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650B1 -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650B1
KR102476650B1 KR1020210010547A KR20210010547A KR102476650B1 KR 102476650 B1 KR102476650 B1 KR 102476650B1 KR 1020210010547 A KR1020210010547 A KR 1020210010547A KR 20210010547 A KR20210010547 A KR 20210010547A KR 102476650 B1 KR102476650 B1 KR 10247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fixing
container
protruding
fix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661A (ko
Inventor
이헌영
Original Assignee
이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영 filed Critical 이헌영
Priority to KR1020210010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65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용기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공되고,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연부; 주연부의 내측에 주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 연장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 가능하게 형성되고, 돌출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동 커버부; 돌출부와 회동 커버부 사이에 구비되는 접철부; 및 돌출부 및 회동 커버부에 구비되고, 접철부를 중심으로 회동된 회동 커버부를 돌출부에 고정시켜서 용기 내에 수용된 음료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음용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기 뚜껑{RECAP}
본 발명은 용기 뚜껑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은 상단부에 별도의 실링 부재가 구비되고,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 뚜껑 및 용기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용기 뚜껑을 통해 용기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빨대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용 음료 제품을 구입한 사용자가 음료를 음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용기의 측면에 장착된 빨대를 용기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에 의해 분리된 빨대가 용기 뚜껑 및 실링 부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용기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용기로 삽입된 빨대를 통해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휴대용 음료 제품의 음용을 위해 빨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빨대를 용기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빨대를 용기에 삽입하는 별도의 조작이 발생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기 뚜껑에 별도의 음용구를 형성하여 음용구를 통해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용기 뚜껑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용기 뚜껑의 경우, 사용자의 입이 접촉되는 음용구가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빨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뚜껑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빨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뚜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공되고,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연부; 상기 주연부의 내측에 상기 주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동 커버부; 상기 돌출부와 상기 회동 커버부 사이에 구비되는 접철부;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에 구비되고,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회동된 상기 회동 커버부를 상기 돌출부에 고정시켜서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음료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음용 고정부를 포함하는, 용기 뚜껑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어느 하나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어느 하나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고정 돌기;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다른 하나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다른 하나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 커버부가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 돌기 및 상기 제2 고정 돌기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은 상기 제1 고정 돌기 및 상기 제2 고정 돌기 중 다른 하나의 내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제1 음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음용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 음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음료를 상기 음용 고정부로 가이드하는 음료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부는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 돌기와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고정 돌기와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연부는, 상기 용기의 테두리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제1 커버 부분; 및 상기 제1 커버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커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 부분은 상기 제1 커버 부분의 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버 부분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1 돌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돌출 돌기와 상기 제1 커버 부분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용기의 상기 테두리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커버 부분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2 돌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돌출 돌기 및 상기 제2 돌출 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용기의 상기 테두리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제1 음용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음용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1 고정 커버; 및 상기 제2 음용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음용홀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제2 고정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 돌기의 단부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3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제1 