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689B1 -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 - Google Patents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689B1
KR102476689B1 KR1020220025746A KR20220025746A KR102476689B1 KR 102476689 B1 KR102476689 B1 KR 102476689B1 KR 1020220025746 A KR1020220025746 A KR 1020220025746A KR 20220025746 A KR20220025746 A KR 20220025746A KR 102476689 B1 KR102476689 B1 KR 10247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pindle
hole
inl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트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트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5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05Three-way check or safety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05Particular materials for seats or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구와 제1유출구가 형성된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제2유출구가 형성되고, 밸브스핀들이 구비된 분기관으로 이루어진 유량조절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는 연결너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1유출구 및 제2유출구의 단부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에는 유로관의 유로와 연통되는 밸브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안착홈에는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된 밸브스핀들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의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스핀들의 교체가 간편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 {Flow control valve body with simple assembly structure of valve spindle}
본 발명은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방밸브의 유로전환 및 유량조절을 위한 밸브스핀들과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밸브체의 상부에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 부품수를 줄여 생산성을 높이는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이다.
일반적으로 물의 유로를 전환하거나 유량조절을 위한 밸브로 볼밸브가 구비된 삼방변이 널리 사용되는데 볼밸브는 개폐 부분에는 구멍이 뚫린 공 모양의 밸브로, 이것을 회전하여 구멍을 막거나 열어, 밸브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콕과 유사한 밸브로서, 볼밸브는 밸브 디스크가 공 모양이고 콕과 유사한 90도 회전밸브로서 매우 양호한 기밀유지 특성을 갖고 있다.
볼을 감싸고 있는 시트는 기밀을 확실하게 하고 또한 비교적 적은 운전토크로 작동이 용이하다. 볼의 유로형상이 원형으로 밸브 입 출구의 형상(원형)과 같은 모양이기 때문에 유로 저항도 매우 적은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볼밸브의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59564호 '보일러 배관용 볼밸브'의 구성을 살펴보면 레버의 회전에 개폐되며, 유입구의 외경에는 단턱홈이 형성된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에 구성된 유입구의 외경에 슬라이드 결합되며, 걸림단턱이 형성된 너트;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된 단턱홈에 끼워져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링; 상기 너트의 내경에 끼워져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으로 구성되되, 상기 패킹의 일측으로는 상기 패킹과 일체로 형성되어 밸브몸체에 구성된 유입구의 외경과 너트의 내경 사이에 끼워져 누수를 차단하며, 패킹의 분리를 방지하는 밀폐돌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협소한 설치공간 내에서도 정확한 위치로 손쉽고 빠르게 결합설치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너트의 분리방지로 인해 보관과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결합과 분리가 간편한 패킹을 이용하여 누수방지를 간편하게 함과 더불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너트와 유입구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밀폐돌부를 통해 배관과의 결합설치나 운반시 패킹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09-0060555호 '쓰리 웨이 볼밸브'는 일측의 유입구와 직통하는 타측 제1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교차 연통하는 제2유출구가 형성되고, 상부로 돌출된 회전지지대에 일정간격의 고정구멍들이 분할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내장되고, 상기 유입구와 제1유출구를 연통시키는 중앙의 제1통로와, 상기 제1통로와 교차하는 제2통로가 상기 제2유출구와 연통시키기 위한 볼과; 상기 회전지지대를 관통하여 볼과 상부의 레버를 연결하는 작동봉과; 상기 레버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고정구멍들과 택일적으로 삽착하여 레버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과; 상기 회전대의 일측에 상기 레버의 회동범위가 180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와; 상기 볼와 밀착하여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는 배관 또는 플러그를 조립하기 위한 연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체시설은 및 배관라인을 샷다운(Shutdown)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일부배관은 물론 배관에 관련된 각종 설비, 장치들의 수리보수, 교체 등이 가능하여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볼밸브체는 구형의 볼과 볼의 둘레를 감싸는 패킹 및 볼을 회전하기 위한 핸들, 볼 및 패킹과 밀착되어 볼을 고정하기 위한 니플 등의 고정구가 모두 분리형으로 조립이 매우 불편하고 부품의 개수가 많이 필요하여 조립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밸브스핀들의 교체가 가능하면서도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 공수가 줄어 생산단가를 낮추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밸브스핀들의 교체가 간편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입구와 제1유출구가 형성된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제2유출구가 