한 것이고, 만약 30% 이상으로 조절하는 경우, 예컨대 50%로 조절하여 고형분 30%의 25 Brix가 되도록 각 함량을 50%씩 절감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숙취해소음료의 조성물
상술된 원료와 기타 다른 조성물에 대하여 부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음료의 조성물은, 식물 혼합 농축액용 원료 50중량%와; 덱스트린 48중량%와; 아연 0.5중량%와; 대두추출물 분말 1중량%; 비타민C 0.5중량%;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식물 혼합 농축액용 원료는, 황칠나무, 칡뿌리, 천궁뿌리, 조릿대, 작약, 참당귀, 헛개나무줄기 및 동출뿌리줄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된 숙취해소음료의 조성물에 있어서 정제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정제수의 양은 통상의 기술자가 음료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양을 사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는 기호에 따라 다소 조절될 수 있을 뿐, 그 함량을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2.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상술된 실시예 1에 따른 숙취해소음료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숙취해소음료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원료준비단계
원료준비단계는, 실시예 1에 따른 원료와 기타 다른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2) 식물 혼합 농축액 획득 단계
식물 혼합 농축액 획득 단계는,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식물 혼합 농축액용 원료를 혼합하여 정제수를 이용하여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추출하는 단계이다.
(3) 감압농축단계
감압농축단계는, 상기 식물 혼합 농축액 획득 단계를 통해 추출이 완료된 추출물을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고형분 60% 이상이 될 때까지 감압농축을 수행하며, 그 농도가 Brix 50이 되도록 조절하여 식물 혼합 농축액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4) 혼합단계
혼합단계는, 상기 감압농축단계를 통해 획득된 식물 혼합 농축액에, 덱스트린, 아연, 대두추출물 분말 및 비타민 C를 혼합한 후, 상기 감압농축단계의 감압농축을 통해 재농축하여 최종적으로 숙취해소음료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참고예 1. 식물 혼합 농축액의 고형분 함량 측정
고형분 함량은 수분측정기 (HB43-S, Mettler-Toledo Inc., OH,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시료 약 0.9~1.1g 취하여 상압가열 건조법 측정하였다.
105℃까지 가열되는 오븐에서 수분을 함유한 내용물에서 증발시킨 수분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이 끝나면 수분함량을 수기하고 100분율에서 제거된 수분함량을 제외한 값을 고형분으로 하였다.
사용된 시료는, 일반 황칠나무를 추출하여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한 황칠추출농축액과, 실시예 1에 따른 식물 혼합 농축액을 사용하였다.
이들의 측정된 고형분 함량은 다음과 같다.
시료명 고형분 (%)
황칠추출농축액 12.05 ± 0.13
식물혼합농축액 60.20 ± 0.52
황칠식물혼합농축액 85.83 ± 0.12
이렇게 측정된 고형분은 이하의 다른 측정시 균일한 시료처리의 기초로 사용한다.
참고예 2. 식물 혼합 농축액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Moreno 등 (Moreno et al., 2000)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80% 에탄올에 적정농도로 희석된 시료 0.5mL, 10% Alumnium nitrate 0.5mL, 1M Potassium acetate 0.5mL 및 80% 에탄올 2.0mL을 순차적으로 시험관에 첨가하였다. 각각의 시험관을 균질화 시킨 다음, 상온 암실에서 4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분광광도계로 41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표준물질로는 quercetin (0-1000μg/mL)을 사용하였다. 계산법은 1 mL당 ug QE (Quercetin Equivalent)로 환산하여 표기하였다.
시험시약 제조
가. 80% Ethanol 제조
나. Quercetin 표준품 만들기
- Sigma 제품. 순도 95% 이상
- 표준품을 mg/mL 농도로 제조
- 사용할 때는 최대흡광값이 1.0이 초과하지 않게 희석
mg/mL 시료를 25배 희석 하여 사용
다. 10% Alumnium nitrate
- 대정화학 제품. 순도 98% 이상
- Aluminium nitrate nonahydrate [Al(NO3)9H2O] : 수분함량 생략하고 10% 사용
10g을 정확히 칭량하여 80mL 증류수에 녹임
- 100℃ hot plate에서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용해시킨다음 충분히 식힌다.