음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음용홀과 연통되는 제3 음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제3 고정 돌기가 선택적으로 관통되는 제4 음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 커버부가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3 고정 돌기는 상기 제4 음용홀을 통해 상기 제2 고정 돌기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빨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뚜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 뚜껑의 회동 커버부가 돌출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용기 뚜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용기 뚜껑의 회동 커버부가 돌출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 ''연결'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측, 타측, 상측, 하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1)은 주연부(10), 연장부(20), 돌출부(30), 회동 커버부(40), 접철부(50), 음용 고정부(60) 및 음료 가이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연부(10)는 용기 뚜껑(1)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용기(2)의 테두리(3)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연부(10)는 용기(2)의 테두리(3)를 커버하는 제1 커버 부분(11) 및 제1 커버 부분(1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커버 부분(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 부분(11)은 용기(2)의 테두리(3)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커버 부분(11)의 일 단부에는 제2 커버 부분(12)이 연결될 수 있고, 제1 커버 부분(11)의 타 단부에는 연장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 부분(11)은 용기(2)의 테두리(3)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 부분(11)은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 부분(11)은 도 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ㄷ'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커버 부분(11)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1 돌출 돌기(1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돌출 돌기(111)는 제1 커버 부분(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 돌기(111)는 제1 커버 부분(1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커버 부분(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돌출 돌기(111)와 제1 커버 부분(11)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은 용기(2)의 테두리(3)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용기(2)의 테두리(3)는 제1 돌출 돌기(111)와 제1 커버 부분(11)의 상단부 사이에 밀착 고정되어 제1 돌출 돌기(1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2)의 테두리(3)가 제1 돌출 돌기(111)와 제1 커버 부분(11)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되면, 제1 커버 부분(11)의 상단부는 용기(2)의 테두리(3)의 외측면과 접하고, 제1 돌출 돌기(111)는 용기(2)의 테두리(3)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이로써, 용기(2)의 테두리(3)는 제1 커버 부분(11)의 상단부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제1 돌출 돌기(111)에 의해 하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용기(2)의 테두리(3)는 제1 돌출 돌기(111)와 후술할 제2 돌출 돌기(121) 사이에 밀착 고정되어 제2 돌출 돌기(121)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제2 커버 부분(12)은 용기(2)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커버 부분(12)은 제1 커버 부분(11)의 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 구조에 의해, 용기 뚜껑(1)이 용기(2)에 장착되거나, 용기(2)에 장착된 용기 뚜껑(1)이 용기(2)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2 커버 부분(12)이 용기(2)의 외측면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2 커버 부분(12)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2 돌출 돌기(1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2 돌출 돌기(121)는 제2 커버 부분(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2 돌출 돌기(121)는 복수의 제1 돌출 돌기(111)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출 돌기(121)는 제2 커버 부분(1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커버 부분(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돌출 돌기(111)와 제2 돌출 돌기(121) 사이의 간격은 용기(2)의 테두리(3)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고, 제1 돌출 돌기(111)와 제2 돌출 돌기(121)의 사이에는 오목홈(1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오목홈(122)은 제2 커버 부분(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커버 부분(12)의 둘레 중 제2 돌출 돌기(12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홈(122)은 제2 커버 부분(12)의 내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용기(2)의 테두리(3)는 제1 돌출 돌기(111)와 제2 돌출 돌기(121) 사이에 위치되어 오목홈(122)에 안착됨으로써, 제2 돌출 돌기(1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2)의 테두리(3)가 제1 돌출 돌기(111)와 제2 돌출 돌기(121) 사이에 위치되면, 제1 돌출 돌기(111)는 용기(2)의 테두리(3)의 외측면과 접하고, 제2 돌출 돌기(121)는 용기(2)의 테두리(3)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이로써, 용기(2)의 테두리(3)는 제1 돌출 돌기(111)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제2 돌출 돌기(121)에 의해 하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평소에는 용기(2)의 테두리(3)가 제1 돌출 돌기(111) 및 제2 돌출 돌기(121) 사이에 구비되는 오목홈(122)에 안착되어 제2 돌출 돌기(121)에 의해 지지되지만, 온도가 저하되면, 용기(2)의 상단부를 밀봉하는 실링 부재(4)가 수축되고, 실링 부재(4)가 수축되면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해 용기(2)의 테두리(3)가 수축되면서 용기(2)의 테두리(3)의 직경이 감소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용기(2)에 장착된 용기 뚜껑(1)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용기(2)의 테두리(3)가 제1 돌출 돌기(111)의 상측과 제1 커버 부분(11)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용기(2)의 테두리(3)가 제1 돌출 돌기(1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돌출 돌기(111) 및 제2 돌출 돌기(121)는 각각 제1 커버 부분(11)의 내측면 및 제2 커버 부분(12)의 내측면과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돌출 돌기(111) 및 제2 돌출 돌기(121)의 곡면이 용기(2)의 테두리(3)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용기 뚜껑(1)이 용기(2)에 수월하게 탈착될 수 있다.