형성되고, 밸브스핀들이 구비된 분기관으로 이루어진 유량조절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는 연결너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1유출구 및 제2유출구의 단부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에는 유로관의 유로와 연통되는 밸브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안착홈에는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된 밸브스핀들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밸브스핀들은 밸브안착홈에 끼워지고, 하부에 연결유로가 형성된 원통체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이동한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도록 밸브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유입공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환유입공과 전환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유입공의 타측에는 밀착부재가 구비된 누수방지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누수방지홈은 사각홀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일면이 상기 밸브안착홈의 내벽과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된 고무재 또는 실리콘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관에는 밸브스핀들이 끼워지는 삽입구가 돌출되고, 상기 밸브스핀들은 상기 분기관의 상부로 노출되는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밸브스핀들의 몸체에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안착홈의 내벽과 밀착되는 오링이 끼워지고, 상기 오링홈과 이격되어 스토퍼홈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삽입구에는 상기 스토퍼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토퍼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관통홀에는 일측이 상기 스토퍼홈에 끼워지는 막대형태의 스토퍼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너트는 내주면 일측단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단부는 상기 단턱에 걸리도록 확장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의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스핀들의 교체가 간편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의 분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의 다른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이하 '유량조절 밸브체'라 함)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유량조절 밸브체는 세면대, 싱크대, 변기, 보일러 등의 급수관에 연결되어 유량조절 및 전환밸브 역할을 하는 유량조절 밸브체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유입구(11)와 제1유출구(12)가 형성된 유로관(10)과, 상기 유로관(10)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제2유출구(21)가 형성되고, 밸브스핀들(40)이 구비된 분기관(20)으로 이루어진 유량조절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에는 연결너트(30)가 구비되며, 상기 제1유출구(12) 및 제2유출구(21)의 단부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산(12a,21a)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20)에는 유로관(10)의 유로(13)와 연통되는 밸브안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안착홈(22)에는 손잡이(50)와 일체로 형성된 밸브스핀들(4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3-way 밸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분기관이 형성되지 않은 유로관(10)의 중간부에 밸브스핀들(40)이 구비된 밸브안착홈(22)이 형성된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50)는 상기 밸브스핀들(40)의 상단에 요철 결합되고 볼트 등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11)는 벽체에서 돌출된 수도 공급관과 연결되고 제1유출구(12) 및 제2유출구(21)는 용도에 따라 세면대, 변기, 싱크대, 보일러의 급수관 등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스핀들(40)을 조작(회전)하여 제1유출구(12) 또는 제1유출구(12) 및 제2유출구(21)로 동시에 물이 이동되도록 유로를 변경하거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유출구(12) 및 제2유출구(21)는 상호 90°로 절곡된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급수관과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50)와 일체로 구비된 밸브스핀들(40)은 분기관(20)으로 유입되는 물을 단속하여 제1유출구(12)로 물이 배출되거나 손잡이(50)의 90°회전하여 분기관(20)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여 제1유출구(12)와 제2유출구(21)의 2방향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밸브스핀들(4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밸브안착홈(22)에 끼워지고, 하부에 연결유로(41)가 형성된 원통체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이동한 물이 연결유로(41)로 유입되도록 밸브유입공(42)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유입공(42)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환유입공(43)과 전환배출공(44)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유입공(42)의 타측에는 밀착부재(46)가 구비된 누수방지공(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원통체의 밸브스핀들(40)의 상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5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안착홈(22)은 상기 밸브스핀들(40)이 끼워지도록 원통홈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스핀들(40)의 연결유로(4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제2유출구(21)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밀착부재(46)가 분기관(20)의 유로(23)를 막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안착홈(22)은 분기관(20)의 유로(23)와 연통되어 분기관(20)의 유로(23)는 상기 밸브스핀들(40)을 밸브안착홈(22)에 끼웠을때 밸브스핀들(40)의 연결유로(41)와 대응되게 된다.