- 100mL volume flask에 증류수로 정용한다.
라. 1M Potassium acetate
- Sigma 제품. 순도 99% 이상. MW:98.14 g/mol
- 9.814 g을 칭량하여 증류수에 녹인다.
- 100mL volume flask에 증류수로 보정한다.
표준곡선
Figure 112021132340415-pat00001
Figure 112021132340415-pat00002
결과
시료명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mg/g)
황칠추출농축액 2.64 ± 0.30
식물혼합농축액 4.69 ± 0.07
황칠식물혼합농축액 8.13 ± 0.11
황칠추출농축액은 평균 2.64 mg/g, 식물혼합농축액은 4.69 mg/g,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8.13 mg/g으로 나타났다. 식물혼합농축액보다 황칠식물혼합농축액에서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측정된 이유는 추가로 혼합된 이소플라본 함량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황칠추출농축액보다 식물혼합농축액이 높은 이유는 황칠이외의 다른 식물추출물에서 유래된 것으로 판단된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항산화력 증가와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함량 감소 효과에 대한 영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참고예 3. 식물 혼합 농축액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은 Giampiero 등이 사용한 Folin-Ciocalteu's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적당한 농도로 희석된 시료 용액 25 uL와 증류수 975 uL을 혼합하고, 2N Folin-Ciocalteau's phenol reagent 200 uL을 가하여 잘 섞은 후 5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여기에 30% Na2CO3 600 μL을 가하여 혼합한 다음 증류수를 가하여 4.0 mL로 조정하였다. 이 용액을 상온 암소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품으로 gallic acid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를 이용한 검량선과 비교하여 총 페놀함량을 ug gallic acid equivalents(GAE)/mL로 나타내었다.
시험 시약 제조
가. Gallic acid 표준품 만들기
- 최고농도가 흡광값 1.0을 넘기지 않게 제조한다. 따라서, 250 uM 농도로 제조하여 적절하게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나. 2N Folin & Ciocalteu’s phenol reagent (Sigma Chemical Co.)을 사용하였다.
다. 30% (w/v) Na2CO3 (Sigma Chemical Co.) : Sodium carbonate anhydrous 30 g을 비이커에 투여하여 증류수 약 50mL을 투여하여 충분히 녹여 식힌 다음 증류수를 추가하여 잔여물을 세척한 다음 100mL로 정용하였다.
표준곡선
Figure 112021132340415-pat00003
Figure 112021132340415-pat00004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표 5]와 같다.
시료명 총 폴리페놀함량 (mg/g)
황칠추출농축액 5.87 ± 0.34
식물혼합농축액 24.89 ± 4.28
황칠식물혼합농축액 12.89 ± 0.32
황칠추출농축액은 평균 5.87 mg/g, 식물혼합농축액은 24.89 mg/g,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12.89 mg/g으로 나타났다.
황칠식물혼합농축액보다 식물혼합농축액에서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측정되었다. 이것은 동일 함량으로 만들어 졌으나,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식물혼합농축액이 50%만 포함되어 있고 나머지 50%의 함량으로 포함된 이소플라본, 덱스트린등의 성분들이 폴리페놀함량 측정에 마스킹 작용을 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은 항산화력 증가와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함량 감소 효과에 대한 영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추가 검증으로 확인이 필요하다.
참고예 4. 식물 혼합 농축액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에 의한 항산화활성 평가
항산화활성은 2,2-diphenyl-2-picrylhydrazyl (DPPH)을 이용하여 시료의 라디칼 소거효과 (radical scavenging effect)를 측정하는 Blois법을 활용 하였다. DPPH 약 4.0 ㎎을 약 100 mL의 ethanol에 녹여 DPPH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517 nm 파장에서 대조군의 UV-Vis. 흡광도가 0.94-0.97이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하여 10초간 진탕 시켰다. 준비된 DPPH 4.0 mL에 적정농도로 희석된 시험물질 용액 25, 50, 100, 200 uL를 넣어 섞은 후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가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의 흡광도가 50% 감소할 때 나타나는 시료의 농도(IC50)로 표시하였다.