연장부(20)는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주연부(1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부(20)는 주연부(10)의 내측에 주연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20)의 상면은 주연부(10)의 제1 커버 부분(11)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용기(2)의 개방된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20)는 제1 커버 부분(11)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20)의 폭은 제1 커버 부분(11)의 내측 둘레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돌출부(30)는 용기(2)의 개방된 상부 중 나머지를 커버하여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돌출부(30)는 연장부(20)의 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연장부(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0)의 중심부(C1)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후술할 음용 고정부(60)의 제1 고정 돌기(6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돌출부(30)의 중심부(C1)를 기준으로 타측에는 후술할 음용 고정부(60)의 제2 고정 돌기(6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는 음료 가이드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회동 커버부(40)는 돌출부(30)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회동 커버부(40)의 일 단부는 접철부(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회동 커버부(40)의 타 단부는 돌출부(30)의 둘레에 대응하는 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철부(50)는 회동 커버부(40)가 돌출부(30)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접철부(50)는 돌출부(30)와 회동 커버부(4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접철부(50)는 돌출부(30)의 중심부(C1)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접철부(50)는 돌출부(30) 및 회동 커버부(4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회동 커버부(40)에 가해지는 소정의 외력에 의해 회동 커버부(40)가 접철부(50)를 중심으로 부드럽게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접철부(50)는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돌출부(30) 및 회동 커버부(4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으로부터 요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접철부(50)가 돌출부(30) 및 회동 커버부(4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철부(50)는 돌출부(30)와 회동 커버부(40) 사이에 구비되는 소정의 점선이나 칼선 형태의 절개선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음용 고정부(60)는 회동 커버부(40)를 돌출부(3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켜서 용기(2)에 수용된 음료의 배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용 고정부(60)는 돌출부(30) 및 회동 커버부(40) 중 어느 하나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돌출부(30) 및 회동 커버부(40) 중 어느 하나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고정 돌기(61) 및 돌출부(30) 및 회동 커버부(40) 중 다른 하나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돌출부(30) 및 회동 커버부(40) 중 다른 하나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고정 돌기(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돌기(61)는 돌출부(30)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돌출부(3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 돌기(61)는 돌출부(30)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 돌기(61)의 단부에는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는 제1 음용홀(6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 돌기(61)는 제1 높이(a)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높이(a)는 돌출부(30)의 상면과 제1 고정 돌기(61)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로 정의하고, 연장부(20)의 상면과 제1 고정 돌기(61)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를 제2 높이(b)로 정의하면, 제1 높이(a)가 제2 높이(b)의 0.5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도록 구비됨에 따라, 용기 뚜껑(1)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공정 상의 문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제2 고정 돌기(62)는 평소에는 돌출부(3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가 음료를 음용하려고 하는 사용자에 의해 돌출부(30)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고정 돌기(62)는 회동 커버부(4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 돌기(62)의 단부에는 제2 음용홀(62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음용홀(621)은 제1 음용홀(6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 음용홀(611)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 돌기(62)는 제1 고정 돌기(6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회동 커버부(40)의 하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 돌기(62)는 제1 높이(a)보다 큰 제3 높이(c)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접철부(50)를 중심으로 회동 커버부(40)가 회동되는 경우, 제1 고정 돌기(61)의 외측면은 제2 고정 돌기(62)의 내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고정 돌기(62)의 내측면이 제1 고정 돌기(61)의 외측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제2 고정 돌기(62)의 외측면에는 음료를 음용하려고 하는 사용자의 입이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고정 돌기(62)의 내측면은 제1 고정 돌기(61)의 외측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면을 의미하고, 제2 고정 돌기(62)의 외측면은 음료를 음용하려고 하는 사용자의 입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면을 의미한다.