따라서, 밸브스핀들(40)의 연결유로(41)로 유입된 물을 차단하도록 상기 밀착부재(46)가 밸브유입공(42)의 반대측 밸브안착홈(22)의 내벽에 밀착된다.
상기 밀착부재(4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안착홈(22)의 내벽과 대응되도록 곡면을 갖는 고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며, 소정두께로 형성되어 연결유로(41)에 채워진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누수방지공(45)에 끼워진 상태로 밸브안착홈(22)의 내벽에 밀착되어 분기관(20)의 유로(23)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누수방지공(45)은 사각홀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재(46)는 일면이 상기 밸브안착홈(22)의 내벽과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된 고무재 또는 실리콘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분기관(20)에는 밸브스핀들(40)이 끼워지는 삽입구(24)가 돌출되고, 상기 밸브스핀들(40)은 상기 분기관(20)의 상부로 노출되는 손잡이(50)와 일체로 형성되고, 밸브스핀들(40)의 몸체에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47)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안착홈(22)의 내벽과 밀착되는 오링(49)이 끼워지고, 상기 오링홈(47)과 이격되어 스토퍼홈(48)이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구(24)는 분기관(20)의 상부 일측에서 돌출되며, 밸브안착홈(22)의 둘레에서 돌출되어 오링(49)이 밸브안착홈(22)의 내벽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이때, 상기 오링홈(47)은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오링홈(47)과 이격된 상부에는 스토퍼홈(48)이 형성되어 밸브스핀들(40)의 회전을 단속하고, 밸브안착홈(22)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삽입구(24)에는 상기 스토퍼홈(48)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토퍼관통홀(24a)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관통홀(24a)에는 일측이 상기 스토퍼홈(48)에 끼워지는 막대형태의 스토퍼(2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관통홀(24a)에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25)는 무두볼트로 구비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홈(48)은 상기 밸브스핀들(40)의 일부가 부채꼴 형태로 절개된 형태로 상기 스토퍼(25)의 직경에 따라 90°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25)가 스토퍼홈(48)의 일측과 밀착된 상태로 밸브스핀들(40)을 회전하여 타측과 밀착된 상태가 대략 90°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25)는 상기 밸브스핀들(40)의 회전을 단속함은 물론 밸브스핀들(4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연결너트(30)는 내주면 일측단에 단턱(31)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의 단부는 상기 단턱(31)에 걸리도록 확장부(1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너트(3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측에 단턱(31)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31)이 유입구(11)의 확장부(14)에 걸린상태로 자유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확장부(14)는 상기 연결너트(30)를 끼운 상태에서 유입구(11)의 단부를 프레스 가압하여 매우 간편하게 확장부(14)를 성형하여 연결너트(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유로관 11: 유입구
12: 제1유출구 13: 유로
14: 확장부 20: 분기관
21: 제2유출구 22: 밸브안착홈
23: 유로 24: 삽입구
25: 스토퍼 30: 연결너트
31: 단턱 40: 밸브스핀들
41: 연결유로 42: 밸브유입공
43: 전환유입공 44: 전환배출공
45: 누수방지공 46: 밀착부재
47: 오링홈 48: 스토퍼홈
49: 오링 50: 손잡이

Claims (6)

  1. 유입구(11)와 제1유출구(12)가 형성된 유로관(10)과, 상기 유로관(10)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제2유출구(21)가 형성되고, 밸브스핀들(40)이 구비된 분기관(20)으로 이루어진 유량조절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에는 연결너트(30)가 구비되며, 상기 제1유출구(12) 및 제2유출구(21)의 단부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산(12a,21a)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20)에는 유로관(10)의 유로(13)와 연통되는 밸브안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안착홈(22)에는 손잡이(50)와 일체로 형성된 밸브스핀들(40)이 삽입되며, 상기 밸브스핀들(40)은 밸브안착홈(22)에 끼워지고, 하부에 연결유로(41)가 형성된 원통체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이동한 