시험 시약 제조
가. DPPH 만들기
- EtOH (ethanol)에 녹여 0.1 mM (100 uM) 농도로 조제 : 9.432 mg/100 mL ethanol로 조제하였다.
- 흡광값이 1이 넘을 경우 적당량의 에탄올을 추가하여 흡광도를 0.94-0.97로 맞추었다.
결과
DPPH radical 소거활성에 의한 항산화활성 효과는 [표 6]과 같다.
IC50 (ug/mL)
DPPH radical scavenging acivity
Ascorbic acid 119.0
이소플라본 2,387.0
황칠추출농축액 1,736.2
식물혼합농축액 724.4
황칠식물혼합농축액 921.1
양성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의 IC50값은 119.0 ug/mL이었다.
황칠추출농축액은 1,736.2 ug/mL, 식물혼합농축액은 724.4 ug/mL,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921.1 ug/mL으로 나타났다. 또다른 양성대조군인 이소플라본은 2,387 ug/mL이었다.
황산화성이 가장 뛰어난 것은 식물혼합농축액으로 나타났다. 순수한 황칠추출농축액보다는 다양한 식물추출물이 첨가됨으로써 항산화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일 함량으로 만들어 졌으나,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식물혼합농축액이 50%만 포함되고 나머지 50%는 이소플라본, 덱스트린등이 포함되어 이들 성분의 마스킹 작용에 의해 상대적인 항산화값은 식물혼합농축액의 항산화 효과보다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항산화력이 알콜함량과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을 낮추는 효과에 대한 시험의 검증이 필요하다.
참고예 5. 식물 혼합 농축액의 알콜함량 감소효과(ADH activity)
알코올 분해 효소(alcohol dehydrogense, ADH)의 활성 측정은 ethanol assay kit(Megazyme, Co. Wicklow, Ireland) 제품을 이용하였다. 실험은 kit procedure에 따라 측정하였다. 증류수에 sample solution, sodium azide buffer, NAD+ solution, aldehyde dehydrogenase solution을 혼합 후 2분 후 Alcohol dehydrogenase를 첨가한 후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흡광도를 340nm로 측정하였다. 농도는 kit procedure에 제시된 계산법에 따라 알코올 함량 %(v/v)와 g/L로 농도를 산출 하였다.
ADH assay kit 시험 방법
Figure 112021132340415-pat00005
변형된 시험방법
(1) Blank : 모든 buffer, 시약 및 효소를 상기 1)의 Blank 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Standard (대조구) : 모든 buffer, 시약, standard 및 효소를 상기 1)의 Standard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 Standard + Sample : 모든 buffer, 시약, standard, sample 및 효소를 상기 1)의 Standard + Sample 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Sample : 모든 buffer, 시약, sample 및 효소를 상기 1)의 Sample 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측정
(1) 최초 : 상기 시험방법중 Al-DH까지 처리하여 각 well의 흡광 blank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2) ADH 처리 5분후 : 상기 ADH까지 처리한 다음 효소반응이 종결된 5분후의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3) Blank 제외 : ADH 까지 처리한 모든 흡광값에서 각 well의 blank 흡광값에 해당하는 초기 흡광값을 제외한 수치를 기록하였다.
(4) Blank : 상기의 Blank에 처리구에서 ADH 까지 처리한 모든 흡광값에서 각 well의 blank 흡광값에 해당하는 초기 흡광값을 제외한 효소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순수 흡광값을 기록하였다.
(5) 최초 well의 흡광값보다 낮게 난 수치에 의해 발생한 마이너스 (-) 수치는 모두 0의 값으로 처리하였다.
(6) 이에 따른 buffer와 효소처리 (Al-DH, ADH)에 의해 발생한 Blank 흡광값은 0.1377 이었다.