이때, 제2 고정 돌기(62)의 높이(c)가 제1 고정 돌기(61)의 높이(a)보다 높으므로, 제1 고정 돌기(61)가 모두 제2 고정 돌기(6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고정 돌기(61)는 제2 고정 돌기(62)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제1 고정 돌기(61)에는 사용자의 입이 접촉될 수 없는 것이고, 이러한 제1 고정 돌기(6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고정 돌기(62)의 외측면에 사용자의 입이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돌출부(30)의 중심부(C1)와 제1 고정 돌기(61) 사이의 거리(D1)는 돌출부(30)의 중심부(C1)와 제2 고정 돌기(62) 사이의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부(C1)와 제1 고정 돌기(61) 사이의 거리(D1)는 돌출부(30)의 중심부(C1)와 제2 고정 돌기(62) 사이의 거리(D2)보다 클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돌출부(30)의 중심부(C1)와 제1 고정 돌기(61) 사이의 거리가 돌출부(30)의 중심부(C1)와 제2 고정 돌기(62)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복수의 용기 뚜껑(1)이 상하 방향으로 겹쳐질 때, 제1 고정 돌기(61) 및 제2 고정 돌기(62)가 서로 간섭되어 복수의 용기 뚜껑(1)의 상하 정렬이 무너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고정 돌기(62)가 제1 고정 돌기(61)보다 돌출부(30)의 중심부(C1)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복수의 용기 뚜껑(1)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용기 뚜껑(1)의 제1 고정 돌기(61) 및 제2 고정 돌기(62)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용기 뚜껑(1)의 상하 정렬이 유지될 수 있다.
음료 가이드부(70)는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음용 고정부(60)로 집중될 수 있도록 음료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료 가이드부(70)는 돌출부(30)의 상면에 돌출부(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료 가이드부(70)는 돌출부(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음료 가이드 구조(71) 및 돌출부(30)의 중심부(C1)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음료 가이드 구조(71)와 대칭인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음료 가이드 구조(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료 가이드 구조(71)는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음료 가이드 구조(71)의 타 단부는 돌출부(30)의 상면에 가까워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을 따라 용기(2) 내부의 음료가 이동되어 제1 고정 돌기(61)로 진입될 수 있다.
제2 음료 가이드 구조(72)는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음료 가이드 구조(72)의 타 단부는 각각 돌출부(30)의 상면에 가까워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을 따라 용기(2) 내부의 음료가 이동되어 제2 고정 돌기(62)로 진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용기 뚜껑(1)이 결합된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사용자는 용기(2)의 테두리(3)에 끼움 결합된 주연부(10)를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용기(2)로부터 용기 뚜껑(1)을 분리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용기(2)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실링 부재(4)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용기(2)의 상단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 후, 사용자는 용기(2)의 테두리(3)에 주연부(10)를 끼움 결합시켜서 용기(2)에 용기 뚜껑(1)을 장착한다.
용기 뚜껑(1)이 용기(2)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회동 커버부(4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접철부(50)를 중심으로 회동 커버부(40)가 상방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때, 회동 커버부(40)의 회동 동작은 회동 커버부(40)에 구비되는 제2 고정 돌기(62)가 돌출부(30)에 구비된 제1 고정 돌기(61)에 완전히 계합될 때까지 수행된다. 여기서, 제2 고정 돌기(62)가 제1 고정 돌기(61)에 완전히 계합되는 것은 제1 고정 돌기(61)의 외측면이 모두 제2 고정 돌기(62)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제1 고정 돌기(61)와 제2 고정 돌기(62)가 완전히 계합되면, 제1 고정 돌기(61)에 형성된 제1 음용홀(611)과 제2 고정 돌기(62)에 형성된 제2 음용홀(621)이 서로 연통되어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 통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음료의 배출 통로가 형성되면, 사용자는 용기(2)를 손으로 잡고 제2 고정 돌기(62)의 외측면에 자신의 입을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2)를 자신의 입 쪽으로 기울임에 따라,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서로 연통된 제1 음용홀(611) 및 제2 음용홀(621)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용기 뚜껑(1)은 별도의 빨대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기(2) 내부의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1a)은 주연부(10), 연장부(20), 돌출부(30), 회동 커버부(40), 접철부(50), 음용 고정부(60a) 및 음료 가이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용기 뚜껑(1a)은 음용 고정부(60a)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용기 뚜껑(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해당하는 음용 고정부(60a)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부호를 원용하기로 한다.