물이 연결유로(41)로 유입되도록 밸브유입공(42)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유입공(42)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환유입공(43)과 전환배출공(44)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유입공(42)의 타측에는 밀착부재(46)가 구비된 누수방지공(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공(45)은 사각홀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재(46)는 일면이 상기 밸브안착홈(22)의 내벽과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된 고무재 또는 실리콘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20)에는 밸브스핀들(40)이 끼워지는 삽입구(24)가 돌출되고, 상기 밸브스핀들(40)은 상기 분기관(20)의 상부로 노출되는 손잡이(50)와 일체로 형성되고, 밸브스핀들(40)의 몸체에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47)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안착홈(22)의 내벽과 밀착되는 오링(49)이 끼워지고, 상기 오링홈(47)과 이격되어 스토퍼홈(4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24)에는 상기 스토퍼홈(48)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토퍼관통홀(24a)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관통홀(24a)에는 일측이 상기 스토퍼홈(48)에 끼워지는 막대형태의 스토퍼(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너트(30)는 내주면 일측단에 단턱(31)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의 단부는 상기 단턱(31)에 걸리도록 확장부(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
KR1020220025746A 2022-02-28 2022-02-28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 KR102476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746A KR102476689B1 (ko) 2022-02-28 2022-02-28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746A KR102476689B1 (ko) 2022-02-28 2022-02-28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689B1 true KR102476689B1 (ko) 2022-12-12

Family

ID=8439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746A KR102476689B1 (ko) 2022-02-28 2022-02-28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6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157Y1 (ko) * 1999-10-11 2000-04-15 김석규 3유로 연결밸브
KR20120001629U (ko) * 2010-08-30 2012-03-08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기 호흡기용 후드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157Y1 (ko) * 1999-10-11 2000-04-15 김석규 3유로 연결밸브
KR20120001629U (ko) * 2010-08-30 2012-03-08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기 호흡기용 후드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16638A (en) Flow diverter ball valve
US8672289B2 (en) Domestic water tap or faucet with floating buoyant ball valve and activation rod
KR100721502B1 (ko) 설치 대상물의 방향 조절 기능을 갖는 연결구
CA2759415A1 (en) Domestic water tap or faucet
US3529621A (en) Integral stop construction for plumbing fitting
KR101534212B1 (ko) 밸브용 나사연결구
KR102476689B1 (ko) 밸브스핀들의 단순조립 구조를 갖춘 유량조절 밸브체
KR20180044572A (ko) 플러그 밸브
US3380472A (en) Gas lighter valve
US4019536A (en) Swing spout faucet
US4557464A (en) Plug type faucet valve
KR101546573B1 (ko) 관붙이용 앵글밸브
KR101975449B1 (ko) 분배기와 밸브의 체결구조
GB2078343A (en) Flow control valve
RU103154U1 (ru) Дроссельная заслонка
JP7385848B2 (ja) 自在水栓装置用開閉器具及びこれを備えた自在水栓装置
KR200426911Y1 (ko) 유체밸브
RU201106U1 (ru) Шаровой кран
CN219119859U (zh) 一种气路切换用自动切换阀
JP3559925B2 (ja) 仮止めバルブ
KR101021884B1 (ko) 워터햄머 흡수기용 밸브조립체
RU2714089C1 (ru) Узел шарового затвора со встроенным вентилем
JP4332077B2 (ja) セラミックディスクを用いた切替バルブ
JP3024590U (ja) ボールバルブ
KR200179157Y1 (ko) 3유로 연결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