ADH 활성 측정을 위한 흡광도값
(1) 각 well이 나타내는 blank 흡광값을 제거한 각각의 흡광값에
(2) 상기의 계산값에서 buffer와 효소처리 (Al-DH, ADH)에 의해 발생한 Blank 흡광값 0.1377을 제거한 순수한 standard와 샘플처리에 의한 흡광값을 나타내었다.
(3) 샘플인 황칠추출농축액에 의해 발생하는 흡광값의 평균은 0.3584, 식물혼합농축액에 의해 발생하는 흡광값의 평균은 0.2356, 황칠식물혼합농축액 에 의해 발생하는 흡광값의 평균은 0.3490이었다.
(4) 에탄올 표준품 1ug/10uL 처리에 의해 생성된 표준품의 흡광값의 평균은 1.7492였다.
(5) 각각의 샘플과 에탄올 표준품을 동시에 처리한 흡광값에서 샘플만 처리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샘플 blank 흡광값을 제거하여 각 시료의 처리에 의해 발생한 순수한 에탄올 함량에 해당하는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ADH 활성 (%) 및 에탄올 제거활성 (%)
(1) ADH activity (%)
-
Figure 112021132340415-pat00006
- 에탄올 표준품 1ug/10uL 처리에 의한 ADH 효소활성을 100%로 하였을 때, 각각의 샘플처리에 의해 생성된 ADH 효소활성을 상기 계산식에 대입하면 황칠추출농축액은 128.2%, 식물혼합농축액은 145.1%로 나타났다.
(2) 에탄올 함량 (ug)
-
Figure 112021132340415-pat00007
- 에탄올 표준품 1 ug 처리을 각각처리하고 샘플과 에탄올 표준품 1 ug을 각각처리하여 나타난 에탄올 함량을 상기 계산식에 대입하면 황칠추출농축액은 0.78 ug, 식물혼합농축액은 0.69 ug,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0.46 ug으로 나타났다.
(3) 에탄올 감소율 (%)
-
Figure 112021132340415-pat00008
- 상기 (1)과 (2)의 결과에 따라 대조구 대비 각 샘플의 처리에 의한 에탄올 감소율을 상기 계산식에 대입하면 황칠추출농축액은 22.0%, 식물혼합농축액은 31.1%,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53.7%로 나타났다.
결과
알콜함량 감소효과는 [표 8]과 같다.
대조구 황칠추출농축액 식물혼합농축액 황칠식물혼합농축액
ADH activity(%) 100 128.2 145.1 216.1
에탄올 함량 (ug) 1 0.78 0.69 0.46
에탄올 감소율(%) 22.0 31.1 53.7
가. 에탄올 함량 (ug) 측정
(1) 대조구는 에탄올 표준품 1 ug 처리하였을 때의 흡광값을 기준으로 황칠추출농축액, 식물혼합농축액, 황칠식물혼합농축액 1 ug과 에탄올 표준품 1 ug을 각각처리한 다음 나타난 에탄올 함량은 각각 다음과 같다.
(2) 각각의 잔류 에탄올 함량은 황칠추출농축액은 0.78 ug, 식물혼합농축액은 0.69 ug,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0.46 ug으로 나타났다.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을 처리한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에탄올 함량을 나타내어 에탄올 제거효과가 가장 높았다.
나. 알코올 탈수소 효소 효과 (ADH activity)
(1) 에탄올 표준품 1 ug 처리에 의한 ADH 효소활성을 100%로 하였을 때, 각각의 샘플처리에 의해 생성된 ADH 효소활성은 황칠추출농축액은 128.2%, 식물혼합농축액은 145.1%,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216.1%로 나타났다.
(2) 황칠추출농축액, 식물혼합농축액,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각각 대조구에 비해 28.2%, 45.1%, 116.1% 증가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다. 에탄올 감소율 (%)
(1) 대조구의 알콜함량을 기준으로 제거된 에탄올 감소율을 게산한 결과 황칠추출농축액은 22.0%, 식물혼합농축액은 31.1%,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53.7%로 각각 나타났다.