음용 고정부(60a)는 제1 고정 돌기(61), 제2 고정 돌기(62), 제1 고정 커버(63) 및 제2 고정 커버(6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고정 돌기(61) 및 제2 고정 돌기(62)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1 고정 커버(63) 및 제2 고정 커버(64)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제1 고정 커버(63)는 제1 음용홀(611)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고정 커버(63)는 제1 음용홀(61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음용홀(611)의 둘레면과 제1 고정 커버(6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부재(613)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 부재(613)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소정의 외력에 의해 제1 음용홀(611)의 둘레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 커버(64)는 제2 음용홀(621)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고정 커버(64)는 제2 음용홀(62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음용홀(621)의 둘레면과 제2 고정 커버(6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부재(623)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 부재(623)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소정의 외력에 의해 제2 음용홀(621)의 둘레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1b)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1b)은 주연부(10), 연장부(20), 돌출부(30), 회동 커버부(40), 접철부(50), 음용 고정부(60b) 및 음료 가이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용기 뚜껑(1b)은 음용 고정부(60b)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용기 뚜껑(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해당하는 음용 고정부(60b)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부호를 원용하기로 한다.
음용 고정부(60b)는 제1 고정 돌기(61), 제2 고정 돌기(62b) 및 제3 고정 돌기(6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고정 돌기(61)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2 고정 돌기(62b) 및 제3 고정 돌기(65)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제2 고정 돌기(62b)의 단부에는 제4 음용홀(6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음용홀(622)은 접철부(50)를 중심으로 회동 커버부(40)가 회동되었을 때, 제3 고정 돌기(65)가 관통되는 부분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제3 고정 돌기(65)는 제1 고정 돌기(61)의 단부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고정 돌기(65)는 하단부와 상단부의 폭이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3 고정 돌기(65)의 단부에는 제3 음용홀(6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음용홀(651)은 제1 고정 돌기(61)의 제1 음용홀(611)과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접철부(50)를 중심으로 회동 커버부(40)가 회동되는 경우, 제1 고정 돌기(61)의 외측면과 제2 고정 돌기(62b)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제3 고정 돌기(65)가 제4 음용홀(622)을 통해 제2 고정 돌기(62b)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고정 돌기(65)가 제2 고정 돌기(62b)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서로 연통된 제1 음용홀(611)과 제3 음용홀(6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제1 고정 돌기(61) 및 제2 고정 돌기(62b) 사이로 유출될 염려가 없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제3 음용홀(651) 및 제4 음용홀(622)가 개방된 상태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 음용홀(651) 및 제4 음용홀(622)에는 각각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 커버가 구비되어 평소에는 제3 음용홀(651) 및 제4 음용홀(622)이 고정 커버에 의해 폐쇄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제3 음용홀(651) 및 제4 음용홀(622)로부터 각각 고정 커버가 제거됨으로써, 제3 음용홀(651) 및 제4 음용홀(622)가 개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1a, 1b: 용기 뚜껑 2: 용기
3: 테두리 4: 실링 부재
10: 주연부 11: 제1 커버 부분
12: 제2 커버 부분 20: 연장부
30: 돌출부 40: 회동 커버부
50: 접철부 60, 60a, 60b: 음용 고정부
61: 제1 고정 돌기 62: 제2 고정 돌기
63: 제1 고정 커버 64: 제2 고정 커버
65: 제3 고정 돌기 70: 음료 가이드부
71: 제1 음료 가이드 구조 72: 제2 음료 가이드 구조
111: 제1 돌출 돌기 121: 제2 돌출 돌기
122: 오목홈 611: 제1 음용홀
613: 제1 연결 부재 621: 제2 음용홀
622: 제4 음용홀 623: 제2 연결 부재
651: 제3 음용홀

Claims (13)

  1.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공되고,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연부;
    상기 주연부의 내측에 상기 주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동 커버부;
    상기 돌출부와 상기 회동 커버부 사이에 구비되는 접철부;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에 구비되고,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회동된 상기 회동 커버부를 상기 돌출부에 고정시켜서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음료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음용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어느 하나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어느 하나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고정 돌기;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다른 하나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다른 하나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 커버부가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 돌기 및 상기 제2 고정 돌기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은 상기 제1 고정 돌기 및 상기 제2 고정 돌기 중 다른 하나의 내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1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제1 음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음용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 음용홀이 형성되는,