(2)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이 가장 높은 에탄올 제거효과를 나타내었다.
라.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순수하게 황칠추출농축액만을 첨가한 처리구보다 황칠추출농축액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물추출물을 첨가한 것이 높게나타나고 이보다도 이소플라본, 비타민과 아연등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가장높은 에탄올 제거효과가 나타났다. 이소플라본과 비타민 및 여러 식물혼합물 황칠추출농축액과 융합되어 에탄올 함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고예 6. 식물 혼합 농축액의 아세트알데히드 감소효과(Al-DH activity)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활성 측정은 acetaldehyde assay kit (Megazyme, Co. Wicklow, Ireland)를 사용하였고, kit procedure에 따라 측정하였다. 증류수에 sample solution, sodium azide buffer(pH 9.0), NAD+solution을 혼합 후 2분 뒤 흡광도를 측정한 후 Al-DH를 첨가한 후 3분 동안 반응 시킨 후 2분 간격으로 흡광도를 340nm에서 지속적으로 측정하였다. 농도는 kit procedure에 제시된 계산법에 따라 g/L로 농도를 산출하였다.
Al-DH assay kit 시험 방법
Figure 112021132340415-pat00009
변형된 시험방법
(1) Blank : 모든 buffer, 시약 및 효소를 상기 1)의 Blank 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Standard (대조구) : 모든 buffer, 시약, standard 및 효소를 상기 1)의 Standard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 Standard + Sample : 모든 buffer, 시약, standard, sample 및 효소를 상기 1)의 Standard + Sample 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Sample : 모든 buffer, 시약, sample 및 효소를 상기 1)의 Sample 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측정
(1) 최초 : 상기의 시험방법중 NAD+까지 처리하여 각 well의 흡광 blank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2) ADH 처리 5분후 : 상기의 Al-DH까지 처리한 다음 효소반응이 종결된 4분 후의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3) Blank 제외 : Al-DH 까지 처리한 모든 흡광값에서 각 well의 blank 흡광값에 해당하는 초기 흡광값을 제외한 수치를 기록하였다.
(4) Blank : 상기의 Blank에 처리구에서 Al-DH 까지 처리한 모든 흡광값에서 각 well의 blank 흡광값에 해당하는 초기 흡광값을 제외한 효소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순수 흡광값을 기록하였다.
(5) 최초 well의 흡광값보다 낮게 난 수치에 의해 발생한 마이너스 (-) 수치는 모두 0의 값으로 처리하였다.
(6) 이에 따른 buffer와 효소처리 (Al-DH)에 의해 발생한 Blank 흡광값은 0.0011 이었다.
ADH 활성 측정을 위한 흡광도값
(1) 각 well이 나타내는 blank 흡광값을 제거한 각각의 흡광값에
(2) 상기의 계산값에서 buffer와 효소처리 (Al-DH)에 의해 발생한 Blank 흡광값 0.0011을 제거한 순수한 standard와 샘플처리에 의한 흡광값을 나타내었다.
(3) 샘플인 황칠추출농축액에 의해 발생하는 흡광값의 평균은 0.3584, 식물혼합농충액에 의해 발생하는 흡광값의 평균은 0.2356, 황칠식물혼합농축액 에 의해 발생하는 흡광값의 평균은 0.3490이었다.
(4) 아세트알데히드 표준품 2 ug/10uL 처리에 의해 생성된 표준품의 흡광값의 평균은 0.6523였다.
(5) 각각의 샘플과 아세트알데히드 표준품을 동시에 처리한 흡광값에서 샘플만 처리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샘플 blank 흡광값을 제거하여 각 시료의 처리에 의해 발생한 순수한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에 해당하는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Al-DH 활성 (%) 및 아세트알데히드 제거활성 (%)
(1) Al-DH activity (%)
-
Figure 112021132340415-pat00010
- 아세트알데히드 표준품 2 ug/10 uL 처리에 의한 Al-DH 효소활성을 100%로 하였을 때, 각각의 샘플처리에 의해 생성된 Al-DH 효소활성을 상기 계산식에 대입하면 황칠추출농축액은 128.2%, 식물혼합농축액은 145.1%,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216.1%로 나타났다.
(2) 에탄올 함량 (ug)
-
Figure 112021132340415-pat00011
- 에탄올 표준품 2 ug 처리을 각각처리하고 샘플과 에탄올 표준품 2 ug을 각각처리하여 나타난 에탄올 함량을 상기 계산식에 대입하면 황칠추출농축액은 1.41 ug, 식물혼합농축액은 1.27 ug,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0.84 ug으로 나타났다.
(3) 아세트알데히드 감소율 (%)
-
Figure 112021132340415-pat00012
- 상기 (1)과 (2)의 결과에 따라 대조구 대비 각 샘플의 처리에 의한 아세트알데히드 감소율을 상기 계산식에 대입하면 황칠추출농축액은 29.5%, 식물혼합농축액은 36.4%,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57.8%로 나타났다.
결과
아세트알데히드 함량 감소효과는 [표 10]과 같다.
대조구 황칠추출농축액 식물혼합농축액 황칠식물혼합농축액
Al-DH activity(%) 100 141.8 157.2 236.9
아세트알데히드 함량 (ug) 2 1.41 1.27 0.84
아세트알데히드 감소율(%) 29.5 36.4 57.8
가. 아세트알데히드 함량 (ug) 측정
(1) 대조구는 아세트알데히드 표준품 2 ug 처리하였을 때의 흡광값을 기준으로 황칠추출농축액, 식물혼합농축액, 황칠식물혼합농축액 1 ug과 아세트알데히드 표준품 2 ug을 각각처리한 다음 나타난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은 각각 다음과 같다.
(2) 각각의 잔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은 황칠추출농축액은 1.41 ug, 식물혼합농축액은 1.27 ug,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0.84 ug으로 나타났다.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을 처리한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을 나타내어 아세트알데히드 제거효과가 가장 높았다.
나.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 효소 효과 (Al-DH activity)
(1) 아세트알데히드 표준품 2 ug 처리에 의한 Al-DH 효소활성을 100%로 하였을 때, 각각의 샘플처리에 의해 생성된 Al-DH 효소활성은 황칠추출농축액은 141.8%, 식물혼합농축액은 157.2%,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236.9%로 나타났다.
(2) 황칠추출농축액, 식물혼합농축액,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각각 대조구에 비해 41.8%, 57.2%, 136.9% 증가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다. 아세트알데히드 감소율 (%)
(1) 대조구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을 기준으로 제거된 아세트알데히드 감소율을 게산한 결과 황칠추출농축액은 29.5%, 식물혼합농축액은 36.4%,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은 57.8%로 각각 나타났다.
(2) 황칠식물혼합농축액이 가장 높은 아세트알데히드 제거효과를 나타내었다.