    용기 뚜껑.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음료를 상기 음용 고정부로 가이드하는 음료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 뚜껑.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용기 뚜껑.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돌기와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고정 돌기와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용기 뚜껑.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는,
    상기 용기의 테두리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제1 커버 부분; 및
    상기 제1 커버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커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 부분은 상기 제1 커버 부분의 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갖는,
    용기 뚜껑.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부분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1 돌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돌출 돌기와 상기 제1 커버 부분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용기의 상기 테두리의 두께와 동일한,
    용기 뚜껑.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부분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2 돌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돌출 돌기 및 상기 제2 돌출 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용기의 상기 테두리의 두께와 동일한,
    용기 뚜껑.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제1 음용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음용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1 고정 커버; 및
    상기 제2 음용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음용홀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제2 고정 커버를 더 포함하는,
    용기 뚜껑.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 돌기의 단부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3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는
    용기 뚜껑.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제1 음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음용홀과 연통되는 제3 음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제3 고정 돌기가 선택적으로 관통되는 제4 음용홀이 형성되는,
    용기 뚜껑.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 커버부가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3 고정 돌기는 상기 제4 음용홀을 통해 상기 제2 고정 돌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용기 뚜껑.
KR1020210010547A 2021-01-26 2021-01-26 용기 뚜껑 KR102476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547A KR102476650B1 (ko) 2021-01-26 2021-01-26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547A KR102476650B1 (ko) 2021-01-26 2021-01-26 용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661A KR20220107661A (ko) 2022-08-02
KR102476650B1 true KR102476650B1 (ko) 2022-12-12

Family

ID=8284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547A KR102476650B1 (ko) 2021-01-26 2021-01-26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6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419A (ja) * 1999-09-30 2001-04-10 Yoshino Kogyosho Co Ltd 蓋付き容器
US20030192890A1 (en) * 2001-09-14 2003-10-16 Mazzarolo Ivonis M. Plastic drink-through cup lid with fold-back tab
US20110011863A1 (en) * 2005-05-16 2011-01-20 Prairie Packaging, Inc. Disposable cup li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601A (en) * 1996-12-18 1998-11-24 Amhil Enterprises Disposable dome lid for drinking cup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419A (ja) * 1999-09-30 2001-04-10 Yoshino Kogyosho Co Ltd 蓋付き容器
US20030192890A1 (en) * 2001-09-14 2003-10-16 Mazzarolo Ivonis M. Plastic drink-through cup lid with fold-back tab
US20110011863A1 (en) * 2005-05-16 2011-01-20 Prairie Packaging, Inc. Disposable cup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661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8405C2 (ru) Повторно закрываемая крышка для контейнера
US20230159232A1 (en) Drink cup lid
US7246715B2 (en) Reclosable container lid
JP3557171B2 (ja) 二重機能覆いキャップ
CZ20033228A3 (en) Single axis dual dispensing closure
JP6804518B2 (ja) キャップ用の一体ヒンジマウントを具える、コップ用の蓋組立体
CN109502168B (zh) 用于显窃启容器的闭式通气口
JP6238031B2 (ja) 容器
KR102476650B1 (ko) 용기 뚜껑
KR20200000153U (ko) 유아용 빨대 컵
JP7117758B2 (ja) 包装用容器
JP5966240B2 (ja) 容器
KR102059116B1 (ko) 화장품 용기
KR102177422B1 (ko) 캔뚜껑
JP2020183237A (ja) キャップ
JP2003081319A (ja) 蓋付き容器
JP7422624B2 (ja) キャップ
KR102635456B1 (ko) 위생적인 약 용기
KR100577727B1 (ko) 일체형 3중캡
KR101977571B1 (ko) 이중 용기와 그 하부에 장착하는 캡
JP7072987B2 (ja) 吐出容器
JPH11105898A (ja) 容 器
JP7076336B2 (ja) 計量キャップ
KR101810960B1 (ko) 회전 개방식 원터치캡
JP6531048B2 (ja) 振り出し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