라.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순수하게 황칠추출농축액만을 첨가한 처리구보다 황칠추출농축액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물추출물을 첨가한 것이 높게나타나고 이보다도 이소플라본, 비타민과 아연등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가장높은 아세트알데히드 제거효과가 나타났다. 이소플라본과 비타민 및 여러 식물혼합물 황칠추출농축액과 융합되어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4)

  1. 황칠나무, 칡뿌리, 천궁뿌리, 조릿대, 작약, 참당귀, 헛개나무줄기 및 동출뿌리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혼합 농축액용 원료; 덱스트린; 아연; 대두추출물 분말; 및 비타민 C;를 원료로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준비된 원료 중 식물 혼합 농축액용 원료를 정제수를 이용하여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추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추출이 완료된 추출물을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고형분 18~60% 이상이 될 때까지 감압농축을 수행하며, 그 농도가 Brix 15~50이 되도록 조절하여 식물 혼합 농축액을 획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를 통해 획득된 식물 혼합 농축액에, 덱스트린, 아연, 대두추출물 분말 및 비타민 C를 혼합한 후, 상기 감압농축단계의 감압농축을 통해 재농축하여 최종적으로 숙취해소음료를 제조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를 통해 획득된 식물 혼합 농축액 50중량%와; 덱스트린 48중량%와; 아연 0.5중량%와; 대두추출물 분말 1중량%; 비타민C 0.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 혼합 농축액용 원료는,
    고형분 60% 이상의 50 Birx 농도를 기준으로,
    무게비를 기준으로 황칠나무 48중량%, 칡뿌리 7중량%, 천궁뿌리 10중량%, 조릿대 10중량%, 작약 5중량%, 참당귀 5중량%, 헛개나무줄기 10중량% 및 동출뿌리줄기 5중량%이되,
    상기 고형분 60% 이상의 50 Birx 농도를 30% 범위까지 감소시킬 수 있으며,
    황칠나무, 칡뿌리, 천궁뿌리, 조릿대, 작약, 참당귀, 헛개나무줄기 및 동출뿌리줄기의 함량은 감소된 범위의 퍼센테이지(%) 만큼 감소시키면서, 나머지 함량은 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기재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
KR1020210158095A 2021-11-16 2021-11-16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 KR102476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095A KR102476793B1 (ko) 2021-11-16 2021-11-16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095A KR102476793B1 (ko) 2021-11-16 2021-11-16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793B1 true KR102476793B1 (ko) 2022-12-09

Family

ID=8444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095A KR102476793B1 (ko) 2021-11-16 2021-11-16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79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3266A (ko) * 2007-10-29 2009-05-06 박오하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1544570B1 (ko) * 2014-12-17 2015-08-13 주식회사 블루텍 숙취해소용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KR20150138068A (ko) *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유한양행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13815B1 (ko) 2016-12-29 2017-12-29 최동림 엄나무와 헛개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KR20200117624A (ko) * 2019-04-05 2020-10-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황칠코리아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9903A (ko) 2019-11-18 2021-05-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안동애에프엔에이치 마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3266A (ko) * 2007-10-29 2009-05-06 박오하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20150138068A (ko) *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유한양행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544570B1 (ko) * 2014-12-17 2015-08-13 주식회사 블루텍 숙취해소용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KR101813815B1 (ko) 2016-12-29 2017-12-29 최동림 엄나무와 헛개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KR20200117624A (ko) * 2019-04-05 2020-10-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황칠코리아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9903A (ko) 2019-11-18 2021-05-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안동애에프엔에이치 마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729B1 (ko) 미세먼지 해독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조성물
JP2007511224A (ja) 栄養補給用マンゴスチン茶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50114253A (ko) 천연식물추출액이 함유된 발효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2884B1 (ko) 침향이 함유된 기능성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101926591B1 (ko) 허브를 함유하는 기능성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101060309B1 (ko) 대추 경옥고
KR20100026487A (ko) 대추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 및 이 제조방법
KR101152170B1 (ko) 로스팅을 통한 맥문동 음료의 제조방법
KR20060131374A (ko) 강장 또는 강정용 한방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6793B1 (ko)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
KR101971857B1 (ko) 약용식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양배추즙의 제조방법
KR102468019B1 (ko) 황칠을 주요하게 포함하는 식물 혼합 농축액 및 상기 농축액을 이용하는 식품
KR102485016B1 (ko)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4175B1 (ko) 기능성 발효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CN110810693A (zh) 一种含有显齿蛇葡萄的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996466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배즙의 제조방법
KR101400103B1 (ko) 기호성과 항산화 활성이 향상된 여주차의 제조방법
CN108497246A (zh) 一种植物减肥功能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648211B1 (ko) 제주조릿대를 이용한 발효물과 그 발효물을 함유한 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6147A (ko)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KR101375347B1 (ko) 홍삼약초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음료
CN103704409B (zh) 一种凉茶及其制备方法
CN113197957A (zh) 一种姜半夏的炮制方法
KR101403355B1 (ko) 민들레 꽃 식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